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908A -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자동변속방법 - Google Patents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자동변속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908A
KR20050013908A KR1020030075525A KR20030075525A KR20050013908A KR 20050013908 A KR20050013908 A KR 20050013908A KR 1020030075525 A KR1020030075525 A KR 1020030075525A KR 20030075525 A KR20030075525 A KR 20030075525A KR 20050013908 A KR20050013908 A KR 20050013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un gear
drive shaft
speed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형익
Original Assignee
손형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형익 filed Critical 손형익
Publication of KR2005001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7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 a secondary drive, e.g. regulating motor, in order to vary speed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F16H2048/087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characterised by the pinion gears, e.g. their type o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a comparison between speeds
    • F16H2059/465Detecting slip, e.g. clutch slip ratio
    • F16H2059/467Detecting slip, e.g. clutch slip ratio of torque conver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eight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5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nine forward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출력축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변속하기 위한 자동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단 변속장치인 토크 컨버터를 장착하고 그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에 연결된 터빈 연결 구동축과는 별도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펌프 연결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 및/또는 펌프 연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변속할 수 있는 변속부들을 설치하여 변속단이 세분화되고 변속범위가 크며, 증속기어가 펌프측에 직결된 형태에서 증속클러치가 작동시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의 토크부담을 늘려 토크 컨버터의 슬립 현상을 줄임으로써 엔진의 출력손실을 경감할 수 있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와 그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 방법{Automatic Transmission for Use with Torque Converter and Method of Speed Chan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출력축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변속하기위한 자동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단 변속장치인 토크 컨버터를 장착하고 그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에 연결된 터빈 연결 구동축과는 별도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펌프 연결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 및/또는 펌프 연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변속할 수 있는 변속부들을 설치하여 변속단이 세분화되고 변속범위가 크며, 증속기어가 펌프측에 직결된 형태에서 증속클러치가 작동시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의 토크부담을 늘려 토크 컨버터의 슬립 현상을 줄임으로써 엔진의 출력손실을 경감할 수 있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와 그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변속장치(일명 레버식 변속장치)는 다수의 기어를 조합하여 여러 단계로 속도를 변환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변속레버를 반드시 사용해야 했다. 또한, 수동으로 변속시킴으로 인하여 변속작동이 부드럽지 못할 수 있고, 다수의 기어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작동이 원활치 못한 경우가 있었다. 아울러 변속비가 몇 단계로 제한적으로 구분되어 있어 변속시 순간적으로 회전력의 전달이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변속과정이 복잡하여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레버식 변속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유체의 마찰력을 이용한 자동변속기(일명 노-클러치변속기)인 토크 컨버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토크 컨버터는 엔진으로부터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는 원동축과 부하를 유체를 매개로 결합하여 출력축에 동력을 전달하고, 부하의 속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작용을 하는 유체 변속장치이다.
그렇지만 이 유압 토크 컨버터만으로는 토크 변환비가 작으므로, 보통 이것에 유압 또는 전기적으로 자동 조작되는 3∼6단의 유성 기어식 변속기를 더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유압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변속기가 있는 자동차는 클러치나 기어 바꾸기의 조작이 필요없으며, 가속 페달을 밟는 것으로 발진·가속이 가능하므로 운전하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그러나, 구동축이 토크 컨버터와 직결되어 있는 종래의 자동 변속장치는 출력축으로 직접 토크 컨버터의 구동축만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르막 길 주행시나 가속시에 저항으로 인하여 토크 컨버터의 과도한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엔진의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토크 컨버터에 부착되어 전기 또는 유압으로 자동조작되는 유성 기어식 변속기에 있어서, 동력원인 엔진에 연결된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에 연결되는 펌프 연결 구동축과,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에 연결되어 토크 컨버터에 의해 변속된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측 연결 구동축을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속도를 자동 변속하는 제1 변속부와, 상기 제1 변속부의 회전력과 터빈 연결 구동축의 회전력을 결합하여 다양한 회전비를 가진 동력을 출력축에 제공하는 제2 변속부로 구성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토크 