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656Y1 -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56Y1
KR200213656Y1 KR2020000026012U KR20000026012U KR200213656Y1 KR 200213656 Y1 KR200213656 Y1 KR 200213656Y1 KR 2020000026012 U KR2020000026012 U KR 2020000026012U KR 20000026012 U KR20000026012 U KR 20000026012U KR 200213656 Y1 KR200213656 Y1 KR 200213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charging
hands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남
Original Assignee
이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남 filed Critical 이경남
Priority to KR2020000026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5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의 전원을 핸즈프리장치에 공급하면서 차량의 실내 분위기를 개선하는 방향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의 방향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실내분위기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장치와 핸즈프리장치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두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의 방향기능이 구비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라이트 플러그(10)와, 상기 시거라이트 플러그(10)의 전원을 변환하고 충전시키는 충전장치가 내장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에서 전원의 입력을 표시하는 전원LED(21)와,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동작LED(22)와, 휴대폰의 배터리에 충전전류를 공급하고 핸즈프리장치에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공급플러그(30)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 방향제를 구비할 수 있는 방향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장치는, 고체형이나 액체형을 삽입고정하는 방향제홈이나, 겔방향제를 발열하여 발산시키는 발열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Charging equipment of cellular phone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의 전원을 핸즈프리장치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한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운전중에도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운전중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운행시보다 사고 위험이 휠씬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운전중에 휴대폰의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도3은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의 접속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 핸즈프리 본체(50)와, 핸즈프리 본체(50)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70)와,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핸즈프리 본체(5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75)과, 비밀통화 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비밀통화 스위치(65)와, 각종 부속기구를 꽂을 수 있는 다수의 연결용 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용 잭에는 송신 및 수신 시그널을 공급받는 휴대폰용 이어폰 연결잭(80)과, 보조 이어폰(85)을 꽂을 수 있는 이어폰잭과, 시거라이트용 잭(10)을 꽂을 수 있는 전원잭(30)과, 휴대폰을 충전시키기 위한 휴대폰 충전잭(35)등이 있다.
또한 핸즈프리 본체(50)의 우측 중간지점에는 본체 내부의 스피커로 전달되던 출력신호를 이어폰(85)쪽으로 절환하여 비밀통화를 가능케 하는 비밀통화 스위치(65)가 설치되어 있으며, 비밀통화 스위치(65)의 하부에는 파워공급상태를 표시하는 전원LED(60)와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LED(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폰을 충전시키고, 휴대폰을 자석을 이용해 용이하게 거취시키며, 또한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마이크와 이어폰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핸즈프리장치는 차량의 전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장치의 고장이나, 충전장치의 교환시에는 핸즈프리장치 전체를 교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두어 휴대폰에 따로이 전원을 공급하게 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라이트 플러그(10)와, 상기 시거라이트 플러그(10)의 전원을 변환하고 충전시키는 충전장치가 내장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에서 전원의 입력을 표시하는 전원LED(21)와,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동작LED(22)와, 휴대폰의 배터리에 충전전류를 공급하고 핸즈프리장치에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공급플러그(30)와, 상기 몸체의 배면에 방향제를 구비할 수 있는 방향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장치는, 고체형이나 액체형을 삽입고정하는 방향제홈이나, 겔방향제를 발열하여 발산시키는 발열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제어블럭도,
도3은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의 접속장치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시거라이트플러그 20: 전원공급장치
21: 동작LED 22: 전원LED
30: 전원공급플러그 40: 휴대폰전원공급플러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상기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차량의 시거라이트 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100)와, 상기 입력된 전원을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200)와, 휴대폰의 배터리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300)와, 상기 충전부(3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00)와, 상기 변압부(200)에서 변압된 전원을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에 공급하는 공급전원단자(500)와, 상기 충전부(300)의 전원을 휴대폰에 공급한 휴대폰 충전단자(6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시거라이트 잭(10)과, 상기 변압부(200)와 충전부(300) 및 표시부(400)가 구비된 충전장치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전원단자(30)와,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전원공급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LED(22)와,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휴대폰전원단자(23)와,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용 플러그(40)와,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LED(21)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핸즈프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휴대폰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게 된다.즉, 일반적인 핸즈프리장치는 충전장치를 내장하고 있지만 자동차의 전원을 곧바로 공급받기 때문에 그 파손의 위험성이 크며, 기기가 고장날 경우 전체를 교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변압장치와 충전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핸즈프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상이한 접속용 플러그를 따로이 구비하여 충전전원을 공급하게 된다.부호 41은 휴대폰의 전원 소켓에 연결되는 소켓단자이고, 부호 42는 본 고안의 충전장치의 본체에 연결하는 플러그이다.또한 본 고안의 충전장치의 동작을 전원LED(22)와 충전LED(21)로 표시하기 때문에 핸즈프리장치가 고장인지, 휴대폰 충전장치가 고장인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고장시 고장난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자의 금전적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핸즈프리장치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일체로 두어 휴대폰의 교체와 기기가 고장났을 때 그 부분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금전적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차량용 충전장치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시거라이트 소켓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라이트 잭(10)과, 상기 시거라이트 잭(10)의 공급전원을 변환하여 휴대폰에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장치가 내장된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된 휴대폰의 배터리에 충전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소켓(23)과, 핸즈프리장치에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공급플러그(30)와, 상기 몸체에서 전원의 입력을 표시하는 전원LED(21)와,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동작LED(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KR2020000026012U 2000-09-15 2000-09-15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KR200213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012U KR200213656Y1 (ko) 2000-09-15 2000-09-15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012U KR200213656Y1 (ko) 2000-09-15 2000-09-15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56Y1 true KR200213656Y1 (ko) 2001-02-15

Family

ID=7308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012U KR200213656Y1 (ko) 2000-09-15 2000-09-15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000A (en)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JPH05160774A (ja) 携帯電話車載充電装置
US6504340B1 (en) Hands-free kit for mobile phones using solar cell
US20050170866A1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200213656Y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KR100363439B1 (ko) 무접점 타입 충전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이동 전화단말기용 핸드프리키트
KR200254508Y1 (ko) 자동접속 휴대용 전화기 및 핸드프리 거치대
KR100530120B1 (ko) 핸즈 프리 충전 및 오디오 신호 겸용 잭
KR100483271B1 (ko) 차량용 시그널 연결부재
KR20010067540A (ko) 원터치 핸즈프리 접속장치
KR200346227Y1 (ko)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KR20030041267A (ko) 휴대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KR200226251Y1 (ko) 핸드폰용 연결컨넥터
KR200214835Y1 (ko) 휴대폰 건전지 충전 방식을 이용한 핸드프리용 연결 단자
KR1003822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폰 및 핸즈프리 장치
KR200202198Y1 (ko) 핸드폰의 보관대
KR200214836Y1 (ko) 핸드폰의 외부단자에 연결이 필요 없는 차량용 핸드프리
KR200164773Y1 (ko) 보조 전원을 갖는 유/무선 전화기
KR200400686Y1 (ko) 무선 이어폰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
KR20030024221A (ko) 차량의 핸즈프리용 충전 장치
KR200310400Y1 (ko)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KR20020094283A (ko) 음송송출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KR200261257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H1065776A (ja) 携帯電話装置
CN2243154Y (zh) 具有免提通话功能的车用移动电话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