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131A - 자석을 이용한 액자 - Google Patents

자석을 이용한 액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131A
KR20050017131A KR1020030055043A KR20030055043A KR20050017131A KR 20050017131 A KR20050017131 A KR 20050017131A KR 1020030055043 A KR1020030055043 A KR 1020030055043A KR 20030055043 A KR20030055043 A KR 20030055043A KR 20050017131 A KR20050017131 A KR 2005001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gnet
frames
seat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람기획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람기획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람기획산업
Priority to KR102003005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131A/ko
Publication of KR2005001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의 프레임 구조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함과 동시에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접철이 용이하도록 구조적으로 개량하여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석을 이용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석을 이용한 액자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상부 사진틀 및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하부 사진틀을 포함하는 액자에 있어서,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각각에 자석을 안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상부 연결부와,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각각에 자석을 안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이 각각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액자{PICTURE FRAME BY USING MAGNET}
본 발명은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실내 장식용으로 전시하기 위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프레임 구조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함과 동시에 자석을 이용하여 접철이 용이하도록 구조적으로 개량하여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석을 이용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액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삽입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액자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뒷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편을 일일이 해제한 다음, 후면부의 받침판을 제거한 후에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끼우고 다시 뒷판을 안착하고 나서, 일일이 다수의 걸림편을 잠금으로써 장식물의 삽입 또는 교체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액자는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교체하는데, 벽이나 책상으로부터 액자를 탈거한 다음 뒤집어 일일이 다수의 걸림편을 해제하고 다시 뒷판을 조립한 후, 다수의 걸림편을 다시 결속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으로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액자의 프레임 구조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가이드 레일을 구비함과 동시에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접철이 용이하도록 구조적으로 개량하여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석을 이용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상부 사진틀 및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하부 사진틀을 포함하는 액자에 있어서,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각각에 자석을 안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상부 연결부와,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각각에 자석을 안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하부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이 각각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액자의 사시도 및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 상부 및 하부 연결구 등의 구성부품에 대한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를 사용한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20)를 사용한 액자(10)는 4개로 이루어진 가로 및 세로의 프레임 구조(30), 각각의 프레임 구조(30)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프레임구조(30)를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연결구(20) 및 투명 아크릴판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판(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연결구(20) 각각은 4개의 프레임구조(30)를 연결함은 물론 자석을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손쉽게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구(20)는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0)은 상부 프레임 본체(130), 상부 프레임 본체(130)의 상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 가이드 레일(110) 및 상부 프레임 본체(130)의 하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투명판(40)을 고정시키기 위한 투명판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상부 프레임(100)은 4개의 연결구(20)의 상부 연결부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상부 사진틀을 형성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00)은 하부 프레임 본체(230), 하부 프레임 본체(230)의 하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하부 가이드 레일(210), 하부 프레임 본체(230)의 상측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하부 가이드 레일(210)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레일 지지부(220) 및 하부 프레임 본체(230)를 마주하며 하부 가이드 레일 (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뒷판을 고정하기 위한 뒷판 고정부(2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하부 프레임(200)은 4개의 연결구(20)의 하부 연결부에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하부 사진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상부 프레임(100)에 연결되어 형성된 상부 가이드 레일(110)을 하부 프레임(200)에 연결되어 형성된 하부 가이드 레일(21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전술한 구조에 의하면, 누구나 쉽게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삽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 액자가 벽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장식물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된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 모양으로 도시하고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할 수 있다면 다양한 다른 형상을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다른 특징인 연결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연결구(20) 각각은 4개의 프레임구조(30)를 연결함은 물론 자석을 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손쉽게 상부 및 하부 프레임(100, 