컨버터의 무단변속기능을 충분히 이용하면서 주행시 저항에 의한 효율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크 컨버터에 부착되는 유성 기어식 변속부를 전진 8 내지 9단과 후진 등 총 9 내지 10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변속단이 세분화되고, 증속기어가 펌프측에 직결된 형태에서 토크 컨버터에 걸리는 부담을 감소시켜 엔진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부하의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속도가 변화되는 토크 컨버터와, 상기 엔진으로부터 토크 컨버터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인가받는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에 연결되는 펌프 연결 구동축과,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에 연결되어 토크 컨버터에 의해 변속된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연결 구동축과,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에 증속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펌프측으로 부터 인가된 회전력 및/또는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되어 터빈측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을 자동 변속하기 위한 제1 변속부와, 상기 제1 변속부와 터빈 연결 구동축의 회전력을 결합하여 변속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2 변속부와, 상기 제2 변속부에 의해 변속된 회전력을 인가 받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 변속방법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에서 전기 또는 유압으로 자동 작동하는 유성 기어식 변속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에서 토크 컨버터의 터빈 연결 구동축에 의해 작동하는 증속 기어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에서 제2 변속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에서 제2 변속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도2의 증속기어부에 종래의 라비뇨 타입 기어를 결합한 유성 기어식 변속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펌프 연결 구동축 2 : 터빈 연결 구동축
3,31 : 증속기어 4,4' : 출력축
5 : 증속 클러치 6 : 제1 원웨이 클러치
7,7' : 프런트 클러치 8,8' : 리어 클러치
9,9',45 : 리버스 브레이크 10,10' : 킥다운 브레이크
11,11' : 제2 원웨이 클러치 12,12' : 제1 선기어
13,13' : 제2 선기어 14,14' : 제1 쇼트 피니언
15,15' : 제1 롱 피니언 16,16' : 제1 캐리어
17,17' : 제1 링 기어 18 : 제2 링 기어
19 : 피니언 20 : 제2 캐리어
21 : 제3 선기어 30 : 축 기어
41 : 제4 선기어 42 : 제2 롱 피니언
43 : 제3 링 기어 44 : 제2 쇼트 피니언
46 : 제3 캐리어 51 : 제4 링 기어
52 : 제3 롱 피니언 53 : 제3 쇼트 피니언
70 : 엔드 클러치 A : 제1 변속부
B,B',B" : 제2 변속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한 각종 피니언들은 각각 3개가 한 쌍으로 설치되며, 도면에서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두개의 피니언의 중심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를나타낸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에서 전기 또는 유압으로 자동 작동하는 유성 기어식 변속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엔진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부하의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속도를 변경하는 토크 컨버터와, 상기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에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토크 컨버터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인가받는 펌프 연결 구동축(1)과,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에 연결되어 토크 컨버터에 의해 변속된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연결 구동축(2)과,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1)에 증속기어(3)에 의해 연결되어 펌프측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력 및/또는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되어 그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을 자동 변속하기 위한 제1 변속부(A)와, 상기 제1 변속부(A)와 터빈 연결 구동축(2)의 회전력을 결합하여 변속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2 변속부(B)와, 상기 제2 변속부(B)에 의해 변속된 회전력을 인가 받는 출력축(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변속부(A)는 각종 클러치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클러치 체결부를 갖는 클러치 구동체(a)와,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1)에 연결된 증속기어(3)의 회전력을 클러치 구동체(a)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증속기어(3)에 일단이 결합ㄷ되고 다른 일단에 클러치 구동체(a)의 외주면 일단에 결합되는 증속 클러치(5)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의 내부 중공에 설치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에 따라 클러치 구동체(a)의 회전력 및 회전방향을 구속하기 위한 제1 원웨이 클러치(6)와,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1)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된 클러치 구동체(a)의 외주면 일단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다른 일단에제2 선기어(13)가 결합되어 있는 프런트 클러치(7)와,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1)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된 클러치 구동체(a)의 내주면 일단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다른 일단에 제1 캐리어(16)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 클러치(8)와, 상기 제1 캐리어(16)에 축이 결합 고정된 피니언들(14,15)들의 공전에 의해 제1 링 기어(17)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선기어(13)에 연결된 제1 쇼트 피니언(14)과, 상기 제1 캐리어(16)에 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1 쇼트 피니언(14)과 상호 결합되어 있는 제1 롱 피니언(15)과, 상기 제1 롱 피니언(15)에 결합되는 제1 선기어(12)와, 상기 제1 선기어(12)의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한 킥 다운 브레이크(10)와, 상기 제1 롱 피니언(15)의 축에 연결되어 제1 캐리어(16)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2 원웨이 클러치(11)와, 상기 제1 캐리어(16)의 변속된 회전력을 제2 변속부(B)에 전달하는 제1 링기어(17)로 구성된다.
