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597A -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597A
KR20050010597A KR1020030049830A KR20030049830A KR20050010597A KR 20050010597 A KR20050010597 A KR 20050010597A KR 1020030049830 A KR1020030049830 A KR 1020030049830A KR 20030049830 A KR20030049830 A KR 20030049830A KR 20050010597 A KR20050010597 A KR 20050010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enger
informatio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0597A/ko
Publication of KR2005001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electronic direc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폰북 정보를 메신저를 이용하여 접속된 다수 상대방이 원격 처리하는 것으로, 각종 통신신호를 무선접속된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고주파부; 고주파부와 접속하고 접속자의 허용여부를 인증하며, 폰북정보 입출력과 폰메신저 통신과 휴대단말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 제어부와 접속된 상대방이 폰북정보에 접근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인증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각종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와 간단한 메모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폰북부; 제어부와 접속하고 상기 고주파부를 통하여 상대방과 접속하고 실시간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메신저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에 폰메신저와 피시메신저의 다중 접속 허용자를 인증설정하는 준비과정; 상기 휴대단말기와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접속 허용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동시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동시에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다중과정; 상기 과정에서 인증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폰북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폰북정보를 수정과 삭제와 신규 등록과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PROCESSING PHONEBOOK DATA WITH REMOTELY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다수 컴퓨터와 휴대단말기에서 실시간 공유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피시메신저와 폰메신저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검색, 기록, 수정과 다운로드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되어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편리한 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실시간(REALTIME) 접속 및 대화를 통하여 의견 교환하는 것으로, 통신 중에 하나의 통신채널을 할당받아 독점하는 방식이며, 다수 휴대단말기가 상대방과 실시간 통신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사업자는 통신채널을 많이 확보하여야 하며, 상기와 같이 확보한 채널은 가동율을 높이는 것이 문제이고, 해당 시설 확보와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므로 통신비용이 비교적 비싸다.
상기와 같이 많이 확보한 채널의 가동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문자와 기호 및 숫자 등을 이용하고 통신채널을 비실시간(NON-REALTIME) 점유하는 방식으로, 점유하여 이용 가능한 통신채널의 여유가 있을 때, 해당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급 통신방식이 있다.
상기 데이터급 통신방식은, 음성급 통신을 위하여 채널이 할당되고 여유가있는 경우, 상기 여유 있는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문자, 기호, 숫자 등의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고, 통신비용이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통신신호를 실시간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저렴한 통신비용으로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방식의 비실시간 통신신호 전송 문제점을 일부 개선한 것이, 일반적으로 메신저(MESSENGER)라고 호칭되는 통신방식이며, 상기 메신저 통신방식은, 하나의 통신채널을 다수 가입자가 동시에 실시간 점유하여 데이터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메신저 통신방식은, 일반적으로 데이터급 신호의 통신이 진행되는 경우, 송신과 수신이 동시 이루어지는 확률이 매우 낮고, 또한, 데이터급 신호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PACKET) 단위로 전송하므로, 전송목적지가 상이한 다수의 데이터급 신호를 동시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신저 통신방식은 데이터급 신호를 이용하면서,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방식이며, 망(NETWORK) 접속에 의한 다수 컴퓨터(PC) 사이에서의 메신저를 IMC(INSTANT MESSAGING CLIENT)라 하고, 다수 휴대단말기(MS) 사이에서 이용하는 메신저는 EIMC(EMBEDDED INSTANT MESSAGING CLIENT)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에는 통신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와 약간의 메모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폰북(PHONEBOOK)이 있으며, 상기 폰북에 기록된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이 입력하거나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크기가 작고 몇 되지 않는 키보드를 이용하므로 데이터 입력 및 수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
