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312A -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312A
KR20050025312A KR1020057000178A KR20057000178A KR20050025312A KR 20050025312 A KR20050025312 A KR 20050025312A KR 1020057000178 A KR1020057000178 A KR 1020057000178A KR 20057000178 A KR20057000178 A KR 20057000178A KR 20050025312 A KR20050025312 A KR 20050025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printer
ds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214B1 (ko
Inventor
야마다아키토시
사카모토카즈야
아이치타카오
야노켄타로
고토후미히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36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 H04N1/32379Functions of a still picture terminal memory associated with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 H04N1/3251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4Connecting to a plurality of different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nn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1Card-type connector, e.g. PCMCIA card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9Storage of less than a complete document page or imag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SC와 PD 프린터는 범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직접 접속되고, 화상 데이터는 DSC로부터 PD 프린터에 대해 송신되어 상기 데이터가 인쇄되며, 부분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하여, 화상 데이터의 오프셋 바이트 수와 데이터량이 지정되고, 기억 제어기는 상기 특정에 의거하여 기억장치로부터 부분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부분 화상 데이터는 PD 프린터의 인쇄 제어기에 공급되어 인쇄가 수행되는 인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공급장치 및, 프린터 등의 기록장치를 갖는 기록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위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간단한 조작으로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을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촬상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인쇄하고, 인쇄된 것을 사진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촬영된 화상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PC(컴퓨터)에 일시적으로 입력되어, 상기 PC에 의해 화상 처리가 된 다음, 상기 처리된 데이터는 PC로부터 컬러 프린터에 출력되어 데이터가 인쇄된다.
이에 반해,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컬러 프린터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여 PC를 통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는 컬러 인쇄시스템과, 디지털 카메라에 탑재되어 촬상된 화상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를 컬러 프린터에 직접 장착하고, 그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소위 포토-다이렉트(PD : photo-direct) 프린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직접 프린터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를 인쇄할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가 각 판매자마다 그 사양이나 조작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각종 판매자의 디지털 카메라와 호환될 수 있는 포토-다이렉트 프린터가 요청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포토-다이렉트 프린터는 상기한 디지털 카메라 외에, 휴대전화, PDA 및 다른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상기 프린터들은 각종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치들의 성능은 서로 예측될 수 없으므로, 서로 기능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화상 파일로서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취득할 경우에는, 프린터의 메모리 용량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그 화상 파일의 전체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내에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그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로부터 프린터에 전송하는 데이터 단위가 화상 파일이기 때문에, 프린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에 충분한 메모리 용량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가 전송될 수 없다.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조작 패널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제어에 관련된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ASIC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 통신 절차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를 갖는 PD 프린터와 디지털 카메라의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서비스 기능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인쇄까지의 처리 개요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 및 PD 프린터의 서비스 기능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PD 프린터 및 DSC가 접속될 때부터 CDPS가 시작될 때까지의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 및 PD 프린터간의 기능 분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 및 PD 프린터간의 기능 분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DSC가 대용량 기억장치로서 취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DSC 및 PD 프린터간의 기능 분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a 및 1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기능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 및 PD 프린터간의 서비스 기능과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 및 PD 프린터간의 서비스 기능의 분담 예와,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 및 PD 프린터간의 서비스 기능의 분담 예와,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9는 CDPS의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0은 CDPS에서, 카메라에 의해 사용되는 절차를 통지하는 절차(CDPS_ServiceDiscovery)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1은 CDPS에서 프린터 기능(CDPS_Service)의 통지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2는 CDPS에서, PD 프린터가 화상 파일을 취득하게 하는 기능(CDPS_JobData)의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CDPS에서, PD 프린터로부터 카메라에 대해 인쇄 시작 지시를 발행하는 기능(CDPS_PageStart)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4는 CDPS에서, PD 프린터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1페이지의 인쇄 완료를 송신하는 기능(CDPS_PageEnd)을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5는 CDPS에서, PD 프린터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인쇄 작업 완료 명령(CDPS_JobEnd)을 발행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6은 CDPS에서, PD 프린터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에러 상태를 송신하는 기능의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7은 CDPS에서, 조작 제어기로부터 인쇄 제어기에 대하여 인쇄 명령(CDPS_Job)을 발행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8은 CDPS에서, 조작 제어기로부터 인쇄 제어기에 대하여 인쇄 중지(CDPS_JobAbort)를 발행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9는 CDPS에서, 인쇄 제어기에 대한 인쇄 재개(CDPS_JobContinue)를 조작 제어기에 발행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0은 CDPS에서, 인쇄 제어기로부터 기억장치에 대하여 부분 화상의 취득(CDPS_PrintJobData)을 발행하는 절차를 PTP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1은 CDPS에서 부분 화상의 취득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32는 블루투스에서, CDPS로 이행하게 하는 명령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3은 블루투스에서, CDPS로 이행하게 하는 명령의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4는 블루투스에서, 프린터 기능의 통지를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5는 블루투스에서, 기억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6은 블루투스에서, 인쇄 시작의 통지를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7은 블루투스에서, 인쇄 완료의 통지를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8은 블루투스에서, 인쇄 작업의 완료 통지를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9는 블루투스에서, 에러 통지를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0은 블루투스에서, 인쇄 명령을 발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1은 인쇄 중지 명령을 발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2는 블루투스에서, 인쇄 작업의 재개 명령을 발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3은 블루투스에서 부분 화상을 취득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4a 내지 44c는 각종 제어기능(조작 제어기, 기억장치 제어기 및 인쇄 제어기)의 분담을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DSC 및 PD 프린터의 지원 레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공급장치로부터 기록장치에 대해 부분적인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고, 상기 부분적인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기록이 수행될 수 있는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공급장치와 기록장치 사이에 표준 통신 프로토콜이 규정되고, 기종 및 판매자에 관계없이 기록이 수행될 수 있는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화상공급장치와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기록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기록장치와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통신 절차를 확립하는 통신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수단과, 상기 데이터 요구수단에 의한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송신된 부분 화상 데이터에 의해 기록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포함하도록 상기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다이렉트 프린터(이하, "PD 프린터"라 함)(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PD 프린터(1000)는 호스트 컴퓨터(P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는 일반적인 PC 프린터 기능과,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본체는, 케이스 M1001, 상부 케이스(1002), 액세스 커버(1003) 및 배출 트레이(1004)의 케이스부재를 가진다. 또한, 하부 케이스(1001)는 PD 프린터(1000)의 하반부를 대략 형성하며, 상부 케이스(1002)는 본체의 상반부를 대략 형성한다. 케이스들의 조합에 의해 후술되는 기구들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중공체 구조가 형성된다. 상부면과 전면에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배출 트레이(1004)의 일단부는 하부 케이스(10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그 회전에 의해 하부 케이스(100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가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동작이 수행될 경우에는, 배출 트레이(1004)가 전면을 향해 회전하게 되어 개구를 열게 됨으로써, 인쇄 용지가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배출된 인쇄 용지가 순차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또한, 배출 트레이(1004)에는 2개의 보조 트레이 1004a 및 1004b가 수납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에 이들 트레이는 인출되어, 용지의 지지 면적을 3단계로 확대/축소할 수 있다.
액세스 커버(1003)의 일단부는 상부 케이스(10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 액세스 커버(1003)를 개방함으로써, 본체 내에 수납되어 있는 인쇄 헤드 카트리지(도시되지 않음), 잉크 탱크(도시되지 않음) 등이 교환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세스 커버(1003)가 개폐되면, 그 뒤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의 회전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에 의해 검출되어, 액세스 커버(1003)의 개폐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2)의 상부면에는 전원 키(100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002)의 우측에는 액정 표시기(1006), 각종 키 스위치 등을 갖는 조작 패널(101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101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면 번호 1007은 인쇄 용지를 프린터의 본체에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자동 급지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1008은 인쇄 헤드와 인쇄 용지간의 간격을 조정하는 용지간격 선택레버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1009는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어댑터가 삽입되는 카드 슬롯을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상기 어댑터를 통해 직접 수신되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PC)는 컴팩트 플래시 메모리(등록상표), 스마트 미디어(등록상표) 및, 메모리 스틱을 포함한다. 도면 번호 1011은, PD 프린터(1000)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PC 카드에 기억된 화상이 인쇄할 화상으로 검색될 경우에, 1 프레임의 화상, 인덱스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뷰어(액정 표시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1012는 후술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USB 단자를 나타낸다. 또한, PD 프린터(1000)의 후면에는 퍼스널 컴퓨터(PC)를 접속하기 위한 USB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조작 패널(1010)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서, 액정 표시기(1006)는 액정 표시기(1006)의 좌우에서 인쇄되는 항목에 관한 데이터의 각종 설정을 위한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되는 항목은 예를 들어, 인쇄할 화상(사진)의 최초의 사진 번호, 지정된 프레임 번호(시작 프레임 지정/인쇄 프레임 지정), 화상의 마지막(종료) 사진번호, 인쇄 횟수(사본의 수), 인쇄에 사용되는 용지(인쇄 용지)의 종류(용지종류), 1장의 용지에 인쇄할 사진의 매수설정(레이아웃), 인쇄 품질의 지정(품질), 촬영 날짜를 인쇄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지정(날짜인쇄), 사진을 보정하여 인쇄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지정, 인쇄에 필요한 용지매수의 표시(용지매수)이다. 이들 항목은 커서 키(2001)를 이용하여 선택 또는 지정된다. 도면 번호 2002는 모드 키를 나타내며, 상기 키(2002)를 누를 때마다, 인쇄의 종류(인덱스 인쇄, 모든 프레임 인쇄, 1 프레임 인쇄 등)를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LED(2003)의 대응하는 하나가 점등된다. 도면 번호 2004는 프린터 헤드의 청소를 포함하는 프린터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유지보수 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2005는 인쇄 시작을 지시하거나, 유지보수의 설정을 설정하기 위해 눌러지는 인쇄시작 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2006은 인쇄를 중지시키거나 유지보수의 중지를 지시하기 위해 눌러지는 인쇄중지 키를 나타낸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제어에 관련된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 상기 도면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에 의해 표시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서, 도면 번호 3000은 제어기(제어기판)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3001은 ASIC(전용 LSI)을 나타내고, 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면 번호 3002는 DSP(디지털 신호처리기)이며, CPU를 내장하고 있고, 후술하는 각종 제어처리와, 휘도신호(RGB)로부터 농도신호(CMYK)로의 변환, 스케일링(scaling), 감마변환(gamma conversion) 및, 에러확산(error diffusion) 등의 화상처리를 수행한다. 도면 번호 3003은, DSP(3002)의 CPU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3003a와, 실행시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AM 영역과,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작동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영역을 갖는 메모리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3004는 프린터 엔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컬러 잉크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형 프린터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도면 번호 3005는 디지털 카메라(DSC)(3012)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port)로서 기능하는 USB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3006은 뷰어(1011)를 접속하는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3008은, PD 프린터(1000)가 PC(30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 PC(3010)로부터의 데이터를 그대로 송신하고, 그 데이터를 USB(3021)를 통해 프린터 엔진(3004)에 출력하는 USB 허브(USB HUB)를 나타낸다. 따라서, 접속된 PC(3010)는 프린터 엔진(3004)과 직접 데이터 및 신호를 교환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일반적인 PC 프린터로서 기능한다). 도면 번호 3009는 상용 AC 전압으로부터 변환된 DC 전압을 전원(3019)으로부터 수신하는 전원 커넥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PC 3010은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3011은 상기 설명된 메모리 카드(PC 카드)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3012는 디지털 카메라(DSC : Digital Still Camera)를 나타낸다.
