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013A -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 - Google Patents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013A
KR20050010013A KR10-2004-7019336A KR20047019336A KR20050010013A KR 20050010013 A KR20050010013 A KR 20050010013A KR 20047019336 A KR20047019336 A KR 20047019336A KR 20050010013 A KR20050010013 A KR 2005001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und
aze
pab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921B1 (ko
Inventor
앤더스 매그누선
미카엘 툰네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05001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39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aze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1/00Drugs used in surgical methods, e.g. surgery adjuvants for preventing adhesion or for vitreum sub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염의 형태인 경우, 제제가 요타-카라기난 및 중성 교질화 중합체만을 함유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활성 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약학 조성물; 및 심장 혈관 질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치환체로 치환된 C1-2알킬이고; R2는 수소, 히드록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Description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혈장, 신체 조직 및/또는 위장관에 활성 요소의 소정의 치료적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하루에 걸쳐 약학적으로 활성 있는 화합물을 자주 투여하는 것이 종종 요구된다. 약물을 경구적으로 송달하는 경우 및 장기간에 걸쳐 균일한 반응을 제공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지난 30여년간에 걸쳐, 개질된 방출 제형은 점진적으로 특히 경구 경로를 통해 환자에게 어떠한 약물을 송달하는 바람직한 방법이 되어왔다. 이러한 제형은 예컨대, 장기간에 걸쳐 약물을 방출하여, 요구되는 하루 투여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시간 동안 방출 속도가 위장관의 특정 부분 또는 박동 이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 및/또는 일정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수많은 개질된 방출 제형이 존재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De Haan & Lerk, Pharmaceutisch Weekblad Scientific Edition, 6, 57 (1984)], [Banker,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Vol II,eds.], [Langer & Wise (1984) Bocaraton, Florida, p.1-34], [Graffner, Industrial Aspects of Pharmaceuticals, ed. Sandel, Swedish Pharmaceutical Press (1993) p.93-104], [Proudfoot "Dosage Regimens: Their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Time Profile of the Drug in the Body" p. 191-211] 및 ["Pharrnaceutics: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 ed. M. E. Aulton (1988) (Churchill Livingstone)]에 요약되어 있다.
국제 특허 출원 PCT/SE01/02657(WO 02/44145, 최초 우선권 주장일 2002년 12월 1일, 2001년 11월 30일 제출, 2002년 6월 6일 공개)은 트로빔과 같은 트립신-유사 프로테아제의 경쟁적 저해제이거나, 경쟁적 저해제인 화합물로 대사되는 여러 화합물들을 공개한다. 하기 3개의 화합물이 특히 상세히 공개된다:
(a) Ph(3-Cl)(5-OCHF2)-(R)CH(OH)C(O)-(S)Aze-Pab(OMe):
(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A로 언급함)
(b)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Me): 및
(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B로 언급함)
(c) Ph(3-Cl)(5-OCH2CH2F)-(R)CH(OH)C(O)-(S)Aze-Pab(OMe):
(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C로 언급함).
메톡시아미딘 화합물 A, B 및 C는 포유동물로의 경구 및/또는 비경구 투여 후 대사되어, 상응하는 유리 아미딘 화합물들을 형성하며, 후자의 화합물들이 트롬빈의 강력한 저해제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 화합물 A는 프로드러그 중간체 Ph(3-Cl)(5-OCHF2)-(R)CH(OH)C(O)-(S)Aze-Pab(OH)(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G로 언급함)를 통해 Ph(3-Cl)(5-OCHF2)-(R)CH(OH)C(O)-(S)Aze-Pab(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D로 언급함)로 대사되며;
* 화합물 B는 프로드러그 중간체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H)(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H로 언급함)를 통해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E로 언급함)로 대사되고;
* 화합물 C는 프로드러그 중간체 Ph(3-Cl)(5-OCH2CH2F)-(R)CH(OH)C(O)-(S)Aze-Pab(OH)(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J로 언급함)를 통해 Ph(3-Cl)(5-OCH2CH2F)-(R)CH(OH)C(O)-(S)Aze-Pab(이 화합물을 이하 화합물 F로 언급함)로 대사된다.
화합물 A, B, C, D, E, F, G 및 J의 합성 방법은 국제 특허 출원PCT/SE01/02657의 실시예 12, 40, 22, 3, 39, 21, 2 및 31(각각)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의 개질된 방출 제제, 또는 이들의 대사산물들 또한 이 문헌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화합물 A 및 C를 어떠한 개질된 방출 요타-카라기난 제제로 제제화할 수 있음을 이미 밝혔으며, 이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을 예컨대,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하기 용이한 다른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발명은 특정 제약의 개질된 송달을 제공하는 신규한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 이러한 제제의 제조, 및 혈전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이러한 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염의 형태인 경우, 제제가 요타-카라기난 및 중성 교질화 중합체만을 함유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활성 성분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를 제공한다(이 제제를 이하 "본 발명의 제제"로 언급함):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치환체로 치환된 C1-2알킬이고;
R2는 수소, 히드록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용매화물, 수화물, 혼합된 용매화물/수화물의 형태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무수화물과 같은 무용매화물(ansolvate)의 형태일 수 있다. 용매화물은 저급(예컨대, C1-4) 알킬 알콜(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케톤(예컨대, 아세톤), 에스터(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정 양태에서, R1은 CHF2또는 CH2CH2F이다.
변수 n은 0 또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는 n이 0인 것, 또는 n이 2인 것 등이 포함되어, 2- 및 6-위치에 위치한 2개의 플루오로 원자를 제공한다(-NH-CH2- 기로의 벤젠 고리의 부착 지점에 대해 2개의ortho-위치에 존재함).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특히 화합물 A, 화합물 B 또는 화합물 C이다.
중성 교질화 중합체는 교질화 성질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pH-비의존성 용해도를 가지는 중성 에로더블(erodable) 중합체(들)의 단독,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산 부가 염이다. 산 부가 염에는 황산, 질산, 인산 및 히드로할릭산(예, 브롬화수소산 및 염산)과 같은 무기산 부가 염이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한 산 부가 염에는 디메틸인산; 사카린산; 시클로헥실설팜산; 카르복실산(예, 말레산, 푸마르산, 아스파르트산, 숙신산, 말론산, 아세트산, 벤조산, 테레프탈산, 히푸르산, 1-히드록시-2-나프토산, 파모산, 히드록시벤조산 등); 히드록시산(예,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구연산, 말산(L-(-)-말산 및 D,L-말산 포함), 글루콘산(D-글루콘산 포함), 글리콜산, 아스코르브산, 젖산 등); 아미노산(예, 글루탐산(D-글루탐산, L-글루탐산, 및 D,L-글루탐산 포함), 아르기닌(L-아르기닌 포함), 라이신(L-라이신 및 L-라이신 염산 포함), 글라이신 등); 및 특히, 설폰산(예, 1,2-에탄디설폰산, 캄포르설폰산(1S-(+)-10-캄포르설폰산 및 (+/-)-캄포르설폰산 포함), 에탄설폰산, 프로판설폰산(n-프로판설폰산 포함), 부탄설폰산, 펜탄설폰산, 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p-자일렌설폰산, 2-메시틸렌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1,5-나프탈렌설폰산 및 나프탈렌설폰산 포함), 벤젠설폰산, 히드록시벤젠설폰산, 2-히드록시에탄설폰산, 3-히드록시에탄설폰산 등)과 같은 유기산 부가 염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염에는 에탄설폰산(에실레이트) 및 프로판설폰산(예컨대, n-프로판설폰산) 및 임의 치환된(예컨대, 하나 이상의 C1-2알킬기로 치환된) 아릴설폰산, 예컨대, 벤젠설폰산(베실레이트) 및 나프탈렌디설폰산과 같은 C1-6(예컨대, C1-4) 알칸설폰산이 포함된다.
