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217A -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217A
KR20050021217A KR1020030059391A KR20030059391A KR20050021217A KR 20050021217 A KR20050021217 A KR 20050021217A KR 1020030059391 A KR1020030059391 A KR 1020030059391A KR 20030059391 A KR20030059391 A KR 20030059391A KR 20050021217 A KR20050021217 A KR 2005002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late
cutt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899B1 (ko
Inventor
이승길
Original Assignee
아이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나노텍(주) filed Critical 아이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03-005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8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4Forming notches in marginal portion of work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의 엣지 부분을 정교하게 모따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작업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는 베드와, 베드의 상부면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다이와, 작업다이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작업다이의 양옆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기둥과,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면서 기둥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타측에 장착되는 한쌍의 제 1 에어실린더 및 제 2 에어실린더와,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에어실린더 및 제 2 에어실린더에 의해 지지판의 일측면상에서 상, 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판을 구비하는 승강부; 승강판의 일측면상 중앙에서 양측으로 다수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며 좌, 우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 및 각각의 장착구의 일측면상에 고정되는 스핀들을 갖는 절삭대와, 각각의 스핀들의 하부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엣지 부분을 모따기 하는 절삭공구를 구비하는 절삭부; 및 구동모터, 제 1 에어실린더, 제 2 에어실린더 및 각각의 스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A chamfer machine of substrate}
본 발명은 모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출력단자를 포함한 멀티플 라인을 모따기 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쇄회로기판은 컴퓨터 또는 그 주변기구 및 각종 전자제품에 폭넓게 적용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페이퍼-페놀(Paper-phenol)수지 또는 글래스-에폭시(Glass-epoxy)수지 등과 같은 기판상에 동박판을 적층시키고, 회로 패턴(pattern) 인쇄 및 식각 등의 기술에 의해 배선을 위한 동박판막으로 도형을 완성시킨 것이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의 원재료판(COPPER CLAD LAMINATE)은 사각판으로 1차 절단하고, 이 절단된 원재료판의 절단면을 면취기에서 면가공한 후 관통공(Through hole)형성, 중압 수세 및 산처리, 에칭, 무전해 도금처리 등의 여러 공정을 거쳐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은 집적회로(IC), 다이오드, 콘덴서 및 저항 등이 납땜으로 부착되어 마더보드에 형성된 긴 리셉터클(receptacle)이나 슬롯에 장착된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이 슬롯에 장착될 때 인쇄회로기판의 엣지(edge)가 각진 형상이므로 장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엣지(edge)의 출력단자가 슬롯의 입력단자와 맞닿으면서 쇼트가 발생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엣지 부분을 사포 등으로 연마하여 모따기를 하였다. 하지만 일일이 사포를 들고 수작업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베드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다이와, 작업다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 하로 이동가능한 다수개의 스핀들을 갖는 절삭부와, 각각의 스핀들의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절삭공구를 구비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엣지 부분을 정교하게 모따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작업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베드와, 베드의 상부면상 중앙에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다이와, 작업다이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베이스부;
작업다이의 양옆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베드의 상부면상에 고정되는 한쌍의 기둥과,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면서 양측이 기둥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타측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맞대어 장착되는 한쌍의 제 1 에어실린더 및 제 2 에어실린더와,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에어실린더 및 제 2 에어실린더에 의해 지지판의 일측면상에서 상, 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판을 갖는 승강부;
승강판의 일측면상 중앙에서 양측으로 다수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며 좌, 우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 및 각각의 장착구의 일측면상에 고정되는 스핀들을 갖는 절삭대와, 각각의 스핀들의 하부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엣지 부분을 모따기 하는 절삭공구를 갖는 절삭부; 및
