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596B1 -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596B1
KR100811596B1 KR20050127538A KR20050127538A KR100811596B1 KR 100811596 B1 KR100811596 B1 KR 100811596B1 KR 20050127538 A KR20050127538 A KR 20050127538A KR 20050127538 A KR20050127538 A KR 20050127538A KR 100811596 B1 KR100811596 B1 KR 100811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ture
message
portable terminal
sen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2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405A (ko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05012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5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59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발신시 각각의 단말기가 가지는 가입자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단말기 제조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 전자서명을 함께 첨부함으로써 메시지 발신자의 신뢰성과 개인 정보보호가 가능케 한다.
메시지 서비스, SMS, MMS, 서명, 보안, 난수, Rand()

Description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SIGNATURE ADDED MESSAGE SENDING METHOD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서명 데이터 생성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키입력부 120 : MSM
130 : 메모리부 140 : 표시부
150 : RF 송수신부 160 : 서명 생성부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 단말기의 메시지 발신시 각각의 단말기가 가지는 가입자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단말기 제조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 전자서명을 함께 첨부함으로써 메시지 발신자의 신뢰성과 개인 정보보호가 가능케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 메시지 서비스 기능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서비스라 함은 휴대형 단말기간의 통화 유무에 관계없이 단문 또는 장문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양방향 문자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간단히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와 사운드,사진,동영상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 Multimedea Message Service)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메시지 서비스는 점차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가장 큰 단점 중의 하나는 메시지 발신자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상에서의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에는 메시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발신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범죄 등에 이용한다면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킬 소지가 있다. 따라서, 기존 메시지 서비스는 발신자 신뢰성 보장 등을 위한 방안이 도입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시 단말기 고유의 MIN 또는 ESN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전자서명을 첨부함으로써 메시지 발신자의 신뢰성과 개인 정보보호가 가능케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은,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1 단계와; 메시지 발신시, 서명 추가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서명 추가가 선택된 경우에, 메시지에 상기 서명 데이터를 추가한 후 발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은, 온라인 상에서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생성된 서명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제2 단계와; 메시지 발신시, 서명 추가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서명 추가가 선택된 경우에, 메시지에 상기 서명 데이터를 추가한 후 발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 고유의 식별번호인, MIN과 ESN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을 이용하는 휴대형 단말기는 유선을 이용하는 일반 단말기에 비해 도청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업자는 각 가입자에게 MIN을 할당하며 단말기 제조업체는 각 단말기에 ESN을 부여한다. 즉, MIN은 단말기의 가입자 번호에 해당되고, ESN은 단말기의 감추어진 시리얼 번호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MIN은 십진수 10자리로 구성되며, MSIN(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이라고도 한다. ESN은 단말기 제조업체에 의해 지정된 32비트의 숫자로서 한번 할당되면 변경이 불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키입력부(110), MSM(Mobile Station Modem)(120), 메모리부(130), 표시부(140), RF 송수신부(150) 및 서명 생성부(160)를 포함한다.
키입력부(110)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선택 신호를 후술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1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MSM(120)은 키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문자 코드를 생성하고, 문자 코드를 통하여 메시지를 구성하며, 키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선택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메모리부(130)로부터 서명을 불러오고, 서명을 메시지에 부가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부(130)는 서명 데이터를 저장하고, MSM(120)의 제어에 따라 서명 데이터를 MSM(12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표시부(140)는 MSM(120)으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RF 송수신부(150)는 MSM(120)으로부터 출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RF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서명 생성부(160)는 MSM(12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고유의 식별번호가 되는 MIN 또는 ESN을 이용하여 메시지에 추가될 서명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메뉴키를 선택하고, 이에 의해 단말기의 표시부(140)에는 메뉴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된 메뉴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서명 생성 메뉴를 선택한다(S100).
다음에,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서명 생성 메뉴 중에서 서명 생성 시작 명령을 선택한다. 그러면, 단말기의 서명 생성부(160)는 MSM(12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고유의 식별번호가 되는 MIN 또는 ESN을 이용하여 메시지에 추가될 서명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서명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S102).
다음에, 사용자가 메뉴 선택 화면에서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메시지 전송 기능을 선택하면, 표시부(140)에는 서명 데이터를 삽입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 창이 뜨게 되고, 사용자는 서명 데이터 삽입 여부를 선택한다(S104).
만약, 사용자가 서명 데이터 삽입 기능을 선택하면, MSM(120)은 메모리부 (130)에 저장된 서명 데이터를 읽어들여 발신 메시지에 서명 데이터를 추가한다(S106). 여기서, 서명 데이터는 발신 메시지의 머리말/꼬리말에 추가되거나 또는 메시지의 편지지로 생성가능하게 되어 첨부화일 대신에 사용가능하다.
이후에,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문자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발신 메시지를 작성한다(S108).
만약, 사용자가 서명 추가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키입력부(110)를 통하여 문자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일반 메시지를 작성한다(S110).
최종적으로, 서명 추가된 메시지 또는 일반 메시지는 RF 송수신부(150)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된다(S112).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로서, 온라인 상에서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S200)와, 생성된 서명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단계(S202)를 제외하면, 나머지 단계들(S204 내지 S21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온라인 상에서 서명 데이터를 생성한다는 것은 개인용 PC, 노트북 등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제공되는 소정의 서명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명을 생성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명 데이터의 생성은 단말기의 서명 생성부(160)가 담당한다. 서명 생성부(160)는 MSM(12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고유의 식별번호가 되는 MIN 또는 ESN을 근원(seed)으로 난수(Random Number)를 발생시키는 Rand() 함수- 0부터 Rand_max(난수의 최대치) 사이의 정수 중 하나를 리턴함 -를 적용시켜 서명으로 사용할 그림, 문자, 도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림, 문자, 도형의 좌표와 각도를 결정함으로써 서명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그림, 문자, 도형의 수 및 좌표 범위는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림, 문자, 도형은 지원하는 범위 내에서 선택해야만 하며, 좌표는 해당 범위 내에서 정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MIN 값을 근원으로 할 때, 좌표 범위가 (0,0)에서 (21,10)이면, 좌표(Rand(MIN)%21, Rand(MIN)%10)이 된다. 또한, 그림, 문자, 도형을 각각 a, b, c개를 지원 한다면, 그림(Rand(MIN)%a), 문자(Rand(MIN)%b), 도형(Rand(MIN)%c)가 된다. 그리고, 각도는 (Rand(MIN)%360)가 된다.
따라서, 좌표의 범위가 x, y라 하면,
좌표(Rand(min)%x, Rand(min)%y), 그림(Rand(min)%a), 각(Rand(min)%360)
좌표(Rand(min)%x, Rand(min)%y), 문자(Rand(min)%b), 각(Rand(min)%360)
좌표(Rand(min)%x, Rand(min)%y), 도형(Rand(min)%c), 각(Rand(min)%360)
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서명 데이터 생성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단말기의 MIN값은 '1031970252'일 때, MIN 값을 근원으로 Rand(1031970252) 함수를 적용시키고 있으며,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라는 메시지 창에 대하여, 문자(kim)는 좌표(5,8)의 위치에 그리고 45도 각도로 설정되어 있고, 도형(324)은 좌표 (12,2)의 위치에 그리고 -45도 각도로 설정되어 있고, 도형(4234)은 좌표(13,8)의 위치에 그리고 0도 각도로 설정되어 있고, 선(327)은 좌표(12,8)의 위치에 그리고 38도 각도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시지 발송시 단말기 고유의 식별번호인 MIN 또는 ESN 값을 이용하여 생성된 전자 서명을 함께 추가함으로써 메시지 발신자의 신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개성 있는 편지지 등의 제작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개인만의 서명을 추가할 수 있게 되므로 온라인 상에서 무차별하게 발송되고 있는 발신자 불명의 메시지 발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개인 정보보호도 가능하다.

