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768A -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10768A KR20050010768A KR10-2004-7017165A KR20047017165A KR20050010768A KR 20050010768 A KR20050010768 A KR 20050010768A KR 20047017165 A KR20047017165 A KR 20047017165A KR 20050010768 A KR20050010768 A KR 20050010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main body
- packaging container
- suppository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8—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suppositories or stic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고무 탄성체로부터 제작된 캡(20) 및 고무 탄성체로부터 제작된 본체(10)로 감함체를 구성하고, 적어도 캡(20) 또는 본체(10)가 용기(1)내에 수용된 물품의 체적팽창 체적수축에 따라서 팽창 수축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하지 않고 원래의 형태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을 추출할 수 있는 용기(1)로 한다. 본체(10)에는 그 바닥부에 팽창 수축하는 박막형의 스킨부(12)를 설치한다. 또한 본체(10)의 개방단 근방에는 노치(19)를 갖는 플랜지형부(18)을 구비하고, 스킨부(12) 근방에는 측벽부(11)의 둘레 방향에 그물형 돌기(1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좌제는 주약인 의약품(약제)을 기제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직장, 요도 또는 질 등에 적용되는 고형제제이다. 좌제는 체온으로 연화 또는 용융하던지 점액에 용해된다. 그리고, 점막으로부터 약품이 체내에 흡수된다.
좌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예로서, 유성기제, 수성기제 또는 그 밖의 적당한 물질을 기제로 하고, 의약품을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유화제, 현탁화제 등의 첨가물을 더하여 균등하게 혼합하고, 이것을 성형, 봉입 또는 적당한 제피(劑皮)로 피포(被包)하여 적당한 형상으로 한다. 그 형상은, 통상적인 예로서, 항문좌제는 원추형 또는 방추형, 질좌제는 구형 또는 난형, 요도좌제는 장축형이다. 약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좌제는 예컨대 알루미늄박으로 1개 1개 포장하거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진 경질 플라스틱제의 포장 용기에 각각 충전 및 포장된다. 한편, 용융된 기제를 경질 플라스틱제의 포장 용기에 충전하고, 용기 내에서 기제를 냉각 고화하는 등 성형과 포장이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사용시에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실온 또는 서늘한 곳에서의 보관이 요구되지만, 일반 가정이나 휴대시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체온 이상의 온도로 보존되고,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포장 형태, 예컨대 알루미늄박으로 포장한 경우, 용융된 좌제 조성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제제로서의 가치를 잃을 뿐만 아니라, 주위를 더럽혀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박으로 포장한 경우 뿐만 아니라, 경질 플라스틱제의 포장 용기를 사용한 경우에도, 한번 용융하면 충전 포장한 당초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고, 형상의 변화에 의해 본래의 좌제로써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있었다. 경질 플라스틱제의 포장 용기는, 통상의 예로서, 2장의 플라스틱편이 용착하게 된다. 따라서, 이 용착 부분에 용융한 좌제 조성물이 배어나와 재고화하면, 좌제에 돌출부(소위 버어) 등이 생긴다. 또한, 용착이 나쁘면, 이 부분에 용융한 조성물이 배어나와 좌제 그 자체의 중량이 크게 변화할 우려도 있었다. 그리고, 좌제가 완전히 용융하면 그 용적이 1.1∼1.2배로도 부풀어오르기 때문에, 용기 자체가 파손되어 버릴 우려도 있었다.
또, 종래의 포장 형태에서는 항문 등으로의 삽입시, 손가락으로 좌제를 용기또는 알루미늄 포장으로부터 추출하고, 좌제를 직접 손가락으로 잡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잡았을 때에 매끄러운 감이 있어서, 삽입하기 어려웠고 게다가 비위생이라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그 목적은 좌제와 같이, 비교적 고온하에서 보존된 결과, 용기 내 물품의 일부 혹은 전부가 용융했다고 해도 그 후 적정 온도 아래로 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수용시의 형상으로 추출시키고, 게다가 손가락으로 잡는 일 없이 위생적으로 좌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고온 환경하에 방치된 수용된 물품(수용물)의 용융에 의해 그 형상이 흐트러졌다고 하여도, 적정 온도하로 돌아가면 수용물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고, 원래의 형상대로 추출할 수 있는 포장용기, 특히 의약으로서 이용되는 좌제, 화장품, 식품 등 온도 변화에 의해 액화나 고화를 반복하는 소재 제품의 포장에 적합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이 포장 용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포장 용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포장 용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포장 용기의 본체를 개방단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의 본체를 개방단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의 본체를 수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고무 탄성체로 제작된 캡과 고무 탄성체로 제작된 본체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밀폐 용기로써, 적어도 상기 캡 또는 상기 본체가 용기 내에 수용된 물품의 체적팽창 또는 체적수축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고, 내용물이 밖으로 