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095A - 프로드러그, 그 의약으로서의 사용 및 그 제법 - Google Patents

프로드러그, 그 의약으로서의 사용 및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095A
KR20050027095A KR1020047020745A KR20047020745A KR20050027095A KR 20050027095 A KR20050027095 A KR 20050027095A KR 1020047020745 A KR1020047020745 A KR 1020047020745A KR 20047020745 A KR20047020745 A KR 20047020745A KR 20050027095 A KR20050027095 A KR 2005002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ompound
enzyme
substituent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시타신야
다케오지로
오키타다카아키
Original Assignee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03Monocyclic carbocyclic rings other than cyclohexane rings; Bicyclic carb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18A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cyclic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하는 부위 사이에서 그 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를 이용하는, 그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되는 치환기를 갖고, 또한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프로드러그. 약물의 표적 부위로는 예컨대 호흡기관을, 부작용 발현 부위로는 예컨대 심장을 각각 들 수 있다. 약물의 예로는 기관지 확장제를, 효소의 예로는 글리코시다제 (예를 들면 β-글루쿠로니다제) 를 각각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는 예컨대 단당 또는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지는 글리코실기이다. 상기 효소를 이용함으로써, 효과를 발생하는 표적 부위와 부작용을 발현하는 부위가 다른 타입의 약물의 부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프로드러그, 그 의약으로서의 사용 및 그 제법{PRODRUG, MEDICINAL UTILIZATION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되는 부위 간에서 그 효소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약물의 부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프로드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당 치환기를 부여한 프로드러그는 많이 연구되어 왔다. 그 주된 목적은, 난용성 친화합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 또는 글루쿠론산 포합체의 유추로부터 무독화를 목표로 한 것이다. 특히, 후자는 생체의 대사기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암 세포나 염증 세포에서 β-글루쿠로니다제나 β-글루코시다제와 같은 당 개열(開裂) 효소의 활성이 향상하고 있다는 보고를 기초로, 환부에서만 친화합물을 발현시켜 효과를 발현하면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경감시킨다는 사고에 기초하여 설계된 프로드러그이다. 이하에 그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종양 조직에 있어서 β-글루쿠로니다제를 비롯하여 몇 개의 글리코시다제의 활성이 항진되고 있는 연구 보고가 발표되었다 (Fishman, Science 105, 646-647, 1947, Fishman and Anlyan, Cancer Res. 7, 808-814, 1947, Bollet 등, J. Clin. Invest. 38, 451, 1959). 다른 질환에 대해서는, 천식 환자로 폐포 매크로파지 및 마스트 세포로부터의 β-글루쿠로니다제 방출에 의한 폐포 세정액 (BALF)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이 항진하는 경향이 보고되어 있고 (Tonnel 등, Lancet 8339, 1406-1408, 1983, Murray 등, N. Engl. J. Med. 315, 800-804, 1986), 또한 β-글루쿠로니다제와 N-아세틸-D-글루코사미다제 활성이 류머티즘 환자의 활액(滑液) 중에서 항진되고 있는 것 (Stephens 등, J. Rheumatol. 2, 393-400, 1975), AIDS 환자 혈청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이 정상인과 비교하여 높은 것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Saha 등, Clin. Chim. Acta. 199, 311-316, 1991), 각종 질환시에도 글리코시다제의 활성이 항진 또는 세포 밖으로 방출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효소인 β-글루쿠로니다제는 β-글루쿠로니드를 가수분해하여 D-글루쿠론산을 유리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며, 간장, 폐, 비장, 신장 등의 광범위한 장기 또는 매크로파지, 호산구 등의 염증세포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Hayashi, J. Histochem. Cytochem. 15, 83-92, 1967, Conchie 등, Biochem. J. 71, 318-325, 1959).
암의 화학치료에서는, 종양 이외의 정상조직 또는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의 경감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양 조직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항암제의 개발이 수많이 이루어졌지만, 모두 기대될 정도의 부작용 경감은 보이지 않았다.
De Duve 는 종양 조직에서의 글리코시다제를 포함하는 리소좀 중의 가수분해 효소에 주목하여, 이들 가수분해효소와 그 효소로 가수분해되어 활성화되는 항암제의 프로드러그에 의한 화학요법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Biological approaches to cancer chemotheraph, 101-112 ; Academic press, Inc., 1961). Connors 와 Whisson 은 마우스를 사용한 실험에서 항암제 아닐린 머스타드의 항암작용과 종양 세포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Nature 210 866-867, 1966). Sweeney 등도 항암제 미코페놀산의 작용기전은 미코페놀산이 장기에서 글루쿠론산 포합화되고, 종양 조직에서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가수분해됨으로써 활성체인 미코페놀산이 되어 항암 작용을 발휘하고 있다고 하는 설을 발표하였다 (Cancer Res. 31, 477-478, 1971). Young 등은, 미코페놀산의 경우와 같이 항암제 아닐린 머스타드가 체내로 글루쿠론산 포합화되고, 종양 조직에서 가수분해됨으로써 항암 작용을 발휘한다는 가설 하에서 암환자에게 임상시험하였지만, 항암 작용과 종양 조직의 산소 활성 사이에 충분한 상관은 인정되지 않았다 (Cancer 38, 1887-1895, 1976). Baba 등은, 마우스 유방암 모델을 사용하여 항암제 5 -플루오로우라실의 글루쿠론산 유도체를 정맥내 투여하여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Gann 69, 283-284, 1978).
그러나, 대개 이들 항암제의 당유도체 프로드러그는 표적 부위에서의 가수분해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다음에, 종양 특이적 항체와 각종 효소를 결합시킨 것을 미리 투여해 두고, 그 효소로 개열되어 활성체로 변환되는 프로드러그를 사용하는 어프로치가 이루어졌다. 이것은, ADEPT (Antibody-directed enzyme prodrug therapy) 라 불리며 수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졌지만, 외인성 항체-효소 복합체가 면역 항원성을 갖는 것이나 프로드러그가 생체 내에서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어, 성공에는 이르지 않았다.
그래서 Bosslet 등 (Br. J. Cancer 65, 234-238, 1992) 은, 암 세포에서 투여한 항암제-당유도체라는 구조의 프로드러그가 효율적으로 가수분해되기 위해서는, 항암제에 직접 당을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스페이서를 개재시킨 화합물을 합성하는 것과 효소를 결합시킨 면역 항원성이 낮은 융합단백질을 발명하여 상기 문제를 개선하려고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글리코시드-스페이서 유도체 단독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는 유도체를 발견하여, 항암제 이외에도 항염증제, 면역억제제, Ca 길항제, 교감신경 작동제 등에 응용할 수 있는 프로드러그로서 글리코시드-스페이서-드러그라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US(미국특허) 5621002 (family patent(대응특허) : EP(유럽특허출원공개) 642799,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49667호), US 5935995 (family patent : EP 79533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495호), US 5955100 (family patent : EP 59513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36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3665호에는, 「화합물은 건강한 개인에게는 원칙적으로 세포의 내측에 존재하지만, 상기 서술한 병태생리학적 조건 하에서는 국소적인 세포 밖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활성화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드러그는 특히 활성화 상태에서 매크로파지, 과립구 및 혈소판이 존재하는 모든 비-종양학적 질환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활성화된 상태로, 상기 서술한 세포는 주로 본 발명에 의한 프로드러그의 부위-특이적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세포내 효소를 분비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 항종양제를 활성약제로 한 경우의 본 인용예의 물질이 종양 모델뿐만 아니라 몇 종의 염증 모델에서도 인정된 것을 근거로, 종양에서와 마찬가지로 염증세포가 관여하는 질환 모두에서 상정할 수 있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 예시하는 부분은, 「세포증식 억제제, 대사길항제, DNA 에 개재하는 물질, 토포이소메라제 Ⅰ+Ⅱ 를 저해하는 것, 알킬화제, 리보솜 불활성화제, 티로신포스포키나제 저해제, 분화 유도제, 호르몬, 호르몬안타고니스트, 세포증식 억제제에 대한 다면 발현 저항성을 변화시키는 물질, 칼모듈린 저해제, 프로테인키나제 C 저해제, p-글리코프로테인 저해제, 헥소키나제 조절제, p-글루타밀시스테인신세타제 또는 글루타티온 S-트랜스페라제 저해제,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제 저해제, 증식-관련 단백질 저해제, 면역억제작용을 갖는 물질, 면역억제제, 항염증 작용을 갖는 물질,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물질, 항류머티즘성 약제, 스테로이드, 항염증 작용, 진통 작용, 해열 작용을 갖는 물질, 유기산 유도체, 진통제, 국소마취약, 항부정맥제, Ca 안타고니스트, 항히스타민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저해제, 부교감 신경 작동제, 교감 신경 작동제, 인간 우로키나아제 저해작용을 갖는 물질」에 이르고 있다.
