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135B1 -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 Google Patents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135B1
KR100859135B1 KR1020080007645A KR20080007645A KR100859135B1 KR 100859135 B1 KR100859135 B1 KR 100859135B1 KR 1020080007645 A KR1020080007645 A KR 1020080007645A KR 20080007645 A KR20080007645 A KR 20080007645A KR 100859135 B1 KR100859135 B1 KR 100859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blad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haft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08000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의 상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클램프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을 면취가공하는 다수의 평날들; 상기 평날들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클램프의 상승시 상기 모서리에 평날의 연마면이 선접촉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기판클램프의 승강시 상기 평날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을 면취가공하는 평날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승강되면 평날의 수평회전운동, 평날의 직선왕복운동이 별도의 동력없이 이루어지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모서리들이 그 가공오차에 의해 서로 평행하지 않아도 일정하게 면취가공되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의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평날, 평날어셈블리, 압착패드, 평날축하우징, 압력조절볼트

Description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Plane blade device for automatic chamfering equipment of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승강되면 평날의 수평회전운동, 평날의 직선왕복운동이 별도의 동력없이 이루어지고, 모서리의 면취 상태가 양호하며, 모서리들의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또는 그 주변기구 및 각종 전자제품에 폭넓게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은 페이퍼-페놀(Paper-phenol)수지 또는 글래스-에폭시(Glass-epoxy)수지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동박판을 적층시키고, 회로 패턴(pattern) 인쇄 및 식각 등의 기술에 의해 배선을 위한 동박판막으로 도형을 완성시킨 것이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의 원재료판(COPPER CLAD LAMINATE)은 사각판으로 1차 절단하고, 이 절단된 원재료판의 절단면을 면취기에서 면가공한 후 관통공(Through hole)형성, 중압 수세 및 산처리, 에칭, 무전해 도금처리 등의 여러 공정을 거쳐 인쇄회로기판으로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은 집적회로(IC), 다이오드, 콘덴서 및 저항 등이 납땜 으로 부착되어 마더보드에 형성된 긴 리셉터클(receptacle)이나 슬롯에 장착된다.
그런데 인쇄회로기판이 슬롯에 장착될 때 인쇄회로기판의 엣지(edge)가 각진 형상이므로 장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엣지(edge)의 출력단자가 슬롯의 입력단자와 맞닿으면서 쇼트가 발생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를 사포 등으로 연마하여 모따기를 하였다. 하지만 일일이 사포를 들고 수작업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었으며, 모서리 부분의 면취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장치(등록특허 제10-512899호)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장치는, 크게 베이스부, 승강부, 절삭부,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승강부에는 절삭공구를 승강시키기 위해 유압구동장치 및 이에 의해 작동되는 제1에어실린더 및 제2에어실린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절삭부에는 절삭공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핀들 및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장치는 베이스부의 전후왕복이송운동, 승강부의 승강운동, 절삭부의 회전운동을 위해 세 부분의 구동수단들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고가의 구동수단들이 각각 구비됨에 따라 제품의 전체 단가가 크게 상승되었으며, 제품의 전체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장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의 면취량 및 면취상태가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장치는, 다수의 절삭공구들이 설치되어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여러 모서리들을 단번에 모따기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절삭공구들은 절삭부에 일률적으로 장착된 후 일률적인 승강 및 회전에 의해 절삭가공이 이루어지므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을 일정한 양으로 모따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여러 줄의 모서리들은 육안으로 볼 때 서로 평행하게 가공된 것처럼 보이지만 가공 오차에 의해 실제로 서로 평행하지 않게 가공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동일하게 고정,배치되고 동일한 절삭깊이를 갖는 절삭공구들이 평행을 이루지 않는 여러 줄의 모서리들을 동시에 가공하게 되면 모서리들 전체가 일정한 양으로 모따기 가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승강되면 평날의 수평회전운동, 평날의 직선왕복운동이 별도의 동력없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모서리들이 그 가공오차에 의해 서로 평행하지 않아도 일정하게 면취가공되도록 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의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는, 베이스의 상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클램프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을 면취가공하는 다수의 평날들; 상기 평날들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클램프의 상승시 