누설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형태에서 상기 물품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캡 및 본체의 쌍방을 고무 탄성체로 하는 것으로, 용기로서의 밀봉성을 확보하고, 그것과 더불어 탄성체로서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그 일부 혹은 전부가 용융하여 팽창한 내용물을 냉각 고화시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 포장 용기에 있어서, 특히 큰 체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 및/또는 상기 캡의 일부에 물품의 체적 팽창을 흡수하기 쉬운 박막형의 스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킨부는 본체 및/또는 캡의 하부에 마련되는 동시에 스킨부를 구비하는 본체의 다른 부분 및/또는 스킨부를 구비하는 캡의 다른 부분은 두꺼운 대략적으로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캡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스킨 근방에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주위 방향으로 그물형 돌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캡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개방단 부근 옆에 상기 개방단보다도 외주 방향으로 튀어나온 플랜지형부가 일체 성형된다. 이 플랜지형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슬릿 혹은 노치가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캡과 본체를 끼워맞춤용 오목부와 그것보다도 약간 큰 끼워맞춤용 볼록부에 의해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과 상기 본체의 끼워맞춤부에는 삽입단측에서 외주 방향으로 팽창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 또는 본체의 한쪽을 상대쪽 본체 또는 캡과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용 오목부(단수 또는 복수)를 갖는 대좌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좌제용의 포장 용기로 적합한 것으로써, 좌제용의 포장 용기로 하는 경우에는 본체 또는 캡의 개방단을 상대쪽 캡 또는 본체에 수용된 좌제의 최대 직경 위치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포장 용기는 위생면 등을 고려하여 실리콘 고무로부터 본 포장 용기를 제작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1)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포장용기(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포장 용기(1)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포장 용기(1)는 좌제용의 용기로써, 낱개로 휴대 가능한 것이다. 포장 용기(1)는 좌제(2)의 동체 부분을 수용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끼워맞춤하는 캡(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캡(20)이 본체(10)의 위쪽으로부터 뚜껑을 덮도록 도시되어 있다. 캡(20) 및 본체(10)는 각각 고무 탄성체로 제작된다. 고무탄성이란 고무 상태의 고분자 물질로 관측되는 큰 탄성 변형 거동을 말하고, 고무 탄성체란 이러한 탄성 변형 거동을 나타내는 소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고무 탄성체로서는 예컨대 천연고무나 실리콘 고무 외에, 스티렌부타디엔고무, 크로로프렌고무, 우레탄고무, n-부틸고무, 염소화고무, 불소고무, 폴리부타디엔고무 등의 열경화 타입의 것이나, 예컨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TPS), 올레핀계 엘라스토머(TPO),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TPVC), 우레탄계 엘라스토머(TPU),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PEE)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별칭, 서모플라스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중에서 수용되는 물품에 따라서 선택된다. 위생상의 관점 및 용기로부터의 추출성을 고려하면, 좌제용의 용기로서는 실리콘 고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고무 탄성체 중에서도, 고무 경도가 25∼95도(JISK-6253, 가류고무 및 열가소성 고무의 경도 시험 방법에 의한 국제 고무 경도를 말함)의 것이 특히 적합이다. 캡(20) 및 본체(10)는 수용되는 물품을 원형으로 하는 일반적인 몰딩법에 의해서 성형된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1)는 적어도 본체(10) 또는 캡(20)의 한쪽이 포장 용기(1) 내에 수용된 좌제(2)(수용물)의 체적팽창 또는 체적수축에 따라서 팽창 또는 수축하고, 용융 상태의 내용물이 밖으로 누설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좌제(2)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포장 용기(1)는 가역적으로 팽창 수축하고, 포장 용기(1)에 수용된 좌제(2)가 용융하여 내용적이 팽창한 경우에도 파손하거나 액 누설을 일으키지 않고, 냉각 고화에 의해 내용적이 수축한 경우에는, 수용물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또,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포장 용기(1)는 적정 온도하에 있어서는 포장 용기(1)의 내부 형상이 좌제(2)형상과 거의 동일함으로써, 용기 수용물(좌제 2)과 용기 내부가 거의 밀착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온도 상승에 의해 한번 용융하고, 그 후 적정 온도하에서 냉각 고화한 경우에도 저장했을 때와 같이 좌제(2)와 포장 용기(1)가 거의 밀착하여 좌제(2)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게다가, 온도 상승에 의해 좌제(2)가 용융하여 체적 팽창함에 따라 포장 용기(1) 자체도 팽창하지만, 본체(10)와 캡(20)의 끼워맞춤부(13, 22)로부터 액 누설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좌제(2)가 용융한 경우에 증가하는 체적을 본체(10) 및/또는 캡(20)의 팽창에 의해서 흡수시킴과 동시에, 끼워맞춤부(13, 22)에 있어서의 액 누설을 캡(20)과 본체(10)의 끼워맞춤용 요철부(23, 14)에 의해 방지한 것이다.
