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105A -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105A
KR20050024105A KR1020030061916A KR20030061916A KR20050024105A KR 20050024105 A KR20050024105 A KR 20050024105A KR 1020030061916 A KR1020030061916 A KR 1020030061916A KR 20030061916 A KR20030061916 A KR 20030061916A KR 20050024105 A KR20050024105 A KR 2005002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charging device
thef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홍
Original Assignee
강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홍 filed Critical 강태홍
Priority to KR1020030061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4105A/ko
Publication of KR2005002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1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업소의 테이블 등에 비치되어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불법 사용자에 의한 도난 감지 신호 또는/및 주문 등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켜 업소 카운터 등으로 알리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수단; 상기 전원 입력수단에서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측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원 감지수단; 상기 전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출력수단; 주문 등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호출수단; 상기 호출수단에서 입력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충전 기능 및 호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생성한 호출신호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장치 또는 주문 접수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및 그 방법{Charger of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ving the burglar alarm and the calling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업소의 테이블 등에 비치되어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불법 사용자에 의한 도난 감지 신호 또는/및 주문 등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켜 업소 카운터 등으로 알리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최근에 무선통신 단말기의 기술 발전 및 보편화에 따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무선통신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다. 또한, 이 무선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 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충전기 등을 통해 외부 전원을 배터리에 집적시켰다가 구동 전원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는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전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킨다. 한편, 외부에서는 장시간 통화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 수행 등에 따라 배터리가 평상시보다 빨리 방전됨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통신 단말기 판매점 또는 편의점 등에 설치된 충전기에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킨다.
즉, 사용자는 편의점 등에 설치된 충전기에 동전을 넣어서 충전기 외부의 케이스를 열고 충전기에 구비되어 있는 잭 등을 무선통신 단말기로 연결한 후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상기 케이스를 닫은 후 일정시간 그 주위에서 기다리면서 무선통신 단말기가 충전되기를 기다린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전 방식은 충전기의 케이스가 닫혀서 전화 수신 시에 케이스를 열어서 통화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에 따른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업무 등에 따른 모임 등이 있더라도 무선통신 단말기가 충전되기만을 기다렸다가 모임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휴대용 충전기 등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충전기는 여행자 등에 의해 주로 구매되고 있으며, 일부 커피숍, 음식점 등에서 테이블 등에 비치되어 손님들에게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서비스 등을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업소 등에 설치된 휴대용 충전기는 불법 사용자에 의해 도난을 당하더라도 업소 관리자가 그 사실을 쉽게 알 수가 없어서 업소로선 휴대용 충전기 손실에 따른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업소 등의 테이블 등에는 주문 등을 하기 위한 호출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휴대용 충전기를 테이블 등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떨어져서 손님 등이 테이블을 이용하는데 불편한 점이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업소의 테이블 등에 비치되어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불법 사용자에 의한 도난 감지 신호 또는/및 주문 등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켜 업소 카운터 등으로 알리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수단; 상기 전원 입력수단에서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측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원 감지수단; 상기 전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출력수단; 주문 등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호출수단; 상기 호출수단에서 입력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충전 기능 및 호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생성한 호출신호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에서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상기 전원 공급수단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수단; 상기 전원 입력수단에서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 측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원 감지수단; 상기 전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출력수단; 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충전 기능 및 도난 감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생성한 도난감지신호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단계; 및 주문 등의 입력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테이블 번호의 주문 알림을 표시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테이블 번호의 도난 경고를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전원 상태 표시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감지한 전원 공급수단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단계; 및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와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업소 