상기 모서리에 평날의 연마면이 선접촉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기판클램프의 승강시 상기 평날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을 면취가공하는 평날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평날어셈블리는, 베이스의 평날어셈블리축의 양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블럭들과, 일단이 상기 회동블럭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동되는 수평가이드축과, 두 수평가이드축의 네 부분에 설치되어서 이와 함께 회동되고 상기 기판클램프의 승강시 상기 수평가이드축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축가이드들과, 네 부분이 상기 축가이드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축과 함께 회동되고 상기 수평가이드축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평날블럭과, 상기 평날블럭에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평날이 설치되며 상기 기판클램프의 상승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에 상기 평날의 연마면이 선접촉되도록 상기 평날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기판클램프의 승강시 상기 평날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평날작동안내수단과, 상기 평날블럭에 설치되고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평날이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평날가압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축가이드에는, 상기 수평가이드축 및 축가이드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여서 상기 축가이드가 상기 수평가이드축을 따라 이송될 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수평이송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수평이송력조절수단은, 내측면에 상기 수평가이드축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가이드에 결합되는 패드홀더와, 상기 패드홀더의 축홈 및 이에 대향되는 수평가이드축의 둘레에 삽입되어서 상기 축가이드의 이송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압착패드와, 상기 패드홀더 및 축가이드에 체결되는 홀더고정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평날블럭은, 양측에 다수의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들이 결합되도록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상부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간격유지블럭과, 상기 간격유지블럭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다수의 평날가압조절수단들이 설치되도록 제1설치부 및 제2설치부가 형성된 설치블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은, 상기 평날블럭에 고정되는 원통형 평날축하우징과, 상기 평날축하우징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거나 회전되는 평날축과, 상기 평날축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 또는 회전되며 하단에 평날이 설치되는 평날홀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평날축의 하단에는 상기 평날축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하부스토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평날축의 상단에는 평날축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상부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평날가압조절수단은,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평 날블럭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압력조절볼트와, 상단이 상기 압력조절볼트의 공간 내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고 하단이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의 상단에 지지되는 가압핀과, 상기 압력조절볼트의 공간 내에 구비되어서 상기 가압핀을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기판클램프가 상승되면서 이에 장착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상승되면 평날작동안내수단에 의해 평날이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승강되면 평날이 직선왕복운동하면서 그 모서리를 면취가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승강운동에 의해 평날의 수평회전운동, 평날의 직선왕복운동이 별도의 동력없이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구동장치가 최소한으로 설치됨에 따라 제품의 전체 단가가 크게 절감되며, 제품의 전체 크기가 감소되어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평날과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가 서로 평행하지 않더라도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상승되면 그 모서리가 평날의 연마면에 가압되면서 평날축을 평날축하우징 내에서 회전시키므로 평날에 대응되는 모서리 전체가 그 연마면에 선접촉된다. 따라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에 가공된 모서리들이 그 가공 오차 때문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되지 않더라도 평날들이 모서리들에 접촉되면서 각각의 평날들이 대응 모서리들과 평행하도록 회전되므로 다수의 모서리들이 균일하게 면취가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가 평날을 밀고 올라갈 때에 수평 이송력조절수단의 압착패드 때문에 축가이드 및 수평가이드축에는 부하가 걸리게 되고, 평날이 이들 사이에 걸리는 부하 이상의 힘으로 밀려야만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면취가공되며, 모서리의 면취량은 축가이드 및 수평가이드축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수평이송력조절수단 내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압착패드를 설치하면 이들 사이의 부하가 그만큼 감소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를 조금씩 정교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고, 수평이송력조절수단 내에 비교적 두꺼운 압착패드를 설치하면 이들 사이의 부하가 그만큼 증가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를 다량씩 신속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다.
