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761A - 공 세척기 - Google Patents

공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761A
KR20050026761A KR1020030062882A KR20030062882A KR20050026761A KR 20050026761 A KR20050026761 A KR 20050026761A KR 1020030062882 A KR1020030062882 A KR 1020030062882A KR 20030062882 A KR20030062882 A KR 20030062882A KR 20050026761 A KR20050026761 A KR 20050026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water
inner tube
rotating ro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925B1 (ko
Inventor
김관석
Original Assignee
김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석 filed Critical 김관석
Priority to KR2003006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92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A63B2047/046Motori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 세척기는,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수조와 회전봉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 상기 회전봉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과 내관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에 물을 샤워시키기 위한 샤워장치; 상기 수조내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에 살균력을 발생시키는 전해장치; 및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이 상기 수조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수조의 상단과 상기 내관의 상단 사이를 차단할 수 있는 뚜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기기의 이동성이 좋으며, 공의 세척력 및 세척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세척된 공을 살균처리 할 수 있어 공 이용자의 위생에 이로운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 세척기{A ball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공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공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공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 세척기(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11)와, 상기 수조(11)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회전봉(12)과, 상기 회전봉(1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3)와, 상기 수조(11)와 회전봉(12)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11)의 바닥과 일정 간격(A) 떨어지도록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14)과, 상기 회전봉(12)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1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12)과 내관(14)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15)과, 상기 내관(14)의 상부로 공을 투입시키기 위하여 흡입모터(16a)를 포함하는 공 흡입장치(16)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공 세척기에 의한 공의 세척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흡입장치(16)에 의해 상기 내관(14)의 상부로 고무공이 투입되면, 상기 회전봉이 강하게 회전함에 따라 고무공이 상기 세척솔(15)에 의해 닦이며 하방향으로 스크류 형태의 이동을 한다. 이러한 스크류 형태의 이동은 상기 회전봉이 강하게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척솔(15)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상기 세척솔(15)이 고무공의 무게를 견뎌내고 스크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무공이 닦여지며 상기 내관(14)의 하단까지 이동하면, 공은 수조(11)의 바닥과 내관(14)의 하단 사이의 간격(A)으로 빠져나와 수조에 담긴 물 위로 뜨게 된다. 이렇게 세척되어 물 위로 떠오른 고무공을 수거함으로써, 공 세척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 세척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공 세척기가 가정이나, 유치원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공을 세척해 주는 서비스 업체에 의해 사용되어 지는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 세척기(1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장치가 기타의 물건과 간섭을 일으켜 기기의 이동성이 떨어지고, 둘째, 간섭에 의한 흡입장치(16)의 파손이 발생하기 쉬웠다.
셋째, 공이 내관의 상부로 투입될 시에 공 표면에 물기가 없기 때문에 공이 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물에 닿을 시점부터 제대로 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의 세척력이 떨어진다.
넷째, 공이 물에 닿을 시점부터 제대로 된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조(11)에 담긴 물의 수위를 높일 수밖에 없었고, 물의 수위가 높으면 필연적으로 수압이 세기 때문에 고무공을 강제로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회전봉을 강하게 회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전력 소모가 큰 대용량의 회전모터를 구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공 세척기의 생산단가 및 기기의 무게를 증가시켰다.