구동모터, 제 1 에어실린더, 제 2 에어실린더 및 각각의 스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를 제거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승강부 및 절삭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a 및 6b는 도 4에 도시된 절삭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에 사용되는 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100)는 베이스부(10), 승강부(110), 절삭부(14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드(12), 작업다이(16), 구동모터(24) 및 회전축(28)을 구비한다. 베드(12)는 금속으로 제작된 테이블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작업공구나 부속품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베드(12)의 상부면상 중앙에는 서로 이격되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베드(12)의 상부에는 작업다이(16), 구동모터(24), 회전축(28)이 배치된다. 작업다이(16)는 사각 판 형상을 가지며 제 1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작업다이(16)는 상부면상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판(18)이 부착되고, 하부면상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제 1 가이드레일(1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 가이드블럭(20)이 형성된다. 또한, 작업다이(16)의 하부면상 중앙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이동구(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이동구(22)는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내주면상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작업다이(16)의 타측에는 작업다이(16)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4)가 베드(12)의 상부면상에 고정장착된다. 이때, 구동모터(24)에 형성된 구동축(26)에는 구동모터(24)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감속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고, 감속기에는 다시 회전축(28)이 장착된다. 이러한 회전축(28)은 작업다이(16)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이동구(22)를 관통하면서 베드(12)의 일단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28)의 외주면상에는 이동구(22)에 형성된 암나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수나사가 전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속기의 전방과 회전축(28)의 타단에는 회전축(28)이 관통되면서 회전축(28)을 지지하는 지지구(30)가 베드(12)의 상부면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부(10)의 상부에는 승강부(110)가 배치된다.
도 4 및 5를 참고하면, 승강부(110)는 기둥(112), 지지판(114), 제 1 에어실린더(120a), 제 2 에어실린더(120b) 및 승강판(126)을 구비한다. 기둥(112)은 작업다이(16)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한 쌍으로 배치되고 베드(12)의 상부면상에 고정장착된다. 이러한 한 쌍의 기둥(112)에는 사각 판 형상을 갖는 지지판(114)의 양단이 기둥(112)의 내측면상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판(114)의 일측면상에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 하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가이드레일(116)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판(118)은 지지판(114)의 타측 상부에 수직하게 장착되고, 상판(118)의 하부면상에는 한 쌍의 제 1 에어실린더(120a)가 장착된다. 이때, 한 쌍의 제 1 에어실린더(120a)는 제 1 로드(122a)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판(118)의 하부면상에 고정된다. 또한, 각각의 제 1 에어실린더(120a)의 하부면상에는 각각의 제 2 로드(122b)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에어실린더(120b)가 장착된다. 이러한 각각의 제 2 에어실린더(120b)의 제 2 로드(122b)에는 하판(124)이 고정된다. 이때, 하판(124)의 일단은 지지판(114)의 하측을 지나면서 지지판(114)의 일측면까지 연장되어 다시 수직한 승강판(126)과 수직하게 고정된다.
승강판(126)은 하판(124)의 일단에 고정되면서 지지판(114)의 일측면상에 형성된 제 2 가이드레일(116)을 따라 상, 하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승강판(126)의 타측면상에는 제 2 가이드레일(116)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2 가이드블럭(128)이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판(126)의 일측면상에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수평한 형상을 갖는 제 3 가이드레일(130)이 상, 하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판(118)의 상부면상에는 하측으로 골이 패여진 고정홈(132)이 양단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승강판(126)의 일측면상 양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쌍의 가로게이지(134a) 및 세로게이지(134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쌍의 가로게이지(134a)는 서로 마주보도록 끝단이 승강판(126)의 중앙을 향하게 장착되고, 한쌍의 세로게이지(134b)는 끝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한쌍의 세로게이지(134b)의 하측에는 베드(12)에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멈춤봉(136)이 형성되며, 각각의 멈춤봉(136)의 타측에는 마찬가지로 베드(12)에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완충봉(1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승강부(110)의 일측에는 절삭부(140)가 배치된다.