평날축의 하단에는 평날축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하부스토퍼가 설치되어 있고, 평날축의 상단에는 평날축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상부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평날에 과도한 상승압이 작용하여서 적정거리 이상 상승되면 하부스토퍼가 평날축하우징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평날축의 상승을 제한하므로 평날가압조절수단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며, 상부스토퍼가 평날축하우징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평날축의 하강을 제한하므로 평날의 과도한 하강 방지에 따른 평날 및 인쇄회로기판의 손상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평날어셈블리에는 평날을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평날가압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평날가압조절수단의 압력조절볼트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평날의 가압력이 증가되면서 이와 비례하게 모서리의 면취량이 증가되고, 압력조절볼트를 그 반대측으로 회전시키면 평날의 가압력이 감소되면서 모서리의 면취량이 그만큼 감 소된다. 그러므로 필요에 맞게 모서리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기판클램프의 기판덮개 및 평날어셈블리가 오픈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평날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평날어셈블리의 축가이드 및 이에 설치되는 수평이송력조절수단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6은 평날어셈블리의 요부를 발췌한 개략적 부분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평날어셈블리의 평날들에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이 대향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이다. 도 9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상승에 따라 평날어셈블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평날의 연마면에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이 연마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승강됨에 따라 평날이 수평왕복이송되면서 모서리가 면취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들이며, 도 13 및 도 14는 평날의 단부와 모서리가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부분 사시도 및 그 평면도이다. 도 15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상승되어서 그 모서리가 평날의 연마면에 접촉된 후 평날작동안내수단에 의해 평날이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는, 슬롯(slot)에 삽입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 부분 즉, 엣지 콘넥터(edge connector) 부분을 면취(chamfer) 가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는, 베이스(10)에 설치된 기판클램프(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베이스(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지지다리(11)가 설치되어 있고, 후방 양측에는 한쌍의 측면브라켓(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측면브라켓(12)들의 상부에는 후술할 평날어셈블리(200)가 설치되어서 이를 따라 회전되도록 평날어셈블리축(13)이 설치되어 있고, 이 평날어셈블리축(13) 후방의 측면브라켓(12)들에는 본 발명의 평날장치가 설치된 자동모따기장치를 파지하여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14)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클램프(100)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안착되며 안착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을 개폐한다.
이러한 기판클램프(10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동수단에 설치되어서 이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테이블(101)이 설치된다. 이 승강테이블(101) 상부에는 이와 함께 승강되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안착되는 기판포켓(102)이 설치된다. 기판포켓(102)의 일측에는 기판덮개(103)가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이 기판 덮개(103)는 인쇄회로기판(1)의 상부를 개폐하며 인쇄회로기판(1)의 상부에 닫힐 시 그 모서리(2)들이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모서리개방구멍(104)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구동수단은, 승강테이블(101)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이러한 승강구동수단은 승강테이블(101)에 설치되어서 이를 포함한 기판클램프(100)를 승강시키도록 유압장치에 연결된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구동모터 및 승강테이블(101)에 연결되어서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서 승강테이블(101)을 승강시키기 위한 체인, 벨트, 기어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평날어셈블리(200)는, 도 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클램프(10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베이스(10)에 설치되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를 면취가공하도록 평날(230)이 설치된다. 그리고 기판클램프(100)의 상승시 모서리(2)에 평날(230)의 연마면이 선접촉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기판클램프(100)의 승강시 평날(230)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들을 면취가공한다.
이러한 평날어셈블리(200)는, 회동블럭(201), 수평가이드축(204), 축가이드(205)들, 평날블럭(206), 평날작동안내수단(240), 평날가압조절수단(250)으로 이루어진다.
회동블럭(201)은, 베이스(10)의 평날어셈블리축(13)의 양측에 회동되도록 설 치되도록 한쌍이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블럭(201)들은, 일단에 평날어셈블리축(13)에 결합되어서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제1구멍(202)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 수평가이드축(204)에 결합되는 제2구멍(203)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가이드축(204)들은, 일단이 회동블럭(201)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동된다.
축가이드(205)들은, 두 수평가이드축(204)의 네 부분에 설치되어서 이와 함께 회동되고 기판클램프(100)의 승강시 수평가이드축(204)을 따라 왕복이송된다. 이러한 네 개의 축가이드(205)들 중 회동블럭(201) 측 두 개의 축가이드(205)들에는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이 설치된다.
이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은, 수평가이드축(204) 및 축가이드(205)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여서 축가이드(205)가 수평가이드축(204)을 따라 이송될 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은, 내측면에 수평가이드축(204)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축홈(222)이 형성되고 축가이드(205)에 결합되는 패드홀더(221)와, 패드홀더(221)의 축홈(222) 및 이에 대향되는 수평가이드축(204)의 둘레에 삽입되어서 축가이드(205)의 이송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압착패드(223)와, 패드홀더(221) 및 축가이드(205)에 체결되는 홀더고정볼트(224)로 이루어진다.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 중 압착패드(223)는,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가 평날(230)을 밀고 올라갈 때에 축가이드(205) 및 수평가이드축(204)에 부하가 걸리도록 한다. 따라서 평날(230)이 이들 사이에 걸리는 부하 이상의 힘으로 밀려야만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면취가공되며, 모서리(2)의 면취량은 축가이드(205) 및 수평가이드축(204)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 내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압착패드(223)를 설치하면 이들 사이의 부하가 그만큼 감소하므로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를 조금씩 정교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다.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 내에 비교적 두꺼운 압착패드(223)를 설치하면 이들 사이의 부하가 그만큼 증가하므로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를 다량씩 신속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다.
