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799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799A
KR20020007799A KR1020000041269A KR20000041269A KR20020007799A KR 20020007799 A KR20020007799 A KR 20020007799A KR 1020000041269 A KR1020000041269 A KR 1020000041269A KR 20000041269 A KR20000041269 A KR 20000041269A KR 20020007799 A KR20020007799 A KR 2002000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aving
saving mode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유창진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4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7799A/ko
Publication of KR2002000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7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자동 절전 방법은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전력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절전 모드에서 단말기를 저전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배터리의 잔여 전력이 다소 부족할 때에 단말기가 자동으로 절전 모드로 운용되어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이 자동 연장되며, 배터리의 잔여 전력이 부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 모드로 정상 운용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 및 기능 제한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AVING ELECTRICAL POW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절전 기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잔여 전력에 따라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저전력 상태에서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을 연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이동통신 기술에 있어서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와 함께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의 증대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단말기의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은 배터리의 충전 전하량과 단말기의 소비 전력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는데, 전자의 경우는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를 고려하여야 하며 후자의 경우는 단말기의 기능성을 함께 고려하여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기의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소비 전력 증가를 감수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동일한 배터리 조건에서 단말기의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의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동작 환경에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기술이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노력의 결과로 단말기에는 절전 기능이 부여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절전 기능은 사용자에 의한 절전 모드의 선택 여부에 전적으로 의존하였다.
상술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절전 모드가 선택되면 별도의 해제 이전까지 절전 모드가 상시 유지되며, 절전 모드에서는 소비 전력의 최소화를 위하여 각종 기능의 제한이 수행되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각종 기능 제한에 따르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상시 감수하여야만 하였다.
다른 한편,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절전 모드에서의 기능 제한을 최소화할 경우에는 소비 전력이 다시 증가하므로 절전 모드의 기능성이 무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배터리의 잔여 전력에 따라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저전력 상태에서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을 연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은,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전력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절전 모드에서 단말기를 저전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장치는,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검지부와, 상기 전력 검지부에 의한 전력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전력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액정표시창 구동부, 음향 발생부, 광다이얼부,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전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모드 선택부 102 : 전력 검지부
103 : 제어부 104 : 액정표시창(LCD) 구동부
105 : 음향 발생부 106 : 광다이얼부
107 : 통신 모듈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 절전 장치는, 사용자가 수조작하여 절전 모드와 일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101)와, 단말기에 결합된 배터리에 충전되어진 잔여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검지부(102)와, 모드 선택부(101)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모드 및 전력 검지부(102)에 의한 전력 측정값의 대소에 의거하여 절전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 제어부(103)와, 이 제어부(103)의 절전 모드에서 저전력 제어되는 액정표시창(LCD) 구동부(104), 음향 발생부(105), 광다이얼부(106), 통신 모듈(107)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 절전 방법은, 초기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절전 모드가 선택되면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201∼S203)와, 상기 전력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전력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4∼S205)와, 상기 절전 모드에서 단말기의 액정표시 기능, 음향 기능, 광다이얼 기능, 통신 기능 등을 제한하여 저전력 제어하는 단계(S206∼S210)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절전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일반 모드로 정상 운용되는 단계(S211)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절전 장치 및 방법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절전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기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101)를 통하여 절전 모드를 선택하면 전력 검지부(102)는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한다(S201∼S203). 여기서 모드 선택부(101)를 위하여 별도의 기능 버튼을 단말기에 부착할 수도 있겠으나 기존의 기능 버튼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절전 모드 선택 기능을 추가하거나 키패드의 특정 버튼을 절전 모드의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의 역할을 겸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력 검지부(102)에서 검지된 전력 측정값은 제어부(103)로 신호 전달되며, 제어부(103)는 절전 모드로의 전환을 위하여 기 설정된 전력 기준값과 전력 검지부(102)로부터 전달받은 배터리 전력 측정값을 상호 비교한다(S204).
이러한 전력 비교 결과 전력 기준값이 전력 측정값을 상위하면 제어부(103)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며(S205), 액정표시창 구동부(104), 음향 발생부(105), 광다이얼부(106), 통신 모듈(107)을 제어하여 단말기의 액정표시 기능, 음향 기능, 광다이얼 기능, 통신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단말기를 저전력 운용한다.
액정표시창 구동부(104)를 제어하여 액정표시창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음향 발생부(105)를 제어하여 각종 사운드 및 경보음의 출력 레벨을 낮게 조절하고, 광다이얼부(106)를 제어하여 광다이얼 램프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206∼S208). 아울러 통신 모듈(107)을 제어하여 단말기를 저전력을 위한 슬롯 모드로 전환시킨다(S209).
아울러, 제어부(103)는 기본 통화 모드로 진입하여 전화 통화를 위한 기본 프로그램만을 처리하여 연산량을 최소화시킨다(S210).
상기와 같은 단말기의 절전 모드에서 전력 검지부(102)는 단계 S203과 같이 지속적으로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하며, 제어부(103)는 단계 S204와 같이 지속적으로 전력 기준값과 전력 측정값을 상호 비교한다.
따라서, 절전 모드로 전환된 상태라 하더라도 배터리가 충전되어 전력 측정값이 전력 기준값을 상위하면 제어부(103)는 다시 일반 모드로 전환되며, 액정표시창 구동부(104), 음향 발생부(105), 광다이얼부(106), 통신 모듈(107)의 기능을 더 이상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가 절전 모드로 운용되는 중에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101)를 통하여 절전 모드의 해제, 즉 일반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3)는 일반 모드로 전환되며,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는 일반 모드로 정상 운용된다(S21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잔여 전력에 따라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자동 전환되며, 절전 모드에서는 단말기의 각종 기능이 제한되어 단말기의 소비 전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잔여 전력이 다소 부족할 경우에는 단말기가 절전 모드로 운용되어 단말기의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이 연장되며, 배터리의 잔여 전력이 부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 모드로 정상 운용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 및 기능 제한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전력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절전 모드에서 단말기를 저전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절전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전 모드 전환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절전 모드 선택 상태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제어단계는 액정표시 기능, 음향 기능, 광다이얼 기능, 통신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 기능의 제한은 액정표시창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능의 제한은 각종 사운드 및 경보음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다이얼 기능의 제한은 광다이얼 램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능의 제한은 단말기를 저전력을 위한 슬롯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8. 배터리의 잔여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검지부와,
    상기 전력 검지부에 의한 전력 측정값과 기 설정된 전력 기준값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액정표시창 구동부, 음향 발생부, 광다이얼부, 통신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전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절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및 상기 절전 모드 선택 상태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에서 전화 통화를 위한 기본 프로그램만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장치.
KR1020000041269A 2000-07-19 2000-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KR20020007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269A KR20020007799A (ko) 2000-07-19 2000-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269A KR20020007799A (ko) 2000-07-19 2000-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799A true KR20020007799A (ko) 2002-01-29