즉, 본 인용예의 프로드러그가 염증세포가 관여하는 모든 약품에서 기능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시사되어 있지만, 실제로 어느 쪽 약제가 기능하고 어느 쪽 약제는 기능하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지표도 시사도 없다.
실시예에는, 항암제인 독소루비신, 나이토로디엔 머스타드, 키닌의 당유도체를 사용한 항종양 작용과 독소루비신 당유도체의 항염증 작용 및 급성 독성의 측정이 기재될 뿐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수많은 치료약을 들고 있지만, 항암제 이외의 약품에 관한 구체적인 약효 약리를 나타내는 실시예는 기재되어 있지 않아, 실제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의 당유도체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Sugai 등 (WO95/09177) 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그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것과 표적 기관 이외에서의 효소적인 가수분해에 의해 활성체로 변환함으로 인한 부작용의 발현이라는 문제로 개발이 곤란한 상황에 있다. 독소루비신조차도 오랫동안 연구되고는 있지만, 유럽에서 아직 임상 단계 이전으로서 임상적인 완성에 이르지는 않았다.
이 밖에, 암 이외로의 응용으로는, 앞서 언급한 스테로이드의 글리코시드를 사용한 프로드러그의 연구가 일찍부터 부작용의 경감을 위해 연구 개발되어 왔다. Merck 사 그룹이 1962, 1964, 1966년에 스테로이드의 글리코시드 유도체가 스테로이드의 부신 위축, 체중 감소, 골다공증, 백혈구수 감소 등의 부작용을 경감시킨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CB1015396, GB1059548, US3185682, Hirschmann 등, J. Am. Chem. Soc. 86, 3903-3904, 1964). 그러나, 스테로이드의 글리코시드 프로드러그는 안정성이 매우 나빠, 표적 조직 이외에서 글리코시드 결합이 개열되어 부작용이 발현한다는 문제점이 판명되어, Sugai 등 (WO95/09177) 은 당의 수산기를 보호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켜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을 시도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임상상의 성공에는 이르지 않았다. 스테로이드는 대단히 미량으로 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생체 내의 폭넓은 조직에서의 다채로운 생리작용을 갖기 때문에, 글리코시드 프로드러그화하더라도 부작용의 경감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약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Friend 등은 장 내 세균이 보유하는 글리코시다제에 주목하여,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약으로서 부작용이 문제가 되는 스테로이드의 당유도체라는 구조의 프로드러그를 연구하고 있다 (EP 123485, (family patent : 일본 특허공표공보 소60-501105호, J. Med. Chem. 27, 261-266, 1984, J. Med. Chem. 28, 51-57, 1985, Pharmaceutical Res. 10, 1553-1562, 1993).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 대해서도 현재까지 임상적인 성공은 나타나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β-글루쿠로니다제를 비롯한 생체 내의 효소를 이용한 약품 - 당유도체라는 프로드러그의 개발은 예전부터 시도되고 있지만, 임상 상의 성과로는 이어지지 않은 것이 현 상황이다.
환자수가 많은 호흡기관 질환의 하나인 천식의 치료법으로서, 현재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장시간 작용형 β2 작용약과 흡입 스테로이드의 병용 치료를 추천하고 있다.
기관지 확장제인 β2 작용약 개발의 역사는, 당초 발견된 β1 및 β2 양쪽 수용체에 작용하는 β작용약으로부터 살부타몰을 대표로 하는 단시간 작용형의 제 2 세대의 β2 선택적 작용약으로 진화하고, 살루메테롤을 대표로 하는 제 3 세대의 장시간 작용형 β2 작용약으로 발전하고 있다. 단시간 작용형 β2 작용약은 천식 증악시(增惡詩)의 치료나 운동유발성 기관지 위축의 예방에 사용되어야 하는 약품이지만, 천식 환자에 대하여 원인이 분명히 특정되지 않은 돌연사를 포함한, 혈중 칼륨농도 저하, 혈압, 심박, QT 연장 등 골격근 진전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낸다. 이들 부작용은, 특히 과다한 사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Burgraff 등, Thorax 56, 567-569, 2001, Bennett 등, Thorax 49, 771-774, 1994, Rave, Respir. Med. 95, 21-25, 2001).
도 1 은, 모르모트폐의 세기관지 상피에 강하게 β-글루쿠로니다제가 국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 (배율 100 배) 이다.
도 2 는, 모르모트에서의 각 장기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모르모트 심장에서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이 인정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 (배율 50 배) 이다.
도 4 는, 모르모트에서의 항원유발형 기도수축반응에 대한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의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모르모트에서의 항원유발형 기도수축반응에 대한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의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의 혈압 및 심박수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의 혈압 및 심박수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나타나는, 암조직이나 염증조직에 있어서 항진한 효소활성을 이용하는 것, 또는 장내세균이 갖는 효소활성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표적 부위와 부작용 발현부위 사이의 효소활성의 차이를 이용한 프로드러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약물은 표적 부위와 부작용 발현부위가 다른 약물이어야 한다. 특히 부작용 발현부위가 특정되고, 한정되어 있는 약물이 바람직하다. 그 표적 부위와 부작용 발현부위로 이루어지는 수용체가 존재하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는 각종 수용체 작용약, 차단약 등은 본 발명의 대상약물이 된다. 또한, 효소로 절단되는 치환기를 결합시킬 필요성에서, 그것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약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β-글루쿠로니다제로 절단되는 당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물질로서의 안정성, 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절단되기 쉬운 점에서,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고, 페놀성의 수산기를 갖는 약물이 가장 적합하다. β2 작용약은 수산기, 특히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구조인 것이 많고, 본 발명의 약물으로서 적합하다.
약물의 표적 부위란 약물이 약효를 발휘하는 세포, 조직, 장기, 기관 등을 의미한다. 또한, 부작용이 발현되는 부위란 약물의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가 발휘되는 세포, 조직, 장기, 기관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호흡기관이란 기도 및 폐를 의미한다.
표적 부위가 호흡기관인 경우, 본 발명의 약물은 기관지 천식, 소아 천식, 만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 폐렴, 폐기종, 폐결핵 등의 질환에 대한 치료제이다.
부작용 발현부위가 심장인 경우, 본 발명의 약물은 β2 작용약과 같이 심장 이외의 기관을 표적기관으로 하고 심장에서 부작용을 발현하는 약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제란 흡입 등에 의해, 기관지 평활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약제이다. 기관지에 있어서는 세기관지의 상피세포 등에 β-글루쿠로니다제가 국재하고 있고, 거기서 약물이 유리되면 평활근은 상피세포의 바로 밑에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β2 작용약으로서는 살부타몰, 살루메테롤, 마부테롤, 크렌부테롤,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페노테롤, 툴로부테롤, 포르모테롤, 헥소프레날린, 테르부탈린, 트리메토퀴놀, 클로르부레날린, 오르시프레날린, 메톡시페나민, 메틸에페돌린, 에페돌린, 이소프레날린 등이 대표적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이들 유도체에 한정되지 않고, β2 작용을 갖는 약물이면 된다.
본 발명의 효소로서는 β-글루쿠로니다제, 글루코시다제, 갈락토시다제, N-아세틸-D-글루코사미니다제, N-아세틸-D-갈락토사미니다제, 만노시다제, 푸코시다제 등의 글리코시다제나 알릴술파다제가 예시된다. 호흡기관용제의 경우, 특히 β-글루쿠로니다제가 바람직하다.
