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212A -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 - Google Patents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212A
KR20050012212A KR1020040117551A KR20040117551A KR20050012212A KR 20050012212 A KR20050012212 A KR 20050012212A KR 1020040117551 A KR1020040117551 A KR 1020040117551A KR 20040117551 A KR20040117551 A KR 20040117551A KR 20050012212 A KR20050012212 A KR 20050012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lactic acid
weight
acid bacteria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임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현 filed Critical 임수현
Priority to KR102004011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212A/ko
Publication of KR2005001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in powdered, granulated or dried solid for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6Agglomerating or granulating milk powder; Making instant milk powder; Products obtain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20Dietetic milk products not covered by groups A23C9/12 - A23C9/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Dairy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기들이 식사로 먹는 조제분유와 이유식에 유산균을 첨가하는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기존의 분유류나 이유식류에 유산균을 첨가함으로써 아기가 이를 먹을때 각종 영양소의 소화 흡수력을 높이고 배변을 좋게 하고 장내 유해세균을 억제하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킴으로서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크게 기여 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baby dry milk and weaning food contain lactobacilli etc.}
본 발명은 아기들이 먹는 조제분유나 이유식의 성분조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들이 태어난 후 모유수유를 못하는 경우에 분유류(분유 및 이에 유청단백질이나 비타민등 각종 영양소를 첨가한 조제분유)를 먹이게 되고 출생후 약 3~6개월이 지나면 단계별로 수년간을 이유식을 먹이게 된다.
그런데 이들 분유류나 이유식은 아이의 영양공급측면을 고려하여 비타민류나 무기질등 각종 성분을 첨가하고 있으나 막상 아이가 이를 섭취했을 때 이의 소화를 돕는 유산균등의 세균을 공급하는 측면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원래 모유를 먹어야 할 아이들이 분유를 먹게 되니 소화 흡수능력도 떨어지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도 약해져서 잦은 배탈설사나 알레르기 등 각종 질병에 시달리기가 쉬운 실정이다.
더구나 모유에는 루테리균(reuteri)등 천연적인 유산균도 존재하여 지속적으로 아기들이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으나 조제분유류를 먹는 아기들은 최초의 장내에 본래 유산균이 있었더라도 아기가 감기라도 걸려서 항생제등의 약을 쓰게 되면,이 항생제등에 의해 장내의 균류(유산균등 유익한 균이나 병원성 균이나 모두)가 거의 죽게 되므로 음식물로 유산균을 보충해 줄 필요가 있는 실정이나, 대개의 경우 이런때라도 유산균음료나 약을 따로 보충해 주지 않아 아기들의 장내에 유산균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출생후의 영아나 유아들이 먹는 분유류나 이유식류에 분말이나 과립으로 된 유산균을 혼합함으로써 모유를 섭취하지 못하는 아기들도 모유를 섭취하는 아기들처럼 상시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들이 보다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기들이 유산균을 수시로 섭취시 소화흡수력을 증대시키고 배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력도 증가시키켜 아이들의 건강을 좋게 하고 보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분말 또는 과립의 유산균을 첨가한 조제분유나 이유식류는 건조시킨 유산균의 분말이나 과립을 이유식이나 조제분유에 첨가 배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출생후에서 약3∼6개월까지의 영아나 유아들이 먹는 아기용 분유류에 함유되는 유산균분말이나 과립의 함량은 0.0001%∼10%로 제조한다.
또한 6개월이후의 많이 자란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식에 포함되는 건조 유산균의 함량은 0.5% ∼ 10%로 한다.
유산균은 위산에 견디고 장까지 도달하게 되면 체내에서 증식되므로 미량의 작은량이라도 투입시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유산균은 우유에서부터 만들어지므로 그 자체적으로 영양원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이 섭취해도 무관하다.
그러므로 영아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분유류의 유산균 함량의 하한값은 0.0001%로 설정하였고 유산균함량의 최대값은 10%이하로 하였다. 그리고 3∼6개월 이후의 성장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이유식은 분유류와 비교할 때, 식재료가 주로 곡물재료로서 소화시키기에 더욱 어려움이 있는 만큼 유산균의 함량 하한값을 분유류보다 대폭 증대시켜 0.5%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첨가되는 유산균은 유산균을 건조하여 단순히 분말화하여 사용하거나 건조한 유산균을 위산에 보다 저항력을 갖는 물질로 코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실상 대부분의 유산균은 코팅을 하지 않아도, 대부분이 위액에서 살아 남아 장까지 도달하므로 코팅처리를 할 필요는 없다. 이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로서도 입증된다.
2001년 대한소화기학회지에 실린 '발효유 섭취 후 위내 pH의 변화와 생존율'(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송인성)에서 유산균의 생존율은 다음표와 같다.
* 유산균의 생존율 (%)
(※ 근거문헌 : 대한소화기학회지 2001; 37:82-89, 송인성(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또한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대부분의 유산균은 pH 2.5의 인공위액에서 살아 남는 내산성이 강한 선택된 균이므로 대부분 위에서 살아남아 장까지 갈 수 있다.
