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874B1 - 전자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874B1
KR100609874B1 KR1020040090231A KR20040090231A KR100609874B1 KR 100609874 B1 KR100609874 B1 KR 100609874B1 KR 1020040090231 A KR1020040090231 A KR 1020040090231A KR 20040090231 A KR20040090231 A KR 20040090231A KR 100609874 B1 KR100609874 B1 KR 10060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pacity
power supply
battery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945A (ko
Inventor
서광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8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06F1/305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시스템은, 상기 전원소스로부터의 전원을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가 요구하는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컨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회로부와; 상기 전원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용량과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상기 시스템 회로부의 상기 DC/DC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가 동작 가능한 최저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어댑터가 제공하는 전원용량에 상관없이 전원을 제공받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시스템 { Electronic Equipment System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C어댑터 10 : 제어부
20 : 시스템 회로부 21 : 충전부
22 : DC/DC컨버터 24 : 오프셋 셋팅부
26 : CPU 27 : 그래픽카드
28 : 메모리부 30 : 비교부
32 : 감지부 34 : 전압비교부
40 : 배터리 50 : 컨트롤러
본 발명은,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댑터가 제공하는 전원용량에 상관없이 전원을 제공받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보통 AC전원을 공급받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DC전원을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AC어댑터를 일컫는다.
이처럼 AC어댑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상기 전자기기는 그 기능 또한 다양해져 더 많은 구동전원을 필요로 하는 추세이며, 이에 AC어댑터는 이러한 상기 전자기기를 지원하기 위해 공급할 수 있는 전원량이 커져야 하고 이에 따라 상기 AC어댑터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전자기기가 이동성을 중시하는 즉, 휴대용 컴퓨터인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가 불편함을 감수하고,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구동을 지원하기 위해 크기가 큰 어댑터를 구비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성을 고려하여 크기가 작은 어댑터를 휴대하고 상기 접속부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댑터가 공급할 수 있는 전원량 역시 작아짐으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부적합한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상기 어댑터가 열화되어 고장나거나, 심하게는 화재를 일으킬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댑터가 제공하는 전원용량에 상관없이 전원을 제공받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자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소스로부터의 전원을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가 요구하는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컨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회로부와; 상기 전원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용량과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상기 시스템 회로부의 상기 DC/DC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가 동작 가능한 최저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제공되는 전원용량과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상기 시스템 회로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회로부는 시스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용량이 소비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속도를 낮추거나 충전동작을 디세이블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소스로부터의 전원이 제공되지 아니하고 상기 배터리 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 시스템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상기 시스템 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AC전원을 공급받아 자신의 전원용량에 따라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자기기로 제공하는 AC어댑터(1)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능의 시스템 회로부(20)와,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40)와, AC어댑터(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전원용량과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시스템 회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시스템 회로부(20)는 전자기기의 중앙정보처리장치인 CPU(26)와,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카드(27)와, 각종 시스템 정보 및 응용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8)와, LCD(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LCD구동부(미도시)와, USB 포트(미도시)를 통한 USB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USB컨트롤러(미도시)와, AC어댑터(1)로부터의 전원을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 즉 CPU(26) 그래픽카드(27) 및 메모리부(28) LCD구동부(미도시) 등이 요구하는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컨버터(22)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 회로부(20)는 배터리(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DC/DC컨버터(22)는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26,27,28)로 출력하 는 구동전원의 출력전압에 오프셋 값을 설정하기 위한 오프셋 셋팅부(24)를 포함하며, DC/DC컨버터(22)는 후술할 컨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26,27,28)가 정상동작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저전압의 구동전원을 출력하도록 오프셋 셋팅부(24)에 (-)오프셋 값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구동전원의 출력전압의 레벨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전자기기 시스템의 소비 전원이 감소되는 절전모드로 동작한다.