각 도면에 도시된 포장 용기(1)에서는 본체(10)가 주로 팽창하고, 수용물의 체적 증가를 흡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체(10) 및 캡(20)의 고무 경도 및 두께를 같게 하여 캡(20) 자체도 팽창하고, 본체(10) 및 캡(20)의 양자에 의해서 수용물의 체적 증가를 흡수하는 구성으로 해도 지장이 없다. 그러나 캡(20) 및 본체(10) 양자가 팽창한 경우에는 양자의 끼워맞춤부(13, 22)로부터 액 누설이 생길 우려가 커진다. 이 때문에, 캡(20)은 본체(10)보다도 고무 경도가 동일하거나, 큰것 및/또는 두께도 동일하거나, 두꺼운 것을 이용하여 팽창이 적은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상대편을 씌우는 쪽을 캡(20)으로 하고, 씌워지는 쪽을 본체(10)로써 설명하고 있지만, 씌우는 쪽을 본체(10)로 하고, 씌워지는 쪽을 캡(20)으로서 구성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는 것은 물리적인 의미에 있어서 엄밀히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고 하는 의미가 아니고, 실용적 혹은 제품 가치에 있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고 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즉, 실제의 제품에서는 제조 공정에 유래하는 미소한 요철이 그 표면에 존재하거나, 제품 제조시에 발생하는 소위 버어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품 표면의 미소한 요철이 버어까지를 재현할 수 없어도 지장이 없다. 이 미소한 요철이나 버어는 수용하는 물품의 제조 공정에 의해서 가능한 것으로, 일단 용융한 경우에는 이 미소한 요철이나 버어는 없어지고, 재고화시에 가능한 미소한 요철은 포장용기(1)의 제조 정밀도(용기 내면의 정밀도)의 문제로서 생각된다. 이 정도의 복원 정밀도는 복원 오차로서 허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원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정밀도까지를 담보할만한 것은 아니다. 이 점, 종래의 경질 플라스틱제의 포장 용기에서는 수용물의 팽창을 고려하여 용기 내용적은 수용물보다도 크게 제작되어 있고, 재고화하여도 원래의 형상으로 되는 것은 거의 없었다.
또한, 상기 설명 중 적정 온도란 수용되는 물품과의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으로써, 일반 생활 환경, 제조 환경, 보존 환경에 있는 온도 범위, 구체적으로는 대략 0∼30℃의 범위로서, 상정되는 통상의 사용 온도 범위 내에서 물품이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 범위를 의미한다. 단, 상정되는 사용 온도 범위에서는 어떠한 온도하에 있어도 반드시 일정 형상을 갖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엄밀성은 불필요하며, 대략 그 온도 범위에서 일정 형상을 갖고 있으면 좋다. 그리고, 적정 온도란, 이 온도 범위를 넘은 경우에 물품 그 자체의 형상이 변화한다고 하는 의미에 있어서 이용되는 것이다. 예컨대, 좌제(2)는 일반 생활 환경인 실온, 대략 0∼30℃ 정도에 있어서 이용되는 것이고, 실온하에서는 일정한 형상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좌제 등은 이 온도 범위를 넘으면 부드러워지고, 예컨대 체온 이상 40℃에 가까워지면 완전히 용융한다. 이와 같이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온도 대역을 적정 온도하라고 부르고, 물품에 의해서 그 적정 온도는 다르다. 상기 좌제의 예에서는 실온이 적정 온도가 되지만, 구체적인 온도로서 0∼30℃ 이나 1∼31℃ 나 양자를 구별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두 좌제의 적정 온도라고 생각하면 충분하다. 그리고 실온하에 있어서도 좌제(2)의 조성에 의해서는 30℃ 근처의 체온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용융하고, 일정 형상을 갖지 않게 되는 좌제(2)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좌제(2)에 있어서의 적정 온도란, 실온이 아니라 해당 용융을 시작하는 이전의 낮은 온도를 의미한다.
또, 반복하여 말하면,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정되는 사용 온도 범위에서는일정 형상을 갖는 것으로써, 이 범위를 넘은 경우(상한, 하한을 막론하고)에는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예컨대 연화하거나 혹은 용융하여 형상이 변화하고, 사용시의 형상이 중요한 물품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특히, 용융하거나 팽창하는 경우에, 그 용적의 온도당의 증가율이 큰 물품에 적합하게 적용된다. 상기 좌제(2)는 대략35℃ 정도까지는 일정 형상을 갖고 있지만, 체온인 35∼37℃에서 용융하기 시작하여, 40℃ 가까이 완전히 용융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체적은 1.1∼1.2배정도로 팽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 용기(1)는 통상의 사용 상태, 보존 상태에서는 고체이고, 적정 온도를 벗어나면 용융하여 형상이 흐트러져, 체적이 증가하는 것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물품에 적용하면, 적정 온도로부터 떨어진 보존 조건하에 놓여져 한번 형상이 무너진 경우에도 온도를 복귀함으로써, 형태의 흐트러짐이 없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적정 온도하에 있어서는, 항상 포장시(용기 충전 시간)의 형상대로 상기 물품을 추출할 수 있고, 적절한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체(10)는 대략 원통형을 한 약간 두꺼운 측벽부(11)와, 본체(10)의 바닥이 되는 박막형의 스킨부(12)로 구성된다. 본체(10)의 개방단에는 끼워맞춤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 용기(1)는 본체(10)에 있어서 수용물의 체적 팽창을 흡수하는 것이지만, 이 본체(10)에 있어서는 스킨부(12)가 주로 팽창하고, 이 부분에서 체적 팽창을 흡수한다. 물론, 본체(10)의 바닥을 측벽부(11)와 동일한 두께로 하고, 본체(10) 전체를 거의 균일한 두께로 하여 그 전체가 팽창하도록 구성하여도 지장이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수용물의 팽창에 의해서 본체(10)가 파손될 우려가 커지고, 또한 캡(20) 및 본체(10)의 고무경도에 따라서는 양자의 끼워맞춤부(22, 13)로부터 액 누설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측벽부(11)를 약간 두꺼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은 수용물인 좌제(2)를 압출하기 쉽게 한다. 또, 스킨부(12)의 막 두께는 대략 0.03∼0.3 mm, 바람직하게는0.1∼0.15 mm이며, 측벽부(11)의 막 두께는 대략 0.4∼2 mm, 바람직하게는 1.0∼1.5 mm이지만,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스킨부(12)는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대략 산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지만, 이것은 저장되는 좌제(2)의 형상에 맞춘 것으로써,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반구형인 것이어도 좋다.