또한, 제어기(3000)와 프린터 엔진(3004) 사이에서는 상기한 USB(3021) 또는 IEEE 1284 버스(3022)를 통해 신호가 교환된다.
도 4는 ASIC(300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도, 전술한 도면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번호 4001은 장착된 PC 카드(301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데이터를 PC 카드(3011)에 기록하는 PC 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4002는 프린터 엔진(3004)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IEEE 1284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IEEE 1284 인터페이스(4002)는 디지털 카메라(3012) 또는 PC 카드(301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경우에 사용되는 버스이다. 도면 번호 4003은 PC(301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4004는 디지털 카메라(3012)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4005는, 조작 패널(1010)로부터 각종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데이터를 표시기(1006)에 출력하는 조작 패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4006은 뷰어(1011) 상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뷰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4007은 각종 스위치와 LED(4009) 등의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4008은 DSP(3002)와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CPU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4010은 이들 부품들을 접속하는 내부 버스(ASIC 버스)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C(3012)의 대표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PD 프린터(1000)에 접속 가능한 일부 디지털 카메라는 후술하는 표시기(270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서, 도면 번호 3100은 전체 DSC를 제어하는 CPU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3101은 CPU(3100)의 처리 절차(프로그램)를 기억하는 ROM을 나타낸다. 도면 번호 3102는 CPU(3100)의 작동 영역(work area)으로서 사용되는 RAM을 나타내며, 도면 번호 3103은 각종 조작을 위해 사용되고, 각종 스위치, 커서 키 등을 포함하는 스위치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2700은 촬상된 화상을 확인하고, 각종 설정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정 표시기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3105는 렌즈 및 그 구동계로 주로 구성되는 광학유닛을 나타낸다. 도면 번호 3106은 CCD 소자를 나타내고, 도면 번호 3107은 CPU(3100)의 제어하에서 광학유닛(3105)을 구동 및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나타낸다. 도면 번호 3108은 기억매체(3109)(컴팩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등)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3110은 PC 또는, 본 실시예의 PD 프린터(1000)와의 접속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USB 슬레이브측)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PD 프린터(1000)와 DSC(3012)가 접속되어 인쇄가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여러 판매자의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전화 및 메모리장치 등의 장치(DSPD : Digital Still Photography Devices)는 PD 프린터(1000)와 같은 화상출력장치에 접속되고, 화상출력장치로부터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인쇄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는 PD 프린터와 DSPD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PD 프린터(1000)와 이들 DSPD들이 서로 접속되어 인쇄가 수행되는 경우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PD 프린터와 DSPD간의 통신제어가 어떠한 인터페이스에도 의존하지 않고 범용 파일 및 범용 포맷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신규의 CDPS(Canon Direct Print Service)가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 DSPD와 화상출력장치 사이에서, 예를 들어, USB 상의 PTP(Still Image Class) 및 Mass Storage Class, 블루투스(Blue Tooth) 상의 OBEX, UPnP 등의 여러 통신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결정하기 위해 인쇄 서비스 기능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인쇄 서비스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층(application layer)에서의 실행 기능의 집합체이며, 각종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는다.
또한, 실제의 화상 데이터 및 장치간의 통신제어는 범용 파일과 범용 포맷(예를 들어, XML 포맷으로 기술됨)을 이용하여 수행되므로, 상기 제어는 어떠한 인터페이스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DSPD와 화상출력장치를 접속하는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어느 하나의 조작부(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액정화면이나, 프린터 상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조작이 수행된다. 전체 시스템을 고려하면, 두 장치가 유사한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어느 장치의 조작부가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후술하는 디스커버리(Discovery) 처리(이행) 후에, 조작부 및 그 밖의 기능들이 어떻게 장치들에 할당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기구를 사용하여, 범용성이 증가된다.
[통신 개요]
도 6은 DSPD의 대표적인 장치인 디지털 카메라(DSC)(3012)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출력장치의 대표적인 예인 PD 프린터(1000)간의 통신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구성에서는,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USB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고, PTP를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이 USB 접속에서는, PD 프린터(1000)가 호스트측에 위치하고, DSC(3012)가 슬레이브측에 위치한다.
이하, 절차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한편, 아래에서는 DSC(3012)가 상기 설명된 도 5의 구성을 갖고 있고, 인쇄화상의 예비적인 인쇄조건을 설정하여 인쇄를 시작하는 지시를 제공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우선, USB 케이블을 통해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물리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2) 다음으로, PD 프린터(1000)의 USB 호스트 제어기(USB 기능)가 DSC(3012)를 인식하여, 이미지 클래스 PTP(image class PTP)에서의 접속을 행한다. 이 상태는 도 6의 도면 번호 600으로 표시된 "통신 확립"이다.
(3) 다음으로, PD 프린터(1000)를 본 실시예에서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CDPS)로 이행하기 위한 처리(601)로 절차가 진행된다. 이 때,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간의 정보 교환에 의거하여, DSC(3012)와 PD 프린터(1000) 사이에서 CDPS 서비스가 실행 가능한지 아닌지에 대해 결정된다. 상기 서비스가 실행 가능할 경우에는, "표준" 및 "확장" 절차 중의 어느 것이 수행될지에 대해 확인 및 결정된다(610). 또한, 이 처리(601)에서는, DSC(3012)와 PD 프린터(1000) 중의 어느 것이 인쇄화상을 결정하고, 인쇄조건을 설정하며, 인쇄시작의 지시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결정된다.
(4) 상기 처리(601)의 결과, "표준" 절차(602)의 서비스가 수행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프린터측에서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통지한다(603).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는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용지 사이즈, 용지 종류, 인쇄 품질, 레이아웃 상에서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5) DSC(3012)에서는, 603에서 송신된 서비스 내용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UI 메뉴가 생성되어 표시기(2700)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UI 메뉴를 통해 인쇄할 화상을 설정하고, 인쇄조건 및 사진을 선택한다(이들을 총체적으로 "작업(job)"이라 함)(611).
(6)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의 설정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인쇄를 시작시키는 지시를 DSC(3012)에 제공하면,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작업"이 통지된다(604).
(7) 다음으로, PD 프린터(1000)가 604에서 송신된 "작업"의 내용에 따라 설정된 후, PD 프린터(1000)는 필요한 화상 파일을 DSC(3012)로부터 취득하여(605), 사진을 인쇄한다(613).
(8) 상기 "작업"의 실행 도중에, PD 프린터(1000)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는, DSC(3012)에 대해 에러의 내용이 통지되어, 사용자가 상기 에러에 대응할 것이 요구된다(606)(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계속/중지"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DSC(3012)의 UI 메뉴를 사용하여 상기 대응(인쇄 계속 또는 중지)을 결정하면(612), 그 내용이 PD 프린터(1000)에 송신되어, 상응하는 에러 처리(614)가 수행된다.
(9) 이와 같이, 화상 파일의 전송과 인쇄동작(→에러의 송수신)이 반복되어 상기 "작업"이 완료되면, DSC(3012)에서의 "작업" 설정상태(611)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10) 또한, 상기 610에서, CDPS의 "확장 절차"의 서비스가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될 경우에는, 607에서 각 판매자에 대한 절차와 "확장" 절차가 수행된다. 또한, 상기 "확장 절차"의 처리는 각 판매자에 대해 구체화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계층구조]
도 7은 DSPD를 대표하는 DSC(3012)와, 화상출력장치를 대표하는 PD 프린터(10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기능들의 계층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도면 번호 700 및 703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고, 도면 번호 701 및 702는 물리층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USB와 블루투스(Bluetooth)의 예이다. DSC(3012)와 PD 프린터(1000)는 700 및 703으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포함함으로써, CDPS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701 및 70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토콜층 상의 PTP 및 BIP와, MSC(Mass Storage Class) 상의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는 아키텍처가 실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700 및 703은 인쇄 서비스 기능의 실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서비스 기능은 CDPS로부터 각각의 프로토콜로 변환된 부분에서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어떠한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고도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체 시스템의 기능]
도 8은 상기 설명된 DSPD와 화상출력장치가 접속되어 일체화된 시스템으로 간주될 경우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계층구조가 어떠한 인터페이스에도 의존하지 않음을 규정한 것에 이어서, DSPD 및 화상출력장치의 "기능"의 독립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다 하이레벨의 요소(오브젝트)가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DSPD와 화상형성장치 사이에서 각종 기능이 분할되거나 할당되지 않고, 전체적인 다이렉트 인쇄시스템에 대해 필요한 기능적인 구성요소의 정의 및 역할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의 기능은 크게 4개의 기능(800∼803)으로 나누어진다.
<CDPS 초기화기(Initializer)>
CDPS 초기화기(800)는 다른 CDPS의 기능에 앞서 최초로 기동된다. 여기서, CDPS 모드로의 이행(표준/확장)이 판정되고, 그 판정 결과는 "서비스 디스커버리(Service Discovery)"(804)로서 각 기능에 통지된다. 이 처리는 도 6의 601에 해당한다.
<조작 제어기(Operation Controller)>
사용자(812)와 상호 작용하는 UI 부분에 대한 관리(조작 제어기 : Operation Controller)(801)는 CDPS 초기화기(800)로부터 "서비스 디스커버리"(804)를 수신하여 기동된다. 상기 조작 제어기(801)는 인쇄 제어기(Print Controller)(803)로부터 인쇄장치(810)(프린터 엔진(3004))에 의해 인쇄 가능한 "서비스(Service)"(807)를 취득하고, 기억장치 제어기(Storage Controller)(802)로부터, PC 카드(3011) 등의 기억장치(8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 리스트 "데이터 리스트(Data List)"(805)를 취득한다. 그 다음, 상기 "서비스"(807) 및 "데이터 리스트"의 설명에 의거하여 UI 메뉴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UI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출력 설정 지시 "작업(Job)"(808)이 생성되어 인쇄 제어기(803)에 통지된다.
