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047A -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047A
KR20050016047A KR1020040060138A KR20040060138A KR20050016047A KR 20050016047 A KR20050016047 A KR 20050016047A KR 1020040060138 A KR1020040060138 A KR 1020040060138A KR 20040060138 A KR20040060138 A KR 20040060138A KR 20050016047 A KR20050016047 A KR 20050016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washing tank
washing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140B1 (ko
Inventor
니또히데유끼
스오기요유끼
스즈끼하지메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6Tubular filt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 부재(371)를 부분적으로 다른 개구율로 형성한다. 주판부(373) 및 경사부(374)의 개구율은 약 50% 로 한다. 고정부(376)의 개구율은 0% 로 한다. 장출부(375) 중 전방측 및 후방측 고정부(376)와의 경계 부분(378)의 개구율은 25% 로 하고, 경계 부분(378) 이외 부분의 개구율은 약 50% 로 한다.
개구율이 작은 부분의 무게를 무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필터 전체의 무게를 무겁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FILTER FOR DISH WASHER AND DISH WASHER }
본 발명은,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식기세척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식기세척기는, 세척 탱크 내에 모은 물에 전용세제를 혼합하여 세척수를 생성하고, 그 세척수를 식기를 향해 분사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40919호 참조). 세척 탱크 내에는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어 있고, 세척 탱크 내에 모여진 세척수는 세척 펌프에 의해 빨려 들어가 복수의 노즐로부터 식기를 향해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 탱크 내에 모이고 다시 복수의 노즐로부터 식기를 향해 분사된다.
식기세척기에서는 복수의 노즐로부터 힘있게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동시에 세척 탱크 내의 세척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순환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식기를 손으로 씻는 경우보다도 세제는 거품이 잘 인다. 특히, 식기를 한번 손으로 씻은 후에 식기세척기로 세척하는 경우와 같이 식기에 부착된 오물이 적은 경우에는 세제는 더 거품이 잘 일어,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길 우려가 있다. 세척 탱크 내에서 거품이 대량으로 발생하면 세척 성능이 저하되거나 세척기 외부로 거품이 새어나가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전용세제는 손으로 씻을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부엌세제보다도 거품이 잘 일지 않게 되어 있다.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는, 세척할 때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음식물 찌꺼기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음식물 찌꺼기 필터는, 예를 들어 세척 탱크의 바닥부에 형성된 필터 수용부에 실린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식기를 세척할 때에는 음식물 찌꺼기 필터가 배치되어 있는 높이보다도 높은 수위까지 세척 탱크 내에 세척수가 모인다.
전용세제를 일부러 준비하는 것은 번거로워, 부엌세제를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면 편리하다. 그러나 부엌세제는 전용세제보다도 거품이 잘 일기 때문에, 부엌세제를 사용하여 식기를 세척한 경우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길 우려가 있다.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 내로 급수되면, 거품이 음식물 찌꺼기 필터까지 도달하였을 때 물에 의한 부력과 수면에 떠 있는 거품의 부력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가 비교적 크게 들려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음식물 찌꺼기 필터가 물과 거품의 부력에 의해 들려 올라간 경우에도 거품이 서서히 음식물 찌꺼기 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음식물 찌꺼기 필터는 원래의 위치까지 내려간다. 그러나, 음식물 찌꺼기 필터가 크게 들려 올라가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필터와 필터 수용부 사이에 비교적 큰 간극이 생기게 된다. 음식물 찌꺼기 필터가 들려 올라갈 때에는 음식물 찌꺼기 필터에 의해 포획되어 있던 음식물 찌꺼기가 일단 떠오르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필터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안에, 떠오른 음식물 찌꺼기가 음식물 찌꺼기 필터와 필터 수용부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 펌프를 통하여 노즐로 보내져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 펌프나 노즐을 막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발명의 효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3)를 구비한 식기세척기(1)에 적용되며, 상기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식기세척기용 필터(37)로서, 복수의 통수 구멍(371A)이 개구된 그물형 부재이며, 부분적으로 개구율이 다른 필터 부재(371), 및 상기 필터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필터 유지부재(372)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필터 유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376)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의 개구율은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37)이다.