평날블럭(206)은, 네 부분이 축가이드(205)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수평가이드축(204)과 함께 회동되고 수평가이드축(204)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평날블럭(206)은, 양측에 다수의 평날작동안내수단(240)들의 평날축하우징(241)이 결합되도록 관통구멍(208)들이 형성된 고정블럭(207)과, 고정블럭(207)의 상부 중앙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간격유지블럭(209)과, 간격유지블럭(209)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다수의 평날가압조절수단(250)들이 설치되도록 제1설치부(211) 및 제2설치부(212)가 형성된 설치블럭(210)으로 이루어진다.
평날작동안내수단(240)은, 평날블럭(206)에 설치되고 하단에 평날(230)이 설치되며 기판클램프(100)의 상승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에 평날(230)의 연마면이 선접촉되도록 평날(2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기판클램프(100)의 승강시 평날(230)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평날(230)은, 평날홀더(243)에 평날고정볼트(244)로 고정되는 결합 부(231)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에 접촉되어서 이를 면취가공하는 연마면이 형성된 연마부(232)로 이루어진다. 평날(230)은 수직선에 대해 40°∼50°의 경사각도를 갖는다.
이러한 평날작동안내수단(240)은, 평날블럭(206)에 고정되는 원통형 평날축하우징(241)과, 평날축하우징(241)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거나 회전되는 평날축(242)과, 평날축(242)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승강 또는 회전되며 하단에 평날(230)이 설치되는 평날홀더(24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모따기장치는 이 평날작동안내수단(240)에 의해 중요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승강구동수단에 의해 기판클램프(100)가 상승되면서 이에 장착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되면, 이에 따라 평날작동안내수단(240)에 의해 평날(230)이 모서리(2)와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승강되면 평날(230)이 직선왕복운동하면서 그 모서리(2)를 면취가공하게 된다.
따라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승강운동에 의해 평날(230)의 수평회전운동, 평날(230)의 직선왕복운동이 별도의 동력없이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구동장치가 최소한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전체 단가가 크게 절감되며, 제품의 전체 크기가 감소되어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평날(230)과 모서리(2)가 서로 평행하지 않더라도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되면 그 모서리(2)가 평날(230)의 연마면에 가압되면서 평날축(242)을 평날축하우징(241) 내에서 회전시키므로 평날(230)에 대응되는 모서리(2) 전체가 그 연마면에 선접촉(L)된다.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상승에 따라 평날(230)이 자동 회전되는 과정을 도 13 내지 도 1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날어셈블리(200)에 설치된 다수의 평날(230)들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들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날(230) 하단의 모서리의 방향과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의 방향은 대개 평행을 이룬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되면 그 모서리(2)들이 평날(230)의 연마면에 선접촉(L)된다. 그런데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들이 그 가공 오차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가공되지 못한 경우,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날(230) 하단의 모서리와도 서로 평행을 이루지 못한다.
이와 같이 평날(230)의 하단 모서리와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되면 먼저 평날(230)의 일부가 모서리(2)의 대응 단부에 점접촉(P)된다. 여기서 평날(230)이 설치된 평날축(242)은 평날축하우징(24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평날축(242)은 후술할 평날가압조절수단(250)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하여서 그 모서리(2)의 일부가 평날(230)의 일부에 점접촉(P)된 후 계속 상승되면, 평날(230) 및 평날축(242)은 상하 방향에서 동시에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즉, 하측의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가압되고 상측의 평날가압조절수단(25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평날축(242)이 평날축하우징(241) 내에서 회전되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날(230)의 연마면과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가 서로 선접촉(L)된다.
