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987A -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 Google Patents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987A
KR20050026987A KR1020040044399A KR20040044399A KR20050026987A KR 20050026987 A KR20050026987 A KR 20050026987A KR 1020040044399 A KR1020040044399 A KR 1020040044399A KR 20040044399 A KR20040044399 A KR 20040044399A KR 20050026987 A KR20050026987 A KR 2005002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ring
outlet
sea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림 하워드 탁수
Original Assignee
림 하워드 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림 하워드 탁수 filed Critical 림 하워드 탁수
Publication of KR2005002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9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t Valve (AREA)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로 쓰이는 다양한 형태의 얇은 물줄기 뿐 아니라 굵은 물줄기를 뿜을 수 있는 수동식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압력 받은 유입 액체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수직의 잠금 밸브가 있으며 조절용 선형톱니바퀴, 확장바, 분무꼭지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조절용 선형톱니바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누름 버튼을 조절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씨트와 연결된 이동식 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축은 윗 구조와 잠금장치에 의해 잠기는 바닥판 사이에 있고 압축 스프링으로부터 경감된 압력과 압력을 받은 유입 액체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압축 스프링을 지지하는 바닥의 덮개는 오링과 함께 하우징의 아래 체임버(chamber)에 있어 봉하는 역할을 하고 윗 덮개는 하우징의 윗 체임버 쪽에 있어 오링을 봉할 수 있으며 상기 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Multi-purpose hand held sprayer having a vertical shut-off valve}
본 발명은 분무기, 특히 제한된 구역에 다양한 형태로 분무할 수 있는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수동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물을 분무할 수 있는 다양한 조절 밸브를 가진 여러 가지 분무기들이 공지된바 있다. 대부분의 수동 분무기는 노즐을 통한 가는 방울의 물을 분무한다. 이 분무기의 제동기는 물을 노즐 안으로 이동시켜서 분무한다. 또 다른 장치로는 압력 컨테이너를 분무기에 붙여 물을 방출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분무기들은 현대의 위생 기준에 적합하지 않다.
욕실에서는 다공성의 노즐을 가져 얇은 줄기의 물을 뿜는 분무기가 사용된다. 이 노즐은 물을 뿜을 수 있도록 작은 구멍을 가진 덮개로 된 큰 머리 부분을 가진다. 이 기구의 큰 머리 부분은 작은 구역에 이용할 때 장애가 된다. 또한 이 기구의 몸체에는 어떠한 잠금 밸브도 설치 되어있지 않다. 이것은 사용자가 물줄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오직 벽에 걸린 밸브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은 제한된 구역에서는 즉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의 분무기에서 밸브 시스템은 적절한 사용을 위한 높은 압력을 견디지 못한다. 이것은 이 분무기들이 높은 압력에 맞게 설계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재는 몇가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잠금 밸브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밸브의 복잡한 구조 때문에 생산이 꺼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분무기의 제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조절용 선형톱니바퀴, 확장바, 분무꼭지로 이루어진 조절기가 있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분무기의 외관을 세로로 길고 얇게 하여 제한된 공간에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분무기의 형태는 걸이에 걸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조절기의 입구는 압력을 받은 유입액체와 연결되도록 연결기가 설치 되어있으며 조절기의 출구에는 확장바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가 있어서 단일한 굵은 줄기의 분무를 할 수 있게 하였다. 확장바는 분무꼭지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가 있어 다양한 형태의 분무를 가능하게 하고 조인트 부위를 포함한 모든 어댑터는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되어있고 마찰과 씰링(sealing)을 위해 오링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두개의 구성요소의 간편한 연결은 다목적 용도를 위한 간편한 조립과 회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확장바와 분무꼭지로 구성하였다.
또한, 조절기의 조절용 선형톱니바퀴는 수직 잠금 밸브를 가진 하우징이 있고 물줄기를 조절하기 위한 누름 버튼이 있으며 하우징은 윗 체임버(chamber)와 아래 체임버로 구성되어 유입물은 아래 체임버에 위치하다가 압력에 의해 조절기의 연결기로 흘러가도록 하였다. 그리고 윗 체임버는 흘러들어온 물을 담고 있다가 조절기의 출구로 보내도록 하였으며 위, 아래 체임버는 밸브 기능을 위한 이동 가능한 축을 담고 있다.
