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366A - 토크 어댑터 - Google Patents

토크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366A
KR20050020366A KR1020030058261A KR20030058261A KR20050020366A KR 20050020366 A KR20050020366 A KR 20050020366A KR 1020030058261 A KR1020030058261 A KR 1020030058261A KR 20030058261 A KR20030058261 A KR 20030058261A KR 20050020366 A KR20050020366 A KR 20050020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torque
present
wrench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구
임재춘
이강영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0366A/ko
Publication of KR2005002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3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원통형 부품과 같이 부품의 착탈을 위해서는 토크가 요구되지만 부품 형상의 특이성 때문에 스패너와 같은 일반 공구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하여, 회전몸체 및 회전몸체의 일측에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몸체의 타측에는 연결부가 구비된 토크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토크 어댑터의 고정돌기는 부품과 맞물려 있고 연결부에는 스패너, 렌치 등의 일반 공구를 장착하여, 일반 공구로부터의 토크를 그대로 부품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부품에 충격이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지속적이며 안정된 토크를 전달하고 부품에 인가되는 토크를 제어할 수도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토크 어댑터 {Torque Adaptor}
본 발명은 토크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축형의 부품에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원통형 부품과 같이 부품의 착탈을 위해서는 토크가 요구되지만 부품 형상의 특이성 때문에 스패너 또는 렌치와 같은 일반 공구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하여, 회전몸체 및 회전몸체의 일측에 당해 부품의 형상에 맞추어진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몸체의 타측에는 범용 스패너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결부가 구비된 토크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기계부품 중 원통형 부품, 예컨대 항공기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으로서 액슬 너트, 피스톤 가이드, 실린더 캡, 피스톤 리테이닝 너트, 브리치 캡 등은 다른 부품과의 결합 부위가 대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축형의 다른 부품에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예가 많지만, 상기한 부품들의 직경이 일반적인 나사나 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며 그 형상 또한 스패너나 렌치와 같은 일반 공구를 적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도 1은 항공기 메인 랜딩 기어의 레버 암과 레버 암의 일측에 장착된 액슬 너트를 도시한 것이다.
원통형 부품인 액슬 너트(20)는 대체적으로 축형인 레버 암(3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데, 액슬 너트(20)의 헤드 형상이 스패너나 렌치를 적용하기에는 적절치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액슬 너트(20)를 레버 암(30)에 착탈할 때 액슬 너트(20)에 토크를 인가하기 위하여 액슬 너트(20)의 헤드 부분에 형성된 홈이나 요철에 핀, 드라이버 또는 쇠막대 등의 일측단을 삽입 밀착한 뒤, 타측단을 해머 등을 이용해 단속적으로 충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 효율을 떨어뜨림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부품에 충격 및 손상을 줄 가능성이 상존하고, 단속적인 충격 방식으로는 규정 토크를 지킬 수 없게 되므로 부품간 결합이 느슨해져서 다른 부품으로부터 탈락하거나, 필요 이상 강하게 조여져 부품의 나사산이 손상된 결과 1회용 부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번 장착·탈착한 뒤에는 재장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수한 형상의 부품에 대해 스패너 또는 렌치 등의 일반 공구를 이용하여 부품에 충격 및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안정되고 지속적인 토크를 전달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토크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몸체, 회전몸체의 일측에서 회전몸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 및 회전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어댑터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몸체(200)의 회전축 방향 일측에는 고정돌기(10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연결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몸체(200)는 고정돌기(100)와 연결부(300)를 상호 연결하며, 연결부(300)로부터 인가된 토크를 고정돌기(10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본 발명의 토크 어댑터가 원통형 부품에 적용되는 특성상, 대표적으로는 원반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몸체(200)가 대표적으로 원반 형상임을 고려하여 그 기하학적 중심을 지나며 원반면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회전축'이라고 한다.
고정돌기(100)는 회전몸체(200)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100)가 다시 기저부(110)와 말단부(120)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돌기(100)에서 회전몸체에 가까운 부분인 기저부(110)와 회전몸체에서 보다 먼 부분인 말단부(120)가 모두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나 말단부(120)가 기저부(110)보다 약간 작다. 이는 상술한 바 있는 도 1의 액슬 너트(20)의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형상에 맞추어진 것으로서, 기저부(110)는 없어도 액슬 너트 회전시킬 수 있지만, 기저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저부(110) 없이 말단부(120)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할 때 고정돌기(100)의 강도 면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도 1에서 본 바와 같이 원래 액슬 너트(20)에는 8개의 홈이 있지만, 고정돌기(100)가 반드시 8개일 필요는 없으며 최소 1개만 구비되어 있어도 토크를 인가하는 데에는 별다른 지장이 없다.
다만, 고정돌기가 한 개이거나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 뿐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토크 어댑터가 액슬 너트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을 뿐더러 한 두 개의 고정돌기만으로 강한 토크에 오랫동안 견뎌야 하므로 더욱 강한 재질로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반경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3개의 고정돌기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며, 대칭성 및 제작 용이성을 고려하여 도면에서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고정돌기(1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연결부(300)는 스패너 등의 범용 공구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몸체(200)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된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00) 내부의 중공을 사각 기둥 형태로 한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크 렌치의 헤드 말단이 사각 기둥인 점을 고려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고정돌기(100)가 돌출된 핀 형태이며, 연결부(300)는 상기 회전몸체(200)로부터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된 육각 기둥 형상이라는 점이다.
고정돌기(100)가 핀 형태인 것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부품, 예컨대 피스톤 가이드의 형상에 따른 것이다. 즉, 피스톤 가이드의 헤드 면에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된 핀 형태의 고정돌기(100)를 상기 원형 구멍에 삽입하여 본 발명의 토크 어댑터를 해당 부품에 고정하는 것이 더욱 적합하기 때문이다.
연결부(300)가 육각 기둥 형상인 것은 일반적인 스패너나 소켓 렌치를 용이하게 장착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만 언급하자면, 제 3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100)가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두 개의 기저부(110)와 각각의 기저부(110)에서 돌출 형성된 두 개의 말단부(120)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고정돌기(100)가 기저부(100) 및 말단부(120)를 포함한다는 점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 4 실시예의 경우는 제 3 실시예에 비해 고정돌기(100)의 기저부(110)가 더 크고 말단부(120) 형상이 돌출된 핀 형태라는 점이 다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고정돌기(100)의 형상이 제각기 다른 것은 적용될 부품의 형상이 역시 제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 상태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토크 어댑터의 연결부(300)에 일반 공구의 하나인 토크 렌치의 헤드 말단을 삽입하고 고정돌기(100)는 토크를 인가할 부품에 밀착한 뒤, 렌치를 조작하면 본 발명의 토크 어댑터를 통해 부품에 안정적인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만을 나타낸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에 스패너나 소켓 렌치를 장착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토크 어댑터의 고정돌기가 부품과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에 일반 공구를 장착하여 회전몸체를 회전시키면, 일반 공구로부터의 토크를 그대로 부품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부품에 충격이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지속적이며 안정된 토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도 증대된다.
도 1은 항공기 메인 랜딩 기어의 레버 암과 그 일측에 장착된 액슬 너트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이용한 작업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고정돌기
200 : 회전몸체
300 : 연결부

