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961A -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 Google Patents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961A
KR20050022961A KR1020040069596A KR20040069596A KR20050022961A KR 20050022961 A KR20050022961 A KR 20050022961A KR 1020040069596 A KR1020040069596 A KR 1020040069596A KR 20040069596 A KR20040069596 A KR 20040069596A KR 20050022961 A KR20050022961 A KR 2005002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heels
dump truck
washing machin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덕
Original Assignee
대한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중공업(주) filed Critical 대한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04006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2961A/ko
Publication of KR2005002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에 관한 것으로서, 각기 상이한 축간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15톤 이상 대형 덤프트럭의 전륜 및 후륜이 공히 로울러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한층 효율적인 세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륜(1)과 후륜(2)이 각각 2축을 이루고 있는 대형 덤프트럭의 바퀴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제1로울러(11)와 제2로울러(12)가 한조를 이루고, 제3로울러(13)와 제4로울러(14)가 또다른 한조를 이루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는 통상의 세륜기에 있어서, 상기 제4로울러(14)의 후단측으로는 제5로울러(15)가 추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A TRUCK TIRE WASHER}
본 발명은 차량의 바퀴부분을 세척하기 위한 세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5톤 이상의 대형 덤프트럭의 공사장 출입시 바퀴에 묻어있는 토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하기 위한 세륜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륜기는 건설공사현장, 토목공사현장, 시멘트공장, 골재채취장 등 각종 오염물질 분진, 먼지, 토사 등이 많이 발생하는 공사현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공사현장으로 출입하는 차량의 바퀴에 묻어있는 토사, 흙 등을 제거하여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세륜기는 양측에서 고압의 물을 바퀴를 향해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치의 양측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바퀴가 올려지는 부분에는 회동에 의해 한층 효과적으로 바퀴에 부착되어져 있는 토사, 흙 등이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져 있다.
한편, 공사장 출입차량 특히, 대형 덤프트럭의 경우 앞바퀴와 뒷바퀴가 각각 2축으로 4개의 축을 이루고 있으며, 따라서 세륜기의 로울러는 2축의 바퀴가 동시에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2조로 구비되어져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15톤 이상의 대형 덤프트럭은 전륜축간의 거리가 후륜축간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전륜 또는 후륜의 일측 바퀴는 세륜기의 로울러에 안착되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바퀴 세척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기존의 세륜기로는 효율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덤프트럭용 세륜기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륜과 후륜간의 축간 거리가 상이한 15톤 이상의 대형 덤프트럭에서도 전륜과 후륜이 모두 로울러상에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세륜기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한층 효과적인 세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전륜과 후륜이 각각 2축을 이루고 있는 대형 덤프트럭의 바퀴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가 한쌍을 이루고, 제3로울러와 제4로울러가 또다른 한쌍을 이루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는 통상의 세륜기에 있어서, 상기 제4로울러의 후단측으로는 제5로울러가 추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 세륜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세륜기의 로울러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세륜기를 이용한 화물차의 전륜 및 후륜 세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는 상기 세륜과정의 순서에 따른 바퀴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세륜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상부에는 차륜의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제1 및 제2로울러(11,12)가 한조를 이루고 제3 내지 제5로울러(13,14,15)가 또다른 한조를 이루어 설치됨과 함께 양측에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16)이 급수관(17)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장치의 일측에는 하부 저장소(30)에 모여진 토사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덕트(19)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로울러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는 구동모터(20)로 부터의 회동력을 제3로울러(13)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체인(21)이 로울러축상에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3로울러(13)를 구동축으로 하여 각각의 로울러로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체인(22,23,24,25)이 각 로울러 일단의 체인스프로켓(부호표시 생략)에 연결 설치되었다.
그리고, 장치 하부의 저장소(30)에는 바닥에 모여진 슬러지를 배출덕트(19)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컨베어(31,31')가 연결 설치되었는데, 상기 배출컨베어(31,31')상에는 슬러지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송판(32,3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배출컨베어(31')의 상단부에는 컨베어 구동모터(33)로 부터 연결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스프로켓(34)이 구성되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로울러 구동부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플레이트이고, 35는 연결체인이 보호되는 가이드덕트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 세륜기의 동작과정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를 도 4 및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공사현장으로 부터 빠져나오는 덤프트럭이 세륜기 설치장소를 통과하기 위하여 세륜기를 향해 서서히 진입하여 2축 4개의 전륜(1)을 각각 세륜기의 로울러와 로울러 사이에 안착시킨다.
이때, 진입이 완료된 15톤 이상의 대형 덤프트럭은 전륜(1)의 2축간 간격이 후륜(2)간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도 4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앞쪽 전륜은 제1로울러(11)와 제2로울러(12) 사이 그리고 뒷쪽 전륜은 제4로울러(14)와 제5로울러(15) 사이에 각각 안착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안착상태가 완료되면 차량의 기어를 중립으로 놓고 브레이크를 풀어준 후 세륜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세륜구동의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며 모터 구동력은 연결체인(21)을 통해 전달되어 구동주축인 제3로울러(13)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제3로울러(13)의 회동력은 상호 연결체인(22,23,24,25)을 통해 스프로켓 연결되어진 제1,2로울러(11,12) 및 제4,5로울러(14,15)로 전달되어져 동시에 회동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안착되어져 있는 전륜(1)에 진동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양측면에서는 펌프(미도시) 동작에 의해 급수관(17)을 통해 전달된 세척수가 노즐(16)을 통해 분사되어짐으로서, 전륜(1)에 대한 세륜작업이 완료되어진다.
이때, 세륜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낙하되어지는 슬러지는 하부 저장소(30)로 모여지게 되며, 모여진 슬러지들은 무한궤도식으로 순환되는 배출컨베어(31,31')상의 이송판(32,32')에 의해 배출덕트(19)측으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며, 저장소(30) 내에 남아있던 세척수는 다시 내부에서 재순환되어 급수관(17)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전륜(1)세륜작업이 완료되면, 차량을 더 진행시켜 후륜(2)을 다시 로울러와 로울러 사이에 안착시킨다.
이때에는 도 4b 및 도 5c에서와 같이 2축의 후륜(2)중 앞쪽 후륜은 제1로울러(11)와 제2로울러(12) 사이 그리고 뒷쪽 후륜은 상기 전륜(1)과 달리 제3로울러(13)와 제4로울러(14) 사이에 각각 안착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후륜(2)의 안착상태가 완료되면 차량의 기어를 다시 중립으로 놓고 브레이크를 풀어준 후 상기한 전륜세륜과정과 동일한 작업을 통해 세륜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소정 시간동안 전륜(1)과 후륜(2)에 대한 세륜작업이 완료된 덤프트럭은 도 5b에서와 같이 서서히 본 발명 세륜장치를 벗어나 도로에 진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세륜기는, 각기 상이한 축간 이격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대형 덤프트럭의 전륜 및 후륜이 공히 로울러 사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로울러의 회전 진동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한층 효율적인 세륜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장치 하우징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로울러만을 추가로 구비토록 함으로 세륜장치의 운송 및 설비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세륜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세륜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상기 세륜기의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세륜기에 의한 덤프트럭의 세륜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전륜 세척시 상태도.
4b는 후륜 세척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세륜기에서의 세척 과정별 로울러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5a는 트럭 진입전 상태도.
5b는 전륜 안착시 상태도.
5c는 후륜 안착시 상태도.
5d는 트럭 진출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륜 2 : 후륜
10 : 커버플레이트 11 : 제1로울러
12 : 제2로울러 13 : 제3로울러
14 : 제4로울러 15 : 제5로울러
16 : 노즐 17 : 급수관
19 : 배출덕트 20 : 구동모터
21,22,23,24,25 : 연결체인
31,31': 배출컨베어 32,32': 이송판