또, 괄호 안의 영자, 숫자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대응 구성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 이 항에서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율이 작은 부분의 무게를 무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세척기용 필터 전체의 무게를 무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 내로 급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유지부재에는 필터 부재의 고정부를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372A)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 부재의 고정부는 그 상면 및 하면이 수용 오목부에 맞닿은 상태로 끼워진다. 따라서, 필터 부재의 고정부에 통수 구멍을 형성하였다고 해도 필터 유지부재(수용 오목부)에 의해 통수 구멍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고정부에 통수 구멍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부의 개구율을 0% 로 하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식기세척기용 필터를 무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 내로 급수가 이루어져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고정부(376)는 거의 180°접힌 절곡부(3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식기세척기용 필터(37)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필터 부재의 무게를 보다 무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세척기용 필터 전체의 무게를 보다 무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 내로 급수가 이루어져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3)를 구비한 식기세척기(1)에 적용되며, 상기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식기세척기용 필터(37)로서, 복수의 통수 구멍(371A)이 개구된 그물형 필터 부재(371), 및 수지를 포함하는 비중이 1g/㎤ 을 초과하는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필터 유지부재(3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터 유지부재는 물보다도 비중이 커지기 때문에,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 내로 급수가 이루어져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유지부재(372)는 (비중이 거의 1g/㎤ 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3)와, 상기 세척 탱크 내의 세척수가 저장되는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된 필터 수용부(15), 및 상기 필터 수용부에 배치된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기세척기용 필터(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1)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식기세척기용 필터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3), 상기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필터(37), 상기 세척 탱크 내의 상기 필터가 배치되어 있는 높이 근방의 수위까지 급수한 후 일정 시간만큼 급수를 정지하고, 그 후에 다시 상기 세척 탱크 내로 급수하는 급수 행정을 실행할 수 있는 급수행정 실행수단(84A, 84B, 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1)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 내로 급수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거품이 필터에 도달한 시점에서 급수가 일단 정지되기 때문에, 물과 거품의 부력에 의해 필터가 크게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만큼 급수가 정지됨으로써 거품이 서서히 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필터는 원래 위치까지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그 후에 다시 세척 탱크 내로 급수하더라도 필터가 크게 들려 올라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들려 올라간 필터의 간극으로 음식물 찌꺼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식기세척기(1)를 정면 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이 식기세척기(1)는 그 외형이 대략 직사각체형인 케이스체(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케이스체(2)는 좌우방향의 길이(폭)에 비하여 전후 방향의 길이(깊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2)의 내부에는 세척해야 할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척 탱크(3)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세척 탱크(3)의 전면에는 개구(4)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개구(4)는 케이스체(2)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2 개의 문(상부 도어(5) 및 하부 도어(6))에 의해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부 도어(5)에 의해 개구(4)의 상측 반 정도를 덮을 수 있고, 하부 도어(6)에 의해 개구(4)의 하측 반 정도를 덮을 수 있다. 상부 도어(5)는 앞쪽 상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부 도어(6)는 앞쪽 하측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상부 도어(5) 및 하부 도어(6)를 닫은 상태에서는, 개구(4)가 덮여 세척 탱크(3)에서 물이 새지 않게 닫힌다.
하부 도어(6)의 상단부에는, 그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해당 하부 도어(6)를 열 때 사용자가 잡기 위한 파지부(7)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7)를 잡고 앞쪽으로 당김으로써 하부 도어(6)를 앞쪽 하측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상부 도어(5)는 하부 도어(6)에 연동하여 개폐하게 되어 있으며, 하부 도어(6)가 앞쪽 하측으로 회전운동되면, 그것에 연동하여 상부 도어(5)가 앞쪽 상측으로 회전운동되어 개구(4)가 크게 개방된다.
케이스체(2)의 전면 하부에는, 이 식기세척기(1)에서의 운전 내용(운전 코스 등)을 설정하거나 운전 상황을 표시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 표시 패널(8)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는 식기세척기(1)를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오른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 도 3 은 상부 도어(5) 및 하부 도어(6)를 떼어낸 상태로 식기세척기(1)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단, 도 3 에서는 식기세척기(1)의 하부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세척 탱크(3) 내에는 세척해야 할 식기를 유지하기 위한 2개의 식기 바구니(9;상부 바구니(9A) 및 하부 바구니(9B))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부 바구니(9A) 및 하부 바구니(9B)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부 도어(5) 및 하부 도어(6)를 연 상태에서 개구(4)를 통하여 앞쪽으로 끌어 내어 식기를 쉽게 넣고 뺄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부 바구니(9B)의 우측 부분(우단에서 1/3 정도의 범위)은, 중간 크기 접시나 큰 접시 등 비교적 큰 접시를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큰 접시 수용부(10)로 되어 있다. 또, 하부 바구니(9B)의 중앙부에서 좌측에 걸친 부분(좌단에서 2/3 정도의 범위)은, 밥그릇, 국그릇 및 대접 등의 오목한 그릇을 옆으로 세운 상태로 수용 가능한 오목 그릇 수용부(11)로 되어 있다.