Claims (4)

  1. 회전축 방향 일측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부품을 회전시키기 위한 어댑터로서,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축 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부품의 요철에 삽입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축 방향 타측에 형성되어 스패너 또는 렌치 등의 일반 공구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몸체로부터 돌출된 육각 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몸체로부터 돌출된 기둥 형태로서 내부에 사각 기둥 형태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4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어댑터.
KR1020030058261A 2003-08-22 2003-08-22 토크 어댑터 KR20050020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261A KR20050020366A (ko) 2003-08-22 2003-08-22 토크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261A KR20050020366A (ko) 2003-08-22 2003-08-22 토크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366A true KR20050020366A (ko) 2005-03-04

Family

ID=3722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261A KR20050020366A (ko) 2003-08-22 2003-08-22 토크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03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93B1 (ko) * 2008-02-14 2010-05-2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그랜드 조임툴
KR200482285Y1 (ko) * 2015-07-06 2017-01-06 훌루테크 주식회사 레이디얼 피스톤형 유압기기용 예압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93B1 (ko) * 2008-02-14 2010-05-2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그랜드 조임툴
KR200482285Y1 (ko) * 2015-07-06 2017-01-06 훌루테크 주식회사 레이디얼 피스톤형 유압기기용 예압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8979B (zh) 非对称紧固件的凹槽和键
US6418821B1 (en) Working tool
US20060233622A1 (en) A bit hol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power tool
JP5911025B2 (ja) トルク伝達ドライバ
JP4662611B2 (ja) 穴あけ及び締結具取付け用工具
JPH11173315A (ja)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またはレンチとの組合せ
JP3136113U (ja) 工具用ソケット
JP4095911B2 (ja) 工具保持装置
US5941764A (en) Shaft-equipped grinder used in a mold-graving device
JP2002046037A (ja) 工作機械スピンドルのノーズに対する、工具、工作物またはゲージホルダの取外し式高精度且つ剛性連結
US5442980A (en) Nut drive adapter
KR20050020366A (ko) 토크 어댑터
TWI824635B (zh) 防空程保持套筒
CN213711218U (zh) 一种发动机曲轴飞轮盘车工具
CN220296979U (zh) 一种螺钉装拆工装及其螺钉批
KR0178689B1 (ko)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CN106903351B (zh) 用于孔锯的适配器及具有其的电动工具
KR20160002736U (ko) 렌치 연결대
CN217942669U (zh) 旋转工具的芯轴和附件
JP4187237B2 (ja) 動力工具
CN210616345U (zh) 一种三合一拧紧装置
CN215548261U (zh) 一种多规格扳手
CN210589088U (zh) 一种机床主轴用螺母的锁紧工具
CN216030617U (zh) 一种用于孔板流量计的组合式工具
AU2007203350B2 (en) Structure of a pow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