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879B1 -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879B1
KR100710879B1 KR1020000068605A KR20000068605A KR100710879B1 KR 100710879 B1 KR100710879 B1 KR 100710879B1 KR 1020000068605 A KR1020000068605 A KR 1020000068605A KR 20000068605 A KR20000068605 A KR 20000068605A KR 100710879 B1 KR100710879 B1 KR 10071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de
computer system
power suppl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387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8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그래픽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정규모드(S0 모드)와 슬립모드(S3 모드)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규모드를 위한 메인전원과 상기 슬립모드를 위한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규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스위칭회로로부터의 전원을 소정의 저압전원으로 변압하여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레귤레이터회로와; 상기 정규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그래픽 컨트롤러가 S3 모드를 지원하지 못하더라도, S3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 Comput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칭 회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20 : 레귤레이터
30 : 스위칭회로 31 : 제1스위치
32 : 제2스위치 40 : 코아(Core)V 레귤레이터회로
50 : 그래픽 컨트롤러 60 : 제어부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는 전원 관리(Power Management) 기능이 구비된다. 초기의 단순한 전원 관리 기능을 갖는 전원 관리 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에서 보다 향상된 전원 관리 기능을 갖는 '향상된 전원 관리 시스템(Advanced Power Management)'으로 그 기능이 향상되어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어 왔다. 현재 IBM 호환 기종의 컴퓨터 시스템은 대부분 APM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의 불필요한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시스템은 파워 온 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는 바이오스(BIOS)에 의한 부팅에서 운영 시스템에 의한 부팅까지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런데,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및 이에 탑재되는 운영 시스템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많아지면서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
보다 향상된 전원 관리 및 보다 빠른 컴퓨터 사용을 위해 인텔사(Intel Corporation),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 Corporation), 도시바사(Toshiba Corporation)는 1996년 12월 22일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Specification Revision 1.0"을 발표하였다. 최근 컴퓨터 시스템에 ACPI(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규격이 적용되고 있다. ACPI는 보다 향상된 전원 관리 및 보다 빠르게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CPI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관리 모드는 크게 6단계의 슬리핑 상태(Sleeping state) S0 ~ S5 모드로 규정하고 있다. S0 모드는 정규 모드를 나타 내며, S1 ~ S4 모드는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소비가 단계적 감소된 상태를 나타내며, S5 는 컴퓨터 시스템의 모든 전원이 차단된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전원 관리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는 메인전원(main power)과 대기전원(standby power)으로 분리된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ATX 규격(ATX specification)을 지원한다. ATX 규격을 지원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는 항상 대기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대기전원은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관리 컨트롤러(power management controller)로 공급된다.
여기서, ACPI의 S3 모드는 컴퓨터 시스템의 빠른 재사용을 위한 것으로, 이 모드에서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로 구성되는 시스템 메모리(RAM)와 전원 관리 컨트롤러를 제외한 그 밖의 다른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들로의 전원 공급은 중지된다. 시스템이 S3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서스팬드 투 램(suspend to RAM)' 이라고 하며, 상기 과정에서 시스템 메모리에 현재 상태가 저장된다.
시스템에서 S3 모드로 지정되면 ACPI 기능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RAM)에 현재 작업 상태를 저장하고, 모든 전원이 오프 되게 된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이 S3 모드에서 정규 모드로 전환되는 웨이크 업(Wake-Up) 동작에서 일반적인 부팅 과정이 진행되지 않고,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호출하여 빠르게 시스템을 재사용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전효과가 크며, 빠른 시스템의 재사용이 가능한 ACPI의 S3 모드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선호하게 된다.
