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897A -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897A
KR20050027897A KR1020030099199A KR20030099199A KR20050027897A KR 20050027897 A KR20050027897 A KR 20050027897A KR 1020030099199 A KR1020030099199 A KR 1020030099199A KR 20030099199 A KR20030099199 A KR 20030099199A KR 20050027897 A KR20050027897 A KR 2005002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server
sender
receiver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3009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7897A/ko
Publication of KR2005002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8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송신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일을 수신할 수신자의 메일 주소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상기 수신 메일 주소를 가지는 수신자의 무선 번호를 상기 사용자 즉, 송신자로부터 제공받거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는다. 다음, 수신 메일 주소로 메일을 전송하고, 이와 아울러, 상기 무선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 송신자 중심의 메일 알림이 이루어짐으로써, 메일 송신자가 자신의 메일 송신 여부를 수신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MAIL NOTIFYING SYSTEM 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의 메일 송수신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따라 전 세계의 다양한 정보들을 인터넷(internet)이라는 거대한 연결망을 통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로는 정보 전송형 서비스, 검색형 서비스, 정보 제공형 서비스 및 대화형 서비스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중에서 전송형 서비스는 전자 메일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메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하고 싶은 내용의 편지나 컴퓨터에 수록된 자료를 다른 사람에게 보낼 수도 있고 받을 수도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오프라인 상의 우편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전자 메일을 사용하기 위하여 통신망에 가입하여 전자 메일 주소를 부여받아, 전자 메일 주소를 가지고 있는 세계의 어느 누구와도 전자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통신망의 전자 메일 주소로 접속하여야만 자신의 주소로 메일이 송부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전자 메일 수신 여부를 바로 알아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PC 등의 단말기를 계속 구동시켜 전자 메일 수신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 메일 주소로 메일이 수신되면, 전자 메일 수신 여부를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PDA 등으로 바로 알려주는 서비스(메일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메일 알림 서비스에 따라 메일 수신 여부를 확인한 사용자가 PC 등을 통하여 메일을 확인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 상에서 바로 자신의 메일 주소로 수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일 알림 서비스는 수신자가 메일을 수신하면 이루어지는 수신자 중심의 서비스이다. 따라서, 메일을 송신한 사용자(송신자)가 급하게 메일을 송신해야 하거나 중요한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에 메일 알림 서비스가 이루어져도 수신자는 상기 메일이 급하게 확인해야 하는 메일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메일 알림 메시지를 받아도 이를 확인하지 않는 등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메일 송신자가 자신의 메일 송신 여부를 수신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일 송신자 중심의 메일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일 송신자 중심의 메일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은 수신자들이 메일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일을 받는 수신자가 송신자의 시스템에서 부여한 메일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송신자가 보낸 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메일 알림 방법은, a)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송신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일을 수신할 수신자의 메일 주소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수신 메일 주소로 메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자의 단말기로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 전송시, 상기 메일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가 지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메일 알림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송수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메일 알림 방법으로, a)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송신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일을 수신할 수신자의 메일 주소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수신자가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메일 주소를 가지지 않는 비등록 수신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수신 번호를 제공받는 단계; c) 상기 수신 메일 주소로 전송된 메일 컨텐츠를 임시로 제공할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메일을 비등록 수신자의 수신 메일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임시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메일 알림 메시지를 상기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비등록 수신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메일 알림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접속 서버;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접속 서버;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들에 대하여 메일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메일 송신 요청시, 상기 사용자가 제공한 수신 메일 주소로 메일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수신 번호를 전달하는 제1 메일 서버;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들에 대하여 메일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2 메일 서버; 및 