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227Y1 -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227Y1
KR200346227Y1 KR20-2003-0040214U KR20030040214U KR200346227Y1 KR 200346227 Y1 KR200346227 Y1 KR 200346227Y1 KR 20030040214 U KR20030040214 U KR 20030040214U KR 200346227 Y1 KR200346227 Y1 KR 200346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charging device
voltag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2003-0040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전화 라인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서, 유선 전화 라인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인가없이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충전 장치의 일단에 구비되며, 유전 전화 라인에 공급되는 전압을 인가받기 위하여 유선전화 라인의 소켓에 착탈가능한 유선 라인 연결부, 유선 라인 연결부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며, 연결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감압하기 위한 감압부를 포함하며, 감압부에서 감압된 전압을 배터리로 출력하기 위한 충전부 및 충전 장치의 타단에 구비되며, 유선 라인 연결부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고, 충전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로 인가하기 위하여, 충전 장치를 단말기에 착탈가능한 단말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Charging device with wired telephone line}
본 고안은 교환기에 연결된 유선전화 라인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서, 유선 전화 라인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인가없이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휴대폰의 배터리 성능 향상과 함께 충전기도 다양화되고 있다. 각 단말기에 대응되는 개별 충전기에서 통합 충전기, 휴대용 충전기 등 충전기의 성능 및 특성은 다양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충전기는 전원으로써 일반적인 교류 전원(AC 110V 또는 AC 220V)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대표적인 휴대폰 충전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기(100)는 충전 단자쌍(110)이 구비된 하우징(120)과, 휴대폰 몸체 사이즈에 대응되는 슬롯(130)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폰이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휴대폰이 상기 하우징에 탈/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기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콘센트(140)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150)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150)에 플러그(140)를 삽입하여 전원을 인가받으면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변압기 및 평활 회로 등을 통하여 상기 교류 전압을 적절한 직류로 전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기(100)는 그 모양 및 구조가 상이하게 구성되더라도 전원으로서 일반 교류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콘센트(150)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충전기(100)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휴대폰을 장착하여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 슬롯(130)이 항상 개방된 상태이므로 슬롯에 먼지나 각종이 이물질이 들어가기 쉽고 이로 인해 충전 단자가 오염되어 배터리 단자부와의 충전 불안 또는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하우징으로 인하여 휴대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태풍 등과 같은 천재 지변으로 일반 교류 전원의 사용 불가능한 경우,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은 충전에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기의 전원으로서 유선 전화 라인의 인가 전압을 사용할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선전화라인 연결 단자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케이블형으로 구성된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기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하여, 충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충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충전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충전 장치
205 : 충전부
210 : 유선전화라인 연결부
220 : 감압부
230 : 충전 제어부
240 : 휴대폰 연결부
250 : 표시부
260 : 분배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의 일단에 구비되며, 유전 전화 라인에 공급되는 전압을 인가받기 위하여 유선전화 라인의 소켓에 착탈가능한 유선 라인 연결부,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감압하기 위한 감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압부에서 감압된 전압을 배터리로 출력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충전 장치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충전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로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상기 단말기에 착탈가능한 단말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에서 인출된 2 페어 회선 중 미리 설정된 1 페어의 회선을 다른 통신 장치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에 연결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배부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는 충전 방식을 결정하거나, 만충전시 전압 인가를 중지하기 위한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부 및 상기 단말기 연결부는 하나의 케이스내에 구성하거나, 별도로 구성하여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내에 표시부 및 분배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요지를 왜곡시킬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200)는 일단에 유선전화라인 연결부(210)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휴대폰 연결부(2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선전화라인 연결부(210)가 삽입되는 소켓(270)은 일반 전화 의 연결 소켓(270-1), 2 way 분배기가 구비된 연결 소켓(270-2) 뿐만 아니라, 전화기에 구비된 연결 소켓(270-3)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2-way 분배기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일반 전화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충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일반 전화기에 구비된 연결 소켓을 사용하는 경우, 연결 소켓에 연결하기 위한 전화 단자를 찾아야 하는 번잡함없이, 미리 설정된 장소에 위치하는 전화기에 연결함으로써,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작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전화기의 온 후크 (on-hook)로 동작한다. 이 상태는 전화기에서 후크가 눌러져 있는 상태. 즉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전에 후크를 누르고 있는 상태와 동일하며, 전화기에서 교환기를 위한 24V DC 회로가 열려 있어 전화기가 비동작 상태임을 알려주고 있다.
