KR20050028495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495A
KR20050028495A KR1020030064775A KR20030064775A KR20050028495A KR 20050028495 A KR20050028495 A KR 20050028495A KR 1020030064775 A KR1020030064775 A KR 1020030064775A KR 20030064775 A KR20030064775 A KR 20030064775A KR 20050028495 A KR20050028495 A KR 2005002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base substrate
backligh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637B1 (ko
Inventor
이상훈
박종대
이정환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637B1/ko
Priority to TW093126039A priority patent/TW200513750A/zh
Priority to US10/930,472 priority patent/US7172330B2/en
Priority to CNB2004100787032A priority patent/CN100440006C/zh
Priority to JP2004271554A priority patent/JP4684606B2/ja
Publication of KR2005002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495A/ko
Priority to US11/618,119 priority patent/US2007014703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부품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램프를 고정하고 다수의 램프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램프 고정부 및 램프 고정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형성된 몰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램프 고정부는 수납 공간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램프 고정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퍼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몰드 프레임의 열팽창으로 인해 램프 고정부가 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의 위치에 따라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직하형(direct downward type)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구분된다.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Light Guide Panel, LGP)의 측면에 램프가 배치된다.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작은 부피 및 가벼운 무게가 요구되는 중, 소형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액정표시패널의 하부에 다수의 램프가 나란히 배치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비해 고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중형 또는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적합하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램프를 이용하므로, 병렬구동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외부 전극을 갖는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이하, EEFL)를 채용하는 추세이다.
EEFL로 이루어진 다수의 램프는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램프 소켓과 결합하고, 몰드 프레임에 수납된다. 램프 소켓은 다수의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클립을 갖고, 전원을 다수의 램프로 인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몰드 프레임은 램프 소켓과 결합하여 다수의 램프를 수납하고,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램프를 사용하므로, 다수의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한 내부의 온도 변화가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보다 크다.
일반적으로, 열팽창률은 금속보다 합성 수지가 더 높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온도 상승에 따른 몰드 프레임 및 램프 소켓의 부피 증가량을 살펴보면, 램프 소켓보다 몰드 프레임의 부피 증가량이 더 크다. 따라서, 램프 소켓이 안착되는 몰드 프레임의 수납 공간의 길이가 램프 소켓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램프 소켓이 몰드 프레임으로부터 들뜨거나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기 위한 램프, 수납 용기 및 램프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수납 용기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램프 고정부는 수납 공간에 안착되어 수납 용기와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클립 및 버퍼부를 갖는다. 버퍼부는 베이스 기판과 관련하여 형성되고, 수납 공간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베이스 기판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액정표시패널은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여 액정표시패널로 제공하는 램프,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 용기, 및 수납 공간에 안착되어 램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수납 공간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램프 고정부는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서 수납 공간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수납 공간의 크기 변화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므로 수납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600)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100) 및 상기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300),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00)를 수납하는 제1 몰드 프레임(400) 및 탑 샤시(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00)는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10),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120, 125),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30, 13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111), 상기 TFT 기판(111)과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는 컬러필터 기판(112) 및 상기 TFT 기판(111)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112)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111)은 스위칭 소자인 TFT(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TFT 기판(111)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112)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색화소인 RGB 색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TFT 기판(111)의 소오스측에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TCP(120)가 부착된다. 상기 TFT 기판(111)의 게이트측에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측 TCP(125)가 부착된다.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120, 125)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 및 구동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인가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120, 125)는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30, 135)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30, 135)은 상기 구동 신호 및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120, 125)로 각각 인가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100)의 아래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램프(210), 상기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240), 상기 광학 시트들(250), 반사판(260) 및 제2 몰드 프레임(27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전면에 조사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상부에는 상기 확산판(240) 및 상기 광학 시트들(250)이 구비된다. 상기 확산판(240) 및 상기 광학 시트들(250)은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출사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아래에는 상기 반사판(260)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26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누설된 광을 상기 확산판(240)측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에 수납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은 일부분이 개구된 바닥면(271) 및 상기 바닥면(271)을 둘러싼 측벽(272)을 갖는다.