다섯째, 공 세척기가 단순히 공의 세척만을 수행함으로 인하여, 세척 이외의 또 다른 용도를 가지지 못하였으므로, 가격대비 활용도가 낮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성 및 세척력이 좋으며, 세척 이외의 또 다른 용도를 가지는 공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 세척기는,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수조와 회전봉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 상기 회전봉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과 내관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 및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에 물을 샤워시키기 위한 샤워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샤워장치는,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을 샤워시키기 위해 상기 내관의 상부 측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제1분사부;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제1분사부로 공급하는 수중모터; 및 상기 수중모터로부터 상기 제1분사부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 을 포함하는 것을 보다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분사부는, 상기 내관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리형상의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은, 상기 내관의 상측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보다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샤워장치는, 상기 내관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을 샤워시키기 위한 제2분사부;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제2분사부로 공급하는 수중모터; 및 상기 수중모터로부터 상기 제2분사부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 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내관의 측면에는, 상기 내관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분사부는, 상기 홈에 안착되는 일자형의 중공관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관은, 상기 회전봉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 세척기는,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수조와 회전봉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 상기 회전봉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과 내관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 및 상기 수조내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에 살균력을 발생시키는 전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 세척기는,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 수직하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수조와 회전봉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 상기 회전봉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과 내관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 및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이 상기 수조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수조의 상단과 상기 내관의 상단 사이를 차단할 수 있는 뚜껑;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뚜껑은, 상기 수조의 상단과 상기 내관의 상단 사이를 차단하며 하방향으로 볼록한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로 공급되는 공을 상기 내관의 상측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뚜껑은, 상기 유도부를 통해 상기 내관으로 미처 투입되지 못한 공이 상기 뚜껑에 담겨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솟은 원통형의 저장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보다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세척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 세척기에 대한 단면도, 도3은 도2의 공 세척기의 주요 부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공 세척기(200)는,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21)와, 상기 수조(21)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 수직으로 길게 마련되는 회전봉(22)과, 상기 회전봉(2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3)와, 상기 수조(21)와 회전봉(22)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21)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24)과, 상기 회전봉(22)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22)과 내관(24)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25)과, 공이 상기 내관(24)의 상부로 투입되는 시점부터 상기 수조에 담긴 물이 있는 곳까지 이동하는 동안 공에 물을 샤워시키기 위한 샤워장치(26 내지 28b)와, 상기 수조(21) 내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에 살균력을 발생시키는 전해장치(29)와, 상기 내관(24)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이 상기 수조(21)로 오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수조(21)의 상단과 상기 내관(24)의 상단 사이를 차단할 수 있는 뚜껑(30)과,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31) 및 상기 수조(21)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샤워장치(26 내지 28b)는, 상기 내관(24)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을 샤워시키기 위해 상기 내관(24)의 상부 측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제1분사부(28a), 상기 내관(24)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을 샤워시키기 위한 제2분사부(28b)와, 상기 수조(11)의 물을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28a, 28b)로 공급하는 수중모터(26)와, 상기 수중모터(26)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28a, 28b)로 물을 안내하는 안내관(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분사부(28a)는, 상기 내관(24)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관(28a)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분사공(a)이 형성된 고리형상의 중공관을 가진다. 도4는 이러한 제1분사부(28a)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 상기 제2분사부(28b)는, 상기 내관(24)의 일 측면에 상기 내관(24)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홈(24a)에 안착되며, 상기 회전봉(22)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사공(b)이 형성된 중공관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28a, 28b)는 분사되는 물이 강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되는 샤워꼭지의 분사형태와 유사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즉, 분사공(a, b)을 아주 작게 구성시킴으로써 강한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5는 도2의 I부분을 확대도시한 확대도로써, 분사공(a, b)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분사부(28a, 28b)의 분사 방향을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는데, 제1분사부(28a)에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은 분사공(a) 일정 정도 대각선 방향으로 분사되게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뚜껑(30)의 유도부(30b)를 통하여 내관(24)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에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분사부(28b)에서 분사되는 물은 수평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b)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뚜껑(30)은, 상기 수조(21)의 상단과 상기 내관(24)의 상단 사이를 차단하며 하방향으로 볼록한 차단부(30a)와, 상기 차단부(30a)로 공급되는 공을 상기 내관(24)의 상측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30b) 및 상기 유도부(30b)를 통해 상기 내관(24)으로 미처 투입되지 못한 공이 상기 뚜껑(30)에 담겨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30a)의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솟은 원통형의 저장벽(30c)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세척기(200)의 사용을 도6의 사용 상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물공급부(31)에 의해 수조(21)에 물을 공급한 후 공을 일정한 용기(미도시, 바구니와 같은 용기)에 담아 도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뚜껑(30)의 상부로 담는다.