상부 바구니(9A)의 우측 부분(우단에서 1/3 정도의 범위)은 작은 그릇을 수용하기 위한 작은 그릇 수용부(12)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바구니(9A)의 중앙부에서 좌측에 걸친 부분(좌단에서 2/3 정도의 범위)은, 컵이나 찻잔 등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13)로 되어 있다. 작은 그릇 수용부(12)에는 전후 2 열로 각각 2 개씩(합계 4 개)의 작은 그릇을 좌우로 나란히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컵 수용부(13)에는 전후 3 열로 각각 4 개씩(계 12 개)의 컵을 좌우로 나란히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작은 그릇 수용부(12)에 수용되는 작은 그릇 및 컵 수용부(13)에 수용되는 컵이나 찻잔 등은 각각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게 하여 세트된다.
큰 접시 수용부(10)에 수용하는 큰 접시 등은 오목 그릇 수용부(11)에 수용하는 밥그릇 등보다도 상하 방향의 수용 공간을 더 요하는 한편, 작은 그릇 수용부(12)에 수용하는 작은 그릇은, 컵 수용부(13)에 수용하는 컵 등보다도 상하 방향의 수용 공간을 더 요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작은 그릇 수용부(12)를 큰 접시 수용부(10)의 위쪽에 배치하고 컵 수용부(13)를 그릇 수용부(11)의 위쪽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 컵 수용부(13)를 작은 그릇 수용부(12)보다도 한 단 낮게 형성함으로써, 상부 바구니(9A) 및 하부 바구니(9B)에 효율적으로 식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부 바구니(9A) 및 하부 바구니(9B)의 둘레 가장자리부 등의 빈 공간에는 작은 접시를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세척 탱크(3)의 좌우 내측면(3A)의 상부에는, 상부 바구니(9A)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추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2 쌍의 레일(14)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2 에서는 각 쌍의 좌측 레일(14)만 보임).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나란히 배치된 2 쌍의 레일(14) 중 어느 것에 상부 바구니(9A)의 좌우측 가장자리부를 걸어맞출 것인지에 따라 상부 바구니(9A)의 높이를 2 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 상부 바구니(9A)의 좌우측 가장자리부를 상측 레일(14)에 걸어맞춰 상부 바구니(9A)를 높은 위치 쪽에 유지하면 큰 접시 수용부(10)의 위쪽에 비교적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큰 접시라 해도 큰 접시 수용부(10)에 양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4 는 식기세척기(1)를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위쪽에서 본 단면도이고, 하부 도어(6)를 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도 4 를 참조하여, 세척 탱크(3) 바닥면(3B)의 앞쪽 좌부에는, 세척수를 저장해 두기 위한 저수부(15)가 한 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세척 탱크(3) 안에는, 예를 들어 세척기 외부의 급수 설비나 급탕 설비로부터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세척 탱크(3) 내에 공급된 수돗물은 저수부(15)를 포함하는 세척 탱크(3)의 하부에 모이게 되어 있다. 급수 설비로부터 세척 탱크(3) 내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것 및 급탕 설비로부터 세척 탱크(3) 내로 수돗물(온수)을 공급하는 것은 급수 밸브(84;도 6 참조)의 개폐에 의해 이루어진다. 급탕 설비로부터 급수 밸브(84)를 통하여 세척 탱크(3) 내로 온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조작 표시 패널(8)의 조작에 의해 그렇게 설정한다. 식기의 세척에 사용하는 세척수는, 세척 탱크(3) 내에 세제를 투입함으로써 그 세제가 세척 탱크(3) 내에 공급된 수돗물과 섞여 생성된다.
세척 탱크(3) 내에 저장된 세척수(또는 수돗물)의 수위는 세척 탱크(3)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 수위 센서(16;압력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저수부(15)에는 에어 트랩(17)이 연통되어 있고, 이 에어 트랩(17)과 수위 센서(16)가 에어 호스(18)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3) 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에어 트랩(17) 내의 공기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 에어 트랩(17) 내 공기의 압력 변화를 수위 센서(16)로 검지함으로써 세척 탱크(3) 내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를 검지할 수 있다.