본체(10)는 그 개방단이 삽입된 좌제(2)의 최대 직경 위치에 거의 위치하도록 제작된다. 즉, 좌제(2)의 가장 팽창된 부위에 본체(10)의 개방단이 위치하고, 본체(10)로부터 캡(20)을 제거한 경우에, 좌제(2)의 소위 머리 부분이 노출하는 크기에 본체(10)는 제작된다. 좌제(2)는 그 대부분은 방추형 혹은 원추형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최대 직경 부근에 개방단이 위치하는 것으로, 좌제(2)가 캡(20)측에 남는 일 없이 좌제(2)가 본체(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캡(2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개방단을 향하여 본체(10)의 내경이 커지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본체(10)의 바닥부 가까이를 손가락으로 끼우면 좌제(2)가 용이하게 압출된다. 따라서, 좌제(2)를 본체(10)로부터 추출하는 일 없이 좌제(2)의 머리 부분을 항문 등에 대면, 그 후 본체(10)로부터 좌제(2)를 압출하는 것만으로 좌제(2)가 항문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포장 형태와는 달리, 좌제(2)에 직접 손가락이 닿는 일 없이 포장 용기(1)로부터의 추출부터 삽입까지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에서 캡(20)과 본체(10)가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보다 강고한 끼워맞춤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최대 직경 위치에 개방단이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본체(10)를 집어 좌제(2)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방추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도용 좌제와 같은 직선적인 좌제(2)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본체(10)의 개방단 위치는 캡(20)에 수용되는 부분이 커지지 않도록 설정된다.
본체(10)의 개방단 외주부에는 본체(10)측의 끼워맞춤부(13)를 형성하는 끼워맞춤용 볼록부(14)가 구비되어 있다. 끼워맞춤용 볼록부(14)는 캡(20)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3) 사이에서 액 누설을 막는 것으로써, 본체(10) 및 캡(20)의 고무 탄성을 이용한 밀봉 구조를 구성한다. 또한, 끼워맞춤용 볼록부(14)는 끼워맞춤용 오목부(23)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어, 본체(10)나 캡(20)의 팽창에 의한 액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끼워맞춤용 볼록부(14)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벽의 개방단 근처에 설치된 플랜지부(14a)와 플랜지부(14a)의 선단으로부터 본체(10)의 폐색단측에 돌출한 R부(14b)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캡(20)은 대략 모자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캡(20)은 전체가 두꺼운 형태로 형성되어, 거의 팽창성을 갖지 않는다. 상기 캡(20)의 외관형상은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디자인성이나 휴대성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또한, 캡(20)은 본체(10)로부터 노출한 좌제(2)의 머리 부분에 거의 밀착하는 저장용 오목부(21)를 갖는다. 저장용 오목부(21)보다도 캡측 내면에는 본체(10)의 끼워맞춤용 볼록부(14)와 끼워맞추어지는 홈형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3)가 구비되고, 캡(20)측의 끼워맞춤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캡(20)에 본체(10)를 끼워맞춤으로써 결합체를 얻을 수 있고, 용기 내부에 좌제(2)를 거의 밀착하여 저장하는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포장 용기(1)에 좌제(2)가 포장되면, 보관 조건이 나쁘고, 고온, 예컨대 40℃ 이상의 온도에 놓여진 결과, 좌제(2)가 용융하여 형상 변화가 발생했다고 하여도 그대로 실온으로 복귀시키면 좌제(2)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또한, 포장 용기(1)는 고무 탄성체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가방 등에 넣어 들고 운반했다고 하여도, 경질 플라스틱 용기로 포장한 경우와 같이 포장 용기(1)가 깨어지거나 하지 않고, 손에 닿은 경우에도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운반에도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 또, 가방 등의 안에서 용융하여도 수용물이 누출되지 않고, 가방 속이 더러워지는 일도 없다. 게다가, 캡(20)을 제거 본체(10)에 좌제(2)를 수용한 채로, 손가락에 직접 닿지 않게 항문 등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 용기(1)는 수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해당 포장 용기(1)를 이용함으로써, 매우 위생적이면서 편리성이 높은 좌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포장 용기(1)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포장 용기(1)의 캡(20)은 소위 대좌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3), 도면에 도시된 것에는 5개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캡(20)은 하나의 캡(20)에 대하여 복수의 본체(10)를 끼워맞춤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품 형태(포장 패키지)로 복수의 좌제(2)를 공급할 수 있다. 캡(20)은 예컨대 책상에 적재되어, 본체(10)를 대략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유지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캡(20)으로부터 하나 하나의 본체(10)가 제거되어 사용된다.
