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735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735A
KR20040085735A KR20030020527A KR20030020527A KR20040085735A KR 20040085735 A KR20040085735 A KR 20040085735A KR 20030020527 A KR20030020527 A KR 20030020527A KR 20030020527 A KR20030020527 A KR 20030020527A KR 20040085735 A KR20040085735 A KR 20040085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hort message
user
lock func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2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2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5735A/ko
Publication of KR2004008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73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저장된 각각의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생활 보호 기능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은 개별 메시지에 대해서 따로 관리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특정 메시지를 타인에게 보여주기 싫은 경우 사생활 보호 기능을 이용한 전체 사용제한 설정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메시지까지 보기기능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내용 확인 후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 리스트에서 소정의 단문메시지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단문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이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선택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를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SM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저장된 각각의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문자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받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은 간단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뉴스 정보, 이벤트 정보, 날씨 정보, 스포츠 정보, 증권 정보, 환율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란 이동 통신 단말기간의 통화 유무에 관계없이 짧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말한다. 이 서비스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80바이트(Byte) 정도의 짧은 문장을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보내면 공중 전화망,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단문메시지를 수신 또는 발신하고, 그 수신 또는 발신한 단문메시지를 저장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면, 벨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사용자는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확인하여 저장 또는 삭제한다.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면 메시지 수신함으로 저장된다.
반면,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발신하고자 하면, 단말기에 기 구성된 메뉴,예를 들어, 문자메시지 메뉴로 진입하여 발신함 항목을 선택한다. 상기 발신함 항목에 구성된 새메시지 항목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보낼 단문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수신자번호 입력 후 단문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메시지 종류(예를 들어, 보통, 빠름, 긴급)를 선택하여 송신한다. 이때, 상기 발신한 단문메시지를 저장하면, 단문메시지 메뉴에 구비된 메시지 발신함에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 메시지 수신함 또는 발신함에 저장된 단문메시지는 사용자가 아닌 타인에 의해서도 메시지 내용을 볼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단말기의 메뉴에 사생활 보호 기능 항목을 구비하고, 그 사생활 보호 기능 항목을 설정하여 사생활을 보호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해 도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단말기의 메뉴에 기 구성된 사생활 보호 기능 항목을 선택하여 설정한 후 단말기에 구성된 기능 또는 메뉴, 예를 들어, 단문메시지 항목을 사용하고자 하면,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한 항목으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창이 표시된다.
그 비밀번호 입력창에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그 입력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할 때에만 상기 단문메시지 항목 이하의 기능에 대해서 사용을 허락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메뉴에구성된 항목들이 표시되고,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보기 위해 그 메시지 메뉴에 구성된 항목 중 수신함을 선택한다.
상기 수신함을 선택하면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 목록이 표시되고, 그 표시된 목록 중 메시지 내용을 보고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택한 메시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사생활 보호 기능을 이용한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은 개별 메시지에 대해서 따로 관리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특정 메시지를 타인에게 보여주기 싫은 경우 사생활 보호 기능을 이용한 전체 사용제한 설정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메시지까지 보기기능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수신 또는 발신한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추가하고, 특정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그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를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사생활 보호 기능 설정 후 단문메시지 확인 과정에 대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서 단문메시지의 잠금기능 설정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3은 단말기에 저장된 수신 또는 발신한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 예시도.
도4는 단문메시지 발신 과정에서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서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6은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내용 확인 후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 리스트에서 소정의 단문메시지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단문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이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선택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수신 또는 발신한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저장된 수신 또는 발신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메시지 잠금 기능 항목을 이용하여 메시지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단문메시지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3과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3은 메시지 수신함 또는 발신함에 저장된 메시지를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메시지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단말기에 구성된 메시지 메뉴로 진입하여 메시지 수신함 또는 발신함 항목을 선택하면(도3a), 그 선택한 항목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리스트가 표시되고, 그 표시된 리스트 중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단문메시지를 선택한다(도3b).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되면(S10), 그 표시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고, 메시지 잠금 기능을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여(S20), 잠금 기능을 설정할 경우 메시지 내용 하단에 표시된 잠금 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잠금 기능을 설정한다(S30)(도3c).
또한, 도4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발신하는 과정에서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메시지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메시지를 발신하기 위해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메뉴에 구비된 발신함 항목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항목에서 새메시지 항목을 선택하여 수신자번호를 입력한다(도4b).