한편, 축은 압축 스프링과 압력 받은 유입물로부터 오는 압력에 의해 씨트와 연동되게 하였으며 압력을 받은 축은 닫히는 구조가 되어 씨트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고 축은 윗 구조와 잠금장치로 잠기는 바닥의 판 사이의 탄력있는 오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오링은 윗 구조와 바닥판사이의 주변 홈 사이에 노출되어 있으며 노출 된 부분의 폭은 씨트와 연동되기 위함이며 오링이 느슨해지도록 하는 두께보다는 작게 하고 씨트는 윗 체임버와 아랫쪽 체임버 사이에 위치하여 탄력있는 오링으로 하우징에 봉해져있다. 아래 체임버는 바닥 덮개가 있어 오링으로 하우징에 나사로(threadably) 봉해져 있고 바닥덮개는 축과 역할하도록 압축 스프링을 꽂을 수 있는 홈이 파여 있으며 오프닝(opening)은 윗 체임버의 윗쪽에 있고 통로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있고 나사에 의하여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뚜껑에 연결되도록 하여 뚜껑을 돌리면 바로 아래에 있는 탄력있는 오링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압력은 축과 오링의 최적의 씰링(sealing)과 마찰을 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통로와 뚜껑의 구멍을 통하여 축의 윗 구조가 누름 버튼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 버튼 구조는 축의 꼭대기에 고정나사로 고정되고 마지막 마개로 덮혀 밸브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조문으로 나와있는 참고번호의 첫 두자리가 같으면 관련된 성분(element)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10과 101이 있다. 참고번호의 첫 세자리가 모두 같으면 다른 성분(element)을 가진 같은 구성요소(component)이며 예를 들어 101과 1017이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조는 구성요소의 자세한 설명과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소개가 될 것이다. 도 1의 '분무기'로 불리는 수직 잠금밸브가 있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발명 그림은 조립된 형태로 번호 10으로 나타낸다. 분무기(10)는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 확장바(103), 분무꼭지(105)를 포함하는 조절기(101)로 되어있다. 몸체의 외관은 얇은 유선형으로 되어있어 좁은공간을 통해 먼거리까지 이동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가벼운 재료의 사용으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2의 분무기(10)는 각 구성요소가 서로 연결된 내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3의 분해조립도는 도 1의 각 구성요소가 따로 분리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2의 조절기(101)의 입구(1015)는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를 통해 출구(1013)로 이어지는 통로로 연결된다.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는 몸체(1017)에 있는 출구(1013)로 이어지는 통로의 흐르는 물줄기를 조절한다. 조절기(101)의 출구(1013)로 이어지는 통로는 도 3에서 보듯이 그 끝에 암출구(10132)가 있다. 도 3의 암출구(10132)는 도 2의 확장바(103)로 연결되는 두 단계의 내부 직경 (1011,1012)을 가진다. 암출구(10132)는 확장바(103)의 수입구(10351)와 쉽게 연결이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확장바(103)의 수입구(10351)는 암입구(10132)와 연결되기 위한 두 단계의 직경(1031,1032)이 있다. 오링(1033)은 수어댑터의 홈에 놓여있어 연결부위에 씰링(sealing)과 마찰기능을 준다. 도 3에서 보면 확장바(103)와 분무꼭지(105)로 연결되기 위해 수출구(10352)는 두 단계의 내부 직경(1036,1037)을 가지고 있다. 이것 역시 수입구(1035)와 마찬가지로 씰링(sealing)과 마찰 기능을 주기 위한 오링(1038)을 가지고 있다. 수출구(10352)는 분무꼭지(105)의 암입구(10561)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이 된다. 분무꼭지(105)의 암입구(10561)는 확장바(103)의 수출구(10352)와 연결될 때 역시 두 단계의 내부 직경(1056,1057)을 갖는다. 도 2의 체임버(chamber)(1059)는 확장바(103)의 출구 뒤에 이어지는 분무꼭지(105)의 입구 안에 있다. 이 체임버는 서로 일직선에 있지 않은 두 통로를 잇는 완충역할을 한다. 분무꼭지(105)는 물을 공기 중으로 뿜기 위한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덮개판(1052)을 가진 마개(1051)를 갖고 있다. 마개(1051)는 분무꼭지(105)의 몸체(1053)에 오링(1058)으로 씰링되어 결합되어 있다.
분무기(10)의 각 구성요소들은 간편하게 연결이 된다. 간편한 연결이란 수 어댑터가 암입구와 연결될 때에 미끄러져 이동하는 특성을 말한다. 다단계로 된 수어댑터는 한단계로 된 수어댑터보다 암입구와 더 쉽고 편리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더 작은 직경이 연결에의 가이드가 되기 때문이다. 간편한 연결은 두 구성요소의 빠르고 쉬운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것은 두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을 때 회전을 시킬 수 있어 여러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수의 탄력성의 오링은 다양한 사이즈와 두께를 가지고 있어 연결부위의 적절한 마찰을 주며 씰링을 시켜준다. 출구쪽 통로의 낮은 압력은 보다 적은 압력을 필요로 하는 이러한 간편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두가지 구성요소의 연결은 나사를 이용하는 등의 다른 어떤 연결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연결을 위한 수출구와 암입구의 사용은 반대로 수입구와 암출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조절기(101)에는 조절기몸체(1017), 압력을 받은 유입물이 들어가는 입구(1015)와 입구연결기(1016), 물이 빠져나가는 출구(10112), 걸이에 걸 수 있는 부위인 외관(1013), 조절기(1017) 몸체에 결합하는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가 있다.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20)는 입구(1015)에서 출구(10112)로 물을 내보내도록 하는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지고 있다. 도 4의 분리된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2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의 확장바(103)는 몸체(1034)와 걸이에 걸 수 있는 부위인 외관(1039), 수입구(10321), 수출구(10372)로 구성되어있다. 수입구(10321)와 수출구(10372)는 끝 부분에 두 단계의 어댑터- 보다 작은 직경(1032)과 보다 큰 직경(1031)-로 되어있다. 두 단계의 어댑터에는 씰링 기능과 간편한 연결을 위해 갖춰진 오링(1033)을 위한 홈이 파여 있다. 확장바(103)의 수 입구(10351)는 조절기(101)의 암출구(10112)와 연결되어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로부터 방출된 물을 받아들인다. 도 5의 확장바(103)는 그의 출구(10372)로 물을 이동시켜 그 끝에서 단일한 굵은 물줄기(10375)를 분무한다. 단일한 물줄기의 압력은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를 최대한 열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압력으로 작은 구역을 청소할 수 있다. 확장바(103)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모양의 종류를 지니고 있다. 가늘고 긴 몸체의 모양은 제한된 공간을 통한 먼 거리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해준다.