산 대 유리 염기의 적절한 화학량 비는 0.25:1.5 내지 3.0:1의 범위, 예컨대, 0.50:1 내지 1:1을 포함하는 0.45:1.25 내지 1.25:1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라, 실질적으로 결정형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결정화" 함으로서 80% 결정 이상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예, 50, 60, 70, 80 또는 90% 이상)의 결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라, 발명의 화합물을 부분적 결정형으로 본 또한 제공한다. "부분적으로 결정화"함으로써, 5% 또는 5%와 20% 사이의 결정을 포함한다.
결정도의 정도(%)는 X-선 분말 회절(XRPD)을 사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기술들, 예컨대, 고체상 NMR, FT-IR, 라만(Raman) 분광법, 차등 스캐닝 열량측정법(DSC) 및 마이크로열량측정법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결정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는 C1-6(예컨대, C2-4와 같은 C2-6) 알칸설폰산, 예컨대, 에탄설폰산, 프로판설폰산(예컨대, n-프로판설폰산) 및 임의 치환된 아릴설폰산, 예컨대, 벤젠설폰산 및 나프탈렌디설폰산의 염이 포함된다.
용어 "개질된 방출" 약학 조성물에는 약물의 방출 개시 및/또는 속도가 갈레노스의(galenic) 조작에 의해 변화되는 어떠한 조성물/제제가 포함되므로, 미국 약전(USP XXH)의 페이지 xliii 및 xliv의 서문/전문 부분에 제공된 정의(이 문서의 관련 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편입됨)도 포함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에, 개질된 방출은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또는 기타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담체 또는 수단(적절한 경우)은 활성 성분의 방출의 개시 및/또는 속도의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 용어에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약물의 "유지되는", "연장된" 또는 "장기간에 걸친" 방출을 제공하도록 적용된 조성물(약물이 요구되는 시간에 걸쳐 치료 반응을 생산하도록 충분히 지체된 속도에서 방출되며, 임의적으로 초기 양의 약물이 미리계산된 시간 이내에 이용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이후 초기의 소정의 치료 반응을유발하는 투여를 하는 것을 포함함); 약물의 "지연된" 방출을 제공하는 조성물(위장관의 특정 부위에 도달할 때까지 약물의 방출이 지연된 후, 약물 방출이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박동 또는 추가 개질될 수 있음); 및 소위 "반복 작용" 조성물(약물의 1 투여량이 투여 후 즉시 또는 투여 후 일정 시간에 방출되며, 추가 투여량이 그 후에 방출됨)이 포함된다고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간에 걸쳐 약물의 지연된 방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물의 유지되는(즉, 연장된 또는 장기간에 걸친) 방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조성물은 소정의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단위 시간 당 투여량 수에 상관없이) 투여 간격에 걸쳐 약물의 충분한 투여를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본 명세서에 서술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방출은 장기간에 걸쳐 균일 및/또는 일정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하기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모두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다:
(a) 문제의 제제가 위장관의 특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적어도 일부의 약물이 방출되도록 고안될 수 있는 코팅된 펠렛, 정제 또는 갭슐. 이러한 정제는 예컨대, 장 코팅 층과 같은 위-내성 코팅의 일부 형태로 제공되어, 장 부위와 같은 위장관의 특정 부위에서 제제내 존재하는 적어도 일부의 약물의 방출을 제공할 수 있다.
(b) 미세입자, 미세구형 또는 펠렛의 형태일 수 있는 약물을 포함하는 다중 단위 또는 다중미립자 시스템(다중 단위/다중미립자는 약물이 미리결정된 속도로방출되는 동안,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및 추가적으로 소장 및 대장을 통해 약물을 함유하는 제제가 점진적으로 비워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c) 왁스, 검 또는 지방의 형태, 또는 특히 중합체의 형태일 수 있는 매트릭스 내 활성 화합물의 분산액 또는 고체 용액을 포함하는 제제. 약물 방출은 정제의 점진적 표면 부식 및/또는 확산으로 일어난다.
(d) 위장관의 특정 부위(예컨대, 위)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연장된 보유를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생체접착층을 포함하는 시스템. 이는 소위 "부피-확장" 시스템으로 알려진 부유 또는 함몰 시스템(각각, 저밀도 및 고밀도 시스템임)을 포함한다.
(e) 위장관내 존재하는 다른 이온의 영향, 예컨대, 위의 산 환경에 의해 약물의 점진적 방출을 제공하는, 약물이 이온 교환 수지에 부착된 소위 "펜던트" 장치.
(f) 이의 화학적 전위(예컨대, 삼투압 펌프)로 약물의 방출 속도가 조절되는 장치.
(g) 다중층 시스템을 비롯하여 막을 통한 확산에 의해 약물이 방출되는 시스템.
(h) 외부 신호에 따라 적은 양의 약물을 방출하도록 작동하는 장치.
(i) 특정 생물학적 환경에 반응하여 약물 송달을 조정하는 센싱 요소를 함유할 수 있는 활성있는 자가-프로그램된 시스템.
(j) 물 및/또는 위장관 유체를 입구/출구 포트를 통해 장치로 확산함으로써약물을 방출하여 약물의 용해 및 이후의 방출을 초래하는 실라스틱(silastic) 조절되는 방출고(release depot).
상기 원리들은 [Pharmaceutisch Weekblad Scientific Edition, 6, 57 (1984)], [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Vol II, eds], [Langer & Wise (1984) Bocaraton, Florida, p. 1-34], [Industrial Aspects of Pharmaceuticals, ed. Sandel, Swedish Pharmaceutical Press (1993) p. 93-104] 및 ["Pharmaceutics: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 p. 191-211, ed. M. E. Aulton (1988) (Churchill Livingstone)]; 및 상기 언급된 문서들에 열거된 참고 문헌들(이 모든 문서들의 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편입됨)을 비롯한 선행 참고 문헌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히드록시 또는 메톡시인(예컨대, 화합물 A, B, C, G, H 또는 J; R2가 특히 메톡시인, 예컨대, 화합물 A, B 또는 C) 경구용 개질된 방출 제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특히 이들의 결정 염; 예컨대, C1-6(예컨대, C2-4와 같은 C2-6) 알칸설폰산 염, 또는 임의 치환된 아릴설폰산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한 비경구용 개질된 방출 제제를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수소인(예컨대, 화합물 D, E 또는 F) 비경구용 개질된 방출 제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교질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제제를 제공한다. 매트릭스는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즈(HPMC), 요타-카라기난, 소디엄 도데실 설페이트(SDS) 및/또는 잔탄 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매트릭스는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즈(HPMC), 요타-카라기난 및/또는 PEO를 포함한다. HPMC는 (이하 어딘가에 서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점도 및 분자량을 갖는 1개의 HPMC일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HPMC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HPMC 및 요타-카라기난, 미세결정 셀룰로즈, 윤활제(예,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또는 만니톨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 양태에서 잔탄 검을 포함하거나; 또는 요타-카라기난 및 PEO(이하 서술된 바와 같음)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제제를 제공한다.