하부 도어(6)의 내면(닫힌 상태에서 세척 탱크(3) 측이 되는 면)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전용세제(통상은 분말)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전용세제 수용부(1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용세제 수용부(19A)의 좌측에 부엌세제(통상은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부엌세제 수용부(19B))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식기세척기(1)에서는, 전용세제 수용부(19A)에 전용세제를 수용하고 그 전용세제를 세척 탱크(3) 내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코스(전용세제 코스)나, 부엌세제 수용부(19B)에 부엌세제를 수용하고 그 부엌세제를 세척 탱크(3) 내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코스(부엌세제 코스) 등의 각종 운전코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전용세제 수용부(19A) 및 부엌세제 수용부(19B)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용세제 수용부(19A)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부엌세제 수용부(19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도어(6)를 연 상태에서는 전용세제 수용부(19A) 및 부엌세제 수용부(19B)의 개구가 각각 위를 향한 상태가 되어 전용세제 및 부엌세제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용세제 수용부(19A)에 전용세제를 수용한 후, 또는 부엌세제 수용부(19B)에 부엌세제를 수용한 후 하부 도어(6)를 닫으면, 전용세제 수용부(19A)에 수용되어 있는 전용세제 또는 부엌세제 수용부(19B)에 수용되어 있는 부엌세제가 세척 탱크(3) 내로 낙하하여 세척 탱크(3) 내로 공급되는 수돗물과 혼합된다.
부엌세제 코스로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 사용하는 부엌세제의 양은 5㎖ 정도가 바람직하다. 부엌세제에는 중성, 약알칼리성 및 약산성인 것이 있는데, 세제량을 5㎖ 정도로 하면 어떤 종류의 부엌세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식기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세척 탱크(3)의 아래쪽(저수부(15)의 후방)에는 식기 세척시에 세척 탱크(3)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키거나 세척 탱크(3) 내의 세척수를 배수하거나 하기 위한 세척 겸 배수 펌프(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서는 도시하지 않으나 세척 겸 배수 펌프(20)는 그 내부가 세척 펌프실과 배수 펌프실로 구획되어 있고, 세척 펌프실 및 배수 펌프실에는 각각 펌프 모터(83;도 6 참조)에 의해 회전구동 가능한 세척용 임펠러 및 배수용 임펠러가 구비되어 있다.
세척 펌프실의 흡입구(21)는 저수부(15)의 후벽에 형성된 순환구(22)에 접속되어 있고, 세척 펌프실의 토출구(23)는 세척 탱크(3)의 아래쪽에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통수로(24)에 접속되어 있다. 이 통수로(24)는 후술하는 회전 노즐 아암 및 고정 노즐 아암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모터(83)가 정회전하면 세척 펌프실 내의 세척용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저수부(15)로부터 순환구(22)를 통하여 세척 펌프실 내로 세척수가 빨려 들어가고, 그 세척수가 토출구(23)로부터 통수로(24)로 이송된다. 통수로(24)를 통하여 압송된 세척수는 회전 노즐 아암 및 고정 노즐 아암으로부터 세척 탱크(3) 내의 식기를 향해 분사된다. 회전 노즐 아암 및 고정 노즐 아암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다시 세척 탱크(3)의 바닥부에 모여 저수부(15)로부터 순환구(22)를 통하여 세척 겸 배수 펌프(20;세척 펌프실)로 빨려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저수부(15)에 모인 세척수는 식기세척기(1) 내에서 순환되어 식기 세척에 사용되게 되어 있다.
또, 배수 펌프실의 흡입구는 저수부(15)의 좌측벽에 형성된 배수구(25)에 접속되어 있고, 배수 펌프실의 토출구는 세척기 외부로 연통되는 배수로(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모터(83)가 반전되면, 배수 펌프실 내의 배수용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저수부(15)로부터 배수구(25)를 통하여 배수 펌프실 내로 세척수가 빨려 들어가고, 그 세척수가 배수로를 통하여 세척기 외부로 배출된다.
세척 탱크(3)의 바닥부에는 하부 바구니(9B)의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2 개의 회전 노즐 아암(26)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회전 노즐 아암(26)은 각각 대략 타원형의 긴 모양이며, 공통된 노즐 베이스(27)에 의해 각각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노즐 베이스(27)는 통수로(24)에 연통되어 있다.
각 회전 노즐 아암(26)의 상면에는 복수(예를 들어, 6 개)의 노즐(28)이 형성되어 있다. 세척 겸 배수 펌프(20)로부터 통수로(24) 및 노즐 베이스(27)를 통하여 각 회전 노즐 아암(26)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각 회전 노즐 아암(26)의 노즐(28)로부터 위쪽을 향해 분사된다. 각 회전 노즐 아암(26)의 노즐(28)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될 때 각 회전 노즐 아암(26)에 대해 반력이 생기고, 그 반력에 의해 각 회전 노즐 아암(26)은 노즐(28)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회전 노즐 아암(26)의 위쪽에 위치하는 식기에 빈틈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 탱크(3)의 후면(3C;내면)에는 상부 바구니(9A)와 하부 바구니(9B) 사이에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고정 노즐 아암(29)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노즐 아암(29)은 그 하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후, 도중에서 제 1 아암(30)과 제 2 아암(31)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정 노즐 아암(29)은 그 하단이 통수로(24)에 연통되어 있다.
