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694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694A
KR20070064694A KR1020050125035A KR20050125035A KR20070064694A KR 20070064694 A KR20070064694 A KR 20070064694A KR 1020050125035 A KR1020050125035 A KR 1020050125035A KR 20050125035 A KR20050125035 A KR 20050125035A KR 20070064694 A KR20070064694 A KR 2007006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message
unit
received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성
원유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12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4694A/ko
Publication of KR2007006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에 관련되며, 특히 문자 메시지에 암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입력부와, 표시부와, 기지국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최근 발신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저장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생성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암호화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와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인증부와,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삭제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를 잘못 전송하여 개인 정보등의 중요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문자메시지, 암호, 이동통신 단말기, SM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ncrypting Me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키 입력부 110: 제어부
120: 메시지 전송부 122: 메시지 생성부
124: 전송 처리부 130: 수신번호 목록 관리부
132: 추가부 134: 검출부
140: 메시지 수신부 142: 인증부
144: 메시지 처리부 150: 저장부
160: 통신부 170: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에 관련되며, 특히 문자 메시지에 암호를 설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단순히 음성 통화 뿐 아니라, 주지된 이동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의 SMSC, MMSC 등을 통한 SMS 방식의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MS 방식을 활용한 장문메시지(Enhanced Message), MMS 방식의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들이 서비스되고 있다.
문자 메시지의 사용은 더 증가하고 있으며, 문자 메시지의 전송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요한 내용을 담고있는 메시지도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물론 정확한 수신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발신한다면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문자 메시지 발신시 상대방 번호를 입력함에 있어서 실수로 다른 숫자를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엉뚱한 사용자에게 중요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예를들어 문자 메시지가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개인정보를 노출하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잘못된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였을 경우 수신자가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볼 수 없도록 암호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발신했던 최근 수신 번호들을 따로 저장하여 그 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발신한 수신번호를 체크한다. 그리고, 그 최근 수신번호 목록에 사용자가 발신한 수신 번호가 없다면 메시지가 잘못 전송될 위험이 있음을 경고한다. 그리고 그 경우에는 사용자가 발신하는 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수신번호 목록에 사용자가 발신한 수신번호가 없다면 그와 유사한 번호들을 적어도 하나 검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패스워드 정보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의 이름이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전송시 수신번호를 잘못 입력하더라도 문자 메시지 암호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 함으로써 개인 정보등의 중요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발신을 위해 입력한 수신번호가 최근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최근 수신번호 목록와 폰북으로부터 유사한 번호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수신번호를 잘못 입력하더라도 더 편리하게 정확한 번호를 선택하여 발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따로 패스워드를 설정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입력부(100)와, 표시부(170)와, 기지국과 통신하는 통신부(160)와, 최근 발신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150)와, 키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저장부(150)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22)와, 생성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통신부(160)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124)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부(120)와,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되는 암호화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와 키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인증부(142)와, 인증부(142)의 인증 결과에 따라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70)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삭제하는 메시지 처리부(144)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부(14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장착된 0~9까지의 숫자키들과 메뉴키, 통화키, 종료키, 취소/지움키, 방향키등의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00)는 단말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키 입력부(100)는 키 입력에 따라 정의된 문자데이터를 발생하여 문자 메시지를 생성한다. 키 입력부(100)는 키 패드로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스크린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로 공지된 구성이다. 표시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와 사용자가 키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한 숫자 혹은 문자들, 그 밖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입력에 따라 발생된 문자와, 검출된 유사 수신번호 혹은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통신부(160)는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알 에프 회로를 포함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기지국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는 이동통신망과 일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동일 또는 타 이동통신 망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node)을 구성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는 SS7(Signaling System 7) 망에서 고유의 SPC(Signalling Point Code)를 갖는 하나의 독립적인 노드로서,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및 교환기(MSC)와 연결되어 수신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가입자들에게 단문을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60)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통하여 타 이동통신 단말기와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발신 메시지 및 수신 메시지와 같이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현된다. 저장부(150)는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할당한 데이터 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임시 저장공간을 할당하여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발신했던 모든 수신번호를 저장하고, 그 수신번호에 대한 최근 발신 정보를 대응하여 함께 저장한다. 이 때에는 저장부(150)로 구현된 데이터 베이스 상에서 수신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를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수신번호들이 그 값의 크기에 따라 소팅되어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저장부(150)는 최근 발신 정보에 따라 소정의 기간내에 발신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10)는 바람직하게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시지 전송부(120)와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메시지 수신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60)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110)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탈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메시지 전송부(120)는 키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 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저장부(150)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생성된 문자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22)와, 생성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통신부(160)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124)를 포함한다.