상기 바닥면(271)의 상부면에는 상기 확산판(240) 및 상기 광학 시트들(250)이 수납되고, 배면에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수납된다. 이때, 상기 확산판(24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결합 관계는 후술하는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아래에는 상기 수납 용기(3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 용기(300)는 상기 반사판(260), 상기 다수의 램프(210)와 결합된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 상기 확산판(240) 및 상기 광학 시트들(250)을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몰드 프레임(400)이 개재된다. 상기 제1 몰드 프레임(400)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수납한다. 상기 제1 몰드 프레임(40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하기 위해 일부분이 개구된다. 상기 제1 몰드 프레임(400)은 상기 수납 용기(300)와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상기 수납 용기(300)에 고정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상부에는 상기 탑 샤시(500)가 구비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수납 용기(300)와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상기 제1 몰드 프레임(40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상기 유효 표시 영역이 개구되도록 덮는다.
상기 탑 샤시(500)는 일부분이 개구된 바닥면(510), 상기 바닥면(510)으로부터 연장된 측벽(520) 및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510) 및 상기 측벽(5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샤시 버퍼부를 갖는다.
상기 다수의 샤시 버퍼부는 상기 바닥면(510) 및 상기 측벽(520)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510) 및 상기 측벽(520)과 일체로하여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샤시 버퍼부는 제1 내지 제4 샤시 버퍼부(510a, 510b, 520a, 520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 샤시(500)는 네 개의 샤시 버퍼부를 구비하나, 상기 샤시 버퍼부의 개수는 상기 탑 샤시(500)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샤시 버퍼부(510a, 510b)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D1)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면(510) 및 상기 측벽(520)의 길이를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조절한다.
상기 제3 및 제4 샤시 버퍼부(520a, 520b)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면(510) 및 상기 측벽(520)의 길이를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조절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구동됨에 따라 발생된 열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액정표시장치(600)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은 상기 내부 온도의 상승에 따라 그 부피가 증가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측벽을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탑 샤시(500)의 크기가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크기보다 커야한다.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이 온도 상승으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여 크기가 커질 경우, 상기 탑 샤시(500)도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증가된 크기만큼 커져야한다.
이때, 금속 재질은 합성 수지보다 열팽창률이 높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부피 증가량이 상기 탑 샤시(500)의 부피 증가량보다 많다.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샤시 버퍼부(510a, 510b, 520a, 520b)는 온도 변화에 따라 유동적인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탑 샤시(500)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스프링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샤시 버퍼부(510a, 510b)는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크기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면, 상기 제1 방향(D1)에 대응하는 상기 탑 샤시(500)의 길이를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증가된 길이만큼 증가시킨다.
상기 제3 및 제4 샤시 버퍼부(520a, 520b)는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길이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증가되면,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탑 샤시(500)의 길이를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증가된 길이만큼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수의 샤시 버퍼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변형된 크기에 따라 상기 탑 샤시(500)의 크기를 조절하여 탑 샤시(500)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한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은 상기 탑 샤시(500) 및 상기 제1 몰드 프레임(400)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주변을 둘러 싸고,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상기 제1 몰드 프레임(270)에 고정한다. 상기 탑 샤시(500)의 제4 샤시 버퍼부(520b)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상면 및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제1 공간(4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샤시 보상 프레임(510a, 510b, 520a, 520b)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내지 제4 샤시 보상 프레임(510a, 510b, 520a, 520b)의 설명에 있어서, 상시 제4 샤시 보상 프레임(520b)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샤시 보상 프레임(510a, 510b, 520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이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발생된 열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면, 상기 제1 공간(40)의 크기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샤시 버퍼부(520b)는 제1 및 제2 몰드 프레임(400, 270)의 크기 변화로 인한 탑 샤시(50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결합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확산판(240) 및 상기 광학 시트들(250)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제1 내지 제4 램프(211, 212, 213, 214)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600)는 네 개의 램프를 구비하지만, 상기 램프의 개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크기에 따라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211, 212, 213, 214)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211, 212, 213, 214)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 램프(211)를 일례로하여 서술하고, 상기 제2 내지 제 4 램프(212, 213, 21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램프(211)는 형광물질 및 방전가스가 충진된 램프 튜브(211a) 및 상기 램프 튜브(211a)로 상기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외부전극(211b, 211c)을 갖는다. 