<기억장치 제어기>
기억장치 제어기(802)는 사진화상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예를 들어, PC 카드(3011)를 관리한다. 상기 기억장치 제어기(802)는 CDPS 초기화기(800)로부터 "서비스 디스커버리"(804)를 수신하여 기동된다. 또한, 조작 제어기(80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기억장치(811)에 기억된 화상정보 리스트 "데이터 리스트"(805)가 생성되어, 조작 제어기(801)에 통지된다. 또한, 인쇄 제어기(80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기억장치(811)에 기억된 화상 파일 "작업 데이터(Job Data)"(806)가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된다.
<인쇄 제어기>
인쇄 제어기(803)는 사진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810)를 관리한다. 상기 인쇄 제어기(803)는 CDPS 초기화기(800)로부터 "서비스 디스커버리"(804)를 수신하여 기동되고, 상기 인쇄 제어기(803)는 인쇄장치(810)에 의해 인쇄 가능한 "서비스"(807)를 조작 제어기(801)에 통지한다. 또한,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출력 설정지시 "작업"(808)이 취득될 경우에는, 상기 "작업"(808)의 설명에 의거하여, "데이터 리스트"(805)에 설명된 기술방법에 의해, 기억장치 제어기(802)에 대해 기억장치(811)에 기억된 화상 파일 "작업 데이터"(806)가 요구되어 취득된다. 상기 파일 "작업 데이터"(806)에 의거하여, 인쇄장치(810)에 의해 처리 가능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어 인쇄장치(810)에 출력됨으로써, 인쇄가 수행된다.
도 9는 도 8의 기능을 이용한 처리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1에서, CDPS 초기화기(800)가 CDPS 모드로 이행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 결정된다. 상기 결정에 의거하여, "서비스 디스커버리"(804)가 기능들에 통지되어, 이 기능들이 기동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2로 진행한다. 인쇄 제어기(803)는 인쇄장치(8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인쇄 서비스 "서비스"(807)를 조작 제어기(801)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조작 제어기(801)는 기억장치 제어기(802)로부터 기억장치(8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정보 리스트 "데이터 리스트(Data List)"(805)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4로 진행하고, 조작 제어기(801)는 "서비스"(807)와 "데이터 리스트"(805)에 의거하여 인쇄 설정을 위한 UI를 구성하고, 상기 UI를 표시한다. 이 UI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거하여, 인쇄해야 할 화상과, 인쇄 모드의 선택 등을 규정하는 인쇄 설정지시 "작업"(808)이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작업"(808)은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인쇄 제어기(803)에 통지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5로 진행하고, 인쇄 제어기(803)는 상기 "작업"(808)의 설명에 따라 인쇄장치(810)의 인쇄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기억장치(811)에 기억되어 있고 인쇄에 필요한 화상 파일 "작업 데이터"(806)는 기억장치 제어기(802)에 대하여 요구되고, "데이터 리스트"(805)에 표시된 기술방법에 따라 취득된다. 그 다음, 인쇄장치(810)에 의해 처리 가능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상기 인쇄 데이터는 인쇄장치(810)에 출력되어 거기서 인쇄된다. 다음으로, 단계 S7에서는, 인쇄 종료가 지시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해 검사된다. 인쇄 종료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4로 돌아가서 전술한 처리가 수행된다. 인쇄 종료가 지시될 경우에는 이 처리가 완료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전술한 기능들이 DSPD 또는 화상출력장치의 어디에 존재하든지, 전술한 계층구조, 4개의 기능 800∼803 및, 상기 4개의 기능 사이에서 교환되는 5개의 정보군 804∼808은 CDPS의 기본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DSC와 PD 프린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CDPS 구성]
도 10은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CDPS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DSC(3012)와 PD 프린터(1000) 양자가 전술한 4개의 기능 800∼804를 기억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기억장치(811)와 인쇄장치(810)는 이론적으로 CDPS 시스템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장치 811 및 812가 어느 쪽에 접속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결정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CDPS는,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물리적으로 또는 이론적으로 서로 접속된 후, DSC(3012) 및 PD 프린터(1000) 양자의 CDPS 초기화기(800)가 상호 작용하여, 다른 3개의 기능 801∼803과, 기억장치(811) 및 인쇄장치(810)의 처리기능을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어느 것이 관리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의 기능 분담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11에서, DSC(3012)에서의 기능 800∼803의 지원 레벨이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통지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PD 프린터(1000)는 DSC(3012)로부터 수신된 기능의 지원 레벨과, PD 프린터(1000)의 지원 레벨을 비교하고, DSC(3012)와 PD 프린터(1000)의 어느 것이 사용자에게 보다 활용도가 높은 기능을 갖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DSC(3012)와 PD 프린터(1000)의 어느 것이 상기 기능들을 담당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의 분담 정보와 관리 정보가 DSC(3012)에 통지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14로 진행하여, DSC(3012)와 PD 프린터(1000)의 각각에서, 상기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행되기로 결정된 기능이 기동되고, 단계 S15에서 CDPS가 시작된다.
"확장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단계 S12에서,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확장 절차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명되고, 그 이후의 데이터 교환은 각 판매자에게 고유한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기능은 DSC(3012)와 PD 프린터(1000)의 양자에 의해 반드시 지원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기능은 DSC(3012) 및 PD 프린터(1000)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원될 필요가 있다. 특히, CDPS 초기화기(800)에 관해서는, DSC(3012)가 CDPS 초기화기(800)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인터페이스의 일부 접속 상태에서는,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가 시스템을 CDPS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CDPS 구성예 1]
도 12는 USB 상에서 이미지 클래스(Image Class)의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에 의해,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서로 접속될 경우의 CDPS의 구성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에서는 액정 표시기(2700)를 갖는 DSC(3012)와, 액정 뷰어(1011)를 갖지 않는 PD 프린터(10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즉, 이 예에서는, CDPS 초기화기(800),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장치 제어기(802)가 CDPS(3012)에 존재하고, PD 프린터(1000)는 도 10의 기능적 구성을 갖고 있다.
우선,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는 DSC(3012)의 CDPS 초기화기(800)와 기능의 분담 및 관리에 대한 정보의 교환을 시도한다. 상기 정보 교환에 따라, DSC(3012)는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장치 제어기(802)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음(액정 표시기(2700) 있음 등)을 통지한다. 따라서,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는 PD 프린터(1000)의 조작 제어기(801)와 기억장치 제어기(802)의 지원 레벨(액정 뷰어(1011) 없음 등)과 비교하고, 아래에 설명되는 시스템 구성을 결정한다. 그 다음,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에 대하여 "CDPS로의 이행 가능"이라는 응답이 이루어지고, 기능 분담에 대한 아래의 결정이 DSC(3012)에 통지된다.
(1) DSC(3012)는 조작 제어기(801)와 기억장치 제어기(802)를 담당 및 관리한다.
(2) PD 프린터(1000)는 인쇄 제어기(803)를 담당 및 관리한다.
(3) 기억장치(811)가 DSC(3012)에 구비되어 있고, DSC(3012)의 기억장치 제어기(802)가 상기 기억장치(811)를 관리한다.
(4) 인쇄장치(810)(프린터 엔진(3004))가 PD 프린터(1000)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인쇄 제어기(803)는 인쇄 동작을 관리한다.
또한, 전술한 처리는 무선 LAN(Wireless LAN)의 TCP/IP를 포함하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유사하게 수행된다.
[CDPS 구성예 2]
도 13은 USB 상에서 이미지 클래스(Image Class)의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에 의해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서로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CDPS의 구성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에서는 액정 표시기(2700)를 갖지 않는 DSC(3012)와, 액정 뷰어(1011)를 갖고 있는 PD 프린터(10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나, DSC(3012)가 CDPS 초기화기(800)를 갖고 있지 않은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PD 프린터(1000)는 도 10의 기능적 구성을 갖고 있다.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가 DSC(3012)의 CDPS 초기화와 기능의 분담 및 관리에 대한 정보의 교환을 시도할 경우, DSC(3012)는 CDPS 초기화기(800)가 부재함으로 인해 응답을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PD 프린터(1000)의 PTP 랩퍼층(Wrapper layer)은 아래에 설명된 시스템 구성을 결정하고,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에 대하여 "CDPS로의 이행이 가능함"이라고 응답한다.
(1) PD 프린터(1000)는 조작 제어기(801), 기억장치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를 담당 및 관리한다.
(2) 기억장치(811)가 DSC(3012)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기억장치 제어기(802)는 표준 PTP를 이용하여 기억장치(811)로의 화상 액세스(access)를 관리한다.
(3) 인쇄장치(810)는 PD 프린터(1000)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인쇄 제어기(803)에 의해 관리된다.
이 경우, DSC(3012)가 CDPS 초기화기(800)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와 함께, DSC(3012)가 표시기(2700)를 갖고 있더라도, PD 프린터(1000)와, 뷰어(1011)를 사용하는 UI에 비해, DSC(3012)의 표시기(2700)가 더 낮은 해상도를 갖고 있고 DSC(3012)의 조작성이 더 낮은 것으로 상기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가 판단한 경우에도, 도 13의 구성이 유사하게 구비된다.
[CDPS 구성예 3]
도 14는 MSC(Mass Storage Class) 상에 접속된 CDPS의 구성예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에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에서는 액정 표시기(2700)를 갖지 않는 DSC(3012)가 MSC로서 액정 뷰어(1011)를 갖는 PD 프린터(1000)에 접속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는 DSC(3012)의 CDPS 초기화기(800)와 기능의 분담 및 관리에 대한 정보의 교환을 시도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벌크 단독형(bulk only type)의 MSC가 DSC(3012)와 양방향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러므로, PD 프린터(1000)의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 랩퍼층(Mass Storage Class Wrapper layer)(820)은 아래에 설명된 시스템 구성을 결정하고, PD 프린터(1000)의 CDPS 초기화기(800)에 대하여 "CDPS로의 이행이 가능함"이라고 응답한다.
(1) PD 프린터(1000)는 조작 제어기(801), 기억장치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의 모두를 담당 및 관리한다.
(2) 기억장치(811)는 DSC(3012)에 구비되어 있고, 표준 MSC로서 PD 프린터(1000)의 기억장치 제어기(802)에 의해 관리된다.
(3) 인쇄장치(810)는 PD 프린터(1000)에 구비되어 있고, PD 프린터(1000)의 인쇄 제어기(803)에 의해 관리된다.
[CDPS 출력 절차]
본 실시예의 CDPS는 아래에 설명된 2 종류의 출력 절차를 갖고 있다.