절삭부(140)는 절삭대(142), 절삭공구(160) 및 에어노즐(180)을 구비한다. 절삭대(142)는 다수개가 한조를 이루면서 제 3 가이드레일(130)의 중심을 기점하여 양측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다수의 절삭대(142)는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레일(116)을 따라 좌, 우로 이동되는 장착구(144)와, 장착구(144)의 하부에 완충가능하게 장착되는 압착구(154)와, 장착구(144)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에어스핀들(158)을 갖는다. 이때, 장착구(144)의 타측면상에는 제 3 가이드레일(130)에 대응되는 제 3 가이드블럭(146)이 형성되고, 장착구(144)의 상부면상에는 장착구(144)가 승강판(126)의 상단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홈(132)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48)가 체결된다. 또한, 압착구(154)는 장착구(144)의 하단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는데 이때, 장착구(144)와 압착구(154)의 사이에는 한쌍의 연결봉(150)으로 연결되고 연결봉(150)의 외주면상에는 탄성스프링(152)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착구(154)의 일측면상 양측에는 회전가능한 롤러(156)가 장착된다. 더욱바람직하게는 롤러(156)가 장착된 압착구(154)는 도 6b와 같이 180°회전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승강판(126)을 중심으로 일측방향에 장착된 절삭대(142)들은 도 6a와 같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면을 가공하고, 승강판(126)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에 장착된 절삭대(142)들은 도 6b와 같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타측면을 가공한다. 이처럼 형성된 절삭대(142)에는 인쇄회로기판을 가공하기 위한 절삭공구(160)가 장착된다.
절삭공구(160)는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62)와, 칩(172)을 구비한다. 몸체(162)는 초경합금으로 제작되며 수직한 원통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몸체(162)는 하부의 일측이 타측방향으로 절곡되다가 다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절곡면(164) 및 수직면(166)을 갖는다. 이때, 몸체(162)의 절곡된 하부에는 다이아몬드 또는 금강석으로 제작된 칩(172)이 용접결합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칩(172)의 반대편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모따기 되는 간섭각(17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간섭각(174)은 55°이다. 한편, 절삭공구(160)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칩(172)의 하단 중심에서부터 양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모따기 되는 절삭각(176) 및 임의각(178)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절삭각(176)은 45°±10°이며, 임의각(178)은 68°이다. 이때, 절삭각(176)은 인쇄회로기판의 엣지 부분을 실제적으로 가공하는 각도이고, 간섭각(174)는 절삭공구(160)가 인쇄회로기판을 절삭할 때에 간섭을 막는다. 이처럼 형성된 절삭공구(160)는 각각의 스핀들(158)의 하단에 장착되어 각각의 스핀들(158)의 회전력에 의해 강력한 회전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62)의 외주면상 일측은 상하로 절단된 끼움면(168)이 형성되며, 몸체(162)의 외주면상 타측은 끼움면(168)보다 더 깊게 절단된 무게중심면(17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무게중심면(170)은 절삭공구(160)가 회전될 때, 하부의 균형이 맞지 않아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에어노즐(180)은 내부가 관통되면서 수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상 타측에는 관통된 내부와 연통되면서 외부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분사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노즐(180)은 절삭공구(160)의 칩(172)부분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절삭공구(160)가 하강할 때 함께 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판(126)의 양측에 고정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부(10), 승강부(110) 및 절삭부(14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부(19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C)의 어느 일측에 장착되며, 구동모터(24), 제 1 에어실린더(120a), 제 2 에어실린더(120b), 스핀들(158) 및 에어노즐(180)을 작동시킨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드(12)의 일측면상에는 스핀들(158)의 개수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된 개별스위치가 형성되어 각각의 스핀들(158)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기재되지 않았지만 베드(12)의 내부에는 콤푸레샤가 배치되어 제 1 에어실린더(120a), 제 2 에어실린더(120b) 및 각각의 스핀들(158)로 에어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제 1 에어실린더(120a), 제 2 에어실린더(120b) 및 각각의 스핀들(158)을 구동시킨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8a 및 8b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따기 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이하, "기판" 이라함)의 양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는데 이때, 도 8a에 도시된 기판의 일측면은 우측에 배치된 절삭부(140)에서 가공하고, 도 8b에 도시된 기판의 타측면은 좌측에 배치된 절삭부(140)에서 가공한다. 따라서 작업하고자하는 기판의 치수를 미리 세팅해야 된다. 세팅방법은 우선, 기판이 작업다이(16)에 올려지면 기판의 양단에서 첫 번째 엣지까지의 거리를 위한 기준점을 잡아주어야 한다. 양단의 기준점을 잡기 위하여 승강판(126)의 일측면상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가로게이지(134a)를 조절하여 기준치수를 잡아준다. 다음은 엣지와 엣지 사이의 거리를 잡아준다. 이때에는 각각의 장착구(144)의 상부에 체결된 고정볼트(148)를 해제하여 거리를 맞춘 후 다시 체결하는 방법으로 한다. 다음은 기판의 두께에 따라서 하강길이를 세팅한다. 이때에는 세로게이지(134b)를 조절하여 세로게이지(134b)의 끝단과 멈춤봉(136)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맞춘다.