상기 제1 외부전극(211b)은 상기 램프 튜브(211a)의 제1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외부전극(211c)은 상기 제1 단부와 서로 대향하는 제2 단부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외부전극(211b, 211c)은 상기 램프 튜브(211a)의 표면을 감싼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양 단부는 제1 및 제2 램프 고정부(220, 230)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제1 외부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램프 고정부(230)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제2 외부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고정부(220, 230)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양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 상기 전원을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600)는 두 개의 램프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 고정부는 램프의 전극부가 외부전극으로 형성될 경우에 상기 외부전극으로 상기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므로, 하나의 램프가 구비하는 외부전극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는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 결합하는 베이스 기판(221), 상기 베이스 기판(2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제1 외부전극들을 각각 삽입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클립(222) 및 상기 베이스 기판(2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일단부들과 각각 접하는 다수의 고정 돌기(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고정부(220, 230)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램프 고정부(220, 23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를 일례로하여 서술하고, 상기 제2 램프 고정부(2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221)은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크기 변화에 따라 상기 베이스 기판(22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버퍼부(10)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24)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10)는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210)이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10)는 제1 내지 제3 버퍼부(11, 12, 13)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는 세 개의 버퍼부를 구비하지만, 버퍼부의 개수는 상기 베이스 기판(221)의 전체 길이 및 두께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222)은 다수의 램프(210)가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222)이 돌출된 방향(D4)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222)은 제1 내지 제4 램프 클립(222a, 222b, 222c, 222d)으로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4 램프 클립(222a, 222b, 222c, 222d)은 상기 베이스 기판(221)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는 네 개의 램프 클립을 구비하지만, 상기 램프 클립의 개수는 상기 램프의 개수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 클립(222a, 222b, 222c, 222d)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211, 212, 213, 214)의 제1 외부전극이 각각 삽입된다.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클립 사이에는 하나의 버퍼부가 위치한다. 상기 제1 버퍼부(11)는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램프 클립(222a, 222b)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버퍼부(12)는 서로 인접한 제2 및 제3 램프 클립(222b, 222c)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3 버퍼부(13)는 서로 인접한 제3 및 제4 램프 클립(222c, 222d)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버퍼부(1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클립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지만, 버퍼부의 개수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223)는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222)과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은 상기 제1 및 제2 램프 고정부(220, 230)와 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를 수납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양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 램프 고정부(220, 230)를 수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 공간(273, 27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는 상기 제1 수납 공간(273)에 수납되고, 상기 제2 램프 고정부(230)는 상기 제2 수납 공간(274)에 수납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하기 위한 개구부(275) 및 제1 및 제2 램프 고정부(220, 23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27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276)은 상기 결합공(22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삽입을 용이하기 위해 다수의 요철부(277)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요철부(277)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와 각각 대응하여 위치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의 다양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 클립(222a, 222b, 222c, 222d)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 클립(222a, 222b, 222c, 222d)의 설명은 상기 제4 램프 클립(222d)을 일례로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램프 클립(222a, 222b, 222c)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4 램프 클립(222d)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고정부(21, 22)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21, 22)는 제4 램프(214)의 원주면을 감싸기 위해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21, 22)는 상기 제4 램프(214)의 제1 외부전극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4 램프(214)의 위치를 고정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4 램프 클립(222d)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25, 26)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25, 26)는 제4 램프(214)의 원주면의 일부분을 감싸기 위해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부(25)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날개부(25a, 2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고정부(26)는 서로 마주보는 제3 및 제4 날개부(26a, 2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방향(D1)에서 볼 때, 상기 제1 날개부(25a)는 상기 제3 날개부(26a)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날개부(25b)는 상기 제4 날개부(26b)와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25a, 26a)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2 및 제4 날개부(25b, 26b)는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25a, 26a)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25, 26)에는 상기 제4 램프(214)의 제1 외부전극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25, 26)는 상기 제4 램프(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10)는 상기 제1 수납 공간(273)에 수납된다.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는 스크류(281)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 결합한다. 상기 스크류(281)는 상기 결합공(224)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276)에 체결된다.
