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994A - 가변 크기 멀티-페인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가변 크기 멀티-페인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994A
KR20050025994A KR1020057001286A KR20057001286A KR20050025994A KR 20050025994 A KR20050025994 A KR 20050025994A KR 1020057001286 A KR1020057001286 A KR 1020057001286A KR 20057001286 A KR20057001286 A KR 20057001286A KR 20050025994 A KR20050025994 A KR 20050025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edia device
content
display
informa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우루스 씨. 네에브르트
로베르트 코르테노이븐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2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9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43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 A63F2003/00662Electric board games; Electric features of board games with an electric sensor for playing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47Playing pieces with particular shapes
    • A63F2003/00757Planimetric shapes, e.g. disks
    • A63F2003/00766Tri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47Playing pieces with particular shapes
    • A63F2003/00757Planimetric shapes, e.g. disks
    • A63F2003/00772Rect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63F2003/00747Playing pieces with particular shapes
    • A63F2003/00757Planimetric shapes, e.g. disks
    • A63F2003/00785Hex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88Remotely playable
    • A63F2009/2489Remotely playable by radio transmitters, e.g. usin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2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the game being played by multiple players at a common site, e.g. in an arena, theatre, shopping mall using a large publ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디바이스(23 내지 26)에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된 디스플레이 유닛(10) 수단에 의해 컨텐트를 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컨텐트 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게임 유닛, 또는 모바일 유닛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위치에 연결 또는 부착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를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컨텐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아이템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상기 위치 및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컨텐트에 따르는,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 결정 단계; 제 1 정보 아이템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제시하는(즉, 디스플레이 및/또는 재생)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평문, 픽처들, 프레임들, 비디오, 워드-프로세서 데이터,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게임 피규어들, 게임 요소들, 텍스트, 또는 픽처 메시지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41)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제 1 위치를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하여 위치한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된 디스플레이 유닛상에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및/또는 재생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컨텐트는 사용자에 의해 직관적이고 간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크기 멀티-페인 디스플레이{Variable size multi-pane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 수단에 의한 컨텐트 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컨텐트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6,104,359호는 확장된 컴퓨터 데스크탑 작업 영역을 개시한다. 소위 포킹 드라이버(forking driver)는 그래피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프로그램과 복수의 컴퓨터 모니터 디스플레이 스크린들간에 논리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포킹 드라이버는 상기 컴퓨터 데스크탑의 1차 스크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으로 인도하는 기능 호출을 가로챌 수 있고(intercept), 그 다음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이 상기 1차 스크린과 상이한 스크린(들)으로 변경되도록 야기하기 위해 기능 호출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방법은 컴퓨터 데스크탑의 1차 스크린과 유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들과만 관계한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는 자신이 무엇을 보길 원했는지 쉽게 결정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스크린 공간이 툴바들, 상태-윈도우들, 프레임들, 등의 사용을 통해 제시되는 여분의 기능들에 의해 점유된다는 것이 또한 문제점이다. 이들 스크린의 대부분의 컨텐트는 주 컨텐트를 향한 지지 기능을 구비한다. 결국, 스크린 공간은 상기 지지 기능들의 존재 및 레이아웃 때문에 상기 지지 기능들로 사라진다는 것이 문제점이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드웨어적인 구현을 도시하는 도.
도 3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여러 레이아웃들을 도시하는 도.
도 4는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여러 레이아웃들의 여러 연결들을 도시하는 도.
도 5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수단에 의해 컨텐트를 제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컨텐트 또는 컨텐트 부분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 사용자가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1차 스크린으로부터의 작은 컨텐트 부분을 다른 스크린 또는 유사한 크기의 디스플레이상에 보이는 것은 종종 적절하지 않다.
다른 경우들에서, 너무 큰 크기의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상에 컨텐트 부분을 보이는 것은 또한 용이하지 않다.
반대로, 다른 경우들에서, 너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컨텐트를 보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그 이상의 목적은 1차 스크린으로부터의 컨텐트 또는 컨텐트 부분을 적절한 크기 및/또는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상에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상기 방법에 의해 달성될 것이고,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 1 위치에 연결 또는 부착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를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컨텐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아이템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상기 위치 및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컨텐트에 따르는,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 결정 단계;
제 1 정보 아이템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단계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어떤 원하는 위치에 놓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단계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미디어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되었는지를 발견할 수 있고, 미디어 디바이스는 이후 디스플레이 유닛을 찾아낼 수 있다.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및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컨텐트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평문(plain text), 픽처들, 프레임들, 비디오, 워드-프로세서 데이터,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게임 피규어(game figure)들, 게임 요소들, 텍스트, 또는 픽처 메시지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현재 제시되는 것을 반영할 수 있다.
