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315A -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315A
KR20050013315A KR1020030051926A KR20030051926A KR20050013315A KR 20050013315 A KR20050013315 A KR 20050013315A KR 1020030051926 A KR1020030051926 A KR 1020030051926A KR 20030051926 A KR20030051926 A KR 20030051926A KR 20050013315 A KR20050013315 A KR 2005001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power
portable computer
battery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3315A/ko
Publication of KR2005001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3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펜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상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전자펜 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펜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전자펜의 내부 배터리에 필요한 충전량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감소하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대함과 아울러 전자펜의 내부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스크린 터치의 사용불능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은, 전자펜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상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특히, 전자펜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더불어 상기 전자펜 내부 충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윌릿(wal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HPC(handheld personal computer) 등의 휴대용 컴퓨터들이 사용이 점차 학대되어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선보이고 있으며, 점차 소형화, 경박 단순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들은 상대방과 음성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이외에도 인터넷 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래픽 등의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휴대용 컴퓨터들은 소형화, 경박 단순화시키기 위해서 문자 또는 숫자 키보드들이 필요 없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TOUCH SCREEN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보조기구 필요하며, 이 보조기구로는 필기구 형상을 하고 있으며 , 단부가 첨예한 전자펜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휴대형 컴퓨터 본체에 고정시켜 왔다.
상기와 같이 전자펜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상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휴대용 컴퓨터는 tablet PC(이하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라 한다)라 하여 통용되고 있으며 키보드 입력장치와의 정착 통합되거나 결착 가능한 여부에 따라 CONVERTIBLE TYPE(이하 컨버터블 형)과 PLATE TYPE(플레이트 형)으로 나눈다.
예를 들어, 컨버터블형인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키보드 입력부이외에 일정 자기장을 발생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신호 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가 구비된 전자펜과, LCD를 포함하여 화면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장치와, 상기 화면 표시장치의 상단으로 위치하여 사용자의 전자펜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자펜은 내부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자기장을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 및 압력에 의해 터치 패널상에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신호로부터 좌표 이동 변화를 감지하여 이동 및 해당 명령의 선택 및 실행을 수행하게 되며, 커서 제어 구동에 의해 시스템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는, 전자펜을 통하여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널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자펜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터치 패널에 불필요하게 전원이 공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로 배터리 사용시간의 감소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태블릿 PC에서 사용중인 전자펜은, 터치 패널과의 전기적 신호을 전달하도록 신호생성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내부에 충전 배터리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 충전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하여 터치 패널상에 전원이 공급됨에도 전자펜을 통하여 더 이상의 데이터 입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펜의 사용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전자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터치 패널에 제공되는 배터리 모드상의 전원을 차단함과 더불어 전자펜 내부의 충전 배터리를 충전케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서 전자펜이 전자펜 장착부에 결착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레벨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터치 패드상으로 입력되는 전원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자펜 내부 배터리 충전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공급부 20 : 전원 스위치부
30 : 전자펜 장착부 40 : 제어부
50 : 전자펜 충전부 60 : 터치 패널
100 : 휴대용 컴퓨터 200 : 전자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은,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전자펜 장착부에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1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터치 패널의 입력전원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전자펜 장착부에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1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충전전원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휴대용 컴퓨터에 대한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컴퓨터(100)에서의 전원 공급장치는, AC전원 내지 충전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받아 내부 기기에 소정의 DC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0)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터치패드(60) 등의 각 기기로 제공하는 전원 스위치부(20), 전자펜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전자펜 장착부(30)와 상기 전자펜 장착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전자펜 장착부에 안착되어 전자펜(200)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기 하도록 하는 전자펜 충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입력장치로서 전자펜(200)은, 상기 터치 패드(60)상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일정 자기장을 발생하는 신호 생성부(201) 및 상기 신호 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배터리(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전자펜 장착부에서 전자펜(200)이 안착됨을 감지한 검출신호를 받아 전원 스위치부(20)에 신호를 주어 상기 터치패드(60)에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전자펜의 장착부에서 전자펜(200)이 안착됨을 감지한 검출신호를 받아 전원 스위치부(20)에 신호를 주어 상기 전자펜 충전부(50)에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서 전자펜이 전자펜 장착부에 결착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레벨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전자펜 장착부는, 상기 전자펜이 전자펜 장착부에 결착유무를 감지하는데 있어 Lead S/W(이하 "리드 스위치"라 한다)를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Lo)를 기준으로 두어, 상기 전자펜이 전자펜 장착부에 안착되었을 때는 L1레벨의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이에 상기 Lo 이상의 신호레벨을 받은 제어부(40)는, 전원 스위치부(20)에 배터리전원 모드시의 전원공급 오프신호를 주어, 상기 터치패드(60)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며, 상기 전자펜(200)이 전자펜 장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의 전력소모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Lo 이상의 신호레벨을 받은 제어부(40)는, 전원 스위치부(20)에 신호를 주어 전자펜 충전부(50)에 전원을 제공하게 하며, 상기 전원을 인가 받은 전자펜 충전부는 전자펜(200)내부 배터리의 전원입력단자와 결착된 상태로, 상기 전자펜 충전부(50)에 출력단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 전자펜 내부 배터리(202)를 충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상기 전자펜 장착부(30)를 통하여 각 레벨값의 검출신호를 전송 받아 전원 스위치부(20)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첨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터치 패드상으로 입력되는 전원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10)에서 각 내부 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은 AC 모드시의 경우가 아닌 배터리 모드에서 인가되는 전원이다. 즉, 상기 배터리모드에서는, 상용 AC전원을 정류하여 출력된 정격의 직류전원이 아닌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휴대를 가능하게 하도록 위한 것으로, 휴대용 컴퓨터 내부에 배치된 충전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스위치부(20)를 통해 터치 패널(60)에 인가하게 된다.(S10)
