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3273A -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3273A
KR20050013273A KR1020030051869A KR20030051869A KR20050013273A KR 20050013273 A KR20050013273 A KR 20050013273A KR 1020030051869 A KR1020030051869 A KR 1020030051869A KR 20030051869 A KR20030051869 A KR 20030051869A KR 20050013273 A KR20050013273 A KR 20050013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isplay device
vent
unit
ad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3273A/ko
Publication of KR2005001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트 내의 열을 방출시키기거나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백 커버 등의 외부 케이스에 형성한 통기공 주변에 공기 중에 함께 유입되는 쇳가루만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쇳가루 흡착수단이 구비되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는 백 커버 또는 외부 케이스 측벽에 내부 발열을 목적으로 하는 통기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 주변에 쇳가루 흡착수단을 구비시켜 통기공으로 유입되는 쇳가루가 여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트 내부로 유입되는 쇳가루 성분을 간단히 제거함으로서, 쇳가루에 의한 내부 기기의 치명적 결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제품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쇳가루 흡착수단이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기간 사용하다 어느 정도 쇳가루가 모이게 되면, 상기 흡착수단을 분리시켜 쇳가루만을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여 사용하는 편리함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Iron dust Filtering Structure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트 내의 열을 방출시키기거나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백 커버 등의 외부 케이스에 형성한 통기공 주변에 공기 중에 함께 유입되는 쇳가루만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쇳가루 흡착수단이 구비되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브라운관 면에 문자나 도형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종류에는 CRT디스플레이장치, 기억형 표시, PDP(Plasma Display Panel) 및 액정(液晶), EL(electro luminescence), 발광(發光) 다이오드, ECD(electro chromic display) 등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도 특히, PDP(Plasma Display Panel)는 초박막형 브라운관을 갖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PDP는 GAS 방전으로 빛을 발하는 원리로서, 플라스마와 형광체 결합에 의하여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는 방사성 타입의 디스플레이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PDP는 쓰임새에 있어, 크게 가정용과 산업용으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산업용으로의 쓰임새가 크게 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한 예로써, 지하철 역사에 비치되어 승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예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PDP는 모듈 자체의 열 및 전원부의 열로 인해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해 발열량이 매우 많은 편이다. 이러한, 내부 열을 적절히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백 커버 또는 본체 케이스 일측벽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시켜내부 열이 밖으로 빠져나오게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냉각을 목적으로 하는 통기공의 의도와는 달리, 외부의 불순물이 통기공을 통해 세트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때, 일반 먼지의 경우는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유입물질이 쇳가루라고 하면 사정은 크게 달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트 내부로 유입된 쇳가루는 기기 내부에 자계적 영향을 미치거나, 전기적 쇼트 등을 일으켜 기기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최악의 경우, 기기 자체를 교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는 가정에서보다 쇳가루 발생이 많은 산업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문제로서, 그 폐해가 더욱 큰 것이지만, 내부 발열 문제로 인해 통기공 주변에 필터를 설치하거나 할 수도 없는 상황이어서, 이에 대한 시급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 내의 열을 방출시키기거나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백 커버 등의 외부 케이스에 형성한 통기공 주변에 공기 중에 함께 유입되는 쇳가루만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쇳가루 흡착수단이 구비되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쇳가루 여과구조를 세트 내부에서 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쇳가루 여과구조를 세트 내부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흡착부를 이루는 여과망과 통기공과의 다양한 배열형태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세트 20: 통기부
21: 통기공 30: 쇳가루 흡착부
40: 자기력 발생부 50: 지지부
60: 결합수단 61: 스크류