이 본체(10)의 끼워맞춤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단측에서외주 방향으로 팽창되는 테이퍼부, 즉 본체(10)의 개방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해서 외주 방향으로 팽창되는 테이퍼부(15)를 갖고, 단면에서 보아 대략 대형상 혹은 대략 삼각형상의 끼워맞춤용 볼록부(14)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본원에서 말하는 삽입단측이란 끼워맞춤용 볼록부(14)를 형성한 본체(10)의 개방단측을 의미하고, 끼워맞춤용 오목부(23)에서는 삽입단측(캡(20)의 개방단측)을 향하여 외주 방향으로 팽창된다. 이 때문에, 본체(10)측의 끼워맞춤부(13)는 캡(20)측의 끼워맞춤부(22)[끼워맞춤용 오목부(23)]에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 누설 방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기계에 의한 자동 장전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나는 끼워맞춤부(13) 근교, 끼워맞춤부(13)보다도 폐색단측에 있어서의 측벽부(11)에는 그것 이외의 측벽부(11)보다도 두꺼워진 그립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그립부(16)는 기계에 의해 자동 장전하는 할 경우의 처킹(chucking)에 사용되는 것이다. 두껍게 함으로써 안정된 유지 삽입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캡(20)에 대하여 복수의 끼워맞춤용 오목부(23)[저장용 오목부(21)]를 형성해 두면, 하나의 포장 형태로 복수개의 좌제(2)를 한번에 공급할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캡(20)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난 바와 같은 개별 포장용 캡(20)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커져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캡(20)으로부터의 제거도 간단히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게다가, 본체(10)를 캡(20)으로부터 제거한 후에는 본체(10) 내에 좌제(10)를 넣은 상태에서 항문 등의 적용 부위에 가지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인 점에는 변함이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1)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10)의 끼워맞춤부(13) 및 캡(20)의 끼워맞춤부(22)는 내용적이 팽창한 경우, 특히 본체(10)가 팽창한 경우에 액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그 구성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도 6에 나타난 포장 용기(1)에 있어서, 본체(10)측의 끼워맞춤부(13)는 본체(10)의 개방단으로부터 폐색단을 향하여 외주 방향으로 팽창되는 테이퍼부(15)를 갖고, 상기 테이퍼부(15)의 폐색단측에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인 끼워맞춤용 볼록부(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끼워맞춤용 볼록부(14)의 폐색단측에 두꺼운 형태의 그립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끼워맞춤부(13)에 구성하여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포장 용기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포장 용기가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상기 포장 용기(1)의 본체(10)를 개방단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이 본체(10)는 대략 원통형을 한 약간 두꺼운 측벽부(11)에 개방단보다도 외주 방향으로 튀어나온 플랜지형부(18)와 측벽부(11)의 주위 방향에 배치된 그물형 돌기(17)를 갖는다. 한편, 캡(20)은 전체로써 균일한 두께로 제작되어 있고, 끼워맞춤용 오목부(23)를 형성하고 있는 분만큼 끼워맞춤부(22) 주변이 약간 튀어나온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다.
플랜지형부(18)는 측벽부(11)의 개방단 근방에 구비되고, 주로 좌제 삽입시에 실수로 본체(10)가 항문이나 질 내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그 형상은 문제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검에 이용되는플랜지와 같은 형상의 것이나 차양 모양으로 된 모자의 차양과 같은 형상의 것 또는 그물형으로 튀어나온 형상이 것이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끼워맞춤부(13)보다도 외주 방향으로 튀어나온 형상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이 플랜지형부(18)는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1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그 일부분으로 구비되어 있으면 좋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벽부(11)의 전체 주위에 구비한 것이라도 좋다. 플랜지형부(18)는 본체(10)와 일체로 성형된다.
도시된 플랜지형부(18)는 노치(1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노치(19)는 플랜지형부(18)를 좌우로 인열(引裂)하고, 이어서 본체(10)의 측벽부(11)를 인열시키는 개시부를 만드는 것이다. 포장 용기(1)에 저장된 좌제(2)가 용융하고 다시 고화하면, 좌제(2)가 본체(10)에 밀착하고, 좌제(2)를 압출하도록 손가락으로 본체(10)를 끼우는 것으로는 본체(10)로부터 좌제(2)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 포장 용기(1)는 이러한 경우에 본체(10)를 찢어 좌제(2)를 추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노치(19)는 플랜지형부(18)를 좌우에 인열 본체(10)를 인열시키는 개시부가 되면 그 형상은 문제되지 않고, 노치(19)가 아니라 단순히 선형의 슬릿이나, 노치(19)의 교차부보다 측벽부(11)를 향하는 선형의 슬릿을 구비한 복합의 것이어도 좋다. 다만, 노치(19)의 측벽부측 선단 혹은 슬릿의 측벽부측 선단이 측벽부(11)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의 측벽부측 선단이 측벽부(11)에 도달하면, 측벽부(11)의 강도가 저하하고, 안의 좌제(2)가 용융한 경우에 상기 부분으로부터 파열할 우려가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플랜지형부(18)는 도 9에 도시된 모자의 차양으로 된 플랜지부(18a)와 상기 플랜지부(18a)의 남는 측벽부(11)의 거의 전체 주위에 걸친 도검의 플랜지부(18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자의 차양으로 된 플랜지부(18a)는 노치(19)를 갖고 있다. 이 플랜지형부(18)에 있어서는 측벽부(11)의 거의 전체 주위에 걸친 플랜지부(18b)가 좌제(2)의 장전 포장시에 사용하는 장전 장치의 유지(고정)용 부재로서의 기능도 갖고, 확실한 자동 장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체(10)의 측벽부(11)를 절열(切裂)시키는 개시부를 만들 목적뿐이라면, 측벽부(11)의 전 주위에 걸친 플랜지형부(18)보다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구비된 플랜지형부(18)쪽이 바람직하다. 이쪽이 플랜지형부(18)를 파지하기 쉽고, 플랜지형부(18)를 좌우로 인열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도검의 플랜지부(18b)만을 좌제(2)의 장전 후에 측벽부(11)로부터 절제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랜지부(18a)와 상기 플랜지부(18a)의 남는 측벽부(11)의 거의 전체 주위에 걸친 도검의 플랜지부(18b)를 조합할 경우에는 도검의 플랜지부(18b)를 플랜지부(18a)보다도 외주 방향으로 튀어 나가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하여 인열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노치(19)를 갖는 플랜지형부(18)는 본체(10)의 오삽입 방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본체(10)를 인열 좌제(2)의 삽입도 용이하게 한다. 게다가, 플랜지형부(18)는 측벽부(11)의 개방단 근방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0)를 인열한 경우, 측벽부(11)의 개방단측 부근으로 인열되고, 스킨부(12) 근방은 인열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좌제(2)에 직접 손가락이 닿는 일 없이 삽입할 수있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다. 그리고, 측벽부(11)의 거의 전체 주위에 설치된 도검의 플랜지형의 플랜지형부(18)는 기계 장전에 의한 유지부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측벽부(11)의 스킨부(12) 근방에는 측벽부(11)의 전체 주위에 걸친 2개의 그물형 돌기(17)가 구비되어 있다. 이 그물형 돌기(17)는 손가락으로 좌제(2)를 압출할 때의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다한다. 즉, 이 그물형 돌기(17)가 있기 때문에 끼운 손가락 사이로부터 본체(10)가 미끄러져 빠지는 일 없이 좌제(2)를 압출할 수 있다. 또한, 그물형 돌기(17)가 2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한 미끄럼 방지 기능이 발휘된다.