<표준 절차>
본 실시예의 CDPS에서는, 아래의 기능 및 몇 개의 정보에 따라 절차가 정의되어 있다.
ㆍCDPS 초기화기능(CDPS 초기화기)
ㆍ조작 제어기능(조작 제어기)
ㆍ기억 제어기능(기억장치 제어기)
ㆍ인쇄 제어기능(인쇄 제어기)
ㆍ서비스 발견(discover) 정보
ㆍ서비스 정보
ㆍ작업 정보
ㆍ작업 데이터 정보
<확장 절차>
판매자에 고유한 사양에 의거하여 각종 포맷의 출력을 지원하는 절차에 관하여, 아래의 언어 및 포맷의 각각에 대해 정의되어 있다.
ㆍXHTML
ㆍSVG
ㆍ고유 포맷
[CDPS 기능의 설명]
본 실시예의 CDPS는, DSC(3012)와 PD 프린터(1000)의 쌍방의 PTP의 상위층에서 임의로 어플리케이션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즉,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간의 기능(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송/수신과 같은, PTP 프로토콜 하에서의 각종 정보의 교환이 인쇄의 수행을 위해 필요함)의 모델링(modeling)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5a 및 15b에 도시된 인쇄 서비스를 포함한다. 도 7의 어플리케이션층 700 및 703에서는, 기본적으로 도 15a 및 15b의 인쇄 서비스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다이렉트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서비스 기능은 필수기능(도 15a)과 선택기능(도 15b)을 포함한다. CDPS를 지원하는 장치에는 모든 필수 기능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도 15a 및 1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의 서비스 기능의 리스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하나씩 설명한다.
(a) CDPS_ServiceDiscovery(서비스 디스커버리)
이 기능은 CDPS로의 이행을 행한다. 반환값은 "표준" 또는 "확장" 절차를 지시하는 스크립트이며, 선택된 절차가 수신된다. 또한, "확장" 절차에서는, CDPS_ServiceDiscovery 기능만이 사용된다.
(b) CDPS_Service(인쇄 제어기(803) →조작 제어기(801))
PD 프린터의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파라미터로서 통지된다. PD 프린터의 기능을 설명한 스크립트는 변수(argument)로서 사용되고,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c) CDPS_PageStart(인쇄 제어기(803) →조작 제어기(801))
인쇄 시작이 통지된다(1 페이지마다).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이며,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d) CDPS_PageEnd(인쇄 제어기(803) →조작 제어기(801))
이 기능은 인쇄 종료의 통지를 제공한다(페이지가 하나씩 배출될 때).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이며,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e) CDPS_JobEnd(인쇄 제어기(803) →조작 제어기(801))
이 기능은 인쇄 작업의 완료 통지를 제공한다.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이며,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f) CDPS_Error(인쇄 제어기(803) →조작 제어기(801))
이 기능은 에러의 통지(Warning(경고)/Fatal(치명적))를 제공한다. 파라미터는 인쇄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이며,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g) CDPS_JobData(인쇄 제어기(803) →기억장치 제어기(802))
이 기능은 기억장치(811)로부터 JPEG 등의 화상을 취득한다. 취득할 화상 데이터의 핸들명(handle name)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변수로서 사용되고, 반환값은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와, 화상 데이터 그 자체이다.
(h) CDPS_DataList(조작 제어기(801) →기억장치 제어기(802))
이 기능은 기억장치(811)로부터 JPEG 등의 화상 정보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PD 프린터(1000)의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변수로서 사용되고, 반환값은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를 설명하는 스크립트이다.
(i) CDPS_Job(조작 제어기(801) →인쇄 제어기(803))
이 기능은 인쇄 명령의 통지를 제공한다. 인쇄 명령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변수로서 사용되고,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j) CDPS_JobAbort(조작 제어기(801) →인쇄 제어기(803))
이 기능은 인쇄 중지 명령의 통지를 제공한다. 프린터의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변수로서 사용되고,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k) CDPS_JobContinue(조작 제어기(801) →인쇄 제어기(803))
이 기능은 인쇄 재개 명령의 통지를 제공한다. 프린터의 기능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변수로서 사용되고, 반환값은 통신 결과 즉, 통신의 "성공(TRUE)" 또는 "실패(FALSE)"를 나타낸다.
상기 기능들이 CDPS의 필수기능이다.
도 1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CDPS는 선택기능으로서 CDPS_PartialJobData 기능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CDPS_PartialJobData(인쇄 제어기(803) →기억장치 제어기(802))는 기억장치(811)로부터 JPEG 등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이다.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핸들명을 설명하는 스크립트가 변수로서 사용되고, 그 반환값은 취득된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와, 화상 데이터 그 자체이다.
[스크립트 포맷의 설명]
이하,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에 사용되는 스크립트의 내용과, 그 이외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스크립트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각종 기능 명령의 포맷>
(1)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의 스크립트 포맷
이 포맷은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에 사용되는 스크립트(유니코드(Unicode)로 기술되어 있음)의 내용을 갖고 있으며, CDPS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포맷은 키워드의 상호 인식을 허용한다.
CanonDirectPrintService (UILevel=X)(장치 정보, UI 레벨 정보(x)는 0에서 4)
CanonDirectPrintService (HostUI)(호스트(PD 프린터)의 UI가 사용될 경우)
혹은,
CanonDirectPrintService (DeviceUI)(장치(DSC)측의 UI가 사용될 경우)
(2) CDPS_PageStart, CDPS_PageEnd, CDPS_JobEnd, CDPS_DataList, CDPS_JobAbort, CDPS_JobContinue의 스크립트 포맷
<?XML version="1.0" encoding="UTF-16"?>
<!ELEMENT command
("CDPS_PageStart"|"CDPS_PageEnd"|"CDPS_JobEnd"|"CDPS_JobAbort"|"CDPS_JobContinue")>
(3) CDPS_Service의 스크립트 포맷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Service)>
<capability>
<-- Printer 성능을 기술 -->
</capability>
(4) CDPS_Job의 스크립트 포맷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Service)>
<job>
<capability>
<-- 프린터 성능(인쇄 모드)을 기술 -->
</capability>
<printlist>
<-- 화상 파일 취급과, 날짜 등의 부가 정보를 기술 -->
</printlist>
</job>
(5) CDPS_Error의 스크립트 포맷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Error")>
<!ELEMENT status("fatal"|"warning")>
<!ELEMENT reason
("printer_occupied"|"printer_busy"|"ink_low"|
"lever_error"|"load_error"|...)>
이 포맷에서, "status"는 에러로부터 작업으로 복귀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fatal"은 복귀가 불가능함을 나타내고, "warning"은 복귀가 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reason"은 에러의 원인을 설명한다.
(6) CDPS_JobData 및 CDPS_PartialJobData의 스크립트 포맷
<?XML version="1.0" encoding="UTF-16"?>
<!ELEMENT command
("CDPS-JobData"|"CDPS_PartialJobData")>
<image(#PCDATA)>
<offset(#PCDATA)>
<size(#PCDATA)>
이 포맷에서, "image"는 파일의 핸들명(handle name)을 나타내고, "offset"은 화상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를 나타내며, "size"는 취득될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CDPS_JobData의 경우, 선택기능의 부분적인 취득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들 "offset" 및 "size"는 무효이다.
<성능(capability)의 포맷>
이하, CDPS_Service 기능 및 CDPS_Job 기능으로 사용되는 <성능(capability)>의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capability>
<-- [협상이 필요하지 않은 항목] -->
<!ELEMENT quality("draft"|"normal"|"fine")>
<!ELEMENT paper_size
("L"|"2L"|"card"|"4x6"|"A4"|"letter"|...)>
<!ELEMENT paper_type("plain"|"photo")>
"quality"는 인쇄 품질을 나타내고, "초벌(draft)", "보통 (normal)", "미세(fine)"를 지정한다. "paper_size"는 용지 크기(L(3.5 ×5), 2L(5 ×7), 카드(card), 4 ×6, A4, 레터 사이즈 등)를 나타내고, "paper_type"은 용지종류를 나타내며, "보통 용지(plain)"와 "사진전용지(photo)"를 지정한다.
<-- [협상이 필요한 항목] -->
<!ELEMENT image_type("bmp"|"jpeg"|"tiff"|...)>
<!ELEMENT date("on"|"off")>
<!ELEMENT file_name("on"|"off")>
<!ELEMENT image_optimize("on"|"off")>
<size_per_page(#PCDATA)>
<!ATTLIST layout L
("borderless"|"1x1"|ㆍㆍㆍ|"index(3x5)")
"borderless"
2L("borderless"|"1x1"|ㆍㆍㆍ|"index(5x7)")
"borderless"...>
"Image_type"은 지원되는 화상 포맷을 나타낸다. "date"는 날짜인쇄의 온/오프를 나타낸다. "file_name"은 파일명 인쇄의 온/오프를 나타내고, "image_optimize"는 화상보정의 온/오프를 나타내고 있다. "size_per_page"는 판독 가능한 화상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고, "layout"은 각종 용지종류에 대하여 적용가능한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option>
<!ATTLIST vendor image_optimize("DiPS"|"auto"|ㆍㆍㆍ)
"auto"
trimming_x (#PCDATA)"0"
trimming_y (#PCDATA)"0"
trimming_w (#PCDATA)"0"
trimming_h (#PCDATA)"0"
...>
</option>
</capability>
또한, "option"으로 포위된 부분은 각 판매자에게 고유한 프린터 성능(Printer Capability)을 나타내고, 판매자의 이름도 나타낸다.
<작업 포맷(Job format)>
이하, CDPS_Job 기능으로 사용되는 <작업>의 포맷을 설명한다.
<job>
<capability>
<-- 전술한 성능 포맷 -->
</capability>
<printlist>
<image (#PCDATA)>
<date (#PCDATA)>
<file_name (#PCDATA)>
<-- image, data 및 file_name을 반복한다-->
</printlist>
</job>
상기 "capability"로 포위된 부분은 이하에 설명되는 화상 인쇄를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또한, "printlist"로 포위된 부분은 이 작업 내에서 인쇄되는 화상, 부가 정보(날짜, 파일명) 등을 나타낸다.