또한, 상기 폰북에 기록저장된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하여서는, 폰북의 해당 정보내용을 확인하고, 음성급 또는 데이터급 신호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전달하므로, 특정 폰북정보를 다수가 공유하기에 복잡하고 번거로운 등의 문제를 상기 메신저를 이용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검색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과 컴퓨터의 망 접속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처리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과 컴퓨터의 망 접속은, 이동통신을 위하여 형성된 서비스 영역 안을 이동하면서 무선접속에 의하여 통신하는 휴대단말기(MS)(10,15)와; 상기 휴대단말기(10,15)와 무선접속에 의하여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기지국(BS: BASE STATION)(20)과; 상기 기지국(20)과 접속되고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SWITCHING)을 하므로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NSC: MOBILE SWITCHING CENTER)(30)과; 상기 이동교환국(30)과 접속하고 다른 통신망 또는 인터넷(INTERNET) 망에 접속하도록 하는 공중망(40)과; 상기 공중망(40)에 접속하여 데이터급 통신을 하는 동시에 자체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컴퓨터(PC)(50,55)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과 컴퓨터의 망 접속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15)는, 기지국(20)이 형성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무선접속에 의하여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호출에 응답하여 통신하고, 상기 기지국(20)은 무선접속된 휴대단말기(10,15)와 송수신하는 통신신호를 이동교환국(30)에 송수신하며, 상기 이동교환국(30)은 해당 스위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15)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거나, 상기 공중망(40)을 통하여 다른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 등에 접속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다수 휴대단말기(10,15) 사이에서는, 폰메신저(EIMC)를 이용하고 실시간 접속으로 데이터급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다수의 컴퓨터(50,55) 사이에서는 피시메신저(IMC)를 이용하여 실시간 접속으로 데이터급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10,15)의 폰메신저와, 상기 컴퓨터(50,55)의 피시메신저는, 각각 사용되는 환경이 상이하여 서로 통신을 할 수 없으나, 관련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해당 데이터신호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개발이 되고 있고, 일부 상용화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컴퓨터(50,55)에서 사용되는 피시메신저를 휴대단말기(10,15)에서 그대로 적용하도록 하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하, 상기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휴대단말기(10,15)를 이용하여 내장된 폰북(PHONEBOOK)정보를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에서 폰북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검색된 폰북정보를 휴대단말기의 해당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단계에서 검색된 폰북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거나 새로이 등록하는지 판단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단계에서 폰북정보를 수정, 삭제, 신규 등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휴대단말기(10,15)의 폰북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거나 신규 등록하는 제4 단계(S40)와; 상기 휴대단말기(10,15)를 이용하여 메신저 통신을 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5 단계(S50)와; 상기 단계에서 휴대단말기(10,15)로 메신저 통신을 하는 경우, 지정된 상대방과 폰메신저(EIMC) 통신을 하는 제6 단계(S6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처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15)를 이용하여, 내장된 폰북에 기록된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S10), 검색된 폰북정보를 해당 표시부에 표시하고(S20), 상기와 같은 검색에 의하여 표시된 폰북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거나, 새로운 내용으로 신규 등록하는지를 판단하며(S30), 상기 판단에서 폰북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 또는 신규 등록하는 경우, 해당 폰북정보의 수정 또는 삭제 또는 신규 등록 처리를 한다(S40).
상기 제1 단계(S10)에서 폰북정보를 검색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제3 단계(S30)에서 폰북정보를 수정, 삭제, 신규 등록을 하지 않는 경우와, 상기 제4 단계(S40)에서 폰북정보의 수정, 삭제, 신규 등록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폰메신저(EIMC) 통신을 할 것인지 판단하고(S50), 폰메신저(EIMC) 통신을 하는 경우, 해당 상대방 휴대단말기(10,15)와 폰메신저 통신을 한다(S60).