메시지 생성부(122)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키패드 조작 및 표시부(170) 화면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메시지 생성부(122)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SMS 방식에 의한 문자메시지 서비스일 수 있다. 사용자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게 된다. 메시지 생성부(122)는 데이터 필드를 작성하여 통상적인 문자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통상적인 문자메시지의 데이터 필드는 수신할 단말기의 정보, 발신하는 단말기의 정보, 발신 시각 정보, 문자메시지의 내용 등 그 밖에 메시지 전송에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생성부(122)는 데이터 필드에 암호화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멤버 변수를 더 추가한다. 멤버 변수는 기존의 메시지 생성 필드에 더 추가된 구성으로 그 세팅값에 따라 문자 메시지의 암호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생성부는 기존의 문자메시지 데이터 필드에 스트링변수를 더 추가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메시지 생성부(122)에서 포함하는 스트링 변수는 발신측 단말기 소지자의 이름이다. 이는 추후에 수신 단말기측에서 암호화 된 문자메시지의 암호화를 해제하여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할 패스워드 값이 된다.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소지자가 메시지 전송시 따로 패스워드를 지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송 처리부(124)는 메시지 생성부(122)에서 생성된 문자 메시지를 SMS 프로토콜 처리 기술에 따라 주지된 바와 같은 처리를 하여 통신부(160)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 처리한다.
메시지 수신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되는 암호화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와 키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인증부(142)와, 인증부(144)의 인증 결과에 따라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표시부(170)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삭제하는 메시지 처리부(144)를 포함한다.
인증부(142)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암호와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멤버변수가 세팅된 경우에 수신한 문자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출력하여 그에 따른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들면 "010-9999-8888님으로부터 메시지가 도착하였습니다. 발신자의 이름을 입력하세요" 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데이터와 수신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한다.
메시지 처리부(144)는 인증부(142)에서 인증된 결과에 따라 패스워드 정보에 포함된 스트링값과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일치하면 수신한 암호화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부(170)를 통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패스워드 정보에 포함 된 스트링값과 키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한 암호화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지 않고 삭제하도록한다. 이 경우에 일 실시예로 하나의 암호화된 문자데이터에 대하여 3번이상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그 결과 3번 모두 틀린 경우에 완전히 삭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10)는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저장부(150)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저장부(150)와 폰북으로부터 유사한 수신번호를 적어도 하나 검출하여 출력하는 검출부(134)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목록 관리부(130)를 포함한다.
검출부(13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저장부(150)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그와 유사한 번호들을 검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들면 각 자리의 숫자들을 비교하고, 소정의 자리 이상 같은 숫자가 포함된 번호들을 검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010-9999-8888'의 수신번호로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고 가정하면, 검출되는 번호들은 '010-9979-8488, 010-9998-8888'등일 수 있다. 이 때 한자리 숫자를 잘못 입력한 경우라면 사용자가 자신이 기존에 사용했던 '010-9998-8888'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잘못된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검출부(134)는 단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전화번호들 뿐 아니라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포함하여 유사한 번호들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수신번호 목록 관리부(130)가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저장부(150)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수신번호를 저장부(150)에 저장하 는 추가부(132)를 더 포함한다. 최초로 발신한 번호라면 저장부(150)에 추가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다음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때에는 아는 번호로 인식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세지의 암호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은 키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이미 저장된 최근 발신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생성된 문자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암호화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와 키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단계와, 인증 결과에 따라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출력 혹은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생성부(122)는 키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문자메시지를 생성한다(단계 S210).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메시지생성부(122)는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발신할 수신번호 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20). 입력된 수신번호가 저장부(150)의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된 번호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상의 메시지 전송 과정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40).
