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01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011B1
KR100645011B1 KR1020040064767A KR20040064767A KR100645011B1 KR 100645011 B1 KR100645011 B1 KR 100645011B1 KR 1020040064767 A KR1020040064767 A KR 1020040064767A KR 20040064767 A KR20040064767 A KR 20040064767A KR 100645011 B1 KR100645011 B1 KR 100645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output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361A (ko
Inventor
박종도
배상휴
이용국
Original Assignee
박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도 filed Critical 박종도
Priority to KR102004006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0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악되는 위치정보로부터 음향출력 통제 지역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할 경우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을 통제하도록 요청하는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이 통제되게 되어 공공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음향출력 통제, 위치정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 {Sound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phon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의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의 음향출력 통제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의 음향출력 통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향출력 통제서버 110 : 데이타베이스
120 : 위치감시부 130 : 음향출력 통제부
131 : 사용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 132 : 음향출력 통제 요청부
133 : 음향출력 통제 해제 요청부 134 : 설정정보 처리부
135 : 발신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 136 : 긴급통화 요청부
140 : 회원관리부 200, 300 :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정숙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문자메시지 수신음, 알람, 진동음 등의 각종 음향출력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울림방지 기술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등록특허공보 제 10-355750 호(2002. 09. 25)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정숙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여 방지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공개특허공보 제 2004-12038 호(2004. 02. 11)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정숙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 2004-12038 호에서 제시한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이와 교신하는 기지국을 통해 파악하여, 단말기가 일반지역에서 매너모드 지역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벨소리를 매너모드로 절환하고, 매너모드 지역에서 일반지역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벨소리를 원래로 절환하도록 한 것을 기술 적 요지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제어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보다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게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악되는 위치정보로부터 음향출력 통제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음향출력 통제를 수행하되,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악되는 위치정보로부터 음향출력 통제 지역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 재할 경우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을 통제하도록 요청하는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통제시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요청시 해당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 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연동되는 음향출력 통제서버(100)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서버 처리모듈과,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처리 모듈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교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악되는 위치정보로부터 음향출력 통제 지역인지를 판단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할 경우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을 통제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은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로부터의 음향출력 통제 명령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음향출력의 통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문자메시지 수신음, 알람음, 진동음 등의 각 종 음향출력이 금지되도록 제어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한편,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나, 부재중 전화 표시 서비스 등의 각종 부가적인 서비스는 상기 음향출력 통제와는 별도로 이루어지게 되나, 이들 서비스에 의한 음향출력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문자메시지 수신음, 알람음, 진동음 출력을 차단하는 구체적인 기술에 관련해서는 통상적인 음향출력 차단 기술에 관련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 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며, 본원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난다 사려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의 음향출력 통제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는 서버 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 처리모듈은 데이타베이스(110)와, 위치감시부(120)와, 음향출력 통제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110)는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즉, 음향출력을 통제할 통제지역 예컨데,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정숙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 대한 온/오프 라인을 통한 음향출력 통제 요청에 따라, 해당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110)에 저장하게 되는데, 상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는 해당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위치한 기지국 식별정보로부터 산출되거나, GPS 시스템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시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110)에 저장된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대기 상태에서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을 통해 주변의 기지국(BS : Base Station)중 주파수가 제일 큰(수신감도가 좋은)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교신하며, 인접 셀(Cell)로 이동(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이동하여 주파수가 제일 큰 새로운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핸드 오프(Hand Off) 절차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교신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느 지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 및 이 식별정보에 연동된 위치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위치감시부(120)는 소정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또는 음향출력 통제지역으로 진입하였는지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위치감시부(1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위치감시부(120)는 수신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110)에 저장된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위치감시부(120)와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또는 장치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 등에 의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위치감시부(120)를 이동통신 시스템상에 구현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이 기지국과 교신하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음향출 력 통제 명령을 음향출력 통제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 통제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할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통제 절차를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131)와, 음향출력 통제 요청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131)는 상기 위치감시부(120)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한다 판단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사용자용 음향출력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용 음향출력 통제 안내메시지는 예컨데, "본 장소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본 장소는 정숙을 요하는 곳이니 부득이 귀하의 휴대폰 음향출력을 차단하겠습니다."와 같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형태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향출력 통제 요청부(132)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할 경우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즉,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는 음향출력을 통제하는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는 소정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음향출력 통제 요청부(132)를 통해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내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수신한 음향출력 통제 명령에 따라 음향출력을 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악되는 위치정보로부터 음향출력 통제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음향출력 통제를 수행하되,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음향출력 통제부(130)가 음향출력 통제 해제 요청부(133)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 통제 해제 요청부(133)는 상기 위치감시부(120)에 의해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외로 벗어났다 판단된 경우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내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수신한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에 따라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한다.