상기 제1 메일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수신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의 단말기로 상기 메일 주소로 메일이 송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은 수신자가 자신의 메일 주소로 전송된 메일을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무선 단말기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a) 상기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의 규격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규격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자의 메일 주소로 송신된 메일 컨텐츠를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변환 처리된 메일 컨텐츠를 상기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알림 메시지는 상기 메일 전송시 지정된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메일 주소를 부여받은 사용자가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 메일 송신 알림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메일 송신 알림 서비스는 메일 송신자가 메일을 송신하면 수신자에게 메일 송신 여부를 알려주는 것이다. 종래의 메일 알림 서비스는 메일이 수신되면 수신측 시스템에서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의 번호를 찾아서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송신 알림 서비스에서는 메일 송신시 송신측 시스템에서 수신자의 번호를 지정하여 수신자의 단말기로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메일 송신 알림 서비스는 구체적으로, 메일 송신시 송신자가 수신자의 메일 주소와 함께 수신자의 단말기의 번호(예:무선 단말기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서 메일 송신을 요청하면, 해당 메일을 수신자의 메일 주소로 전송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의 단말기로 송신자가 메일을 송신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자는 중요하거나 급한 메일을 송신할 경우 이를 바로바로 수신자에게 알려주어 신속한 메일 통신(메일을 송신하고 이러한 메일을 확인하는 것)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메일 송신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은 수신자가 시스템이 부여한 메일 주소를 가지는 사용자(이하, "등록 수신자"라고 명명함) 또는 시스템이 부여한 메일 주소를 가지지 않는 사용자(이하, "비등록 수신자"라고 명명함)인지에 상관없이, 모든 수신자가 송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일"은 메일 서버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일 이외에도, 메신저 서버를 통하여 송수신된 메일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처와 수신처가 지정되어 송수신되는 모든 컨텐츠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수신 번호는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 전화 번호를 예로 들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단말기의 번호(예를 들어, 메신저 주소, 전자 메일 주소, 유선 전화 번호 등)일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100)은, 네트워크(200, 전화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형태의 모든 네트워크를 포함)를 통하여 다수의 송신자 및 수신자 단말기(310,320)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 즉, 송수신자 단말기(310,32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메일 알림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며, 예를 들어, 유선 전화, 무선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일 송신자 및 메일 수신자들은 PC 통신,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메일 알림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310,320)에 연결되어 있는 메일 알림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접속 서버(10,20), 제1 및 제2 메일 서버(30,40), 알림 서버(5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60)를 포함한다.
제1 접속 서버(10)는 유선 통신망(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 등으로 제1 네트워크라고 명명될 수도 있음)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며, 일명, 웹(Web) 서버라고 명명될 수 있다. 제2 접속 서버(20)는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등으로 제2 네트워크라고 명명될 수도 있음)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며, 일명 왑(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라고 명명될 수 있다.
제1 메일 서버(3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들에 대하여 메일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명 웹 메일 서버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일 서버(30)는 웹을 통한 메일 송신을 수행하는 메일 송신부(31), 메일 수신을 수행하는 메일 수신부(32), 데이터베이스 서버(60)로부터 수신자의 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이하, 무선 번호라고 명명함)를 추출하는 번호 추출부(33), 제2 메일 서버(40)와 통신하여 메일 송신 알림 및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34)를 포함한다.
제2 메일 서버(40)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하여 메일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명 왑 메일 서버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메일 서버(40)는 왑을 통한 메일 송신을 수행하는 메일 송신부(41), 메일 수신을 수행하는 메일 수신부(42), 제1 메일 서버(30)와 연동하여 메일 송신 알림 및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일 연동부(43)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60)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 데이터베이스(61), 제1 및 제2 메일 서버(30,40)를 통하여 송수신된 메일 컨텐츠가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2,63)를 포함한다.
주소 데이터베이스(61)에는 각 전자 메일 주소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의 무선 번호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메일 주소를 부여받은 사용자의 정보(ID 등)가 저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2,63)에는 각 전자 메일 주소에 대응하여 수신된 메일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주소에 대응하여 수신된 메일 컨텐츠, 수신일, 송신자 ID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는 제1 및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2,63)가 분리되어 있지만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도 있다.
