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878A -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878A
KR20050024878A KR1020030062107A KR20030062107A KR20050024878A KR 20050024878 A KR20050024878 A KR 20050024878A KR 1020030062107 A KR1020030062107 A KR 1020030062107A KR 20030062107 A KR20030062107 A KR 20030062107A KR 20050024878 A KR20050024878 A KR 2005002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lock
block
information
assembly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714B1 (ko
Inventor
이규찬
이영호
손영득
이오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7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GPS 를 이용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선박용 조립블록을 이동 및 적치시켜 조립블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동수단을 관제센터에 의해 통제하여 이동수단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조립블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조립블록 관련부서의 업무협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업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블록의 적치지역을 정밀 GPS 에 의해 측량하고 이를 평면 직각좌표값이 결합된 전자지도로 형성하고 이를 관제센터에 있는 중앙처리장치로 저장하는 전자지도 입력단계; 상기 조립블록의 정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조립블록 정보전송단계; 상기 수신된 조립블록의 정보와 전자지도의 정보를 대비하여 조립블록의 적재위치 및 조립블록의 이동경로를 지정하는 조립블록 지정단계; 상기 이동수단으로의 조립블록 탑재를 자동감지하고 조립블록의 위치 및 이동수단의 정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조립블록 위치추적 단계; 상기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과 또 다른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의 이동위치, 경로 및 소요시간을 대비하여 이동수단의 진행을 통제하는 이동수단 통제단계; 조립블록의 하차를 자동감지하고 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조립블록의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조립블록 위치 확인단계; 상기 관제센터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조립블록의 현재위치, 이동경로, 배치지역 등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공유단계로 이루어진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 {Ship Block Transportation System}
본 발명은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용 조립블록의 적재 예정지역을 디지털 블록지번으로 분류하여 전자지도화하고, 조립블록의 현재위치를 실시간 감지하며, 전자지도의 블록지번에 따라 조립블록을 적치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효율적으로 조립블록을 관리할 수 있는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선산업의 급성장으로 대형 선박건조사에서는 건조설비의 증대와 함께 지속적으로 공장부지를 확충하고 있으나, 지가 상승 또는 매립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공정별로 여러 공정에서 제작되는 선박 1 척의 조립블록의 갯수는 150∼250 개에 이르러 연간 60척 정도의 신조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수 천개의 조립블록이 차지하는 면적뿐만 아니라 조립블록을 운반하는 작업량이 대단히 많고 이에 따른 인력투입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운반용량 300톤인 트랜스포터의 대당가격은 15억원을 상회하는 고가의 운반설비를 10여대 투입해야 하며, 조립블록을 운반 할 때, 저속운행에 따른 교통장애 유발 등 유무형으로 발생하는 손실비용은 엄청나기 때문에 선박건조사의 경쟁력 확보에 큰 난제로 대두되고 있다.
수십척의 선박 설계와 건조를 동시에 진행하는 대형사업장은 조립블록의 설계, 생산, 배치 및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된 조립블록의 효율적인 이동, 배치 상황 및 위치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조립블록의 정확한 위치정보가 실시간 자료화, 공유되지 못하고 있으며, 24시간 조립블록을 운반하는 경우, 특히, 물류이동이 드문 야간에 수행될 때는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과 지식에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으며, 수기록으로 작업결과를 보고하도록 되어 있어, 관련부서의 업무진행에 차질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조립블록의 이동 또는 블록지번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이동수단인 트랜스포터로부터의 상/하차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조립블록의 최적배치 또는 운반관리 업무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이고 기초적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터의 운행과제와 작업자의 배치에 있어서 조립블록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제하기 