상기와 같이 폰북에 기록저장되는 정보는 상대방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및 간단한 메모 등등이며, 수정하거나 삭제하거나 신규로 등록하는 경우, 휴대단말기(10,15)에 일체로 구비되는 작은 크기의 키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을 이용하므로, 처리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우며 오류발생 가능성이 매우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다른 휴대단말기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된 컴퓨터에 의하여 원격으로 수정, 삭제 및 신규 등록 처리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각종 통신신호를 무선접속된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와 접속하고 접속자의 허용여부를 인증하며, 폰북정보 입출력과 폰메신저 통신과 휴대단말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된 상대방이 폰북정보에 접근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인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각종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와 간단한 메모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폰북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상기 고주파부를 통하여 상대방과 접속하고 실시간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메신저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폰메신저와 피시메신저의 다중 접속 허용자를 인증설정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와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접속 허용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동시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동시에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다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인증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폰북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폰북정보를 수정과 삭제와 신규 등록과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과 컴퓨터의 망 접속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처리 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에 의한 인증과정의 상세한 신호 흐름도,
도6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검색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
도7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수정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
도8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신규 등록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
도9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삭제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고주파부 110 : 제어부
120 : 인증부 130 : 폰북부
140 : 메신저부 150 : 표시부
160 : 음성부 170 : 키보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에 의한 인증과정의 상세한 신호 흐름도이고, 도6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검색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이며, 도7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수정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이고, 도8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신규 등록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이며, 도9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삭제하는 상세 신호 흐름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처리장치는, 각종 통신신호를 무선접속된 기지국(BS)과 송수신하는 고주파부(100)와; 상기 고주파부(100)와 접속하고 통신상대방을 인증하며, 폰북정보 입출력과 메신저통신과 휴대단말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고주파부(100)로부터 메신저 통신을 위하여 접속되는 상대방을 인증부(120)에서 인증하도록 하며 폰북부(130) 접속허용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서 폰북부(130) 접속 허용이 인증된 경우, 메신저부(1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폰북부(130)의 정보를 처리하도록 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된 상대방이 폰북정보에 접근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메신저 통신을 위하여 접속된 상대방이 휴대단말기이거나 컴퓨터이거나 관계없이 다수가 동시에 접속하고 각각 폰북정보를 처리하도록 허용되었음을 인증하는 인증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각종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와 간단한 메모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폰북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하고, 상기 고주파부(100)를 통하여 상대방과 접속하며 실시간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접속된 상대방이 휴대단말기(MS)에 의한 폰메신저(EIMC) 접속이거나, 컴퓨터(PC)에 의한 피시메신저(IMC) 접속이거나 관계없이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메신저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하고, 상기 폰북부(130)의 정보 내용과 상기 메신저부(140)를 통하여 실시간 송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50)와,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하고, 음성급 신호를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하여 입출력하는 음성부(160)와,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하고 다이얼링 신호, 제어명령, 메시지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17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다수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와 간단한 메모 등을 기록저장하며, 상기와 같은 내용을 별도로 기록하고 저장하며 관리하는 것을 폰북부(130)라고 하고, 상기 폰북부(130)의 기록 내용은 키보드(170)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표시부(150)에 출력되므로 표시되고 확인된다.
상기와 같은 폰북부의 정보 내용은 수시로 검색하여 수정하거나, 수정하여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신규 등록하거나, 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상대방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와 해당 통신경로로 접속하여 문자, 기호, 숫자의 데이터 신호를 이용하는 메신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메신저 통신을 통하여, 폰북정보에 접속하고, 검색, 수정, 삭제, 신규 등록 및 다운로드 등과 같은 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이 폰북부(130)에 기록 저장된 정보는, 허가된 경우에만 접근하여 해당 처리를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폰북 정보의 접근이 허가된 것을 인증되었다고 하며, 상기 인증부(120)에서 확인하고 인증한다.
상기 인증부(120)에 의하여 인증되는 상대방은, 키보드(170)를 통하여 해당 고유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를 상기 인증부(120)에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인증된 휴대단말기(MS)나 컴퓨터(PC)를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상기 메신저부(140)의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인증부(120)에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인증부(120)에 의하여 상기 폰북부(130) 정보 접속 및 처리가 허가된 경우, 메신저(140)의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폰북정보를 검색, 수정, 삭제, 신규 등록 및 다운로드한다.
상기 음성부(160)는 음성급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하여, 통신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고, 표시부(150)는 휴대단말기(MS)의 각종 운용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폰북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키보드(170)는 다이얼링 신호, 제어명령, 각종 정보 등을 입력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의 폰북부(13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거나 수정, 삭제, 신규등록 및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메신저를 통하여 접속하고, 상기와 같이 접속된 경우, 인증부(120)에서 폰북정보의 접속이 허여되었는지를 해당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확인 및 비교 분석하므로 인증한다.