알림 서버(50)는 소정 무선 단말기로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일 알림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EMS(Enhanced Messag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일 수 있다. 이외에도, 메일 컨텐츠를 소정의 왑 페이지 상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왑 페이지와 연관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신자가 송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왑 페이지의 URL을 포함하는 URL SMS가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시지가 URL LMS, URL EMS, URL MMS 등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시스템에서, 각 서버(10∼60)들은 그 기능상 분류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각 메일 서버는 구성 요소들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도 각각 독립적인 서버로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61∼63)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들에 따른 메일 알림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송신자의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등록 수신자인 경우 메일 송신 알림 및 확인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및 확인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송신 및 확인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시스템에서 부여한 메일 주소를 가지는 사용자가 유선 단말기 예를 들어 PC 등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등)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메일 알림 시스템(100)으로 접속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면, 이 URL 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변환되고 패킷화된 다음에 인터넷을 통하여 메일 알림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제1 접속 서버(10)가 URL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전송된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 상에 윈도우 상태로 변환 및 표시되어, 단말기의 웹 접속이 이루어진다(S100). 이후, 사용자는 ID, 패스워드를 제공하여 시스템으로 로그인(선택적으로 수행)한 후,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100)
사용자가 메일 송신을 요청하면 제1 접속 서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지 쓰기 페이지를 제공한다(S120). 도 4 내지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일 송신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즉, 송신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지 쓰기 화면에 컨텐츠를 입력하고 "받는 이" 항목에 수신자의 전자 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제1 접속 서버(10)는 해당 메일을 제1 메일 서버(30)로 전달하여 메일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30∼S140). 이에 따라 제1 메일 서버(30)의 메일 송신부(31)는 "받는이"에 입력된 메일 주소로 메일 컨텐츠를 전송하고 그 결과를 제1 접속 서버(10)로 제공한다(S150). 전송된 메일 컨텐츠는 제1 메일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1 접속 서버(10)는 수신 메일 주소에 대한 알림 정보 즉, 수신자의 무선 번호를 요청한다(S160). 제1 메일 서버(30)의 번호 추출부(33)는 수신 메일 주소를 토대로 주소 데이터베이스(61)를 검색하여 수신 메일 주소에 대응되어 있는 수신자의 무선 번호를 추출하여 이를 제1 접속 서버(10)로 전송한다(S170). 한편, 제1 접속 서버(10)는 송신자의 무선 번호도 함께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속 서버(10)는 지정된 메일 주소로 메일이 정상적으로 송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면서, 수신 메일 주소와 제1 메일 서버(30)로부터 전달된 무선 번호를 대응시켜 표시하여, 송신자에게 메일 송신 알림 신청 여부를 문의한다(S180).
메일 전송이 이루어진 후 송신자 단말기(310)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송신자가 입력한 수신 메일 주소와 함께 수신자의 무선 번호가 자동으로 기록된 화면이 표시되며, 이 때, 수신 메일 주소가 시스템에서 부여한 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주소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신 메일 주소만이 표시된다. 또한, 송신자의 무선 번호도 함께 표시되면서 이 메일 송신에 대한 알림을 수신자에게 보낼 것인지를 문의한다.
이후, 송신자가 메일 알림을 신청하면(S190), 제1 메일 서버(30)의 인터페이스부(34)는 해당 메일 컨텐츠를 메일 알림을 위한 정보들(수신자의 무선 번호, 송신자의 무선 번호)을 제2 메일 서버(40)로 전송하면서 메일 알림을 요청한다(S200∼S210). 이 때, 무선 번호가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수신 메일 주소에 대해서는, 송신자가 상기 수신 메일 주소에 대응하여 무선 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하면서 메일 알림을 신청할 수도 있다.
메일 알림이 신청되면, 제2 메일 서버(40)의 메일 연동부(43)는 해당 메일 컨텐츠를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3)에 저장한다(S220). 이것은 이후 수신자가 메일 알림 메시지를 통하여 메일을 확인하는 경우에 해당 메일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3)에 저장되는 메일 컨텐츠는 무선 환경에 맞도록 변환된 컨텐츠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일 컨텐츠의 변환은 제1 접속 서버(10) 또는 제2 메일 서버(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일 컨텐츠는 메일 송신에 따라 제1 메일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이거나, 메일 송신시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되었던 컨텐츠일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신자가 등록 수신자인 경우에는 제1 메일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되어 있던 메일 컨텐츠가 제1 메일 서버(30)에 의하여 무선 환경에 맞도록 변환된 후 제2 메일 서버(40)로 전달되어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3)에 저장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1 또는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2 또는 63)에는 메일의 제목, 내용, 보낸 사람 이름, 받는 사람 무선 번호 등이 저장된다. 또한, 이외에도 받는 사람 이름, 받는 사람 메일 주소, 보내는 사람 무선 번호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일에 파일이 첨부된 경우에는, 첨부파일의 유무, 첨부파일 제목, 파일 등이 더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 제2 메일 서버(40)는 상기 메일의 컨텐츠를 제공할 왑 페이지에 대한 파라미터 즉, URL을 생성한 후, 이 URL와 함께 수신자의 무선 번호, 또는 송신자의 무선 번호를 알림 서버(50)로 제공하면서 메일 송신 알림을 명령한다. 또한, 상기 URL을 제2 접속 서버(20)로 제공하여 상기 URL에 대응하여 상기 메일의 컨텐츠를 제공할 왑 페이지를 생성하도록 요청한다(S230).
