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934A - 조명이 구비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이 구비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및 조명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934A
KR20050015934A KR1020030061742A KR20030061742A KR20050015934A KR 20050015934 A KR20050015934 A KR 20050015934A KR 1020030061742 A KR1020030061742 A KR 1020030061742A KR 20030061742 A KR20030061742 A KR 20030061742A KR 20050015934 A KR20050015934 A KR 20050015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bile phone
lighting device
charg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빌
Original Assignee
코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트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15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4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igarette ligh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원 연결 플러그, 도전성 케이블, 충전 커넥터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는 충전 전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내의 전원 소켓에 연결된다. 상기 도전성 케이블은 상기 충전 전원을 상기 충전 커넥터로 전송한다.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충전 전원을 이동 전화기를 충전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주변 지역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가 휴지 상태에 있고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이동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을 때 주변 지역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전화기내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는 스위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이 구비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및 조명 장치{Illuminated cellular phone car charger and illuminating apparatus}
관련된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3년 8월 7일에 출원된, 대만 출원 일련 번호 92214321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조명이 구비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일하러 가거나 우리들중 대다수를 위해 휴가를 가기 위한 필요불가결한 운송 수단이다. 빈번한 여행자들에 대해, 그들 시간의 대부분은 자동차를 운전하는데 쓰인다. 여행하는 사람들에 대한 다른 경향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한 그들의 빈번한 통신 활동이다. 근년에, 무선 통신 장치들의 소형화에 따라, 이동 전화기는 거의 모든 곳에서 주머니 또는 핸드백 주위에 휴대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은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전력은 보통 부착된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해 이동 전화기에 공급된다. 하지만, 이동 전화기는 가볍고 컴팩트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과 크기는 엄격하게 제한된다. 따라서, 이동 전화기의 배터리는 빈번한 사용자에 대해 자주 충전되어야 한다. 이동 전화기 사용자들의 빈번한 이동으로 인하여, 전화기 배터리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측면에서 관찰될 때 내부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 공간(100)은 상단부(102)와 하단부에 의해 제한된다. 운전자 좌석은 하단부에 고정되고 운전 핸들(108)은 운전자의 좌석 앞에 배치된다. 거의 모든 차량은 로컬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소켓(110)을 구비한다. 더욱이, 한 세트의 고정된 조명 광원들(104)은 보통 상기 상단부(102)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조명 광원들(104)은 고정된 위치에 있고 한정된 수의 조명들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106이라고 표시된 위치와 같은 어떤 불감 모서리 위치들에서의 광도는 낮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이동 전화기에는 차량의 전원 소켓(110)(대부분의 차량에 대해 12볼트 전원)을 통해 전화기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한 차량 충전기가 제공된다. 도 2는 한 측으로부터 관찰될 때 종래의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는 전원 연결 플러그(200), 도전성 케이블(202) 및 충전 커넥터(204)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는 상기 전원 소켓(1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는 보통 상기 차량에 의해 제공된 전원 전압을 상기 전화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적합한 동작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 변환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 전압은 상기 도전성 케이블(202)을 통해 상기 충전 커넥터(204)에 연결된다. 상기 충전 커넥터(204)는 특정 제품의 모델 번호에 따라 설계된 이동 전화기(206)와 연결하기 위한 고정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충전 커넥터(204)는 상기 전화기 배터리를 재충전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차량들에 이동 전화기를 재충전하기 위한 전원 소켓이 장착되어 있을지라도, 상기 차량내의 몇몇 모서리 지역에서의 조명 레벨은 종종 낮다. 밤에 운전하거나 희미한 불빛이 있는 길을 따라 운전하는 것은 빈번한 여행자들에게는 아주 흔한 일이기 때문에, 가공(overhead)의 광원들(104)은 모서리 지역들에 있는 물건들을 보는데 필요한 조명을 거의 제공할 수 없다. 더욱이, 상기 가공의 광원들(104)은 또한 텍스트 또는 그림들을 읽는데 충분한 조명을 제공할 수 없다. 게다가, 모든 가공(overhead)의 광원들(104)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떨어뜨린 아이템 또는 상기 차량내의 어떤 곳에 배치된 물건들을 찾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바꾸어 말하면, 조명원은 대낮에 그리고 특히 밤에 차량내에서 종종 필요하다. 고정된 위치에 있는 종래의 가공(overhead)의 광원들은 충분한 조명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내의 설치하기 쉬운 보완적인 조명원이 항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단이 조명 장치를 구비한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의 충전단을 상기 차량내의 전원 소켓과 연결하는 유연한 도전성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차량내의 거의 모든 모서리 지역에 아주 근접한 곳으로 가져갈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 전화기내의 전원은 상기 이동 전화기의 충전부가 상기 이동 전화기에 삽입될 때 상기 조명 장치의 전원을 켜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현되고 개괄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점들 및 다른 이점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에 따라, 본 발명은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는 전원 연결 플러그, 충전 커넥터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는 전화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차량내의 전원 소켓에 연결된다. 상기 충전 커넥터는 도전성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에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충전 커넥터는 또한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로부터의 전력을 이동 전화기를 충전하기 위한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충전 커넥터상의 어떤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다소의 전력을 사용한다.