제 1 아암(30)은, 상부 바구니(9A)의 컵 수용부(13)보다도 약각 낮은 위치에서 좌측으로 분기되고, 후면(3C)의 좌단 근방까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아암(30)에는 컵 수용부(13)의 마지막 열(3 열째)에 수용된 컵을 향해 위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32)이, 컵 수용부(13)의 마지막 열에 수용할 수 있는 컵의 수와 같은 수(4 개)만큼 구비되어 있다. 각 노즐(32)은 컵 수용부(13)의 마지막 열에 수용되는 4 개의 컵에 대응되며, 대응하는 컵 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아암(31)은, 제 1 아암(30)의 분기 위치보다도 더욱 위쪽까지 연장된 후, 작은 그릇 수용부(12)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에서 우측으로 굴곡되어 후면(3C)의 우단 근방까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아암(31)에는 작은 그릇 수용부(12)에 수용된 작은 그릇을 향해 위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어 3 개)의 노즐(33)이 구비되어 있다. 또, 제 2 아암(31)에는 큰 접시 수용부(10)에 수용된 큰 접시를 향해 아래쪽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임펠러형 노즐(34)이 복수(예를 들어 2 개) 구비되어 있다. 이 임펠러형 노즐(34)로는, 세척수의 분사에 따라 임펠러가 회전하여 광범위하게 세척수를 뿌릴 수 있다. 이 임펠러형 노즐(34)에 의해, 우측의 회전 노즐 아암(26)으로부터의 세척수가 잘 닿지 않는 큰 접시의 윗 부분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세척 탱크(3)의 천장면(3D)(내면)에는, 컵 수용부(13) 중앙부의 거의 바로 위가 되는 위치에 아래쪽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천장면 노즐(3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천장면 노즐(35)은 송수관(36)을 통하여 세척 겸 배수 펌프(20)의 세척 펌프실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 모터(83)가 정회전하여 세척 펌프실 내의 세척용 임펠러가 회전하면, 저수부(15)로부터 순환구(22)를 통하여 세척 펌프실에 빨려 들어간 세척수가 송수관(36)을 통하여 천장면 노즐(35)로 보내져 천장면 노즐(35)로부터 아래쪽으로 분사된다. 천장면 노즐(35)로부터의 세척수는 좌우방향으로 확산되고, 해당 천장면 노즐(35)의 바로 아래에 가까운 위치와 천장면 노즐(35)보다도 후방측 위치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컵 수용부(13)의 2 열째 및 3 열째에 수용된 컵의 외면을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다(도 2 참조).
저수부(15)의 상단부(필터 수용부)에는, 세척시에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저수부(15)를 덮듯이 실려 있다. 식기 세척시에는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배치되어 있는 높이보다도 높은 수위까지 세척 탱크(3) 내에 세척수가 저장된다. 세척할 때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는 음식물 찌꺼기 필터(37)에 의해 포획되어, 저수부(15)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이 음식물 찌꺼기 필터(37)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 식기세척기(1)는 세척 후 식기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세척 탱크(3)의 바닥면(3B)의 앞쪽 중앙부에서 우단에 걸친 부분(저수부(15)의 우측)에는 세척할 때 세척 탱크(3)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데우거나 건조할 때 세척 탱크(3) 내의 공기를 데우거나 하기 위한 루프형 히터(39)가 배치되어 있다. 히터(39)의 위쪽에는 복수의 관통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된 금속제 히터 커버(4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체(2) 전면의 좌우 양단연부(세척 탱크(3)보다도 외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음용 시일(41)이 부착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방음용 시일(41)의 기능에 의해 해당 식기세척기(1)를 운전할 때 세척기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는 세척 탱크(3)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풍로(風路) 부재(69)의 내부가 보이도록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세척 탱크(3)의 우측벽에는 송풍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세척 탱크(3) 내에 세척기 외부의 공기를 보낼 때의 풍로를 구성하는 풍로 부재(69)가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풍로 부재(69)는 중공형 부재이고, 세척 탱크(3)의 우측방 중앙 하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근원부(70)와, 근원부(70)의 상단에서 후측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 1 경사부(71)와, 제 1 경사부(71)의 상단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후 대략 U 자형으로 만곡하여 아래쪽을 향하는 만곡부(72)와, 만곡부(72) 의 하단에서 앞쪽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73)와, 제 2 경사부(73)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세척 탱크(3)의 우측벽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송풍구(75)에 접속된 종단부(74)를 구비하고 있다.