따라서, 적절한 개질된 방출 제제는 본 명세서 또는 전술된 문서들에 서술된 바와 같은 및/또는 잘 공지된 약학 분야의 표준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이 중합체 매트릭스내 활성 성분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소위 "팽창" 개질된 방출 시스템 또는 "교질화 매트릭스" 개질된 방출 시스템의 형태로 경구 투여용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활성 성분은 수성 매질에서 팽창되는 중합체("친수성 교질화 성분"임)와 함께 제공된다. 용어 "수성 매질"은 문맥에서 물, 및 포유동물의 위장관에 존재하거나 존재하는 것과 유사한 액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야 한다. 이러한 중합체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건조 형태에서 유리 상태일 수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 상태이며, 수성 매질과 접촉시 팽창하는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약물의 개질된 방출은 하나 이상의 이하 과정에 영향을 받는다: 용매의 중합체 매트릭스로의 이동, 중합체의 팽창, 약물의 팽창 중합체를 통한 확산 및/또는 중합체의 부식(이들 중 하나 이상이 중합체 매트릭스에서 수성 매질로 약물의 느린 방출을 제공할 수 있음).
따라서, 교질화 매트릭스 개질된 방출 조성물의 친수성 교질화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중합체 물질(담체로 작용)에는 5000 g/몰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것들이 포함되며, 이들은 (a) 수성 매질(전술된 바와 같음)에 적어도 인색하게 용해되거나; 또는 (b) 수성 매질과 접촉하는 경우 팽창하여, 담체로부터 약물을 방출시킨다.
따라서, 합성 또는 천연일 수 있는 적절한 교질화 매트릭스 중합체에는 다당류, 예컨대, 말토덱스트린, 잔탄, 스클레로글루칸 덱스트란, 전분, 알지네이트, 풀루란, 히알로론산, 키틴, 키토산 등; 기타 천연 중합체들, 예컨대, 단백질(알부민, 젤라틴 등), 폴리-L-라이신; 소디엄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알킬메타크릴레이트)(예컨대,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카르복시폴리메틸렌(예컨대, 카르보폴(Carbopol)TM); 카르보머; 폴리비닐피롤리돈; 검, 예컨대, 구아르 검, 검아라빅, 검 카라야, 검 그하티, 로커스트 빈 검, 타마린드 검, 겔란 검, 검 트라가칸쓰, 아가, 펙틴, 글루텐 등; 폴리(비닐 알콜); 에틸렌 비닐 알콜; 폴리(에틸렌 옥시드)(PEO); 및 셀룰로즈 에테르, 예컨대, 히드록시메틸셀룰로즈(H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HPC), 메틸셀룰로즈(MC), 에틸셀룰로즈(EC), 카르복시에틸셀룰로즈(CEC),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EHEC),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CMHE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HPMC), 히드록시프로필에틸셀룰로즈(HPEC) 및 소디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Na CMC); 및 상기 중합체들 중 어떤 것의 공중합체 및/또는 (단순) 혼합물이 포함된다. 전술된 중합체들 중 어떤 것은 표준 기술에 의해 추가 교차결합될 수 있다.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형태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사용되는 원칙적인 팽창 중합체로는 HPC, 말토덱스트린, 스클레로글루칸 또는 카르복시폴리메틸렌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EO 또는 잔탄 및 특히 HPMC, 및 이들 중합체들 중 어떤 것의 공중합체 및/또는 (단순) 혼합물이다. 요타-카라기난 또한 바람직하다.
PEO, 잔탄 및 HPMC가 친수성 교질화 성분으로 (즉, 친수성 교질화 성분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되는 경우, 이들 중합체에 대한 바람직한 분자량(즉, 중량 평균 분자량, 표준 기술, 예컨대, 삼투압측정, 굴절 검출기를 갖는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분자량은 표준 캐리브레이션 곡선으로 결정됨), 광분산 및/또는 초원심분리 기술로 결정됨)은 5,000 g/몰부터 200,000,000 g/몰까지의 범위, 예컨대, 100,000,000 g/몰, 바람직하게는 25,000,000 g/몰,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20,000,000 g/몰까지의 범위이다. 이들 범위내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PEO, 잔탄 및 HPMC 중합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HPMC 중합체에는 또한 미국 약전 XXN(USP XXIV/NF19)의 2002쪽에 일반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843 및 844쪽에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는 것들(이 문서의 관련 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편입됨)과 같은 표준 기술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3 내지 150,000 cps 사이(20℃에서), 예컨대, 10 내지 120,000 cps 사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00 cps사이,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00 cps 사이의 점도를 갖는 물에서 2 중량/중량 %의 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이들 범위 이내인 상이한 점도를 갖는 HPMC 중합체의 혼합물들이 예컨대, 전술된 바람직한 범위 이내의 "평균" 점도(즉, 혼합물에 대한 점도)를 갖는 전술된 바와 같은 용액을 생성하는 HPMC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들 범위 이내의 점도 및/또는 "평균" 점도를 갖는) HPMC 중합체와 전술된 다른 중합체와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HPMC 중합체에는 미국 약전 표준 치환 유형 2208, 2906, 2910 및 1828(추가 세부적인 사항은 USP XXIV/NF19 참조)을 충족시키는 것들이 포함된다. 따라서, 적절한 HPMC 중합체에는 상표명 METHOCELTM(Dow Chemical Corporation) 또는 상표명 METOLOSETM(Shin-Etsu)로 판매되는 것들이 포함된다.
적절한 잔탄 중합체에는 미국 약전 XXIV(USP XXN/NF19)의 2002쪽에 일반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2537 및 2538쪽에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는 것들(이 문서의 관련 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편입됨)과 같은 표준 기술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60 내지 2,000 cps 사이(24℃에서), 예컨대, 600 내지 1,800 cps 사이 및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1,600 cps 사이의 점도를 갖는 물에서 1 중량/중량 %의 중합체 용액을 형성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이들 범위 이내인 상이한 점도를 갖는 잔탄 중합체의 혼합물들이 예컨대, 전술된 바람직한 범위 이내의 "평균" 점도(즉, 혼합물에 대한 점도)를 갖는 전술된 바와 같은 용액을 생성하는 잔탄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들 범위 이내의 점도 및/또는 "평균" 점도를 갖는) 잔탄 중합체와 전술된 다른 중합체와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잔탄 중합체에는 상표명 XANTURALTM및 KELTROLTM(CPKelco), 및 SATIAXANETM(Degussa, Texturant Systems)로 판매되는 것들이 포함된다.