상기 음향출력 통제 해제는 두 가지 방식으로 가능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신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특정버튼을 누름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내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상기한 바와같이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되어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외로 벗어나는지를 감시하여, 벗어날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내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음향출력 통제지역을 벗어날 경우 효율적으로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해제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음향출력 통제부(130)가 설정정보 처리부(134)와, 발신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135)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설정정보 처리부(134)는 해당 음향출력 통제될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될 발신자용 안내메시지에 포함될 설정정보 입력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요청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설정정보 처리부(134)가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음향출력 통제될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설정정보 입력이 없을 경우 미리 저장된 표준정보를 설정정보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신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135)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통화요청 수신시 해당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상기 설정정보를 포함한 발신자용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발신자용 안내메시지는 "현재 해당 고객은 영화감상중이므로,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음향출력이 차단되고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위 시간 이후에 다시 걸어주시기바랍니다. 만일, 급한 용무일 경우에는 #버튼을 눌러주세요." 와 같은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형식으로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통화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된다.
상기 예로든 메시지 내용중에서 '영화감상', '오후 7시부터 9시까지'가 상기 설정정보 처리부(134)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설정정보이며, 이 설정정보에는 음향출력을 통제할 시간, 통제 이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이 실시예는 고객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통제지역내에 있다 판단된 경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음향출력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하여 알리기 위한 것으로,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상기 설정정보 처리부(134)를 통해 해당 음향출력 통제될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될 발신자용 안내메시지에 포함될 설정정보 입력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요청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요청하여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통화요청이 있는지 감시하고, 소정의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통화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발신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135)를 통해 해당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상기 설정정보를 포함한 발신자용 안내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음향출력 통제부(130)가 긴급통화 요청부(136)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긴급통화 요청부(136)는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부터의 긴급통화 요청에 따라 해당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긴급통화 요청명령을 전송한다.
즉, 이 경우는 때에 따라 긴급을 요하는 통화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음향출력 통제서버(130)가 긴급통화 요청부(136)를 통해 해당 음향출력 통 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긴급통화 요청명령을 전송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수신된 긴급통화 요청명령에 따라 진동모드로 진동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긴급통화 요청을 통보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긴급통화 요청을 위해,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30)는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발신자용 안내메시지에 긴급통화 요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발신자는 이 긴급통화 요령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버튼을 누른다거나 함에 의해 긴급통화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30)가 회원관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140)는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에 대한 회원제 서비스를 위해 음향출력 통제서버(100)에 네트워크 접속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PDA,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에 대한 회원등록/변경/탈퇴 요청에 따라 회원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회원등록/변경/탈퇴에 관련해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엔, 상기 위치감시부(120)가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에 대해 등록된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교신하는 기지국(BS)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110)에 저장된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한다.
따라서,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에 대해 회원 등록한 사용자들에게만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연동된 음향출력 통제서버(100)로부터의 음향출력 통제 명령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음향출력을 통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가능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로부터의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즉, 이 경우는 음향출력 통제서버(100)로부터의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사용자로부터의 특정키 입력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즉, 이 경우는 사용자가 특정키를 누를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은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 지역내에 있을 경우에는 음향출력을 통제하고,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 지역외에 있을 경우에는 음향출력 통제서버(100)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에 따라 음향출력 통제를 해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은 음향출력 통제 지역을 벗어날 경우 효과적으로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해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의 음향출력 통제 방법을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의 음향출력 통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위치감시단계(S110)에서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교신하는 기지국(BS)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110)에 저장된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한다.