Family

ID=1967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269A KR20020007799A (ko) 2000-07-19 2000-07-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779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65A (ko) * 2002-10-22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벨소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55165B1 (ko) * 2002-10-11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발광소자 제어 방법
KR100609874B1 (ko) * 2004-11-08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시스템
KR100645011B1 (ko) * 2004-08-17 2006-11-10 박종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0703659B1 (ko) * 2005-12-20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의 배터리 절약 제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0705442B1 (ko) * 2004-12-23 2007-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슬립모드 방법 및 슬립모드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KR100768854B1 (ko) * 2005-09-29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11122754A1 (en) * 2010-04-01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CN103199311A (zh) * 2013-02-05 2013-07-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便携式电子产品的电池省电方法、设备及移动终端
CN104954567A (zh) * 2015-06-16 2015-09-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用电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65B1 (ko) * 2002-10-11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발광소자 제어 방법
KR20040035465A (ko) * 2002-10-22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벨소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45011B1 (ko) * 2004-08-17 2006-11-10 박종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0609874B1 (ko) * 2004-11-08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시스템
KR100705442B1 (ko) * 2004-12-23 2007-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슬립모드 방법 및 슬립모드 방법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KR100768854B1 (ko) * 2005-09-29 2007-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703659B1 (ko) * 2005-12-20 200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의 배터리 절약 제어 장치 및 그제어 방법
WO2011122754A1 (en) * 2010-04-01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US8743817B2 (en) 2010-04-01 2014-06-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CN103199311A (zh) * 2013-02-05 2013-07-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便携式电子产品的电池省电方法、设备及移动终端
CN104954567A (zh) * 2015-06-16 2015-09-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用电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814B1 (ko) 디스플레이 전력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5894298A (en) Display apparatus
EP1303113B1 (en) Portable terminal
AU7232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of a portable radio transceiver
US5636265A (en) Radio telephone with automatic answering
US20090138736A1 (en) Power management metho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70111764A1 (en)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2224340C (en) Portable device battery technique
US20020147037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077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EP1686780B1 (en) Battery detection circuit for cordless telephones
JP2007288296A (ja) 携帯端末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KR100312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JP2000324239A (ja) 携帯電話機
JPH06311079A (ja) オートパワーオフ機能を有する移動電話機
US8621254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educible power consumption in the readiness state
KR100305860B1 (ko) 셀룰라폰의통화시전력절감방법
KR1004600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액정 표시부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KR2004004298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모드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0111B1 (ko)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방법
KR2002006995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2111865A (ja) カラー液晶を表示部として持つ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照明方法
KR2001000451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09

Effective date: 2006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