따라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에 가공된 모서리(2)들이 그 가공 오차 때문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되지 않더라도 평날(230)들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들에 접촉되면서 평행하게 회전되므로 다수의 모서리(2)들이 균일하게 면취가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평날어셈블리(200)는, 평날축(242)의 하단에 평날축(242)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하부스토퍼(245)가 설치되어 있고, 평날축(242)의 상단에 평날축(242)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상부스토퍼(246)가 스토퍼볼트(247)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평날(230)에 과도한 상승압이 작용하여서 적정거리 이상 상승되면 하부스토퍼(245)가 평날축하우징(241)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평날축(242)의 상승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평날가압조절수단(250)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또한 평날가압조절수단(250)에 의해 평날축(242)이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도 상부스토퍼(246)가 평날축하우징(241)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평날축(242)의 하강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평날(230)이 과도하게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평날(230) 및 인쇄회로기판(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은, 평날블럭(206)에 설치되고 평날작동안내수단(240)에 연결되어서 평날(230)이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은, 설치블럭(210)의 제1설치부(211) 및 제2설 치부(212)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252)이 형성된 압력조절볼트(251)와, 상단이 압력조절볼트(251)의 공간(252) 내에 삽입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고 하단이 평날고정볼트(244)의 상단에 지지되는 가압핀(253)과, 압력조절볼트(251)의 공간(252) 내에 구비되어서 가압핀(253)을 평날축(242)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54)과, 압력조절볼트(251)의 둘레에 결합되고 제1설치부(211) 및 제2설치부(212)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압력조절볼트(251)를 지지하는 지지부(25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은, 압력조절볼트(251)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압력조절볼트(251)가 하강되면서 그 내부의 스프링(254)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가압핀(253)이 스토퍼볼트(247)를 더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평날(230)의 가압력이 증가되면서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와 평날(230)의 연마면 사이의 마찰력이 그만큼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증가된 마찰력 만큼 모서리(2)의 면취량이 증가된다. 압력조절볼트(251)를 그 반대측으로 회전시키면 압력조절볼트(251)가 상승되면서 그 내부의 스프링(254)이 이완되고, 이에 따라 가압핀(253)이 스토퍼볼트(247)를 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평날(230)의 가압력이 감소되면서 모서리(2)의 면취량이 그만큼 감소된다. 그러므로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의 압력조절볼트(251)를 회전시켜서 필요에 맞게 모서리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날어셈블리(200) 및 기판클램프(100)의 기판덮개(103)를 오픈시킨다. 그리고 기판포켓(102)의 상부에 가공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을 안착시킨다. 인쇄회로기판(1)이 안착되면 기판덮개(103)를 그 위에 덮는다. 기판덮개(103)가 덮히면 토글클램프(toggle clamp)인 덮개홀더(105)의 레버(106)를 당겨서 그 누름부(107)가 덮개홀더(105)의 양측을 눌러 지지되도록 한다.
기판클램프(100)에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장착되면 평날어셈블리(200)를 회동시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클램프(100) 상측으로 닫는다. 이와 같이 하면 로커(261)의 단부가 착탈홈(262)에 체결되면서 평날어셈블리(200)가 기판클램프(100)의 상부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평날어셈블리(200)가 기판클램프(100) 상부에 닫히게 되면 평날(230)이 인쇄회로기판(1) 측으로 눌리게 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에 점접촉(P)된 평날(230)들은 평날가압조절수단(250)에 의해 가압되면서 도 15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에 선접촉(L)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작업 준비가 완료되면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승강구동수단(미도시)을 작동시켜서 기판클램프(100)의 승강테이블(101)을 승강시킨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에 평날(230)의 하단이 평행하게 대향된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인쇄회로기판(1)이 화살표(A) 방향으로 상승되면 평날(230) 및 평날(230)이 설치된 평날어셈블리(200)는 수평가이드 축(204)을 따라 화살표(B)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평날(230)은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의 스프링(254)에 의해 하측으로 눌린 상태이고,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의 압착패드(223)는 수평가이드축(204)에 압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이 화살표(A) 방향으로 상승되고 평날(230)이 화살표(B) 방향으로 이송될 때에 이들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가 면취가공될 정도의 비교적 큰 마찰력이 발생된다.