이는 1999년 한국축산학회지에 실린 '발효유 제품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아의 내산성 및 답즙산 내성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김현욱)에서도 다음표와 같이 검증되었다.
*인공위액에서의 유산균의 생존율(%)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유산균의 종류는 현재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루테리균, 비피더스균, 락토바실러스균, 에시도필러스균, 써머필러스균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유산균은 크게 다음과 같이 7가지의 속으로 나눌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 유산균들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루테리균(reuteri), 락토바실러스균(Lactobacillus), 비피더스균(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류코노스톡(Leuconostoc), 페디오코카스(Pediococcus), 락토코커스(Lactococcus)이다.
이중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균은 학술적으로나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유산간균이며, 이 락토바실러스 유산간균에는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등이 있다.
유산균의 알려진 효능을 보면 식중독균이나 유해균으로 인해 급성 설사가 발생한 경우 비피더스 등 유산균을 섭취하면 설사 증세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다. 유산균이 유해균의 활성을 약화시키고 장 부패 물질의 생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장내의 부패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외에도 그외의 생리적 효과로는 장내 유해물질의 독성을 억제시켜주며 영양소로써는 비타민 B 복합제를 주로 생성함과 동시에 혈중 콜레스테롤치 저하와 항암작용, 면역증강작용 등에도 커다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흡수성을 증대시키고 위장장해를 억제한다.
이외에도 유산균이 생성하는 유산과 초산은 장(腸)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주며 변비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보건협회학술지 vol27. No.1, 5∼12, 2001년 3월, Alain L. Servin의 '유산균의 Helicobacter pylori(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에 대한 길항작용'에 의하면 설사성 병원균에 대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의 항균작용을 기술하였는데 어떤 락토바실러스들은 항균물질을 생산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출원에 따라 제조되는 분유류나 이유식류의 바람직한 실시례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례의 범위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출생후 3개월정도 이내의 영아 및 유아용 조제분유류의 조성물의 실시례는 다음과 같다. 각 성분은 건조상태를 기준한 중량비%이다.
유청분말 40∼60%, 혼합식용유지(해바라기유 0.5∼2%, 달맞이꽃유 0.5∼2%) 1∼3%, 유당 10∼20%, 분유 20∼30%, 갈락토실락토스 0.2∼1%, 갈락토올리고당 0.2∼1%, 락투로스 0.1∼1%, 카제인 0.1∼0.5%, 레시틴 0.2∼1%, L-시스틴 0.2∼0.5%, L-아르기닌 0.2∼0.5%, 타우린 0.02∼0.05%, 이노시톨 0.02∼0.05%, 콜린 0.03∼0.07%, 감마리놀렌산 0.01∼0.02%, 뉴클레오타이드 0.01∼0.02%, 나이아신 0.003∼0.005%, 판토텐산 0.002∼0.004%, 베타카로틴 0.0001%, α락트알부민1∼2%, 유산균0.3∼2%, 비타민류(A 0.5mg/100g, B10.5mg/100g, B20.7mg/100g, B60.3mg/100g, B122mg/100g, C 50mg/100g, D31mg/100g, E 6mg/100g, K120∼30mg/100g)로 조성물을 구성한다.
출생후 약 3∼6개월 이상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식류의 조성물의 실시례는 다음과 같다. 각 성분은 건조상태를 기준한 중량비%이다.
유기농현미10∼30%, 보리5∼10%, 조1∼3%, 수수1∼3%, 기장1∼3%, 찹쌀2∼5%, 볶은콩2∼5%, 분유10∼30%, 유청단백질5∼20%, 난황2∼5%, 포도당1∼5%, 사과분말0.3∼1%, 토마도분말0.3∼1%, 오렌지분말0.3∼1%, 프락토올리고당0.3∼2%, 해조류분말(미역, 다시마)0.2∼0.5%, 완두콩0.3∼1%, 밤0.5∼2%, 한우쇠고기1∼3%,당근0.3∼0.5%, 브로컬리0.1∼0.5%, 호박0.5∼2%, 양송이버섯0.1∼0.5%, 표고버섯0.1∼0.5%, 새우0.1∼1%, 유산균0.5∼2%, 갈락토실락토스 0.2∼1%, 갈락토올리고당0.2∼1%, 락투로스 0.1∼1%, 카제인 0.1∼0.5%, 레시틴 0.2∼1%, L-시스틴 0.2∼0.5%, L-아르기닌 0.2∼0.5%, 타우린 0.02∼0.05%, 이노시톨 0.02∼0.05%, 콜린 0.03∼0.07%, 감마리놀렌산 0.01∼0.02%, 뉴클레오타이드 0.01∼0.02%, 나이아신 0.003∼0.005%, 판토텐산 0.002∼0.004%, 베타카로틴 0.0001%, α락트알부민1∼2%, 비타민류(A 0.2mg/100g, B10.2mg/100g, B20.3mg/100g, B60.2mg/100g, B121mg/100g, C 20mg/100g, D31mg/100g, E 3mg/100g, K110∼20mg/100g)로 조성물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제분유류나 이유식류를 제조할 때, 조제분유류나 이유식류를 먹는 아기들도 모유를 섭취하는 아기들이 모유에서 유산균을 섭취하듯이, 유산균을 수시로 섭취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영양소의 소화흡수가 촉진되고 유산균의 정장작용이나 장내 유해세균의 억제작용 등으로 영아나 유아들의 건강에 크게 도움될 것이며 병원비의 감소 등 시간적 경제적 부가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사회를 이루는데 기여할 수 있다.