제 4 단계에서, 그 다음에, 상기 정보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정보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수신되고, 그 다음에 가능하다면, 제시, 즉 디스플레이 및/또는 재생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미디어 디바이스상의 컨텐트 또는 컨텐트 근처에 직관적으로 연결 또는 부착할 것이고, 상기 컨텐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이하게(더 크게, 작게, 등) 디스플레이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제 1 단계 및 일반적인 다음 단계들의 수단에 의해, 어떤 컨텐트(부분)가 디스플레이될지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하는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점은 그 이상의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 부가적인 디스플레이 유닛이 어디에 놓여있는가에 따라 1차 스크린의 공간이 확장된다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이 육각형, 사각형,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상이한 레이아웃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 및/또는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상에 컨텐트를 제시하는 그 이상의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위치를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단계들 중 제 1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에 놓이거나 또는 통합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은 상기 신호 또는 신호들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현재 전송되기 때문에, 미디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결국, 상술된 단계들 중 제 2 단계에서, 상기 신호 또는 신호들은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위치한 센서 또는 센서들에 의해 수신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신호 또는 신호들의 수단에 의해, 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좌표들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1차 스크린의 공간이 확장될 수 있고, 특히 부가적인 디스플레이, 즉 디스플레이 유닛이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는 것(디스플레이 유닛 수단에 의해)이다.
더욱이, 부가적인, 더 큰, 더 고가의 컴퓨터 모니터 보다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입하는 것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트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더 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위치에 연결하거나 또는 부착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컨텐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아이템을 수신하고 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상기 위치 및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컨텐트에 따르고,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 수신 및 제시 수단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방법에 관련하여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이유들에 대한 동일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스피커를 갖는 작은 휴대용 디스플레이들일 수 있고, 이들은, 모니터의 주 디스플레이 스크린 공간내에서 윈도우들 또는 구석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특정 온-스크린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모니터들 또는 동등물에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아이디어(idea)는 모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즉 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온-스크린 컨텐트의 자동 전송을 커버한다. 그 다음에, 스크린 컨텐트의 전송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주 디스플레이 케이싱에 연결되자 마자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전송된 온-스크린 컨텐트는 지지 특성들을 갖는 비주얼 정보 및 오디오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의 이들 타입들은 여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의 게임들 및 툴 패널들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발견돌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그 다음에, 미디어 디바이스의 주 디스플레이의 윈도우들 또는 구석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특정 온-스크린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온-스크린 컨텐트는 그 다음에 미디어 디바이스의 주 디스플레이로부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에 따라 전송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계하여 도들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특징들, 기능들, 등을 표시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참조 번호(10)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은 참조 번호(11)로 도시된 프론트(front)를 갖는다. 상기 프론트 전에, 참조 번호(18)로 표시된 사용자는 프론트상에 각각 놓인 참조 번호(13)인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참조 번호(15)인 라우드스피커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소리 또는 음악을 포함한다면 라우드스피커(15) 또는 동일한 디바이스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확대되거나 또는 상이한 뷰잉 영역(viewing area)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의도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들로의 연결들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작동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은 동일한 종류의 다른 유닛들에 연결되거나, 또는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게임 유닛의 디스플레이, 휴대용 전화기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른 종류들의 상이한 유닛들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12)이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놓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 또는 이들 송신기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다른 유닛에 연결되었음을 다른 유닛에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송신기는 광신호, 적외선 신호, 등과 같은 종래 기술에 알려진 신호 전송이 가능한 어떤 센서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그것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들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의, 동일한 종류의 유닛, 다른 유닛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부착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가 알려지면, 상기 위치를 반영하는 정보는 이후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이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평문, 픽처들, 프레임들, 비디오, 워드-프로세서 데이터,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게임 피규어들, 게임 요소들, 텍스트, 또는 픽처 메시지들, 및 이들의 조합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참조 번호(14)로 도시된 입력 디바이스 수단에 의해 주어진 상기 정보에 응답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 어떤 다른 푸시버튼, 및/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터치(touch)에 민감한 필드들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또한, 버튼 및 버튼들의 배열 또는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디지털 펜,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프로세서 수단에 의해, 또 다른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디스플레이 및/또는 재생 또는 리다이렉트(redirect)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참조 번호(19)인 커넥터 수단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식별자 수단에 의해 다른 또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용인 정보는 참조 번호(17)인 프로세서에 연결된 참조 번호(16)인 통신 디바이스 수단에 의해 또 다른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들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구내 정보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또는 그것들의 어떤 조합인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수단들에 의해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솔루션이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미디어 디바이스간의 최적화된 통신 전용일 수 있으며; 이들 둘은 도 4에서 더 기술될 것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커넥터 수단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입력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및 프론트상에 터치-센시티브 필드들을 갖는다면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배열된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스피커에 소리 또는 음악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들)에 신호들을,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에 다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또한 배열된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드웨어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즉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드웨어적인 레이아웃과 비교하여 크다. 