그물형 돌기(17)의 배치 장소는 스킨부(12) 근방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좌제(2)가 가장 압출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컨대 대략 산 모양을 한 스킨부(12)를 구비한 경우에는 스킨부(12)의 끝단[스킨부(12)와 측벽부(11)의 경계로써 가장 개방단에 가까운 위치]보다도 아주 조금 개방단측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좌제(2)를 압출시킨다. 또, 이 위치는 수용물의 형상 등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그 굵기나 개수, 간격은 문제되지 않고, 반드시 전체 둘레에 구비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의 일부분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반드시 2개의 손가락으로 끼울 수 있는 위치에 그물형 돌기(17)를 설치하는 것이 좋고, 전술한 예에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킨부(12)의 끝단이 개방단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는 그물형 돌기(17)가 손가락으로 끼우는 위치를 나타내는 목표물이되어, 포장 용기(1)의 사용 용이성이 한층 더 좋아진다.
또한, 그물형 돌기(17)는 반드시 선으로서 연결된 것이 아니어도 좋고, 점이 선형으로 나란히 된 것이나 단선이 선형으로 나란히 된 파선형의 것이어도 지장이 없다. 또, 여기서 말하는 선이나 점, 단선이란, 평면적인 선이 아니라 볼록부를 갖는 것이다. 그물형 돌기(17)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 내지 단면이 직사각형이면 좋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포장되는 물품으로서 좌제(2)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포장 용기(1)는 좌제(2) 이외의 여러 가지 물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일정한 온도하에서는 일정 형상을 갖지만, 온도 변화에 의해서 그 일부 혹은 전체가 용융하여 체적이 팽창하고, 혹은 용융까지도 하지 않지만 체적이 팽창하는 물품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컨대, 초콜렛 등의 식품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초콜렛은 좌제(2)와 같은 조성을 가지고, 상온이면 일정한 형상을 갖지만, 그것보다도 고온이 되면 용융하여 형상이 흐트러져, 상온으로 되돌아가면 흐트러진 형상으로 고화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포장 용기(1)를 이용한 경우, 포장 용기(1) 내에서 초콜렛이 용융하여도 개봉하지 않고서 포장 용기(1)마다 냉각하여 고화하면, 용융 전의 형상(저장시의 형상)으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등과 같은 물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1)는 용기내의 물품의 팽창에 따라 팽창하고, 수축에 따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면 좋고, 수용물이 원래의 형상으로부터 수축한 경우에 포장 용기(1)가 그것에 따라 반드시 수축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포장용기(1)는 그 저장공간이 수용되는 물품의 통상 있어야하는 상태로 일정 형상을 갖고 있으면 좋고, 물품의 형태 변화에 의해서 물품이 차지하는 체적이 축소하여, 용기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도 지장이 없다. 예컨대, 아이스크림이나 얼음은 용융하면 체적 감소가 발생하지만, 이들의 물품을 수용하면, 포장 용기(1) 자체는 수축하는 일 없이, 포장 용기(1) 내에는 공극이 형성된다. 물론, 수축하여 포장 용기(1)가 변형하는 일도 생각된다. 그러나, 용융한 후에 포장 용기(1)마다 냉각하면, 다시 포장 용기(1) 내에서 고화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왜냐하면, 포장 용기(1)에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포장 용기(1) 내면에 밀착하는 바와 같이 물품이 수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 용기(1)는 용융하여 체적의 감소를 일으키는 듯이 물품의 용기로써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 이 경우, 포장은 아이스크림이나 얼음이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행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포장 용기(1)의 외관형상, 수용물의 형상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체(10) 및 캡(20)은 상호 팽창 수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체(10)의 끼워맞춤부(13) 및 캡(20)의 끼워맞춤부(22) 주변을 두껍게 형성해두고 양자의 끼워맞춤부로부터 액 누설을 막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고무 탄성체로부터 제작된 캡과 고무 탄성체로부터 제작된 본체와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밀폐 용기로서, 적어도 상기 캡 또는 상기 본체가 용기 내에 수용된 물품의 체적팽창 체적수축에 따라서 팽창 수축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좌제와 같이 적정 온도로부터 보아 고온도하에 두어, 물품이 용융하여 형상이 일단 흐트러졌다고 하여도, 용기마다 냉각함으로써 수용물인 좌제는 원래의 형상로 복원된다. 