알림 서버(50)는 전달된 수신자의 무선 번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로 상기 URL을 포함하는 SMS(메일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수신자의 메일 주소로 메일이 송부되었음을 알린다. 이 메일 알림 메시지에 송신자의 무선 번호나 이름 등을 함께 송부하여 수신자가 메일을 송부한 송신자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240).
또한, 제2 접속 서버(20)는 상기 URL에 대응하여 상기 메일의 컨텐츠를 제공할 왑 페이지를 생성하여 저장한 다음 이후 수신자가 콜백(call back)하여 접속할 때 제공한다(S25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메일 알림 메시지가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송신되면, 제1 접속 서버(10)는 송신자에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일 알림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발송되었음을 알린다.
따라서, 수신자는 자신의 메일 주소로 새로운 메일이 왔음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송신자 또한, 수신자에게 메일알림 메시지를 보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메일을 송신한 다음에 송신자의 메일 알림 신청 여부에 따라 메일 알림 메시지 전송이 수행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메일 전송과 동시에 메일 알림 메시지 전송이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메일 송신 과정에 따라 전송된 메일 알림 메시지에 의하여 자신의 메일 주소로 메일이 송부되었음을 확인한 수신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URL 정보가 왑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파싱(parsing)되어 상기 무선 단말기가 메일 알림 시스템(100)의 제2 접속 서버(20)로 연결된다(S260∼S270). 이에 따라, 제2 접속 서버(20)는 상기 URL에 해당하는 왑 페이지를 제공하여 수신자가 수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80∼S290). 도 8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메일 확인 과정에 따라 수신자의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위의 단계(S250)에서 제2 접속 서버(20)가 제2 메일 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URL에 따라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미리 웹 페이지를 생성하지 않고,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자가 접속하면, 제2 접속 서버(20)가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된 메일 컨텐츠를 토대로 왑 페이지를 생성한 후 이를 수신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제2 접속 서버(20)는 상기 왑 페이지 생성시 제2 메일 서버(40)로 상기 URL에 해당하는 메일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2 메일 서버(40)에 의하여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3)에 저장된 메일 컨텐츠가 제공되면 이를 이용하여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왑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를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한다.
한편, 수신자에게 메일 컨텐츠 제공시, 상기 메일 컨텐츠가 무선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무선 환경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일은 송신자가 웹 상에서 작성하여 전송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 프로토콜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이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 상에서도 수신자가 상기 메일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시스템(100)은 메일 컨텐츠를 무선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변환하고 상기 수신자의 단말기 규격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변경 서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이러한 컨텐츠 처리를 위한 컨텐츠 변경 서버(70) 및 데이터베이스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컨텐츠 처리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60)는 각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에 대한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변경 서버(70)는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의 규격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71), 상기 규격 정보에 따라 메일 컨텐츠를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부(72), 또한, 상기 규격 정보에 따라 메일 컨텐츠 중 불필요한 부분을 필터링하는 필터부(7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토대로, 컨텐츠 변경 서버(70)의 정보 확인부(71)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수신자의 메일 확인 요청에 따라,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64)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의 무선 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규격 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따라 필터부(73)는 메일 컨텐츠 중 무선 환경 즉, 왑 포맷에 적합하지 않은 것들을 필터링하고, 컨텐츠 처리부(72)는 필터링된 메일 컨텐츠를 상기 규격 정보에 맞도록 감색, 축소, 또는 압축하여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 특히, 메일 컨텐츠에 첨부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첨부 파일을 왑 포맷에 맞도록 변환처리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일 컨텐츠에 포함된 첨부 파일이 .txt, .cap 등의 텍스트 파일인 경우에는 해당 파일에 포함된 컨텐츠를 그대로 왑 상에서 제공한다. 또한, 첨부 파일이 .jpg, .gif, .bmp 등의 이미지 파일인 경우에는 포함된 이미지를 왑 포맷에 맞도록 wBMP, SIS 등으로 변환하고, 데시메이션(decimation)하여 제공한다. 