62: 결합돌기 63: 결합 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는 백 커버 또는 외부 케이스 측벽에 내부 발열을 목적으로 하는 통기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 주변에 쇳가루 흡착수단을 구비시켜 통기공으로 유입되는 쇳가루가 여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발열을 위해 형성한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주변에 설치되어 세트 내부로 유입되는 쇳가루를 흡착하도록 된 쇳가루 흡착부; 상기 쇳가루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세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발열을 위해 형성한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주변에 설치되어 세트 내부로 유입되는 쇳가루를 흡착하도록 된 쇳가루 흡착부; 상기 쇳가루 흡착부와 결합하여 흡착부가 자화(磁化)되도록 하는 자기력 발생부; 상기 자기력 발생부 및 쇳가루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세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력 발생부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쇳가루 흡착부는 영구자석 또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磁化)되는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쇳가루 흡착부는 다수의 분리막으로 구획되어진 다수의 독립구간들로 이루어진 여과망에 자기력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막으로 구획되어진 하나의 독립구간은 통기부의 하나의 통기공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망은 격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돌기와 홀을 포함하는 암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착수단이 세트 외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쇳가루 흡착부의 두께를 적어도 통기부의 통기공 깊이와 같거나 이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쇳가루가 충분히 여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쇳가루 여과구조를 세트 내부에서 본 정면도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발열을 위해 형성한 통기부(20)와, 상기 통기부(20)의 주변에 설치되어 세트(10)내부로 유입되는 쇳가루를 흡착하도록 된 쇳가루 흡착부(30)와, 상기 쇳가루 흡착부(30)를 지지하는 지지부(50)와, 상기 지지부(50)를 세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쇳가루 흡착부(30)는 자기력이 형성된 여과망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쇳가루 흡착부(30)는 자기력을 갖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분리막으로 구획되어진 다수의 독립구간들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쇳가루가 효율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막으로 구획되어진 하나의 독립구간에 하나의 통기공(21)이 내포되도록 하거나, 상기 분리막과 통기공(21) 겹치도록 설계할 수 있는데, 분리막과 통기공(21)이 겹쳐지는 것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기기의 냉각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독립구간 안에 하나의 통기공(21)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쇳가루 흡착부(30)의 두께를 적어도 통기부(20)의 통기공(21) 깊이와 같거나 이보다 두껍게 형성하여줌으로써, 쇳가루 흡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60)은 체결나사(61)를 이용하는데,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62)와 결합 홀(63)을 포함하는 암수 결합구조를 이용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0)는 사출물로 형성되는데, 일측에 쇳가루 흡착부(30)가 결합되고, 타측에 스크류(61)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 홀 대신 도 5에서와 같이 결합돌기(6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공기 중에 분진형태로 떠다니는 미세한 쇳가루가 디스플레이장치의 통기공(21)을 통해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통기공(21) 주변에 설치된 쇳가루 흡착부(3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쇳가루 흡착부(30)에는 자기력이 형성되고 있어, 분진형태의 쇳가루는 공기와 함께 세트(10) 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쇳가루 흡착부(30)에 전량 흡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흡착되어진 쇳가루는 일정기간이 지나, 적정량이 되면, 세트(10)로부터 지지부재(50)을 분리시켜 청소한 후, 다시 장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쇳가루 흡착수단을 세트(10) 외벽에 형성하면, 청소 등이 더욱 편리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쇳가루 여과구조를 세트 내부에서 본 정면도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쇳가루 흡착부(30)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磁化)되는 강자성체로 형성하고, 그 일측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자기력 발생부(40)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과 같은 고가의 재료를 아낄 수 있게 되고, 쇳가루 흡착부(30)를 강자성체로 이용함으로써, 성형이나 가공 등이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도 6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흡착부를 이루는 여과망과 통기공과의 다양한 배열형태를 보인 개략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쇳가루 흡착부(30)는 자기력이 형성된 여과망 형태로, 다수의 분리막으로 구획되어진 다수의 독립구간들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여과망은 격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자구조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배열형태를 갖거나, 마름모꼴의 배열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독립구간의 형상과 통기공(21)의 형상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흡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쇳가루 등과 같은 분진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지하철 역사나, 산업현장에 적용되어도 제품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통기공 