또한, 제2 변속부(B)는 상기 제1 변속부(A)의 제1 링기어(17)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캐리어(20)와, 상기 제2 캐리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버스 브레이크(9)와,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결합되는 제3 선 기어(21)와, 상기 제3 선 기어(21)에 맞물려 결합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제2 캐리어(20)에 축이 결합고정되는 피니언(19)과, 상기 피니언(19)의 공전에 의해 회전하며, 그 회전력을 출력축(4)으로 인가하는 제2 링 기어(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로 구성된 유성 기어부를 갖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의 변속은 엔진의 회전력과 부하에 따라 전진 8단, 레버의 조작에 의해 후진 1단 등 총 9단으로 자동 변속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의 변속단계와 시점은 입력축 및 출력축의 상관관계와 변속부의 유성기어들에 의하여 설정된 변속정도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지고, 일반 도로 여건에서는 증속 클러치의 작동을 제한하여 단을 줄여 작동하게 할 수 있으며, 언덕길 등판시와 같은 주행저항이 큰 도로 여건에서는 펌프 연결 구동축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 등 입력축 및 출력축에 부착된 센서에 감지된 신호에 따라 별도로 설정된 입력축 및 출력축의 속도비에 의하여 증속 클러치가 중간단에서 작동할 수 있다. 그 단계별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의 회전방향은 제1 원웨이 클러치(6)에 의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되고, 프런트 클러치(7)가 작동하여 클러치 구동체(a)의 회전력이 제2 선기어(13)에 입력되며, 제2 선 기어(1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피니언(13,14)들이 회전하고, 제1 캐리어(16)는 제2 원웨이 클러치(11)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제1 링 기어(17)가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제2 변속부(B)dml 제2 캐리어(20)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2 캐리어(20)는 피니언(19)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19)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2단의 경우,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1)은 제1 변속부(A)의 증속 클러치(5)에 의해 클러치 구동체(a)에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는 제1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3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제1 원웨이 클러치(6)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 구동체(a)에 프런트 클러치(7)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13)를 구동시키며, 킥다운 브레이크(10)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12)를 고정하면, 제1 쇼트 피니언(14)과 제1 롱 피니언(15)이 차례로 구동하여 제1 링 기어(17)가 중속으로 회전하면서, 제2 변속부(B)의 제2 캐리어(20)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19)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에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4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증속 클러치(5)의 작동으로 펌프 연결 구동축(1)과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는 제3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5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제1 원웨이 클러치(6)의 작용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되고,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프런트 클러치(7)와 리어 클러치(8)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13)와 제1 캐리어(16)를동시에 구동시키면, 제1 링 기어(17)는 터빈 연결 구동축(2)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제2 변속부(B)의 제2 캐리어(20)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19)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6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증속 클러치(5)의 작동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1)에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는 제5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7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제1 원웨이 클러치(6)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되고, 킥다운 브레이크(10)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12)를 고정하며, 상기 클러치 구동체(a)에 리어 클러치(8)가 작동하여 제1 캐리어(16)를 구동시키면, 제1 링 기어(17)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B)의 제2 캐리어(20)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2 캐리어(20)는 제3 선 기어(21)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19)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8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증속 클러치(5)의 작용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1)에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 작동은 제7단의 경우와 같이 작동하여 제2 링 기어(18)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후진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변속부(B)의 리버스 브레이크(9)를 작동시켜 제2 캐리어(20)를 고정하고, 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에 의해 피니언(20)을 반대방향으로 공전시켜, 제2 링 기어(18)를 역회전시켜 이를 출력축(4)으로 인가한다.