더 많은 레이아웃들은 다음 도에 도시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을 다른 디바이스들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하드웨어적인 레이아웃은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묶거나, 구성하거나, 장착하거나, 또는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게임 유닛, 휴대용 전화기 등에 대한 부가적인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종류들의 여러 유닛들에 하드웨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비전기적인(non-electrical) 커넥터일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여러 레이아웃들을 도시한다. 여기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즉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는 여러 대안적인 하드웨어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도시된 레이아웃들과 비교하여 클 수 있다. 참조 번호(20)는 육각형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하고, 참조 번호(21)는 사각형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대안적으로 도시하고, 참조 번호(22)는 삼각형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대안적으로 도시한다.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른 모양들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 각각은 동일한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미디어 디바이스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의 하드웨어적 접촉 또는 연결을 위한 수단을 갖는 스탠드(stand),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또는 풋(foot)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풋에서, 참조 번호(19)로 이전에 도시된 상기 커넥터는 통합부일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여러 레이아웃들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여러 연결들을 도시한다. 참조 번호(25)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부착된 육각형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하고, 참조 번호(23)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부착된 3개의 사각형 레이아웃들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대안적으로 도시하며, 참조 번호(24)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부착된 레이아웃의 삼각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들)는 미디어 디바이스의 뷰잉 영역 보다 더 큰 전체 뷰잉 영역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상에, 또는 근접하게 부착될 것이다. 그러나, 참조 번호(26)에서, 육각형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여기서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참조 번호(19)인 커넥터 수단에 의해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떨어져 있다.
부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의 바닥에, 위에,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참조 번호들(23 내지 26)인 미디어 디바이스 자체가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게임 유닛, 또는 휴대용 전화기, 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유닛일 수 있다.
참조 번호(41)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이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상에, 떨어진, 근접한, 또는 부착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포지션(들)을 찾아내기 위해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놓여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센서(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놓이거나 또는 통합된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전송된 신호(들)를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센서(들) 수단으로, 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찾아낼 수 있다.
이어서, 미디어 디바이스는 전송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상에 제시되어야 하는 컨텐트를 나타내는 정보(상기 위치에 따르는)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평문, 픽처들, 프레임들, 비디오, 워드-프로세서 데이터,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게임 피규어들, 게임 요소들, 텍스트, 또는 픽처 메시지들, 및 이들의 조합들일 수 있다.
정보(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상에서 제시된)는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현재 제시된 것의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상에서 확대된 크기로 또는 상이한 모양으로 제시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현재 제시된 것에 또한 따를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유닛 수단에 의해 컨텐트를 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90)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시작된다.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하여 위치한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상태에 대응하고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들, 컨텐트, 정보 아이템(들), 식별 신호(들), 등을 기록하는 변수들, 플래그들, 버퍼들, 등은 디폴트 값들로 설정된다. 상기 방법이 다시 시작될 때, 손상된 변수들, 플래그들, 버퍼들, 등만이 디폴트 값들로 재설정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걸쳐, 단어 "프리젠테이션", "제시하는" 등이 사용될 때, 이는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컨텐트가 라우드스피커를 통해 발생되는 것이 적절한 경우에, 즉 상기 컨텐트가 소리 및/또는 음악을 포함할 때, 컨텐트는 또한 재생된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라우드스피커 또는 동일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단어 "컨텐트"는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카메라, 게임 유닛, 또는 휴대용 전화기상에서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재생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 또는 컨텐트는 평문, 픽처들, 프레임들, 비디오, 워드-프로세서 데이터,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게임 피규어들, 게임 요소들, 텍스트, 또는 픽처 메시지들, 및 이들의 조합들일 수 있다.
단계(10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위치에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행동일 것이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선택된 모양 및 그것의 위치가, 뒤따르는 단계들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어떤 컨텐트 부분 또는 부분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서 이후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재생될지 결정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더 많은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뒤따르는 단계들은 대응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상에 또는 근접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는 그것의 바닥에, 위에, 또는 그것의 측면들에 놓일 수 있고, 이는 즉 제 1 위치에 대한 상기 연결이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미디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모서리에 또는 영역내에 또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제 1 위치를 대안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유닛은 참조 번호(19)인 이전에 언급된 커넥터 수단, 또는 상기 커넥터와 호환 가능한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에 의해, 미디어 디바이스에 떨어져서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고; 이는 또한 상기 제 1 위치를 대안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단계(200)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0)는 단계들(300, 400, 및 500)의 일반화를 이루어낸다.