효소가 상기 서술한 글리코시다제인 경우, 본 발명에서의 단당이란, D-글루쿠론산, D-글루코스, D-갈락토스, N-아세틸-D-글루코사민, N-아세틸-D-갈락토사민, D-만노스, L-푸코스 등에서 선택되는 당이 예시되고, 올리고당이란 상기 단당 2∼5 개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서로 α- 또는 β-O-글리코시드 결합으로 결합하고 있는 것이 예시된다. 통상, 단당과 약물의 결합은 α- 또는 β-글리코시드 결합이다. 효소가 β-글루쿠로니다제인 경우에는 β-글루쿠로닐 결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환기란 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당잔기, 황산기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효소가 글리코시다제인 경우, 효소로 절단되는 당잔기로서는 글루쿠로닐, 글루코피라노실, 갈락토피라노실, 아세틸-글루코사민, 아세틸-갈락토피라노실, 아세틸-피라노실, 만노피라노실, 푸코피라노실 등이 예시된다.
약물과 치환기를 직접, 결합시키지 않고, J. Med. Chem. 2000, 43, 475 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β-글루쿠로니드를 트리거(trigger)로 하여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결합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란 약물과 치환기 사이에 개재시키는 구조를 말한다. 표적기관에 있어서 화학적으로 또는 효소적으로 절단되어 친화합물이 신속하게 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선택적으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순하게 가수분해 등으로 절단되는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효소활성이 높은 표적기관이 선택되기 때문에,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적조직으로 충분하게 약물이 유리된다. 따라서, 반드시 스페이서를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선택하는 약물, 기관, 효소에 따라서는 스페이서를 사용하면 유리한 경우가 있다.
스페이서를 개재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효소로 절단할 수 있게 되거나, 입체장애 등으로 인해 반응성이 낮은 치환기인 경우,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다만, 스페이서 및 그 대사물의 독성 등의 약리적 성질을 분명하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스페이서로서는 에스테르나 카르바모일과 같이 화학적으로는 안정적이지만, 최종적으로는 표적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친화합물이 신속하게 발현되는 것이 오래전부터 범용되고 있다 (H. Bundgaard Ed., Design of Prodrugs, p.262-269, 1985, Elsevier). 약물에 따라서는 (US 5621002 (family patent: EP 642799,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49667), US 5935995 (family patent: EP 79533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495), US5955100 (family patent: EP 59513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3665)) 등에 개시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당 또는 스페이서의 결합위치로서는 주로 β작용약의 예로 말하자면, 페놀기, 이미노기 또는 아미노기가 생각된다. 이들 치환기를 단서로 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당부분 또는 황산기를 결합시켜 프로드러그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3-O-(β-D-글루쿠론산)-살부타몰, 4-O-(β-D-글루쿠론산)-이소프레날린, 이소프레날린-4-O-설페이트 등이 예시된다. 앞의 두 화합물의 제법은 실시예에 나타냈다. 후자는 이소프레날린과 3산화황ㆍ트리메틸아민 착물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프로드러그는 국소투여에 의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적 부위, 부작용 발현부위 이외의 부위의 효소활성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낮아져, 보다 효과적인 프로드러그가 된다. 호흡기관용제의 경우는 흡입용 의약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드러그를 흡입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흡입제용 첨가제로서는 일반적으로 흡입용 의약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이면 어느 것이나 되고, 예를 들어 분사제, 고형 부형제, 액상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교미제, 보존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분산제, 용제, 등장화제, pH 조정제, 가용화제 등이 사용된다. 분사제로서는 액화가스 분사제, 압축가스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에는 활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프로드러그 이외의 의약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에 있어서, 프로드러그의 함유량은 약물, 대상질환, 대상환자의 연령이나 성별, 질환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 의약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약 0.01∼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20 중량% 정도이다. 흡입제용 첨가제 등의 각종 첨가제의 함유량은 대상질환, 대상환자의 연령이나 성별, 질환의 증상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통상 의약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약 0.1∼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99 중량% 정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70∼99 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을 흡입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분말 흡입제, 흡입용 현탁제, 흡입용 용액 또는 캡슐상 흡입제로 하여, 필요시 적당한 흡입기를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고, 특히 분말 흡입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에어졸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적용시에 사용하는 기구로서는 시판의 흡입기를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벤토린 로타캡스 (VENTOLIN ROTACAPS; 글락소사), 스핀헤라 (등록상표, 후지사와 약품공업 (주)), 인탈 스핀캡스 (INTAL SPINCAPS; 피손즈사), 아트로벤트 앤드 베로텍 인할레텐 (ATROVENT AND BEROTEC INHALETTEN; 베링거 인겔하임사), 포라딜 (FORADIL; 치바사), 벤토디스크 (BENTODISKS; 글락소사), 파브라이저 (등록상표, 테이진 (주)), 브리카닐 터부할러 (BRICANYL TURBUHALER; 아스트라사), 미아트 인서프레이터 (MIAT INSUFFLATOR)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프로드러그는 치환기로서 당 등, 통상 체내에서 안전하게 대사되는 것을 결합시켰을 뿐이기 때문에, 그 독성은 약물 자체의 독성 이상이 될 가능성은 낮다. 국소적인 투여에 적합하므로, 최소 유효량만 투여하면 되고, 전신적 다량 투여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도 용이하게 안전히 복용할 수 있다. 특히, 흡입제나 에어졸제로 하였을 때는 각별한 국소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등을 한 경우라도 프로드러그로 하지 않고 약물 그대로를 투여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천식발작의 긴급시에는 β2 작용약을 정맥내 투여할 필요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라도 심장에서는 글루쿠로니다제의 활성이 낮기 때문에, 심장에 있어서의 β2 작용약의 부작용은 약물 그대로를 투여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저감된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의 투여량은 약물, 대상질환, 연령, 체중, 증상, 투여경로, 투여회수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예를 들어, β2 작용약의 경우, 프로드러그로 하기 전의 활성약물의 투여량과 거의 동등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프로드러그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유기화학적 글리코실화 및 효소적 글리코실화가 있다. 예를 들어, 수산기를 보호한 당유도체를 Koenigs-Knorr 반응에 의해 대표되는 글리코시드 반응 (Advances in Carbohydrate Chem. and Biochem. 57, 207, 2001, Academic Press) 에 의해서 원하는 글리코시드 결합을 형성시킨 후, 탈보호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프로드러그가 얻어진다.
효소법에서도 (KISO TO RINSHOU, 30, 2403, 1996) 당전이효소와 UDP-당유도체의 조합에 의해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β2 작용약의 심박수 증가나 혈압 변동과 같은 부작용을 더욱 저감시킨 약물의 개발은 임상상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단시간 작용형 β2 작용약은 경구투여보다도 흡입약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국소적 투여경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부작용이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은, β2 작용약과 같이, 효과가 발생되는 표적 부위와 부작용을 발현하는 부위가 상이한 타입의 약물의 부작용을 저감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종래기술의 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은 모두 암 또는 염증조직 등에 있어서 항진된 효소활성을 이용하여 활성체로 변환시키는 프로드러그이다. 한편, 본 발명은, 조직 또는 장기에 있는 효소활성에 있어서, 정상상태에서도 장기 사이에 존재하는 활성 차이를 이용하는 프로드러그이다.
본 발명자들은, 11-에틸-7,9-디히드록시-10,11-디히드로디벤조[b,f]티에핀의 글루쿠론산 포합에 관하여 연구해 왔다. 이 화합물은, 경구투여후, 간장에서 빠르게 글루쿠론산 포합되어, 혈중에서는 99% 이상 글루쿠론산 포합체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약리상의 타겟조직인 폐에서는 약리활성을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이 화합물의 글루쿠론산 포합체는 폐에서 탈포합되는 것으로 판명되어,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탈포합된 친화합물이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세한 내용은 실시예 후에 참고예 1 로서 기재하였다).
단,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의 국재(局在)에 관한 각 장기 또는 세포 수준에서의 상세한 연구 보고는 없었다. 그래서, 기관지에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의 국재를 확인한 결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細)기관지의 상피세포에 국재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도 1 의 검게 물들어 보이는 것이 β-글루쿠로니다제이다). (상세한 시험법은 실시예 후에 참고예 2 로서 기재하였다.) 이와 같이 특정한 부위에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의 국재를 발견한 것이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룬다.