중합체의 선택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약물의 성질 및 소정의 방출 속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특히, 예컨대, HPMC의 경우, 고분자량이 일반적으로 조성물에서 약물의 방출 속도를 느리게 할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HPMC의 경우, 메톡실기 및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상이한 치환 정도가 조성물로부터 약물의 방출 속도를 변화시킬 것이다. 이 점에서 및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이후 서술된 바와 같이 특히 요구되거나 소정의 방출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중합체 담체가 예컨대,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2개 이상의 중합체의 블렌드로 제공되는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형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형태인 경우, 본 발명자는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의 약물 방출 속도를 약물과 중합체 담체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조성물(예컨대, 정제) 내의 약물:중합체 비 및 이의 표면적:부피 비를 조절함으로써 추가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혔다.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이든지 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물 방출을 추가 개선하기 위해, 최종 조성물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및/또는 제조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합체 담체 시스템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는 개질된 방출 조성물의 제제에 관습적인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희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인산칼슘(제1 인산칼슘, 제2 인산칼슘 및 제3 인산칼슘), 락토즈, 미세결정 셀룰로즈, 만니톨, 소르비톨, 이산화티타늄, 규산알루미늄 등. 바람직한 희석제에는 미세결정 셀룰로즈 및 또한 만니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윤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등.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로이달 실리카와 같은 유동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락토즈, 만니톨, 미세결정 셀룰로즈,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 저분자량의 HPMC, 저분자량의 MC, 저분자량의 HPC 등. 바람직한 결합제에는 미세결정 셀룰로즈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pH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산(예컨대, 구연산 등) 또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예컨대, 소디엄) 염, 무기산(예컨대, 탄산 또는 인산)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예컨대, 소디엄,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 마그네슘의 산화물, 및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예컨대, 소디엄, 칼슘, 포타슘 등) 설페이트, 메타비설페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소르베이트.
기타 추가적 부형제에는 착색제, 향미제, 용해화제(예컨대, SDS), 코팅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된 추가적 부형제들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종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전술된 추가 부형제들의 일부는 전술된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전술된 추가적 부형제들은 또한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에서 친수성 교질화 성분의 일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 부형제의 전체 양(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경우, 원칙적 중합체 담체(들)를 포함하지 않음)은 그 조성물의 기타 성분들의 성질 및 양은 물론 조성물의 성질에 의존할 것이며, 85% 까지의 양, 예컨대, 0.1 내지 75%, 예컨대, 0.2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5%, 특히 1 내지 40%, 예컨대, 2 내지 35 중량/중량%의 양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부형제(들)의 선택 및 양은 당업자에 의해 일상적으로 (독창적 실험에 의지하지 않고) 결정될 수 있다.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에서, 시스템내 중합체의 양은 충분한 투여량의 약물이 투여 간격에 걸쳐 소정의 치료 효과를 생성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경우, 이하 서술될 시험 조건하에서 투여 후, 적어도 2 시간(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시간, 특히 적어도 6시간)동안 80%(특히 60%)의 조성물 초기 약물 함량이 환자에게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8 내지 24시간 사이의 기간에 걸쳐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의 조성물 초기 약물 함량이 8 내지 24시간 이내에 방출된다. 포함될 수 있는 중합체의 적절한 양은 그 중에서도 특히 조성물내 사용된 활성 성분, 존재할 수 있는 부형제 및 사용된 중합체의 성질에 의존할 것이며, 5 내지 99.5%의 범위, 예컨대, 10 내지 9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중량/중량%의 범위이다. 이 경우, 중합체의 선택 및 양은 당업자에 의해 일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제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요타-카라기난 및 하나 이상의 중성 교질화 중합체를 포함하는 교질화 매트릭스 조성물로 함께 제제화 된다.
요타-카라기난은 15 중량% 이상의 값으로 이러한 바람직한 제제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등급의 요타-카라기난에는 (82℃로 가온한 후, 점도를 30 rpm의 속도로 작동하는 #1 스핀들이 장착된 브룩필드(Brookfield) LV 점도계로 75℃에서 측정한 1.5% 용액에 대해) 적어도 5 센티포이즈(cps)의 점도, 바람직하게는 5-10 cps의 범위의 점도를 갖는, 약학 등급 요타-카라기난(예컨대, FMC Biopolymer에서 판매), 및 20℃로 가온한 후, Lauda 써모스텟 C3과 Hakke Mess-System III를 함께 사용하는 Haake 유형의 폴링볼 점도계를 사용하여, 밀도 7.8g/cm3의 금으로 코팅된 스테인레스 스틸 볼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한 0.3%의 수용액에 대해, 적어도 14 mPa.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기술 등급 요타-카라기난(예컨대, Fluka Biochemica에서 판매)이 포함된다.
중성 교질화 중합체는 교질화 성질 및 실질적으로 pH-비의존성 용해도를 갖는 중성 중합체(들) 단독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중성 교질화 중합체는 제제내 10 중량% 이상의 값,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의 값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중성 교질화 중합체에는 적절한 분자량 또는 점도를 갖는 원래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옥시드(PEO), PEO 패밀리의 유도체 및 멤버(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가 포함된다. 단일 중성 교질화 중합체로 사용되는 경우, PEO는 바람직하게 4 밀리온(4M) 이상의 MW를 가지며, 이는 수용액 점도 범위 1650-5500 mPa.s(또는 1650-5500 cps; 2 rpm에서 작동되는 #2 스핀들을 갖는 브룩필드 RVF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1% 수용액에 대해 측정한 경우)에 상응한다. 적절한 PEO의 다른 예에는 수용액 점도 범위 5500-7500 mPa.s에 상응되는 5 밀리온(5M) 정도의 MW를 갖는 PEO, 또는 수용액 점도 범위 10000-15000 mPa.s에 상응되는 8 밀리온(8M) 정도의 MW를 갖는 PEO가 포함된다. 이 범위는 [USP 24/NF 19, 2000 edition, pp. 2285-2286]에서 중합체에 대해 인용된, 25℃에서 측정된 전형적인 용액 점도(cps)에 대한 값을 커버한다. PEG가 단일 중성 교질화 중합체로 사용되는 경우, 20℃에서 50% 수용액(중량/중량)에 대해 모세관 점도계(Ubbelohde 또는 동등물)를 사용하여 측정된 점도 범위 2700-3500 mPa.s(또는 2700-3500 cps)에 상응하는, 고분자량, 예컨대, 20000 정도의 MW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참조: European Pharmacopoeia 3rd Ed., 2000, Supplement, pp. 908-909.]
다른 적절한 중성 교질화 중합체에는 셀룰로즈 유도체, 예컨대, 적절한 고점도를 갖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HPMC) 또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HEC)(예컨대, "HPMC 50 cps", "HPMC 10000 cps", "HPMC 15000 cps", "HEC 유형 HH" 또는 "HEC 유형 H")가 포함된다. 단일 중성 중합체로 사용시, "HPMC 10000 cps" 및 "HPMC 15000 cps"와 같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 중합체는 모세관 점도계(Ubbelohde 또는 동등물)를 사용하여, 건조 물질에 대해 계산된 2%(중량/중량) 수용액으로 20℃에서 측정하는 경우 각각 7500-14000 mPa.s(또는 7500-14000 cps), 및 11250-21000 mPa.s(또는 11250-21000 cps)의 명백한 점도를 가진다. 한가지 유형의 히드록시에틸셀룰로즈 중합체, 예컨대, "Natrosol 250 Pharma, 유형 HH"(Hercules Incorporated(Aqualon)에서 구매)는 Brookfield Synchro-Lectric Model LVF 기기를 사용하여, 1% 용액 농도, 스핀들 #4, 스핀들 속도 30 rpm, 인자 200, 25℃의 조건에서(Natroso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booklet, 33.007-E6 (1993), p. 21 참조), 전형적으로 약 20,000 mPa.s의 브룩필드 점도를 나타낸다.