도 3의 확장바(103)의 수출구(10372)는 분무꼭지(105)의 암입구(10561)와 연결되어 도 6에서의 여러줄기의 분무(10525)를 할 수 있다. 분무꼭지(105)는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덮개판(1052)을 가진 마개(1051)를 갖고 있다. 분무꼭지(105)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분무를 얻으려면 다양한 크기의 덮개판을 가진 마개(1051)를 바꾸면 된다. 도 3에서의 분무꼭지(105)의 몸체(1053)는 도 6에서처럼 일정한 각도로 굽힐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쓰일 수 있다. 분무꼭지(105)는 얇고 미끈한 몸체를 가져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 3의 조절기(101)의 몸체(1017)에서 분리된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를 볼 수 있다.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는 수동 조절을 위한 누름 버튼(30)과 물줄기를 조절하기 위한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하우징(45)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45)의 외관은 도 4에서 보듯이 윗 덮개(40), 바닥덮개(90), 입구구멍(528), 출구구멍(519)을 포함한다.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의 모든 구성요소는 도 7의 분해조립도에서 볼 수 있다.
도 7의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의 하우징(45)은 도 8에서 볼 수 있는 수직의 잠금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는 내부의 구조를 가진 몸체(50)를 가지고 있다. 도 8의 몸체(50)는 두개의 체임버(chamber)- 윗 체임버(51), 아래 체임버(52)-를 가지며 이들은 그 가운데에 나삿니 목(55)으로 분리가 된다. 윗 체임버(51)는 나삿니 목(55)의 윗쪽에 있고 도 3의 조절기(101)의 출구(10112)로 이어지는 출구구멍(519)을 가진다. 도 8에서 윗 체임버(51)의 윗쪽에 있는 큰 입구(513)는 도 7에서의 윗 덮개(40)를 조일 수 있는 나삿니(515)를 가지고 있다. 도 8에서의 5홈(517)은 도 7의 씰링(sealing)을 위한 오링(48)을 놓을 수 있도록 입구(513)의 바닥쪽에 있다. 홈(517)은 외부에서 압력을 받을 오링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해준다. 따라서 오링의 변형이 중심부쪽으로 일어나 축 구조(70)의 윗 구조(71) 둘레에 씰링기능을 강화시켜준다. 도 8의 통로는(511) 윗 체임버(51)와 큰 입구(513)간의 소통을 위함이다. 이 통로는 도 10의 축 구조(70)의 밸브를 조절하기 위한 윗 구조(71)가 놓이는 곳이다. 도 8의 아래 체임버(52)는 나삿니 목(55)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것은 도 3의 조절기(101)의 입구(1015)로 이어지는 입구구멍(528)을 가진다. 나삿니(525)는 아래 체임버를 씰링하기 위한 도 7의 바닥덮개(90)를 놓기 위함이다.
도 7의 하우징(45)의 몸체(50)는 따로 단독 조립품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3에서 보듯이 조절기(101)의 몸체(1017)에 삽입되어 통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하우징(45)의 몸체(50)는 조절기(101)의 몸체(1017)에 주입되어 단일한 구성물을 이룰 수 있다. 이 주입된 통합체는 조절기(101)의 몸체(1017)에 안에 바로 내부의 수직의 잠금 밸브 시스템을 갖게 된다. 이 단일한 구성물은 생산비용을 절감하며 조립과정을 단순화한다. 보호범위 안에서는 여러 가지 재료, 구조, 설계를 혼합, 혼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도 7의 씨트(60)는 상기 축 구조(70)의 윗 구조(71)와 방출된 물이 통과하게 하는 입구(601)가 있다. 이것은 도 9에서 보듯이 오링(68)으로 씰링되어 하우징(50)과 결합한다. 도 9의 씨트(60)의 입구(601)는 두 종류의 크기가 다른 직경- 작은 직경(604), 큰 직경(605) -으로 되어있다. 작은 직경(604)은 다각형 모양으로 공구를 이용하여 조립과 분해가 쉽도록 한다. 도 9의 큰 직경(605)은 둥근 모양으로 도 10의 윗 구조(71)의 플랜지(716)를 놓기 위함이다. 씨트(60)는 도 9에서의 나삿니(607)에 의해 하우징(50)과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도 9의 플랜지(603)는 나삿니(607) 옆에 위치하여 씰링을 위한 오링(68)에 압력을 주게 된다. 도 9의 씨트(60)의 가장자리(602)는 입구(601)를 통해 흐르는 물줄기를 조절하기 위한 도 11의 축 구조(70)의 오링(78)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둥근 표면을 가지고 있다. 도 9의 씨트(60)의 입구(601)는, 입구(528)로 들어온 압력을 받은 물을 아래 체임버(52)에서 윗 체임버(51)와 축 구조(70)의 윗 구조(71)로 통과시켜 이동시킨다.