만일, 상기 위치감시단계(S110)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한다 판단된 경우 메시지 전송단계(S120)에서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사용자용 음향출력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다음, 설정정보 처리단계(S130)에서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해당 음향출력 통제될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300)로 전송될 발신자용 안내메시지에 포함될 설정정보에 대한 입력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요청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 다음, 상기 설정정보 처리단계(S130)에 의해 설정정보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음향출력 통제 요청단계(S140)에서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수신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음향출력 통제를 수행함으로써,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정숙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소음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외로 벗어났다 판단된 경우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100)가 음향출력 통제 해제 요청단계(S210)를 통해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음향출력 통제 해제 요청을 하고, 이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을 수신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해제를 수행함으로써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음향출력 통제가 해제된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을 통제 또는 통제 해제하되,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악되는 위치정보로부터 음향출력 통제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음향출력 통제를 수행하되, 음향출력 통제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및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와;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하는 위치감시부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용 음향출력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와, 상기 사용자용 음향출력 통제 안내메시지 전송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전송하는 음향출력 통제 요청부와, 상기 위치감시부에 의해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외로 벗어났다 판단된 경우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향출력 통제 해제 요청부와, 해당 음향출력 통제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발신자용 안내메시지에 포함될 설정정보 입력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청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설정정보 처리부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요청 수신시 해당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설정정보를 포함한 발신자용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자용 안내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 통제부를;
    포함하는 음향출력 통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통제부가:
    상기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통화 요청에 따라 해당 음향출력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긴급통화 요청명령을 전송하는 긴급통화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처리부가: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음향출력 통제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설정정보 입력이 없을 경우 미리 저장된 표준정보를 설정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통제서버가: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에 대한 회원제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에 대한 회원등록/변경/탈퇴 요청에 따라 회원관리를 수행하는 회원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시부가:
    음향출력 통제 서비스에 대해 등록된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향출력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하는 위치감시단계와;
    상기 위치감시단계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내에 존재한다 판단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용 음향출력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와;
    해당 음향출력 통제될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발신자용 안내메시지에 포함될 설정정보 입력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요청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설정정보 처리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처리단계에 의해 설정정보 처리가 완료되면, 음향출력 통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향출력 통제 요청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음향출력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향출력 통제지역외로 벗어났다 판단된 경우 음향출력 통제 해제 명령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향출력 통제 해제 요청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방법.
KR1020040064767A 2004-08-17 2004-08-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0645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67A KR100645011B1 (ko) 2004-08-17 2004-08-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767A KR100645011B1 (ko) 2004-08-17 2004-08-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61A KR20060016361A (ko) 2006-02-22
KR100645011B1 true KR100645011B1 (ko) 2006-11-10

Family

ID=3712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767A KR100645011B1 (ko) 2004-08-17 2004-08-17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0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024A (ko) * 2000-01-24 2001-08-11 우경구 가상기지국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장치
KR20020007799A (ko) * 2000-07-19 2002-01-29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KR20030015624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통신 장치의 자동 진동모드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71502A (ko) * 2002-02-27 2003-09-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기지국, 기지국 제어국,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모드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024A (ko) * 2000-01-24 2001-08-11 우경구 가상기지국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장치
KR20020007799A (ko) * 2000-07-19 2002-01-29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절전 방법 및 장치
KR20030015624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통신 장치의 자동 진동모드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71502A (ko) * 2002-02-27 2003-09-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기지국, 기지국 제어국,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모드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361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216B1 (ko)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특성의 원격 전환 방법
US75190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ed-media call formatting
EP1298954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the alert type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5538903B2 (ja) 移動通信網を用いた緊急電話の誤用・乱用防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80047417A (ko) 콘택스트에 의해 메시지의 신선함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535220A (ja) 移動通信装置ユーザの個人ステータスを報告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KR101029463B1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문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128200B1 (ko)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자동 응답 방법
KR1006450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0692794B1 (ko) 무성 통화 시스템과, 무성통화 단말기 및 무성통화 방법
JP3186755B1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話規制メッセージ挿入方法
US200201070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ng a user of public place behavio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42068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자동응답 모드로의 자동 전환방법
KR100645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1747967B1 (ko)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302370B2 (ja) 通信装置の動作特性の遠隔変更方法
KR20000018813A (ko) 이동 전화기의 자동 착신 응답 안내 방법
JP2004221654A (ja) 移動端末、管理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5236790A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無線装置
KR20000019476U (ko) 휴대폰 수화 방법
KR20020021474A (ko) 회의 모드시 휴대폰과 이동교환국의 착신 호 처리방법
KR2005010502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수신 거부 방법
KR200100664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호출 방법 및 단말기의상태천이 방법
JP2001045563A (ja) 基地局及び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