위한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GPS 를 이용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선박용 조립블록을 이동 및 적치시켜 조립블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동수단을 관제센터에 의해 통제하여 이동수단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조립블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조립블록 관련부서의 업무협조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업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조립블록의 적치지역을 정밀 GPS 에 의해 측량하고 이를 평면 직각좌표값이 결합된 전자지도로 형성하여 관제센터에 있는 중앙처리장치로 저장하는 전자지도 입력단계와, 상기 조립블록의 정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조립블록 정보전송단계와, 상기 수신된 조립블록의 정보와 전자지도의 정보를 대비하여 조립블록의 적재위치 및 조립블록의 이동경로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수단으로의 조립블록 탑재를 자동감지하고 조립블록의 위치 및 이동수단의 정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조립블록 위치추적 단계와, 상기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과 또 다른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의 이동위치, 이동경로 및 소요시간을 대비하여 이동수단의 진행을 통제하는 이동수단 통제단계와, 조립블록의 하차를 자동감지하고 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조립블록의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조립블록 위치 확인단계와, 상기 관제센터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조립블록의 현재위치, 이동경로, 배치지역 등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공유단계를 통하여 조립블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자지도는 선박용 조립블록이 적재되는 특정지역 즉, 트랜스포터 등의 이동수단이 운행되고 있는 공간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조립블록이 위치하는 다수개의 블록지번과, 상기 블록지번까지 연결되는 도로망 및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이 좌표값을 구비하도록 분리되어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에서와 같이 전자지도(26)는 수 많은 블록지번(23)과 도로네트워크(22) 및 공장(24), 건물(25) 등 시설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RTK(Real Time Kinematic) 장비로 측량하고, TM(Transverse Mercator) 평면 직각좌표값이 결합된 정밀정확한 공간정보를 갖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5,000,000 ㎡가 넘는 면적의 지리정보를 담는 전자지도(26)에 표시할 도로네트워크(22)와 공장(24), 건물(25)등의 위치측정을 위해서 정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인 RTK 장비를 사용하여 기준점(30)을 정하였다.
기준이 되는 광역좌표인 TM 직각좌표계 경위도값으로 기준점 옵셋(Offset)을 보정하고, 실시계 좌표인 TM 좌표계로 표현하는 GPS 기준점은 조립블록(11)을 적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중심으로 3,400 점을 측정하여 오토캐드 표준 DXF 포맷 파일로 작성한다. 이러한 실시예도와 도로네트워크(22) 실시예도는 각각 도 4 및 도 5 와 같다.
±20㎜ 이내의 오차를 갖는 측량용 지피에스(GPS) 기준점(30)과 함께 위성전파음영지역이나 지피에스로 측량이 곤란한 건물의 측량은 레이저 광파기를 이용하여 좌표값을 획득함으로써, 누적오차가 최대 ±100 ㎜를 넘지 않는 간접측량법에 의한 위치정밀도를 갖고 있으며, 좌표와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위성항법좌표계와의 옵셋 오차를 제거하게 되어 트랜스포터(17)등 이동수단의 위치추적을 위한 도로 네트워크(22)를 갖는 항법지도 및 조립블록(11)을 적치하기 위한 블록지번(23)으로서 수많은 인접 블록지번(23)과의 정확한 구별과 인식이 가능한 특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지도(26)의 로컬(Local)좌표를 광역좌표인 TM 직각좌표계에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기준이 되는 좌표점은 북위 38°선과 경도 129°선이 만나는 동부원점(38°N, 129°E)을 기준으로 측량점이 기준점에 대해서 오른쪽이나 위쪽방향에 위치해 있으면 기준좌표 옵셋 값(500000, 200000)에 기준점에서의 거리를 더하고 왼쪽이나 아래쪽에 있으면 거리값을 빼서 측량점을 기록하였고 울산 24 : N, 221115.980 E,239272.450, 보 59 : N,223773.660 E,239404.000, 보 1 : N,224080.120 E,240182.870 및 울산 19 : N,223773.660 E,237834.380 등 기준이 되는 좌표점 4곳을 포함하고 있다.
WGS84 좌표계에서 DGPS로 측정한 좌표는 기준점(30)과의 경,위도차를 구하고, 경,위도차를 각각 λ(129-λ2), Φ(38-Φ2)라 하면, 기준점과 측정점과의 측정점과의 경도간의 거리 X 과 위도간의 거리 Y, 는 다음 식에 의해서 변환된다.
[식 1]
고도의 변화에 의한 변환오차는 본 발명의 전지지도(26)에서 수십 ㎜ 이내로서 본 발명의 블록지번(23)을 인식할 때의 오차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으므로 이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지피에스로 측정된 위성정보의 경, 위도 위치좌표를 TM 좌표로 변환하면, (200,000 m + X, 500,000 m - Y)가 되며 이때 본 발명의 전자지도(26)가 위치한 영역은 X 는 (+)부호를, Y는 (-)부호를 갖는다.