상기와 같이 인증부(120)에 의하여 인증된 상대방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는 메신저부(140)를 통하여 접속하므로,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폰북부(130)의 정보를 검색, 수정, 삭제, 신규 등록, 다운로드(DOWNLOAD)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폰메신저(EIMC)와 피시메신저(OMC)의 다중 접속 허용자를 인증설정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폰메신저(EIMC)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휴대단말기(MS)의 전화번호를 다중접속 허용자로 인증 설정하는 과정(S100); 상기 휴대단말기(MS)와 무선접속하여 피시메신저(IMC)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컴퓨터(PC)의 이메일 주소를 다중접속 허용자로 인증 설정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진 준비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MS)와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접속 허용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대방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접속하는 경우, 다중접속에 의한 인증이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진 인증과정과,
상기 인증과정에서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동시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동시에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허용된 메신저 접속이, 다수에 의하여 동시 접속되는 다중 메신저 통신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다중 메신저 통신으로 판단되면, 접속된 모든 상대방 휴대단말기와 컴퓨터에 동시 다중 접속하여 메신저 통신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진 다중과정과,
상기 다중과정에서 인증 접속된 휴대단말기(MS)와 컴퓨터(PC)가 폰북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폰북정보를 검색하여 수정과 삭제와 신규 등록과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다중접속된 휴대단말기(MS)와 컴퓨터(PC) 사이에서 폰북정보 처리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에서 판단하여 폰북정보 처리하는 경우, 메신저 접속된 상대방 휴대단말기(MS)와 컴퓨터(PC)에 의하여폰북정보를 검색하고 수정하거나 삭제하거나 신규 등록하거나 다운로드 처리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진 처리과정과,
상기 다중과정에서(S140), 접속된 다수의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동시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일대일 메신저 통신을 하고 상기 처리과정으로 진행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과정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처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단말기는, 원격 다중접속이 가능하고 자신의 폰북정보를 검색, 수정, 삭제, 신규등록 및 다운로드하도록 허여하는 휴대단말기의 고유 전화번호를 등록하고(S100), 또한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컴퓨터(PC)에, 상기와 동일한 권리를 허여하는 상기 컴퓨터의 인터넷 이메일 주소를 등록한다(S110).
상기와 같은 설정이 완료된 휴대단말기(MS)에 상대방 휴대단말기 또는 인터넷을 통한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메신저 접속이 있는 경우(S120), 상기 접속된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가 접속 허용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와 같은, 인증과정의 상세한 신호 흐름을, 첨부된 도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장비인 상대방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가 휴대단말기의 메신저부(140)에 접속요구를 하고(ST110), 상기의 메신저부(140)는 접속 요구한 상기의 외부장비에 인증정보를 요구한다(ST120).
상기 외부장비는 해당 인증정보를 휴대단말기(MS)의 메신저부(14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10)에 인가되며, 인증부(120)에 의하여 검증되므로, 인증이 확인된다(ST140).
상기 메신저부(140)는 검증된 결과를 외부장비에 전송(ST150)하므로, 상기 외부장비와 휴대단말기는 메신저부(14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므로, 상세히 후술하는 폰북정보를 해당 처리한다.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해당 처리과정이 설명되어 있으며, 즉, 제어부(110)는 인증되어 접속이 허용된 것으로, 상대방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의 외부장비가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S140), 상기 판단(S140)에서 다수 외부장비가 동시에 접속하는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는 일대일의 메신저 통신을 하고(S180),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는 경우는 동시에 다수의 외부장비가 메신저부(140)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동시 다중 메신저 통신 처리를 한다(S150).
상기와 같이 메신저부(140)와 다중 접속 또는 일대일 접속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므로, 해당 외부장비는 폰북부(130)의 정보를 해당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접속된 외부장비는, 폰북정보를 처리할 것인지 판단하고(S160), 상기 판단(S160)에서 폰북부(130)의 폰북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비는 폰북정보를 검색, 수정, 삭제, 신규 등록, 다운로드의 처리를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처리 중에서 폰북정보 검색처리의 상세한 신호흐름을, 상기 첨부된 도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부장비가 폰북부(130)의 정보를 검색처리 할 것으로 판단하는경우(ST210), 메신저부(140)에 검색정보를, 일 예로, 상대방 전화번호를 KEY 정보로 입력하고,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는 이름과 이메일 주소로 한다는 검색정보를 입력한다(ST220).
상기 검색정보를 입력받은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에 정보검색을 요청하고(ST230), 상기의 요청을 받은 폰북부(130)는 기록저장된 폰북(PHONEBOOK) 정보를 검색하며(ST240), 상기의 검색결과를 메신저부(140)에 전송한다(ST250).