<작업포맷의 구체적인 예>
다음으로, 이 작업포맷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A) 날짜를 넣은 L판(3.5 ×5) 사진용지에 Handle1의 화상에 대해 테투리없음 인쇄가 수행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capability>
<papersize("L")> : 용지 크기(L판(3.5 ×5))
<papertype("Photo")> : 사진용지
<date("on")> : 날짜인쇄 온(on)
<layout("borderless")> : 테두리없음 인쇄
</capability>
<printlist>
<image("handle1")> : Handle 1의 화상
<date("2002/05/30")> : 날짜(2002년5월30일)
</printlist>
</job>
(B) L판(3.5 ×5)의 사진용지에 2 ×2의 레이아웃으로 handle 1∼6의 6개의 화상이 인쇄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16"?>
<command(CDPS_job)>
<job>
<capability>
<papersize("L")> : 용지사이즈(L판(3.5 ×5))
<papertype("Photo")> : 사진용지
<date("off")> : 날짜인쇄 온(on)
<layout("2x2")> : 2 ×2 레이아웃
</capability>
<printlist>
<image("handle1")>
<image("handle2")>
<image("handle3")>
<image("handle4")>
<image("handle5")>
<image("handle6")> : handle 1∼6의 화상지정
</printlist>
</job>
[CDPS의 "표준 절차"의 흐름 설명]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상기 800 내지 803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CDPS 기능을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서, 점선으로 된 "A", "B", "C" 및, "D"는 대표적인 것으로 생각되는 기능 분담의 분할점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에서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CDPS 초기화기(800)에 의해, CDPS 모드로의 이행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통지되면(804), 상기 요구에 따라, DSC(3012)에 의해 지원되는 레벨("표준", "확장" 및 지원되는 기능)이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통지된다(821). 상기 통지된 레벨에 의거하여, PD 프린터(1000)는 상기 기능 800 내지 803의 각각을 DSC(3012) 또는 PD 프린터(1000)의 어느 것이 수행해야 하는지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DSC(3012)에 통지한다(822).
도면 번호 823은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기억장치 제어기(802)에 대한, 기억장치(81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리스트에 대한 요구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824는 상기 요구(823)에 따라, 기억장치 제어기(802)에 의해 기억장치(811)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805에서, 리스트 데이터가 기억장치 제어기(802)로부터 조작 제어기(801)에 송신된다. 825에서, 사용자(812)의 조작에 의해, 인쇄 모드와, 인쇄할 화상이 선택되어 인쇄 작업이 생성되고, 상기 인쇄 작업이 조작 제어기(801)에 통지된다. 이에 따라, 생성된 UI 메뉴를 사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812)의 지시에 의거하여, 출력 설정지시 "CDPS_Job"(808)가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인쇄 제어기(803)에 대하여 생성되고, 상기 출력 설정지시 "CDPS_Job"(808)가 인쇄 제어기(803)에 통지된다. 그 다음, 826에서는, 인쇄 제어기(803)로부터 기억장치 제어기(802)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기억장치(811)로부터 화상 데이터(827)가 판독되고, 인쇄에 필요한 화상 파일 "JobData"(806)가 기억장치 제어기(802)로부터 인쇄 제어기(803)에 전송된다. 따라서, 인쇄 제어기(803)에서 화상처리 등이 실행되어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고, 인쇄 데이터(828)가 인쇄장치(810)에 전송되어, 인쇄가 실행된다.
인쇄 도중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에러 정보(829)가 인쇄 제어기(803)로부터 조작 제어기(801)에 전송된다. 상기 에러에 대하여 사용자(812)가 "인쇄 중지" 또는 "인쇄 계속"을 지시하면(831), 예를 들어, 사용자(812)가 "인쇄 중지"를 지시하면, "인쇄 중지" 명령(830)이 조작 제어기(801)로부터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된다(이 명령은 도 15a에 도시되어 있음). 그 다음, 인쇄 제어기(803)로부터 조작 제어기(801)에 대하여 인쇄 작업의 완료가 통지된다(832).
도 17은 DSC(3012)가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장치 제어기(802)를 담당하고, PD 프린터(1000)가 인쇄 제어기(803)를 담당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기능을 분리하는 위치는 상기 도 16의 위치 "C"와 동등하다. 또한, 이 예는 PTP를 이용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DSC(3012)의 조작 제어기(801) 및 기억장치 제어기(80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TCP/IP 등의 다른 접속에 대해서도 유사한 구성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 PD 프린터(1000)는 822에서, 기능 800∼803의 조작 제어기(801)와 기억장치 제어기(802)가 DSC(3012)에 의해 수행되고, 인쇄 제어기(803)가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행된다고 하는 통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간의 기능 분담이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정된다.
도 18은 DSC(3012)의 기억장치(811)가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로서 취급되고, PD 프린터(1000)가 조작 제어기(801), 기억장치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를 담당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기능의 분리 위치는 도 16의 위치 "A"이다. 또한, 이 예는 PTP를 사용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DSC(3012)의 조작 제어기(801)와 기억장치 제어기(802)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TCP/IP 등의 다른 접속에 대해서도 유사한 구성이 얻어진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는 822에서, 모든 기능 800∼803이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행된다고 하는 통지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간의 기능 분담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정된다.
또한, DSC(3012)의 자원(resource)이 전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도, PTP 등의 다른 접속에 대해 유사한 구성이 얻어진다. 또한, DSC(3012)가 CDPS 초기화기(800)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CDPS를 지원하지 않는 모델)에도 이것은 유효하다.
이하, 상기 CDPS에서의 서비스 기능의 명령이 PTP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PTP를 통한 인쇄 서비스 기능의 예]
<CDPS 서비스 디스커버리(CDPS_ServiceDiscovery) 기능>
도 19는 CDPS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능의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와 DSC(3012)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PTP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1400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GetDeviceInfo가 우선 송신되고, DSC(3012)에 대하여, DSC(3012)에 기억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요구된다. 상기 요구에 대하여, DSC(3012)는 DeviceInfoDataset에 의해, DSC(3012)에 기억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1402에서, OpenSession에 의해, DSC(3012)가 자원으로서 할당되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 오브젝트에 핸들(handle)이 할당되며, 특별한 초기화를 위한 절차의 시작이 요구된다. 상기 요구에 대하여, DSC(3012)로부터 승인(OK)이 응답되면, PTP 상에서의 통신이 개시된다. 다음으로, 1403에서, DSC(3012)에 대하여 스크립트 포맷의 모든 핸들이 요구되면(Storage ID : FFFFFF, Object Type : 스크립트), 1404에서, DSC(3012)에 기억된 모든 핸들 리스트가 반송된다. 다음으로, 1405 및 1406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i번째의 오브젝트 핸들에 관한 정보가 취득된다. 상기 오브젝트가 DSC(3012)의 식별을 나타내는 키워드(예를 들어, "매크로(Macro)")를 포함할 경우에는, 그 다음에, 1407에서, PD 프린터(1000)는 오브젝트 정보를 송신하라는 지시를 제공한다(SendObjectInfo). 상기 송신에 대해 승인(OK)이 수신될 경우에는, SendObject에 의해, 오브젝트 정보가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송신된다.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키워드의 응답 키워드(암호)로서 예를 들어, "폴로(Polo)"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PD 프린터(1000)와 DSC(3012)의 쌍방은 서로 상대방을 인식할 수 있고, 그 후에는 CDPS의 절차로 이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는 트랜스포트층은 키워드를 확실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CDPS에 고유의 명령 등을 추가하지 않고도, 키워드가 교환될 수 있다. 또한, 키워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키워드가 PD 프린터(1000)와 DSC(3012)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키워드를 이용하는 협상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스크립트 포맷의 핸들의 선두(i=1)에 키워드가 위치됨으로써, 서로 기기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0은 CDPS_ServiceDiscovery의 절차의 계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1501에서,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절차 "표준 절차" 및 "확장 절차"를 DSC(3012)에 통지하기 위하여, SendObjectInfo에 의하여, 송신될 오브젝트 정보가 존재한다고 DSC(3012)에 통지된다. 상기 송신에 대하여, 승인(OK)이 DSC(3012)로부터 송신되면, 1502에서, SendObject에 의해 오브젝트의 송신이 DSC(3012)에 통지되고, 다음의 1503에서, ObjectData에 의해,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절차에 관한 정보("표준"/"확장")가 송신된다. 다음으로, 1504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GetObject 동작의 시작(푸시모드(push mode)로의 이행)이 통지된다. 이에 따라, 1505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에 관한 정보의 수신이 송신되면(GetObjectInfo), 1506에서, ObjectInfoDataset에 의해,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통지된다. 1507에서, 상기 오브젝트 정보가 지정되어 상기 오브젝트가 요구되면, ObjectDataset에 의해, DSC(3012)에 의해 사용되는 절차("표준", "확장" 등)이 PD 프린터(1000)에 통지된다(1508).
이에 따라,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화상의 인쇄 모드가 지정될 수 있다.
<CDPS_Service(표준)>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의 프린터 기능의 통지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절차에서는, 1600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송신될 오브젝트 정보가 존재한다고 통지되고, SendObject와 ObjectData에 의해, DSC(3012)에 대하여 프린터(1000)의 기능이 통지된다.
<CDPS_JobData(표준)>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JPEG 화상)를 취득하는 통신 절차(CDPS_JobData)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1800에서, DSC(3012)(또는 기억장치)에 유지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요구되면, 1801에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Object Dataset)가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1802에서, 상기 오브젝트가 지정되어 취득 요구(GetObject)가 발행되면, 1803에서, 상기 요구된 화상 파일(Object Dataset)이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PD 프린터(1000)는 DSC(3012)로부터 원하는 화상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반환값은 "Data_Size"와 "Image_Data"이다.
<CDPS_PageStart(표준)>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인쇄시작의 통지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절차에서는, 1700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오브젝트 정보(인쇄 시작 통지)가 존재한다고 통지된다. 1701에서, SendObject와 ObjectData에 의해, DSC(3012)에 대하여 인쇄 시작이 통지된다.
<CDPS PageEnd(표준)>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1페이지의 인쇄종료가 통지되는 통신절차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절차에서는, 1910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송신될 오브젝트 정보(인쇄 종료 통지)가 존재한다고 통지된다. 1911에서, SendObject와 ObjectData에 의해, DSC(3012)에 대하여 1페이지의 인쇄 완료가 통지된다.
<CDPS_JobEnd(표준)>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인쇄 작업의 완료가 통지되는 통신절차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910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1페이지 인쇄의 완료가 통지되고, 1911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인쇄 작업의 완료가 통지된다.
<CDPS Error(표준)>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에러 상태 등을 DSC(3012)에 통지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1900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송신될 오브젝트 정보(에러 정보)가 존재한다고 SendObjectInfo에 의해 통지된다. DSC(3012)로부터의 승인(OK)에 대하여, PD 프린터(1000)에서의 에러 등에 관한 상태 정보가 SendObject와 ObjectData에 의해 송신된다(1902).