그리고, β-글루쿠로니다제가, 생체 중의 어떠한 장기에 많이 포함되는가에 관해서 조사하였다. 특히, β2 작용약의 심장, 혈압에 대한 부작용의 경감을 고려한 경우, 각종 장기 중에서 폐와 심장에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을 조사하는 것이 β2 작용약의 글루쿠로니드 프로드러그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어, 모르모트의 각 장기에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에, 실제의 천식상태를 상정하고, 천식의 동물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천식상태일 때에 있어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도 비교하였다. 즉, 항원에 의해 감작한 모르모트와 비감작 모르모트, 그리고 항원 감작 모르모트를 항원자극에 의해 발작을 야기시켰을 때의 각 장기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상세한 시험법은 실시예 후에 참고예 3 으로서 기재하였다.)
도 2 의 폐의 결과로부터 분명하듯이 염증상태에 의해 항진되는 효소활성은 극히 미소하며, 정상시부터 존재하고 있는 효소활성이 조직마다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β2 작용약의 부작용 발현부위인 심장에서는 효소활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심장에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의 국재 유무를 확인한 결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혀 β-글루쿠로니다제의 활성을 나타내는 양성 이미지가 인정되지 않았다 (도 3 의 화살표로 나타낸 검은 부분은, 헤마토실린에 의한 세포의 핵염색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세한 시험법은 실시예 후에 참고예 4 로서 기재하였다.)
배양 상피세포에서는, 구성적 (constitutive) 으로 β-글루쿠로니다제를 배지 중에 방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Scaggiante 등, Exp. Cell Res. 195, 194-198, 1991). 마찬가지로 배양 인간 폐 매크로파지도 구성적으로 β-글루쿠로니다제를 배지 중에 방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Triggiani 등, The J. Immunol. 164, 4908-4915, 2000). 따라서, β-글루쿠로니다제가 세포 외에서 그 활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염증이나 세포손상에 의한 방출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조직의 국소에 있어서 어느 정도 고농도로 β-글루쿠로니다제가 존재하는가에 달린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포조직학적으로 고찰하면, 폐의 세기관지 상피세포 주변의 β-글루쿠로니다제는, 놀라운 국소 활성을 갖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지견을 바탕으로 β2 작용약을 미리 글루쿠론산 포합한 화합물을 합성하고 본 글루쿠론산 포합체를 흡입시킴으로써, 폐의 세기관지부분에 많이 존재하는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탈포합시키고, 국소에서의 기관지 확장작용을 발휘시켜, 일부가 심장에 도달했다고 해도 β-글루쿠로니다제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심장에서는 β2 작용약 특유의 부작용이 거의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실제로 β2 작용약의 글루쿠로니드를 합성하여, 자주 사용되는 항원유발형 모르모트 천식 모델에게 흡입투여한 결과 훌륭히 기도수축 억제작용을 나타내고, 계속해서 래트를 사용하여 심박수, 혈압에 대한 부작용을 조사한 결과 전혀 영향이 없다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식 (1)
R-약물 (1)
(식 중, R 은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하는 부위 사이에서 그 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약물은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 (2)
R'-약물 (2)
(식 중, R' 는 호흡기관에서 활성이 높고, 심장에서 활성이 낮은 효소인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절단되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약물은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호흡기관용 약물을 의미한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식 (1) 또는 식 (2) 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제약적으로 적당하면서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부형제, 첨가제, 및/또는 다른 활성화합물 및 보조제와 함께 함유하는 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하는 부위 사이에서의 효소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를 이용하는 프로드러그로서 표적 부위에만 효과를 발현하는 의약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식 (1) 또는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어느 하나의 용제 중, 염기의 공존 하에 수산기를 갖는 β2 작용약 및 당할로겐화물 유도체를 반응시키고, 이것을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해 탈보호하는, 당을 치환기로서 갖는 β2 작용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수산기를 갖는 β2 작용약과 염기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할로겐화벤질 유도체를 첨가하고, 선택적으로 수산기를 보호한 후 글리코실화하여, 이 중간체를 알칼리 가수분해 후, 수소첨가하는, 당을 치환기로서 갖는 β2 작용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흡입법에 의해 투여한 경우, 폐의 세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절단되고 활성형이 기관지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약효를 나타내는 약물로서, 백혈구 등의 염증에 의한 세포의 활성화에 유래하는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의 항진에 의하지 않고, 주로 상피세포 유래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에 의해 절단되는 프로드러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 (2)
R'-약물 (2)
(식 중, R' 는 호흡기관에서 활성이 높고, 심장에서 활성이 낮은 효소인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절단되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약물은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호흡기관용 약물을 의미한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의 유효량을 호흡기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치료방법도 제공할 수 있다. 당해 치료방법에 있어서, 호흡기관용 약물로서 기관지 확장제, β2 작용약 등이 예시되고, 구체적으로는, 살부타몰 (salbutamol), 살루메테롤, 마부테롤 (mabuterol), 클렌부테롤 (clenbuterol), 필부테롤 (pirbuterol), 프로카테롤 (procaterol), 페노테롤 (fenoterol), 툴로부테롤 (tulobuterol), 포르모테롤 (formoterol), 헥소프레날린 (hexoprenaline), 테르부탈린 (terbutaline), 트리메토퀴놀 (trimetoquinol), 클로르프레날린 (clorprenaline), 오르시프레날린, 메톡시페나민 (methoxyphenamine), 메틸에페드린, 에페드린, 이소프레날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수산기, 특히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β2 작용약의 O-글루쿠로니드로 이루어지는 호흡기관용 프로드러그이다. 3-0-(β-D-글루쿠로닐)살부타몰, 3-0-(β-D-글루쿠로닐)살루메테롤, 3-0-(β-D-글루쿠로닐)필부테롤, 3-0-(β-D-글루쿠로닐)페노테롤, 3-0-(β-D-글루쿠로닐)툴로부테롤, 4-0-(β-D-글루쿠로닐)포르모테롤, 3 또는 4-0-(β-D-글루쿠로닐)헥소프레날린, 3-0-(β-D-글루쿠로닐)테르부탈린, 6 또는 7-0-(β-D-글루쿠로닐)트리메토퀴놀, 3-0-(β-D-글루쿠로닐)오르시프레날린, 3 또는 4-0-(β-D-글루쿠로닐)이소프레날린, 8-0-(β-D-글루쿠로닐)프로카테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배경기술의 난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약물과 글루쿠론산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등의 장치를 하지 않으면, 종양세포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약물과 글루쿠론산으로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절단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스페이서 배열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폐의 세기관지의 국소에 흡입된 약물의 글루쿠로니드가 효율적으로 절단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은, 종양조직이나 염증조직에서 항진된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상태에서 매우 높은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이 있는 조직을 발견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세기관지의 상피세포에서는 높은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절단시킬 목적에서 스페이서를 삽입할 필연성은 없지만, 프로드러그 합성면에 있어서 간편성이나 안정성 등을 위해 임의의 적절한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이러한 스페이서를 식 (1) 의 R 과 약물 사이에 삽입한 화합물, 또는 이러한 스페이서를 식 (2) 의 R' 와 약물 사이에 삽입한 화합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 (3-O-(β-D-글루쿠로닐)-살부타몰) (실시예 1 의 화합물) 의 제조
(1) 2-(4-메톡시벤질옥시)-5-(2-(N-tert-부틸아미노)-1-(4-메톡시벤질옥시)에틸)벤질알콜의 조제
살부타몰 1.466g, NaI 25mg, THF 5mL 의 혼합물에 NaH 250mg 을 -78℃ 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0℃ 에서 15분 교반한 후에 -78℃ 에서 p-메톡시벤질클로라이드(p-MeO-benzylchloride) 1.125g 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여과, 농축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물 1.20g (59%) 을 얻었다.