또한, 상기 제1 변속부(A)의 기어 변속단에서 원웨이 클러치(6)를 통한 변속단과 증속 클러치를 통한 변속단은 증속기어(3)의 변속비에 따라 상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 연결 구동축(2) 상에 설치된 축기어(30)와, 상기 축기어(30)에 연결되어 상기 증속 클러치와 연결되는 증속기어(31)로 구성하여 엔진으로부터 직접 회전력을 받지 않게 함으로써 입력부분을 단순화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의 제2 변속부(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1의 제1 변속부(A)의 제1 링 기어(17)와 결합하는 제4 선 기어(41)와,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결합되는 제3 선기어(21)와, 상기 제3 선 기어(21)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롱 피니언(42)과, 상기 제4 선 기어(41)와 제2 롱 피니언(42)을 상호 결합하고 있는 제2 쇼트 피니언(44)과, 상기 제2 롱 피니언(42)에 결합된 제3 링 기어(43)와, 상기 제3 링 기어(43)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리버스 브레이크(45)와, 상기 피니언들(42,44)의 축을 결합 고정하여 출력축(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캐리어(4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도1에 도시된 제1 변속부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2 변속부로 구성된 유성 기어부를 갖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의 변속은 엔진의 회전력과 부하에 따라 전진 9단, 레버의 조작에 의해 후진 1단 등 총 10단으로 자동 변속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계 시점은 입력축 및 출력축의 상관관계와 변속부의 유성기어들에 의하여 설정된 변속정도에 따라 이루어지고, 일반 도로 여건에서는 증속 클러치의 작동을 제한하여 단을 줄여 작동하게 할 수 있으며, 언덕길 등판시와 같은 주행저항이 큰 도로 여건에서는 엔진 회전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펌프 연결 구동축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 등 입력축과 출력축에 부착된 센서에 감지된 신호에 따라 별도로 설정된 입력축 및 출력축의 속도비에 의하여 증속 클러치가 중간단에서 작동할 수 있다. 그 단계별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킥 다운 브레이크(10)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12)를 고정하고, 제1 캐리어(16)는 제2 원웨이 클러치(11)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방향이 고정되므로 제1 링 기어(17)에 결속된 상기 제2 변속부(B')의 제4 선 기어(41)의 역회전이 저지되어, 엔진의 동력은 토크 컨버터에 연결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연결된 제3 선 기어(21)를 통해 제2 쇼트 피니언(44)과 제2 롱 피니언(42)을 회전시키면서, 제3 캐리어(46)로 출력된다. 즉 제1단의 경우 토크 컨버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곧바로 제2 변속부를 통해 변속시켜 출력축(4)에 전달한다.
다음에, 제2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의 회전방향은 제1 원웨이 클러치(6)에 의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되고, 프런트 클러치(7)가 작동하여 클러치 구동체(a)의 회전력이 제2 선기어(13)에 입력되며, 제2 선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피니언들(13,14)들이 공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캐리어(16)는 제2 원웨이 클러치(11)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제1 링 기어(17)가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제2 변속부(B')의 제4 선 기어(41)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4 선 기어(41)는 제2 쇼트 피니언(44)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와 동일한 방향으로 피니언들(42,44)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3단의 경우,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1)은 제1 변속부(A)의 증속 클러치(5)에 의해 클러치 구동체(a)에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는 제2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4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제1 원웨이 클러치(6)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 구동체(a)에 프런트 클러치(7)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13)를 구동시키며, 킥다운 브레이크(10)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12)를 고정하면, 제2 선 기어(13)에 연결된 제1 쇼트 피니언(14)과 제1 롱 피니언(15)이 차례로 구동하여 제1 링 기어(17)가 중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B')의 제4 선 기어(41)로 동력을 전달하여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와 함께 피니언들(42,44)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에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5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증속 클러치(5)의 작동으로 펌프 연결 구동축(1)과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는 제4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6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제1 원웨이 클러치(6)의 작용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되고, 프런트 클러치(7)와 리어 클러치(8)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13)와 제1 캐리어(16)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제1 링 기어(17)는 터빈 연결 구동축(2)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B')의 제4 선 기어(41)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와 함께 피니언들(42,44)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7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증속 클러치(5)의 작동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1)에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는 제6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8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제1 원웨이 클러치(6)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2)에 구속되고, 킥다운 브레이크(10)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12)를 고정하며, 리어 클러치(8)가 작동하여 제1 캐리어(16)를구동시키면, 제1 링 기어(17)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B')의 제4 선 기어(41)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4 선 기어(41)는 제3 선 기어(21)와 함께 피니언들(42,44)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제9단의 경우, 상기 제1 변속부(A)의 클러치 구동체(a)는 증속 클러치(5)의 작용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1)에 증속 연결되고, 제1 변속부(A)와 제2 변속부(B') 작동은 제8단의 경우와 같이 작동하여 제3 캐리어(46)를 통해 출력축(4)으로 동력을 인가한다.