또한, 첨부한 파일이 .wav, .mp3 등의 소리 파일인 경우에는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의 소리 지원 여부에 따라 파일 포맷을 변환 및 수정하여 제공한다. 또한, .html와 같은 마크업 랭귀지(Markup Language)는 태그(tag)를 떼고 텍스트(Pure Text) 부분만을 취해서 제공한다. 향후 단말기와 단말기에 탑재된 브라우저 사양이 고성능화 될수록 마크업 랭귀지의 이해도에 따라 태그를 떼는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일 컨텐츠 변환처리에 따라 수신자는 무선 단말기 상에서도 용이하게 자신의 메일 주소로 전송된 메일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컨텐츠 처리 과정에서는 단말기의 규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다음에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 변환 처리를 수행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접속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토대로 규격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 접속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로부터 단말기의 규격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메일 컨텐츠를 처리하여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단말기의 코드번호에 대응하여 규격 정보를 저장한 다음에, 접속하는 단말기에서 단말기 코드번호만을 획득하고, 이 코드 번호를 이용하여 규격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상세한 규격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변경 서버(70)는 제1 메일 서버(30)나 제2 메일 서버(40)에 포함되어,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컨텐츠 처리시에 컨텐츠 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160∼170)에서 메일 알림을 신청할 수신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무선 번호들을 시스템이 자동으로 제공하지 않고 송신자가 입력하면서 메일 알림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속 서버(10)는 송신자의 요청에 따라 수동으로 입력한 무선 번호를 주소 데이터베이스(61)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송신자가 "주소록에 추가하기"를 클릭하면 메일 알림을 수행한 무선 번호를 이에 해당하는 메일 주소와 함께 주소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한다. 그러므로, 송신자가 주로 메일을 송신하는 수신 메일 주소에 대한 무선 번호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무선 번호들은 이후 송신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검색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수신 메일 주소와 이에 대응하는 무선 번호는 사용자별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별로 주소록 리스트가 부여되고, 각 리스트에는 사용자가 메일을 송신한 수신자들의 메일 주소, 무선 번호 등이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사용자(송신자)가 메일 알림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리스트를 먼저 검색하여 수신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무선 번호를 찾고, 사용자의 주소록 리스트에 없는 경우에 다른 사용자의 주소록 리스트를 검색하여, 무선 번호 검색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제1 실시 예에서는 URL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신한 수신자가 상기 메시지를 콜백하여 메일을 확인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메일 알림 메시지가 URL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메일 알림 텍스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자는 일반적인 왑 메일 확인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메일 주소로 송신된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는 송신자의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비등록 수신자인 경우 메일 송신 알림 및 확인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다.
도 9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및 확인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송신 및 확인 과정은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단지 제1 메일 서버(30)가 해당 메일 주소로 메일을 전송한 후 상기 메일을 제1 메일 데이터베이스(62)에 저장하지 않고 제2 메일 서버(40)로 전송한다. 즉, 비등록 수신자인 경우에는 메일 계정이 부여되지 않으므로, 수신자의 메일 주소를 등록한 외부 메일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메일을 확인하지 않는 한 웹 상에서의 메일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제2 메일 서버(40)로 전달된 메일 컨텐츠는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3)에 임시 저장된다. 이 때,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40)는 도 9에서와 같이 임시 메일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하게 되며, 메일의 제목, 내용, 보낸 사람 이름, 받는 사람 무선 번호 등이 저장된다. 또한, 메일에 파일이 첨부된 경우에는, 첨부파일의 유무 또는 첨부파일 제목 또는 파일 등이 더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2 메일 서버(40)는 URL 생성 후 상기 저장된 메일 컨텐츠를 무선 환경에 맞도록 변환한 후 이를 제2 접속 서버(20)로 제공하여 이후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 왑 페이지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왑 페이지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메시지를 이용하여 콜백한 비등록 수신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비등록 수신자로의 메일 알림 경우에도, 제1 메일 서버(30)가 메일 컨텐츠를 무선 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제2 메일 서버(40)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메일 데이터베이스(63)에 저장되는 메일 컨텐츠는 무선 환경에 맞도록 변환된 컨텐츠이다.
