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726A -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726A
KR20050021726A KR1020030058881A KR20030058881A KR20050021726A KR 20050021726 A KR20050021726 A KR 20050021726A KR 1020030058881 A KR1020030058881 A KR 1020030058881A KR 20030058881 A KR20030058881 A KR 20030058881A KR 20050021726 A KR20050021726 A KR 20050021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gui
top device
scree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435B1 (ko
Inventor
장지영
오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큐브
Priority to KR102003005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4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된 GUI 구성요소들을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GUI 구성요소들을 조합하여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셋톱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요청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셋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셋톱장치의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등의 복잡한 작업없이 간단하게 저사양의 셋톱장치에서도 화려하고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할 수 있으며, 셋톱장치의 처리속도 향상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GUI management system for the Set Top device based on the server side handling}
본 발명은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D 플레이어, 위성방송 수신기, 네트워크 미디어 재생기 등의 셋톱 박스(Set Top Box)형 디지털 가전기기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제어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DVD 플레이어, 위성방송 수신기, 네트워크 미디어 재생기 등의 셋톱 박스(Set Top Box)형 디지털 가전기기인 셋톱장치는 점점 화려하고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셋톱장치의 느린 CPU 속도, 가용 메모리의 한계, 강력한 그래픽 기능의 부재 등의 원인에 의해 화려하고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셋톱장치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셋톱장치의 롬(ROM)이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에 내장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변경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한편, 최근의 셋톱장치들은 네트워크 기능을 내장하여 원격의 컴퓨터와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이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일반화된 화려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들에 대한 자유로운 사용자 변경 예컨데, 스킨(Skin) 변경이나 UI(User Interface) 편집 등을 통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용이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셋톱장치 자체가 아니라 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저장하고, 서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이를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셋톱장치의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등의 복잡한 작업없이 간단하게 저사양의 셋톱장치에서도 화려하고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할 수 있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상에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관리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형의 필름형태의 썸네일 방식의 이미지가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타라는 시각적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된 GUI 구성요소들을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GUI 구성요소들을 조합하여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셋톱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요청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전송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셋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셋톱장치 자체가 아니라 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저장하고, 서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이를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셋톱장치의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등의 복잡한 작업없이 간단하게 저사양의 셋톱장치에서도 화려하고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스터마이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이 화면을 구획하여 상기 사각형의 필름프레임을 썸네일 방식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 각각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사각형이 노출되도록 선택된 이미지들을 합성 또는 오버레이 처리하고, 이미지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 각각에 재생될 미디어 파일을 링크시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각형의 필름형태의 썸네일 방식의 이미지가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타라는 시각적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와, 셋톱장치(200)와, TV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상기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셋톱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하는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셋톱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영상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Media File)을 코딩하여 이를 상기 TV 장치(300)의 화면을 통해 재생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재생될 미디어 파일을 리모콘 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을 수행한다.
상기 TV 장치(300)는 상기 셋톱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110)와, GUI 관리부(120)와, GUI 데이타베이스(130)와, 통신부(140)와, 조작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110)는 GUI 구성요소를 저장한다.
상기 GUI 관리부(120)는 셋톱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 구성을 위한 GUI 구성요소 선택 및 선택된 화면구성 요소들의 조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선택된 GUI 구성요소들을 상기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11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GUI 구성요소들을 조합하여 셋톱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상기 GUI 관리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UI 에디터를 제공한다.
상기 UI 에디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한 그래픽 툴로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배경화면을 선택하고, 이 배경화면상에 템플릿(Templet) 방식으로 선택된 다이알로그 박스, 텍스트 박스, 각종 버튼, 체크 박스, 이미지 등의 그래픽 객체(Object)를 드래그(Drag)하여 배열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작성된다.
상기 그래픽 객체들은 상기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110)에 저장되는 GUI 구성요소이다.
그러면, 상기 GUI 관리부(120)가 사용자가 작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객체 즉, GUI 구성요소들을 상기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11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GUI 구성요소들을 사용자가 배열한 위치에 조합하여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130)는 상기 GUI 관리부(120)에 의해 생성된 셋톱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130)에 저장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셋톱장치(200)로 전송한다.
상기 조작부(150)는 상기 GUI 관리부(12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등 각종 키보드 입력이나 마우스 입력을 받아 이를 처리하도록 상기 GUI 관리부(12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셋톱장치(200)로부터 선택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130)로부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독출하고, 이 독출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해당 셋톱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상기 GUI 관리부(120)를 통해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 구성을 위한 GUI 구성요소 선택 및 선택된 화면구성 요소들의 조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조작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편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GUI 구성요소들을 상기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11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GUI 구성요소들을 조합하여 셋톱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GUI 데이타베이스(130)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편집한 다양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는 셋톱장치(200)의 리모콘 등을 조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선택을 위한 화면으로부터 마음에 드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한다.