이와 같이 세팅이 완료되면 우선 기판의 일측면을 상부로 향하게 하여 작업다이(16)의 우측상부에 배치시킨다. 제어부(190)의 스타트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면 각각의 스핀들(158)이 회전한다. 이때, 모따기 할 기판의 개수에 따라 스핀들(158)의 회전을 개별적으로 단속할 수 가 있는데, 베드(12)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별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ON/OFF 시켜 작동시키고자 하는 스핀들(158)만 작동시킬 수 있다. 스핀들(158)이 회전하면 하강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 승강판(126)을 하강시킨다. 이때, 승강판(126)의 하강은 이중으로 제어된다. 첫 번째, 제 1 하강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게 되면 제 1 에어실린더(120a)가 작동되면서 고정된 상판(118)을 기점으로 제 1 에어실린더(120a) 및 제 2 에어실린더(120b)와, 승강판(126)이 하강한다. 다시 제 2 하강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면 제 2 에어실린더(120b)가 작동되면서 고정된 제 2 에어실린더(120b)를 기점으로 하판(124) 및 승강판(126)이 하강한다. 이때, 승강판(126)은 한쌍의 세로게이지(134b) 및 한쌍의 완충봉(138)에 의해 세팅된 하강점에서 멈춘다. 이처럼 하강점에서 멈추게 되면 각각의 압착구(15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156)가 기판을 탄력있게 눌러주게 된다. 하강한 승강판(126)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함께 하강한 각각의 스핀들(158)들은 절삭공구(160)를 회전시키면서 기판의 엣지를 모따기 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삭공구(160)는 고속회전을 하기 때문에 하강과 동시에 기판의 엣지를 가공한다. 따라서 하강과 동시에 이송버튼(도시되지 않음)를 눌러 구동모터(24)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24)가 구동되면 회전축(28)이 회전되고 회전축(28)과 나사결합된 이동구(22)가 회전축(28)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작업다이(16)가 이동된다. 이러한 작업다이(16)는 작업다이(16)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제 2 가이드블럭(128)리 베드(12)의 상부면상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엣지 부분이 가공되면 복귀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눌러 작업다이(16) 및 승강판(126)을 원래의 위치로 돌려놓는다.