또한, 비등록 수신자가 메일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왑 페이지를 삭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비등록 수신자의 무선 번호를 이용하여 임시 메일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이 임시 메일 주소는 이후 비등록 수신자가 시스템에 정식으로 가입하면 정식 메일 주소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제2 실시 예에서는 수신자가 비등록 수신자인 경우에도 본 시스템 즉, 메일을 송신한 시스템에서 상기 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수신자가 비등록 수신자인 경우에는 단지 메일 알림 메시지만을 수신하도록 하고, 메일 확인은 수신자에게 메일 주소를 부여한 다른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제2 실시 예는 비등록 수신자에게 메일 알림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과정을 등록 수신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0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및 확인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에 기술된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동일하게, 송신자의 메일 알림 요청에 따라 수신자(이 경우, 비등록 수신자)의 수신 메일 주소에 대응된 무선 번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거나 송신자로부터 제공받은 다음에,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해당 메일을 수신 메일 주소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번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로 송신자가 메일을 송신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메일 알림 메시지는 URL을 포함하지 않고 메일 송부 사실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도 10에서는 웹서버(제1 접속 서버)가 메시지 송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알림 서버를 통하여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시스템에서 부여한 메일 주소를 가지지 않는 비등록 수신자는 메일 송신이 이루어졌음을 인지한 후, 자신의 메일 주소를 등록한 다른 시스템의 외부 메일 서버를 통하여 송신된 메일을 확인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 송신자 중심의 메일 알림이 이루어짐으로써, 메일 송신자가 자신의 메일 송신 여부를 수신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메일 송신자가 급히 보내야 하거나 중요한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에 메일 송신 여부를 수신자가 바로 알기 때문에, 메일 송신자와 메일 수신자간에 신속한 메일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메일을 받는 수신자가 시스템에서 부여한 메일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송신자가 보낸 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의 메일 주소에 대응하여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의 무선 번호가 자동으로 검색되어 저장됨으로써, 사용자는 일일이 무선 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메일 송신자 중심의 메일 알림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의 환경에 맞게 메일 컨텐츠를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신자의 단말기에 최적화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및 확인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송신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송신에 따라 송신자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컨텐츠 변환 처리를 위한 구성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자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및 확인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메일 알림 수행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간의 연동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1)

  1. a)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메일 송신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일을 수신할 수신자의 메일 주소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수신 메일 주소로 메일을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신자의 단말기로 메일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포함하고,
    상기 메일 전송 단계는 메일 전송시 상기 메일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단말기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30099199A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27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199A KR20050027897A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199A KR20050027897A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990A Division KR100462156B1 (ko) 2003-09-16 2003-09-16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897A true KR20050027897A (ko) 2005-03-21

Family

ID=3738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199A KR20050027897A (ko) 2003-12-29 2003-12-29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78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866A1 (ko) * 2010-03-26 2011-09-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통한 심사요청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866A1 (ko) * 2010-03-26 2011-09-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를 통한 심사요청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6748B1 (en) Device independent message distribution platform
US6938076B2 (en) System, computer product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private communication portal from a wireless device
KR100612709B1 (ko) 단문 서비스 게이트웨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410793B (zh) 用于处理消息收发服务消息适配的装置和方法
Rao et al. iMobile: a proxy-based platform for mobile services
US6421707B1 (en) Wireless multi-media messaging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EP20346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management
KR100627500B1 (ko) 모바일폰의 단문 메시지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WO2002003216A1 (en) Global communication method system
US2006020986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n mms-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01370159B (zh) 一种识别业务的方法、装置和系统
KR100779012B1 (ko) 타 메신저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2003158552A (ja)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EP1768333A1 (en) Message transfer system and message transfer method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JPH11298520A (ja) 電子メール転送装置、電子メール転送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メールサーバシステム
KR100462156B1 (ko)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0036A (ko) 이메일을 sms 메시지와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방법
KR20050027897A (ko) 네트워크를 통한 메일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15539A (ja) Wwwブラウザ対応の電子メール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55915B2 (ja) メール送信処理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CN101291467A (zh) 一种多媒体消息中心设备、多媒体消息的转发方法及装置
KR100713957B1 (ko) 멀티미디어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문자메시지 확인방법
JP2001216220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処理方法
JP5011208B2 (ja) メール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