이 결과, 수용물에 변질을 생기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한번 녹아 형태가 흐트러졌다고 하여 못 쓰게 되는 것은 아니며, 항상 적정한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늘한 곳에서 보관하는 것에서 실온 보존으로 보존 조건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고, 보관 비용의 삭감에 기여함과 동시에, 보존 조건이 나쁜 것에 기인하는 불량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고무 탄성체로 이루어진 용기로써, 종래의 경질 플라스틱제 용기에 비교하여 휴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좌제를 이용한 경우, 본체(캡)의 개방단을 본체(캡)에 수용된 좌제의 최대 직경 위치 부근에 위치시키면, 가장 강고해지는 부위에서 캡과 본체의 끼워맞춤이 도모되어, 용융한 경우의 액 누설이 확실하게 차단된다. 또, 방추형의 좌제이면, 본체로부터의 압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취급성이 보다 한층 향상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 또는 캡의 일부, 예컨대 이들의 하부에 설치된 팽창 수축하는 박막형의 스킨부가 수용물의 팽창을 흡수하고, 캡과 본체와의 끼워맞춤이 풀어지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목적이 적합하게 달성된다. 그리고, 스킨부가 구비된 본체(캡)의 다른 부분을 두께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해 두면, 본체(캡) 안에 수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캡(본체)을 제거하고, 캡(본체)으로부터 손가락에 끼우도록 하여 수용물을 압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좌제용의 용기로써 이용한 경우에는 직접 손가락에 닿는 일 없이 적용 부위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져, 매우 위생적이면서 편리성이 높은 좌제 제품이 제공된다.
또한, 본체 또는 캡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스킨 부근에서 그 주위 방향에 설치된 그물형 돌기는 손가락으로부터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발휘하고, 내용물을 압출할 때에 본체 또는 캡이 손가락 사이에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해당 그물형 돌기가 손가락에 끼운 압출 위치의 목표물이 되어, 보다 한층 사용성이 좋은 것이 된다.
또, 본체 또는 캡의 원통형에 형성된 부분의 개방단 근방에 일체 성형된 상기 개방단보다도 외주 방향으로 튀어나온 플랜지형부는 예컨대 좌제 사용시에 있어서의 항문 등에 오삽입 방지용 부재로써 기능하고, 안전성에도 배려된 제품이 제공된다.
그리고, 이 플랜지형부에 구비된 슬릿 혹은 노치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 또는 캡을 인열시키는 개시부가 된다. 따라서, 이 슬릿 등으로부터 본체 또는 캡을 파열하여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재(再)고화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에 밀착한 경우에 특히 유효한 수단이 된다. 게다가 플랜지형부는 캡 또는 본체의 개방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파지되는 부분은 인열되지 않고 남으며, 손가락을 더럽히지 않고서 좌제를 항문 등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용 오목부와 그것보다도 약간 큰 끼워맞춤용 볼록부에 의해서 캡과 본체를 끼워맞춤하면, 액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캡과 본체의 끼워맞춤부에 구비된 삽입 단측에서 외주 방향으로 팽창되는 테이퍼부는 상대측 본체 또는 캡에 삽입을 쉽게 하고, 기계에 의한 자동 포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캡 또는 본체의 한쪽을 상대쪽 본체 또는 캡과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용 오목부를 단수 또는 복수를 갖는 대좌형으로 하면, 캡 또는 본체가 커져 취급성이 향상한다. 그것과 동시에 포장 형태, 하나의 패키지로 복수의 좌제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제와 같이 실온 부근에서 용융하기 쉬운 물품, 특히 물리적인 형상의 유지가 필요한 물품의 보관 조건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에 직접 닿는 일 없이 물품의 추출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 용기는 특히 좌제에 적합하며, 위생성이나 취급성이 우수한 좌제 제품을 제공한다.
