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033A -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033A
KR20030017033A KR1020010051134A KR20010051134A KR20030017033A KR 20030017033 A KR20030017033 A KR 20030017033A KR 1020010051134 A KR1020010051134 A KR 1020010051134A KR 20010051134 A KR20010051134 A KR 20010051134A KR 20030017033 A KR20030017033 A KR 20030017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rtable device
unit
hand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균
Original Assignee
김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균 filed Critical 김창균
Priority to KR102001005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7033A/ko
Publication of KR2003001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0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본 발명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이나 무선전화기 및 무전기 등의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기술과 핸즈프리 장치와 휴대장치간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장치로부터의 전압을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휴대장치의 배터리에 충전시키고, 상기 핸즈프리 장치와 휴대장치간에 별도의 물리적 케이블 연결없이 적외선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HANDS FREE APPARATUS THAT BE CHARGED USING INDUCTIVELY COUPLE AND DOING INFRARED RAYS COMMUNICATION THEREOF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이나 무선전화기 및 무전기 등의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기술과 핸즈프리 장치와 휴대장치간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장치로부터의 전압을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휴대장치의 배터리에 충전시키기 위한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무선전화기에서 사용되는 무선전화기,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휴대폰 및 일반 무선망에서 사용되는 무전기 등의 휴대장치의 최대장점은 공간의 제약이 없이 이동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장치들은 휴대에 편하도록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장치의 사용자는 휴대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방전되면 다른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통상의 방식을 살펴보면, 휴대장치의 배터리에 구비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배터리에 구비되는 충전단자와 상응되게 충전장치에 형성되는 전압단자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만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접점형 충전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충전방식은 접점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휴대장치 또는 충전장치의 전압단자 또는 충전단자에 어느 한쪽이라도 이상이 발생한다면 충전을 원할히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즉, 삽입형이나 접촉형 등의 접점을 이용하는 충전방식은 모두 기구적으로 휴대장치와 충전장치의 단자들이 접촉되는 구조하에서만 충전이 수행되는데, 상기 단자들은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물 등에 의해 산화가 발생할 수 있고, 이물질이 끼거나 손상되면 단자들간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충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충전장치 또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휴대장치를 차량에서 이용하는 경우 등에서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먼저 사용자는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에 휴대장치를 거치하여 핸즈프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핸즈프리 장치는 휴대장치를 거치하게 되면 상기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면서 휴대장치의 통화수행모드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 또한 충전을 위해 상기 휴대장치의 배터리 부분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금속의 단자가 구비되어 양 단자들이 서로 상응되도록 접촉하여야만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방식이 아니면 잭(Jack)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충전방식이 있는데 접점형 충전방식보다 사용하기 불편하다.
또한, 핸즈프리 장치와 휴대장치간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잭을 통해 연결하고, 핸즈프리 장치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기능으로서 사용됨으로써 항상 휴대장치를 핸즈프리 장치에 거치 및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핸즈프리 장치에서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충전하기 위한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장의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 장치에서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즈프리 장치와 휴대장치간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별도의 연결 수고나 유선 잭이 필요치 않는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검출 및 정류하는 유도전압 정류부,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의 정류된 유도전압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부, 및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며, 충전시 충전전압을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받아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및 적외선 무선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휴대장치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거치되는가를 감지하는 휴대장치 감지부, 전원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 레벨의 교류/직류 전압을 입력받아 각 구성부에 적합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직류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소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부, 상기 휴대장치 감지부에 의해 상기 휴대장치의 거치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정전압부로부터의 정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전류에 대응한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발생하며, 상기 휴대장치의 유도전압 정류부에 상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도전압을 상기 휴대장치의 유도전압 정류부에 인가하는 유도전압 발생부; 및 상기 휴대장치의 거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장치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핸즈프리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적외선 무선부;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에 놓여짐을 감지하는 휴대장치 감지단계; 상기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놓여짐을 감지하면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제1적외선 무선부와 상기 휴대장치의 제2적외선 무선부간에 적외선 무선통신을 형성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핸즈프리 모드 단계; 상기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놓여짐을 감지하면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정전압 변환 및 교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유도전압 발생부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전류에 대응한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유도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유도결합에 의거 상기 휴대장치의 유도전압 정류부에서 검출 및 정류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에서 정류된 유도전압을 상기 휴대장치 배터리의 충전전압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 장치에서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며, 적외선 통신으로 휴대장치와 핸즈프리 장치간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적외선 통신으로 휴대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핸즈프리 장치200: 휴대장치