등의 테이블 또는 벽면 등에 비치되거나 부착되어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제공함과 아울러 불법 사용자에 의한 도난을 감지하기 위한 도난 감지 신호 및 주문 등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100, 이하 충전 장치라 함)와, 상기 충전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도난 감지 신호에 따라 불법 사용자에 의한 도난을 경고하고, 상기 호출 신호에 따라 주문 등을 접수받도록 하기 위한 중앙 관리 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중앙처리부와, 메모리와, 무선 송수신부와, 키 입력부와, 액정 표시부와, 마이크 및 스피커(각 구성 요소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을 구비하여 각 충전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각 충전 장치(100)로부터 도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도난 경고 메시지를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주문 등에 따른 호출 신호를 업소 등에 비치된 전광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무선으로 상기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이 아이디는 업소 등의 테이블 번호와 매칭되어 있음)를 할당, 변경 및 삭제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는, 자체 구동 전원을 공급하거나 무선통신 단말기(23)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무선통신 단말기(23)에 적합한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부(11)와, 상기 전원 변환부(11)에서 변환한 전원의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잔량 상태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전원 충전 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 감지부(12)와, 상기 전원 변환부(11)에서 변환한 전원을 커넥팅부(14)를 통하여 무선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출력부(13)와, 상기 전원 출력부(13)에서 출력하는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팅부(14)와, 외부 전원(24, 예를 들어 200 볼트의 교류 전원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10)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교류/직류 변환부(15)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5)에서 변환한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10)로 입력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16)와, 중앙 관리 장치(11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7)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감지부(21)에서 감지한 빛의 양에 따라 도난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하고 호출부(22)에서 주문 등의 입력 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제어부(18)와, 상기 충전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감지부(21)에서 감지한 빛의 양에 대해 도난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임계치(예; 0.1 또는 0.5 칸델라(cd, candela))), 다른 충전 장치와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 발광부(2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9)와, 상기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잔량 상태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전원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20)와, 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21)와, 주문 등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호출부(22)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충전 장치(100)는 무선 통신 및 충전 전원 공급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외부로부터 교류/직류 변환된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23)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충전한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다수개의 충전 전지(예를 들어 2개의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 등)를 직렬 방식으로 연결되게 구현되어, 무선통신 단말기(23)로 충전 전원을 제공하다가 그 전원이 소모되었을 시 외부로부터 교류/직류 변환된 전원을 인가받아 재 충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10)에 퓨즈 등과 같은 전지 보호 구성 요소를 구성하여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등에 의한 폭발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1)는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무선통신 단말기(23)에 적합한 충전 전원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전원 감지부(12)에서 감지한 무선통신 단말기(23)의 구동 전원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11)에서 변환할 충전 전원을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출력 전원에 상관 없이 현재 출시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변환부(11)는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의 칩(chip) 등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충전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감지부(12)는 상기 전원 변환부(11)에서 출력하는 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잔량 상태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전원 감지부(12)는 무선통신 단말기(23)가 연결됨에 따라 그 구동 전원과 전원 잔량 상태를 감지하고, 충전 시에는 상기 전원 변환부(11)에서 출력하는 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전원 충전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전원 출력부(13)는 상기 전원 변환부(11)에서 변환한 전원을 출력함과 아울러 부가적으로 상기 충전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아이디 변경 등) 등을 메모리(19)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포트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출력부(13)는 상기 전원 입력부(16)와 같이 전원 공급부(10)로 교류/직류 변환한 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입력부(16)는 전원 공급부(10)가 방전되었을 시 급속 충전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 이용되며, 부가적으로 상기 전원 출력부(13)는 전원 공급부(10)가 일정 전원이 소모되었을 시 보충 충전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17)는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난 감지 신호 또는 호출 신호 등을 무선으로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부(17)는 중앙 관리 장치(110)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고유 아이디, 구동 프로그램 등)를 수신한다. 이 때, 무선 송수신부(17)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17) 대신에 유선 송수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 장치(100)와 중앙 관리 장치(110)간에 연결되는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잇다.