한편, 사용자가 전자펜(200)을 터치 패널(60)상에 구동을 하지 아니하고 전자펜을 장착부에 안착하게 되는 경우(S20), 상기 전자팬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전자펜 장착부(30)는 상기 도 2에서 보듯이 Lo 이상의 검출신호(L1)를 발생시킨다.(S21)
그리고, 상기 검출신호 전송 받은 제어부(40)는, 상기 신호가 Lo레벨 이상인가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이 상기 전자펜 장착부에 안착됨으로 감지하여 상기 신호가 Lo레벨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 상기 전자펜이 터치 패널(60)상에서 접촉 구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22)
이에. 검출신호가 Lo이상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40)는 전원 스위치부(20)에 검출신호를 전송하여 터치 패널(60)에 배터리모드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하여 터치 패드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한다.(S23)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자펜 내부 배터리 충전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자펜이 터치 패널(60)상에 접촉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부는 충전제어시 초기상태로 인식하여 전자펜 충전부에 DC전원을 공급하지 아니한다.(S30)
사용자가 전자펜(200)을 터치 패널(60)상에 접촉 구동을 하지 아니하고 전자펜을 장착부에 안착하게 되는 경우(S40), 상기 전자팬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전자펜 장착부(30)는 상기 도 2에서 보듯이 Lo 이상의 검출신호(L1)를 발생시킨다.(S41)
그리고, 상기 검출신호 전송 받은 제어부(40)는, 상기 신호가 Lo레벨 이상인가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전자펜이 상기 전자펜 장착부에 안착됨으로 감지하여 상기 신호가 Lo레벨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 상기 전자펜(200)이 터치 패널(60)상에서 접촉 구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42)
한편, 제어부(40)는 전자펜 충전의 출력단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펜 내부 배터리(202)의 충전잔량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상기 충전잔량이 있는 경우(S50), 상기 전자펜 충전부(50)를 인에이블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상기 전자펜 출력단에 걸리는 부하가 없을때까지, 검출신호가 Lo이상 유지되는 범위에서, 전원 스위치부(20)에 신호를 전송하여 전자펜 충전부(50)에 DC전원을 인가하게 하여 전자펜 내부 배터리(202)에 전원이 충전되도록 전원을 제어하도록 한다.(S51)
참고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전자펜 장착부에서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데 있어, 상기 실시례와 같이 상기 리드 스위칭신호로 상기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펜 내부 배터리의 입력단이 상기 전자펜 충전부의 출력단에 결착되어 걸리는 부하의 전압레벨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력 제어방법은, 전자펜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상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전자펜 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펜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전자펜의 내부 배터리에 필요한 충전량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감소하여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증대함과 아울러 전자펜의 내부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스크린 터치의 사용불능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전자펜 장착부에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1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터치 패널의 입력전원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가 AC전원모드가 아닌 충전 배터리 전원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전자펜이 전자펜 장착부에 결착으로 인한 검출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전자펜이 상기 전자펜 장착부에 안착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터치 패널에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4. 휴대용 컴퓨터에 구비된 전자펜 장착부에 전자펜의 결착여부를 감지하는 1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펜의 충전전원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전자펜이 전자펜 장착부에 결착으로 인한 검출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전자펜이 상기 전자펜 장착부에 안착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전자펜 내부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판별하여 전자펜 내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전자펜 내부 배터리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KR1020030051926A 2003-07-28 2003-07-28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KR20050013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926A KR20050013315A (ko) 2003-07-28 2003-07-28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926A KR20050013315A (ko) 2003-07-28 2003-07-28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315A true KR20050013315A (ko) 2005-02-04

Family

ID=3722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26A KR20050013315A (ko) 2003-07-28 2003-07-28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3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0431B2 (en) 2008-07-17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803268B2 (en) 2020-12-04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thereof
US11875003B2 (en) 2019-07-26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izer panel of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p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0431B2 (en) 2008-07-17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875003B2 (en) 2019-07-26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izer panel of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state of electronic pen
US11803268B2 (en) 2020-12-04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3042A1 (en) Low power mode for portable computer system
US5911529A (en) Typing power
KR10062110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29969A1 (en) Energy saving system and method
US20100218021A1 (en) Notebook Computer
US20100315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attery Remaining Time
KR100630964B1 (ko) 어댑터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US7589503B2 (en) Re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enabling or interrupting recharging procedure for rechargeable battery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charging method thereof
KR20050013315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KR100734421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JP3496589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4159382A (ja) 電子機器
US20070129044A1 (en) Power Saving System
CN102185164A (zh) 笔记本电脑的电池控制装置及其方法
JP3436010B2 (ja) 携帯情報端末
KR101956141B1 (ko) 소비 전력을 줄인 전자 칠판
KR100315771B1 (ko) 컴퓨터시스템의전원제어장치및그방법
JPH06222878A (ja) 情報処理装置
KR100589981B1 (ko) 전지가 불필요한 무선데이터 입력장치
WO2024029259A1 (ja) 電子機器
KR101331224B1 (ko) 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11374A (ko) 저 전력 소비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 론처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40072874A (ko) 에너지 절약 전자 장치 및 그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에너지 절약 방법
KR100609874B1 (ko) 전자기기 시스템
KR20000061457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공급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