110: 핸즈프리 제어부120: 오디오부
130: 전원공급부140: 핸즈프리 무선부
150: 휴대장치 감지부160: 충전부
210: 휴대장치 제어부220: 휴대장치 오디오부
230: 휴대장치 무선부240: 배터리
250: 충전회로251: 유도전압 정류부
253: 충전부255: 배터리전압 검출부
260: 키입력부270: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설계 구조와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핸즈프리 장치에서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참조부호 100은 충전부(160)가 내장되는 핸즈프리 장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0은 휴대장치(휴대폰)를 나타낸다.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는 핸즈프리 제어부(110), 오디오부(120), 전원공급부(130), 핸즈프리 무선부(140), 휴대장치 감지부(150), 충전부(16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160)는 정전압부(161), 스위칭부(163) 및 유도전압 발생부(165)로 구성된다.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각 구성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제반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부(160)를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결합을 이용한 전자장의 유도전압으로써 휴대장치 배터리의 충전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오디오부(12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핸즈프리 무선부(14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핸즈프리 모드에 따른 음성통화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휴대장치(2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핸즈프리 무선부(140)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200)로 송출하여 상기 휴대장치의 통화를 핸즈프리 모드로써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30)는 전원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 레벨의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입력받아 각 구성부에 적합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핸즈프리 무선부(140)는 상기 휴대장치(200)로부터 통화용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오디오부(120)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휴대장치(100)로 송출한다. 상기 핸즈프리 무선부(140)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는 적외선 무선부로 구성한다. 또는 RF 신호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휴대장치 감지부(150)는 상기 휴대장치(200)가 도시하지 않은 휴대장치 거치대에 거치되는가를 감지하여 휴대장치의 거치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에 인가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장치의 거치가 접점일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휴대장치의 놓여짐만 감지하면 된다. 상기 거치대는 일 예로서 표면부위를 전자석으로 형성하여 휴대장치가 전자석에 의해 쉽게 유도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부(160)는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충전이 지시되면 상기 전원공급부(130)로부터의 전압으로부터 유도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충전부(160)의 내부 구성부의 세부동작을 보면; 상기 정전압부(161)는 상기 전원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또는 직류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소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부(163)는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의 충전 제어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정전압부(161)로부터의 정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여 유도전압 발생부(165)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유도전압 발생부(165)는 일반적으로 코어(Core)와 상기 코어에 감기는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휴대장치(200)의 유도전압 정류부(251)에 상응되며, 상기 스위칭부(16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전류에 대응한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발생한다.
한편, 상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핸즈프리 장치(200)에는 상기 휴대장치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액정표시장치(LCD)를 구비하여 현재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충전상태는 완충전 상태 및 충전 미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장치(200)는 휴대장치 제어부(210), 휴대장치 오디오부(220), 휴대장치 무선부(230), 배터리(240), 충전회로(250), 키입력부(260), 표시부(270)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회로는 다시 유도전압 정류부(251), 충전부(253), 배터리전압 검출부(255)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장치(200)에 구성되는 각 구성부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0)는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핸즈프리 장치에 거치되어 핸즈프리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핸즈프리 모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핸즈프리 모드가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충전부(160)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이 진행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휴대장치 오디오부(220)는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3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며, 마이크(MIC)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코드화하여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30)로 출력하여 통화를 수행한다. 단, 상기 핸즈프리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장치 오디오부(220)는 내부의 스위칭을 통해 스피커 및 마이크의 동작을 차단하고, 이를 핸즈프리 장치에 구비되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하도록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30)에서 핸즈프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부, 일 에로 적외선 무선부로 스위칭을 이룬다.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30)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음성신호를 상기 휴대장치 오디오부(220)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 오디오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 또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30)는 무선망과 전화교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부와 상기 핸즈프리 장치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외선 무선부로 구분 운용된다.