뚜껑(30)에 담겨진 공은 상기 유도부(30b)를 통해 상기 내관(24)의 상부로 투입되며, 수중모터(26) 및 안내관(27)에 의해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된 제1분사부(28)에서 상기 내관(24)의 상부 측으로 분사 되는 물에 의해 투입되는 공의 샤워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뚜껑(30)의 차단부(30a)에 의해 공이 수조(21) 측으로 오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저장벽(30c)은 미쳐 내관(24)으로 투입되지 못한 공이 뚜껑에 담겨져 있을 수 있도록 한다.
내관(24)의 상부로 투입된 공은 회전봉(22)이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스크류 형상을 유지하는 세척솔(25)에 의해 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스크류 형태의 이동을 하며 닦인다. 따라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하로 소정 길이 형성된 홈(24a)이 있는 부근을 지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분사부(28b)에 형성된 분사공(b)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에 물이 공급되며, 지속적인 세척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부가하면, 공의 표면에 묻어 있던 물은 공을 닦는 세척솔(25)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세척솔(25)로 이동한 물은 회전봉(22) 및 세척솔(25)이 강하게 회전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세척솔(25)을 이탈하여 내관(24)의 내벽면으로 빠지게 되어 공 표면에 물이 부족하게 되어 세척력이 저감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여기에 상술한 제2분사부(28b)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도6에는 위와 같은 제1 및 제2분사부(28a, 28b)에 의해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형태가 표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전해장치(29)는 공 세척기(200)의 작동과 함께 수조(11)에 담긴 물을 전해시키기 시작한다. 이렇게 전해장치(29)에 의해 전해되어 살균력을 가진 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분사부(28a, 28b)에 의해 공에 샤워가 이루어짐으로써 공의 표면을 살균처리 하여 공이 세척과 동시에 살균처리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이 내관(24)의 하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물에 잠기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세척과 함께 전해된 물에 의한 살균처리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내관(24)의 하단까지 이동한 공은 수조(21)의 바닥과 내관(24)의 하단 사이의 간격을 통해 내관(24)의 외부로 빠져나와 수조(21)에 담긴 물 위로 떠오른다.
사용자는 물 위로 떠오른 공을 수거(고무공의 경우)하거나, 공의 세척이 모두 이루어진 후 배수장치(32)를 통해 물을 배수시킨 후 공을 수거함으로써, 공 세척작업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6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 세척기의 이동성이 향상된다.
둘째, 공의 세척력이 향상된다.
셋째, 공이 살균처리 됨으로써 공을 사용하는 자의 위생을 보호하는데, 특히, 볼풀공과 같은 고무공은 면역력이 약한 유아들이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 세척기를 이용하면, 유아들의 위생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1은, 종래 공 세척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 세척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공 세척기의 주요 부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제1분사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도2의 I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의 공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공 세척기 21: 수조 22: 회전봉
23: 회전모터 24: 내관 24a: 홈
25: 세척솔 26: 수중모터 27: 안내관
28a: 제1분사부 28b: 제2분사부 29: 전해장치
30: 뚜껑 30a: 차단부 30b: 유도부
30c: 저장벽 31: 물공급장치 32: 배수장치
a, b: 분사공

Claims (11)

  1.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수조와 회전봉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
    상기 회전봉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과 내관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 및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에 물을 샤워시키기 위한 샤워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장치는,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을 샤워시키기 위해 상기 내관의 상부 측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분사부;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수중모터; 및
    상기 수중모터로부터 상기 분사부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내관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리형상의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은, 상기 내관의 상부에서 투입되는 공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장치는,
    상기 내관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을 샤워시키기 위한 분사부;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분사부로 공급하는 수중모터; 및
    상기 수중모터로부터 상기 분사부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측면에는, 상기 내관의 상단에서 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홈에 안착되는 일자형의 중공관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관은, 상기 회전봉을 향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6.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로 길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수조와 회전봉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
    상기 회전봉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과 내관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 및
    상기 수조내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에 살균력을 발생시키는 전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7. 물이 담길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하며 상하 수직하게 마련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수조와 회전봉 사이에 하단이 상기 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관;
    상기 회전봉에 전체적으로 스크류 형상으로 심어져 상기 회전봉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과 내관 사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의 스크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동하는 공을 닦아주는 세척솔; 및
    상기 내관의 상부로 투입되는 공이 상기 수조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수조의 상단과 상기 내관의 상단 사이를 차단할 수 있는 뚜껑;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수조의 상단과 상기 내관의 상단 사이를 차단하며 하방향으로 볼록한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로 공급되는 공을 상기 내관의 상측으로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유도부를 통해 상기 내관으로 미처 투입되지 못한 공이 상기 뚜껑에 담겨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솟은 원통형의 저장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10.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11. 제1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 세척기는, 상기 수조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세척기.