(2) glycosidation 및 탈보호
2-(4-메톡시벤질옥시)-5-(2-(N-tert-부틸아미노)-1-(4-메톡시벤질옥시)에틸)벤질알콜 1.04g, 아세토브로모글루쿠론산메틸에스테르(bromo-2,3,4-tri-O-acetyl-β-D-glucopyranuroic acid methyl ester) 1.50g, 탄산은 1.577g, MS4A 1.577g 에 디클로로메탄 4mL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농축한 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조생성물 1.68g (82%) 을 얻었다. 이것을 MeOH-THG (5mL, 2:3) 로 용해하고, 20% NaOH (2.59mL)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TLC(AcOEt/n-Hex=1/2) 로 반응을 확인한 후 빙냉하에 아세트산으로 중화하였다. Pd-C (100mg) 을 첨가하여 수소첨가 (실온, 하룻밤) 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한 후 농축하여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목적물 (실시예 1 의 화합물) 138mg (12%) 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4-O-(β-D-글루쿠로닐)-이소프레날린) (실시예 2 의 화합물) 의 제조
이소프레날린염산염 1.00g, 1N-NaOH (4.00mL) 의 혼합물에, 아세토브로모글루쿠론산메틸에스테르(Bromo-2,3,4-tri-O-acetyl-β-D-glucopyranuroic acid methyl ester) 1.28g 을 아세톤 4.16mL 에 용해한 것을 조금씩 0℃ 에서 첨가하여 실온에서 정치하였다. 1N-NaOH (2.46mL) 을 수시로 첨가하면서 pH 7 부근으로 유지하고 실온에서 2일간 반응시켰다. 농축한 후, 20% NaOH (2mL)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교반하였다. 냉각후 아세트산을 조심스럽게 첨가하여 산성으로 하고 HP-20 칼럼으로 분리한 후, 다시 LH-20 칼럼으로 분리하여 실시예 2 의 화합물을 얻었다. 수량 81mg (5.2%).
실시예 3
3-(β-D-글루쿠로닐옥시)메틸-4-히드록시-α-{[(4-메톡시-α-메틸페네틸)아미노]메틸}벤질알콜
실시예 1 과 동일한 제법으로 표기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
≪β2 작용약 글루쿠로니드의 약리활성≫
1. 시험방법
β2 작용약인 살부타몰 및 이소프레날린의 글루쿠로니드의 기관지 확장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오브알부민(ovalbumin) 으로 감작한 모르모트의 천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시험은, Konzett 와 Rossler 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Arch. Exp. Pathol. Pharmakol., 195, 71-75, 1940).
<감작>
감작개시 1 및 8 일째, 모르모트에게 오브알부민 500㎍/0.5mL 를 양쪽 다리에 근육내 투여하고, 백일해 백신 1.5×105 세포/mL/마리를 복강내 투여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감작하였다. 감작개시 15 일째에 오브알부민 10 및 100㎍/site 를 등부위에 피내 투여하여 감작상태를 체크하였다. 피내 감작 6 시간후의 감작 체크로 양성이 된 동물만 시험에 사용하였다.
<투여방법>
피험물질은, 초음파 네블라이저(nebulizer)의 무화(霧化)량을 작게 하여 약액을 무화하고, 에어로졸을 발생시켜 에어로졸을 폭로 챔버 (M.I.P.S. 사) 로 유도하여 에어 펌프 (SPP-3GA, TECHNO TAKATSUKI 사) 를 사용하여 3L/분 로 흡인하고, 오브알부민 챌린지 40 분전에 10 분간 모르모트에게 흡입 투여하였다.
<기도 내압 측정>
감작개시 19∼23 일째, 펜토바르비탈나트륨 (50mg/kg, i.p.) 으로 마취시켰다. 기관에 카뉼레이션(cannulation)을 행하였다. 기관 카뉼라를 통해 인공호흡기에 접속하고, 인공호흡 (환기량 10mL/kg, 환기회수 50 회/분) 하에서 통기압의 변화를 기관 카뉼라에 접속한 차압 트랜스듀서 (Validyne, Gould Electronics) 를 통하여 레코더 (WT-645G, 일본광전 주식회사) 상에 기도 내압으로서 기록하였다. 기도 내압은 오브알부민 투여 10 분 후까지 기도 내압을 측정하였다. 다음, 좌우의 총경정맥 내에 카뉼레이션을 행하였다. 좌측의 카뉼레이션으로 갈라민 (10mg/mL) 을 1mL/kg 의 용량으로 정맥내 투여하여, 자발호흡이 소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그 후, 오브알부민 을 정맥내 투여 (300㎍/kg) 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야기시켰다. 기도 내압의 측정 포인트는, 야기 전, 오브알부민 야기 후 1, 3, 5, 7 및 10 분으로 하였다. 기도 내압의 증가율은 야기 후의 각 측정시간의 측정치에서 야기 전의 측정치를 빼어, 각 측정시간에서의 최대 폐색에 대한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냈다.
<시험재료>
피험물질로서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를 사용하였다.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는 백색분말 및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는 다갈색 결정이며, 모두 -80℃ 에서 차광 하에 보존하였다. 비교대조 물질로는, 각각 살부타몰황산염 (이후, 살부타몰로 나타냄) 및 이소프레날린염산염 (이후, 이소프레날린으로 기재함) 을 사용하였다. 살부타몰 및 이소프레날린은 백색분말이며, 모두 차광 하에 실온 보존하였다. 피험물질 및 비교대조 물질은, 필요량을 칭량하여 생리식염용액 (오오쯔카제약공장 주식회사, Lot No. 1D78, 1E84) 에 용해하여 용시 조제로 하였다. 피험물질과 비교대조 물질의 용액 중의 농도는, 몰농도로 등량이 되도록 하였다. 모든 용액이 실온에서 24 시간 거의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 및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는, 조제 후 30 분 이내에 사용하였다. 기타, 오브알부민 (OVA, Sigma Chemical Company, Lot No. 120K7001), 갈라민 (gallamine triethiodide, Sigma Chemical Company, Lot No. 76H1106), 펜토바르비탈나트륨 (도꾜화성주식회사, Lot No. GI01), 백일해 백신 (와꼬준야꾸공업 주식회사, Lot No. SEK7880), 및 생리식염액 (주식회사 오오쯔카제약공장, Lot No. 1D78, 1E84) 을 사용하였다.
각 시험군의 구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통계학적 해석 처리방법>
얻어진 시험성적은 기도 내압에 대해 평균치 및 표준 오차로 표시하였다. 유의차 검정은 2군간의 비교인 경우에는 대응이 없는 Student 의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수 군의 비교인 경우에는 Dunnett's multiple test 를 실시하였다. 모두 유의 수준은 5% 로 하였다. 기도 저항의 상승에 대한 각 피험물질의 억제율은, 대조군의 억제율을 0% 로 했을 때의 대조군에 대한 억제율로 하여 산출하였다.
2. 결과
살부타몰 및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의 항원유발형 즉시형 천식반응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도 4 에 나타낸다. 결과는 방법에 기술한 바와 같이, 항원인 오브알부민 의 투여 전 (pre) 의 기도 내압에 대한 증가율로 나타냈다. 도면 중의 pre 는, 갈라민을 투여하여 자발장력을 소실시켜 안정된 시점을 가리키고, 오브알부민 의 투여개시 후 5∼10 분 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오브알부민 의 정맥내 투여에 의해 항원항체반응이 야기된 대조군의 모르모트에서는, 항원 야기 1 분 후에는 기도 내압은 신속하게 상승하고, 3분 후에 최대 약 44% 의 증가를 나타냈다. 살부타몰을 0.05% 의 농도로 흡입시킨 군에서는, 항원 야기의 3분 후에 약 3% 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기도 내압의 상승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이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92% 의 유의 억제를 나타냈다. 한편,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를 0.072% 의 농도로 흡입시킨 군에서도 동일하게, 3분 후에 약 20%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기도 내압의 상승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이것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56%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한편, 이소프레날린 및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의 항원유발형 즉시형 천식반응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실험 조건, 결과의 표시 방법은 살부타몰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소프레날린을 0.1%의 농도로 흡입시킨 군에서는, 항원 야기 3분 후에 약 12%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기도 내압의 상승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이것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73%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한편,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를 0.157%의 농도로 흡입시킨 군에서도 동일하게, 3분 후에 약 10%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기도 내압의 상승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이것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77% 의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이상으로부터,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 및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는 흡입 투여에 의해 모르모트의 즉시형 천식반응을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본 결과와 세기관지의 상피조직에 β-글쿠쿠로니다제 활성이 강하게 존재하는 결과 (도 1)로부터,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 및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는 흡입투여에 의해 기도에 들어가고, 폐의 세기관지 주변에서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가수분해되며, 활성체인 살부타몰 및 이소프레날린으로 변환되어 항천식작용을 발휘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5
2 작용약 글루쿠로니드의 부작용에 대한 영향>
약물로서 β2 작용약 이소프레날린과 살부타몰을 사용하고, 이들의 β2 작용약과 그 글루쿠로니드 (실시예 1 과 실시예 2)의 심장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1. 시험방법
시험은 Crj:CD(SD) 래트를 사용하여 각군 6마리로 실시하였다.