언급될 수 있는 특정 제제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요타-카라기난과 HPMC(10,000 cps)이 50:50(중량%) 비로, 또는 요타-카라기난, HPMC(50 cps) 및HPMC(10,000 cps)가 35:60:5(중량%) 비로, 또는 요타-카라기난과 PEO 4M이 50:50(중량%) 비로 함께 제제화된 것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제내 바람직한 부가적 부형제에는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와 같은 윤활제가 포함된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A, B 또는 C 또는 이들의 염; 및 HPMC 및 윤활제(예컨대,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주사 불가능한 제제를 제공한다. 추가적 양태에서, 제제는 상이한 점도(예컨대, 10,000 cPs 및 50 cPs)를 갖는 2개 이상의 HPMC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제는 부가적으로 용해화제(예컨대, 소디엄 도데실 설페이트(SDS), 소디엄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폴리옥실 40 수소화 캐스터유)를 포함할 수 있다.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이든지 간에 본 발명의 조성물내 활성 성분의 적절한 양은 성분(유리 염기/염 등)의 성질, 요구되는 투여량, 및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의 성질 및 양과 같은 많은 인자들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들은 0.5 내지 80%의 범위, 예컨대, 1 내지 75%, 예컨대, 3 내지 7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범위 및 특히 15 내지 55 중량/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포함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당업자에 의해 일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전형적인 하루 투여량은 하루에 걸쳐 투여되는 개별적인 투여량의 수와 무관하게 0.001 내지 100 mg/kg 체중의 유리 염기(즉, 염의 경우, 반대 이온의 존재로 초래되는 어떠한 중량 제외)일 수 있다. 바람직한 하루 투여량은 20-500 mg의 범위이다.
상기 서술된 것들과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된 참조 문헌에 서술된 것들과 같은 잘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교질화 매트릭스 시스템의 형태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이하 서술된 바와 같은, 습윤 또는 건조 과립화, 직접적 압축/압착, 건조, 밀링, 혼합, 정제화 및 코팅, 및 이들 과정의 조합을 비롯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기술에 따라, 표준 장비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용도가 이 투여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록사머, 생체분해 가능한 미세구형, 리포좀, 오일내 현탁액 및/또는 에멀젼에 기초한 것들과 같은 본 기술 분야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비경구용 개질된 방출 조성물은 [Leung 등, "Controlled Drug Delive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Drugs and the Pharmaceutical Sciences; vol.29), 2nd edition, eds. Robinson and Lee, Dekker (1987), Chapter 10, p. 433, (이 문서의 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편입됨)]에 서술된 바와 같은 표준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한번의 "투여량"의 일부로 투여되는 개별적인 단위(제제/조성물)의 수에 관계없이 하루에 한번 또는 그 이상(바람직하게는 하루에 한번, 그러나 2번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포유동물 환자(인간 포함)에게 투여되며, R2가 수소가 아닌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경우, 신체내에서 대사되어 약리학적으로 활성있는 R2가 수소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태에 따라, 약제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제가 제공된다.
특히,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컨대, 이 중에서도 특히, 국제 특허 출원 PCT/SE01/02657, 및 국제 특허 출원 WO 02/14270, WO 01/87879 및 WO 00/42059에 서술된 시험에 나타낸 바와 같이(이 문서의 관련 공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편입됨), 투여 후 트롬빈의 강력한 저해제이거나 이로 대사된다.
"트롬빈 저해제의 프로드러그"에는 투여 후 대사되어 투여 후 실험적으로 검출 가능한 양으로 트롬빈 저해제를 형성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활성 성분" 및 "활성 물질"은 제제내에 존재하는 약학 제제(트롬빈 저해제 및 이들의 프로드러그 커버함)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제는 하기의 것들을 비롯한 트롬빈 저해가 요구되는 질병, 및/또는 항응고 요법이 필요한 질병에 유용하리라 기대된다: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혈액 및/또는 조직에서 혈전증 및 과다응고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 과다응고증은 혈전-색전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언급될 수 있는 과다응고증 및 혈전-색전 질환과 연관된 질병에는 유전된 또는 획득된 활성화된 단백질 C 내성, 예컨대, 인자 V-돌연변이(인자 V 레이덴(Leiden)), 및 항트롬빈 III, 단백질 C, 단백질 S, 헤파린 공동인자 II 내 유전된 또는 획득된 결핍증이 포함된다. 과다응고증 및 혈전-색전 질환과 연관되었다고 알려진 다른 질병에는 순환하는 항포스포리피드 항체(루퍼스 항응고), 호모시스테인미, 헤파린 유도된 혈소판감소증, 섬유소분해시 결핍, 응고 증후군(예컨대, 파종성 혈관내 응고(DIC)) 및 일반적 도관 손상(예컨대, 수술에 의한 것)이 포함된다.
예컨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신경 질환에서 과다응고증의 징후없이 바람직하지 않은 과량의 트롬빈이 존재하는 질병의 치료.
언급될 수 있는 특정 질병 상태에는 정맥 혈전증(예컨대, DVT) 및 폐색전, 동맥 혈전증(예컨대,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혈전증계 발작 및 말초동맥 혈전증), 및 심방 세동(예컨대, 비판막 심방 세동) 동안 심방에 일반적인 전신성 색전증 또는 격병성 심근경색증 이후의 좌심실에 일반적인 전신성 색전증, 또는 울혈성 심부전에 의해 초래되는 전신성 색전증의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치료; 혈전용해, 경피경관 확장술(PTA) 및 관상동맥 혈관이식 수술 이후 재발생(혈전증)의 예방; 및 미세수술 및 일반적인 혈관 수술 이후 재혈전증의 방지가 포함된다.
세균, 다중 외상, 비독성화 또는 어떠한 기타 메카니즘에 의해 초래되는 파종성 혈관내 응고의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치료; 혈액이 혈관 이식체, 혈관 스텐트, 혈관 카테터, 기계적 및 생물학적 인공 판막 또는 기타 의학 장치와 같은 신체내 외인성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의 항응고 치료; 및 혈액이 심폐기를 사용한 심장혈관 수술 동안 및 혈액투석과 같이 신체 외부에서 의료 장치와 접촉하는 경우의 항응고 치료; 및 소아성 및 성인 특발성 호흡곤란 증후군, 방사선 또는 화학요법 치료 이후의 특발성 폐섬유증, 폐혈 쇼크, 폐혈증, 염증성 반응, 예컨대(제한되지않음), 부종, 급성 또는 만성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예컨대, 관상동맥 질환 및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플라크의 형성, 뇌동맥 질환, 뇌경색, 뇌혈전증, 뇌색전증, 말초동맥 질환, 허혈, 협심증(불안정 협심증 포함), 재관류 위험, 경피경관 확장술(PTA) 및 관상동맥 혈관이식 수술 이후 재협착의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치료가 추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하기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상이한 작용 메카니즘을 갖는 어떠한 항트롬빈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항혈소판제 아세틸살리실산, 티클로피딘 및 클로피도그렐; 트롬복산 수용체 및/또는 신테타제 저해제; 피브리노겐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프로스타시클린 의태체; 포스포디에스터라제 저해제; ADP-수용체(P2T) 안타고니스트; 및 카르복시펩티다제 U(CPU)의 저해제.