한편, 일측면이 가공된 기판은 작업다이(16)의 좌측상부에 타측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시키고 또 다른 기판을 일측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작업다이(16)의 우측상부에 배치시킨다. 다시 아까와 같은 순서를 반복하여 가공하면 기판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엣지 부분의 모따기 각도는 절삭공구(160)의 절삭각(176)과 동일한 각으로 모따기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엣지부분 양면을 동시에 모따기 할 수 있음으로써, 빠른시간안에 대량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조건에 따라 사용되는 절삭공구를 간편하게 갈아 끼울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절삭공구의 전방에 배치된 에어노즐에 의해서 가공된 기판에서 나오는 슬러지 및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를 제거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승강부 및 절삭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a 및 6b는 도 4에 도시된 절삭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에 사용되는 절삭공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8a 및 8b는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따기 장치 10 : 베이스부
12 : 베드 14 : 제 1 가이드레일
16 : 작업다이 20 : 제 1 가이드블럭
22 : 이동구 24 : 구동모터
28 : 회전축 30 : 지지구
110 : 승강부 112 : 기둥
114 : 지지판 116 : 제 2 가이드레일
120a : 제 1 에어실린더 120b : 제 2 에어실린더
126 : 승강판 128 : 제 2 가이드블럭
130 : 제 3 가이드레일 132 : 고정홈
134a : 가로게이지 134b : 세로게이지
136 : 멈춤봉 138 : 완충봉
140 : 절삭부 142 : 절삭대
144 : 장착구 146 : 제 3 가이드블럭
150 : 연결봉 152 : 탄성스프링
154 : 압착구 158 : 스핀들
160 : 절삭공구 162 : 몸체
164 : 절곡면 166 : 수직면
168 : 끼움면 170 : 무게중심면
172 : 칩 174 : 간섭각
176 : 절삭각 178 : 임의각
180 : 에어노즐 190 : 제어부

Claims (11)

  1. 베드(12)와, 상기 베드(12)의 상부면상 중앙에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작업다이(16)와, 상기 작업다이(16)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24)를 갖는 베이스부(10);
    상기 작업다이(16)의 양옆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베드(12)의 상부면상에 고정되는 한쌍의 기둥(112)과,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면서 양측이 상기 기둥(112)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판(114)과, 상기 지지판(114)의 타측에서 서로 대응되도록 맞대어 장착되는 한쌍의 제 1 에어실린더(120a) 및 제 2 에어실린더(120b)와,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에어실린더(120a) 및 상기 제 2 에어실린더(120b)에 의해 상기 지지판(114)의 일측면상에서 상, 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판(126)을 갖는 승강부(110);
    상기 승강판(126)의 일측면상 중앙에서 양측으로 다수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며 좌, 우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144) 및 상기 각각의 장착구(144)의 일측면상에 고정되는 스핀들(158)을 갖는 절삭대(142)와, 상기 각각의 스핀들(158)의 하부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엣지 부분을 모따기 하는 절삭공구(160)를 갖는 절삭부(140); 및
    상기 구동모터(24), 상기 제 1 에어실린더(120a), 상기 제 2 에어실린더(120b) 및 상기 각각의 스핀들(158)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12)의 상부면상에는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다이(16)의 하부면상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되는 제 1 가이드블럭(20)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다이의 하부면상 중앙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면서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이동구(22)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24)에는 외주면상에 상기 암나사와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회전축(28)이 상기 이동구(22)를 관통하면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4)은 제 1 에어실린더(120a)의 제 1 로드(122a)가 고정되는 상판(118)이 타측 상단에 형성되고 일측면상에는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 2 가이드레일(116)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126)은 상기 제 2 에어실린더(120b)의 제 2 로드(122b)가 고정되는 하판(124)이 타측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레일(116)에 슬라이딩되도록 제 2 가이드블럭(128)이 타측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126)은 외부로 돌출되면서 좌,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3 가이드레일(130)이 일측면상에 형성되고 상부면상에는 내측으로 패인 고정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장착구(144)는 상기 제 3 가이드레일(130)에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각각의 장착구(144)의 타측면상에 제 3 가이드블럭(146)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장착구(144)가 상기 승강판(126)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볼트(148)가 상기 각각의 장착구(144)의 상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홈(132)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126)의 일측면상에는 상기 각각의 장착구(144) 중에서 양단에 배치된 장착구(144)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한쌍의 가로게이지(134a)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126)의 하강길이를 조절하는 한쌍의 세로게이지(134b)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세로게이지(134b)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판(126)의 