<혈압 및 심박수의 측정>
수술은 산소, 1산화2질소 및 이소플루란의 혼합가스의 마취하에서 실시하고, 총경동맥에 헤파린 (100U/㎖) 함유의 생리식염액을 채운 폴리에틸렌제 튜브 (PE50, Becton Dickinson)의 한 쪽을 삽입하여 유치(留置)하고, 다른 쪽을 등의 경부 주변을 통하여 폭로용 챔버의 상부에 설치한 카뉼라 시벨 (인스텍사 제조)에 접속하였다. 이 카뉼라 시벨로부터 폴리에틸렌제 튜브를 개재하여 압력 트랜스듀서 (P23XL, Gould Electronics) 에 접속한다. 한편, 등으로부터 카뉼라 시벨에 이르는 폴리에틸렌제 튜브의 둘레는 금속제 스프링 내를 통과하여 동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였다.
약물의 투여는 폭로용 챔버를 제작하고, 챔버 내에서 혈압측정용 카뉼레를 총경동맥에 유치한 상태의 래트에 전신 흡입 폭로로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전신 흡입 폭로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이다.
압력 트랜스듀서 (P23XL, Gould Electronics) 로부터의 신호를 프레셔 프로세서 시그널 컨디셔너 (Gould Electronics) 에 이끌고, 서멀 어레이 레코더 (RS3400, Gould Electronics) 상에 기록한다. 혈압 및 심박수는 투여 개시 전부터 투여 종료 후 20분까지 연속적으로 기록하였다. 투여개시는 각성 후 1시간 이상 경과하여 측정 파라미터가 안정되고나서 실시하였다.
<시험재료>
피험물질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조제하였다.
각 시험군의 구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통계학적 해석 처리방법>
각 군의 대표값은 평균치±표준 오차 (S.E.)로 표시하였다. 각 군의 평균치는 Tukey의 다중 비교 검정으로 유의차 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2. 결과
살부타몰 및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의 심장 기능, 특히 혈압/심박수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한편, 도면 중의 pre란 약물의 흡입 투여 개시 직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살부타몰 흡입 투여 직후부터, 혈압의 저하 및 심박수의 상승이 발견되었다. 흡입 종료 후, 5분 후에 75 ㎜Hg까지의 혈압 저하를 나타내고, 이것은 흡입 전의 약 26%의 저하였다. 또한, 심박수에 관해서도 동일한 경향이 발견되고, 5분 후에 최대 약 36%의 상승을 나타내었다. 시간경과적으로 측정한 30분간 중에서 최대의 혈압저하율과 심박수 증가율은 각각 27% 와 39% 였다. 이렇게, 살부타몰의 흡입이 혈압 및 심박수에 현저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에 대해서, 동일한 시험을 살부타몰글루쿠로니드로 실시한 결과, 대조군 (생리식염수의 흡입)과 동일하게 전혀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이소프레날린도 살부타몰과 동일하게, 흡입 투여 직후부터 혈압의 저하 및 심박수의 상승이 발견되고, 흡입 종료 후, 5분 후에 72 ㎜Hg까지의 혈압 저하를 나타내고, 이것은 처리 전의 약 27%의 저하였다. 또한, 심박수에 관해서도 동일한 경향이 발견되고, 5분 후에 약 49%의 상승을 나타내었다 (도 7). 시간경과적으로 측정한 30분간 중에서 최대의 혈압저하율과 심박수 증가율은 각각 28% 와 50% 였다. 이렇게, 이소프레날린의 흡입이 혈압 및 심박수에 현저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에 대해서, 동일한 시험을 이소프레날린글루쿠로니드로 실시한 결과, 대조군과 동일하게 전혀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특히, 이소프레날린은 β1 작용을 갖고, 심장에 대한 부작용이 강한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해 β2 작용약 글루쿠로니드를 사용함으로써 β2 작용약이 갖는 심장에 대한 영향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로부터, 살부타몰 및 이소프레날린의 글루쿠로니드는 살부타몰 및 이소프레날린의 혈압/심박에 대해서 영향을 미친다는 중요한 부작용을 소실시키는 것을 명확하게 하였다.
참고예 1
β-아고니스트에 속하는 살부타몰, 이소프레날린을 실시예로서 사용하여 본 특허를 설명하였지만, 이 개념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두 개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적으로 전혀 상이한 화합물에 있어서도 동일한 경향, 즉 글루쿠론산화된 약물이 표적조직에 있어서 수해(水解)되어 활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예를 제시한다.
11-에틸-7,9-디히드록시-10,11-디히드록시벤조[b,f]티에핀은 평활근을 사용한 시험관 내의 수축 억제 시험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돼지 기관 평활근 표본을 고농도 KCl 혹은 카르바콜로 유발한 평활근 수축을 IC50=5 μM 정도로 억제한다. 본 화합물을 경구 투여한 경우, 10 ㎎/㎏으로, 즉시형 천식 모델에서 기도수축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과 동일한 실험계). 그 후, 본 화합물의 대사에 관한 검토를 개시한 바, 본 화합물은 경구 투여 후, 흡수되어 빠르게 글루쿠론산 포합화를 받는 것이 판명되었다. 쥐, 래트, 모르모트, 개, 원숭이에 있어서, 투여 후의 혈중 분석 결과, 어떠한 동물 종에서도 99% 이상이 글루쿠론산 포합체였다. 이 결과로부터, 결합체에 활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O-글루쿠로니드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O-글루쿠로니드는 앞서 설명한 시험관 내의 평활근을 사용한 수축 억제 시험에서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모르모트의 감작 모델을 사용하여 O-글루쿠로니드의 효과를 정맥 내 투여로 확인한 바, 기도수축 억제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정맥 내에 투여된 O-글루쿠로니드가 폐의 조직에 도달한 후에 수해되어 미변화체로 되돌아갔기 때문에, 기도수축 억제작용을 나타낸 결과로 추찰된다.
이렇게, β-아고니스트와는 전혀 상이한 구조의 화합물이라도 동일한 결과가 발견된 것은, 글루쿠론산 포합화한 화합물이, 폐에서 효율적으로 수해되어 활성을 발현할 가능성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란에서 설명한 도 1, 2, 3 에 대해서 상세하게 나타낸다.
참고예 2
<도 1 : 폐에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의 국재>
폐 및 심장에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의 국재에 대해서 효소 조직 화학적인 수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1. 시험방법
모르모트 폐의 조직 표본을 작성하여 Fishman 등의 방법 (J. Histo. Cytochem. 12, 298-305, 1964)에 의거하여 β-글루쿠로니다제에 대한 기질 나프톨 AS-BI β-글루쿠로니드를 사용하여 활성 염색을 실시하였다. 적출한 폐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고정하고, 크리오스타트에 의해 4-6㎛의 동결 절편을 작성하였다. 기질액은 나프톨 AS-BI β-글루쿠로니드 28㎎을 0.05M 중탄산소다 1.2㎖에 첨가하여 용해하고, 0.2N 아세트산·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pH5)을 100㎖까지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염색액은 4% 아질산나크륨액 0.3㎖에 파라로다린액 0.3㎖를 첨가하여 디아조화하고, 이 액에 기질액 10㎖를 첨가하여 pH를 5.2로 조정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20㎖에 메스업하고, 마지막으로 여과지로 여과하여 조정하였다. 절편에 염색액을 얹고 37℃,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통상법에 따라 세정, 탈수, 봉입하였다.
2. 결과
폐의 동결 절편을 제작하고, 조직을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에 의해 활성 염색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배율 100배). 도 1에 있어서 A~C는 다음의 세포를 나타낸다.