트립신 및/또는 트롬빈을 저해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췌장염의 치료에도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제는 이들 질병들의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치료 모두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환자에게 송달하는 데 유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이 혈전증의 치료 및 예방 모두에 유용하므로, 본 발명의 제제 또한 이러한 질병들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제제를 이러한 질병에 걸렸거나이들 질병에 감수성이 있는 인간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전증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 양태에 따라, 혈전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의 제조시 사용되는 본원 발명의 제제가 제공된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치료"에는 질병의 예방은 물론 치료적 치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전증에 대해 큰 효과 및/또는 연장된 효과를 얻기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개질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단지 한번 또는 2번으로 활성 성분의 충분한 투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확정된 약학 공정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식품 또는 약학에서 사용되도록 승인된 또는 유사 규제 기관에서 승인된 물질을 사용한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하 과정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 과정
TLC는 실리카 겔 상에서 수행하였다. 키랄 HPLC 분석은 5 cm 가드 컬럼을 갖는 46 mm X 250 mm 키랄셀(Chiralcel) OD 컬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컬럼 온도는 35℃로 유지하였다. 1.0 mL/분의 유속을 사용하였다. 길슨(Gilson) 115 UV 검출기를 228 nm에서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헥산, 에탄올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구성되며, 적절한 비는 각각의 화합물에 대해 나열된다. 전형적으로, 산물은 최소양의 에탄올에 용해하고, 이를 이동상으로 희석하였다.
이하 제조 A 내지 I에서, LC-MS/MS는 CTC-PAL 주입기 및 5 Tm, 4x100 mm 써모퀘스트(ThermoQuest), 하이퍼실(Hypersil) BDS-C18 컬럼이 장착된 HP-1100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API-3000(Sciex) MS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유속은 1.2 mL/분이었으며, 이동상(구배)은 90-10%의 4 mM 수성 암노늄 아세테이트를 갖는 10-90% 아세토니트릴로 구성된다(둘 모두 0.2% 포름산 함유). 다르게, 저해상 질량 스펙트라(LRMS)는 내부 질량 표준으로 루이신 엔케팔린(C28H37N507)을 사용하여, 마이크로매스(Micromass) ZQ 분광계를 ESI 양성/음성 스위칭 이온 모드(질량 범위 m/z 100-800)로 사용하여 측정하며; 고해상 질량 스펙트라(HRMS)는 마이크로매스 LCT 분광계를 ES 음성 이온화 모드(질량 범위 m/z 100-1000)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H NMR 스펙트라는 내부 표준으로 테트라메틸실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 방법은 국제 특허 출원 PCT/SE01/02657(WO 02/44145, 최초 우선일 2000년 12월 1일, 2001년 11월 30일 제출, 2002년 6월 6일 공개)에 포함되며, 관련 정보는 본 명세서에 편입되었다.
제조 A: 화합물 A의 제조
(i)3-클로로-5-메톡시벤즈알데히드
THF(200 mL)내 3,5-디클로로아니솔(74.0 g, 419 mmol)을 25℃에서 THF(100 mL)내 마그네슘 금속(14.2 g, 585 mmol, 0.5 N HCl로 미리 세척됨)에 적가하였다. 첨가 후, 1,2-디브로모에탄(3.9 g, 20.8 mmol)을 적가하였다. 결과 진한 갈색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이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60 mL)를 일부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3 x 400 mL) 및 6N HCl(500 mL)로 분배하였다. 이 화합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300 mL)로 세척,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여 오일을 얻었다.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2x)를 Hex:EtOAc(4:1)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38.9 g, 54%)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9.90(s, 1H), 7.53(s, 1H), 7.38(s, 1H), 7.15(s, 1H), 3.87(s, 3H).
(ii)3-클로로-5-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3-클로로-5-메톡시벤즈알데히드(22.8 g, 134 mmol; 상기 단계 (i) 참조)의 CH2Cl2(250 mL)내 용액을 0℃로 냉각하였다. 붕소 트리브로마이드(15.8 mL, 167 mmol)를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H20(50 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그 후, 이 용액을 Et20(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화합,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Hex:EtOAc(4:1)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5.2 g, 25%)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9.85(s, 1H), 7.35(s, 1H), 7.20(s, 1H), 7.10(s, 1H), 3.68(s, 1H)
(iii)3-클로로-5-디플루오로메톡시벤즈알데히드
3-클로로-5-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7.5 g, 48 mmol; 상기 단계 (ii) 참조)의 2-프로판올(250 mL) 및 30% KOH(100 mL)내 용액을 환류 가열하였다. 교반 동안, CHClF2를 2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에 버블링 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냉각, 1N HCl로 산성화 및 EtOAc(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이 유기물을 염수(100 mL)로 세척,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Hex:EtOAc(4:1)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4.6 g, 46%)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9.95(s, 1H), 7.72(s, 1H), 7.52(s, 1H), 7.40(s, 1H), 6.60(t, JH-F= 71.1 Hz, 1H)
(iv)Ph(3-Cl)(5-OCHF 2 )-(R,S)CH(OTMS)CN
3-클로로-5-디플루오로메톡시벤즈알데히드(4.6 g, 22.3 mmol; 상기 단계 (iii) 참조)의 CH2Cl2(200 mL)내 용액을 0℃로 냉각하였다. ZnI2(1.8 g, 5.6 mmol) 및 트리메틸실릴 시아니드(2.8 g, 27.9 mmol)를 첨가하고,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방치한 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부분적으로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을 액체로 얻었으며, 추가 정제 및 특징화없이 이하 단계 (v)에 직접 사용하였다.
(v)Ph(3-Cl)(5-OCHF 2 )-(R,S)CH(OH)C(NH)OEt
Ph(3-Cl)(5-OCHF2)-(R,S)CH(OTMS)CN(6.82 g, 22.3 mmol로 추정; 상기 단계 (iv) 참조)을 HCl/EtOH(500 mL)에 적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 부분적으로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을 액체로 얻었으며, 추가 정제 및 특징화없이 이하 단계 (vi)에 직접 사용하였다.
(vi)Ph(3-Cl)(5-OCHF 2 )-(R,S)CH(OH)C(O)OEt
Ph(3-Cl)(5-OCHF2)-(R,S)CH(OH)C(NH)OEt(6.24 g, 22.3 mmol로 추정; 상기 단계 (v) 참조)를 THF(250 mL)에 용해하고, 0.5 M H2SO4(400 mL)를 첨가하여, 이 반응을 40℃에서 65시간 동안 교반하고, 냉각한 후, 부분적으로 진공 농축하여 대부분의 THF를 제거하였다. 그 후, 이 반응 혼합물을 Et2O(3 x 100 mL)로 추출,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을 고체로 얻었으며, 추가 정제 및 특징화없이 이하 단계 (vii)에 직접 사용하였다.