하강을 차단하는 멈춤봉(136)이 상기 베드(12)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멈춤봉(136)의 타측에는 완충봉(138)이 마찬가지로 상기 베드(12)의 상부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장착구(144)의 타측 하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한 연결봉(150)이 외주면상에 탄성스프링(152)이 끼워진 채로 장착되고, 상기 승강판(126)의 중심을 기점으로 상기 양측의 연결봉(15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롤러(156)가 일측 및 타측에 부착된 압착구(154)가 탄력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160)는 수직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일측 하부가 타측방향으로 절곡되다가 다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절곡면(164) 및 수직면(166)을 갖는 몸체(162)와, 상기 수직면(166)에 부착되는 칩(17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칩(172)은 하단 중앙에서 양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절삭각(176)이 형성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는 임의각(178)이 상기 절삭각(176)보다 큰 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각(176)은 4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62)의 타측면상에는 내측으로 절단된 무게중심면(170)이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162)의 타측 하부는 55°의 간섭각(174)으로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140)는 상기 승강판(126)에 고정되면서 상기 절삭공구(16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절삭공구(160)측으로 에어를 불어주는 에어노즐(18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각각의 스핀들(158)을 ON/OFF 시키는 개별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KR10-2003-0059391A 2003-08-27 2003-08-27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KR10051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391A KR100512899B1 (ko) 2003-08-27 2003-08-27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391A KR100512899B1 (ko) 2003-08-27 2003-08-27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351U Division KR200334663Y1 (ko) 2003-08-26 2003-08-26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217A true KR20050021217A (ko) 2005-03-07
KR100512899B1 KR100512899B1 (ko) 2005-09-07

Family

ID=3722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391A KR100512899B1 (ko) 2003-08-27 2003-08-27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8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35B1 (ko) * 2008-01-24 2008-09-18 이성호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KR100859134B1 (ko) * 2008-01-24 2008-09-18 이성호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승강구동장치
KR100859133B1 (ko) * 2008-01-24 2008-09-18 이성호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131A (ko) 2014-12-22 2016-06-30 (주)화인엔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6935B1 (ko) 2015-08-10 2016-12-15 (주)화인엔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51368A (ko) 2018-11-05 2020-05-13 (주) 엠엔비젼 Pcb 면취 자동화에 운영되는 카메라와 uvw 스테이지 시스템
KR102655504B1 (ko) 2022-06-10 2024-04-11 영진전자산업 주식회사 스핀들 미세조정장치를 구비한 pcb 챔퍼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35B1 (ko) * 2008-01-24 2008-09-18 이성호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KR100859134B1 (ko) * 2008-01-24 2008-09-18 이성호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승강구동장치
KR100859133B1 (ko) * 2008-01-24 2008-09-18 이성호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899B1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60B1 (ko) 워크의 측변 가공장치
CN108650793B (zh) 电路板硬板安装孔加工装置
US6231279B1 (en) Drilling machine with at least two machining heads for machining printed circuit boards
KR100512899B1 (ko)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CN112638040B (zh) 一种pcb电路板的压合钻孔机构
CN106238773B (zh) 一种pcb板免装夹连续钻孔设备
KR200334663Y1 (ko)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CN208047016U (zh) 一种电路板钻孔加工设备
TWI413567B (zh) Printing substrate processing machine
CN214265791U (zh) 一种纸板倒角用夹具
CN214642076U (zh) 一种防止工件放错的装置
CN214026035U (zh) 一种灵活的pcb板打孔装置
KR100541351B1 (ko) 양면 마킹이 가능한 레이저 마킹기
KR20190018882A (ko) 라우팅 머신
CN113231663A (zh) 一种卧式多轴钻床用的工作台
JP2007206783A (ja) メモリーカード成型装置及びメモリーカードの成型方法
KR100859133B1 (ko)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
CN207869517U (zh) 全自动pcb基板处理系统
CN217985557U (zh) 一种pcb板多头雕刻机
CN214265792U (zh) 一种印制板纸板裁制用夹持装置
KR100859135B1 (ko)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CN213998549U (zh) 定位打孔工装
CN217967359U (zh) 一种pcb板加工带有限位结构的控深装置
CN218706297U (zh) 一种等分送料装置
CN217046719U (zh) 一种pcb板的打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