Claims (10)

  1.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1 단계와;
    메시지 발신시, 서명 추가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명 추가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메시지에 상기 서명 데이터를 추가한 후 발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는 MIN 또는 ES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서명데이터 생성은 상기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근원으로 RAND()함수를 적용시켜 서명으로 사용할 그림, 문자, 도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림, 문자, 도형의 좌표와 각도를 결정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명 데이터는 메시지의 머리말/꼬리말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명 데이터는 메시지의 편지지로 생성되어 첨부화일 대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6.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휴대형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서명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생성된 서명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제2 단계와;
    메시지 발신시, 서명 추가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서명 추가가 선택된 경우에, 메시지에 상기 서명 데이터를 추가한 후 발송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의 서명 데이터 생성은 상기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근원으로 Rand() 함수를 적용시켜 서명으로 사용할 그림, 문자, 도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림, 문자, 도형의 좌표와 각도를 결정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는 MIN 또는 ES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명 데이터는 메시지의 머리말/꼬리말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명 데이터는 메시지의 편지지로 생성되어 첨부화일 대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KR20050127538A 2005-12-22 2005-12-22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KR100811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7538A KR100811596B1 (ko) 2005-12-22 2005-12-22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7538A KR100811596B1 (ko) 2005-12-22 2005-12-22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405A KR20070066405A (ko) 2007-06-27
KR100811596B1 true KR100811596B1 (ko) 2008-03-11

Family

ID=3836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27538A KR100811596B1 (ko) 2005-12-22 2005-12-22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11B1 (ko) * 2008-12-15 2015-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473A (ko) * 2004-11-16 2006-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사용자 서명을추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3473A (ko) * 2004-11-16 2006-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사용자 서명을추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405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968B1 (ko) 유연한 메시징 시스템
US20080268882A1 (en) Short message service enhancement techniques for added communication options
KR10064118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11013A (ko) 메시지 관리방법
KR20010072629A (ko) 이동 전화 상에서 동작의 변경 허가를 위한 방법
KR1007349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숨김 기능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811596B1 (ko)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KR200300066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메시지의 전송및 수신방법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KR10105154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신메시지 표시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748991B1 (ko)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06766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594771B1 (ko) 태그 문자를 이용한 확장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496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KR200400857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00364B1 (ko) 송신 데이터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송신용 무선통신단말기와 원격 제어에 따른 수신 데이터 처리 기능을가지는 수신용 무선통신 단말기
KR100617543B1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부재중 수신메시지목록 확인기능이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31945B1 (ko) 회신 또는 전달된 문자 메시지의 아이콘에 의한 표시 방법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101139449B1 (ko)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703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사용자 서명을추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04544A (ko) 이모티콘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보안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