상기 배터리(240)는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며, 충전시 충전전압을 상기 충전회로(250)로부터 공급받아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부(26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70)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장치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
상기 충전회로(250)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충전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검출하여 이를 정류하고, 정류된 유도전압을 상기 배터리(240)의 충전전압으로 인가한다.
상기 충전회로(250)에 구비되는 각 구성부의 동작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251)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유도전압 발생부(165)에 상응되는 구조, 예를 들어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기는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충전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검출 및 정류한다. 상기 충전부(253)는 상기 배터리(240)와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25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251)의 정류된 유도전압을 상기 배터리(240)의 충전전압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부(255)는 상기 충전부(253)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한편, 유도전압이 발생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유도전압 발생부(165)내의 코일에 흐르는 교류전류가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상기 휴대장치의 유도전압 정류부(251)내 코일 양단에도 자속쇄교수의 시간변화율에 따른 교류 전압이 유기되는 유도결합의 원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휴대장치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핸즈프리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제어부(110)에서 휴대장치 배터리의 충전을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충전 제어하기 위한 흐름이나, 각 단계의 설명에서 상기 휴대장치 구성부의 관련동작을 함께 설명한다.
먼저, 상기 201단계에서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장치(200)가 휴대장치 거치대에 놓여지는가 감지하여 상기 휴대장치(200)가 감지되면 203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동작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는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거치됨을 감지하면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휴대장치와의 적외선 무선 통화로를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충전부(160)의 제어를 205단계에서 시작한다.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는 충전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칭부(163)를 온 시켜 상기 정전압부(161)에서의 정전압을 입력받아 교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여 유도전압 발생부(165)로 인가한다. 이후 207단계에서 상기 유도전압 발생부(165)에서는 상기 스위칭부(163)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전류에 대응한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장치(200)에서는 상기 유도전압 발생부(165)에 상응되는유도전압 정류부(251)에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유도전압 발생부(165)에서 출력되는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검출 및 정류하고, 상기 충전부(253)에서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251)의 정류된 유도전압을 상기 배터리(240)의 충전전압으로 공급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휴대장치(200)의 제어부(210)에서는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부(255)를 충전중에 동작시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며, 충전상태를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핸즈프리 제어부(110)는 209단계에서 충전중인 상기 휴대장치 배터리의 충전완료상태를 지속적으로 검사하여 상기 배터리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스위칭부(163)를 상기 유도전압 발생을 중단하고 충전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는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상태 중이나 완료 후에도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 및 휴대장치(200)는 상기 휴대장치(200)가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에 거치되어 있는 동안에는 핸즈프리 모드를 계속해서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유도결합을 이용하는 충전시스템을 핸즈프리 장치와 휴대장치로 한정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굳이 핸즈프리 장치일 필요는 없다. 또한 휴대장치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든 휴대장치 유형으로 적용 가능함으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장치와 충전장치간 전원단자의 기구적 접촉의 필요 없이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어 충전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핸즈프리 장치에서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놓여지기만 하면 상기 휴대장치와 물리적 케이블 연결 없이 적외선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검출 및 정류하는 유도전압 정류부,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의 정류된 유도전압을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부, 및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며, 충전시 충전전압을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받아 충전동작을 수행하는 배터리; 및 적외선 무선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휴대장치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유도결합을 이용하여 휴대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거치되는가를 감지하는 휴대장치 감지부,
    전원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 레벨의 교류/직류 전압을 입력받아 각 구성부에 적합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직류 전원전압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소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정전압부,
    상기 휴대장치 감지부에 의해 상기 휴대장치의 거치가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정전압부로부터의 정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전류에 대응한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발생하며, 상기 휴대장치의 유도전압 정류부에 상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도전압을 상기 휴대장치의 유도전압 정류부에 인가하는 유도전압 발생부; 및
