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400Y1 -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400Y1
KR200310400Y1 KR20-2003-0000777U KR20030000777U KR200310400Y1 KR 200310400 Y1 KR200310400 Y1 KR 200310400Y1 KR 20030000777 U KR20030000777 U KR 20030000777U KR 200310400 Y1 KR200310400 Y1 KR 200310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battery
mobile phone
l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정
Original Assignee
김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정 filed Critical 김상정
Priority to KR20-2003-0000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휴대용 거치식 충전기에 핸드폰을 끼우기만 하면 핸드폰의 콘넥터 접속단자가 충전기의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충전기의 건전지 전원이 바로 핸드폰의 배터리로 공급되어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충전기(10)는 핸드폰(20)을 수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면에 핸드폰(20)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의 하부에는 전원단자(2)가 설치됨과 함께 양측면에 고정돌기(3)가 설치되며, 충전기(10)의 배면에는 뚜껑을 열고 일반 건전지(5)를 다수개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충전기(10)의 일측면에는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전원 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충전기(10)의 전면에 제1엘이디(6)와 제2엘이디(7)가 설치되어 있어 제1엘이디(6)를 통하여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으며, 제2엘이디(7)를 통하여는 건전지(5)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A portable vertical-type handphone charger}
본 고안은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휴대용 거치식 충전기에 핸드폰을 끼우기만 하면 핸드폰의 콘넥터 접속단자가 충전기의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충전기의 건전지 전원이 바로 핸드폰의 배터리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최근, 핸드폰의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다수 사람들이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핸드폰에 있어서는 통상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배터리 전원이 방전될 경우 핸드폰이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핸드폰 대리점이나 거리의 핸드폰 판매점 등에서 여러 종류의 급속 충전기를 설치하여 필요시 비용을 지불하고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는 일회 충전시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충전 중에는 통화를 할 수 없으며, 또한 충전완료시까지 기다려야 하는 등의 제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도 급속 충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회용 충전기가 제안된 것이 있으나, 이는 단순히 핸드폰 콘넥터에 연결만 할 수 있을 뿐 록킹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충전시 충전기가 빠지기 쉬움은 물론 낙하하기가 쉬웠으며, 뚜껑을 열기 위하여 동전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충전기의 배면에 건전지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전면에는 핸드폰을 거치식으로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휴대용 거치식 충전기에 핸드폰을 끼우면 핸드폰의 콘넥터 접속단자가 충전기의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충전기의 건전지 전원이 바로 핸드폰의 배터리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공간부 2:전원단자
3:고정돌기 4:온/오프 스위치
5:건전지 6:제1엘이디
7:제2엘이디 10:충전기
20:핸드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면에 뚜껑을 개폐하여 일반 건전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전면에는 핸드폰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의 하부와 측면에는 각각 전원단자와 고정돌기가 설치되어 핸드폰 배터리 삽입시 핸드폰배터리의 전원단자가 상기 충전기의 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배터리가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전기(10)는 핸드폰(20)을 수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면에 핸드폰(20)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의 하부에는 전원단자(2)가 설치됨과 함께 양측면에 고정돌기(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10)의 배면에는 뚜껑(미도시됨)이 설치되어 있어 뚜껑을 열고 일반 건전지(5)를 다수개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충전기(10)의 일측면에는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전원 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10)에 제1엘이디(6)와 제2엘이디(7)가 설치되어 있어 제1엘이디(6)를 통하여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으며, 제2엘이디(7)를 통하여는 건전지(5)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충전기(10)의 배면에 뚜껑이 설치되어 있어 뚜껑을 열고 일반 건전지(5)를 다수개(예를 들어, 4개) 삽입할 수 있으며, 이렇게 건전지(5)를 삽입한 후 뚜껑을 닫는다.
또한, 본 고안의 충전기(10)에는 측면에 온/오프 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온/오프 스위치(4)를 온시키거나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기(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오프 스위치(11)가 오프(Off)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사용자가 핸드폰(20)의 배터리가 방전되어 충전기(10)를 사용할 경우 핸드폰(20)을 충전기(10)의 공간부(1)에 수직방향으로 거치시키면 핸드폰(20)의 하부에 설치된 콘넥터의 전원단자가 충전기(10)의 공간부(1)밑면에 설치된 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핸드폰(20)의 측면이 고정돌기(3)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일단 충전기(10)에 결합된 핸드폰(20)은 충전기(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후, 충전기(10)의 건전지(5)전원에 의해 핸드폰(20)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1엘이디(6)에 의해 충전상태가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쉽게 알 수 있다.
즉, 핸드폰(20)배터리의 충전이 완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엘이디(6)가 적색상태를 나타내며, 배터리 충전이 만충전된 상태에서는 녹색상태를 나타내므로 배터리의 충전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기(10)의 제1엘이디(6)옆에는 제2엘이디(7)가 설치되어 있어 충전기(10)에 삽입된 건전지(5)의 잔량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에도 건전지(5)의 잔량이 남은 상태에서는 녹색을 나타내고 잔량이 남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색을 나타낸다.
즉, 본 고안은 1.5 V AAA사이즈의 일반 건전지(5)만 있으면 시간과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핸드폰(20)배터리를 충전기(10)에 거치시켜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핸드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핸드폰을 거치식 충전기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충전기의 건전지 전원이 핸드폰의 배터리로 공급되어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면에 뚜껑을 개폐하여 일반 건전지를 장착할 수 있으며, 전면에는 핸드폰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공간부의 하부와 측면에는 각각 전원단자와 고정돌기가 설치되어 핸드폰 배터리 삽입시 핸드폰배터리의 전원단자가 상기 충전기의 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배터리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KR20-2003-0000777U 2003-01-10 2003-01-10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KR200310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77U KR200310400Y1 (ko) 2003-01-10 2003-01-10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77U KR200310400Y1 (ko) 2003-01-10 2003-01-10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400Y1 true KR200310400Y1 (ko) 2003-04-21

Family

ID=4940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777U KR200310400Y1 (ko) 2003-01-10 2003-01-10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4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148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apparatus using an ear-microphone jack
KR200216672Y1 (ko) 휴대 전화기의 간이 충전기
US20090051312A1 (en) Battery charger
RU2529513C2 (ru) Электромонт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возможностью хране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CN207801528U (zh) 一种防止tws耳机充电不稳定的耳机充电盒
CN210093277U (zh) 一种手机
JP2006504240A (ja) 外装型電池パック
EP0824778B1 (en) Intelligent battery charging in a hand-held phone
US7248902B2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KR200310400Y1 (ko)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WO2000076051A1 (en) Portable power supply for recharging cellular phone battery packs
CN201210504Y (zh) 一种便捷式备用电源
KR20080004844U (ko) 이동기기에 대한 휴대용 크레들 충전기
CN209994527U (zh) 一种无线式蓝牙耳机充电舱
KR200312393Y1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200264824Y1 (ko)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CN213661239U (zh) 具有快速充电功能的便携式移动电源
WO2008007965A1 (en)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CN105762859A (zh) 一种智能型车载充电器
KR200422217Y1 (ko) 이동기기용 예비 2차 전지장치
KR20060050084A (ko) 휴대폰 및 건전지 겸용 충전장치
KR200253479Y1 (ko) 건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대용 및 충전장치
CN210806808U (zh) 一种无线充放电的手机移动电源
KR20030011953A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20090002661U (ko) 충전용 시거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