상기 스크류(281)의 외경은 상기 체결홈(276)의 내경과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 기판(221)의 길이 방향인 제2 방향(D2)에 대응하는 상기 결합공(224)의 제1 직경이 상기 스크류(281)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제1 방향(D1)에 대응하는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결합공(233)의 제2 직경은 상기 스크류(281)의 직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베이스 기판(221)은 상기 베이스 기판(221)의 길이 변화로 인해 상기 결합공(224)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스크류(281)가 상기 결합공(2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제1 외부전극은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222)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외부전극이 위치하는 제1 단부는 금속 재질의 제1 외부전극으로 감싸있으므로, 광이 출사되지 않는 비유효 발광 영역(NEA)이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상기 비유효 발광 영역(NEA)이 상기 제1 수납공간(273)에 위치하고, 상기 유효 발광 영역(EA)은 상기 개구부(275)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유효 발광 영역(EA)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유효 표시영역과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223)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일단부 및 상기 몰드 프레임(270)의 측벽과의 사이에 개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223)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일단부와 각각 접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223)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수평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223)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다수의 램프(210)를 각각 가이드하여, 상기 유효 발광 영역(EA)이 상기 몰드 프레임(270)의 제1 수납 공간(273)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223)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상기 비유효 발광 영역(NEA)이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유효 표시 영역 내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600)의 표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는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배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부(11, 12, 13)는 상기 몰드 프레임(270)의 바닥면(271)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부(11, 12, 13)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바닥면(271)과의 사이에는 제2 공간(14)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가 몰드 프레임의 열 팽창에 따라 수축되는 현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구동됨에 따라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 및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의 부피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의 길이보다 상기 제1 수납 공간(273)의 길이가 더 작아져서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에 상기 베이스 기판의 길이 방향(D3)으로 수축력이 작용한다.
상기 제2 공간(14)은 상기 수축력에 따라 크기가 작아지거나 커진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부(11, 12, 13)는 상기 제1 수납 공간(273)의 크기 변화에 대해서 완충 작용을 하는 스프링 기능을 한다.
상기 제2 공간(14)은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0)의 길이 및 상기 제1 수납 공간(273)의 길이간의 차이만큼 그 크기가 축소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버퍼부(11, 12, 13)는 상기 제1 수납 공간(273)의 크기 변화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기판(221)이 휘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의 다양한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고정부(610)는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 결합하는 베이스 기판(611) 및 상기 베이스 기판(6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클립(613)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611)은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 결합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613)이 돌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버퍼부(612)가 형성된다. 각각의 버퍼부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클립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612)의 위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의 길이 및 그 두께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612)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신장되는 방향에서 볼 때,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612)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사이에는 제3 공간(614)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부피가 팽창할 경우,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은 상기 램프 고정부(61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의 크기 줄어든다. 상기 수납 공간의 크기가 줄어들면, 상기 램프 고정부(610)는 상기 수납 공간의 길이 방향(D3)으로 작용하는 수축력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공간(614)은 상기 수납 공간의 길이 및 상기 램프 고정부(610)의 길이 간의 차이만큼 그 크기가 축소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610)의 들뜸 현상 및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613)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제1 및 제2 외부전극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전극과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 인가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고정부(620)는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 결합하는 베이스 기판(621) 및 상기 베이스 기판(6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클립(623)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621)은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 결합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623)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버퍼부(622)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622)는 프리즘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622)는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버퍼부(622)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과의 사이에는 제4 공간(624)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의 부피가 팽창할 경우,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70)은 상기 램프 고정부(62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의 크기 줄어든다.
