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449B1 -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449B1
KR101139449B1 KR1020050048508A KR20050048508A KR101139449B1 KR 101139449 B1 KR101139449 B1 KR 101139449B1 KR 1020050048508 A KR1020050048508 A KR 1020050048508A KR 20050048508 A KR20050048508 A KR 20050048508A KR 101139449 B1 KR101139449 B1 KR 10113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message
information dele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493A (ko
Inventor
강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44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개인정보 데이터 및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라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통해 저장된 개인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인식코드, 인증코드

Description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delet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생성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10a: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어부
11a: 데이터 설정부 11b: 판단부
11c: 데이터 처리부 12: 메시지 생성부
13: 통신모듈 14: 메모리
15: 입력부 16: 출력부
본 발명은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삭제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라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작성된 문장 또는 미리 작성되어 저장된 문장을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을 통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며,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판독하여 화면을 통해 판독된 단문 메시지를 출력한다.
최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잠금설정 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사람에 의한 버튼 조작에 따라 잠금설정이 해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시, 상기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쉽게 유출되어 사생활이 침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시, 수신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통해 저장된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개인정보 데이터 및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라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생성방법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단계와, 작성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의해 삭제되는 개인정보 데이터 삭제 목록을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독 결과에 따라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3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2)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3)과, 개인정보 데이터 및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4)와,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15)와,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16)와,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라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14)는 수신 메시지를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로 인식하기 위한 인식코드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 및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따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14)는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의해 삭제되는 개인정보 메뉴 목록이 별도로 저장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12)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a)로부터 상기 생성 메 시지의 개인정보 삭제 명령이 인식되도록 하는 인식코드와 비밀번호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a)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생성부(12)는 상기 입력부(15)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에 상기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생성부(12)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a)의 개인정보 삭제 인식코드가 '*#*PID*#*' 이고, 사용자 인증코드가 '*9999' 로 설정된 경우, 상기 입력부(15)를 통해 '내 핸드폰~ *#*PID*#**9999' 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1)는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인식하는 인식코드와 비밀번호 인증 코드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11a)와, 설정된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를 통해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11b)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수신 시, 설정에 따른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처리부(1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설정부(11a)는 상기 입력부(15)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코드 및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의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설정부(11a)는 개인정보 삭제 인식코드를 '*#*PID*#*' 로 설정하고, 사용자 인증코드를 '*9999' 로 설정하면, 상기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가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되어,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설정부(11a)는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수신 시, 명령에 따라 선택된 개인정보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설정한다.
즉, 상기 데이터 설정부(11a)는 상기 입력부(15)를 통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삭제 메뉴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되도록 하고,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삭제 메뉴 리스트에 해당되는 메뉴의 개인정보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설정부(11a)는 메시지를 통한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 삭제되는 메뉴가 '주소록', '사진첩', '메시지' 로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따라 삭제 메뉴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14)에 별도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설정부(11a)는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수신 음이 출력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상기 출력부(16)를 통해 출력되지 않고, 바로 개인정보 삭제 명령이 수행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판단부(11b)는 메시지 수신 시, 수신 메시지를 판독하여 설정된 개인정보 삭제 인식코드 포함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인식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로 인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11b)는 상기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로 판단 된 경우,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의 비밀번호 인증코드 포함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11b)는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가 비밀번호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 인증코드와 기 설정된 인증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부(11b)는 개인정보 삭제 인식코드가 '*#*PID*#*' 이고, 사용자 인증코드가 '*9999' 로 설정된 경우,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데이터가 '*#*PID*#*'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판단부(11b)는 수신 메시지가 '*#*PID**0000' 인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가 '*#*PID*#*'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판단부(11b)는 상기 수신 데이터가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의한 인식코드 '*#*PID*#*' 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로 인식되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 '*9999' 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11b)는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 삭제 목록을 통해 삭제되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1c)는 수신된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인 경우,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고,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일반 단문 메시지로 인식하여 상기 출력부(16)를 통해 출력 되도록 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1c)는 상기 판단부(11b)를 통해 수신 메시지가 설정된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고, 수신 메시지가 설정된 인식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메시지를 일반 단문 메시지로 인식하여 상기 출력부(16)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1c)는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설정에 따라 메시지 수신 알림 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메시지 수신 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1c)는 수신 메시지가 설저된 인식코드 포함 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포함하지 않거나, 혹은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코드와 설정된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따른 인증 실패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13)을 통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상기 생성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생성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메시지 등 과 같은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개인정보 삭제 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한다(S1).
이때,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로 인식되도록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된 개인정보 삭제 명령을 인식하는 인식코드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작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전송한다(S2).
만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실패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S3), 상기 과정에 따라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다시 작성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생성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재전송 한다(S1 내지 S2).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 설정에 따라, 송신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대한 개인정보 삭제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송신 동작을 종료하고(S4), 상기 개인정보 삭제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재전송 한다(S1 내지 S2).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정보 메시지 수신 시 개인정보 삭제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따른 인식코드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인증코드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선택된 개인정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수신 시 삭제되는 개인정보 데이터 삭제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메시지가 수신되면(S11), 수신된 메시지의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의한 인식코드 포함여부에 따라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수신 메시지를 판독하여 기 설정된 인식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로 인식되도록 한다(S12 내지 S14).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인식하고(S15), 설정된 인증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S16),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개인정보 삭제 명령을 수행한다(S17). 이때,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 삭제 목록을 통해 삭제되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판단하여,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때, 상기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메시지 수신 알림 차단 설정한다.
또한, 메시지 송수신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통한 개인정보 데이터 삭제 후,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의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개인정보 삭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18).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 메시지로 인식하여, 수신 메시지를 표시 화면에 출력하고, 저장한다(S19).
이때,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의해 다른 메시지 데이터가 삭제된 이후 인 경우에는 설정에 따라 수신 메시지가 바로 삭제되도록 한다.
또한, 수신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의 인증코드가 설정된 인증코드와 일치하 지 않는 경우, 인증실패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 시,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통해 저장된 개인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개인정보 데이터 및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따른 설정 데이터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의해 삭제되는 메뉴 리스트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수신된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이면, 상기 메뉴 리스트에 대응하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개인정보 삭제 명령이 인식되도록 하는 인식코드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포함하여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를 인식하는 인식코드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데이터 설정부와;
    설정된 인식코드 및 인증코드를 통해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수신 시, 설정에 따른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수신 메시지의 개인정보 삭제 명령 인식코드의 포함여부에 따라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징에 포함된 비밀번호 인증코드와 설정된 인증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7.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 수신 시, 메시지 수신 음이 출 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의해 삭제되는 메뉴 리스트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메뉴 리스트에 대응하는 메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따른 인식코드 및 비밀번호 인증을 위한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개인정보 삭제 명령에 따라 삭제되는 메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4.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수신 메시지를 판독하여, 수신 메시지의 개인정보 삭제 명령 인식코드 포함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코드와 설정된 인증코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 메시지가 개인정보 삭제 메시지인 경우, 메시지 수신 알림 차단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50048508A 2005-06-07 2005-06-07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1139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508A KR101139449B1 (ko) 2005-06-07 2005-06-07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508A KR101139449B1 (ko) 2005-06-07 2005-06-07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493A KR20060127493A (ko) 2006-12-13
KR101139449B1 true KR101139449B1 (ko) 2012-04-30