<CDPS Job(표준)>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3012)(조작 제어기)로부터의 인쇄 작업의 시작을 PD 프린터(1000)에 통지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2200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RequestObjectTransfer가 송신되어, DSC(3012)가 지시의 발행을 요구한다고 통지한다. 따라서, 2201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GetObjectInfo가 발행되면, DSC(3012)는 송신될 오브젝트 정보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송신에 대하여, PD 프린터(1000)가 오브젝트 정보를 요구하면(GetObject : 2203), 2204에서, Object Dataset(인쇄 지시)가 송신되고,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명령이 발행된다.
<CDPS_JobAbort(표준)>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3012)(조작 제어기)로부터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에 대하여 인쇄 중지 명령(CDPS_JobAbort)을 발행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DPS_JobContinue(표준)>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DSC(3012)(조작 제어기)로부터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에 대하여 인쇄 재개 명령(CDPS_JobContinue)을 발행하는 통신 절차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에서, 도 27에서와 동일한 절차가 수행된 후, 도 28의 2301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중지 지시가 발행된다. 도 29의 2401에서는,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계속 지시가 통지된다.
<CDPS_PartialJobData(표준)>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가 DSC(3012)(기억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JPEG 화상)를 취득할 경우에 부분 화상을 취득하는 통신 절차(선택)를 PTP 아키텍처에 의해 실현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1920에서, DSC(3012)에 기억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요구되면, 1921에서, 상기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Object Dataset)가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1922에서, 상기 오브젝트가 지정되고, 취득 요구(GetObject)가 발행된다. 또한,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원하는 화상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와, 취득될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크기)가 지정된다. 따라서, 1923에서는, 상기 요구된 화상 파일(Object Dataset)의 부분 화상 데이터가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PD 프린터(1000)는 DSC(3012)로부터 원하는 부분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반환값은, "DataSize"와 "Image_Data"이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 따른 CDPS에서, PD 프린터(1000)(인쇄 제어기)가 DSC(3012)(기억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JPEG 화상)를 취득하는 부분 화상 취득기능을 수신한 경우의 DSC(3012) 또는 기억장치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21에서, <image(#PCDATA)>에 포함되는 화상 파일의 핸들명(handle name)이 취득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22로 진행하고, "오프셋(Offset)"에 의해,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가 취득된다. 그 후, 단계 S23에서, "크기(size)"에 의해, 취득될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24로 진행하고, 기억장치(811)에서 지정된 화상 파일의 오프셋 위치로부터 지정된 바이트 수의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리고, 처리가 단계 S25로 진행하고, 판독된 부분 화상 데이터는 요구의 출발지인 PD 프린터(1000) 또는 인쇄 제어기(803)에 송신된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PTP 아키텍처 상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기억된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취득할 경우에는, PD 프린터가 "화상 파일의 핸들",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 및, "취득될 부분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파라미터로 기술하고 있는 PTP 동작 "GetPartialObject"를 발행한다. DSC(3012)는 상기 PTP 동작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부분 화상 데이터의 요구된 부분을 특정하여, 상기 PTP 동작의 응답으로서 PD 프린터(1000)에 상기 부분 화상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부분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실현된다.
이상의 설명은 물리층의 USB 상에 PTP 아키텍처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하, 다른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MSC 아키텍처]
이하, MSC(Mass Storage Class)를 사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Mass Storage Class의 USB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이 경우, DSC(3012)의 UI 대신에, PD 프린터(1000)의 UI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조작 제어기(801), 기억장치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는 모두 PD 프린터(1000)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PD 프린터(1000)의 파일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Open, Read, Close 및 디렉토리 조작 등(파일 조작)에 의해, 상기 GetJobData, GetPartialJobData 및, GetDataList(파일 시스템에 의함)가 실행된다.
<CDPS_ServiceDiscovery(표준/확장)>
이 경우,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CDPS_ServiceDiscovery가 송신된다. DSC(3012)가 상기 CDPS 초기화기(800)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는 자동적으로 "표준"으로 수신이 설정된 것으로 인식하고, MSC(벌크 단독)로 이행한다. 조작 제어기(801), 기억장치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는 PD 프린터(1000) 측에 위치하게 되며, CDPS_GetPartialData는 "지원됨"으로 설정된다.
<CDPS_JobData(표준)>
PD 프린터(1000)는 인쇄 명령에 의해 지정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경우,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명령 수신"이 발행되고, 상기 명령에 따라, 화상 데이터 "Image Data"가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실제로, PD 프린터(1000)에 구축된 파일 시스템을 통해, 기억장치(811)의 화상 데이터가 SCSI 명령을 이용하여 취득된다. 또한, 이 때의 반환값은 "데이터 크기(Data Size)"와 "화상 데이터(Image Data)"이다.
<CDPS_PartialJobData(선택)>
이 절차는 화상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취득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CDPS_JobData"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 경우, 반환값도 "데이터 크기(Data Size)"와 "화상 데이터(Image Data)"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MSC 아키텍처 상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기억된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취득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는, "화상 파일의 핸들",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 "취득될 부분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 및, "PD 프린터(1000)의 파일 시스템"에 의거하여, DSC(3012)에 유지된 기억장치에서 "판독 위치(어드레스)" 및 "판독 바이트 수"를 파라미터로서 기술하는 SCSI 명령 "수신(Receive)"을 발생한다. DSC(3012)는 상기 SCSI 명령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요구된 데이터를 상기 SCSI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PD 프린터(1000)에 송신함으로써, 부분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실현된다. 이 경우, PTP 아키텍처와 달리, DSC(3012)에 의해 수신된 SCSI 명령의 파라미터는 "화상 파일의 핸들" 및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DSC(3012)로부터 보면, 상기 송신된 SCSI 명령이 CDPS_JobData 또는 CDPS_PartialJobData에 의거하여 발행된 것인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상으로 설명한 것과 같이, 블루투스 아키텍처 상에서,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기억된 화상으로부터 부분 화상을 취득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는, "화상 파일의 핸들",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 및, "취득될 부분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파라미터로서 기술하는 블루투스 명령 "GetPartialImage"를 발행한다. DSC(3012)는 상기 블루투스 명령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부분 화상 데이터의 상기 요구된 부분을 특정하고, 상기 부분을 상기 블루투스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PD 프린터(1000)에 송신함으로써, 부분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실현된다. 상기 전송방법은 PTP 아키텍처 상에서의 실현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PD 프린터(1000)는 화상공급장치로서 기능하는 DSC(3012)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에 따라,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을 송신한다.
이 때, 화상공급장치(DSC(3012))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는, 이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화상공급장치의 조작부가 조작되어, 출력될 화상과, 출력장치에 의한 화상의 출력 형태에 대한 지시가 발행된다. 상기 지시된 정보(작업 데이터)는 출력장치(PD프린터(1000))에 의해 해석되고,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부분 화상 요구 명령이 송신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원 용량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DSC(3012) 등의 화상공급장치의 변환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PD 프린터(1000) 등의 출력장치에서는, 자기의 출력 용량 및 출력 상태에 따라 부분 화상을 요구하기 위하여, 작업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장치 측에서 부분 화상 요구를 발생시킴으로써, 시스템이 더욱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PTP 아키텍처 및 MSC 아키텍처와 달리, 블루투스 아키텍처 상에서는, DSC(3012)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구(PutImage)를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의 방향으로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래에 설명되는 실현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그 예는 아래와 같다. 본 예에서, " →"는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로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을 도시한 것이고, " ←"는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로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CDPS_PartialJobData(Option)
PD Printer DSC
(PartialJobData 통지) → PutImage
→ ImageObjectData
← OK (통지 수신 완료)
← PutImage (부분 데이터의 송신)
← ImageObjectData
(부분 데이터 수신 완료) → OK
반환값은 "데이터 크기" 및 "화상 데이터"
우선, PD 프린터(1000)는, CDPS_PartialJobData의 스크립트가 다른 CDPS 명령(예를 들어, CDPS_PageStart)과 같이 유지되게 하면서, "PutImage"를 발행하여 CDPS_PartialJobData를 DSC(3012)에 송신한다. CDPS_PartialJobData의 스크립트를 수신한 DSC(3012)는 스크립트에 기술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핸들", "선두로부터 오프셋된 바이트 수" 및, "취득될 부분 화상 데이터의 바이트 수"에 의거하여 요구된 데이터를 특정하고, 블루투스 명령 "PutImage"를 발행하여 그 명령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함으로써, 부분 화상 데이터의 전송이 실현된다.
PTP, MSC 및 블루투스의 상기 3종류의 아키텍처 모두에 관하여, CDPS_JobData 및 CDPS_PartialJobData의 처리에 대해 바람직한 실현방법이 각각 사용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층으로부터 보면, 발행된 CDPS 명령, 응답으로서 반환되는 정보 및, 취득되는 데이터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층은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CDPS가 다른 아키텍처로 이식될 경우에는, 그 아키텍처의 특성에 따라 바람직한 실현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실제로 복수의 아키텍처를 지원하고 있는 PD 프린터(1000)에 의해, CDPS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아키텍처는 접속된 DSC(3012)를 지원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반대로, 실제로 복수의 아키텍처를 지원하고 있는 DSC(3012)에 의해, CDPS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아키텍처는 접속된 PD 프린터(1000)를 지원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결정된다. PD 프린터(1000) 및 DSC(3012)의 쌍방이 복수의 아키텍처를 지원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장치들 중 하나의 UI가 사용되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아키텍처를 결정하거나, 상기 장치들 중 하나를 실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키텍처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블루투스(Bluetooth) 아키텍처]
아래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도 7의 가장 우측의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이 예에서는, 물리층의 상위 통신층으로서 2개의 장치간의 세션(session)이 설정되어, 오브젝트 등을 송수신한다. 상위 어플리케이션층의 구성은 블루투스 스틸 이미지 프로파일(Bluetooth Still Image Profile)을 이용하여 기술되어 있다.
블루투스 스틸 이미지 프로파일의 경우, 상기 접속과 함께, DSC(호스트) →PD 프린터(슬레이브)로의 또 다른 접속이 형성되고, DSC(3012)로부터 통상의 "PutImage" 명령이 발행되어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편의상 아래의 접속이 형성된다.
접속 1 : PD 프린터(호스트) →DSC(슬레이브)
접속 2 : PD 프린터(슬레이브) →DSC(호스트)
이하, 이 블루투스에 의한 서비스 기능의 프로토콜을 설명한다.
한편, 도 32 내지 도 43의 서비스 기능은 도 19 내지 도 30과 상응하므로, 아래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CDPS_ServiceDiscovery(표준/확장)>
도 32는 블루투스에서, CDPS로의 이행의 프로토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와 마찬가지로, 키워드("매크로", "폴로")에 의해 접속 상대방이 인식된다. 또한, DSC(3012)는 DSC(3012)에 구비된 UI의 지원 레벨에 관한 키워드를 통지한다. 따라서, PD 프린터(1000)는 DSC(3012) 또는 PD 프린터(1000)의 어느 UI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키워드에 부가하여, DSC(3012)에 통지한다.