Claims (12)
- 고무 탄성체로 제작된 캡과 고무 탄성체로 제작된 본체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밀폐용기에 있어서,적어도 상기 캡 또는 상기 본체가 용기 내에 수용된 물품의 체적팽창/체적수축에 따라서 팽창/수축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하지 않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물품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캡은 그 일부에 박막형의 스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포장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는 상기 본체 및/또는 상기 캡의 하부에 마련되며, 스킨부가 마련된 본체의 다른 부분 및/또는 스킨부가 마련된 캡의 다른 부분은 두께가 두거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캡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스킨부 근방에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주위 방향으로 그물형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포장 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캡의 대략원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의 개방단 근방에 상기 개방단보다도 외주 방향으로 튀어나온 플랜지형부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형부에는 슬릿 또는 노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본체는 끼워맞춤용 오목부와 그것보다도 약간 큰 끼워맞춤용 볼록부에 의해 끼워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본체의 끼워맞춤부는 삽입단측에서 외주 방향으로 팽창하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포장 용기.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또는 본체 중 어느 하나는 본체 또는 캡 중 다른 하나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용 오목부를 단수 또는 복수개 갖는 대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좌제용 용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방단은 본체에 수용된 좌제의 최대 직경 위치 부근에 위치하거나 상기 캡의 개방단이 캡에 수용된 좌제의 최대 직경 위치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체는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126849 | 2002-04-26 | ||
JPJP-P-2002-00126849 | 2002-04-26 | ||
JP2002278228 | 2002-09-24 | ||
JPJP-P-2002-00278228 | 2002-09-24 | ||
PCT/JP2003/005414 WO2003091126A1 (fr) | 2002-04-26 | 2003-04-25 | Recipient d'emball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0768A true KR20050010768A (ko) | 2005-01-28 |
Family
ID=2927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17165A KR20050010768A (ko) | 2002-04-26 | 2003-04-25 | 포장 용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181151A1 (ko) |
EP (1) | EP1500604A1 (ko) |
JP (1) | JP4296149B2 (ko) |
KR (1) | KR20050010768A (ko) |
CN (1) | CN1649779A (ko) |
AU (1) | AU2003234997A1 (ko) |
WO (1) | WO20030911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71118B2 (ja) * | 2006-12-27 | 2012-02-08 | 東洋アルミエコ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 食品収納カップ |
WO2013136943A1 (ja) * | 2012-03-13 | 2013-09-19 | テルモ株式会社 | 血液成分分離装置、及び遠心分離器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18980A (en) * | 1951-10-02 | 1955-09-27 | Robinson William H | Container seal |
US2950813A (en) * | 1958-01-08 | 1960-08-30 | Chemway Corp | Package |
US3104665A (en) * | 1959-03-30 | 1963-09-24 | Edward J Towns | Suppository mold and container |
US3059766A (en) * | 1959-08-12 | 1962-10-23 | Searle & Co | Combined mold and package for suppositories |
US4174040A (en) * | 1977-12-02 | 1979-11-13 | Wang Su Yen | Multi-functional suppository encapsulator |
US4250893A (en) * | 1979-02-21 | 1981-02-17 |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 Sample collection device |
DK147043C (da) * | 1981-03-25 | 1984-09-03 | Nunc As | Fremgangsmaade til forsegling af en roerformet beholder med laag til nedfrysning af proever |
US4537311A (en) * | 1983-06-27 | 1985-08-27 | Russell G. Sharp | Seamless suppository dispenser |
NZ244796A (en) * | 1992-08-18 | 1995-05-26 | Scherer Corp R P | Capsule shell of soft gelatin contains a medicament and has a removable tab |
JP3060750B2 (ja) * | 1992-09-29 | 2000-07-10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色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色フィル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用対向基板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
JP3018072B2 (ja) * | 1997-01-14 | 2000-03-13 | 孝昭 森 | 粉体用収容容器及び足用乾燥体 |
-
2003
- 2003-04-25 US US10/512,573 patent/US2005018115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4-25 WO PCT/JP2003/005414 patent/WO2003091126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4-25 CN CNA038093758A patent/CN1649779A/zh active Pending
- 2003-04-25 AU AU2003234997A patent/AU200323499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4-25 JP JP2004501983A patent/JP429614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4-25 KR KR10-2004-7017165A patent/KR200500107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4-25 EP EP03728001A patent/EP1500604A1/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3234997A1 (en) | 2003-11-10 |
CN1649779A (zh) | 2005-08-03 |
WO2003091126A1 (fr) | 2003-11-06 |
JP4296149B2 (ja) | 2009-07-15 |
EP1500604A1 (en) | 2005-01-26 |
JPWO2003091126A1 (ja) | 2005-09-02 |
AU2003234997A8 (en) | 2003-11-10 |
US20050181151A1 (en) | 2005-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96122A (en) | Replaceable stick deodorant package | |
US7784608B2 (en) | Contact lens packages | |
KR20180103010A (ko) | 화장품 용기 | |
AU645631B2 (en) | Sleeved dispensing vial | |
KR102006455B1 (ko) | 콘돔을 함유하는 팩 | |
KR20050010768A (ko) | 포장 용기 | |
US20040074802A1 (en) | Easy-to-open packaging shell | |
AU2021396636A1 (en) | Contact lens packages and methods of opening | |
JP6110378B2 (ja) | スティック状化粧料用キャップ | |
JP2002166961A (ja) | 接着剤等の充填容器 | |
KR101404766B1 (ko) | 화장품 캡슐용기 | |
KR101404763B1 (ko) | 캡슐 화장품 용기 | |
EP1024843B1 (en) | A container for a hypodermic syringe | |
KR200262120Y1 (ko) |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 |
KR101676399B1 (ko) | 이중 보틀 | |
JP2000326984A (ja) | へら保持機能付き容器 | |
KR200263639Y1 (ko) | 밀폐 뚜껑 | |
KR102323991B1 (ko) | 화장품 용기 | |
US20030197019A1 (en) | Packaging for liquid, semiliquid or pasty food product | |
KR101552133B1 (ko) | 포장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내용물 이동 장치 | |
CN213324759U (zh) | 一种便于区分避孕套正面和反面的包装盒 | |
JP4448666B2 (ja) | 棒状化粧料収納容器用中皿 | |
JP2003321062A (ja) | 包装体及び物品の包装方法 | |
JP3211082B2 (ja) | 錠剤用緩衝材 | |
JP7382698B2 (ja) | 吐出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