상기 발광부(20)는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잔량 상태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전원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8)는 메모리(19)에 저장되어 있는 발광부(20) 구동 알고리즘 등을 참조하여 상기 발광부(20)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발광부(20)를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하여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충전 전원 상태에 따라 점차적으로 각 발광 다이오드가 온(ON)되게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잔량 상태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충전 전원 상태에 따라 발광 색깔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21)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의 양(또는 빛의 세기 또는 빛의 밝기)을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를 제어부(18)에게 알린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는 상기 감지부(21)에서 감지한 빛의 양이 상기 메모리(19)에 저장되어 있는 임계치 이하이면 불법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충전 장치(100)가 도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 도난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송수신부(17)를 통해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해당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또는 테이블 번호)와 함께 도난 경고 메시지 등을 액정 표시부(또는 업소 등에 비치된 전광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하거나 도난 경고음 등을 발생시켜 업소 관리자 등이 도난 사실을 알수 있도록 한다. 즉, 불법 사용자들은 가방, 호주머니 등에 상기 충전 장치(100)를 넣어서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없도록 외부와의 노출을 차단하여 훔치는데, 이와 같이 외부와의 노출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도달되지 않는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의 양이 거의 없는 상태, 즉 임계치 이하이면 불법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충전 장치(100)가 도난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빛의 양에 대한 임계치는 업소 등의 조명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점 등과 같이 조명이 밝은 장소에서는 상기 임계치를 높게 설정하고 어두운 장소에서는 상기 임계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21)는 빛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Optical Sensor)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광센서로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전하결합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 금속산화물반도체(MOS), 광다이오드(PD; Pinned Photo Diode), CID(Charge and Injection Device), APS(Active Pixel Sensor), ACS(Active Column Sensor) 등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감지부(21)는 불법 사용자에 의한 상기 충전 장치(100)의 이탈을 감지하여 제어부(18)에게 알린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는 도난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송수신부(17)를 통해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해당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또는 테이블 번호)와 함께 도난 경고 메시지 등을 액정 표시부(또는 업소 등에 비치된 전광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하거나 도난 경고음 등을 발생시켜 업소 관리자 등이 도난 사실을 알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21)는 충전 장치(100)의 하부 등에 장착된 기울기 스위치(일정 기울기에 따라 스위치 온(ON)/오프(OFF) 기능 수행) 등으로 구성되어, 정상적으로 테이블 등에 올려진 상태 또는 벽면에 부착되어진 상태에서는 도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불법 사용자에 의한 이탈 등에 따라 기울기 스위치가 구동되어 도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충전 장치(100)의 하부에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21)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테이블 등에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상태에 따라 도난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호출부(22)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눌림 등에 따라 주문 등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제어부(18)는 주문 등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켜 무선 송수신부(17)를 통해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해당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또는 테이블 번호) 등을 액정 표시부(또는 업소 등에 비치된 전광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표시하여 업소 관리자 등이 해당 충전 장치(100, 또는 테이블 등)의 주문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출부(22)는 사용자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버튼이 눌림(예를 들어 3초 정도 등)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잔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는 충전 기능과 호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충전 기능과 도난 감지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광부(20)는 부가적인 구성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100)에 무선통신 단말기(23)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커텍팅부(14)의 일측 잭을 상기 충전 장치(100)의 전원 출력부(13)에 연결하고 타측 잭을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입/출력 포트에 연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를 충전한다. 이 때, 다양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충전을 위해, 상기 커넥팅부(14)에서 무선통신 단말기(23)와 연결되는 잭은 접속 표준 규격(TTAS.KO-06.0028/R2) 방식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시 발광부(20)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충전 전원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충전 및 비 충전 시 호출부(22)에서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주문 등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를 충전 장치(100)에 굳이 올려 놓을 필요는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는 인쇄 회로 기판(40)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충전 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0)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원(24)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교류/직류 변환부(15, 일명 어댑터)에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그 일측 잭을 통해 상기 변환한 직류 전원을 상기 충전 장치(100)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전원 입력부(16)로 전달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0)로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감지부(21)에서 빛의 양을 감지한다(500). 예를 들어, 광센서 등으로 구현되는 상기 감지부(21)에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여 제어부(18)로 그 감지 결과를 알린다. 다른 예로, 기울기 스위치 등으로 구현되는 상기 감지부(21)에서 테이블 위에 놓여져 있거나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충전 장치(100)가 불법 사용자 등에 의해 이동 또는 이탈됨을 감지하여 충전 장치(100)의 이탈 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부(18)로 그 감지 결과를 알릴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감지부(21)에서 감지한 빛의 양이 임계치(예; 0.1 칸델라) 이하인지를 검사한다(501). 다른 예로, 상기 감지부(21)를 기울기 스위치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 장치(100)의 이탈 유/무를 검사할 수도 있다.