KR20030062882A 2003-09-09 2003-09-09 고무공 세척기 KR10061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2882A KR100611925B1 (ko) 2003-09-09 2003-09-09 고무공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2882A KR100611925B1 (ko) 2003-09-09 2003-09-09 고무공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761A true KR20050026761A (ko) 2005-03-16
KR100611925B1 KR100611925B1 (ko) 2006-08-10

Family

ID=3738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2882A KR100611925B1 (ko) 2003-09-09 2003-09-09 고무공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9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100576A1 (it) * 2010-09-24 2012-03-25 Simoni S R L Macchina per pulire ed elevare palline e simili
CN108941032A (zh) * 2018-08-01 2018-12-07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一种涡流式压簧中药材清洗过滤装置
CN112190893A (zh) * 2020-09-30 2021-01-08 淮南联合大学(安徽广播电视大学淮南分校、淮南职工大学) 一种体育器材快速清洗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3515B2 (en) * 2009-10-06 2012-06-05 Arthur Kreitenberg Sports ball sterilizer
CN111773644A (zh) * 2018-07-23 2020-10-16 周春梅 一种足球训练场用足球清洗设备及清洗方法
CN112044827A (zh) * 2020-08-03 2020-12-08 马鞍山鹏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球类玩具的清洗消毒装置
CN112221095B (zh) * 2020-11-25 2021-09-24 苏州帅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体育用皮质球类清洗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100576A1 (it) * 2010-09-24 2012-03-25 Simoni S R L Macchina per pulire ed elevare palline e simili
CN108941032A (zh) * 2018-08-01 2018-12-07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一种涡流式压簧中药材清洗过滤装置
CN108941032B (zh) * 2018-08-01 2020-05-22 安徽恒达药业有限公司 一种涡流式压簧中药材清洗过滤装置
CN112190893A (zh) * 2020-09-30 2021-01-08 淮南联合大学(安徽广播电视大学淮南分校、淮南职工大学) 一种体育器材快速清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925B1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5662B1 (ja) 浴室洗浄装置及び浴室ユニット
CN205550962U (zh) 一种带有滤杂功能的医疗器械循环清洗装置
CN205267940U (zh) 一种高效节能家用洗菜机
KR100611925B1 (ko) 고무공 세척기
JP2006311953A (ja) 回転ノズル及びこの回転ノズルを使用した洗剤溶解装置
KR20060031986A (ko) 고압 펌프를 가진 생수통 세척장치
US11882974B2 (en) Ultrasonic spoon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41659B1 (ko) 텀블러 세척장치
CN208866105U (zh) 一种洗刷一体式洗瓶机
KR20190001245U (ko) 텀블러 세척장치
KR101446633B1 (ko) 젖병 살균 세척기
CN109330529A (zh) 杯子清洗装置
KR20190071253A (ko) 병 자동 세척기
CN108094840A (zh) 食品清洗消毒机
CN205522172U (zh) 高分子材料生产用自洗型冷却槽
KR101884845B1 (ko) 볼풀장용 볼 세척장치
CN111701956A (zh) 一种筒状工件用离心式样变洗刷设备
US7725971B2 (en) Liquid container cleaner
AU20102018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washing playthings
CN208912746U (zh) 一种饮料玻璃瓶清洗装置
KR200211024Y1 (ko) 세탁용 세라믹볼 케이스
CN213793321U (zh) 光刻胶生产设备自动清洗装置
JP2004024623A (ja) 靴底洗浄装置
KR101730346B1 (ko) 때밀이장치
KR20070098293A (ko) 전해 살균수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