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824Y1 -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 Google Patents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824Y1
KR200264824Y1 KR2020010036824U KR20010036824U KR200264824Y1 KR 200264824 Y1 KR200264824 Y1 KR 200264824Y1 KR 2020010036824 U KR2020010036824 U KR 2020010036824U KR 20010036824 U KR20010036824 U KR 20010036824U KR 200264824 Y1 KR200264824 Y1 KR 200264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bile phone
auxiliary charger
charg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택
유두장
Original Assignee
임근택
유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택, 유두장 filed Critical 임근택
Priority to KR2020010036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824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핸드폰 하단부에 장착된 콘넥터를 통하여 휴대용 보조 충전기를 접속하여 보조충전기에 내장된 일반배터리 전원을 배터리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의 급속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충전 중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드폰을 사용하다가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간단히 보조 충전기를 휴대하고 있다가 이 보조 충전기를 핸드폰 하단의 콘넥터에 연결만 해주면 보조 충전기의 일반 배터리 전원이 핸드폰의 배터리로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충전 중에도 핸드폰의 통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보조 충전기의 연결부에 록킹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일단 핸드폰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며, 이러한 록킹 장치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조 충전기내에 일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핸드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A portable sub-charger of the handphone battery}
본 고안은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핸드폰 하단부에 장착된 콘넥터를 통하여 휴대용 보조 충전기를 접속하여 보조충전기에 내장된 일반배터리 전원을 배터리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의 급속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충전 중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최근에 핸드폰의 사용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며 대다수 사람들이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핸드폰에 있어서는 통상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배터리 전원이 방전될 경우 핸드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핸드폰 대리점이나 거리의 핸드폰 판매점 등에서 여러 종류의 급속 충전기를 설치하여 필요시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급속 충전기에 있어서는 일회 충전시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충전 중에는 통화를 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도 급속 충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회용 보조 충전기가 제안된 것이 있으나, 이는 단순히 핸드폰 콘넥터에 연결만 할 수 있을 뿐 록킹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충전시 보조 충전기가 빠지기 쉬움은 물론 낙하하기가 쉬웠으며, 뚜껑을 열기 위하여 동전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드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배터리가 그대로 장착된 상태에서 핸드폰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콘넥터를 통하여 보조 충전기로부터 핸드폰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 충전기를 통하여 핸드폰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바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부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핸드폰
3:콘넥터 4:연결부
5:핀 6a:훅크
6b:버튼 7:배터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일반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진 보조 충전기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핸드폰의 하단 콘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핀을 가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핀 연결시 본체와 핸드폰간의 록킹(Locking)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록킹 수단이, 연결부의 양측에 탄설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탄력을 받아 이동되는 훅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로, 내부에 다수개의 일반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진 보조 충전기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단에 결합되며 핸드폰(2)의 하단 콘넥터(3)에 접속될 수 있는 핀(5)을 가진 연결부(4)와, 상기 연결부(4)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핀(5) 연결시 본체(1)와 핸드폰(2)간의록킹(Locking)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록킹 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연결부(4)의 상세 구성도로, 연결부(4)의 양측에 탄설된 버튼(6b)와, 상기 버튼부(6b)를 누르면 탄력을 받아 이동하는 훅크(6a)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버튼(6b)과 훅크(6a)가 하나의 록킹 수단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본체(1)의 내부에 일반 배터리(예를 들어, A3 사이즈 3개)를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간단히 본체(1)의 뚜껑을 열고 일반 배터리를 3개 삽입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는다.
이렇게 일반 배터리를 본체(1)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부(4)의 핀(5)을 핸드폰(2)의 콘넥터(3)에 끼우는데 이때 연결부(4)의 양 측면에 설치된 록킹수단의 버튼(6b)을 손으로 잡고 누르면 고정핀(6a)이 탄력을 받아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연결부(4)의 핀(5)을 핸드폰(2)의 콘넥터(3)에 끼우고 상기 버튼(6b)을 놓으면 핀(5)이 핸드폰(2)의 콘넥터(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결합된 충전기의 본체(1)는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낙하가 방지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조 충전기가 핸드폰에 접속되면 보조 충전기 내부의 일반 배터리 전원이 핸드폰(2)의 배터리(7)로 충전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1.5 V AAA사이즈의 일반 배터리만 있으면 시간과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핸드폰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보조 충전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충전기를 핸드폰(2)의 콘넥터(3)에 끼워 배터리(7)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를 걸거나 또는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 통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핸드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휴대하고 있던 보조 충전기를 핸드폰 하단의 콘넥터에 끼우면 보조 충전기내의 일반 배터리 전원이 핸드폰의 배터리로 충전되어 배터리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도 핸드폰 통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다수개의 일반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진 보조 충전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핸드폰의 하단 콘넥터의 전원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핀을 가진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핀 연결시 본체와 핸드폰간의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이,
    연결부의 양측에 탄설된 버튼과,
    상기 버튼에 의해 탄력을 받아 이동되는 훅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 충전기.
KR2020010036824U 2001-11-29 2001-11-29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KR200264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24U KR200264824Y1 (ko) 2001-11-29 2001-11-29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824U KR200264824Y1 (ko) 2001-11-29 2001-11-29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824Y1 true KR200264824Y1 (ko) 2002-02-21

Family

ID=7311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824U KR200264824Y1 (ko) 2001-11-29 2001-11-29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2734B2 (en) 2004-05-13 2012-01-10 Aptina Imaging Corporation Covers for microelectronic imagers and methods for wafer-level packaging of microelectronics imag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2734B2 (en) 2004-05-13 2012-01-10 Aptina Imaging Corporation Covers for microelectronic imagers and methods for wafer-level packaging of microelectronics imag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6672Y1 (ko) 휴대 전화기의 간이 충전기
US20020081487A1 (en) Back-up battery for a cellular telephone
CA2363246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US5697808A (en) Battery adapter for adapting a large capacity battery to a hand phone
KR200264824Y1 (ko) 핸드폰 배터리의 휴대용 보조충전기
KR20090001494U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
KR200312393Y1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200307358Y1 (ko)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US20020190691A1 (en) Mobile phone emergency charger
KR100316160B1 (ko) 바-타입변환휴대폰
KR200310400Y1 (ko) 휴대용 거치식 핸드폰 충전기
KR0131003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KR200341161Y1 (ko) 태양열을 이용한 휴대폰 충전장치
JPH0689709A (ja) 2次組電池及び電池収納装置
KR20030011953A (ko) 휴대용 핸드폰 충전기
KR200214705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비상용 수은전지 삽입장치
JPH065231U (ja) 携帯用通信機器
KR200224745Y1 (ko) 핸드폰용 무선마이크폰의 밧데리 충전구조
KR910006117B1 (ko) 휴대용 무전기 충전장치를 가지는 무선 통신기
KR20030054205A (ko) 블루투스 헤드셋의 밧데리 보조 충전 장치
KR200179153Y1 (ko) 이동전화기(핸드폰 및 피씨에스 폰)예비전원기
KR19980032160U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KR200253455Y1 (ko)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JPH04200046A (ja) 自動車電話機
KR19980047603U (ko) 무선 송수신기의 충전 케이블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