그러면, 셋톱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로 선택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130)로부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독출하고, 이 독출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해당 셋톱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셋톱장치(200)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TV 장치(3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셋톱장치(200)는 통신부(210)와, 미디어 재생제어부(221)와, GUI 표시제어부(222)와, 포커스 이동제어부(223)를 포함하는 제어부(210)와, 영상합성 출력부(230)와, 조작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를 포함하는 외부 네트워크 시스템과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상기 미디어 재생제어부(221)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제어한다.
즉, 이 미디어 제어재생부(221)는 재생 선택된 미디어 파일이 저장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타를 복호화하여 이를 TV 장치(300)의 화면을 통해 재생하도록 하는 통상적인 미디어 재생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조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여 요청하면 셋톱장치(200)는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130)로부터 해당 요청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독출하여 이를 셋톱장치(200)로 전송하면, 셋톱장치(20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의 제어하에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포커스 이동제어부(22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한다.
이 포커스 이동제어부(223)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이동되는 그래픽 커서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해 입력하는 커서 이동버튼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서 포커스를 이동시켜 하이라이트(High Light)시키는 통상의 그래픽 커서 이동에 관련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합성 출력부(230)는 상기 미디어 재생제어부(221), GUI 표시제어부(222) 및 포커스 이동제어부(223)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되는 영상을 합성하고, 이를 TV 장치(300)로 출력한다.
즉, 셋톱장치(200)는 이 영상합성 출력부(230)를 통해 상기 미디어 재생제어부(221)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되는 미디어 파일,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기 포커스 이동제어부(223)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되는 하이라이트된 그래픽 커서를 합성하여 이를 TV 장치(300)로 전송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240)는 상기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요청 명령 및 포커스 이동 명령을 포함하는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셋톱장치(200)는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조작부(24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하여 요청하면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130)로부터 해당 요청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독출하여 이를 셋톱장치(200)로 전송하면, 셋톱장치(20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의 제어하에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은 셋톱장치 자체가 아니라 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저장하고, 서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이를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셋톱장치의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등의 복잡한 작업없이 간단하게 저사양의 셋톱장치에서도 화려하고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할 수 있으며, 서버상에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관리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스터마이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의 상기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110)에 저장되는 GUI 구성요소가 소정의 배경색을 가지는 사각형의 이미지 박스에 등간격으로 상기 배경색과 상이한 색을 가지는 사각형이 일렬로 다수 배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GUI 관리부(120)가 셋톱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생성시 화면을 구획하여 상기 사각형의 필름프레임을 썸네일 방식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 각각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사각형이 노출되도록 선택된 이미지들을 합성 또는 오버레이 처리하고, 이미지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 각각에 재생될 미디어 파일을 링크시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GUI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도록 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셋톱장치(200)가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로 상기 필름프레임 각각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사각형이 노출되도록 선택된 이미지들을 합성 또는 오버레이 처리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이 썸네일 방식으로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는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130)로부터 이를 독출하여 이를 셋톱장치(200)로 전송하고, 셋톱장치(20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GUI 표시제어부(222)의 제어하에 TV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각형의 필름형태의 썸네일 방식의 이미지가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배열된 이미지들이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타라는 시각적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사각형의 필름형태의 썸네일 방식의 이미지가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가 미디어 데이타베이스(170)와, 미디어 관리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데이타베이스(170)는 미디어 파일들을 저장한다.
상기 미디어 관리부(180)는 상기 미디어 데이타베이스(170)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등록하고, 상기 셋톱장치(200)로부터 선택된 미디어 파일을 상기 미디어 데이타베이스(170)로부터 독출하고, 이를 압축하여 해당 셋톱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셋톱장치(200)는 상기 미디어 재생제어부(221)를 통해 이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TV 장치(300)의 화면을 통해 재생한다.