기판클램프(100)가 상승되면 도 10과 같이 인쇄회로기판(1)이 최고점에 도달하게 되며, 기판클램프(100)가 하강되면 인쇄회로기판(1)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화살표(C) 방향으로 하강되고 평날(230)은 화살표(D) 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되면서 그 모서리(2)가 면취가공될 경우, 모서리(2)의 상측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깍이면서 면취가공되므로 슬롯에 접촉되는 모서리(2)의 상단 부분에는 버(burr)가 발생되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1)이 최고점에 도달한 후 도 11과 같이 하강할 경우, 평날(230)의 연마면과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는 곧바로 이격된다. 인쇄회로기판(1)이 계속 하강하면 연마된 모서리(2)의 반대측 부분이 평날(230)을 누르면서 이를 화살표(D)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이 하강되는 순간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와 평날(230)의 연마면이 이격된 후 접촉되지 않으므로 면취가공된 모서리(2)에 버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는 인쇄회로기판(1)이 승강되면서 그 모서리(2)가 면취가공되어도 모서리(2)의 상단부분에 버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일측 상단 모서리(2)의 면취가공을 마치면, 일측 하단 모서리의 면취가공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해 장착된 평날어셈블리(200) 및 기판클램프(100)의 기판덮개(103)를 열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을 기판포켓(102)으로부터 꺼내며, 이를 뒤집은 후 다시 기판포켓(102)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순서대로 다시 장착한 후 승강구동수단을 동작시켜서 면취가공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기판클램프(100)가 상승되면서 이에 장착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되면 평날작동안내수단(240)에 의해 평날(230)이 모서리(2)와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승강되면 평날(230)이 직선왕복운동하면서 그 모서리(2)를 면취가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승강운동에 의해 평날(230)의 수평회전운동, 평날(230)의 직선왕복운동이 별도의 동력없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고가의 구동장치가 최소한으로 설치됨에 따라 제품의 전체 단가가 크게 절감되며, 제품의 전체 크기가 감소되어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
둘째, 평날(230)과 모서리(2)가 서로 평행하지 않더라도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상승되면 그 모서리(2)가 평날(230)의 연마면에 가압되면서 평날축(242)을 평날축하우징(241) 내에서 회전시키므로 평날(230)에 대응되는 모서리(2) 전체가 그 연마면에 선접촉(L)된다.
따라서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에 가공된 모서리(2)들이 그 가공 오차 때문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되지 않더라도 평날(230)들이 모서리(2)들에 접촉되면서 각각의 평날(230)들이 대응 모서리(2)들과 평행하도록 회전되므로 다수의 모서리(2)들이 균일하게 면취가공된다.
셋째,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가 평날(230)을 밀고 올라갈 때에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의 압착패드(223) 때문에 축가이드(205) 및 수평가이드축(204)에는 부하가 걸리게 되고, 평날(230)이 이들 사이에 걸리는 부하 이상의 힘으로 밀려야만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면취가공되며, 모서리(2)의 면취량은 축가이드(205) 및 수평가이드축(204)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 내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압착패드(223)를 설치하면 이들 사이의 부하가 그만큼 감소하므로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를 조금씩 정교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고,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 내에 비교적 두꺼운 압착패드(223)를 설치하면 이들 사이의 부하가 그만큼 증가하므로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를 다량씩 신속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다.
넷째, 평날축(242)의 하단에는 평날축(242)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하부스토퍼(245)가 설치되어 있고, 평날축(242)의 상단에는 평날축(242)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상부스토퍼(24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평날(230)에 과도한 상승압이 작용하여서 적정거리 이상 상승되면 하부스토퍼(245)가 평날축하우징(241)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평날축(242)의 상승을 제한하므로 평날가압조절수단(250)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며, 상부스토퍼(246)가 평날축하우징(241)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평날축(242)의 하강을 제한하므로 평날(230)의 과도한 하강 방지에 따른 평날(230) 및 인쇄회로기판(1)의 손상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
다섯째, 평날어셈블리(200)에는 평날(230)을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의 압력조절볼트(251)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평날(230)의 가압력이 증가되면서 이와 비례하게 모서리(2)의 면취량이 증가되고, 압력조절볼트(251)를 그 반대측으로 회전시키면 평날(230)의 가압력이 감소되면서 모서리(2)의 면취량이 그만큼 감소된다. 그러므로 필요에 맞게 모서리(2) 면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기판클램프의 기판덮개 및 평날어셈블리가 오픈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평날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평날어셈블리의 축가이드 및 이에 설치되는 수평이송력조절수단을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평날어셈블리의 요부를 발췌한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평날어셈블리의 평날들에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이 대향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