200)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구(20)는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20)의 상부 연결부(5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연결부(500)는 자석(521)을 안착하기 위한 상부 안착홈(522)을 구비하는 상부 안착대(520), 제 1 상부 고정홈(512)을 구비하는 제 1 상부 고정편(510) 및 제 2 상부 고정홈(522)을 구비하는 제 2 상부 고정편(5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연결부(500)에서는, 제 1 상부 고정편(510)이 가로 방향의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 레일(110)에 삽입되고 제 1 상부 고정편(510)에 형성된 제 1 상부 고정홈(512)을 관통하여 나사와 같은 체결부가 가로 방향의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 레일(11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조여져서 결속됨으로써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상부 고정편(530)이 세로 방향의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 레일(110)에 삽입되고 제 2 상부 고정편(530)에 형성된 제 2 상부 고정홈(532)을 관통하여 나사와 같은 체결부가 가로 방향의 상부 프레임(100)의 상부 가이드 레일(11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조여져서 결속됨으로써 고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방식으로 4개의 모든 상부 연결부(500)와 4개의 상부 프레임(100)을 결속하면 상부 사진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521)은 상부 사진틀의 4곳의 모서리 각각에 위치한 상부 안착대(520)의 상부 안착홈(522) 내에 고정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의 하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연결부(600)는 자석(621)을 안착하기 위한 하부 안착홈(622)을 구비하는 하부 안착대(620), 제 1 하부 고정홈(612)을 구비하는 제 1 하부 고정편(610) 및 제 2 하부 고정홈(622)을 구비하는 제 2 하부 고정편(6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연결부(600)에서는, 제 1 하부 고정편(610)이 가로 방향의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 가이드 레일(210)에 삽입되고 제 1 하부 고정편(610)에 형성된 제 1 하부 고정홈(612)을 관통하여 나사와 같은 체결부가 가로 방향의 하부 프레임(200)의 가이드 레일(210)에 밀착되도록 조여져서 결속됨으로써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제 2 하부 고정편(630)이 세로 방향의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 가이드 레일(210)에 삽입되고 제 2 하부 고정편(630)에 형성된 제 2 하부 고정홈(632)을 관통하여 나사와 같은 체결부가 가로 방향의 하부 프레임(200)의 하부 가이드 레일(210)에 밀착되도록 조여져서 결속됨으로써 고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방식으로 4개의 모든 하부 연결부(200)와 4개의 하부 프레임(200)을 결속하면 하부 사진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621)은 하부 사진틀의 4곳의 모서리 각각에 위치한 하부 안착대(620)의 하부 안착홈(622) 내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하부 안착대(620)의 하부 안착홈(622)내에 고정된 자석의 극은 대응되는 상부 안착대(520)의 상부 안착홈(522)내에 안착된 자석의 극과 반대되는 극을 갖도록 안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석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522, 622)의 모양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자석(521, 621)을 안착시킬 수 있다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안착대(520, 620) 내에 자석(521, 621)을 매몰시켜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구조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 사진틀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안착대 내에 자석을 안착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삽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 액자가 벽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손쉽게 장식물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연결구에 형성된 자석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대의 안착홈에 자석을 안착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가이드 레일 상에 자석을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을 형성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도광판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액자(700)는 4개로 이루어진 가로 및 세로의 프레임 구조(730), 각각의 프레임 구조(730)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프레임구조(730)를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연결구(720), 투명 아크릴판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판(740) 및 도광판(71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뒷판을 도광판(710)으로 형성함으로써, 실내 조명을 켜지 않은 어두운 상태에서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감상하기 위해서 도광판(710)에 전원을 인가하여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자(700) 내에 삽입되어 장식된 장식물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광판(710)이 다양한 색채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감상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밝은 실내 환경이어도 도광판이 다양한 색채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액자의 배경에 변화를 줌으로써 감상하는 이용자에게 다양한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본 명세서 내에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 및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가이드 레일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걸림편을 사용하는 종래의 액자에 비하여 장식물을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어서 수시로 실내의 장식을 변경하여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사진틀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안착대 내에 자석을 안착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삽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조명을 켜지 않은 어두운 상태에서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감상하기 위해서 도광판에 전원을 인가하여 빛을 발생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액자 내에 삽입되어 장식된 장식물을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이 다양한 색채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장식물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감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이용한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결합된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의 상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의 하부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구비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자 20 : 연결구
30 : 프레임 구조 40 : 투명판
100 : 상부 프레임 110 : 상부 가이드 레일
120 : 투명판 고정부 130 : 상부 프레임 본체
200 : 하부 프레임 210 : 하부 가이드 레일
220 : 하부 가이드 레일 지지부 230 : 하부 프레임 본체
240 : 뒷판 고정부 500 : 상부 연결부
510 : 제 1 상부 고정편 512 : 제 1 상부 고정홈
520 : 상부 안착대 522 : 상부 안착홈
530 : 제 2 상부 고정편 532 : 제 2 상부 고정홈
600 : 하부 연결부 610 : 제 1 하부 고정편
612 : 제 1 하부 고정홀 620 : 하부 안착대
622 : 하부 안착홈 630 : 제 2 하부 고정편
632 : 제 2 하부 고정홈