상기 블록지번은 조립블록이 실제 놓여지는 곳으로, 도 6 과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자지도(26)에서 블록지번(23)은 다각형의 면으로 구성된 폴리곤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되며, 지번 폴리곤은 각각의 유사한 폴리곤 객체를 구별하여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필드인 "O_ID", 폴리곤 형식을 기록한 "TYPE", 선의 굵기, 색상 및 선의 종류를 규정한 "선속성", 면의 색상, 무늬, 밑배경, 색상 등을 규정한 "면속성", 그리고 면을 이루는 각 점의 좌표가 기록된 기본적인 도형에 관한 자료구조를 갖도록 하여 도형정보를 검색할 때, "O_ID"를 주검색 키워드로 블록지번(23)의 번호를 읽고 사용자가 항목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상용데이터 베이스인 블록지번(23)용 데이터 베이스(47)에 저장하며, 블록지번(23) 데이터베이스는 블록지번(23)의 면적, 번호 등 사용자를 위한 관리정보를 저장하며, 현재의 블록지번(23)과 조립블록(11)이 조립하게 되는 각 선박의 호선정보를 전자지도(26)에 표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각각의 폴리곤에서 공간적 분포의 평형점인 중심점은 폴리곤을 대표하는 점으로서 평균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시간에 따른 분포 변화의 요약 또는 형상 좌표점의 결정 등에 사용하며, 지번 폴리곤의 중심점 좌표값이 일 때, 폴리곤을 형성하는 각 점 즉, 버텍스(vertex)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폴리곤의 형상은 면적과 둘레의 비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있으며, 블록지번(23)의 형상을 분류하기 위하여 폴리곤의 형상은 계산을 이용해서 분류하며, 형상계수의 값이 1.0 이면 원으로, 형상계수의 값이 1.13 이면 정사각형으로 폴리곤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형상계수와 개개의 면적으로 블록지번(23)의 형태를 구분하여 야적할 조립블록(11)의 형태와 블록지번(23)의 형태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사전에 검사하여 조립블록(11)의 현장배치를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동수단인 트랜스포터(17)와 트랜스포터 간 또는 지번간 등의 거리측정은 폴리곤의 중심점간 거리를 계산하여 이용하며, 도로망이 있는 곳에서 거리를 측정할 때는 직선거리인 유클리드 거리를 구하여 이용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7)에는 각각의 폴리곤에 대한 고유번호와 형상계수 및 경,위치좌표 정보가 입력되어 있어, 이동수단인 트랜스포터(17)가 조립블록(11)을 상,하차할 블록지번(23)의 정확한 현재 위치값을 지피에스(41)로 수신하고 전자지도(26)의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이를 위한 가시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블록지번(23)이 TM 좌표값을 갖도록 텍스트 파일로 설계하여 이동수단인 트랜스포터(17)와 관제센타(46)에서, 3,000개가 넘는 수 많은 블록지번(23)의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지도의 블록지번은 블록지번의 면적, 번호 및 관리정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다각형 형상의 폴리곤 형식으로 표현되며, 이러한 폴리곤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폴리곤에 대한 고유번호, 형상계수, 경/위치 좌표가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트랜스포터(17)등 이동수단의 위치추적과 조립블록(11)의 상,하차 작업여부를 작동으로 확인하도록 설계된 전자지도(26)를 포함하고 있어서, 각각의 트랜스포터(17)에 차속센서, 가속도계, 자이로(Gyro) 등을 설치하면서 복잡한 관성항법 장치와 알고리즘을 구현해야 하는 기존의 정밀위치추적 방법을 대신할 수 있으며, 수천개의 블록지번(23)과 수 십대 트랜스포터(17)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아주 간단하고 쉽게 수집하여 운행 관제에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조립블록(11)에 대한 정보는 트랜스포터(17)의 집중제어장치(43)와 연결되는 무선단말기(44)의 에스엠에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단문서비스를 통하여 문자정보로 입력되며, 입력되는 문자정보의 크기는 80바이트로서 조립블록(11)의 고유번호, 조립블록(11)이 탑재되는 호선의 일련번호, 조립블록(11)이 적치되는 블록지번(23)의 고유번호 및 트랜스포터(17)의 고유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 통제단계는 송신된 조립블록의 정보, 이동수단의 정보 및 조립블록의 이동경로에 의해 이동수단의 운행을 관리센터에서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것으로, 먼저, 트랜스포터(17)가 진행하고자 하는 도로네트워크(22)에서 또 