다음에 후진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변속부(B')의 리버스 브레이크(45)를 작동시켜 제3 링 기어(43)를 고정하면, 터빈 연결 구동축(2)의 제3 선 기어(21)에 의해 피니언들(42,44)이 공전하면서, 제3 캐리어(46)를 역회전시켜 이를 출력축(4)으로 인가한다.
또한, 상기 제1 변속부(A)의 기어 변속단에서 원웨이 클러치(6)를 통한 변속단과 증속 클러치를 통한 변속단은 증속기어(3)의 변속비에 따라 상호 위치가 변경 될 수 있다.
다음에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구성하는 제2 변속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3의 제2 변속부(B')에서 제2 롱 피니언(42)과 제2 쇼트 피니언(44)의 위치를 제3 롱 피니언(52)과 제3 쇼트 피니언(53)으로 바꾸어 설치하고, 제1 변속부(A)의 제1 링 기어(17)의 끝단에 제4링 기어(51)를 결속하여 제3 롱 피니언(52) 외측에 결합시켜 형성한 것으로 각 기어의 수를 조정하면 변속기 각 부분의 동작 원리는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5는 도2의 증속기어부에 종래의 라비뇨 타입의 변속 기어부를 결합한 토크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의 유성 기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속기어부에 도1에 도시된 제1 변속부 및 제2 변속부를 대신하여 라비뇨 형태의 기어 변속부를 결합하고, 각각 기어수를 조정하여 상기 라비뇨 형태의 변속 기어부의 4단 작동 원리에 도2에 대해서 설명한 증속 기어부의 기능을 첨가하면, 도1의 변속기 각 부분의 동작원리와 같이 전진 8단 후진 1단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에 연결된 펌프 연결 구동축과 토크 컨버터의 터빈에 연결된 터빈 연결 구동축을 별도로 형성하고, 펌프 연결 구동축에 증속 클러치에 의해 체결되어 속도를 변환하거나, 제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되어 속도를 변환하는 제1 변속부와, 상기 제1 변속부와 터빈 연결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속도를 변속하는 제2 변속부로 구성하여 유성기어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엔진의 연비를 수동 변속기에 가까운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자동변속장치의 변속단계에서 증속기어가 펌프측에 직결되어 구동할경우에는 펌프 연결 구동축의 토크 부담을 증가시킴으로써 토크 컨버터의 슬립현상을 감소시켜 자동차 등에 적용할 경우 주행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엔진출력의 손실을 경감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크 컨버터에 부착되는 유성 기어부를 전진 8 내지 9단과 후진 1단으로 형성함으로써 변속을 유연하게 하여 엔진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9)

  1. 엔진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부하의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속도를 변경하는 토크 컨버터와,
    상기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에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토크 컨버터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인가받는 펌프 연결 구동축과,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에 연결되는 토크 컨버터에 의해 변속된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연결 구동축과,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에 증속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펌프측으로 부터 인가된 회전력 및/또는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되어 터빈측으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을 자동 변속하기 위한 제1 변속부와,
    상기 제1 변속부와 터빈 연결 구동축의 회전력을 결합하여 변속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제2 변속부와,
    상기 제2 변속부에 의해 변속된 회전력을 인가 받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전단에는 회전력을 상기 제1 변속부에 인가하기 위한 축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을 대신하여 상기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제1변속부로 출력하는 증속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속부는 각종 클러치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클러치 체결부를 갖는 클러치 구동체와,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에 연결된 증속기어의 회전력을 클러치 구동체로 전달하기 위해 증속기어에 일단이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클러치 구동체의 외주면 일단에 결합된 증속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의 내부 중공에 설치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에 따라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력 및 회전방향을 구속하기 위한 제1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된 클러치 구동체의 외주면 일단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다른 일단에 제2 선기어가 결합되어 있는 프런트 클러치와,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된 클러치 구동체의 내부면 일단에 결합되어 그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해 다른 일단에 제1 캐리어가 결합되어 있는 리어 클러치와,
    상기 제1 캐리어에 축이 결합 고정되어 공전에 의해 제1 링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선기어에 연결된 제1 쇼트 피니언과,
    상기 제1 캐리어에 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1 쇼트 피니언과 상호 결합되어 있는 제1 롱 피니언과,
    상기 제1 롱 피니언에 결합되는 제1 선기어와,
    상기 제1 선기어의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한 킥 다운 브레이크와,
    상기 제1 캐리어의 회전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제1 롱 피니언의 축에 연결된 제2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1 캐리어의 변속된 회전력을 제2 변속부에 전달하는 제1 링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속부는 상기 제1 변속부의 제1 링기어과 결합하는 제2 캐리어와,
    상기 제2 캐리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리버스 브레이크와,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연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3 선 기어와,
    상기 제3 선 기어에 맞물려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캐리어에 축이 결합 고정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공전에 의해 회전하며, 그 회전력을 출력축으로 인가하는 제2 링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속부는 제 1 변속부의 제1 링 기어와 결합하는 제4 선 기어와,
    상기 토크 컨버터의 터빈측으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는 터빈 연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3 선기어와,
    상기 제4 선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롱 피니언과,
    상기 제3 선 기어와 제2 롱 피니언을 상호 결합하고 있는 제2 쇼트 피니언과,
    상기 제2 롱 피니언 외측에 결합된 제3 링 기어와,
    상기 제3 링 기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리버스 브레이크와,
    상기 피니언들을 결합 고정하여 출력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캐리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속부는 제2 롱 피니언과 제2 쇼트 피니언의 위치를 바꾸어 설치된 제3 롱 피니언 및 제3 쇼트 피니언과,