그러나 입력된 수신번호가 저장부(150)의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수신번호 목록 관리부(130)의 검출부(134)는 저장부(150)와 폰북으로부터 입력된 수신번호와 유사한 전화번호를 적어도 하나 검출하여 출력한다(단계 S220). 사용자는 유사한 번호들 중 자신이 전송하고자 했던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번호를 잘못 입력하였음을 인지하고, 정확한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230).
사용자가 검출된 수신번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처음 입력한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다면,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문자메시지에 암호화 설정을 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S232). 그리고 사용자가 암호화 설정 선택하면 문자메시지에 암호화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단계 S234). 이때에 패스워드 정보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의 이름이다. 이에 따라 패스워드를 따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문자메시지를 발신한 수신번호가 최초 발신한 번호이므로 저장부(150)에 추가하여 저장한다(단계 S236).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메시지 수신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하여 문자메세지를 수신한다(단계 S300). 메시지 수신부(140)는 수신한 문자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단계 S310). 그리고 암호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패스워드를 입력받기 위한 패스워드 요구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가 입력되면(단계 S320), 인증부(14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패스워드와 수신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330). 그리고 두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70)를 통하여 수신한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한다(단계 S340). 그러나 두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를들어 연속 3번 입력된 패스워드가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삭제한다(단계 S345).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잘못된 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문자 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므로 메시지를 잘못 전송하여 개인 정보등의 중요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자메시지 발신을 위해 입력한 수신번호가 최근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최근 수신번호 목록와 폰북으로부터 유사한 번호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더 편리하게 정확한 번호를 선택하여 발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 설정에 따른 패스워드 정보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의 이름으로 설정됨으로써,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따로 패스워드를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 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1. 키 입력부와;
    표시부와;
    기지국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최근 발신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 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생성된 문자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암호화된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삭제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저장부와 폰북으로부터 유사한 수신번호를 적어도 하나 검출하여 출력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수신번호 목록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번호 목록 관리부가:
    상기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추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SM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 정보는 문자메시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의 이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이미 저장된 최근 발신한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생성된 문자메시지에 암호 설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여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암호화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 정보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출력 혹은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상기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번호 목록과 폰북으로부터 유사한 번호를 적어도 하나 검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세지의 암호 설정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상기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문자메시지의 수신번호가 상기 수신번호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번호를 상기 수신번호 목록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SM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 정보는 문자메시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소지자의 이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KR1020050125035A 2005-12-19 2005-12-19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KR20070064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035A KR20070064694A (ko) 2005-12-19 2005-12-19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035A KR20070064694A (ko) 2005-12-19 2005-12-19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694A true KR20070064694A (ko) 2007-06-22

Family

ID=3836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035A KR20070064694A (ko) 2005-12-19 2005-12-19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46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86B1 (ko) * 2009-04-10 2009-12-15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단말기 및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277149B1 (ko) * 2008-11-06 201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149B1 (ko) * 2008-11-06 201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장치
US8892901B2 (en) 2008-11-06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user data
KR100931986B1 (ko) * 2009-04-10 2009-12-15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단말기 및 메시지 송수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057B2 (en) Message service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position information
US7284123B2 (en) Secur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omprising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KR20070082179A (ko) 상호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37951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콘텐츠를 안전하게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201830949A (zh) 共用使用者身份模組卡的方法和行動終端
US200402664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ssage control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17054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subscriber identity identity code notification apparatus
CN106878964B (zh) 基于短信信道的鉴权系统和方法
KR20070064694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KR20160019267A (ko) 문자메시지 인증 방법, 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0827185B1 (ko)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03789B1 (ko) 발신자정보처리시스템
KR10105154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신메시지 표시방법
KR100698645B1 (ko) 메시지 보안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5008233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811596B1 (ko)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KR20050050790A (ko)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7025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KR10044413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태그 메세지 전송 방법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200400857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20160004544A (ko) 이모티콘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보안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7033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신번호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57237B1 (ko) 전화 번호 변경 정보를 이용한 주소록 자동 갱신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