(vii)Ph(3-Cl)(5-OCHF 2 )-(R,S)CH(OH)C(O)OH
Ph(3-Cl)(5-OCHF2)-(R,S)CH(OH)C(O)OEt(6.25 g, 22.3 mmol로 추정; 상기 단계 (vi) 참조)의 2-프로판올(175 mL) 및 20% KOH(350 mL)내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이 반응을 부분적으로 진공 농축하여, 대부분의 2-프로판올을 제거하였다. 잔여 혼합물을 1 M H2SO4로 산성화, Et20(3 x 100 mL)로 추출, 건조(Na2SO4) 및 진공 농축하여 고체를 얻었다.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CHCl3:MeOH:농축 NH40H(6:3:1)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의 암모늄 염을 얻었다. 그 후, 이 암모늄 염을 EtOAc(75 mL)과 H20(75 mL)의 혼합물에 용해하고, 2 N HCl로 산성화 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염수(50 mL)로 세척, 건조(Na2SO4) 및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3.2 g, 단계 (iv)에서 (vii)까지 57%)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δ7.38(s, 1H), 7.22(s, 1H), 7.15(s, IH), 6.89(t, JH-F= 71.1 Hz, lH), 5.16(s, 1H)
(viii)Ph(3-Cl)(5-OCHF 2 )-(R)CH(OH)C(O)OH (a) 및
Ph(3-Cl)(5-OCHF 2 )-(S)CH(OAc)C(O)OH (b)
Ph(3-Cl)(5-OCHF2)-(R,S)CH(OH)C(O)OH(3.2 g, 12.7 mmol; 상기 단계 (vii) 참조) 및 리파제 PS "아마노(Amano)"(~2.0 g)의 비닐 아세테이트(125 mL) 및 MTBE(125 mL)내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고, 셀라이트(Celite)?을 통해 여과하여, 여과 케이크를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농축하고,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CHCl3:MeOH:농축 NH40H(6:3:1)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 (a) 및 (b)의 암모늄 염을 얻었다. 염인 화합물 (a)를 H20에 용해하고, 2N HCl로 산성화한 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 (a)(1.2 g, 37%)를얻었다.
부제 화합물 (a)의 경우,
1H NMR(300 MHz, CD3OD) δ7.38(s, 1H), 7.22(s, 1H), 7.15(s, 1H), 6. 89(t, JH-F= 71.1 Hz, lH), 5.17(s, 1H)
(ix)Ph(3-Cl)(5-OCHF 2 )-(R)CH(OH)C(O)-Aze-Pab(Teoc)
Ph(3-Cl)(5-OCHF2)-(R)CH(OH)C(O)OH(1.1 g, 4.4 mmol; 상기 단계 (viii) 참조) 및 H-Aze-Pab(Teoc)(국제 특허 출원 WO 00/42059 참조, 2.6 g, 5.7 mmol)의 DMF(50 mL)내 용액에 0℃에서 PyBOP(2.8 g, 5.3 mmol) 및 콜리딘(1.3 g, 10.6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추가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3x)를, 먼저 CHCl3:EtOH(9:1)로 용출하고, 그 후 EtOAc:EtOH(20:1)로 용출하고, 최종적으로 CH2Cl2:CH30H(95:5)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1.0 g, 37%)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1H NMR(300 MHz, CD3OD, 로타머의 혼합물) δ7.79-7.85(d, J = 8.7 Hz, 2H), 7.15-7.48(m, 5H), 6.89 및 6.91(t, JH-F= 71.1 Hz, 1H), 5.12 및 5.20(s, 1H), 4.75-4.85(m, 1H), 3.97-4.55(m, 6H), 2.10-2.75(m, 2H), 1.05-1.15(m, 2H), 0.09(s, 9H)
MS(m/z) 611(M+1)+
(x)Ph(3-Cl)(5-OCHF 2 )-(R)CH(OH)C(O)-Aze-Pab(OMe,Teoc)
Ph(3-Cl)(5-OCHF2)-(R)CH(OH)C(O)-Aze-Pab(Teoc)(0.40 g, 0.65 mmol; 상기 단계 (ix) 참조)를 2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하고, 0.50 g(6.0 mmol)의 O-메틸 히드록실아민 염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이상 추출하고, 화합된 유기상을 물, 염수로 세척, 건조(Na2S04), 여과 및 증발하였다. 수율: 0.41 g(91%).
1H NMR(400 MHz, CDCl3) δ7.83(bt, 1H), 7.57(bs, 1H), 7.47(d, 2H), 7.30(d, 2H), 7.20(m, 1H), 7.14(m, 1H), 7.01(m, 1H), 6.53(t, 1H), 4.89(s, 1H), 4.87(m, 1H), 4.47(m, 2H), 4.4-4.2(b, 1H), 4.17-4.1(m, 3H), 3.95(s, 3H), 3.67(m, 1H), 2.68(m, 1H), 2.42(m, lH), 0.97(m, 2H), 0.01(s, 9H).
(xi)화합물 A
Ph(3-Cl)(5-OCHF2)-(R)CH(OH)C(O)-Aze-Pab(OMe,Teoc)(0.40 g, 0.62 mmol; 상기 단계 (x) 참조)를 5 mL의 TFA에 용해하고, 30분 동안 반응되도록 방치하였다. TFA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NaHC03(수성)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번 이상 추출, 화합된 유기상을 물, 염수로 세척, 건조(Na2SO4), 여과 및 증발하였다. 산물을 물/아세토니트릴로부터 동결 건조하였다. 정제는 요구되지 않았다. 수율: 0.28 g(85%).
1H NMR(600 MHz, CDCl3) δ7.89(bt, 1H), 7.57(d, 2H), 7.28(d, 2H), 7.18(m, 1H), 7.13(m, lH), 6.99(m, 1H), 6.51(t, 1H), 4.88(s, 1H), 4.87(m, 1H), 4.80(bs, 2H), 4.48(dd, 1H), 4.43(dd, 1H), 4.10(m, 1H), 3.89(s, 3H), 3.68(m, 1H), 2.68(m, 1H), 2.40(m, 1H).
13C-NMR(125 MHz; CDCl3): (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로타머) δ172.9, 170.8, 152.7, 152.6
HRMS C22H23ClF2N405(M-H)-에 대한 계산치 495.1242, 측정치 495.1247
제조 B: 화합물 B의 제조
(i)2,6-디플루오로-4[(메틸설피닐)(메틸티오)메틸]벤조니트릴
(메틸설피닐)(메틸티오)메탄(7.26 g, 0.0584 mol)을 100 mL의 건조 THF에 아르곤하에 용해하고, -78℃까지 냉각하였다. 헥산내 부틸리튬(16 mL 1.6M, 0.0256 mol)을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사이에, 3,4,5-트리플루오로벤조니트릴(4.0 g, 0.025 mmol)의 100 mL 건조 THF내 용액을 -78℃까지 아르곤하에 냉각하고, 전자 용액을 캐뉼러를 통해 후자 용액에 3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30분 후, 냉각 욕조를 제거하고, 반응이 실온에 도달한 때, 이를 400 mL의 물에 부었다. THF를 증발하고, 잔여 수성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3번 추출하였다. 화합된 에테르상을 물로 세척, 건조(Na2S04) 및 증발하였다. 수율: 2.0 g(30%).