다른 트랜스포터(17)와 동시에 교차하여 진행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트랜스포터(17)의 이동위치, 예상되는 경로 및 시간을 분석하여 교차진행이 발생되는 경우로 판단되면, 해당하는 트랜스포터(17)의 경보기를 동작시켜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면서 컴퓨터의 화면에 도로네트워크(22)의 경로이동에 대한 그래픽 메시지를 표시하고 관제센서(46)에 있는 데이터베이스(47)의 정보를 무선호출하여 운행경로와 순서를 조정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로네트워크는 경로중심점(27)과 함께 고유번호를 갖는 노드(28)와 경로(29)로 구성되며, 경로는 TM 경위도 좌표값과 경로(29)의 길이에 대한 고유값을 포함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트랜스포터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블록지번(23), 탑재한 조립블록(11)의 고유번호 및 현재 위치 또는 도로네트워크(22) 고유번호, 하중감지센서(14)의 출력신호를 읽고 판정된 조립블록(11)의 상,하차 작업정보를 관제 센터(46)의 중앙처리장치에서 무선단말기(44)로 송신하면 중앙처리장치가 실시간으로 전체 트랜스포터(17)의 현재 위치정보와 조립블록(11)의 상,하차 여부를 수집하고 확인하여 조립블록(11)의 상,하차가 완료된 트랜스포터(17)의 예상되는 이동경로가 다른 트랜스포터(17)의 이동경로와 교차경로가 있는지 검색하고 동일한 도로네트워크(22)의 경로에서 교차진행이 예상될 경우, 교차가 예상되는 경로에 트랜스포터의 진입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해당하는 트랜스포터(17)에 통보함으로써, 운행에 최적인 경로 또는 진입 우선순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의 진행 도로네트워크와 또 다른 이동수단의 진행 도로네트워크를 대비하고, 각각의 이동수단에 대한 현재위치, 진행속도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이를 토대로 분석하여 교차진행이 예상될 경우, 각각의 이동수단에 이를 통보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전송함과 동시에, 이동수단의 진행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통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된 조립블록을 지정된 블록지번에 적치시킬 경우, 이동수단으로부터의 조립블록하차를 하중감지센서가 자동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가 GPS 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송되며, 관제세터에서는 수신된 조립블록의 정보와 블록지번의 정보를 대비하여 조립블록의 적치 및 정확한 위치 적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블록(11)이 트랜스포터(17)에서 블록지번(23)에 상, 하차되는 것을 하중감지센서(14)에 의해 감지한 후 블록지번 데이터 베이스에서 지번 폴리곤(polygon)을 검색하는 절차를 거쳐 상,하차된 특정의 블록지번(23) 정보를 검색하고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중감지센서(14)에 의한 조립블록의 감지는 하부감지센서의 미세한 전압신호를 신호합성증폭기(31)에서 합성하고 증폭하며, 그 출력값을 중앙처리장치의 입력단(33)에 연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조립블록의 하중값과 비교함으로써 조립블록이 이동수단에 탑재 또는 하역되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블록이 블록지번내에 적치되고, 이동수단에 의해 지정된 블록지번으로 이동되는 등, 조립블록의 위치, 이동경로 등은 모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고, 이러한 정보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센터에 접속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진다. 즉, 조립블록작업과 관련있는 모든 부서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센터로 접속이 가능하며, 관제센타에서는 이러한 접속 사용자에게 조립블록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록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용 조립블록이 적치된 지역을 다수개의 블록지번으로 분리하여 이를 전자지도화하고, 상기 블록지번의 정보와 조립블록의 정보를 대비하여 각각의 조립블록에 맞는 블록지번으로 조립블록을 이동 적치시키도록 되어 있어, 조립블록이 배치되는 공장내 공간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조립블록의 최적화 배치를 위한 통합시스템의 개발을 쉽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조립블록을 탑재하고 지정된 블록지번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의 경로를 관제센터에서 통제하도록 되어 있어, 협소한 도로네트워크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하였으며, 