풍로 부재(69)의 근원부(70)의 하단은 송풍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송풍장치에 구비된 블로어 모터(85;도 6 참조)가 구동함으로써 세척기 밖의 공기가 풍로 부재(69) 내로 빨려 들어가게 되어 있다. 송풍장치에 의해 세척기 내로 빨려 들어간 세척기 밖의 공기는 풍로 부재(69)를 통해 송풍구(75)로부터 세척 탱크(3) 내로 보내진다. 송풍구(75)는 히터(39)의 약간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송풍구(75)로부터 세척 탱크(3) 내의 바닥부로 보내진 공기는 히터(39)에 의해 데워진다.
풍로 부재(69)의 종단부(74) 내에는 세척 탱크(3) 내에 생긴 거품을 검지하기 위한 거품 검지 센서(76)가 배치되어 있다. 이 거품 검지 센서(76)는, 예를 들어 광 센서이며, 종단부(74)의 후면에 부착되어 전방(약간 앞으로 내려간 방향)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76A)와, 이 발광부(76A)에 대향하도록 종단부(74)의 전면에 부착되어 발광부(76A)에서 조사된 및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76B)를 구비하고 있다. 세척 탱크(3) 내에서 거품이 대량으로 발생한 경우, 그 거품이 송풍구(75)를 통하여 풍로 부재(69) 내(종단부(74) 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풍로 부재(69) 내로 들어간 거품이 발광부(76A)에서 조사되는 빛의 광축까지 도달한 경우에는 수광부(76B)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광부(76B)에서 검지하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세척 탱크(3) 내에서의 거품 발생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풍로 부재(69)의 만곡부(72)의 제 2 경사부(73) 측 단부에는 배수로에서 분기된 분기 호스(77)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시에는 세척 겸 배수 펌프(20)의 배수 펌프실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 호스(77)를 통하여 풍로 부재(69) 내로 유도되어 만곡부(72)로부터 제 2 경사부(73)를 향해 낙하한다. 풍로 부재(69)의 제 2 경사부(73) 내에는 이 제 2 경사부(73)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리브(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리브(78)는 제 2 경사부(73)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분기 호스(77)로부터 제 2 경사부(73) 내에 낙하된 세척수는 제 1 리브(78)를 따라 아래쪽으로 유도된다.
제 2 경사부(73)의 하단부에는 대략 역 V 자 모양의 제 2 리브(79)가 제 1 리브(78)의 하단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리브(78)를 따라 아래쪽으로 유도된 세척수는 제 2 리브(79)의 정상부에 낙하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리브(79) 상에 낙하된 세척수는 전방 및 후방으로 분산되게 되어 있다. 제 2 리브(79)의 후단 및 선단은 각각 거품 검지 센서(76)의 발광부(76A) 및 수광부(76B)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2 리브(79) 상을 흐르는 세척수는 발광부(76A) 및 수광부(76B)에 닿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수할 때 풍로 부재(69) 내에 공급된 세척수에 의해 발광부(76A) 및 수광부(76B)에 부착된 거품 등의 오물을 씻어낼 수 있다.
도 6 은 이 식기세척기(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을 참조하여, 이 식기세척기(1)의 동작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 제어부(81)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81)에는 조작 표시 패널(8)이 입출력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 외에 수위 센서(16) 및 거품 검지 센서(76)에서 발해진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세척 탱크(3)의 바닥부(예를 들어 히터(39)의 아래쪽)에 세척 탱크(3) 내에 저장된 세척수(또는 수돗물)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8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82)는 서미스터를 포함하는 구성이고, 제어부(81)에는 온도 센서(82)로부터의 신호도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어부(81)에는 펌프 모터(83), 급수 밸브(84), 히터(39) 및 블로어 모터(85)가 부하 구동부(86)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어 있다. 온도 센서(8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히터(39)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척 탱크(3) 내에 저장된 세척수(또는 수돗물)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 은 음식물 찌꺼기 필터(37)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에서의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에서는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7 을 참조하여, 음식물 찌꺼기 필터(37)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통수 구멍(371A;도 4 참조)을 갖는 그물형 필터 부재(371)와, 이 필터 부재(371)의 주연부를 유지하기 위한 필터 유지부재(372)를 포함한다. 필터 유지부재(372)의 전단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연장되는 파지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 파지부(38)를 잡아 음식물 찌꺼기 필터(37)를 쉽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8 은 필터 부재(371)의 평면도이다. 도 8 에서는 하측을 전방, 상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필터 부재(371)는 대략 직사각형인 금속판(예를 들어 스테인리스판)에 기복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대략 직사각형인 주판부(373)와, 주판부(373)의 외주연 전체로부터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올라가는 경사부(374)와, 경사부(374)의 외주연 전체로부터 주판부(373)와 평행하게 튀어나온 장출부(375)를 포함한다. 장출부(375)의 전단부, 후단부, 좌단부 및 우단부는 필터 유지부재(37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76)를 구성하고 있다.