단계(30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하는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은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놓이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 또는 이들 송신기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미디어 디바이스에 연결되었음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디스플레이 유닛, 그것의 타입, 레이아웃 및/또는 모양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계(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또는 센서들은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계 및 도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식별 신호(들)는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로부터 전송된다.
단계(500)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이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식별 신호들에 기초한 미디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특정 X, Y, Z 좌표들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좌표들은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고정된 지점에 대하여 규정될 수 있고, 고정된 지점에 의해 수신된 식별 신호(들) 수단으로 측정될 수 있다.
즉, 단계들(300, 400, 및 500)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는 그 자체에 대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부착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00)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는 컨텐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아이템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상기 결정된 위치 및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컨텐트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것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유도될 수 있기 때문에, 평문, 픽처들, 프레임들, 비디오, 워드-프로세서 데이터,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게임 피규어들, 게임 요소들, 텍스트, 또는 픽처 메시지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700)에서, 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커넥터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종래 기술에 알려진 일반적인 솔루션과 같은 네트워크 수단에 의해 전송되고 수신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용인 최적화된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단계(80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제시할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어 "제시하는"은 컨텐트, 즉 제 1 정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디스플레이" 및/또는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된 단계들 수단에 의해, 뒤따르는 예들은 본 발명의 사용을 보일 것이다.
예 1:
마틴은 32살이고, 비행기에 관련한 모든 것에 중독되어 있다. 그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그는 친구들과 비행 시뮬레이터 게임들을 즐긴다. 여분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그의 스크린에 부착하는 것은 마틴이 레이다 뷰와 같은 게임내의 일정 상태 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 유닛의 스크린 공간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그것들을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채우므로써(snapping) 부착된다. 그 다음에, 제 1 스크린내의 소프트웨어, 즉 미디어 시스템은 부착된 스크린, 즉 디스플레이 유닛 및 그것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에 가장 근접한 게임내 상태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유닛의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공간에 전송한다.
예 2:
마틴의 친구 리사는 하나 이상의 여분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을 사용하여, 그녀의 컴퓨터상에서 작업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들)상에서 그녀 친구의 웹-캠 이미지들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웹-캠 이미지들은 제 1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공간, 즉 미디어 시스템상에서 다른 컨텐트 위에 제시되어야만 했을 것이다.
단계(90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위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술된 단계들을 수행할 때, 미디어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더 이상 연결되지 않음을 검출할 것이다.
단계(100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이전 제 1 위치와 상이한 제 2 위치에 이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행동일 것이고, 사용자는 새로운, 제 2 위치가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어떤 새로운 컨텐트 부분 또는 부분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이제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재생될 지 결정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더 많은 재배치된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대해 반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방법은 미디어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는한 전체에 걸쳐 다시 시작할 것이다. 그 밖에, 상기 방법은 단계(1100)에서 종료할 수 있고; 그러나, 미디어 시스템에 다시 전원이 공급될 때, 등에서 상기 방법은 단계(100)부터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위치(들)를 검출 가능하고, 대응하는 컨텐트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이후 전송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게임 유닛, 휴대용 전화기, 패드, 등일 수 있다.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은 미디어 디바이스에 연결 가능 및/또는 부착 가능하거나 또는,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하여 놓이고 미디어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더욱이, 디스플레이 유닛은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컨텐트를 수신, 디스플레이 및/또는 재생 가능하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컴팩트 디스크(CD 레코더블 또는 CD 라이터블), 미니-디스크,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스마트 카드, PCMCIA 카드 등일 수 있다.