도 7의 축 구조(70)는 윗 구조(71), 오링(78), 바닥판(80), 잠금장치(89)로 구성되어있다. 이 구성요소들은 함께 조립되어 도 10에서처럼 하나의 별개의 부품으로 작용한다. 도 10의 축 구조(70)의 윗 구조(71)는 플랜지(716), 샤프트(715), 어깨부분(713), 나삿니(712)로 구성되어있다. 플랜지(716)는 도 11A의 홈(719) 안의 오링(78)을 지지해 고정시키기 위해 있다. 이 7플랜지(716)는 도 9에서의 씨트(60)의 큰 입구(605)에서 축 구조(7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이것의 둥근 모양은 축 구조(70)가 씨트(60)의 입구(605)에 어떠한 방향으로도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의 샤프트(715)는 도 4에서의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의 하우징(45)의 바깥쪽까지 그 길이를 확장할 수 있다. 이것의 부드럽고 둥근 표면은 도 9에서 오링(48)과의 접촉에 있어서 씰링을 쉽게 한다. 도 10의 어깨 부위(713)는 도 7에서의 누름 버튼(30)을 놓기 위함이다. 도 10의 나삿니(712)는 도 7의 너트(304)와 맞아 누름 버튼(30)을 잠근다. 도 7의 오링(78)은 도 10의 플랜지(716)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도 9의 씨트(60)와 연결되었을 때 물의 흐름을 멈춰지게 된다. 이것의 두껍고 둥근 모양은 도 9의 씨트(60)의 가장자리(602)의 둥근모양과 씰링이 잘 되게 한다. 도 7의 80번 바닥 판(80)은 도 10의 플랜지(716)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오링(78)을 고정시킨다. 도 11의 바닥 판(80) 위에 있는 홈(802)은 오링(78)을 더욱 잘 고정시키기 위해 있다. 도 11의 바닥 판(80)의 불룩한 부분(805)은 도 7의 압축 스프링(96)을 지지하기 위해서 있다. 도 11의 바닥 판(80)은 넓은 표면적(803)을 가져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 흡수된 압력은 압축스프링의 힘에 더해지며 수직의 잠금 밸브를 닫힌 상태로 만든다.
도 7의 오링(78)은 압력을 받은 유입물과 압축 스프링(96)으로부터 받은 압력 때문에 변형되거나 이탈되어 제 성능을 잃어버릴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1A의 홈(719)은 도 11의 플랜지(716) 위의 홈(719)과 바닥 판(80)의 몸체(803) 위의 홈(802)의 둥근 모양을 가져 오링(78)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 둥근 모양은 오링(78)의 변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오링에 가해지는 압력의 분배를 위한 최대한의 지지를 해준다. 또한 도 11A의 오링(78)의 너비 W는 두께 D에 비해 작아야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도 11A에서 보듯이 노출된 너비를 W, 두께를 D라고 하면, 오링(78)의 이탈을 막고 잠금 밸브를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수식이 성립한다.
W<D
노출된 너비 W와 오링(78)의 두께인 D의 차이는 도 11A의 홈(719,802)에 끼워지는 오링(78)의 안정성을 결정한다. 그러나 절대적인 차이는 오링(78)이 작은 두께에서 큰 두께까지의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에 그 의미가 절대적이진 않다. 따라서 이 차이값은 오링(78)의 두께에 따라 상대적인 값으로 계산되어야 의미를 가지며 수식은 아래와 같다.
차이 비율(Difference Ratio)=(D-W)/D
차이 비율이 크면 클수록 오링은 더욱 안정하고 이탈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최적의 차이 비율을 가지기 위해 몇가지 영향을 주는 인자가 있다. 그 중 하나는 노출된 너비 W는 제대로 연동되기 위해서는 씨트(60)와 최소한의 접촉면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다른 요인은 오링이 만들어진 재료이다. 오링(78)이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질수록 차이비율이 커져서 오링의 이탈을 막는다.
도 7의 압축 스프링(96)은 도 9에서 보듯이 바닥 덮개(90)에 있는 가는 홈에 끼워지게 된다.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함께 압축 스프링의 압력은 축 구조(70)를 닫힌 상태로 만든다. 이것은 항상 물에 잠겨 있게 되므로 부식방지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탄력성 고무로 싸여서 만들어져야 한다. 도 7의 바닥 덮개(90)는 도 8의 아래 체임버(52)를 잠그고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압축 스프링(96)을 지지하기 위해서 있다. 도 9의 바닥덮개의 가는 홈(904)은 압축 스프링(96)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의 오링(98)은 도 9에서의 아래 체임버(52)에 있어서 하우징 몸체(50)와 바닥덮개(90)의 연접부위 사이로 물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있다.
도 7의 하우징(45) 위에 있는 40번 윗 덮개(40)는 입구(401)로 출입하는 축 구조(70)를 지지한다. 도 9의 윗 덮개(40)는 수나사(405)를 가져 도 8의 하우징 몸체(50)의 암나삿니(515)와 결합한다. 또한 도 9에서 보듯이 홈(43)을 가져 도 10에서의 샤프트(715), 축 구조(70)와 도 9의 윗 덮개(40)의 입구(401)간의 공간을 메꾸어 주는 오링(48)이 위치한다. 오링(48)은 도 9에서 보듯이 나삿니 공간까지 주변을 모두 씰링해준다. 윗 덮개(40)를 닫아서 오링(48)이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도 8의 몸체(50)에서 홈(517)과 도 9의 윗 덮개(40)에 있는 홈(43) 바깥으로 일어나는 오링(48)의 변형을 막아준다. 따라서 홈(517,43)은 샤프트(715)를 향해 안쪽으로 압력을 주므로 샤프트(715) 주변의 씰링을 보강한다. 오링(48)에 가해지는 압력은 도 9의 윗 덮개(40)를 잠그는 정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적절한 양의 가해지는 압력은 축 구조(70)의 적절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샤프트(715)와 윗 덮개(40)의 나삿니(405) 주변의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압력이 너무 높으면 샤프트(715) 주변에 씰링은 잘 되지만 축 구조가(70) 작동 하는 데는 불편함을 준다. 만일 압력이 너무 낮으면 축 구조(70)의 부드러운 움직임에는 좋지만 샤프트(715) 주변의 씰링은 잘 되지 못한다.