A : 폐의 세기관지의 상피세포
B : 평활근 세포
C : 폐세포 매트로파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의 세기관지의 상피세포 (도면 중의 A로 나타낸 영역)과 폐포 매트로파지 (도면 중의 C)에 강한 양성 이미지가 발견되었다 (검게 물들게 보이는 부분이 β-글루쿠로니다제의 활성을 나타냄).
폐포 매트로파지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이 높은 것 (Hayashi, J Histochm, Cytochem. 15, 83-92, 1967, Barry and Robinson, Histochem. J. 1, 505-515, 1969)은 보고되어 있지만, 세기관지를 구성하는 상피세포에 β-글루쿠로니다제가 국재한다는 보고는 없었다. β-글루쿠로니다제가 폐의 세기관지라는 외부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특히 강하게 발현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폐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에 가장 크게 관여하는 세포군은 염증계의 세포가 아니라 세기관지의 상피세포일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참고예 3
<<도 2 : 각 장기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에 관한 검토>>
각 장기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의 정도와 천식 모델 동물에서의 본 효소활성의 변동을 조사하는 목적에서, 즉시형 천식 모델로 확립되어 있는 감작 모르모트를 만들고, 미감작 모르모트와의 각 장기의 효소활성을 비교하였다. 또, 감작 모르모트에서는 항원 야기한 개체와 야기하지 않은 개체에서의 효소활성도 비교하였다.
1. 시험방법
(감작)
감작 개시 1일 및 8 일째, 생후 6주된 Std:Hartley계 수컷 모르모트에 오브알부민 (OVA) 500㎍/0.5㎖ 를 양 발에 근육내 투여하고, 백일해 백신 1.5×105세포/㎖/마리를 복강내 투여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감작하였다.
(항원 야기)
첫회의 감작 후 19-23일째에 감작 모르모트에 2% OVA 용액을 5분간 흡입시켜 항원 야기를 유도하였다. 야기 후, 4시간 후에 각 장기를 회수하였다.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의 측정>
미감작 모르모트군, 감작 모르모트군, 감작 모르모트의 항원 야기군의 3군 (각각 2개체) 로부터 각 장기를 적출하여, 생리식염을 50배 용량 첨가하여 호모게나이즈하고, 12000rpm, 10분, 4℃ 에서 냉원심분리 후의 상청을 샘플로 하였다. 각 샘플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p-니트로페닐-β-D-글루쿠로니드 를 기질로 사용하여, 유리된 p-니트로페놀을 405㎚ 로 비색정량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Haeberlin 등, Pharmaceutical Res. 10, 1553-1562, 1993). 각 샘플 중의 단백 농도는 시판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β-글루쿠로니다제의 비활성은, 각 장기의 경우에는 단백 1㎎ 당 1분간에 유리되는 반응물질량으로서 나타내었다. 각 장기의 비활성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2. 결과
미감작 모르모트군, 감작 모르모트군, 감작 모르모트의 항원 야기군의 3군의 각 장기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을 도 2 에 나타내었다. 미감작 모르모트군의 각 장기의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은 폐 (15n㏖/㎎/분), 간장 (20.7n㏖/㎎/분), 비장 (14.2n㏖/㎎/분) 에서 높고, 심장 (1.9n㏖/㎎/분)), 뇌 (2.6n㏖/㎎/분), 근육 (1.2n㏖/㎎/분) 에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는 래트나 마우스 등의 각 장기에 있어서의 효소활성의 보고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Conchie 등, Biochem. J. 71, 318-325, 1959, Johnson 등, Biochemical Genetics 24, 891-909, 1986, Hoogerbrugge 등, Transplantation 43, 609-614, 1987).
한편, 감작 모르모트군에 있어서는, 미감작 모르모트군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여 각 장기의 효소활성에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감작 상태에서는 미감작의 경우와 각 장기 중의 효소활성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항원 야기한 감작 모르모트군에서도 각 장기의 효소활성은 미감작 모르모트군, 항원 야기하지 않은 감작 모르모트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가 보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폐는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이 매우 높은 조직으로, 폐조직 중의 β-글루쿠로니다제는, 항원감작에 의한 천식 모델에서 상승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참고예 4
<<도 3 : 심장에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의 국재>>
1. 시험방법
시험방법은 <<도 1 : 폐에 있어서의 β-글루쿠로니다제의 국재>> 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단, 대비염색으로서 헤마토실린에 의한 세포 핵을 염색하였다.
2. 결과
심장의 동결 절편을 제작하여, 조직을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에 의해 활성 염색한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배율 50배). 도 3 에서 화살표는 헤마토실린 염색된 세포의 핵을 나타낸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르모트 심장 절편에서 β-글루쿠로니다제 활성을 나타내는 양성 이미지는 관찰되지 않았다.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되는 부위간에서 그 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활성을 이용하여, 비표적 기관에 대한 약물의 부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프로드래그를 제공할 수 있다. 심장에 대한 부작용이 발현되지 않은 β2 작용약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β작용약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심장질환을 갖는 환자에 대해서도 β작용약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Claims (32)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
    R-약물 (1)
    (식 중, R 은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하는 부위 사이에서 그 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약물은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이다)
  2.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
    R'-약물 (2)
    (식 중, R' 는 호흡기관에서 활성이 높고, 심장에서 활성이 낮은 효소인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절단되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약물은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호흡기관용 약물을 의미한다)
  3. 제 1 항에 있어서, 표적 부위가 호흡기관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부작용 발현부위가 심장인 화합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물이 기관지 확장제인 화합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물이 β2 작용약인 화합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물이 그 구조에 수산기를 갖는 β2 작용약인 화합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살부타몰 (salbutamol), 살루메테롤, 마부테롤 (mabuterol), 클렌부테롤 (clenbuterol), 필부테롤 (pirbuterol), 프로카테롤 (procaterol), 페노테롤 (fenoterol), 툴로부테롤 (tulobuterol), 포르모테롤 (formoterol), 헥소프레날린 (hexoprenaline), 테르부탈린 (terbutaline), 트리메토퀴놀 (trimetoquinol), 클로르프레날린 (clorprenaline), 오르시프레날린, 메톡시페나민 (methoxyphenamine), 메틸에페드린, 에페드린, 이소프레날린 중 어느 하나인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효소가 글리코시다제인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효소가 β-글루쿠로니다제인 화합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치환기가 단당 또는 올리고당의 글리코실기인 화합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치환기가 글루쿠로닐기인 화합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글루쿠로닐기와 약물의 결합이 β결합인 화합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제약적으로 적당하고 또한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부형제, 첨가제 및/또는 다른 활성 화합물 및 보조제와 함께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제약적으로 적당하고 또한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부형제, 첨가제 및/또는 다른 활성 화합물 및 보조제와 함께 함유하는 국소투여용 의약조성물.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제약적으로 적당하고 또한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부형제, 첨가제 및/또는 다른 활성 화합물 및 보조제와 함께 함유하는 흡입용 의약조성물.
  17.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하는 부위에서의 효소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를 이용하는 프로드러그로서 표적 부위에서만 효과를 발현하는 의약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의 용도:
    R-약물 (1)
    (식 중, R 은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하는 부위 사이에서 그 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약물은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이다)
  18. 약물의 표적 부위와 부작용이 발현하는 부위에서의 효소활성에 차가 있는 효소를 이용하는 프로드러그로서 표적 부위에서만 효과를 발현하는 의약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생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의 용도:
    R'-약물 (2)
    (식 중, R' 는 호흡기관에서 활성이 높고, 심장에서 활성이 낮은 효소인 β-글루쿠로니다제에 의해 절단되는 치환기를 의미하고, 약물은 효소에 의해 치환기가 절단됨으로써 활성화되는 호흡기관용 약물을 의미한다)
  19. 제 17 항에 있어서, 표적 부위가 호흡기관인 용도.
  20. 제 17 항에 있어서, 부작용 발현부위가 심장인 용도.
  21.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약물이 기관지 확장제인 용도.
  22.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약물이 β2 작용약인 용도.
  23.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약물이 그 구조에 수산기를 갖는 β2 작용약인 용도.