Claims (2)

  1. 전륜(1)과 후륜(2)이 각각 2축을 이루고 있는 대형 덤프트럭의 바퀴가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제1로울러(11)와 제2로울러(12)가 한조를 이루고, 제3로울러(13)와 제4로울러(14)가 또다른 한조를 이루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는 통상의 세륜기에 있어서,
    상기 제4로울러(14)의 후단측으로는 제5로울러(15)가 추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로울러(15)는 제4로울러(14)로 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도록 일측에서 연결체인(25)에 의해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KR1020040069596A 2004-09-01 2004-09-01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KR20050022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596A KR20050022961A (ko) 2004-09-01 2004-09-01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596A KR20050022961A (ko) 2004-09-01 2004-09-01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025U Division KR200367970Y1 (ko) 2004-09-01 2004-09-01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961A true KR20050022961A (ko) 2005-03-09

Family

ID=3723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596A KR20050022961A (ko) 2004-09-01 2004-09-01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29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29B1 (ko) * 2010-02-24 2012-04-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퀴 세정 장치
CN111469813A (zh) * 2020-04-20 2020-07-31 王后连 一种建筑工地空载车辆用洗轮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29B1 (ko) * 2010-02-24 2012-04-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퀴 세정 장치
CN111469813A (zh) * 2020-04-20 2020-07-31 王后连 一种建筑工地空载车辆用洗轮机
CN111469813B (zh) * 2020-04-20 2023-04-14 浙江廉宏盛业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空载车辆用洗轮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50663B (zh) 车辆去泥清洗装置
CN107150664B (zh) 车辆去泥清洗装置
KR200475726Y1 (ko) 차량용 세륜 장치
EP0041087A1 (en) Wheel cleaner with powered rollers
KR200367970Y1 (ko)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KR100802184B1 (ko) 차량 세륜기의 흙제거장치
KR100757971B1 (ko) 차량 세륜장치
KR20200089388A (ko) 엔진 탑재형 이동식 분사 및 세척 장치
KR20050022961A (ko)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KR200421100Y1 (ko) 정방향회전 롤 세륜기
KR20160022952A (ko) 세륜기
KR20110090716A (ko) 자전거용 세륜기
CN206719170U (zh) 全自动滚轴式洗轮机
JP2002002458A (ja) 作業用車両の足回り洗浄装置
JP3204199U (ja) 車輌泥落洗浄装置
JP3204200U (ja) 車輌泥落洗浄装置
JPH07189Y2 (ja) 自走行式クラッシャ−
KR200388240Y1 (ko) 덤프트럭용 세륜기
KR200380533Y1 (ko) 대형 덤프트럭용 세륜기
US20090276969A1 (en) Portable Track-Out Prevention Systems
CN202413727U (zh) 基坑转轴式洗轮机
KR100515986B1 (ko) 차량의 동력을 이용한 세륜장치
JP3017820U (ja) 車輪に付着した泥土の除去装置
JPS6345991B2 (ko)
CN203753094U (zh) 一种转轮式排泥洗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