상기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로부터 전송받은 검색결과를 해당 메모리에 저장하고(ST260), 상기의 검색요청한 외부장비에 상기의 검색결과를 전송하며(ST270), 상기 검색결과를 통보받은 외부장비는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확인하다(ST280).
이하, 상기와 같은 처리 중에서 폰북정보 수정처리의 상세한 신호흐름을, 상기 첨부된 도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부장비가 폰북부(130)에 기록된 폰북정보를 수정처리 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T310), 메신저부(140)에 수정정보를, 일 예로, 상대방 전화번호를 KEY 정보로 입력하고, 원래의 정보와 수정하고자 하는 정보를 소정 규격에 의하여 입력한다(ST320).
상기 수정정보를 입력받은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에 정보의 수정을 요청하고(ST330), 상기의 요청을 받은 폰북부(130)는 기록저장된 폰북(PHONEBOOK) 정보를 수정하며(ST340), 상기 폰북정보의 수정결과를 메신저부(140)에 전송한다(ST350).
상기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로부터 전송받은 수정결과를 해당 메모리에 저장하고(ST360), 상기의 폰북정보를 수정 요청한 외부장비에 상기의 수정결과를 전송하며(ST370), 상기 수정결과를 통보받은 외부장비는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확인하다(ST380).
이하,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 중에서 폰북부(130)에 폰북정보를 신규등록 처리하는 과정의 상세한 신호흐름을, 상기 첨부된 도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부장비가 폰북부(130)에 폰북정보를 신규로 등록처리 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T410), 메신저부(140)에 등록할 정보를, 일 예로, 키(KEY) 정보로 상대방 이름, 데이터(DATA)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각각 입력하고(ST420), 상기 신규 등록할 정보를 입력받은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에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전송하므로 신규 등록을 요청하고(ST430), 상기의 요청을 받은 폰북부(130)는 해당 폰북(PHONEBOOK) 정보를 새로이 등록하며(ST440), 상기 폰북정보의 등록결과를 메신저부(140)에 전송한다(ST450).
상기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로부터 전송받은 신규 등록결과를 해당 메모리에 저장하고(ST460), 상기의 폰북정보를 신규 등록 요청한 외부장비에 상기의 등록결과를 전송하며(ST470), 상기 신규 등록결과를 통보받은 외부장비는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확인하다(ST480).
이하,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 중에서 폰북부(130)에 등록된 폰북정보 삭제 처리 과정의 상세한 신호흐름을, 상기 첨부된 도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부장비가 폰북부(130)에 등록된 폰북정보 중에서 특정 정보를 삭제처리 할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ST510), 메신저부(140)에 삭제할 정보를, 일 예로, 키(KEY) 정보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ST520), 상기 삭제 정보를 입력받은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에 상기와 같은 삭제요청 정보를 전송하므로 삭제요청하고(ST530), 상기의 요청을 받은 폰북부(130)는 해당 폰북(PHONEBOOK) 정보를 삭제하며(ST540), 상기 폰북정보의 삭제결과를 메신저부(140)에 전송한다(ST550).
상기 메신저부(140)는 폰북부(130)로부터 전송받은 삭제결과를 해당 메모리에 저장하고(ST560), 상기와 같이 삭제처리된 결과의 폰북정보를 삭제 요청한 외부장비에 전송하며(ST570), 상기 삭제결과를 통보받은 외부장비는 해당 표시부에 출력하므로 확인하다(ST580).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간략히 설명하면, 휴대단말기(MS)의 폰북부(130)에 기록저장된 개인전화번호부 목록을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PC)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수정하며, 삭제하고, 신규등록하는 동시에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에는, 다수 컴퓨터(PC)가 동시 접속가능하며, 상기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폰북정보를 용이하게 검색, 수정, 삭제, 신규등록, 다운로드 처리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다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 수정, 삭제, 신규등록, 다운로드 처리한다.