도 7의 누름버튼(30)은 몸체(302), 잠금 너트(304)와 마개(306)로 되어있다. 도 7의 몸체(302)는 도 12의 구멍(308)을 가지고 있어 도 11의 축 구조(70)의 어깨 부분(713)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큰 입구(307)를 가지고 있어 도 11의 축 구조(70)의 수나삿니(712)에 잠금 너트(304)를 끼울 수 있게 한다. 도 12의 잠금 너트(304)는 누름 버튼(30)의 몸체(302)를 통해 축 구조(70)와 연결되어 수동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누름 버튼(30)의 몸체(302)는 스타일이나 효율적인 측면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색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몸체(302)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누르는 부위가 넓은 것이 좋다. 도 12의 입구(307)의 홈(309)은 잠금 너트(304)와 입구(307)를 덮는 마개(306)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 너트(304)는 나일론이 삽입된 너트로 축 구조(70)의 회전운동에 따라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마개(306)는 다리(3061)가 몸체(302)의 홈(309)에 끼어 입구(307)를 닫게 되어있다. 또한 마개(306)는 입구(307)를 닫기 위해 나삿니로 잠글 수도 있다. 마개(306)는 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압력이 있을 때 이를 견디기 위한 구조와 재료로 구성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도 12의 누름 버튼(30)에 아무런 압력도 가하지 않을 때는, 축 구조(70)의 오링(78)은 씨트(60)의 가장자리(602)와 연접하여 있어 윗 체임버(51)와 아래 체임버(52) 사이에 물의 전달이 일어나지 않는다. 바닥 덮개(90)의 압축 스프링(96)과 아래 체임버(52)의 압력을 받은 물(5282)은 축 구조(70)를 씨트(60)의 가장자리(602)를 향해 압력을 주어 도 12에서 보듯이 내부 물 줄기(5281)가 출구(519)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도 13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P의 압력을 누름 버튼(30)에 가하면, 축 구조(70)는 밑으로 내려가 씨트(60)의 가장자리(602)와 축 구조(70)의 오링(78) 사이의 통로(529)를 만든다. 통로(529)는 아래 체임버(52)의 압력을 받은 물(5281)을 씨트(60)의 입구(601)를 통해 윗 체임버(51)로 흐르게 해 도 13에서 보듯이 출구(519)를 통해 물(5191)이 방출 된다. 방출된 물(5191)은 낮은 압력을 지녀서 사용자가 두 구성요소의 간편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서 먼 거리로 물을 전달 할 수 있으며 가늘고 긴 몸체 부분은 원하는 구역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구성요소의 간편한 분리는 다목적성에 맞도록 해주며 선택 가능한 확장바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분무기의 선택 가능한 분무꼭지는 다양한 형태로 분무를 가능하게 해주며 물은 단일한 줄기나 여러 개의 줄기로 분무 될 수 있고 단일한 물줄기는 작은 지점의 청소를 위한 강력한 압력을 제공하여 이와같은 다양한 분무 형태는 융통성있고 편리하여 다목적의 기능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 분무기의 수직 잠금 밸브는 사용자가 분무를 바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밸브는 유입 액체의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고안이 되어 있고 이 밸브의 구조는 높은 압력하의 물의 누출 문제를 해결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밸브는 복잡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 밸브의 구조는 물이나 다른 어떠한 액체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조절용 선형톱니바퀴가 달린 다목적 수동 분무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1-1 선을 따라 입구에서 출구로의 내부 통로를 볼 수 있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의 세가지 구성요소인 조절기, 확장바, 분무꼭지를 분해하여 간편한 조립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절기에서 조절용 선형톱니바퀴를 분리해낸 사시도로 외부구성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절기가 확장바에 연결되어 단일한 굵은 물줄기를 분무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분무기의 도 5의 조절기가 각이 있는 분무꼭지와 연결되어 여러 개의 물줄기를 분무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도4의 조절용 선형톱니바퀴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도 7의 조절용 선형톱니바퀴의 하우징의 몸체를 7-7 선을 따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도 8에 내부 구성요소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분무기의 윗 구조와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바닥판 사이의 오링이 놓이는 축 구조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 도 10의 축 구조를 10-10 선을 따라서 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1의 부분확대도로서 오링을 보여주며 본 발명 분무기의 윗 구조와 바닥판 사이의 홈에 끼어있고 씨트와의 연동을 위해 부분적으로 노출이 되어있음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도4의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를 4-4 선을 따라 닫힌 상태의 수직의 잠금 밸브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도 4의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를 4-4 선을 따라 누름 버튼이 눌려 열린 상태의 수직의 잠금 밸브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Claims (14)

  1.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 압력을 받은 물이 들어올 수 있는 연결기를 포함하는 입구, 간편한 연결을 위한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만들어진 출구, 상기 조절용 선형톱니바퀴를 통해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로 연결되는 내부 통로 및 걸이에 걸 수 있도록 디자인 된 몸체의 외관으로 구성된 조절기(101)와 ;