상기 수납 공간의 크기가 줄어들면, 상기 램프 고정부(621)는 상기 수납 공간의 길이 방향(D3)으로 작용하는 수축력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공간(624)은 상기 수납 공간의 길이 및 상기 램프 고정부(620)의 길이의 차이만큼 그 크기가 축소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620)의 들뜸 현상 및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623)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제1 및 제2 외부전극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전극과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 인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램프 고정부(710) 및 제2 몰드 프레임(720)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 번호를 병기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다수의 램프(210), 램프 고정부(710) 및 제2 몰드 프레임(720)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램프 고정부(710)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과 결합한다. 상기 램프 고정부(710)는 각각의 램프의 일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램프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램프 고정부(7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 전원을 인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 고정부(710)는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과 결합하는 베이스 기판(711), 상기 베이스 기판(7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클립(713) 및 상기 베이스 기판(7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돌기(71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711)은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의 열팽창에 따른 크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버퍼부(712)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7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711)은 두 개 이상의 버퍼부를 구비하지만, 하나의 버퍼부만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버퍼부의 개수는 램프의 개수 및 상기 베이스 기판(711)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는 제2 몰드 프레임(7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신장 방향에서 볼 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버퍼부는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 중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클립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나, 프리즘 패턴이나 반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일 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제1 및 제2 외부 전극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 전극이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에 삽입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 및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은 서로 교호적으로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 중에서 제1 및 제2 버퍼부(712a, 712b)가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 중에서 제1 및 제2 램프 클립(713a, 713b)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버퍼부(712a)는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클립(713a, 713b)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버퍼부는 상기 두 개의 램프 클립의 사이에 위치하지만, 버퍼부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715)는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과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715)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일단부와 각각 접하고,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각각의 램프의 길이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상기 다수의 램프 클립(713)이 돌출된 방향(D4)으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 돌기(715)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수평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은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의 삽입홈(721) 및 상기 베이스 기판(711)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722)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삽입홈(721)은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722)은 상기 결합공(714)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결합공(714)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 및 상기 램프 고정부(710)는 상기 결합공(714)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722)에 체결되는 스크류(73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구동되면, 부수적으로 열이 발생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700)는 상기 열에 의해 내부 온도가 상승하고, 상기 램프 고정부(710)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의 부피가 증가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의 부피가 증가되면, 상기 램프 고정부(710)가 안착되는 수납 공간도 줄어든다.
이에 따라, 상기 램프 고정부(710)에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배열되는 방향(D3)으로 수축력이 작용한다.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는 상기 수축력이 작용하면, 오목한 요철 구조로 인해 형성된 제5 공간(70)의 크기가 줄어들어 든다.
즉, 상기 제5 공간(70)은 상기 베이스 기판(711)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의 결합 면적의 차이만큼 그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베이스 기판(711)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버퍼부(712)는 상기 램프 고정부(720) 및 상기 제2 몰드 프레임(72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고정부 및 램프 고정부와 결합하여 다수의 램프를 수납하기 위한 제2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다. 램프 고정부는 다수의 램프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한 제2 몰드 프레임의 부피 팽창에 적응하기 위한 버퍼부가 형성된다. 램프 고정부는 버퍼부를 이용하여 제2 몰드 프레임의 수납 공간의 변화에 대응하여 램프 고정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퍼부는 제2 몰드 프레임의 열팽창으로 인한 램프 고정부의 휨 또는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부품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의 다양한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가 몰드 프레임의 열 팽창에 따라 수축되는 현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의 다양한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램프 고정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패널 어셈블리 200, 7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210 : 램프 220, 230 : 램프 고정부
270, 720 : 제2 몰드 프레임 300 : 수납 용기
400 : 제1 몰드 프레임 500 : 탑 샤시
600 : 액정표시장치

Claims (35)

  1. 광을 발생하기 위한 램프;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 용기; 및
    상기 수납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클립,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관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버퍼부를 갖는 램프 고정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램프 클립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램프 클립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버퍼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램프의 신장 방향에서 볼 때, 삼각 형상 또는 반구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가 상기 램프의 신장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램프 클립과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램프의 일단부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하기 위한 램프 튜브; 및