즉, 이 실시예는 미디어 파일을 저장한 미디어 데이타베이스(170)와,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저장한 GUI 데이타베이스(180)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100)가 동시에 보유한 경우의 실시예로, 미디어 파일 재생관리와,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관리를 동일한 서버내에서 수행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은 셋톱장치 자체가 아니라 이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저장하고, 서버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이를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셋톱장치의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 등의 복잡한 작업없이 간단하게 저사양의 셋톱장치에서도 화려하고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할 수 있으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일일이 셋톱장치에 전송하여 셋톱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지 않고 서버에서 완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한번에 전송함으로써 처리속도 향상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서버상에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관리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각형의 필름형태의 썸네일 방식의 이미지가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타라는 시각적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 는 사각형의 필름형태의 썸네일 방식의 이미지가 배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 110 :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
120 : GUI 관리부 130 : GUI 데이타베이스
140 : 통신부 150 : 조작부
160 : 제어부 170 : 미디어 데이타베이스
180 : 미디어 관리부 200 : 셋톱장치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21 : 미디어 재생제어부 222 : GUI 표시제어부
223 : 포커스 이동제어부 230 : 영상합성 출력부
240 : 조작부 300 : TV 장치

Claims (4)

  1. GUI 구성요소를 저장하는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와;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 구성을 위한 GUI 구성요소 선택 및 선택된 화면구성 요소들의 조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선택된 GUI 구성요소들을 상기 GUI 구성요소 데이타베이스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GUI 구성요소들을 조합하여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GUI 관리부와;
    상기 GUI 관리부에 의해 생성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저장하는 GUI 데이타베이스와;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셋톱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GUI 관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조작부와;
    셋톱장치로부터 선택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GUI 데이타베이스로부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독출하고, 이 독출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셋톱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를 포함하는 외부 네트워크 시스템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미디어 파일의 재생을 제어하는 미디어 재생제어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GUI 표시제어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하는 포커스 이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미디어 재생제어부, GUI 표시제어부 및 포커스 이동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되는 영상을 합성하고, 이를 TV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합성 출력부와;
    상기 TV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송요청 명령 및 포커스 이동 명령을 포함하는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셋톱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GUI 구성요소가 소정의 배경색을 가지는 사각형의 이미지 박스에 등간격으로 상기 배경색과 상이한 색을 가지는 사각형이 일렬로 다수 배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GUI 관리부가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생성시 화면을 구획하여 상기 사각형의 필름프레임을 썸네일 방식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 각각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사각형이 노출되도록 선택된 이미지들을 합성 또는 오버레이 처리하고, 이미지가 합성 또는 오버레이된 사각형의 필름프레임 각각에 재생될 미디어 파일을 링크시켜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GUI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서버가:
    미디어 파일들을 저장한 미디어 데이타베이스와;
    상기 미디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등록하고, 상기 셋톱장치로부터 선택된 미디어 파일을 상기 미디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독출하고, 이를 압축하여 해당 셋톱장치로 전송하는 미디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KR1020030058881A 2003-08-25 2003-08-25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KR10057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881A KR100573435B1 (ko) 2003-08-25 2003-08-25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881A KR100573435B1 (ko) 2003-08-25 2003-08-25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26A true KR20050021726A (ko) 2005-03-07
KR100573435B1 KR100573435B1 (ko) 2006-04-26

Family

ID=3722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881A KR100573435B1 (ko) 2003-08-25 2003-08-25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4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790B1 (ko) * 2005-07-05 2007-04-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셋톱박스 유저인터페이스 갱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60753B1 (ko) * 2007-01-03 2008-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194302A1 (en) * 2012-01-31 201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790B1 (ko) * 2005-07-05 2007-04-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셋톱박스 유저인터페이스 갱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860753B1 (ko) * 2007-01-03 2008-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194302A1 (en) * 2012-01-31 201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053658B2 (en) * 2012-01-31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823816B2 (en) 2012-01-31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435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8478B1 (en) Multimedia playback device and playback method
KR100863391B1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JP4599351B2 (ja) 民生用ビデオプレーヤー用のプログラムによるウィンドウ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JP4068119B2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8230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creen display method, screen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creen display program recorded therein
US200801045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slideshow
JP2008146495A (ja)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ならびに、表示装置
KR20060049370A (ko)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 및 리모트 콘트롤 시스템에 이용되는장치
KR20160031403A (ko) 멀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멀티 스크린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405221B (zh) 显示设备及录制文件列表的显示方法
CN11207379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JP4926852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801850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860561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7300563A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573435B1 (ko)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JP4926853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176018A (ja) 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制御方法
CN114095778B (zh) 一种应用级播放器的音频硬解码方法及显示设备
JP7420642B2 (ja) 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JP2009159313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装置の制御方法、データ送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8033918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019122B1 (ko) 방송용 세탑박스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 콘텐츠 운용 방법
CN111405380A (zh) 播放流媒体数据的方法及装置
JP200615788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