따라서, 폰북정보가 기록저장된 휴대단말기의 접근이 허용되고 인증된 다수 컴퓨터 또는 다른 휴대단말기 들을 이용하여, 상기 폰북정보를 용이하게 원격으로실시간 검색, 수정, 삭제, 신규등록 및 다운로드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된 폰북정보를 접근이 허용된 다수의 컴퓨터와 다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검색, 수정, 삭제, 신규등록 및 다운로드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를 인터넷에 접속된 다수 컴퓨터 또는 다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시 원격 실시간 검색 등의 처리를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 자체를 변경하는 경우, 기존의 폰북정보를 원격으로 용이하게 실시간 다운로드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각종 통신신호를 무선접속된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와 접속하고 통신상대방을 인증하며, 폰북정보 입출력과 메신저 통신과 휴대단말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된 상대방이 폰북정보에 접근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인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각종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와 간단한 메모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폰북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상기 고주파부를 통하여 상대방과 접속하며 실시간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메신저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상기 폰북부의 정보 내용과 상기 메신저부를 통하여 실시간 송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음성급 신호를 입출력하는 음성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하고 다이얼링 신호, 제어명령, 메시지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가 더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메신저 통신을 위하여 접속되는 상대방을 상기 인증부에서 인증하도록 하여 상기 폰북부 접속허용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서 폰북부 접속 허용이 인증된 경우, 상기 메신저부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상기 폰북부의 정보를 처리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메신저 통신을 위하여 접속된 상대방이 휴대단말기이거나 컴퓨터이거나 관계없이 다수가 동시에 접속하고 각각 폰북정보를 처리하도록 허용되었음을 인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부는,
    접속된 상대방이 휴대단말기에 의한 폰메신저 접속이거나 컴퓨터에 의한 피시메신저 접속이거나 관계없이 메신저 통신을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6. 휴대단말기에 폰메신저와 피시메신저의 다중 접속 허용자를 인증설정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와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접속 허용이 인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인증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동시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동시에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도록 하는 다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인증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폰북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폰북정보를 검색하여 수정과 삭제와 신규 등록과 다운로드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과정에서, 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동시 다중 메신저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일대일 메신저 통신을 하고 상기 처리과정으로 진행하는 통신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폰메신저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다중접속 허용자로 인증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피시메신저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 컴퓨터의 이메일 주소를 다중접속 허용자로 인증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대방 휴대단말기와 컴퓨터가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메신저 통신을 하고자 접속하는 경우, 다중접속에 의한 인증이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과정은,
    상기 허용된 메신저 접속이 다중 메신저 통신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다중 메신저 통신으로 판단되면, 접속된 모든 상대방 휴대단말기와 컴퓨터에 동시 다중 접속하여 메신저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과정은,
    상기 다중접속된 휴대단말기와 컴퓨터 사이에서 폰북정보 처리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폰북정보 처리하는 경우, 메신저 접속된 상대방 휴대단말기와 컴퓨터에 의하여 폰북정보를 검색하고 수정하거나 삭제하거나 신규 등록하거나 다운로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폰북정보 원격 처리방법.
KR1020030049830A 2003-07-21 2003-07-21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50010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30A KR20050010597A (ko) 2003-07-21 2003-07-21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30A KR20050010597A (ko) 2003-07-21 2003-07-21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597A true KR20050010597A (ko) 2005-01-28

Family

ID=3722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830A KR20050010597A (ko) 2003-07-21 2003-07-21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0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37B1 (ko) * 2005-06-17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메신저방법, 기지국의 폰북리스트교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37B1 (ko) * 2005-06-17 2007-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메신저방법, 기지국의 폰북리스트교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52B1 (ko)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US720348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security level, and communication unit and portable terminal used therefor
US20080307501A1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US7613448B2 (en) Web access providing system
JP2001144859A (ja) 電話帳情報登録方法及び装置
US8576834B2 (en)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05956A (ko)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블루투스연결 방법
WO2002017656A2 (en) Methods, mobile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mobil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JPH10257090A (ja) 電子メール用サーバ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496954B1 (ko) 다중 사용자 환경 지원 핸드폰
KR20050010597A (ko) 휴대단말기의 폰북정보 원격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JP4667148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32337B1 (ko) 인터넷 가상저장공간을 이용한 휴대폰의 데이터 관리방법
KR20120055843A (ko)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100761533B1 (ko) 이동 단말기와 웹 간의 파일 관리 방법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20000072802A (ko) 핫폰의 시리얼번호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연결방법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20050077438A (ko) 이동 단말 주소록 동기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052799A (ko) 가상전화번호로의 매칭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70064694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KR2003007397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장치 및 방법
US20130223601A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KR100470333B1 (ko) 키폰 시스템에서 단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