즉, 예를 들어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26,27,28) 중 그래픽카드(27)가 필요로 하는 구동전원의 전압크기가 정상동작 시 5V이고 전압 마진이 4.5V~5.5V인 경우, 일반적인 정상구동모드 중에 DC/DC컨버터(22)는 5V의 구동전원을 그래픽카드(27)로 출력한다. 이때, 후술할 컨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절전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DC/DC컨버터(22)는 오프셋 셋팅부(24)에 그래픽카드(27)가 동작 가능한 최저전압의 구동전원(4V)을 출력하도록 오프셋 셋팅부(24)에 (-)오프셋 값을 세팅하고 이에 따른 구동전원(4V)을 그래픽카드(27)로 출력한다.
제어부(10)는 AC어댑터(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제공되는 전원용량과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을 비교하는 비교부(30)와, 비교부(30)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시스템 회로부(2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한다.
비교부(30)는, AC어댑터(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전원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소정의 감지저항(미도시)을 통해 AC어댑터(1)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전압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32)와, 감지부(32)를 통해 감지된 전압크기와 전자기기의 소 비 전원용량을 전압으로 환산한 기준전압크기를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34)를 포함한다.
컨트롤러(50)는, 전압 비교부(34)로부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AC어댑터(1)로부터의 전원의 전압크기가 기준전압크기보다 큰 경우, AC어댑터(1)의 전원용량이 전자기기의 소비 전원용량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하고 일반적인 구동모드로 시스템 회로부(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컨트롤러(50)는, AC어댑터(1)로부터의 전원의 전압크기가 기준전압크기보다 작은 경우, AC어댑터(1)의 전원용량이 전자기기의 소비 전원용량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시스템 회로부(20)를 제어한다. 이때 컨트롤러(50)는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오프셋 셋팅부(24)에 (-)오프셋 값을 세팅하여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26,27,28)가 동작 가능한 최저전압의 구동전원을 출력하도록 DC/DC컨버터(22)를 제어한다.
여기서, 컨트롤러(50)는, 전압 비교부(34)로부터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AC어댑터(1)로부터의 전원의 전압크기가 기준전압크기보다 큰 경우 AC어댑터(1)로부터의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40)를 충전하도록 충전부(21)를 제어하고, AC어댑터(1)로부터의 전원의 전압크기가 기준전압크기보다 작은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배터리(40)를 충전하는 속도를 낮추거나 충전동작을 디세이블하도록 충전부(21)를 제어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시스템은 실제 전자기기가 소비하는 전원량(예: 60W)보다 작은 전원용량(예: 40W)의 AC어댑터(1)가 접속되는 경우, (-) 오프셋값을 세팅하여 정상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구동전원을 최저전압으로 출력하도록 DC/DC컨버터(22)를 제어하고 배터리(40)의 충전동작을 제어하여 절전모드로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DC/DC컨버터(22)에 정상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오프셋값을 세팅하고 이에 따라 구동전원의 전압레벨을 낮추어 출력하는 절전모드는,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26,27,28…)의 정상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소비전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전자기기 시스템에서 AC어댑터(1)가 접속되지 않고 배터리(40)의 전원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의 DC/DC컨버터(22)의 (-)오프셋값을 이용한 절전모드로 구동하여 배터리(40)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C어댑터(1)가 접속되어 AC어댑터(1)로부터 전원이 제공되는 지를 판단한다(S10). 이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자기기에서 일반적으로 대부분 판단할 수 있다. AC어댑터(1)로부터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 비교부(30)는 AC어댑터(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감지한다(S20). 비교부(30)는 AC어댑터(1)의 전원용량에 대응하는 전압과 전자기기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에 대응하는 기준전압을 비교한다(S30). 컨트롤러(50)는 상기 비교결과 AC어댑터(1)의 전원용량이 소비 전원용량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배터리(40)를 충전하는 속도를 낮추거나 충전동작을 디세이블시키도록 충전부(21)를 제어한다(S40). 또한, 컨트롤러(50)는 (-)오프셋값을 세팅하여 정상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구동전원을 최저전압으로 출력하도록 DC/DC컨버터(22)를 제어한다(S50). 여기서, 상기 (S40)단계와 (S50)단계는 전자기기의 소비 전원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절전모드의 동작이다. 여기서, 상기 (S30)단계에서 비교결과 AC어댑터(1)의 전원용량이 소비 전원용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컨트롤러(50)는 일반적인 구동모드로 전자기기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즉, 절전모드를 수행하지 않는다(S60).
