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813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813A
KR20050021813A KR20030059038A KR20030059038A KR20050021813A KR 20050021813 A KR20050021813 A KR 20050021813A KR 20030059038 A KR20030059038 A KR 20030059038A KR 20030059038 A KR20030059038 A KR 20030059038A KR 20050021813 A KR20050021813 A KR 2005002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5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022B1 (ko
Inventor
라만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5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0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022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 정보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정보를 매칭시켜 가입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사용자 등록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명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기초로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파일을 타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신의 데이터 서버를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lay of Data Transac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개인용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사진, 문서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이 빈번해 지고 있다.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이동 통신망이 연계되어 유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일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선 단말기간 또는 유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기를 직접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 있을 경우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일은 불가능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간 또는 유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용량 부족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려면 어려움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별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접속을 위한 아이디/비밀 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정보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를 매칭시켜 가입자별로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사용자 등록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명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명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명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 번호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타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별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접속을 위한 아이디/비밀 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정보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를 매칭시켜 가입자별로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사용자 등록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로 상기 데이터 식별 번호,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 및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의 콜백 URL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가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명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해당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명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서버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의 콜백 URL,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타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의 콜백 URL에 따른 데이터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및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참조 번호 10과 30은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단말기로 지정하고, 참조 번호 100과 130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30)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타사용자의 단말기(100, 13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가 접속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공유하는 저장 공간을 생성하여 저장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통신망(50, 70, 90, 150, 170, 200, 23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 30, 100, 130)가 전송한 사용자 데이터 서버(30)의 아이피 주소(IP Address), 시스템 접속을 위한 아이디/비밀 번호 및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들을 서로 매칭시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회원으로 등록한다. 이때, 데이터 서버(30, 130)는 데이터를 저장/공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를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타사용자 단말기(100, 130)로 전송할 데이터 서버(30)에 저장/공유 되어 있는 데이터의 간략 정보(데이터명)를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명을 수신하여 회원 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타사용자 단말기(100, 130)로의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서버(30)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식별 번호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타사용자 단말기(100, 13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회원이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식별 번호로 구분되어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명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데이터 서버(30)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가 접속하여 데이터를 추출해 갈 수 있도록 공유된 저장 공간을 생성하고, 여기에 식별 번호로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식별 번호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명의 식별 번호와 일치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추출할 때 참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50), 이동 통신망(50, 70, 90, 150, 170, 190, 200) 및 인터넷(23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60), 사용자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와 데이터 서버(30)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는 데이터/사용자 등록부(310),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360)에서 요청한 사용자의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320),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한 타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13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30) 및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3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360)는 사용자별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사용자 단말기(10, 30)가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비밀 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서로 매칭시켜 고객별로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61), 사용자 데이터 서버(30)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식별 번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63) 및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임시 저장 데이터베이스(365)를 포함한다.
데이터/사용자 등록부(3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 정보를 식별 번호와 매칭시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한다.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3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63)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데이터 송수신부(3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의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 번호 및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것인지 데이터 서버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수신하면, 데이터 서버(30)에 접속하여 데이터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임시 저장 데이터베이스(365)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기초로 타사용자의 단말기(100 또는 130)로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340)는 사용자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한 타 사용자 데이터 서버(130) 또는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190)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00)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비스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30, 130)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10, 100) 번호 및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30, 130)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 정보를 식별 번호와 매칭시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한다(S101, S103).
이어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S105), 데이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6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식별 번호순으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07).
이후,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식별 번호, 데이터를 수신할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번호 및 타사용자의 데이터 수신 단말 정보(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인지 타사용자의 데이터서버(130)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S109), 사용자 데이터 서버(30)에 접속하여(S111) 데이터 식별 번호와 매칭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S113).
단계 S109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전송 요청을 확인하여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인지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15).
단계 S115의 결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경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 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90)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19, S121).
단계 S115의 결과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경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 전송하고,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 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90)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25, S127).
여기에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61)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와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를 매칭시켜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번호만을 수신하여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가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를 사용자 데이터 서버(30)로 전송하면, 데이터 서버(30)가 직접 타사용자 데이터 서버(13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 구성(3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서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50), 이동 통신망(50, 70, 90, 150, 170, 190, 200) 및 인터넷(23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60), 사용자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와 데이터 서버(30)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는 데이터/사용자 등록부(310),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360)에서 요청한 사용자의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320),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가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데이터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부(370) 및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3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360)는 사용자별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사용자 단말기(10, 30)가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비밀 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서로 매칭시켜 고객별로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61) 및 사용자 데이터 서버(30)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식별 번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63)를 포함한다.
데이터/사용자 등록부(3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 정보를 식별 번호와 매칭시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한다.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3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리스트 데이터베이스(363)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요청부(3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식별 번호, 데이터 수신 단말 정보(데이터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인지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 번호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콜백 URL을 수신하면, 데이터 서버(30)로 데이터 식별 번호, 데이터 수신 단말 정보(데이터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인지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 번호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콜백 URL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 번호에 매칭되는 데이터가 타사용자의 단말기(100, 1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콜백 URL은 타사용자 데이터 서버(130)가 사용자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 수신 완료를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로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소로 이용된다.
메시지 전송부(340)는 타사용자 단말기(100, 130)로부터 데이터 전송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90)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90)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5는 도 4의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데이터 서버(3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 서버(30)는 데이터 서버(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7), 식별 번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식별 번호,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이동통신 단말기(100) 번호 또는 데이터 서버(130)의 아이피 주소)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콜백 URL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9),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39)에 저장하고 데이터를 타사용자 단말기(100, 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요청 수신부(31),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39)에서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33), 데이터 추출부(33)에서 추출한 정보를 상기 타사용자의 단말기(100, 13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35)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 100)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비스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30, 130)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30, 130)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 정보를 식별 번호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한다(S201, S203). 이때,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서버(30)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30)로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데이터 서버(30)에 전송되는 프로그램은 데이터 서버(30)가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데이터 식별 번호,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콜백 URL 포함)을 수신하면, 데이터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130)로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어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S205),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식별 번호순으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리스트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S207).
이후,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를 수신할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S209), 데이터베이스(360)에서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번호에 매칭되는 데이터 서버(130)의 아이피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아이피 주소와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콜백 URL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데이터 서버(30)로 전송한다(S211). 여기에서, 콜백 URL은 타사용자 데이터 서버(130)가 사용자 데이터 서버(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 수신 완료를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로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소로 이용된다.
데이터 서버(30)는 데이터 식별 번호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130)의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타사용자 데이터 서버(130)로 데이터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콜백 URL을 전송한다(S213).
타사용자 데이터 서버(130)는 사용자 데이터 서버(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의 콜백 URL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로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S215).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타사용자 데이터 서버(130)로부터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190)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한다(S217, S219).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 화면상에 표시되는 서비스 메뉴 중 1. 데이터 전송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 화면상에 표시되는 1. A사진, 2. B문서, 3. C이미지, ... 중에서 1. A사진을 선택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선택한 A사진을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데이터 서버(130) 중 어디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고, 이어서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300)는 타사용자 단말기(100, 130)의 전송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 완료를 통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파일을 타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신의 데이터 서버를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데이터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 표시되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이동통신 단말기 30, 130 : 데이터 서버
50, 150 : BTS 70, 170 : BSC 90 : MSC 190 : SMSC
200 : DCN 230 : 인터넷
300 :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 310 : 데이터/사용자 등록부
320 :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 330 : 데이터 송수신부
340 : 메시지 전송부 350 : 제어부
360 : 데이터베이스 361 : 사용자 정보 DB
363 : 데이터 리스트 DB 365 : 데이터 임시 저장 DB
370 : 데이터 전송 요청부