    상기 조절기의 상기 출구와의 간편한 연결을 위해 다양한 크기의 직경의 어댑터를 가진 입구부위, 간편한 연결을 위해 다양한 크기의 직경의 어댑터를 가진 출구 부위, 간편한 연결과 씰링(sealing)기능, 마찰기능을 위한 상기 입구와 출구부위의 오링, 상기의 입구와 출구를 내부적으로 연결하는 통로 그리고 걸이에 걸 수 있도록 디자인 된 몸체의 외관으로 구성된 확장바(103)와;
    다양한 각도로 몸체가 휘어있는 상기 확장바의 출구와의 간편한 연결을 위해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진 입구 구멍, 공기 중으로 물을 분무할 수 있는 출구 구멍, 상기의 출구구멍을 덮을 수 있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작은 구멍들을 가져 얇은 줄기의 물을 분무할 수 있는 덮개판, 상기의 출구 구멍과 상기의 덮개판을 씰링(sealing)할 수 있는 오링, 상기의 확장바의 출구와 상기 입구가 똑바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입구의 체임버(chamber), 상기입구에서 체임버를 통해 출구까지 이어지는 내부의 통로를 가진 분무꼭지(10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20)는 압력을 받은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아래 체임버와 방출된 물을 내보낼 수 있는 윗 체임버를 가진 몸체, 상기 윗 체임버의 위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입구구멍, 축 구조가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입구구멍에서 상기 윗 체임버를 연결하는 통로, 상기 통로의 입구구멍을 씰링할 수 있는 오링, 상기 입구구멍을 위한 윗 덮개, 씰링을 돕기 위한 상기 오링을 놓을 수 있는 상기 입구구멍의 홈, 상기 조절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상기 아래 체임버의 상기 입구구멍, 상기 조절기의 출구와 연결되는 상기 윗 체임버의 상기 출구구멍, 상기 아래와 윗 체임버의 사이에 있는 상기 몸체에 고정된 씨트, 상기의 씨트를 씰링할 수 있는 오링, 상기 아래 체임버에 위치하며 압축 스프링에 의해 닫힌 상태의 축 구조로 이루어진 하우징(45)과;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아래 체임버에서 상기 윗 체임버로의 물줄기의 이동을 시킬 수 있는 축 구조(70)와;
    상기 축 구조의 윗 구조에 위치시킬 수 있는 구멍을 가진 몸체, 상기 축 구조의 상기 윗구조와 상기의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너트, 상기의 잠금 너트, 상기 입구구멍을 덮기 위한 마개를 위치시킬 수 있는 상기 몸체의 입구를 가진 누름 버튼(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 구조(70)는 탄력성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가운데에 둥근 구멍이 있는 오링(78)과;
    수동조작을 위해 상기 조절기의 바깥 부분으로 나와있는 몸체, 상기 누름 버튼에 상기 잠금 너트를 위치시키기 위해 한쪽 끝에 위치한 나삿니, 상기 누름 버튼의 상기 몸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어깨부분, 씰링을 잘하기 위한 긴 실린더 형태의 얇은 형태와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며 상기 어깨부분보다 두께가 두꺼워서 상기의 누름 버튼을 상기의 어깨부분에 고정 시킬 수 있는 샤프트, 반대쪽 끝에 위치해 둥근 디스크 모양을 가져 상기 씨트의 큰 입구에 끼워질 수 있는 플랜지, 상기 오링을 위치시킬 수 있는 상기 플랜지 위의 홈, 상기 플랜지의 한쪽 끝에서 상기 샤프트의 방향으로 나사를 이용해 고정된 고정장치를 위한 입구로 구성된 윗 구조(71)와;
    상기 오링으로 유입된 물의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둥근 디크스 형태의 외관을 가진 몸체, 상기 오링을 위치시킬 수 있는 홈, 상기의 압축 스프링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납작한 한쪽 면의 한가운데에 있는 프로젝트(project), 상기 프로젝트(project)의 중간에서 상기 몸체의 다른 면으로 통과하는 잠금 장치를 위한 입구로 구성된 바닥판(80) 및
    상기 윗 구조와 상기 바닥판 사이의 상기 오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장치(89)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20)는 상기 조절기의 몸체에 구조적 연접을 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몸체가 상기 조절기의 몸체에 주입되어 상기 조절용 선형 톱니바퀴의 독립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씨트(60)는 축 구조의 상기 오링과 잘 연접되게 하기 위한 둥글고 부드러운 표면으로 된 플랜지(716)와;
    상기 축 구조와 방출된 물이 지나가는 통로의 중간에 다각형 모양의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져 공구를 이용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게 한 제 1입구(604)와 둥근 모양의 큰 직경을 가져 상기 축 구조의 윗 구조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제 2입구(605)로 이루어진 두 종류의 크기의 직경을 가진 입구(601)와;
    씰링을 하기 위한 상기 오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상기 씨트의 외부에 위치한 플랜지(716)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윗 덮개(40)는 상기 축 구조가 지나갈 수 있도록 가운데에 뚫린 입구, 상기 축 구조의 샤프트를 씰링하는 오링을 놓을 수 있는 홈, 상기 하우징 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삿니를 포함하는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오링에 가해지는 압력을 몸체에서 조절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다목적 분무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덮개(90)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몸체에 고정될 수 있는 나삿니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압축 스프링을 잘못두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운데에 있는 오목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윗 덮개(40)와 바닥덮개(90)의 구조는 다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양과 상기 몸체의 고정을 도울 수 있는 횡단선을 포함하는 특징적인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용 선형톱니바퀴(20)의 구성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부식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 구조의 상기 오링(78)은 상기 홈에 들어가 싸여지며 상기 씨트와의 연접을 위한 노출된 너비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오링의 두께보다 크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바(103)는 길고 가는 모양의 몸체로 구성되어 제한된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꼭지(105)는 얇은 모양의 몸체와 끝이 둥근 모양으로 구성되어 제한된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씰링(sealing)과 마찰 기능을 위하여 탄력성 소재의 물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한 연결 수단은 씰링과 마찰기능을 위한 오링과 같은 틈을 채워주는 물질들을 포함하고 첫번째 구성요소의 출구와 두번째 구성요소의 입구가 미끄러져 들어가는 동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KR1020040044399A 2003-12-09 2004-06-16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KR20050026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31,180 2003-12-09