주판부(373)의 거의 중앙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인 개구(3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77) 내에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 통 모양의 받이 부재(37A)가 부착된다. 받이 부재(37A)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고리형 오목부(37B)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형 오목부(37B)에 개구(377)를 구성하는 주판부(373)의 내주연부가 끼워짐으로써 받이 부재(37A)가 개구(377) 내에 부착된다. 받이 부재(37A)에는 필터 부재(371)에 형성된 통수 구멍(371A)보다도 큰 복수의 관통구멍(37C)이 형성되어 있고, 필터 부재(371)에 의해 포획된 음식물 찌꺼기는 받이 부재(37A) 측으로 모여 받이 부재(37A)에 의해 수용되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부재(371)는 부분적으로 다른 개구율로 형성되어 있다. 즉, 주판부(373) 및 경사부(374)의 개구율은 약 50% 로 되어 있고, 고정부(376)의 개구율은 0% 로 되어있다. 장출부(375) 중 전방측 및 후방측의 고정부(376)와의 경계부분(378)의 개구율은 약 25% 로 되어 있고, 장출부(375)의 경계부분(378) 이외 부분의 개구율은 약 50% 로 되어 있다. 또, 도 8 에서는 개구율이 같은 부분은 동일하게 해칭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필터 부재(371)를 부분적으로 다른 개구율로 형성함으로써 개구율이 작은 부분의 무게를 무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필터(37) 전체의 무게를 무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3)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3) 내로 급수가 이루어져 세척 탱크(3) 내에 생긴 거품의 표면장력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 유지부재(372)의 내주면에는 필터 부재(371)의 고정부(376)를 끼워 넣어 유지하기 위한 고리형 오목부(372A)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부재(371)의 고정부(376)는 그 상면 및 하면이 고리형 오목부(372A)에 맞닿은 상태로 끼워진다. 따라서, 필터 부재(371)의 고정부(376)에 통수 구멍을 형성하였다고 해도 필터 유지부재(372)(고리형 오목부(372A))에 의해 통수 구멍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고정부(376)에 통수 구멍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376)의 개구율을 0% 로 하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음식물 찌꺼기 필터(37)를 무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부재(371)의 고정부(376)의 선단부를 아래쪽측을 향해 거의 180°접음으로써 절곡부(379)가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이 절곡부(379)를 형성함으로써 필터 부재(371)의 무게를 보다 무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필터(37) 전체의 무게를 보다 무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탱크(3)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3) 내로 급수가 이루어져 세척 탱크(3)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필터 유지부재(372) 및 파지부(38)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 유지부재(372)는 비중이 거의 1g/㎤ 인 베이스재료(예를 들어 나일론)와, 비중이 1g/㎤ 보다도 큰 재료(비중재료)를 혼합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필터 유지부재(372) 전체로서 비중이 1g/㎤ 를 초과하는 재료(예를 들어 비중이 1.9g/㎤)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지부재(372)는 나일론만으로 형성한 경우보다도 무거워지고 물보다도 비중이 커지기 때문에, 세척 탱크(3)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3) 내로 급수가 이루어져 세척 탱크(3)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저수부(15) 주변에서의 세척 탱크(3)의 바닥면(3B)은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음식물 찌꺼기 필터(37)는 그 필터 부재(371)의 주판부(373)가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경사진 상태에서 세척 탱크(3) 내(저수부(15)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세척 탱크(3) 내로 급수할 때에는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배치되어 있는 높이(예를 들어 필터 부재(371)의 좌단부의 높이) 근방의 수위까지 급수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만큼 급수를 정지하고, 그 후에 다시 세척 탱크(3) 내로 급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척 탱크(3)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긴 상태에서 세척 탱크(3) 내로 급수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거품이 음식물 찌꺼기 필터(37)에 도달한 시점에서 급수가 일단 정지되기 때문에, 물과 거품의 부력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크게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일정 시간만큼 급수가 정지됨으로써 거품이 서서히 음식물 찌꺼기 필터(37)를 통과하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필터(37)는 원래 위치까지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그 후에 다시 세척 탱크(3) 내로 급수하더라도 음식물 찌꺼기 필터(37)가 크게 들려 올라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들려 올라간 음식물 찌꺼기 필터(37)의 간극으로 음식물 찌꺼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음식물 찌꺼기 필터(37)는 그 필터 부재(371)의 주판부(373)가 경사진 상태로 세척 탱크(3) 내에 배치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주판부(373)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세척 탱크(3) 내로 급수할 때에는 필터 부재(371)의 주판부(373)의 높이 근방의 수위까지 급수한 후 일정 시간만큼 급수를 정지하고, 그 후에 다시 세척 탱크(3) 내로 급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급수를 일정 시간만큼 정지시키는 제어는, 부엌세제 코스에서만(특히, 씻을 때나 복수 회 이루어지는 헹구기 중 처음 헹굴 때와 같이 거품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을 때에만)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필터 부재(371)의 개구율은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값에 한하지 않고 다른 값이어도 되지만, 통수 구멍(371A)을 통하여 양호하게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개구율을 보다 작게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필터 부재(371)의 무게를 무겁게 할 수 있다.