여기서, 단말기에 충전 장치(200)가 연결되면, 일반 전화에서와 같이, 오프 후크 (off-hook)에 도달한다. 오프 후크 상태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 수화기를 전화기로부터 들어 올리는 상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경우, 24V DC 폐회로가 구성되며, 상기 인가 전압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전 장치(200)는 충전부(205)를 포함하며, 일단에 유선전화라인 연결부(210)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휴대폰 연결부(2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205)는 기본적으로 감압부(220)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충전 방식을 결정하는 별도의 충전 제어부(230) 또는 표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감압부(220)는 전압 변압 장치로서, 전화라인에서 인가되는 전압(예를 들면, DC 24V)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감압하는 감압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는 다이오드를 이용한 리미팅 회로 또는 클램핑 회로를 이용하거나, DC-DC컨버터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DC-DC컨버터(Converter)란 직류전압을 소요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고 변환한 전류를 다시 정류하여 직류를 얻는 장치를 지칭한다. 이와 같은 DC-DC컨버터는 패키지실장형 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스위칭 소자로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할 때, 1석식 포워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1석식 포워드 패턴회로의 경우 입력의 직류전력은 트랜지스터에 의해 스위칭되어 고주파 교류로 변환되고 변압기에 의해 강압된 후 정류 및 평활 회로를 거쳐서 부하에 직류 출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30)는 충전방식을 결정하고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제어부는 충전 IC으로 구현된 충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충전 제어부는 만충전을 감지할 수 있는 만충전 감지부 및 충전 속도, 즉, 완속, 급속 또는 초급속 등의 미리 설정된 속도로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속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만충전 감지부의 구성 및 충전 속도를 제어하는 구성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충전 제어부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부(250)는 충전 제어부는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는 별도의 분배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기가 유선전화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별도의 연결 단자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기존에 연결된 전화기 대신 본 고안에 따른 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를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를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기존의 전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200)는 별도의 분배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선 전화라인의 소켓에는 4개의 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전화기 1대 당 1페어 즉, 2선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나머지 1페어는 예비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4개의 라인 중 두개는 충전부(205)로 연결하고, 나머지 두개의 라인은 분배부(260)로 연결한 후, 상기 분배부(260)에 기존의 전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충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충전부를 케이블 상에 별도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라 충전부가 휴대폰 연결부와 일체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충전부를 케이블 상에 별도로 구성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충전부는 케이블 상에 별도로 구비되며, 일단에 유선전화라인 연결부(210)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휴대폰 연결부(2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는 감압부를 포함하며, 별도로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분배부(260)가 더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분배부(260)에 구비된 소켓을 통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기를 연결함으로써, 충전 중에도 기존의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표시부(250)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표시부(25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한 전압 측정부에 측정한 전압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표시부(250) 및 분배부(260)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외에 설명은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c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충전부를 케이블 상에 별도로 구성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를 참조하면, 충전부는 케이블 상에 별도로 구비되지 아니하며, 타단에는 휴대폰 연결부(240)에 통합되어 구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는 감압부를 포함하며, 별도로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 분배부(260)가 더 포함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분배부(260)의 전화기 연결 소켓도 휴대폰 연결부(240)의 일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 표시부(250)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표시부(250)는 휴대폰 연결부(240)의 일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 표시부(250) 및 분배부(260)가 더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외에 설명은 상술한 도 5a 내지 도 5c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고안의 이해를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충전기의 전원으로서 유선 전화 라인의 인가 전압을 사용할 수 있는 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콘센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선전화라인 연결 단자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도록 케이블형으로 구성된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기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하여, 충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의 일단에 구비되며, 유전 전화 라인에 공급되는 전압을 인가받기 위하여 유선전화 라인의 소켓에 착탈가능한 유선 라인 연결부;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감압하기 위한 감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압부에서 감압된 전압을 배터리로 출력하기 위한 충전부; 및
    상기 충전 장치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충전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로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 장치를 상기 단말기에 착탈가능한 단말기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에서 인출된 2 페어 회선 중 미리 설정된 1 페어의 회선을 다른 통신 장치와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유선 라인 연결부에 연결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배부는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충전 방식을 결정하거나, 만충전시 전압 인가를 중지하기 위한 충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 및 상기 단말기 연결부는
    하나의 케이스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내에
    표시부 및 분배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KR20-2003-0040214U 2003-12-26 2003-12-26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KR200346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14U KR200346227Y1 (ko) 2003-12-26 2003-12-26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14U KR200346227Y1 (ko) 2003-12-26 2003-12-26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227Y1 true KR200346227Y1 (ko) 2004-03-30

Family

ID=4942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214U KR200346227Y1 (ko) 2003-12-26 2003-12-26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2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5253B2 (en) Combination audio/charger jack
CN1413374A (zh) 对电池充电的方法和装置
US5982149A (en) Device of a micro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JP3796419B2 (ja) 端末装置
KR200346227Y1 (ko) 유선 전화 라인을 이용한 충전 장치
JP2002231396A (ja) コンセント
KR19980076378A (ko) 무선전화시스템의 휴대장치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
KR200393030Y1 (ko) 다양한 2차 전압을 갖는 어댑터
KR20000044411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원공급 및 데이타 통신경로 형성장치
CN103166286A (zh) 一种具有投影功能手机的专用手机伴侣及其应用
KR200213656Y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장치
KR200214913Y1 (ko) 유에스비 휴대폰 충전기
KR10031314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가정/차량/휴대 통합용 핸즈프리 장치
KR20040026724A (ko) 휴대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00039991A (ko) 휴대 통신 단말기와 퍼스널 컴퓨터간 데이타 공유장치
KR200370928Y1 (ko) 시가라이터 소켓 내장형 전원 어댑터
KR20070109552A (ko) 휴대용 충전장치
KR100357035B1 (ko) 여행용 충전기
KR20030017033A (ko)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09190B1 (ko) 정류기 내장형 전화 콘센트
KR100577270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원 공급 케이블
KR200374585Y1 (ko) 밧데리충전장치
KR200256176Y1 (ko) 휴대폰 장착아답터
JP3111755B2 (ja) 端末装置
KR100404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인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