상기한 조명 장치는 또한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가 휴지 상태에 있고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이동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이동 전화기내의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조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동 전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커넥터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 전화기내의 배터리 소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이동 전화기에 삽입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배터리 전력을 사용하여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에 배치된다.
상기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 상세한 설명 양자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의도된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통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기에,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제 예들이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참조될 것이다. 가능한 곳은 어디든,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도면들과 설명들에서 사용된다.
이제 이동 전화기는 무선 통신 장치의 필수불가결한 도구이다. 대부분의 이동 전화기에는 핸즈프리 전화기 세트와 결합될 수 있는 차량 충전기가 제공된다. 종래의 차량 내부의 설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불감 조명 모서리들(106)을 가지도록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는 차량내의 보완적인 조명 수단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는 상기 차량내의 전원 소켓(110)에 삽입될 수 있는 전원 연결 플러그(200)를 구비한다. 상기 차량의 상기 전원 소켓(110)은 보통 예를 들어 12볼트의 전압원을 제공한다. 이동 전화기에 적합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는 특정 전화기 모델에 대한 전압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는 선택된 이동 전화기 모델을 충전하는데 적합한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의 다른 단은 도전성 케이블(202)을 통해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에 연결된 충전 커넥터(300)이다.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로부터의 전력은 상기 케이블(202)을 통해 상기 충전 커넥터(300)로 전송된다. 더욱이, 상기 충전 커넥터(300)는 전력의 일부를 이동 전화기의 특정 모델 및 브랜드에 따라 제조된 연결 헤드(302)로 분배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연결 헤드(302)는 보통 특정 수의 리드들 또는 특정 본체 모양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전 커넥터(300)에 배치된 조명 장치(306)를 제공한다. 상기 조명 장치(306)는 예를 들어 스위치(304)를 통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가 상기 차량의 전원 소켓(110)에 삽입될 때, 상기 조명 장치(306)는 상기 이동 전화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전력의 일부에 연결됨으로써 켜질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306)는 상기 전원 소켓(110)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충전 커넥터(300)가 이동 전화기에 삽입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상기 충전 커넥터(300)는 동시에 전화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동 전화기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의 동작 메커니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 장치(306)는 상기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가 이동 전화기(206)를 충전하고 있을 때 스위치(304)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306)의 활성화 및 상기 이동 전화기(206)의 충전은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가 상기 전원 소켓(110)에 삽입될 때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조명 장치(306)의 조명은 상기 이동 전화기(206)의 배터리 충전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가 상기 전원 소켓(110)으로부터 뽑혀져서 휴지 상태에 있게 되는 경우, 상기 충전 커넥터(300)와 상기 이동 전화기(206)간의 연결은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 장치(306)는 상기 이동 전화기(206)의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끌어들임으로써 켜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성 케이블(202)은 상기 차량의 전원이 사용될 때 상기 조명 장치(306)가 상기 차량내의 대부분의 어떤 모서리들로 이동될 수 있도록 신장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이동 전화 충전기에 대한 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상기 이동 전화기(206)내의 전원은 여전히 상기 충전 커넥터(300)상의 조명 장치(306)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실,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200) 및 상기 도전성 케이블(202)은 상기 조명을 중단시키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충전 커넥터(300) 명세는 상기 이동 전화기(206)의 전원이 사용될 수 있는 한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306)는 상기 이동 전화기(206)에 상기 충전 커넥터(300)가 삽입되는지 또는 뽑혀지는지에 따라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조명 장치(306)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선택하기 위하여 스위치(304)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종래의 회로 설계가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회로들의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의 주요 양상들은 적어도 다음을 포함한다.
1. 충전 단자와 전원 소켓 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유연성을 이용함으로써, 조명 장치는 차량내의 모든 불감 모서리들을 조명하기 위하여 이동될 수 있다.