필터 유지부재(372) 및 파지부(38)는 나일론을 포함하는 재료에 한하지 않고, 다른 수지(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를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식기 바구니(9)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또는 수돗물)를 분사하는 수단은 회전 노즐 아암(26), 고정 노즐 아암(29) 및 천장면 노즐(35)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세척 탱크(3)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노즐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세척 탱크 내에 생긴 거품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필터(식기세척기용 필터)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식기세척기를 정면 측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2 는 식기세척기를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오른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떼어낸 상태로 식기세척기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 는 식기세척기를 전후 방향을 따른 수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위쪽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세척 탱크를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 은 이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은 음식물 찌꺼기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필터 부재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식기세척기 3:세척 탱크
15:저수부 37:음식물 찌꺼기 필터
371:필터 부재 371A:통수 구멍
372:필터 유지부재 372A:고리형 오목부
376:고정부 379:절곡부
81:제어부 84:급수 밸브

Claims (5)

  1.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적용되며, 상기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식기세척기용 필터로서,
    복수의 통수 구멍이 개구된 그물형 부재이며, 부분적으로 개구율이 다른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필터 유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부재는 상기 필터 유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의 개구율은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대략 180°접힌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3.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적용되며, 상기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식기세척기용 필터로서,
    복수의 통수 구멍이 개구된 그물형 필터 부재, 및
    수지를 포함하는 비중이 1g/㎤ 을 초과하는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필터 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용 필터.
  4.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
    상기 세척 탱크 내의 세척수가 저장되는 수위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된 필터 수용부, 및
    상기 필터 수용부에 배치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기세척기용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 탱크,
    상기 세척 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에서 분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포획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세척 탱크 내의 상기 필터가 배치되어 있는 높이 근방의 수위까지 급수한 후 일정 시간만큼 급수를 정지하고, 그 후에 다시 상기 세척 탱크 내로 급수하는 급수 행정을 실행할 수 있는 급수행정 실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40060138A 2003-08-01 2004-07-30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KR100610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5460A JP4171367B2 (ja) 2003-08-01 2003-08-01 食器洗い機用フィルタおよび食器洗い機
JPJP-P-2003-00205460 200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47A true KR20050016047A (ko) 2005-02-21
KR100610140B1 KR100610140B1 (ko) 2006-08-10

Family

ID=3436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138A KR100610140B1 (ko) 2003-08-01 2004-07-30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71367B2 (ko)
KR (1) KR100610140B1 (ko)
CN (1) CN1265760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1367B2 (ja) 2008-10-22
KR100610140B1 (ko) 2006-08-10
JP2005052177A (ja) 2005-03-03
CN1265760C (zh) 2006-07-26
CN1579315A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305B1 (ko) 식기 세척기
US7571734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device
KR100610139B1 (ko) 식기세척기
JP4483670B2 (ja) 食器洗い機
KR100607435B1 (ko) 식기 세척기
CN111050624A (zh) 洗碗机
ES2344410T3 (es) Lavavajillas con medios de recogida para recibir liquido lavavajillas y liquido de aclarado.
KR100610140B1 (ko)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KR100663306B1 (ko) 식기 세척기
JP2019080605A (ja) 食器洗い機
KR20060063389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착탈 구조
CN114206189A (zh) 家用洗碗机
JP7205759B2 (ja) 洗浄器
JP2005329068A (ja) 食器洗い機
KR102481975B1 (ko) 가정용 식기 세척기
JP6964220B2 (ja) 食器洗い機
JP5636895B2 (ja) 食器洗い機
JP2001190474A (ja) 簡易食器洗浄機
JP5636896B2 (ja) 食器洗い機
JP2002325716A5 (ko)
JP3773637B2 (ja) 食器洗浄機
JP2019141320A (ja) 食器洗い機の小物入れ
JP2022103926A (ja) 洗浄システム
JP2005021598A (ja) 食器洗い機
JP2019165818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