컴퓨터 시스템이 S3 모드를 구현하는 데 있어, S3 모드가 지정되면 작업 내용은 시스템 메모리(RAM)에 저장되게 되며, 웨이크 업(Wake up)에 필요한 그래픽 데이터도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컨트롤러는 도4와 같이 전원공급부(110)로부터 3.3V와 레귤레이터(140)에 의해 변압되어 그래픽 컨트롤러내의 코아(Core)에 공급되는 코아V를 공급받게 된다. 그런데, 컴퓨터 시스템이 S3 모드로 진입함에도 불구하고, 그래픽 컨트롤러가 S3 모드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그래픽 컨트롤러는 시스템 메모리에 S3 모드의 웨이크 업(Wake up)에 필요한 그래픽 데이터를 전달하지 못하게 되어, 시스템이 S3 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 up)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래픽 컨트롤러가 S3 모드를 지원하지 못하더라도, S3 모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그래픽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정규모드(S0 모드)와 슬립모드(S3 모드)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규모드를 위한 메인전원과 상기 슬립모드를 위한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규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스위칭회로로부터의 전원을 소정의 저압전원으로 변압하여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레귤레이터회로와; 상기 정규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전 원을, 상기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PI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회로는,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정규모드에서 제2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슬립모드에서 제1스위치를 온시키는 스위치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스위칭회로 사이에는 상기 대기전원의 전원을 변압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 대기전원의 5VSB 전압을 그래픽 컨트롤러에서 필요로 하는 3.3V의 전압으로 변압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그래픽 컨트롤러와, 상기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메인전원과 대기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며 정규모드(S0 모드)와 슬립모드(S3 모드)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대기전원 및 메인전원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정규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며, 상기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메인전원과 대기전원을 중앙처리장치(미도시) 및 각종 하드웨어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와,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중앙처리장치(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그래픽 컨트롤러(50)와, 전원공급부(10)와 그래픽 컨트롤러(50) 사이에 개재되어 전원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메인전원과 대기전원을 그래픽 컨트롤러(50)에 전달하는 스위칭회로(30)와, 스위칭회로(30)와 그래픽 컨트롤러(50) 사이에 개재되어 스위칭회로(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 중 일부전원을 그래픽 컨트롤러(50)에서 사용되는 일정전압으로 변압시키는 레귤레이터회로(40)와 스위칭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공급부(10)는 ATX 규격(ATX specification)을 지원하며 오부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고 ±5V, ±12V, 3.3V의 메인 전원과 5V의 대기 전원을 출력한다. 전원공급부(10)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대기 전원을 항상 출력하며, 하이 레벨의 파워 온 신호(PW_ON) 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전원을 출력한다. 그리고, 3.3V와 5V 출력이 하한 전압 한계치(undervoltage threshold) 이상일 때 하이 레벨의 파워 굳 신호(PW_OK)를 출력한다. 여기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0)가 휴대용 컴퓨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AC 어뎁터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와 같이 메인 전원 및 대기 전원을 출 력한다.
스위칭회로(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원과 그래픽 컨트롤러(50) 사이에 구성되는 제1스위치(31)와, 메인전원과 그래픽 컨트롤러(50) 사이에 구성되는 제2스위치(33)와, 시스템이 정규모드(S0 모드)일 때는 제2스위치(33)를 온 시키며, 시스템이 슬립모드(S3 모드)일 때는 제1스위치(31)를 온 시키는 스위치구동부(35)를 포함한다.
스위칭회로(30)는 전원공급부(10)로부터 3.3V 메인전원(3.3V)과 5V 대기전원(5-SB)을 공급받아 그래픽 컨트롤러(50)에 적합한 3.3V 이중전원(3.3V DUAL)을 공급한다.
시스템이 S3 모드일 경우, 스위치구동부(35)는 제1스위치(31)를 온 시켜 레귤레이터(20)를 통해 3.3VSB로 변환된 대기전원(5VSB)을 그래픽 컨트롤러(50)에 제공하며, 시스템이 정규모드로 동작할 경우, 스위치구동부(35)는 3.3V 메인전원을 그래픽 컨트롤러(5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2스위치(33)를 온 시키게 된다.
제어부(60)는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시스템이 정규모드일 경우 전원공급부(10)로부터의 메인전원을 그래픽 컨트롤러(50)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회로(30)의 제1스위치(31)를 온시키며, 슬립모드일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0)로부터의 대기전원을 그래픽 컨트롤러(5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스위칭회로(30)의 제2스위치(33)를 온시키도록 제어한다.
레귤레이터회로(40)는 스위칭회로(30)와 그래픽 컨트롤러(50) 사이에 개재되어 스위칭회로(30)로부터 제공받는 3.3V DUAL 중 일부 전원을 그래픽 컨트롤러(50) 내의 코아(Core)에서 필요로 하는 1.9V의 코아(Core)V 전압으로 변압하게 된다. 여기서, 시스템이 정규모드일 때는 전력 소비량이 크게 됨으로 메인전원으로부터 공급받는 3.3V의 전원을 입력받아 1.9V DUAL의 코아(Core)V 전압으로 변압하여 그래픽 컨트롤러(50)에 공급한다. 또한, 시스템이 슬립모드인 S3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전력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며 메인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대기전원으로부터 공급받는 3.3VSB의 전원을 제공받아 1.9VSB DUAL 코아V 전압으로 변압하여 그래픽 컨트롤러(50)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난 흐름도이다.
전원공급부(10)는 3.3V의 메인전원과, 대기전원의 5VSB 전압이 레귤레이터(20)를 통해 3.3VSB로 바뀐 전원이 스위칭회로(30)로 전달되게 된다(S10). 스위칭회로(3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60)가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컴퓨터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는 과정에서는 전원 소비량이 많음으로 메인 전원에서 공급되는 3.3V를 그래픽 컨트롤러(50)에 공급하기 제2스위치(33)를 온 시켜 3.3V의 전원을 그래픽 컨트롤러(50)에 공급하게 된다(S20, S30).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이 S3 모드에서는 전원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메인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대기전원으로부터 3.3VSB 제공받아 그래픽 컨트롤러(5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제1스위치(31)를 온 시켜 3.3VSB를 그래픽 컨트롤러(50)에 공급하게 된다(S35).