Claims (9)

  1.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상부 사진틀 및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하부 사진틀을 포함하는 액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각각에 자석을 안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상부 연결부와,
    상기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각각에 자석을 안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하부 연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이 각각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진틀과 상기 하부 사진틀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사진틀을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을 상기 하부 사진틀을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에 압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가
    상기 자석을 안착하기 위한 상부 안착홈을 구비하는 상부 안착대와,
    제 1 상부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1 상부 고정편과
    제 2 상부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2 상부 고정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부가
    상기 자석을 안착하기 위한 하부 안착홈을 구비하는 하부 안착대와,
    제 1 하부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1 하부 고정편과,
    제 2 하부 고정홈을 구비하는 제 2 하부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된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이 다양한 색채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8.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상부 사진틀 및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하부 사진틀을 포함하는 액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연결부와,
    상기 다수의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하부 연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이 각각 자석을 안착시킬 수 있는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진틀 및 하부 사진틀이 상기 상부 사진틀의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하부 사진틀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압착하여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액자.
KR1020030055043A 2003-08-08 2003-08-08 자석을 이용한 액자 KR20050017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43A KR20050017131A (ko) 2003-08-08 2003-08-08 자석을 이용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43A KR20050017131A (ko) 2003-08-08 2003-08-08 자석을 이용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131A true KR20050017131A (ko) 2005-02-22

Family

ID=3722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043A KR20050017131A (ko) 2003-08-08 2003-08-08 자석을 이용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71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68B1 (ko) * 2003-11-25 201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스퍼터의 기판 이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68B1 (ko) * 2003-11-25 201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찰을 줄일 수 있는 스퍼터의 기판 이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40195A1 (en) Flexible artwork display system
US5960573A (en) Wall hanging picture frame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KR20050017131A (ko) 자석을 이용한 액자
US6237270B1 (en) Method of assembling a picture frame
KR200334905Y1 (ko) 액자에 사용하기 위하여 자석을 구비하는 연결구
KR200334904Y1 (ko) 액자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
JP3051138U (ja) 額 縁
CN214775116U (zh) 一种多功能室内饰品
US5040394A (en) Key chain with decorative function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JP3239567U (ja) 写真立て
CN219895262U (zh) 一种拼接式画框
KR200360921Y1 (ko) 액자형 벽걸이 시계
CN103040281A (zh) 一种多功能装饰相框
KR200294156Y1 (ko) 사진 등을 결착할 수 있는 액자
KR200337698Y1 (ko) 액자
CN218164774U (zh) 一种相框
KR20220167556A (ko)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KR200244049Y1 (ko) 벽걸이용 태극기
KR200173658Y1 (ko) 부착식 액자
CN212630457U (zh) 一种组合式相框
KR200245985Y1 (ko) 액자
JP2561553Y2 (ja) 額 縁
KR200341755Y1 (ko) 탁상용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