이동되는 조립블록의 정보에 따른 우선순위 설정에 의해 효율적으로 조립블록을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블록정보의 전송시 이동수단의 정보도 함께 입력하여 전송시키도록 되어 있어, 조립블록의 위치정보와 작업내용 및 작업자의 정보 등 운행관리정보를 수기록에 의해 제출하는 과정이 생략되었으며, 트랜스포터 및 작업자의 운행실적 자료화를 통한 조립블록 운반장비와 인력배치의 효과적인 분석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에 대한 정보가 GPS 에 의해 실시간으로 추적/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망에 의해 공유하도록 되어 있어, 조립블록 관련부서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으로부터의 조립블록 상/하차가 하중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인식되도록 되어 있어, 조립블록의 현재위치 및 적치된 장소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립블록의 적치위치 및 이동경로가 관리센터에 의해 통제되므로, 주야간에 관계없이 조립블록을 이동할 위치 또는 다음 상,하차할 이동위치를 쉽게 확인하고 찾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지번 검색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도의 실시예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GPS 정밀측량 기준점의 실시예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네트워크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지번 폴리곤의 검색절차 흐름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과 하중감지센서 및 조립블록의 관계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립블록 (14) : 하중감지센서
(17) : 트랜스포터 (22) : 도로네트워크
(23) : 블록지번 (24) : 공장
(25) : 건물 (26) : 전자지도
(27) : 경로중심점 (28) : 노드
(29) : 경로 (30) : 기준점
(32) : 신호합성증폭기 (33) : 중앙처리장치의 입력단
(41) : GPS (42) : 인공위성
(43) : 집중제어장치 (44) : 무선단말기
(45) : 기지국 (46) : 관제센터
(47) : 데이터베이스 (48) : 사용자
(49) : 네트워크

Claims (3)

  1. 조립블록의 적치지역을 정밀 GPS 에 의해 측량하고 이를 평면 직각좌표값이 결합된 전자지도로 형성하여 관제센터에 있는 중앙처리장치로 저장하는 전자지도 입력단계;
    상기 조립블록의 정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조립블록 정보전송단계;
    상기 수신된 조립블록의 정보와 전자지도의 정보를 대비하여 조립블록의 적재위치 및 조립블록의 이동경로를 지정하는 조립블록 지정단계;
    상기 이동수단으로의 조립블록 탑재를 자동감지하고 조립블록의 위치 및 이동수단의 정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조립블록 위치추적 단계;
    상기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과 또 다른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의 이동위치, 이동경로 및 소요시간을 대비하여 이동수단의 진행을 통제하는 이동수단 통제단계;
    조립블록의 하차를 자동감지하고 이를 GPS 에 의해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조립블록의 적재위치를 확인하는 조립블록 위치 확인단계;
    상기 관제센터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조립블록의 현재위치, 이동경로, 배치지역 등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정보공유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도의 블록지번은 블록지번의 면적, 번호 및 관리정보를 구비하고, 다각형으로 표시하는 폴리곤형식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며,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각의 폴리곤에 대한 고유번호, 형상계수, 경/위치 좌표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싱기 이동수단 통제단계는 조립블록이 탑재된 이동수단의 진행 도로네트워크와 또 다른 이동수단의 진행 도로 네트워크를 대비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이동수단에 대한 현재위치, 진행속도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이동수단의 이동경로 정보를 분석하여 교차진행이 예상되면 각각의 이동수단에 대하여 경보를 작동하고 관제센터의 데이터베이스정보를 이동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수단의 운행경로와 진입순서를 조정하는 명령을 각각의 이동수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시스템.