US10/731,180 US7051959B2 (en) 2003-12-09 2003-12-09 Multi-purpose hand held sprayer having a vertical shut-off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987A true KR20050026987A (ko) 2005-03-17

Family

ID=3463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399A KR20050026987A (ko) 2003-12-09 2004-06-16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051959B2 (ko)
EP (1) EP1711232A2 (ko)
JP (1) JP2007513758A (ko)
KR (1) KR20050026987A (ko)
CN (1) CN1889998A (ko)
AU (1) AU2004304869A1 (ko)
BR (1) BRPI0417490A (ko)
CA (1) CA2547208A1 (ko)
IL (1) IL176114A0 (ko)
MX (1) MXPA06006554A (ko)
RU (1) RU2006124607A (ko)
WO (1) WO2005060474A2 (ko)
ZA (1) ZA2006056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4483A4 (en) * 2004-10-15 2008-09-03 California Blue Llc SPRÜHBRÄUNE-discharge
US7850098B2 (en) 2005-05-13 2010-12-14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Power sprayer
US11267003B2 (en) 2005-05-13 2022-03-08 Delta Faucet Company Power sprayer
US7661609B2 (en) * 2005-09-08 2010-02-16 Black & Decker Inc. Pressure washer with soft start washer wand
US7871020B2 (en) 2006-01-26 2011-01-18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Faucet spray head with volume control
CA2641597C (en) 2006-02-06 2013-11-26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Power sprayer
US8152078B2 (en) * 2006-10-25 2012-04-10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Faucet spray head
GB2447075B (en) * 2007-02-28 2011-09-07 Air Eze Ltd Lance
US20090140075A1 (en) * 2007-12-03 2009-06-04 Samhong Tech Co., Ltd.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US8448667B2 (en) 2009-10-19 2013-05-28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ulti-function pull-out wand
US9051722B2 (en) * 2011-03-04 2015-06-09 Kohler Co. Multi-spray bidet
CN102261118B (zh) * 2011-05-12 2015-04-29 浙江格勒卫浴科技有限公司 自洁清洗装置
DE102011101898A1 (de) * 2011-05-18 2012-11-22 Meadwestvaco Calmar Gmbh Fluidaustragkopf
CN102862731A (zh) * 2011-07-07 2013-0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容器
MX2013004762A (es) * 2012-04-27 2013-12-16 Chapin Mfg Inc Cierre para rociadores.
CN103767603B (zh) * 2012-10-17 2018-05-04 巴西电力冶金工业洛伦泽蒂有限公司 电热水装置
EP3122467A4 (en) * 2014-03-25 2017-11-29 Candice Alice Boyne Personal care spray delivery device
CN104226497B (zh) * 2014-08-22 2017-01-18 太仓市中峰模具塑胶有限公司 一种快速接口喷头
US9744548B2 (en) 2015-02-17 2017-08-29 The Fountainhead Group, Inc. Telescoping spray wand assembly
US9957704B2 (en) * 2016-04-15 2018-05-01 2Go Products Llc Bidet nozzle insert
WO2018156190A1 (en) * 2017-02-22 2018-08-30 Auto Cleaning Toilet Seat Usa, Llc Auto cleaning toilet seat assembly
CN108869804B (zh) * 2017-05-08 2024-04-09 漳州松霖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带净水出水功能的出水终端
US20190032828A1 (en) * 2017-07-31 2019-01-31 Stoneage, Inc. Locking apparatus for threaded component connections
CN109018730B (zh) * 2018-06-25 2020-12-22 湖州师范学院 一种移液枪
CN109016389B (zh) * 2018-07-30 2021-12-10 淮北微立淘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保护套模具热流道系统
RU185645U1 (ru) * 2018-10-04 2018-12-13 Адриан Трейдинг Лтд Кнопоч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SE2051390A1 (en) * 2020-11-30 2022-05-31 Altered Stockholm Ab Water saving nozzle and shower head comprising such nozzle
SE2250627A1 (en) * 2022-05-25 2023-11-26 Altered Stockholm Ab Water saving nozzle and shower head comprising such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228A (en) * 1897-10-05 goltermann
US889952A (en) * 1907-10-17 1908-06-09 Daniel J Mcginley Barrel tap and faucet.