도 9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상승에 따라 평날어셈블리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평날의 연마면에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들이 연마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승강됨에 따라 평날이 수평왕복이송되면서 모서리가 면취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들
도 13 및 도 14는 평날의 단부와 모서리가 서로 평행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부분 사시도 및 그 평면도
도 15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이 상승되어서 그 모서리가 평날의 연마면에 접 촉된 후 평날작동안내수단에 의해 평날이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배열 인쇄회로기판 2 : 모서리
10 : 베이스 11 : 지지다리
12 : 측면브라켓 13 : 평날어셈블리축
14 : 손잡이 100 : 기판클램프
101 : 승강테이블 102 : 기판포켓
103 : 기판덮개 104 : 모서리개방구멍
105 : 덮개홀더 106 : 레버
107 : 누름부 200 : 평날어셈블리
201 : 회동블럭 202 : 제1구멍
203 : 제2구멍 204 : 수평가이드축
205 : 축가이드 206 : 평날블럭
207 : 고정블럭 208 : 관통구멍
209 : 간격유지블럭 210 : 설치블럭
211 : 제1설치부 212 : 제2설치부
220 : 수평이송력조절수단 221 : 패드홀더
222 : 축홈 223 : 압착패드
224 : 홀더고정볼트 230 : 평날
231 : 결합부 232 : 연마부
240 : 평날작동안내수단 241 : 평날축하우징
242 : 평날축 243 : 평날홀더
244 : 평날고정볼트 245 : 하부스토퍼
246 : 상부스토퍼 247 : 스토퍼볼트
250 : 평날가압조절수단 251 : 압력조절볼트
252 : 공간 253 : 가압핀
254 : 스프링 255 : 지지부
261 : 로커 262 : 착탈홈
P : 점접촉 L : 선접촉

Claims (8)

  1. 베이스(10)의 상부에 승강되도록 설치되고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이 안착되는 기판클램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들을 면취가공하는 다수의 평날(230)들;
    상기 평날(230)들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클램프(100)가 상승되면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에 평날(230)들의 연마면이 선접촉되며, 상기 기판클램프(100)가 더 상승되면 상기 평날(230)들이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면서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들이 면취가공되고, 상기 기판클램프(100)가 최고점에 도달된 후 하강되면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들과 평날(230)의 연마면이 이격되며, 상기 기판클램프(100)가 더 하강되면 연마된 모서리(2)의 반대측 부분이 평날(230)의 연마면 반대측을 누르면서 평날(230)을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시켜서 복원되도록 하는 평날어셈블리(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날어셈블리(200)는,
    베이스(10)의 평날어셈블리축(13)의 양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블럭(201)들과,
    일단이 상기 회동블럭(201)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회동블럭(210)과 함께 회동되는 수평가이드축(204)과,
    두 수평가이드축(204)의 네 부분에 설치되어서 수평가이드축(204)과 함께 회동되고 상기 기판클램프(100)의 승강시 상기 수평가이드축(204)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축가이드(205)들과,
    네 부분이 상기 축가이드(205)들에 각각 결합되어서 상기 수평가이드축(204)과 함께 회동되고 상기 수평가이드축(204)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평날블럭(206)과,
    상기 평날블럭(206)이 수평가이드축(20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할 때에 평날블럭(206)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평날블럭(206)에 설치되고, 하단에 상기 평날(23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에 평날(230)이 평행하게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판클램프(100)가 상승되어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의 모서리(2)가 평날(230)들의 연마면을 밀기 시작하면 상기 모서리(2)에 평날(230)들의 연마면이 선접촉되도록 상기 평날(230)의 수평 회동을 안내하는 평날작동안내수단(240)과,
    상기 평날블럭(206)에 설치되고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240)에 연결되어서 상기 평날(230)이 상기 다배열 인쇄회로기판(1)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평날가압조절수단(2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가이드(205)에는,
    상기 수평가이드축(204) 및 축가이드(205)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여서 상기 축가이드(205)가 상기 수평가이드축(204)을 따라 이송될 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력조절수단(220)은,
    내측면에 상기 수평가이드축(204)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축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축가이드(205)에 결합되는 패드홀더(221)와,
    상기 패드홀더(221)의 축홈(222) 및 축홈(222)에 대향되는 수평가이드축(204)의 둘레에 삽입되어서 상기 축가이드(205)의 이송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압착패드(223)와,