    제1 변속부의 제1 링 기어에 결속되어 제3 롱 피니언 외측에 결합되는 제4 링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7. 제 1 항의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하여 토크 컨버터의 펌프측에 연결된 펌프 연결 구동축과 증속기어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 및/또는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되어 전달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속도를 변환하는 제1변속부와,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에 연결된 제 2변속부의 조합에 의하여 변속된 회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8. 제 3 항과 제 4 항의 제1 변속부와 제2 변속부를 갖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하여 전진 8단 및 후진 1단으로 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1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방향을 제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력이 제2 선기어에 입력되며, 제2 선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 롱 피니언과 제1 쇼트 피니언이 회전하고 제1 캐리어는 제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제1 링 기어가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는 피니언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2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펌프 연결 구동축이 증속 클러치에 의해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에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방향이 제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력이 제2 선기어에 입력되며, 제2 선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 캐리어는 제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제1 링 기어가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제1 변속부의 제2 캐리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는 피니언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3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를 구동시키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면, 제2 선 기어에 연결된 제1 쇼트 피니언과 제1 롱 피니언이 차례로 구동하여 제1 링 기어가 중속으로 회전하면서,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4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증속 클러치의 작동으로 펌프 연결 구동축과 증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를 구동시키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면 제2 선 기어에 연결된 제1 쇼트 피니언과 제1 롱 피니언이 차례로 구동하여 제1 링 기어가 중속으로 회전하면서,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5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프런트 클러치와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와 제1 캐리어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캐리어의 회전력에 의해 터빈 연결 구동축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하는 제1 링 기어의 회전력을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로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6단의 변속 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증속 클러치의 작동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에 증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프런트 클러치와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와 제1 캐리어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캐리어의 회전력에 의해 터빈 연결 구동축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하는 제1 링 기어의 회전력을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로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7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며,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1 캐리어를 구동시켜 제1 링 기어를 통해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로 고속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2 캐리어는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8단 중 제8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증속 클러치의 작용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에 증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며,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1 캐리어를 구동시켜 제1 링 기어를 통해 제2 변속부의 제2 캐리어로 동력을 고속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2 캐리어는 제3 선 기어에 의한 역회전분만큼 감속된 속도로 피니언을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2 변속부의 리버스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2 캐리어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해 피니언을 반대방향으로 공전시켜, 제2 링 기어를 역회전시키고 이를 출력축으로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8. 제 3 항과 제 5 항의 제1 변속부와 제2 변속부를 갖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하여 전진 9단 및 후진 1단으로 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1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킥 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캐리어는 제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방향이 고정되어 제1 링 기어에 결속된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변속부의 제3 선 기어를 통해 제2 쇼트 피니언과 제2 롱 피니언을 회전시키면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2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방향을 제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력이 제2 선기어에 입력되며, 상기 제2 선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제1 캐리어는 제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제1 링 기어가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변속부의 제4 선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4 선 기어는 제2 쇼트 피니언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3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펌프 연결 구동축을 증속 클러치에 의해 클러치 구동체에 증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방향은 제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클러치 구동체의 회전력이 제2 선기어에 입력되며, 제1 캐리어는 제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제1 링 기어가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4 선 기어는 제2 쇼트 피니언의 안쪽에 결합되어 있는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4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를 구동시키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면, 제2 선 기어에 연결된 제1 쇼트 피니언과 제1 롱 피니언이 차례로 구동하여 제1 링 기어가 