    상기 휴대장치의 거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장치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핸즈프리 모드를 수행하는 상기 적외선 무선부;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핸즈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압 발생부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기는 코일이 구성되어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에 구성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기는 코일과 서로 상응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 휴대장치 배터리의 현재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장치가 전자석에 의해 쉽게 유도 거치될 수 있도록 표면부위가 전자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5.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발생하는 유도전압 발생부와 제1적외선 무선부를 구비하는 핸즈프리 장치와 상기 유도전압 발생부에 상응되는 유도전압 정류부와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제1적외선 무선부와 적외선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적외선 무선부를 구비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가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거치대에 놓여짐을 감지하는 휴대장치 감지단계;
    상기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놓여짐을 감지하면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제1적외선 무선부와 상기 휴대장치의 제2적외선 무선부간에 적외선 무선통신을 형성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핸즈프리 모드 단계;
    상기 휴대장치가 거치대에 놓여짐을 감지하면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정전압 변환 및 교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유도전압 발생부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전류에 대응한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유도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자장의 유도전압을 유도결합에 의거 상기 휴대장치의 유도전압 정류부에서 검출 및 정류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도전압 정류부에서 정류된 유도전압을 상기 휴대장치 배터리의 충전전압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완료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 배터리의 현재 충전상태를 상기 핸즈프리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완충전 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010051134A 2001-08-23 2001-08-23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17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34A KR20030017033A (ko) 2001-08-23 2001-08-23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34A KR20030017033A (ko) 2001-08-23 2001-08-23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033A true KR20030017033A (ko) 2003-03-03

Family

ID=2772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134A KR20030017033A (ko) 2001-08-23 2001-08-23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70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13B1 (ko) * 2001-12-03 2004-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접촉식 자기유도를 이용한 충전과 신호의 송수신이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기 충전장치
US7352567B2 (en) * 2005-08-09 2008-04-0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planar like configuration and that operates in multiple orient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13B1 (ko) * 2001-12-03 2004-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접촉식 자기유도를 이용한 충전과 신호의 송수신이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기 충전장치
US7352567B2 (en) * 2005-08-09 2008-04-0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planar like configuration and that operates in multiple orientations
US7715187B2 (en) 2005-08-09 2010-05-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planar like configuration and that operates in multiple orientations
US7916467B2 (en) 2005-08-09 2011-03-29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planar like configuration and that operates in multiple orient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29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rechargeable battery
KR950004749B1 (ko) 무선 전화기의 무접점 디지탈 파워 송수신 시스템
JP2008131812A (ja) 携帯無線機用充電器
CN102474547B (zh) 无绳电话机
JP5517200B2 (ja) 電子機器及び電力供給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8427102B2 (en) Dynamic current limiting charging circuit
JP2015531224A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互換性提供装置及び方法
WO2017078285A1 (ko) 무선 전력 송신기
JPH0739077A (ja) コードレスパワーステーション
KR890006008A (ko) 무선통신장치
KR101703437B1 (ko) 고객 호출 겸용 무선 충전 패드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7033A (ko) 유도결합을 이용한 충전방식과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50005819B1 (ko) 무선 전화기의 무접점 충전 시스템
JP2014217116A (ja) 電子機器、電子機器送電システム及び受電制御方法
JPH07221825A (ja) コードレス通話装置
CN101715245A (zh) 电气设备监视装置及使用其的监视系统
KR20020025342A (ko) 무접점 타입 충전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이동 전화단말기용 핸드프리키트
KR20030045305A (ko) 비접촉식 자기유도를 이용한 충전과 신호의 송수신이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기 충전장치
KR100737560B1 (ko) 비접촉식 배터리 충전 장치
KR100366771B1 (ko) 휴대전화의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화기
JPH0690201A (ja) コードレス電話及びその子機
KR200164773Y1 (ko) 보조 전원을 갖는 유/무선 전화기
JPH06113031A (ja) 電話システム
CN111432064A (zh) 便携式电子装置及提示控制方法
KR200256987Y1 (ko)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