<CDPS_ServiceDiscovery(표준/확장)>
도 33은 블루투스에서, CDPS로의 이행의 프로토콜의 계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간의 CDPS 모드에서의 통신이 확립된다.
<CDPS_Service(표준)>
도 34는 블루투스에서, PD 프린터(1000)의 기능 통지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PD 프린터(1000)의 기능이 통지된다.
<CDPS_JobData(표준)>
도 35는 블루투스에서, PD 프린터(1000)가 인쇄 명령에 따라 DSC(301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게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반환값은 "데이터 크기(Data Size)"와 "화상 데이터(Image Data)"이다.
<CDPS_PageStart(표준)>
도 36은 블루투스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인쇄 시작 명령을 DSC(3012)에 통지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DPS_PageEnd(표준)>
도 37은 블루투스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1페이지 인쇄 완료를 DSC(3012)에 통지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DPS_JobEnd(표준)>
도 38은 블루투스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인쇄 작업의 완료를 DSC(3012)에 통지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DPS_Error(표준)>
도 39는 블루투스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의 프린터 에러를 DSC(3012)에 통지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DPS_Job(표준)>
도 40은 블루투스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해 인쇄 명령을 발행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DPS_JobAbort(표준)>
도 41은 블루투스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해 인쇄 중지 명령을 발행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DPS_JobContinue(표준)>
도 42는 블루투스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대해 인쇄 재개 명령을 발행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CDPS_PartialJobData(선택)>
도 43은 블루투스에서, PD 프린터(1000)가 인쇄 명령에 따라 DSC(3012)로부터 부분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게 하는 프로토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반환값은 "데이터 크기"와 "화상 데이터"이다.
도 44a 내지 도 44c는 DSC(3012)와 PD 프린터(1000)의 지원 레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종 제어 기능(조작 제어기(801), 기억장치 제어기(802) 및, 인쇄 제어기(803))의 분담은 도 11의 순서도의 지원 레벨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도 44a는 조작 제어기(801)의 지원 레벨을 도시한 것이고, 도 44b는 기억장치 제어기(802)의 지원 레벨을 도시한 것이며, 도 44c는 인쇄 제어기(803)의 지원 레벨을 도시한 것이다. DSC(3012)는 "0" 내지 "4"의 지원 레벨을 설정할 수 있고, PD 프린터(1000)는 "1" 내지 "3"의 지원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DSC(3012)와 PD 프린터(1000)가 동일한 지원 레벨을 가지면, DSC(3012)와 PD 프린터(1000) 중의 어느 것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판단하는 사람의 재량으로 남겨진다.
예를 들어, 도 44a의 조작 제어기(801)의 지원 레벨에 대하여, 레벨 "4"는 DSC(3012)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명시하는 레벨을 나타내고, 레벨 "3"은 뷰어와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레벨 "2"는 조작 버튼만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레벨 "1"은 최소한의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레벨 "0"은 상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44b의 기억장치 제어기(802)의 지원 레벨에 대하여, 레벨 "4"는 DSC(3012)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명시하는 레벨을 나타내고, 레벨 "3"은 핸들 기능(handle function)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레벨 "2"는 화상 파일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레벨 "1"은 기억장치(811)를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레벨 "0"은 상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 44c의 인쇄 제어기(803)의 지원 레벨에 대하여, 레벨 "4"는 DSC(3012)의 기능을 사용하도록 명시하는 레벨을 나타내고, 레벨 "3"은 렌더링(rendering) 기능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레벨 "2"는 계조처리만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레벨 "1"은 JPEG의 복호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레벨 "0"은 상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PD 프린터(1000)와 DSC(3012)의 전술한 기능들은 서로 비교되고, 어느 기능(도 8의 800 내지 803)이 사용하기에 가장 효율적인지에 대해 판단되며, 도 12 내지 도 14,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기능 분담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기, 판독기, 프린터 등)로 구성되는 시스템과, 단일 장치(예를 들어, 복사기, 팩시밀리 등)로 구성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의 기능(카메라측에서 수행되는 처리, 프린터측에서 수행되는 각종 인쇄 조작)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매체(또는 기록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및 MPU)가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함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시키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또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오퍼레이션 시스템(OS)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또한 수행하며, 상기 처리에 의해 상기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카드와,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부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기록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기능 확장카드와 기능 확장부에 구비된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며, 상기 처리에 의해 상기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PD 프린터가 USB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DSC는 슬레이브로서 설정되며, 인쇄 동작에 들어가기 전에, PD 프린터 또는 DSC 중의 하나에 포토-다이렉트 인쇄에 필요한 각 기능이 할당되며, DSC 측에서 가장 적절하거나 원하는 인쇄 모드가 결정되어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능 분담 도중에, 예를 들어, DSC(3012)가 CDPS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의 단계 S11에서, DSC(3012)에서의 기능 800 내지 803의 지원 레벨을 PD 프린터(1000)에 통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DSC(3012)의 기능 800 내지 803의 지원 레벨은 도 44a 내지 44c의 0 레벨인 것으로 간주되고, 상기 기능 800 내지 803은 모두 PD 프린터(1000) 측에서 지원될 경우에는, CDPS를 지원하지 않는 DSC(3012)와도 CDPS의 자원이 실질적으로 분담될 수 있고, 다이렉트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지원 레벨이 0인 것으로 간주됨"이라고 하는 처리는 도 7의 어느 층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원을 분담함으로써, 호환 장치와 비호환 장치에서 다이렉트 인쇄를 실현함에 있어서, 개발기간 단축, 더 낮은 비용, 자원 감소 및, 신뢰성 향상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D 프린터가 USB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DSC는 슬레이브로서 설정된다. 그 조합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로서 기능하는 기능 분담이 적절하게 수행된다면, 어느 장치라도 호스트 또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CDPS에서의 기능 분담 도중에 더 높은 유용성을 판정하는 장치는 PD 프린터(1000)에 한정되지 않고, DSC(3012)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CDPS에서의 기능 분담은 기능 800 내지 803을 유용성에 관해 비교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 800 내지 803에 구비된 복수의 기능의 각 기능군에 대해 분담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분리 위치 A 내지 D 중에서, PD 프린터(1000)에 의해 취급될 수 있는 분리 위치가 DSC(3012)에 송신되고, DSC(3012)가 분리 위치가 채택될 것인지를 결정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에 송신되는 동작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분리 위치를 결정하는 소정의 방법(예 : PD 프린터(1000)의 희망 위치가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짐 등)이 미리 PD 프린터(1000)와 DSC(3012)에 의해 공유되고, 각 장치는 각 장치에 의해 취급되는 분리 위치의 정보를 서로 송신하며, 분리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공유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분리 위치가 장치에 지시되는 이러한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4개의 기능 800 내지 803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4종류의 구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능 800 내지 803의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 기능의 각각에 대해 부분 기능 분담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제어를 구성하는 부분 기능은, 화상 포맷 지원 기능, 레이아웃 인쇄 기능, 날짜/파일명 인쇄 기능, 화상 보정기능, 크기 고정 인쇄 기능, 화상 절단 인쇄 기능 및, 인쇄 작업 포맷 지원 기능을 포함한다.
이하, 부분 기능에 대한 기능 분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포맷 지원 기능)
우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 포맷(예 : JPEG, TIFF 등)이 DSC(301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 포맷을 PD 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그 이외의 화상 포맷을 DSC(3012)가 담당하고 있음을 결정한다. DSC(3012)는 상기 결정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에 의해 취급되는 화상 포맷의 사진화상이 인쇄될 경우에는, DSC(3012)는 인쇄될 사진화상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PD 프린터(1000)는 송신된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DSC(3012)에 의해 취급되는 화상 포맷의 사진화상이 인쇄될 경우에는, DSC(3012)에 의해 취급되는 화상 포맷의 사진화상은,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 포맷으로 변환되어, 포맷 변환된 사진화상이 생성되고, 상기 포맷 변환된 사진화상은 PD 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PD 프린터(1000)는 송신된 포맷 변환된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레이아웃 인쇄 기능)
우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레이아웃 인쇄 기능(예 : 1 페이지 당 2개의 사진화상, 4개의 사진화상 등)이 DSC(301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DSC(3012)는, PD 프린터가 레이아웃 인쇄 기능을 지원하고 있을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가 상기 레이아웃 인쇄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DSC(3012)가 상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DSC(3012)는 상기 결정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가 레이아웃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인쇄될 사진화상과 레이아웃 인쇄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PD 프린터(1000)는 송신된 사진화상과 레이아웃 인쇄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상의 레이아웃 인쇄를 수행한다.
DSC(3012)가 레이아웃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사진화상과 레이아웃 인쇄 정보에 의거하여, 복수의 사진화상을 포함하는 레이아웃 완료된 사진화상을 생성하고, DSC(3012)는 상기 레이아웃 완료된 사진화상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레이아웃 완료된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날짜/파일명 인쇄 기능)
우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날짜/파일명 인쇄 기능이 DSC(301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의해 날짜/파일명 인쇄 기능이 지원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가 상기 날짜/파일명 인쇄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DSC(3012)가 상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DSC(3012)는 상기 결정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가 날짜/파일명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인쇄될 사진화상과, 상기 사진화상에 첨부된 날짜/파일명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사진화상과 날짜/파일명 정보를 인쇄한다.
DSC(3012)가 날짜/파일명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사진화상에 첨부된 날짜/파일명 정보를 인쇄 정보로서 생성하고, 상기 정보를 사진화상과 합성하여 합성된 사진화상을 생성하며, 상기 합성된 사진화상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되어 온 합성된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화상 보정 기능)
우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 보정 기능이 DSC(301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DSC(3012)는, 상기 화상 보정 기능이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가 상기 화상 보정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DSC(3012)는 그 외의 화상 보정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DSC(3012)는 상기 결정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가 화상 보정 기능을 담당하여 출력을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인쇄될 사진화상과, 상기 사진화상에 첨부된 화상 보정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사진화상과 화상 보정 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상에 대한 화상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화상을 인쇄한다.