    상기 램프 튜브의 일 단부를 감싸고, 상기 램프 클립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램프 튜브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수납 용기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결합공 및 상기 체결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납 용기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수납 용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내경은 상기 스크류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직경이 상기 스크류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고정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용기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5.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광을 발생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제공하는 램프,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 용기, 및 상기 수납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램프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수납 공간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램프 고정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고정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클립;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관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램프 클립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램프 클립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버퍼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상기 램프의 신장 방향에서 볼 때, 삼각 형상, 삼각 형상 및 반구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부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가 상기 램프의 신장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램프 클립과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램프의 일단부와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하기 위한 램프 튜브; 및
    상기 램프 튜브의 일 단부를 감싸고, 상기 램프 클립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 고정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전원을 상기 램프 튜브로 제공하기 위한 외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수납 용기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용기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결합공 및 상기 체결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수납 용기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수납 용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의 내경은 상기 스크류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직경이 상기 스크류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고정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용기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와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상기 수납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탑 샤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탑 샤시는,
    일부분이 개구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을 둘러싼 측벽; 및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과 관련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납 용기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에 걸쳐 위치하고,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램프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및 상기 측벽의 길이를 상기 수납 용기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조절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샤시 버퍼부; 및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및 상기 측벽의 길이를 상기 수납 용기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조절하기 위한 제3 및 제4 샤시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64775A 2003-09-18 2003-09-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96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75A KR100962637B1 (ko) 2003-09-18 2003-09-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093126039A TW200513750A (en) 2003-09-18 2004-08-30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930,472 US7172330B2 (en) 2003-09-18 2004-08-31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B2004100787032A CN100440006C (zh) 2003-09-18 2004-09-17 背光组件以及带有该背光组件的显示装置
JP2004271554A JP4684606B2 (ja) 2003-09-18 2004-09-17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11/618,119 US20070147030A1 (en) 2003-09-18 2006-12-29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75A KR100962637B1 (ko) 2003-09-18 2003-09-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95A true KR20050028495A (ko) 2005-03-23
KR100962637B1 KR100962637B1 (ko) 2010-06-11

Family

ID=3430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775A KR100962637B1 (ko) 2003-09-18 2003-09-18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72330B2 (ko)
JP (1) JP4684606B2 (ko)
KR (1) KR100962637B1 (ko)
CN (1) CN100440006C (ko)
TW (1) TW2005137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591B1 (ko) * 2006-06-12 2007-11-02 주식회사 디엠케이 백라이트 유닛에서 램프와 전원공급부의 결합 장치
KR101157951B1 (ko) 2005-06-02 2012-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290284B1 (ko) * 2006-08-01 2013-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이드 몰드,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319072B1 (ko) * 2006-12-21 2013-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가이드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304B1 (ko) * 2001-12-1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이를 갖는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KR100965595B1 (ko) * 2003-12-17 2010-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KR100965183B1 (ko) * 2003-12-30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US7434957B2 (en) * 2003-12-30 2008-10-14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JP4306521B2 (ja) * 2004-04-12 2009-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装置
KR101001973B1 (ko) * 2004-04-12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068385B1 (ko) * 2004-09-07 2011-09-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전극판 구조
JP4488864B2 (ja) * 2004-10-28 2010-06-23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60089434A (ko)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TWI255895B (en) * 2005-05-26 2006-06-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and lamp holder thereof
WO2006135065A1 (ja) * 2005-06-16 2006-12-21 Sharp Kabushiki Kaisha 光源ユニット用のシャーシ、このシャーシを備える光源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KR101213886B1 (ko) * 2005-06-22 2012-1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772690B1 (ko) * 2005-07-18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완충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크 드라이브어셈블리