Claims (12)

  1.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별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접속을 위한 아이디/비밀 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정보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를 매칭시켜 가입자별로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사용자 등록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명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명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타 사용자 데이터 서버 또는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3.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명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명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 번호에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타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및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
  5.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별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접속을 위한 아이디/비밀 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회원 가입을 위한 데이터 서버의 아이피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정보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정보를 매칭시켜 가입자별로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사용자 등록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리스트로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로 상기 데이터 식별 번호,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 및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의 콜백 URL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서버가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은,
    상기 타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및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식별 번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식별 번호,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 및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의 콜백 URL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를 타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요청 수신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정보를 상기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8.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데이터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9. 제1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는 데이터를 수신할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상기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것인지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10.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데이터 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명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리스트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해당 데이터 서버에 저장/공유되어 있는 데이터명을 추출하여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리스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서버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의 콜백 URL, 데이터 식별 번호 및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타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의 콜백 URL에 따른 데이터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및 타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
  11. 제3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데이터 서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
  12. 제3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 위치 정보는 데이터를 수신할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상기 데이터를 타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것인지 타사용자의 데이터 서버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계 방법.
KR20030059038A 2003-08-26 2003-08-2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방법 KR10052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9038A KR100529022B1 (ko) 2003-08-26 2003-08-2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9038A KR100529022B1 (ko) 2003-08-26 2003-08-2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813A true KR20050021813A (ko) 2005-03-07
KR100529022B1 KR100529022B1 (ko) 2005-11-15

Family

ID=3722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59038A KR100529022B1 (ko) 2003-08-26 2003-08-26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36B1 (ko) * 2018-08-22 2019-12-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밀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서버와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송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36B1 (ko) * 2018-08-22 2019-12-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밀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서버와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022B1 (ko) 2005-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266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315054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3203709B1 (en) Cloud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loud service server
JP2003331045A (ja) ポータルサイトサーバシステム、ポータルサイト方法、およびポータルサイトプログラム
WO2007133529A2 (en) Conta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90144811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US20080056458A1 (en) Message system for conducting message
JP2001265680A (ja) 複数メディアのセッションを管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0307788A (ja)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5051475A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U20023509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lected peripheral of a network
KR101547552B1 (ko) 이동단말과 인터넷전화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AU20023509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lected peripheral of a network
JP2002318808A (ja) 個人情報登録支援システム
KR20140061943A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5290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 시스템 및방법
KR101789803B1 (ko) 명함 정보 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09010B1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현재 상태 차등 제공방법 및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0692790B1 (ko) 사용자별 맞춤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
JPH10336345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発信者認証方法、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
KR100640512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에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EP1783982A2 (en) Service creation via presence messaging
KR100420551B1 (ko)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396723A1 (en) File provision system, file generation apparatus, and file provision method
KR100833224B1 (ko) 이동 사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