상기 검사 결과(501), 상기 감지부(21)에서 감지한 빛의 양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500' 과정으로 진행하여 지속적으로 빛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부(21)에서 감지한 빛의 양이 임계치 이하이면 도난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502). 다른 예로, 상기 충전 장치(100)가 현재 위치에서 이탈되면 도난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업소 관리자 등에 의한 충전 장치(100)의 위치 변경 시에는 중앙 관리 장치(110)가 해당 충전 장치(100)를 제어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충전 장치(100)에서 도난 감지 신호를 생성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상기 생성한 도난 감지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503). 여기서, 상기 생성한 도난 감지 신호에는 해당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 또는 테이블 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해당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와 함께 도난 경고 메시지 등을 액정 표시부에 표시한다(504). 예를 들어, 중앙 관리 장치(110)의 액정 표시부에서 도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스피커에서 도난 경고 방송을 출력한다. 또 다른 예로, 주문 등의 접수를 받기 위한 전광판 등에서 상기 충전 장치(110)에 대한 도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주문 등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60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충전 장치(100)의 호출부(22)를 순간적으로 눌러서 주문 등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호출부(22)가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어 3초 등) 눌림에 따른 입력신호는 주문 등의 입력신호가 아닌 상기 충전 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0)의 전원 잔량 표시를 위한 입력신호로 설정하여, 하나의 호출부(22)로 두 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사 결과(600), 주문 등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호출 신호를 생성한다(601).
그런 후, 상기 생성한 호출 신호를 중앙 관리 장치(110)로 전송한다(602). 여기서, 상기 생성한 호출 신호에는 해당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 또는 테이블 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10)는 해당 충전 장치(100)의 아이디 또는 테이블 번호를 액정 표시부에 표시한다(603). 예를 들어, 중앙 관리 장치(110)의 액정 표시부에 상기 충전 장치의 아이디를 표시하거나 전광판 등에 상기 테이블 번호를 표시하여 해당 테이블에 주문이 있음을 알린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통신 단말기(23)가 연결되는지를 확인한다(700).
이 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전원 상태를 파악한다(701). 여기서, 커넥팅부(14)의 잭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23)가 연결됨에 따라 전원 감지부(12)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전원 상태(구동 전원 및 현재 충전 상태 등)를 파악하여 제어부(18)로 통보한다.
그런 후, 전원 공급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한다(702). 여기서, 상기 제어부(18)는 전원 변환부(11)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무선통신 단말기(23)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변환한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로 공급한다(703).