2. 상기 조명 장치가 상기 차량 충전기의 충전 단자에 배치됨에 따라, 이동 전화기내의 전원 또는 차량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조명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을 벗어남없이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변형 및 변경이 다음 청구항들 및 그들의 균등물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측면에서 관찰될 때 내부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한 측에서 관찰될 때 종래의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의 동작 메커니즘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Claims (9)

  1. 충전 소스를 제공하는 전원 소켓에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 플러그;
    도전성 케이블;
    상기 도전성 케이블을 통해 충전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전력을 이동 전화기를 충전하기 위한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충전 커넥터; 및
    상기 충전 소스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주변 지역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에 배치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가 휴지 상태에 있고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이동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을 때 주변 지역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전화기내의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에 배치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의 전원 소켓은 12볼트 전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 플러그는 전압 변환기를 통해 정확한 충전 전압을 갖는 전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케이블은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차량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차량내의 대부분의 불감 모서리 지역을 조명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의 상기 불감 모서리 지역은 불충분한 조명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가공(overhead)의 램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차량내의 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8. 이동 전화기에 삽입하고 배터리 소스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배터리 소스의 전력을 사용하여 주변 지역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에 배치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가진 이동 전화 조명 장치.
KR1020030061742A 2003-08-07 2003-09-04 조명이 구비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및 조명 장치 KR20050015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2214321U TWM243842U (en) 2003-08-07 2003-08-07 Car charger for cellular pone with illuminating function and illuminating apparatus
TW92214321 2003-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34A true KR20050015934A (ko) 2005-02-21

Family

ID=2780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742A KR20050015934A (ko) 2003-08-07 2003-09-04 조명이 구비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032554A1 (ko)
JP (1) JP2005057975A (ko)
KR (1) KR20050015934A (ko)
FI (1) FI20031289A (ko)
SE (1) SE0302213D0 (ko)
TW (1) TWM2438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014B1 (ko) * 2007-10-15 2014-07-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연결 단자를 위한 조명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3512B2 (en) * 2008-09-17 2011-07-05 United States Cellular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charger with promotional audio output
US9022605B2 (en) 2011-09-08 2015-05-05 Irving E. Bushnell Charging connection device with illumina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9368986B1 (en) 2015-03-16 2016-06-14 Joseph Juma Vehicle reminder and charging device
CN107968298A (zh) * 2016-10-20 2018-04-27 广东赢时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连接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333A (ja) * 2001-07-12 2003-01-31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
US7073923B2 (en) * 2003-08-01 2006-07-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ehicle charger/flashligh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014B1 (ko) * 2007-10-15 2014-07-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연결 단자를 위한 조명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31289A (fi) 2005-02-08
JP2005057975A (ja) 2005-03-03
SE0302213D0 (sv) 2003-08-13
FI20031289A0 (fi) 2003-09-09
US20050032554A1 (en) 2005-02-10
TWM243842U (en) 200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8995A1 (en) Recharging power source with lighting accessory
US20100002421A1 (en) USB receptacle for use with a powered receptacle or a rechargable flashlight having a powered receptacle
US20060176687A1 (en) Vehicle charger/flashlight
KR20130129489A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087674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JPH05160774A (ja) 携帯電話車載充電装置
KR20050015934A (ko) 조명이 구비된 이동 전화 차량 충전기 및 조명 장치
US6827462B2 (en) Charger with night light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s
JPH06333677A (ja) 照明器具
KR200400534Y1 (ko) 무선고주파전력을 충전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폰 배터리
FR2858739A1 (fr) Chargeur lumineux pour telephone cellulaire pour automobile et dispositif d'eclairage
US6454434B1 (en) Flashlight unit with externally supported battery
CN214013889U (zh) 一种圆柱形电池充电器
KR200210704Y1 (ko) 휴대폰용 비상 충전기
CN213690183U (zh) 一种手机壳的发光装置及手机壳
KR200281482Y1 (ko) 후레쉬기능을 갖는 휴대용 휴대폰 충전장치
RU197672U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20050093511A1 (en) Charger capable of providing illumination light
KR100483271B1 (ko) 차량용 시그널 연결부재
KR200422217Y1 (ko) 이동기기용 예비 2차 전지장치
KR200326678Y1 (ko) 티브이를 이용한 휴대폰 충전장치
KR200213656Y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KR20010059490A (ko) 휴대폰의 여행용 충전기
JP2005012869A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KR0127153Y1 (ko) 자동차용 착탈 및 충전식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