EP2618546A1 (en) * 2005-08-25 2013-07-24 NE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having display unit
JP4896669B2 (ja) 2005-11-02 2012-03-14 三星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及びランプ固定部材の製造方法
KR101432501B1 (ko) * 2005-11-02 2014-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221138B1 (ko) * 2005-12-06 2013-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255545B1 (ko) * 2006-01-24 2013-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지지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 표시 장치
KR101299129B1 (ko) * 2006-03-16 2013-08-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모듈
WO2008004351A1 (fr) * 2006-07-03 2008-01-10 Sharp Kabushiki Kaisha Élément support, dispositif d'éclairage destiné à un dispositif d'affichage, possédant un élément support, et dispositif d'affichage possédant un élément support
WO2008004349A1 (fr) * 2006-07-03 2008-01-10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éclairage destiné à un dispositif d'affichage et dispositif d'affichage équipé d'un tel dispositif
KR100809777B1 (ko) 2006-08-09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20080027007A (ko) * 2006-09-2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080093B2 (ja) * 2007-01-30 2012-11-21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960935B2 (en) * 2007-01-31 2015-02-24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4948195B2 (ja) * 2007-02-08 2012-06-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KR101366531B1 (ko) * 2007-02-20 2014-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형광램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5069922B2 (ja) * 2007-02-22 2012-11-07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334043B (en) * 2007-05-09 2010-12-01 Au Optronics Corp Direct-type backlight module and lamp holder thereof
JP5110968B2 (ja) * 2007-05-25 2012-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CN101809358B (zh) * 2007-10-02 2011-12-28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用照明装置、显示装置、电视接收装置
JP5066424B2 (ja) * 2007-10-15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5172471B2 (ja) * 2008-04-04 2013-03-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US8308320B2 (en) 2009-11-12 2012-11-1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with male/female features for end-to-end coupling
US8764220B2 (en) 2010-04-28 2014-07-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near LED light module
EP2564112A4 (en) 2010-04-27 2014-12-31 Cooper Technologies Co NETWORKABLE LINEAR LED SYSTEM
KR20150076883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7512A (ja) * 1987-11-24 1989-05-30 Toshiba Electric Equip Corp 照明器具
JPH03184204A (ja) * 1989-12-14 1991-08-1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
JPH0447603A (ja) * 1990-06-14 1992-02-17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
WO1996007803A1 (en) * 1994-09-08 1996-03-14 Non-Compact, Inc. System for mounting building panels
JP2000019510A (ja) * 1998-06-30 2000-01-21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235574Y1 (ko) * 1999-06-04 2001-09-25 이성영 형광등 고정구
JP3842529B2 (ja) * 2000-07-14 2006-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3808301B2 (ja) * 2000-10-17 2006-08-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3728723B2 (ja) * 2000-12-20 2005-12-21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3803554B2 (ja) * 2001-02-16 2006-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731304B1 (ko) * 2001-12-1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이를 갖는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US7130004B2 (en) * 2002-03-04 2006-10-31 Nokia Corporation Display arrangement
KR100840718B1 (ko) * 2002-05-31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37704B1 (ko) * 2003-02-12 2010-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51B1 (ko) 2005-06-02 2012-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0772591B1 (ko) * 2006-06-12 2007-11-02 주식회사 디엠케이 백라이트 유닛에서 램프와 전원공급부의 결합 장치
KR101290284B1 (ko) * 2006-08-01 2013-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이드 몰드,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319072B1 (ko) * 2006-12-21 2013-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가이드 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3750A (en) 2005-04-16
CN100440006C (zh) 2008-12-03
US20050063170A1 (en) 2005-03-24
KR100962637B1 (ko) 2010-06-11
JP2005093437A (ja) 2005-04-07
US7172330B2 (en) 2007-02-06
US20070147030A1 (en) 2007-06-28
JP4684606B2 (ja) 2011-05-18
CN1598665A (zh)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63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99713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I443421B (zh) 背光總成及具有該背光總成之液晶顯示裝置
TWI405007B (zh) 背光總成及具有其之液晶顯示器
US781957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0007767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529576B1 (ko) 표시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700232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07299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CN104390173A (zh) 背光单元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KR2007003969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73396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light source device
KR20090060748A (ko)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06008943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12702A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196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1013470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70023249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187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8006785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2213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48772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328662B1 (ko) 인버터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0516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1471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