주변에 공기 중에 함께 유입되는 쇳가루만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쇳가루 흡착수단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세트 내부로 유입되는 쇳가루 성분을 간단히 제거함으로서, 쇳가루에 의한 내부 기기의 치명적 결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쇳가루 등과 같은 분진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지하철 역사나, 산업현장 등에서도 제품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쇳가루 흡착수단이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기간 사용하다 어느 정도 쇳가루가 모이게 되면, 상기 흡착수단을 분리시켜 쇳가루만을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여 사용하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11)

  1. 백 커버 또는 외부 케이스 측벽에 내부 발열을 목적으로 하는 통기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 주변에 쇳가루 흡착수단을 구비시켜 통기공으로 유입되는 쇳가루가 여과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2.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발열을 위해 형성한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주변에 설치되어 세트 내부로 유입되는 쇳가루를 흡착하도록 된 쇳가루 흡착부;
    상기 쇳가루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세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3.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 발열을 위해 형성한 통기부;
    상기 통기부의 주변에 설치되어 세트 내부로 유입되는 쇳가루를 흡착하도록 된 쇳가루 흡착부;
    상기 쇳가루 흡착부와 결합하여 흡착부가 자화(磁化)되도록 하는 자기력 발생부;
    상기 자기력 발생부 및 쇳가루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세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발생부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5. 제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쇳가루 흡착부는 영구자석 또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磁化)되는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쇳가루 흡착부는 다수의 분리막으로 구획되어진 다수의 독립구간들로 이루어진 여과망에 자기력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으로 구획되어진 하나의 독립구간은 통기부의 하나의 통기공을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은 격자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9.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돌기와 홀을 포함하는 암수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이 세트 외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11.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쇳가루 흡착부의 두께를 적어도 통기부의 통기공 깊이와 같거나 이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쇳가루가 충분히 여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KR1020030051869A 2003-07-28 2003-07-28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KR20050013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869A KR20050013273A (ko) 2003-07-28 2003-07-28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869A KR20050013273A (ko) 2003-07-28 2003-07-28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273A true KR20050013273A (ko) 2005-02-04

Family

ID=3722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869A KR20050013273A (ko) 2003-07-28 2003-07-28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32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256B1 (ko) * 2021-12-08 2022-03-10 김선애 자력스크린을 구비한 나이프 게이트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256B1 (ko) * 2021-12-08 2022-03-10 김선애 자력스크린을 구비한 나이프 게이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18526A (ja) 背合わせの電子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
CN1229764C (zh) 等离子显示装置
CN109340945A (zh) 一种磁悬浮显示面板及空气净化器
KR20050013273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쇳가루 여과구조
CN100373422C (zh) 显示装置的铁屑过滤结构
CN212181866U (zh) 一种国际商务用电子标识牌
JP4715626B2 (ja) イオナイザ、イオナイザ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クリーンルームシステム
CN219395165U (zh) 真空吸附装置及生产设备
JP2013511423A (ja) 自動車のコントロールパネル用の表示装置
CN111458965A (zh) 一种放映机净化冷却除湿设备、方法及系统
JPH075818A (ja) 表示装置の冷却方法
CN111412548A (zh) 嵌入式消毒杀菌净化模块及吊顶式空调机组
WO2023115938A1 (zh) Led显示模组及led显示屏
KR20200088035A (ko) 가로등 탈부착 구조의 미세먼지 제거 장치
CN201312468Y (zh) 用于显示器的散热装置
CN210079085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207742892U (zh) 一种led显示屏
CN210167071U (zh) 一种led球形模组磁吸结构
CN202049691U (zh) 一种led显示屏的连接件
CN207407466U (zh) 一种新风、中央空调系统空气净化器
JP2007315708A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CN206410726U (zh) 钕铁硼一次性检测设备壳体
KR101082930B1 (ko) 팬필터 유닛
CN206058820U (zh) 一种前后维护的led显示屏的结构
CN205365253U (zh) 汽车仪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