중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기어와 함께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에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5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증속 클러치의 작동으로 펌프 연결 구동축과 증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에 프런트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를 구동시키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면, 제1 쇼트 피니언과 제1 롱 피니언이 차례로 구동하여 제1 링 기어가 중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와 함께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에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6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클러치와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와 제1 캐리어를동시에 구동시키면, 상기 제1 링 기어는 터빈 연결 구동축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와 함께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7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증속 클러치의 작동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에 증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용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런트 클러치와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2 선 기어와 제1 캐리어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상기 제1 링 기어는 터빈 연결 구동축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여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와 함께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8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며,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1 캐리어를 구동시키면, 제1 링 기어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4 선 기어는 제3 선 기어와 함께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9단 중 제9단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1 변속부의 클러치 구동체를 증속 클러치의 작용으로 토크 컨버터의 펌프 연결 구동축에 증속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구동체를 제1 원웨이 클러치의 작동으로 터빈 연결 구동축에 구속하는 단계와;
    상기 킥다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제1 선 기어를 고정하며, 리어 클러치가 작동하여 제1 캐리어를 구동시키면, 제1 링 기어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변속부의 제4 선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4 선 기어는 제3 선 기어와 함께 피니언들을 공전시켜, 제3 캐리어를 통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의 변속방법은 상기 제2 변속부의 리버스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3 링 기어를 고정하면, 상기 터빈 연결 구동축의 제3 선 기어에 의해 피니언들이 공전하면서, 제3 캐리어를 역회전시켜 이를 출력축으로 동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2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속부 및 제2 변속부는 라비뇨 형태의 기어 변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KR1020030075525A 2003-07-29 2003-10-28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자동변속방법 KR20050013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52258 2003-07-29
KR1020030052258 2003-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908A true KR20050013908A (ko) 2005-02-05

Family

ID=3722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525A KR20050013908A (ko) 2003-07-29 2003-10-28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자동변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90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2165A (ja) * 1986-04-14 1987-10-22 Aisin Warner Ltd 車両用変速機
JPH07301302A (ja) * 1994-04-28 1995-11-14 Aisin Aw Co Ltd 車両用伝動装置
KR100293656B1 (ko) * 1997-08-30 2001-08-07 이계안 자동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KR20040100664A (ko) * 2003-05-23 2004-12-02 손형익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2165A (ja) * 1986-04-14 1987-10-22 Aisin Warner Ltd 車両用変速機
JPH07301302A (ja) * 1994-04-28 1995-11-14 Aisin Aw Co Ltd 車両用伝動装置
KR100293656B1 (ko) * 1997-08-30 2001-08-07 이계안 자동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KR20040100664A (ko) * 2003-05-23 2004-12-02 손형익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350B1 (ko) 자동 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KR100204960B1 (ko) 차량용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KR19980016992A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JP2728861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パワートレーン
CA2213933C (en) Gear train for a 6-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EP0943839B1 (en) Dual mod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 all wheel drive vehicle
JPS6314228B2 (ko)
EP0676562B1 (en) Gear train of an automatic five-speed transmission for a vehicle
EP0826903A2 (en) Gear train for a four-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KR20050013908A (ko)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자동변속방법
KR100540797B1 (ko) 토크 컨버터 붙이 자동변속기 및 그 변속기를 이용한 자동변속방법
EP0710191B1 (en) Power train of five-spe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JPS62242165A (ja) 車両用変速機
KR0149329B1 (ko)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93000049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2축 5속 변속기구
KR0173992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KR10021093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장치
KR100192465B1 (ko) 자동 변속기용 파워 트레인
KR100260166B1 (ko)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0136084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KR100256575B1 (ko)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31316B1 (ko) 자동차의 자동 변속장치
KR100262562B1 (ko) 차량용 5속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0183217B1 (ko) 4륜 구동 차량용 무단 변속장치
KR0136083B1 (ko) 자동차용 5속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