여기서, 상기 (S10)단계에서 AC어댑터(1)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지 않고 내부의 배터리(40)로부터의 전원으로 전자기기 시스템이 구동되는 경우, 컨트롤러(50)는 (-)오프셋값을 세팅하여 정상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구동전원을 최저전압으로 출력하도록 DC/DC컨버터(22)를 제어하는 (S50)단계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시스템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배터리(40)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의하여, AC어댑터(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용량이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보다 작은 경우, 즉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은 전원용량의 AC어댑터(1)로부터 전윈을 제공받는 경우에 시스템을 절전모드로 구동함으로써, AC어댑터(1)가 제공하는 전원용량에 상관없이 전원을 제공받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가 제공하는 전원용량에 상관없이 전원을 제공받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전자기기 시 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소스로부터의 전원을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가 요구하는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컨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회로부와;
    상기 전원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용량과 시스템의 소비 전원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상기 시스템 회로부의 상기 DC/DC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시스템내의 각 회로부가 동작 가능한 최저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제공되는 전원용량과 시스템
    의 소비 전원용량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
    다 큰 경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상기 시스템 회로부를 제어하는 컨트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회로부는 시스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용량이 소비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
    를 충전하고, 상기 소비 전원용량이 상기 전원용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
    전하는 속도를 낮추거나 충전동작을 디세이블하도록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소스로부터의 전원이 제공되지 아니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을 공급받아 시스템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절전모드로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상기 시스템 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KR1020040090231A 2004-11-08 2004-11-08 전자기기 시스템 KR10060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31A KR100609874B1 (ko) 2004-11-08 2004-11-08 전자기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31A KR100609874B1 (ko) 2004-11-08 2004-11-08 전자기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945A KR20060040945A (ko) 2006-05-11
KR100609874B1 true KR100609874B1 (ko) 2006-08-09

Family

ID=3714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231A KR100609874B1 (ko) 2004-11-08 2004-11-08 전자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384B1 (ko) * 2011-05-12 2012-11-29 김영원 고속충전회로, 고속충전회로를 구비한 usb 케이블 장치 및 고속충전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99A (ko) * 2000-07-19 2002-01-29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99A (ko) * 2000-07-19 2002-01-29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945A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043B2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0957903B1 (ko) 개선된 휴대 장치의 충전 방법
US8786131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ame to save energy
CN101715625B (zh) 具有提高的轻载效率的计算机系统电源
KR10062110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20023235A1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electric device, computer, and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KR19980084047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그 충전방법
JPH1094179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acアダプタ及び電源識別方法
KR101913557B1 (ko) 전자기기 및 그 전원제어방법
TWI408541B (zh) 用於一電腦系統之電源管理裝置及其相關電源管理方法與電腦系統
KR101721412B1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KR100621104B1 (ko) 전자장치
KR20160126508A (ko) 운영 상태에 따른 컴퓨터 본체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09874B1 (ko) 전자기기 시스템
EP2214078A2 (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control method applicable thereto
KR100734421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
KR100997482B1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공급장치 및 방법
US7012408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power of an AC/DC adaptor
KR100994806B1 (ko) 시스템의 전원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21544A (ko) 전자기기 시스템 및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554769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정보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0710879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0144383B1 (ko) 여유 전력을 이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충전 제어장치
JPH0566858A (ja) 機能拡張装置
KR1004800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류 절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