  24.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살부타몰 (salbutamol), 살루메테롤, 마부테롤 (mabuterol), 클렌부테롤 (clenbuterol), 필부테롤 (pirbuterol), 프로카테롤 (procaterol), 페노테롤 (fenoterol), 툴로부테롤 (tulobuterol), 포르모테롤 (formoterol), 헥소프레날린 (hexoprenaline), 테르부탈린 (terbutaline), 트리메토퀴놀 (trimetoquinol), 클로르프레날린 (clorprenaline), 오르시프레날린, 메톡시페나민 (methoxyphenamine), 메틸에페드린, 에페드린, 이소프레날린 중 어느 하나인 용도.
  25. 제 17 항에 있어서, 효소가 글리코시다제인 용도.
  26. 제 17 항에 있어서, 효소가 β-글루쿠로니다제인 용도.
  27.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치환기가 글리코실기인 용도.
  28.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치환기가 글루쿠로닐기인 용도.
  29. 제 28 항에 있어서, 글루쿠로닐기와 약물의 결합이 β결합인 용도.
  30.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어느 하나의 용제 중, 염기의 공존 하에 수산기를 갖는 β2 작용약 및 당할로겐화물 유도체를 반응시키고, 이것을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해 탈보호하는, 당을 치환기로서 갖는 β2 작용약의 제조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중 어느 하나인 제조방법.
  32. 복수의 수산기를 갖는 β2 작용약과 염기를 함유하는 혼합물에 할로겐화벤질 유도체를 첨가하고, 선택적으로 수산기를 보호한 후 글리코실화하여, 이 중간체를 알칼리 가수분해 후, 수소첨가하는, 당을 치환기로서 갖는 β2 작용약의 제조방법.
KR1020047020745A 2002-06-20 2003-06-20 프로드러그, 그 의약으로서의 사용 및 그 제법 KR20050027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80238 2002-06-20
JPJP-P-2002-00180238 2002-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095A true KR20050027095A (ko) 2005-03-17

Family

ID=2999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745A KR20050027095A (ko) 2002-06-20 2003-06-20 프로드러그, 그 의약으로서의 사용 및 그 제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50203061A1 (ko)
EP (1) EP1541579A1 (ko)
JP (1) JPWO2004000863A1 (ko)
KR (1) KR20050027095A (ko)
CN (1) CN1671724A (ko)
AU (1) AU2003244088A1 (ko)
BR (1) BR0312442A (ko)
CA (1) CA2490626A1 (ko)
MX (1) MXPA05000028A (ko)
NZ (1) NZ537686A (ko)
WO (1) WO2004000863A1 (ko)
ZA (1) ZA2005005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3674B (zh) 2006-12-28 2014-04-11 Infinity Discovery Inc 環杷明(cyclopamine)類似物類
CN101917853B (zh) 2007-12-27 2014-03-19 无限药品股份有限公司 立体选择性还原的方法
CL2009001479A1 (es) * 2008-07-02 2010-01-04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Metodo para aislar un alcaloide del veratrum desglicosilado que comprende proporcionar un material de planta veratrum, poner en contacto con una solucion acuosa y extraer el material de la planta veratrum con un solvente para proporcionar un extracto que comprende dicho alcaloide.
CA2769795C (en) 2009-08-05 2020-01-07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Enzymatic transamination of cyclopamine analogs
US9376447B2 (en) 2010-09-14 2016-06-28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Transfer hydrogenation of cyclopamine analogs
US20160158369A1 (en) * 2013-07-10 2016-06-09 Seikagaku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spiratory administration
RU2743347C2 (ru) 2014-10-21 2021-02-17 Эббви Инк. Пролекарства карбидопа и l-dopa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и паркинсона
AU2016271468B2 (en) 2015-06-04 2020-01-02 Sol-Gel Technologies Ltd. Topical formulations for delivery of hedgehog inhibitor compounds and use thereof
KR20180097751A (ko) 2016-01-11 2018-08-31 인네이트 튜머 이뮤니티, 인코포레이티드 Sting 활성과 연관된 상태 예컨대 암의 치료를 위한 시클릭 디뉴클레오티드
EP4295909A2 (en) * 2016-04-20 2023-12-27 AbbVie Inc. Carbidopa and l-dopa prodrugs and methods of use
CN116808243B (zh) * 2023-08-15 2024-04-02 上海交通大学 苯基-β-D-葡糖苷酸在制备用于诱导式呼气检测肿瘤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7196D0 (en) * 1991-04-05 1991-05-22 Sandoz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DE4236237A1 (de) * 1992-10-27 1994-04-28 Behringwerke Ag Prodrugs,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rzneimittel
EP0647450A1 (en) * 1993-09-09 1995-04-12 BEHRINGWERKE Aktiengesellschaft Improved prodrugs for enzyme mediated activation
DE69425356T2 (de) * 1993-09-22 2002-04-18 Hoechst Ag Pro-Prodrugs, ihre Herstellung und Anwendung
US5760072A (en) * 1995-12-29 1998-06-02 Pharmachemie B.V. Paclitaxel prodrugs, method for preparation as well as their use in selective chemotherapy
ATE316799T1 (de) * 1996-03-12 2006-02-15 Sanofi Aventis Deutschland Neuartige prodrugs für die therapie von tumoren und entzündlichen erkrankungen
US6218519B1 (en) * 1996-04-12 2001-04-17 Pro-Neur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selective treatment of cancer and bacterial infections
US5843937A (en) * 1996-05-23 1998-12-01 Panorama Research, Inc. DNA-binding indole derivatives, their prodrugs and immunoconjugates as anticancer agents
US6103712A (en) * 1998-03-05 2000-08-15 Eli Lilly And Company Therapeutic treatment for asthma
AUPQ342599A0 (en) * 1999-10-14 1999-11-04 University Of Melbourne, The Conjugate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0863A1 (ja) 2003-12-31
BR0312442A (pt) 2005-05-10
JPWO2004000863A1 (ja) 2005-10-20
US20050203061A1 (en) 2005-09-15
AU2003244088A1 (en) 2004-01-06
CN1671724A (zh) 2005-09-21
CA2490626A1 (en) 2003-12-31
ZA200500526B (en) 2006-08-30
EP1541579A1 (en) 2005-06-15
MXPA05000028A (es) 2005-08-26
NZ537686A (en) 200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2205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side effects in chemotherapeutic treatments
EP1299406B1 (de) Curcumin-derivate mit gegenüber curcumin verbesserter wasserlöslichkeit und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ES2266271T3 (es) C0mposicip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resveratrol para tratar los trastornos repiratorios inflamatorios.
JP5837486B2 (ja) カチオン非依存性マンノース6−リン酸受容体を標的とする化合物
US5728685A (en) Methods of treating inflammation using cell adhesion inhibitors
Larner et al. Isolation, structure, synthesis, and bioactivity of a novel putative insulin mediator. A galactosamine chiro-inositol pseudo-disaccharide Mn2+ chelate with insulin-like activity
KR20050027095A (ko) 프로드러그, 그 의약으로서의 사용 및 그 제법
TW201127381A (en) The tumor-selective anti-cancer prodrug BQC-G
WO1997029779A2 (en) Egf-genistein conjugat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10370335B2 (en) Xanthurenic acid deriva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CA3037103A1 (fr) Composes polysaccharides multi-fonctionnalises et leur utilisation pour cibler le recepteur du mannose 6-phosphate cation-independant
JP2018184414A (ja) 新規フラボノイド化合物およびその使用
CA2383158A1 (en) Use of a cyclic ether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ments affecting glucose tolerance
KR20200104352A (ko) 약물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WO2005061006A1 (ja) 抗コリン薬のプロドラッグ
US4302449A (en) Carminomycin analogue
EP3498283A1 (en) Glycosidic derivatives of treprostinil
JP2001506604A (ja) 細胞接着を促進または阻害し、ガン細胞転移を阻害し、そしてアポトーシスを誘導する合成グリコアミン
US20140094429A1 (en) Fgf receptor-activating 3-o-alkyl oligosaccharides, preparation thereof and therapeutic use thereof
TW202302150A (zh) 透明質酸複合物的用途
JPH09278789A (ja) マルトオリゴ糖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Elased et al. Phosphoglycan Messengers and Their Medical Uses (Lipidemia)
Kar Indian Pharmacological Soci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