KR1020030062107A 2003-09-05 2003-09-05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KR10081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07A KR100815714B1 (ko) 2003-09-05 2003-09-05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107A KR100815714B1 (ko) 2003-09-05 2003-09-05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878A true KR20050024878A (ko) 2005-03-11
KR100815714B1 KR100815714B1 (ko) 2008-03-20

Family

ID=3723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107A KR100815714B1 (ko) 2003-09-05 2003-09-05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71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431A2 (ko) * 2008-05-19 2009-11-2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US20100142750A1 (en) * 2008-12-08 2010-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gions Research Insti Tute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block of vessel
KR100985633B1 (ko) * 2008-09-22 2010-10-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의 이동 및 적치 관리 방법
KR101307128B1 (ko) * 2008-09-09 2013-09-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블록의 반출 가능 여부 확인 방법
KR101307083B1 (ko) * 2008-09-09 2013-09-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격자 기반 공간 파악 방법
KR101307075B1 (ko) * 2008-09-09 2013-09-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적치장 내 블록의 적치 위치 결정 방법
KR20160117795A (ko) * 2015-03-31 2016-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관리 정보 조회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30951A (ko) * 2016-05-20 2017-1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반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888A (ko) * 2019-06-26 2021-01-06 (주)일주지앤에스 조선 내업 공정 시각화를 위한 좌표 결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716B1 (ko) 2008-12-04 2012-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용 조립 블록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6910A (ko) * 2009-09-09 2011-03-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운영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798A (ko) * 1995-12-21 1997-07-29 이대원 물류 위치이동정보 실시간 전달장치
KR100708927B1 (ko) * 2000-08-21 2007-04-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피에스와 인터넷을 통한 컨테이너의 위치추적방법 및 그시스템
KR100438184B1 (ko) * 2001-11-24 2004-07-01 (주)토탈소프트뱅크 터미널에서의 컨테이너 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50069343A (ko) * 2003-12-31 2005-07-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적장내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431A2 (ko) * 2008-05-19 2009-11-2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WO2009142431A3 (ko) * 2008-05-19 2010-03-1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강재 적치관리 시스템
KR101307128B1 (ko) * 2008-09-09 2013-09-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블록의 반출 가능 여부 확인 방법
KR101307083B1 (ko) * 2008-09-09 2013-09-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격자 기반 공간 파악 방법
KR101307075B1 (ko) * 2008-09-09 2013-09-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적치장 내 블록의 적치 위치 결정 방법
KR100985633B1 (ko) * 2008-09-22 2010-10-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의 이동 및 적치 관리 방법
US20100142750A1 (en) * 2008-12-08 2010-06-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gions Research Insti Tute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block of vessel
US8311270B2 (en) 2008-12-08 2012-11-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block of vessel
KR20160117795A (ko) * 2015-03-31 2016-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관리 정보 조회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30951A (ko) * 2016-05-20 2017-11-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반 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0888A (ko) * 2019-06-26 2021-01-06 (주)일주지앤에스 조선 내업 공정 시각화를 위한 좌표 결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714B1 (ko)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824B1 (en) Automatic detection of lane closures using probe data
EP2462409B1 (en) Method of detecting transportation network database errors and devices thereof
CN104487805B (zh) 创建地理围栏的方法
TWI391632B (zh) 利用識別標籤之定位導航系統與應用於其上之定位導航方法
CN103635779B (zh) 用于促进用于工业车辆导航的地图数据处理的方法和装置
KR101104551B1 (ko) 전력설비 네비게이션 시스템
US10132951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drone apparatus
CN103913162B (zh) 增强的移动平台定位
KR100729707B1 (ko) 자기위치 측정 및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화물배차시스템 및 방법
EP1441200A1 (en) Navigation system, method thereof, program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CN104951865B (zh) 一种基于电网gis的物资调拨追踪方法及系统
CN102483329A (zh) 具有预测性多重路线的导航系统及其操作方法
KR100815714B1 (ko)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JP6514360B2 (ja) 車両物流管理システム
EP1441198A2 (en) Data structure for a navigation system
CN111351492A (zh) 用于自动驾驶车辆导航的方法和系统
JPH0712582A (ja) 経路探索システム,及び経路探索方法
CN109282821B (zh) 一种园区导航方法和系统
EP3623837A1 (en) Carrier utilization tracking
CN112383960A (zh) 一种二三维一体化的厂区人员定位系统
JP6982237B2 (ja) 候補位置評価プログラム、候補位置評価装置、及び候補位置評価方法
Hammad et al. Potential of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infrastructure field tasks
US202202692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topological graph map
CN101825473B (zh) 一种导航方法及导航系统
KR100481066B1 (ko)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