US1611241A (en) * 1922-06-14 1926-12-21 Hugh W Sanford Lubricating apparatus
US1677446A (en) * 1926-05-17 1928-07-17 Hartmetz Ernst Blower
US2369356A (en) * 1941-01-29 1945-02-13 Koehn Nathaniel Blowgun
US2457993A (en) * 1944-07-20 1949-01-04 Lowell Specialty Company Spraying device
US2622841A (en) * 1948-12-29 1952-12-23 American Cystoscope Makers Inc Control valve for dental drill units
US2939675A (en) * 1954-01-12 1960-06-07 Atlas Copco Ab Throttle valves for pneumatic tools or the like
US2758873A (en) * 1956-04-09 1956-08-14 Theodore C Leisenring Spray guns
US2969809A (en) * 1956-09-27 1961-01-31 Karl A Klingler Fluid control nozzle
US2945703A (en) * 1958-06-06 1960-07-19 Walter W Ballard Valve and key therefor
US2959391A (en) * 1958-08-04 1960-11-08 Kenco Products Corp Valve with sliding plunger
US3140830A (en) * 1963-03-11 1964-07-14 Wm Cissell Mfg Company Liquid spraying apparatus
US3321178A (en) * 1964-05-15 1967-05-23 Hudson Mfg Co H D Control valve for sprayers
US3565344A (en) * 1967-06-30 1971-02-2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sprayer
US3768734A (en) * 1972-04-26 1973-10-30 Arrowhead Prod Corp Manually operated sprayer
US3866839A (en) * 1974-08-02 1975-02-18 Edward J Magner Torch head construction
US3904116A (en) * 1975-01-09 1975-09-09 Disston Inc Portable cordless sprayer
US3993250A (en) * 1975-05-19 1976-11-23 Shure Alan H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 materials
JPS584597Y2 (ja) * 1976-01-30 1983-01-26 株式会社六郷製作所 噴霧器
US4286616A (en) * 1976-02-03 1981-09-01 Botnick Irlin H Non-freeze wall hydrant
US4128209A (en) * 1977-09-12 1978-12-05 Scovill Manufacturing Company Air gun
US4171169A (en) * 1978-01-03 1979-10-16 Williams Stanley B Hand held washer
JPS6225246Y2 (ko) * 1979-07-27 1987-06-27
US4260130A (en) * 1979-07-30 1981-04-07 B & G Equipment Company Valve for corrosive fluids
US4396154A (en) * 1981-06-04 1983-08-02 Patbern, Inc. Control valve for welding torch and the like
US4545533A (en) * 1982-08-16 1985-10-08 Josam Developments, Inc. Ablution faucet
GB8316027D0 (en) * 1983-06-11 1983-07-13 Ass Sprayers Ltd Hand-operated sprayers
US4544133A (en) * 1984-05-25 1985-10-01 Root-Lowell Mfg., Co. Shut-off valve for a sprayer
JPS61130361U (ko) * 1985-01-30 1986-08-15
JPS63115982U (ko) * 1987-01-20 1988-07-26
JPS63130159U (ko) * 1987-02-16 1988-08-25
JPH0336782Y2 (ko) * 1987-02-27 1991-08-05
GB2207299A (en) * 1987-07-20 1989-01-25 Nomix Mfg Co Ltd A coupling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s
US4958754A (en) * 1989-03-01 1990-09-25 Continental Sprayers, Inc. Dispenser or sprayer with vent system
US5064170A (en) * 1991-05-14 1991-11-12 Root-Lowell Corporation Sprayer shutoff valve
US5992823A (en) * 1996-07-25 1999-11-30 Hung-Lin; Lai Structure of a shutoff valve
US5735467A (en) * 1996-09-05 1998-04-07 Lee; Cheng-Chung Three-way adjustable shower device
US6269821B1 (en) * 1999-12-13 2001-08-07 Joseph J. Berke Aerosol applicator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and beauty products
US6502766B1 (en) * 2000-07-24 2003-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sprayers
US6422485B1 (en) * 2000-12-04 2002-07-23 Chao-Te Hsu Pistol nozzle
US6802455B1 (en) * 2003-03-26 2004-10-12 Willie V. Evans Atom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76114A0 (en) 2006-10-05
AU2004304869A1 (en) 2005-07-07
WO2005060474A3 (en) 2006-03-23
RU2006124607A (ru) 2008-01-20
US20050121542A1 (en) 2005-06-09
CN1889998A (zh) 2007-01-03
MXPA06006554A (es) 2007-01-26
JP2007513758A (ja) 2007-05-31
ZA200605604B (en) 2007-12-27
WO2005060474A2 (en) 2005-07-07
US7051959B2 (en) 2006-05-30
EP1711232A2 (en) 2006-10-18
BRPI0417490A (pt) 2007-05-22
CA2547208A1 (en)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6987A (ko) 수직의 잠금 밸브를 가진 다목적 수동식 분무기
KR100897859B1 (ko) 풀아웃형 수도꼭지
US5402916A (en) Dual chamber sprayer with metering assembly
US7201332B2 (en) Adjustable spray nozzle
US20080067264A1 (en) Faucet Spray Control Assembly
EP1286782B1 (en) Combination spray apparatus
US20100043898A1 (en) Bridge Faucet with Side Spray Kit
US6438767B1 (en) Adjustable height showerhead
US5129584A (en) Valve nozzle assembly
US6561439B1 (en) Dual closure nozzle
EP2917419B1 (en) Faucet handle with valve cartridge parallel to mounting surface
US20020175223A1 (en) Switch of straight sprinkling gun
US6467104B1 (en) Faucet assembly having an attachable sprayer nozzle
JPH0336779Y2 (ko)
JP2004290884A (ja) シャワーノズル
RU2014797C1 (ru) Душевая насадка
JPH04398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