그리고, 발광부(20)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704). 여기서, 상기 전원 감지부(12)는 상기 전원 변환부(11)에서 변환한 전원이 전원 출력부(13)로 공급되는 전원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제어부(18)로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는 무선통신 단말기(23)의 충전 상태를 판단한 후에 그 결과에 따라 발광부(20)를 제어하여 현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업소 등에 비치되어 있는 충전 장치를 통해 손님 누구나 쉽게 무선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키면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업소 등은 부가적인 무료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서비스를 손님 등에게 제공하여 보다 많은 손님을 유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법 사용자에 의한 도난 사실을 업소 카운터 등에게 알려 관리자가 그에 대한 대응을 신속히 할 수 있어서 불법 사용자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충전 장치의 손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장치를 통해 주문 등의 호출을 함으로써, 별도의 호출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테이블 등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손님 등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와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난 감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원 공급부 11 : 전원 변환부
12 : 전원 감지부 13 : 전원 출력부
14 : 커넥팅부 15 : 교류/직류 변환부
16 : 전원 입력부 17 : 무선 송수신부
18 : 제어부 19 : 메모리
20 : 발광부 21 : 감지부
22 : 호출부

Claims (18)

  1.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수단;
    상기 전원 입력수단에서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측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원 감지수단;
    상기 전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출력수단;
    주문 등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호출수단;
    상기 호출수단에서 입력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충전 기능 및 호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생성한 호출신호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수단
    을 포함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에서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 및 도난감지신호는 테이블 번호 등과 매칭되는 고유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아이디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할당, 변경,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액정 표시수단에 상기 테이블 번호의 주문 알림을 표시하고, 상기 도난감지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수단에 상기 테이블 번호의 도난 경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상기 전원 공급수단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수단은,
    일정시간 동안 버튼이 눌림에 따라 상기 전원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상기 전원 공급수단의 전원 상태를 상기 표시수단에서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8.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입력수단;
    상기 전원 입력수단에서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 측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수단;
    상기 전원 공급수단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원 감지수단;
    상기 전원 변환수단에서 변환한 전원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 출력수단;
    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서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충전 기능 및 도난 감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생성한 도난감지신호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수단
    을 포함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
  11.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단계; 및
    주문 등의 입력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 및 도난감지신호는 테이블 번호 등과 매칭되는 고유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아이디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제어에 의해 할당, 변경,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테이블 번호의 주문 알림을 표시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테이블 번호의 도난 경고를 표시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17.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충전하고 있다가 무선통신 단말기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단계; 및
    임계치 이하의 빛을 감지함에 따라 도난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 상태 표시신호가 발생함에 따라 감지한 전원 공급수단의 전원 상태를 표시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에서의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방법.
KR1020030061916A 2003-09-04 2003-09-04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24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916A KR20050024105A (ko) 2003-09-04 2003-09-04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916A KR20050024105A (ko) 2003-09-04 2003-09-04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105A true KR20050024105A (ko) 2005-03-10

Family

ID=3723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916A KR20050024105A (ko) 2003-09-04 2003-09-04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41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586A (ko)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나노렉스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586A (ko)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나노렉스 전자제품 배터리의 충전기능을 갖는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보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8179B2 (en) Special battery reserv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or emergency use
WO2002073770A1 (fr) Dispositif electronique alimente par batterie et procede de commande de ce dispositif
KR20040033220A (ko) 복합 단말기에서 동작 모드에 따른 배터리 가용 시간 알림방법
KR2002007823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EP1686780B1 (en) Battery detection circuit for cordless telephones
KR20050024105A (ko) 도난 감지 또는/및 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충전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85702A1 (en)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05235830A (ja) 携帯用通信端末
JP2010011044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充電器、並びに充電システム
US20100109870A1 (en)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ti-theft method thereof
JP2001309562A (ja) 携帯通信機器用充電器
KR101375324B1 (ko)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관리되는 엘이디 조명 장치 및 그 통합 관리 장치의 사용상태 관리 및 분실방지 방법
KR20090075404A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용단말기 충전 커넥터 및 그커넥터를 이용한 도난 방지 방법
KR10058241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의 방전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386005B1 (ko) 휴대기기의 충전시스템
JP2629630B2 (ja) 携帯用通信機
JP4068039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JP2854602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1065772A (ja) 携帯無線装置
JP2009124424A (ja) 携帯端末
JPH09283186A (ja) 電子機器及び二次電池の放電方法
JP3275498B2 (ja) 外部電池を有する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JPH02309743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440911B1 (ko) 무선통신기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