상기 수신자번호 입력 후 발신할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여(도4c) 송신할 때 그 메시지에 대한 저장 항목(도4d)과 메시지 종류(도4e)를 선택하면, 그 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항목(도4f)이 표시된다. 그 표시된 잠금 기능 항목을 이용하여 발신할 메시지를 잠금 메시지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기능 항목은 사용자가 발신할 메시지를 저장할 때에만 표시되고, 저장하지 않을 때는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기에 저장된 수신 또는 발신한 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때 기 설정된 사용자 비밀번호가 아닌 잠금 기능을 설정하고자 하는 각각의 단문메시지에 대해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럼, 상기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에서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리스트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리스트에서 특정 단문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와,상기 선택한 단문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잠금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특정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한 후 단말기에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 구성된 메뉴, 예를 들어, 문자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진입하고(S110),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뉴에 구성된 항목 중 소정의 항목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수신함 항목을 선택한 경우,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택한 수신함 항목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리스트가 표시된다(S120). 여기서, 리스트에 표시된 단문메시지 중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는 메시지 내용은 표시하지 않고 기 설정된 아이콘(예를 들어, 잠금 아이콘)만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단문메시지 리스트 중 내용을 보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고(S130), 그 선택한 단문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인지 판단한다(S14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한 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이면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그 입력창에 메시지 내용을 볼 수 있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한다(S150).
상기 입력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S160) 일치하면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메시지 내용을 표시하고(S170), 일치하지 않으면 종료하거나 소정 회수이상 반복 입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한 과정 S140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선택한 단문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메시지이면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한다(S18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타인에 의해 노출될 수 있는 비밀내용 또는 사생활에 대한 단문메시지에 대해서 잠금 기능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 또는 발신한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추가하고, 특정 단문메시지에 대해 잠금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그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를 타인이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에 저장된 단문메시지의 내용 확인 후 잠금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 리스트에서 소정의 단문메시지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단문메시지가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이면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한 사용자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사용자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선택한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리스트에서 잠금 기능이 설정된 단문메시지는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지 않고, 기 설정된 특정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의 잠금 기능 설정 시 사용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20030020527A 2003-04-01 2003-04-0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20040085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0527A KR20040085735A (ko) 2003-04-01 2003-04-0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20527A KR20040085735A (ko) 2003-04-01 2003-04-0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735A true KR20040085735A (ko) 2004-10-08

Family

ID=3736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0527A KR20040085735A (ko) 2003-04-01 2003-04-0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57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514B1 (ko) * 2005-12-21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WO2010026540A1 (en) * 2008-09-03 2010-03-11 Nokia Corporation Message storage and retrieval
KR20160017899A (ko) * 2014-08-07 2016-02-17 김상민 이동통신단말 보안 메시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514B1 (ko) * 2005-12-21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WO2010026540A1 (en) * 2008-09-03 2010-03-11 Nokia Corporation Message storage and retrieval
US8819433B2 (en) 2008-09-03 2014-08-26 Nokia Corporation Message storage and retrieval
KR20160017899A (ko) * 2014-08-07 2016-02-17 김상민 이동통신단말 보안 메시지 시스템 및 그의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20289A1 (en) Method for blocking spam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2295B1 (ko) 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US85665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 portable device
US20100162388A1 (en) Wireless mobile device with automatic segregation of received messages for private and public access
JP2009260484A (ja) 通信装置
KR2003000669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메시지의 전송및 수신방법
KR200400857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100867534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비밀 메시지 리스트 관리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20010063026A (ko) 무선단말기에 의해 송수신 되는 문자 메시지를 인터넷을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0790183B1 (ko) 휴대 단말기의 자동 잠금 방법
KR100628960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66902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811596B1 (ko)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KR100778363B1 (ko) 단문 서비스의 수신 메시지 표시 방법
KR1007025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KR200600228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KR100600364B1 (ko) 송신 데이터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송신용 무선통신단말기와 원격 제어에 따른 수신 데이터 처리 기능을가지는 수신용 무선통신 단말기
US20050170775A1 (en) Method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mobile telephones
KR101242515B1 (ko) 멀티 로그인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78951B1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수신된 컨텐츠확인방법
KR20070064694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메시지의 암호 설정 방법
KR1007174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0440908C (zh) 一种短消息处理方法
JP2009258851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