Claims (7)

  1.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유닛 수단에 의해 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 1 위치에 연결 또는 부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 1 위치를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컨텐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아이템을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상기 위치 및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컨텐트에 따르는,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 결정 단계;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을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트 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 1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를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위치를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식별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제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위치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제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게임 유닛, 또는 모바일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트 제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 컨텐트를 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있어서,
    미디어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위치에 연결 또는 부착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컨텐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 아이템을 수신하고 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상기 위치 및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상에 제시된 컨텐트에 따르고, 상기 제 1 정보 아이템은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수신 및 제시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KR1020057001286A 2002-07-24 2003-07-01 가변 크기 멀티-페인 디스플레이 KR200500259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78012.8 2002-07-24
EP02078012 2002-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994A true KR20050025994A (ko) 2005-03-14

Family

ID=3047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286A KR20050025994A (ko) 2002-07-24 2003-07-01 가변 크기 멀티-페인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264470A1 (ko)
EP (1) EP1527383A1 (ko)
JP (1) JP2005534054A (ko)
KR (1) KR20050025994A (ko)
CN (1) CN1672124A (ko)
AU (1) AU2003281582A1 (ko)
ES (1) ES2356908T3 (ko)
WO (1) WO2004010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6118B2 (ja) 2003-06-13 2006-08-0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 置換アントラキノンでの炭化水素のマーキング方法。
CN101149673B (zh) * 2006-09-18 201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多显示器系统及自动识别调整多个显示器的相对位置的方法
US8943410B2 (en) 2006-12-22 2015-01-27 Apple Inc. Modified media presentation during scrubbing
US8020100B2 (en) * 2006-12-22 2011-09-13 Apple Inc. Fast creation of video segments
US7877696B2 (en) 2007-01-05 2011-01-25 Eastman Kodak Company Multi-frame display system with semantic image arrangement
CN101606127A (zh) * 2007-02-12 2009-12-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标识系统
US20100261529A1 (en) * 2007-11-09 2010-10-14 Wms Gaming Inc. Distinguishing multiple peripherals in wagering game
EP2256720A1 (en) 2009-05-29 2010-12-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n intelligent lighting tile system powered from multiple power sources
EP2256620A1 (en) * 2009-05-29 2010-12-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 selection method for modular lighting system
JP6226482B2 (ja) * 2015-10-08 2017-11-0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1287A3 (en) * 1994-02-04 2001-05-30 Sun Microsystems, Inc. A standard interface system between different lcd panels and a common frame buffer output
US6549178B2 (en) * 1994-03-11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5682529A (en) * 1994-03-14 1997-10-28 Apple Computer, Inc. System for dynamically accommodating changes in display configuration by notifying changes to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to generate information by application programs to conform to changed configuration
US5862529A (en) * 1996-01-23 1999-01-26 Springuard Technology Group Inc Device for protecting face and eyes against projectile impact
US6104359A (en) * 1997-01-24 2000-08-15 Microsoft Corporation Allocating display information
JP4143158B2 (ja) * 1997-04-16 2008-09-03 聯華電子股▲ふん▼有限公司 データキャリア
US6352322B1 (en) * 1997-08-21 2002-03-05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72233C (zh) * 2000-10-24 2004-10-20 惠普公司 用于便携式计算机的可变尺寸的多面板显示器
US6941575B2 (en) * 2001-06-26 2005-09-06 Digeo, Inc. Webcam-based interface for initiating two-way video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ccess to cached video
US7124367B2 (en) * 2001-11-14 2006-10-17 Gateway Inc. Adjustable user interface
US7046213B2 (en) * 2002-06-05 2006-05-16 Ibm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manipulation of electronic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2124A (zh) 2005-09-21
ES2356908T3 (es) 2011-04-14
WO2004010280A1 (en) 2004-01-29
JP2005534054A (ja) 2005-11-10
EP1527383A1 (en) 2005-05-04
AU2003281582A1 (en) 2004-02-09
US20050264470A1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276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ressure Interaction on Touch-Sensitive Surfaces
US7512901B2 (en) Context sensitive labels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404918B1 (ko) 컴퓨터식대화시스템및그형성방법
US80996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multistreaming audio control
WO2020211683A1 (zh) 多屏控制方法及终端
JP2009080813A (ja) マルチメディアプレゼンテーションコンピューター装置
CN108235086A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相应的终端
JP2009545230A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ための入力および出力の提供
US20050283557A1 (en) Variable-function or multi-function apparatus and methods
CN103729156A (zh) 显示控制装置以及显示控制方法
US20060230192A1 (en) Display of a user interface
TW200912698A (en) KVM switch and multi computer system incorporating the KVM switch
US8890769B2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20192299A1 (zh) 信息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050025994A (ko) 가변 크기 멀티-페인 디스플레이
CN100432912C (zh) 便携式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和图形用户接口装置
US20020126085A1 (en) Computerized interactor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JP5221694B2 (ja) 電子機器、オブジェクトの表示方法及びオブジェクトの表示プログラム。
JP3086974U (ja) Dvdプレーヤー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装置
KR100909272B1 (ko) 홈시어터용 컴퓨터
US11553805B2 (en) Product showcase system
JP4521348B2 (ja) センサ付き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エミュレータ
JP3083840U (ja) コンピュータ制御によるマルチメディア掲示板
JP3725728B2 (ja) 設置姿勢可変型の電子機器
CN114816615A (zh) 处理方法、电子设备、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