DSC(3012)가 화상 보정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에 의해 취급되는 화상 보정 기능이 사진화상에 대해 수행되어, 보정된 사진화상이 생성되고, 상기 보정된 사진화상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되어 온 보정된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크기 고정 인쇄 기능)
우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크기 고정 인쇄 기능(예 : 용지 크기에 관계없이, 사진이 L판(3.5 ×5), 2L판(5 ×7) 등으로 인쇄됨)이 DSC(301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의해 크기 고정 인쇄 기능이 지원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가 상기 크기 고정 인쇄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DSC(3012)가 상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DSC(3012)는 상기 결정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가 크기 고정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인쇄될 사진화상과 크기 고정 인쇄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사진화상과 크기 고정 인쇄 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상을 고정된 크기로 변경하여, 고정 크기로 변경된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DSC(3012)가 크기 고정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사진화상과 크기 고정 인쇄 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상을 고정 크기로 변경하여 고정 크기로 변경된 사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고정 크기로 변경된 사진화상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고정 크기로 변경된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화상 절단 인쇄 기능)
우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 절단 인쇄 기능(예 : 사진 중의 사각형이 절단되어 인쇄되고, 원형 부분이 절단되어 인쇄되는 것 등)이 DSC(301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의해 화상 절단 인쇄 기능이 지원될 경우에는, PD 프린터(1000)가 상기 화상 절단 인쇄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DSC(3012)가 상기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DSC(3012)는 상기 결정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가 화상 절단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출력을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인쇄될 사진화상과 화상 절단 인쇄 정보를 PD 프린터(1000)에 송신하고,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사진화상과 화상 절단 인쇄 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상을 절단하여, 화상 절단 인쇄를 출력한다.
DSC(3012)가 화상 절단 인쇄 기능을 담당하여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DSC(3012)는 사진화상과 화상 절단 인쇄 정보에 의거하여 사진화상을 절단하여, 화상 절단 사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화상 절단 사진화상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화상 절단 사진화상을 인쇄한다.
(인쇄 작업 포맷 지원 기능)
우선,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인쇄 작업 포맷(예 : DPOF, CDPS 작업 등)이 DSC(3012)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DSC(3012)는, PD 프린터(1000)가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인쇄 작업 포맷을 담당하고, DSC(3012)가 그 외의 인쇄 작업 포맷을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DSC(3012)는 상기 결정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에 의해 취급되는 인쇄 작업 포맷의 인쇄 작업에 의거하여, PD 프린터(1000)가 인쇄할 경우에는, DSC(3012)는 인쇄 작업을 PD 프린터(1000)에 송신한다.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된 인쇄 작업에 의거하여 인쇄한다.
DSC(3012)가 DSC(3012)에 의해 취급되는 인쇄 작업 포맷의 인쇄 작업을 출력할 경우에는, DSC(3012)에 의해 취급되는 인쇄 작업 포맷의 인쇄 작업은,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인쇄 작업 포맷으로 변환되어, 변환된 인쇄 작업이 생성되고, 상기 변환된 인쇄 작업은 PD 프린터(1000)에 송신된다. PD 프린터(1000)는 상기 송신되어 온 변환된 인쇄 작업에 의거하여 인쇄한다.
이들 부분 기능의 어느 것에서도,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부분 기능에 대해서는, PD 프린터(1000)의 지원 레벨과, DSC(3012)의 지원 레벨이 서로 비교되어, 보다 높은 기능을 갖는 장치가 상기 기능을 담당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들 중의 하나가 모든 부분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PD 프린터(1000)의 기능이 DSC(3012)에 송신되고, DSC(3012)에서 분담이 결정된다고 설명되었다. 반대로, DSC(3012)의 기능이 PD 프린터(1000)에 송신되고, PD 프린터(1000)에서 분담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성능 정보와 각종 지시가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제공됨으로써, 다른 통신 프로토콜로의 이식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표준화도 쉽게 달성된다.
또한, 장치간의 통신 절차는 범용 파일 및 범용 포맷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그 상위 계층으로 본 실시예의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절차층이 규정됨으로써, 각종 인터페이스 사양에 의존하지 않는 통신 절차를 규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인쇄시스템에는 불특정 다수의 장치가 접속되므로, 각종 인터페이스가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각종 인터페이스에 의해 표준 사양으로서 지원되고 있는 사양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들 장치간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기능 정보의 송신은 "파일 전송" 또는 "오브젝트 전송"에 의해 실현됨으로써, 각종 인터페이스 사양에 대해 용이하게 호환성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외에도, PDA, 휴대전화, 텔레비전, 비디오기기, 화상기억장치 등이 화상공급장치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프린터 외에도, 인쇄시스템은 브라운관 등의 표시소자 상에서 표시를 제공하는 텔레비전과, 대용량 기억매체로의 기록을 수행하는 비디오기기와, 정보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USB, IEEE 1394 등 이외에도, 범용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예를 들어, 하나의 PD 프린터가 복수 종류의 범용 I/F를 구비하고, 상기 범용 I/F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DSC와 프린터간의 다이렉트 인쇄를 수행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CDPS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하나의 DSC가 복수 종류의 범용 I/F를 구비하고, 상기 범용 I/F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PD 프린터와 DSC간의 다이렉트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도 이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고속 처리를 요구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부분 전송)에 관해서는, 상기 I/F에 대한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적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의 내에서 각종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일반에 알리기 위한 청구범위는 아래와 같다.

Claims (21)

  1.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화상공급장치와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기록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와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통신 절차를 확립하는 통신수단을 갖고 있는 상기 화상공급장치 및 기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수단과,
    상기 데이터 요구수단에 의한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송신된 부분 화상 데이터에 의해 기록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송신될 화상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조작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상기 조작부를 이용하여 선택되는 화상을 지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록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데이터 요구수단은, 상기 화상공급장치 및 상기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시키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기능 각각을 상기 화상공급장치 또는 상기 기록장치의 어느 하나에 분담시키는 분담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분담된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기록장치에 분담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는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슬레이브로서 설정되며, 상기 분담수단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록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는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슬레이브로서 설정되며, 상기 분담수단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은 적어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조작 제어기능과, 화상 파일을 관리하는 기억 제어기능과, 인쇄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 제어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는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각각의 전용 프로토콜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담수단은 상기 접속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기능의 각각을 상기 화상공급장치 또는 상기 기록장치의 어느 하나에 분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구수단은 화상 파일의 오프셋 어드레스와 데이터량을 지정하여, 상기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10.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공급장치와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기록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와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통신 절차를 확립하는 단계와,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구단계의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송신된 부분 화상 데이터에 의해 기록하는 기록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기록장치에 대하여 송신될 화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화상을 지정하는 정보를 상기 기록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요구단계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의 부분 화상 데이터가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시스템으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기능 각각을 상기 화상공급장치 또는 상기 기록장치의 어느 하나에 분담시키는 분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분담된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기록장치에 분담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는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슬레이브로서 설정되며, 상기 분담단계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기록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는 호스트로서 설정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는 슬레이브로서 설정되며, 상기 분담단계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조작 제어기능과, 화상 파일을 관리하는 기억 제어기능과, 인쇄 동작을 제어하는 인쇄 제어기능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는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고,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각각의 전용 프로토콜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담단계에서, 상기 접속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 또는 상기 기록장치의 어느 하나에 기능이 분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요구단계에서, 화상 파일의 오프셋 어드레스와 데이터량이 지정되어 상기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의 제어방법.
  19.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공급장치와 기록장치를 직접 접속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기록장치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록장치와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신 절차를 확립하고, 상기 기록장치와 상기 화상공급장치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기능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조작 제어기능과, 화상 파일을 관리하는 기억 제어기능과,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기능을 상기 화상공급장치 또는 상기 기록장치의 어느 하나에 분담시키는 분담수단과,
    상기 분담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공급장치와 상기 기록장치의 각각에 분담된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부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기록을 수행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스템.
  20.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상공급장치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공급장치간의 통신 절차를 확립하는 확립수단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부분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수단과,
    상기 데이터 요구수단에 의한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공급장치로부터 송신된 부분 화상 데이터에 의해 기록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1.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장치에 직접 접속되며,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기록장치가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게 하는 화상공급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기억수단과,
    상기 기록장치와 상기 화상공급장치간의 통신 절차를 확립하는 확립수단과,
    상기 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 파일의 부분 화상에 대한 요구를 상기 기록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요구에 따라 부분 화상 데이터와 명령을 상기 기록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기록장치가 기록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록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공급장치.
KR1020057000178A 2002-07-05 2003-07-04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70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97460 2002-07-05
JPJP-P-2002-00197460 2002-07-05
JPJP-P-2003-00190476 2003-07-02
JP2003190476A JP3619235B2 (ja) 2002-07-05 2003-07-02 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312A true KR20050025312A (ko) 2005-03-14
KR100670214B1 KR100670214B1 (ko) 2007-01-16

Family

ID=3011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178A KR100670214B1 (ko) 2002-07-05 2003-07-04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22011B1 (ko)
JP (1) JP3619235B2 (ko)
KR (1) KR100670214B1 (ko)
AU (1) AU2003243014A1 (ko)
WO (1) WO20040060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97B1 (ko) * 2005-12-20 2008-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009B1 (ko) * 2004-04-22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렉트 이미지 인쇄 방법 및 장치
KR100886692B1 (ko) * 2004-09-16 2009-03-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파일 송신 장치와, 파일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9516178B2 (en) * 2006-09-20 2016-12-06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ple media format support for print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6855A (zh) * 1996-06-25 1998-10-21 卡西欧计算机株式会社 打印设备和打印系统
US6298405B1 (en) * 1997-02-14 2001-10-02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system, printing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EP0859327B1 (en) * 1997-02-14 2009-07-15 Canon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1014119A (ja) * 1999-07-02 2001-01-19 Hitachi Ltd 画像信号処理装置
JP2001080139A (ja) * 1999-09-10 2001-03-27 Seiko Epson Corp シリアルプリンタ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454819B2 (ja) * 2000-09-20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
JP2002178608A (ja) * 2000-12-12 2002-06-26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及びプリント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97B1 (ko) * 2005-12-20 2008-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88761A (ja) 2004-03-18
EP1522011A4 (en) 2008-10-08
EP1522011A1 (en) 2005-04-13
EP1522011B1 (en) 2016-04-13
WO2004006084A1 (en) 2004-01-15
KR100670214B1 (ko) 2007-01-16
JP3619235B2 (ja) 2005-02-09
AU2003243014A1 (en) 200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683B1 (ko) 기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15583B1 (ko) 화상공급장치, 기록시스템 및 기록 제어방법
KR100589576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US9389824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hoto-direct printing apparatus
JP4343714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2004015234A (ja)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US8605334B2 (en) Record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670214B1 (ko)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1370060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printing system, and print control method
US8035832B2 (en)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JP2004066602A (ja) 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ダイレクト印刷装置
JP4266948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とその制御方法
JP4367902B2 (ja) 記録システム及び画像供給デバイスと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70610A (ja) プリンタ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627607B1 (ko) 기록시스템, 기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012118A (ja) 画像供給デバイス、記録システム及び記録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