모유에는 루테리균등 천연적인 유산균이 존재하여 모유를 먹는 아기들은 지속적으로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으나 조제분유류를 먹는 아기들은 최초의 장내에 본래 유산균이 있었더라도 아기가 감기라도 걸려서 항생제등의 약을 쓰게 되면, 이항생제등에 의해 장내의 유산균등도 거의 죽게 되므로 음식물로 유산균을 보충해 줄 필요가 있는 실정이나, 대개의 경우 이런때라도 유산균음료나 약을 따로 보충해 주지 않아 아기들의 장내에 유산균이 부족하게 되어 아기들이 장기간 소화불량에 시달리거나 유해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많던 것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아기들의 건강에 크게 도움될 수 있다.

Claims (1)

  1. 영아나 유아들이 먹는 조제분유류에 있어서
    유산균(젖산균) {루테리균(reuteri), 락토바실러스균(Lactobacillus), 비피더스균(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류코노스톡(Leuconostoc), 페디오코카스(Pediococc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에시도필러스균, 써머필러스균 등}의 건조분말이나 과립이 이들 분유류에 0.0001%∼10%까지 혼합되어, 조제분유류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의 소화흡수력을 높이고 정장작용과 장내유해세균의 억제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및 유아용 조제분유류.
    유아들이 먹는 이유식류에 있어서는
    유산균(젖산균) {(루테리균(reuteri), 락토바실러스균(Lactobacillus), 비피더스균(비피도박테리움: Bifidobacterium),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류코노스톡(Leuconostoc),페디오코카스(Pediococcus),락토코커스(Lactococcus),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에시도필러스균, 써머필러스균 등}의 건조분말이나 과립이 이들 이유식류에 0.5%∼10%까지 혼합되어, 이유식류에 함유된 각종 영양소의 소화흡수력을 높이고 정장작용과 장내유해세균의 억제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유식류.
KR1020040117551A 2004-12-28 2004-12-28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 KR20050012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51A KR20050012212A (ko) 2004-12-28 2004-12-28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51A KR20050012212A (ko) 2004-12-28 2004-12-28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212A true KR20050012212A (ko) 2005-01-31

Family

ID=3722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551A KR20050012212A (ko) 2004-12-28 2004-12-28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2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3996B2 (en) 2007-11-05 2017-04-1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of opening a package of pourable food product
KR20190015005A (ko) 2017-08-04 2019-02-13 매일유업 주식회사 유산균 파우더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분유 제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3996B2 (en) 2007-11-05 2017-04-1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ethod of opening a package of pourable food product
KR20190015005A (ko) 2017-08-04 2019-02-13 매일유업 주식회사 유산균 파우더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분유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7572B1 (en) Nutritional composition to promote healthy development and growth
CN107594279A (zh) 一种益生菌粉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029768A (zh) 一种含乳铁蛋白和益生菌的婴幼儿配方奶粉及其制备方法
CN104206539A (zh) 一种益生菌婴幼儿奶粉
JP5864676B2 (ja) 貧血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JP2004504332A (ja) 栄養組成物
TW200911278A (en) Reduction of risk of diarrhoea
CN104256595A (zh) 一种整蛋白型肠内营养多聚合剂
CN109430407A (zh) 益生菌组合制剂
CN110432494A (zh) 防治婴幼儿过敏性湿疹和/或腹泻的益生菌组合物和应用
CN111011864A (zh) 一种促进肠道健康的营养组分
CN111067104A (zh) 一种复合益生菌婴幼儿配方奶粉及其制备方法
CN104171858A (zh) 一种营养助消化的2段婴幼儿米粉
CN107647410A (zh) 一种复合配比的益生菌粉及其制备方法
CN101297679A (zh) 一种提高畜禽免疫力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Onyenweaku et al. Research Article Health Benefits of Probiotics
Jain et al. Significance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in health and nutrition
US9826766B2 (en) Use of polysaccharides for the intestinal well-being of nursing infants and/or infants
CN107467193B (zh) 一种以羊奶为基础的粉剂全营养特殊医学用途配方食品及其制备方法
CN109588602A (zh) 一种益生菌固体饮料
CN104187313A (zh) 一种营养助消化的1段婴幼儿米粉
Ackerberg The use of prebiotics and probiotics in infant formula
KR20050012212A (ko) 유산균(젖산균)이 함유된 조제분유와 이유식
CN109258961A (zh) 一种防治鼠伤寒沙门氏菌感染的小鼠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4056052A1 (en) Gos pre-conditioning l. reuteri and gos in final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