    상기 패드홀더(221) 및 축가이드(205)에 체결되는 홀더고정볼트(2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날블럭(206)은,
    양측에 다수의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240)들이 결합되도록 관통구멍(208)들이 형성된 고정블럭(207)과,
    상기 고정블럭(207)의 상부 중앙에 고정블럭(207)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간격유지블럭(209)과,
    상기 간격유지블럭(209)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 다수의 평날가압조절수단(250)들이 설치되도록 제1설치부(211) 및 제2설치부(212)가 형성된 설치블럭(2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240)은,
    상기 평날블럭(206)에 고정되는 원통형 평날축하우징(241)과,
    상기 평날축하우징(24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평날축(242)과,
    하단에 평날(230)이 설치되고 상기 평날축(242)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평날축(242)에 설치되는 평날홀더(2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날축(242)의 하단에는 상기 평날축(242)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하부스토퍼(24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평날축(242)의 상단에는 평날축(242)의 하강을 제한하도록 상부스토퍼(24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날가압조절수단(250)은,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24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평날블럭(206)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공간(252)이 형성된 압력조절볼트(251)와,
    상단이 상기 압력조절볼트(251)의 공간(252) 내에 삽입되어서 공간(252)을 따라 승강되고 하단이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240)의 상단에 지지되는 가압핀(253)과,
    상기 압력조절볼트(251)의 공간(252) 내에 구비되어서 상기 가압핀(253)을 상기 평날작동안내수단(240)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KR1020080007645A 2008-01-24 2008-01-24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KR100859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45A KR100859135B1 (ko) 2008-01-24 2008-01-24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45A KR100859135B1 (ko) 2008-01-24 2008-01-24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135B1 true KR100859135B1 (ko) 2008-09-18

Family

ID=4002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645A KR100859135B1 (ko) 2008-01-24 2008-01-24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2747A (zh) * 2023-10-17 2023-11-17 国网甘肃省电力公司张掖供电公司 一种供电设备组件用线路板成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5813A (ja) * 1983-10-14 1985-05-15 Chikuma Giken Kogyo Kk プリント基板の周端縁部面取り機
JPH03196992A (ja) * 1989-12-26 1991-08-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切断用スリッター
JPH09103992A (ja) * 1995-10-04 1997-04-22 Sekisui Chem Co Ltd スリッター装置
KR20050021217A (ko) * 2003-08-27 2005-03-07 아이나노텍(주)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5813A (ja) * 1983-10-14 1985-05-15 Chikuma Giken Kogyo Kk プリント基板の周端縁部面取り機
JPH03196992A (ja) * 1989-12-26 1991-08-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切断用スリッター
JPH09103992A (ja) * 1995-10-04 1997-04-22 Sekisui Chem Co Ltd スリッター装置
KR20050021217A (ko) * 2003-08-27 2005-03-07 아이나노텍(주)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2747A (zh) * 2023-10-17 2023-11-17 国网甘肃省电力公司张掖供电公司 一种供电设备组件用线路板成型装置
CN117082747B (zh) * 2023-10-17 2023-12-12 国网甘肃省电力公司张掖供电公司 一种供电设备组件用线路板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65B1 (ko) 광학적 검사 장치의 인쇄회로기판 자동 공급 취출장치
CN109049948B (zh) 一种锡膏印刷装置及印刷方法
KR20140057585A (ko) 펀칭 로봇
CN112638040B (zh) 一种pcb电路板的压合钻孔机构
JP5305507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KR100859135B1 (ko)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평날장치
KR100859133B1 (ko)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
JP2000323898A (ja) 表面実装機の印刷回路基板平面度の補正装置
KR101778708B1 (ko) 인쇄회로기판 단자부 면취장치
KR200463702Y1 (ko) 스크린 프린터의 스퀴지장치
KR100859134B1 (ko) 다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자동모따기장치용 승강구동장치
CN201940675U (zh) 一种普通铣床精确控深加工装置
CN113543499B (zh) 一种印刷电路板定位组件
KR100512899B1 (ko) 인쇄회로기판의 모따기 장치
CN212607837U (zh) 一种pcb电路板的翻板送板一体机
CN112312664B (zh) 线路板及其制造方法
JP2000158242A (ja) 部品供給圧入装置
CN212445573U (zh) Pcb打孔设备
CN111148344A (zh) 布线基板的制造方法
CN219068540U (zh) 一种用于板料定位压合的治具载板
CN214026035U (zh) 一种灵活的pcb板打孔装置
CN215301070U (zh) Smt贴片机夹持装置
CN213647662U (zh) 一种用于印制电路板的切割加工装置
CN117156684B (zh) 一种ic芯片封装印制电路板制造工艺
CN218664184U (zh) 一种线路板的移载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