Family

ID=3773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508A KR101139449B1 (ko) 2005-06-07 2005-06-07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5335B (zh) 2008-06-05 2014-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擦除终端数据的方法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646A (ko) * 1998-02-11 1999-09-06 구자홍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기 정보 삭제방법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646A (ko) * 1998-02-11 1999-09-06 구자홍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기 정보 삭제방법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493A (ko)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0353B2 (en) SIM messaging client
KR20050011013A (ko) 메시지 관리방법
CN101772017A (zh) 远程销毁通信终端的信息的方法及其通信终端
KR20070090768A (ko) 휴대 전화, 및 상기 휴대 전화가 판독가능한 전자 메일송수신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067146B1 (ko)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US8538380B2 (en) Method of data protection for communication device
WO2010092998A1 (ja) 通信端末、電話帳登録方法、及び通信端末取り扱い方法
KR1007349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숨김 기능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90770A (ko) 휴대 전화, 및 상기 휴대 전화가 판독가능한 전자 메일송수신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70014859A (ko) 전파식별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잠금 방법 및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39449B1 (ko) 개인정보 삭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60040613A (ko) 단말 장치
KR20070090769A (ko) 휴대 전화, 및 상기 휴대 전화가 판독가능한 전자 메일송수신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0867534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비밀 메시지 리스트 관리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300066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메시지의 전송및 수신방법
JP4413211B2 (ja) 情報消去方法、サーバシステム及び情報消去システム
KR10110669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JP3875250B2 (ja) 情報消去方法、移動通信端末装置、サーバシステム、情報消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12135A (ko) 분실시 사용자정보를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사용자정보 표시방법
KR20060016710A (ko) 문자메시지내 전화번호 추출 및 저장 또는 통화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025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JP4091945B2 (ja) 遠隔操作制御装置及び遠隔操作制御方法
JP5061835B2 (ja) 通信端末装置、電子メールの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11596B1 (ko)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KR100617543B1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부재중 수신메시지목록 확인기능이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