그래픽 컨트롤러(5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3.3V의 전원 이외에도, 그래픽 컨트롤러(50)내의 코아(Core)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1.9V의 코아V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코아(Core)V 레귤레이터회로(40)는 스위칭회로(30)로부터 공급되는 3.3V DUAL을 소스로 레귤레이터회로(40)를 통해 1.9V DUAL의 코아V로 변압하게 된다. 여기서, 레귤레이터회로(40)는 컴퓨터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는 S0 모드에서는 전원 소비량이 많음으로 메인전원에서 공급되는 3.3V를 소스로 하여 1.9V로 변압하여 그래픽 컨트롤러(50)에 공급하게 되게 된다(S30).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이 S3 모드일 때는 전원 소비량이 적으므로, 메인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태임으로, 대기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3.3VSB를 소스로 하여 1.9VSB DUAL로 변압하여 그래픽 컨트롤러(50)에 공급하게 된다(SS35).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이 S3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그래픽 컨트롤러(50)의 S3 모드 지원여부와 상관없이, 전원공급부(10)(메인전원 또는 대기전원)의 전원이 그래픽 컨트롤러(50)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그래픽 컨트롤러(50)가 화상정보를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시키게 됨으로써, S3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 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스위칭회로(30)가 제1스위치(31), 제2스위치(33) 및 스위치구동부(35)를 갖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부와 그래픽 컨트롤러 사이에 스위칭 회로와 레귤레이터 스위칭 회로를 마련함으로써, 그래픽 컨트롤러가 S3 모드를 지원하지 못하더라도, S3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절전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컨트롤러가 S3 모드를 지원하지 못하더라도, S3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5)

  1.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처리하는 그래픽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정규모드(S0 모드)와 슬립모드(S3 모드)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규모드를 위한 메인전원과 상기 슬립모드를 위한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정규모드에서 제2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슬립모드에서 제1스위치를 온시키는 스위치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정규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스위칭회로로부터의 전원을 소정의 저압전원으로 변압하여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레귤레이터회로와;
    상기 정규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전원을, 상기 슬립모드일 경우 상기 대기전원을 상기 그래픽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스위칭회로 사이에는 상기 대기전원의 전원을 변압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68605A 2000-11-17 2000-11-17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710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05A KR100710879B1 (ko) 2000-11-17 2000-11-17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05A KR100710879B1 (ko) 2000-11-17 2000-11-17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387A KR20020038387A (ko) 2002-05-23
KR100710879B1 true KR100710879B1 (ko) 2007-04-27

Family

ID=1969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605A KR100710879B1 (ko) 2000-11-17 2000-11-17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53B1 (ko) * 2007-12-20 2010-04-05 주식회사 에이텍 듀얼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854A (ko) * 1997-06-26 1999-01-15 배순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최소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000066073A (ko) * 1999-04-13 2000-11-15 윤종용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854A (ko) * 1997-06-26 1999-01-15 배순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최소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000066073A (ko) * 1999-04-13 2000-11-15 윤종용 휴대 정보 단말기의 전원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387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124A (en) Computer system having power saving and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5664203A (en) Peripheral device input-initiated resume system for combined hibernation system and back-up power supply for computer
KR100603926B1 (ko) 여러 전원 관리 상태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전원 공급 제어 회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316647B1 (ko) 웨이크 온 랜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파워 제어방법및 그 장치
US8631257B2 (en) Platform power management based on latency guidance
KR101328393B1 (ko) 대기전력이 절감되는 컴퓨터 전원공급장치
EP21886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system on chip
US6092207A (en) Computer having a dual mode power supply for implementing a power saving mode
JP2747971B2 (ja) 携帯用情報処理機器の電源供給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7315955B2 (en) Circuit for turning off charging function to a battery of a system based on information set by user during the system in power-off state
EP2549653B1 (en) 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therefor
US5729061A (en) Over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for a rechargeable battery
US6272645B1 (en) Method and control circuit for waking up a computer system from standby mode
CN111741518A (zh) 一种WiFi芯片电路及WiFi装置
US6275947B1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to wake up or turn on computer via peripheral device
KR100710879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244643B1 (ko) 전원공급장치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장치 및 방법
KR0154711B1 (ko) 전원오프모드에 의한 프린터의 전원절약장치
KR101033944B1 (ko) 전원상태에 따른 시스템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793061A (ja) 情報処理装置
JP2003094770A (ja) 記録装置
JPH0566858A (ja) 機能拡張装置
KR20040027242A (ko) 컴퓨터시스템
KR100609874B1 (ko) 전자기기 시스템
KR100572307B1 (ko) 전원 관리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