1H NMR(500 MHz, CDCl3) δ7.4-7.25(m, 2H), 5.01(s, 1H, 부분입체 이성질체), 4.91(s, 1H, 부분입체 이성질체), 2.88(s, 3H, 부분입체 이성질체), 2.52(s, 3H, 부분입체 이성질체), 2.49(s, 3H, 부분입체 이성질체), 2.34(s, 3H, 부분입체 이성질체), 1.72(브로드, 1H)
(ii)2,6-디플루오로-4-포밀벤조니트릴
2,6-디플루오로-4[(메틸설포닐)(메틸티오)메틸]벤조니트릴(2.17 g, 8.32 mmol; 상기 단계 (i) 참조)을 90 mL의 THF에 용해하고, 3.5 mL의 농축 황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 3일 동안 둔 후, 450 mL의 물에 부었다. EtOAc로 3번 추출한 후, 화합된 에테르상을 수성 중탄산 나트륨 및 염수로 2번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수율: 1.36 g(98%). 포밀기의 위치를13C NMR로 확인하였다. 162.7 ppm에서 플루오르화 탄소로부터의 시그날은 플루오르 원자의ipsometa커플링에 각각 대응되는 260 Hz 및 6.3 Hz의 2개의 커플링 상수를 갖는 예측되는 커플링 패턴을 나타내었다.
1H NMR(400 MHz, CDCl3) δ10.35(s, 1H), 7.33(m, 2H)
(iii)2,6-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벤조니트릴
2,6-디플루오로-4-포밀벤조니트릴(1.36 g, 8.13 mmol; 상기 단계 (ii) 참조)을 25 mL의 메탄올에 용해하고, 얼음 욕조에서 냉각하였다. 수소화붕소 나트륨(0.307 g, 8.12 mmol)을 일부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이 반응을 65분 동안 두었다. 용매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디에틸 에테르와 수성 중탄산 나트륨간에 분배하였다. 에테르층을 더 많은 수성 중탄산 나트륨 및 염수로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원산물은 곧 결정화되어, 추가 정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율: 1.24 g(90%).
1H NMR(400 MHz, CDCl3) δ7.24(m, 2H), 4.81(s, 2H), 2.10(브로드, 1H)
(iv)4-시아노-2,6-디플루오로벤질 메탄설포네이트
얼음으로 냉각된 2,6-디플루오로-4-히드록시메틸벤조니트릴(1.24 g, 7.32 mmol; 상기 단계 (iii) 참조) 및 염화 메탄설포닐(0.93 g, 8.1 mmol)의 60 mL 염화 메틸렌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81 g, 8.1 mmol)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0℃에서 3시간 후, 이 혼합물을 1M HCl로 2번, 물로 1번 세척하고,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산물은 추가 정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율: 1.61 g(89%).
1H NMR(300 MHz, CDCl3) δ7.29(m, 2H), 5.33(s, 2H), 3.07(s, 3H)
(v)4-아지도메틸-2,6-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
4-시아노-2,6-디플루오로벤질 메탄설포네이트(1.61 g, 6.51 mmol; 상기 단계 (iv) 참조) 및 소디엄 아지드(0.72 g, 0. 0111 mol)의 10 mL 물 및 20 mL DMF 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그 후, 결과물을 200 mL의 물에 붓고, 디에틸 에테르로 3번 추출하였다. 화합된 에테르상을 물로 5번 세척, 건조(Na2S04) 및 증발하였다. 적은 양의 시료를 NMR 목적으로 증발하고, 산물을 결정화 하였다. 나머지를 완전히 건조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증발하였다. 수율(이론적으로 1.26 g)은 NMR 및 분석 HPLC에 기초한 거의 정량으로 추정되었다.
1H NMR(400 MHz, CDCl3) δ7.29(m, 2H), 4.46(s, 2H)
(vi)4-아미노메틸-2,6-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
이 반응은 [J. Chem. Res.(M) (1992) 3128]에 서술된 과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520 mg의 10% Pd/C(50% 수분)의 20 mL 물내 현탁액에 수소화붕소 나트륨(0.834 g, 0.0221 mol)의 20 mL 물내 용액을 첨가하였다. 일부 가스 방출이 초래되었다. 4-아지도메틸-2,6-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1.26 g, 6.49 mmol; 상기 단계 (v) 참조)을 50 mL의 THF에 용해하고, 수성 혼합물에 얼음 욕조 상에서 1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20 mL의 2 M HC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였다. 셀라이트를 더 많은 물로 린스하고, 화합된 수성상을 EtOAc로 세척한 후, 2M NaOH로 알칼리로 만들었다. 염화 메틸렌으로 3번 추출한 후, 화합된 유기상을 물로 세척, 건조(Na2S04) 및 증발하였다. 수율: 0.87 g(80%).
1H NMR(400 MHz, CDCl3) δ7.20(m, 2H), 3.96(s, 2H), 1.51(브로드, 2H)
(vii)2,6-디플루오로-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벤조니트릴
4-아미노메틸-2,6-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0.876 g, 5.21 mmol; 상기 단계 (vi) 참조) 용액을 50 mL의 THF에 용해하고, 10 mL THF내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1.14 g, 5.22 mmo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과 EtOAc간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0.5 M HCl 및 물로 3번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산물은 추가 정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율: 1.38 g(99%).
1H NMR(300 MHz, CDCl3) δ7.21(m, 2H), 4.95(브로드, 1H), 4.43(브로드, 2H), 1.52(s, 9H)
(viii)Boc-Pab(2,6-diF)(OH)
2,6-디플루오로-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벤조니트릴(1.38 g, 5.16 mmol; 상기 단계 (vii) 참조), 히드록실아민 염산(1.08 g, 0.0155 mol) 및 트리에틸아민(1.57 g, 0.0155 mol)의 20 mL 에탄올내 혼합물을 실온에서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과 염화 메틸렌간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산물은 추가 정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율: 1.43 g(92%).
1H NMR(500 MHz, CD30D) δ7.14(m, 2H), 4.97(브로드, 1H), 4.84(브로드, 2H), 4.40(브로드, 2H), 1.43(s, 9H)
(ix)Boc-Pab(2,6-diF) x HOAc
이 반응은 [Judkins 등, Synth. Comm. (1998) 4351]에 서술된 과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100 mL 아세트산내 Boc-Pab(2,6-diF)(OH)(1.32 g, 4.37 mmol; 상기 단계 (viii) 참조), 아세트 무수물(0.477 g, 4.68 mmol) 및 442 mg의 10% Pd/C(50% 수분)를 5 atm 압력에서 3.5시간 동안 수소화 하였다. 이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 에탄올로 린스 및 증발하였다. 잔여물을 아세토니트릴과 물로부터 동결 건조하고, 몇 방울의 에탄올. 부제 산물은 추가 정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율: 1.49 g(99%).
1H NMR(400 MHz, CD30D) δ7.45(m, 2H), 4.34(s, 2H), 1.90(s, 3H), 1.40(s, 9H)
(x)Boc-Pab(2,6-diF)(Teoc)
Boc-Pab(2,6-diF) x HOAc(1.56 g, 5.49 mmol; 상기 단계 (ix) 참조)의 100 mL THF 및 1 mL 물내 용액에 2-(트리메틸실릴)에틸 p-니트로페닐 카보네이트(1.67 g, 5.89 mmol)를 첨가하였다. 탄산 칼륨(1.57 g, 0.0114 mol)의 20 mL 물내 용액을 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THF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과 염화 메틸렌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염화 메틸렌으로 추출하고, 화합된 유기상을 수성 중탄산 나트륨으로 2번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헵탄/EtOAc = 2/1으로 용출하여, 1.71 g(73%)의 순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δ7.43(m, 2H), 4.97(브로드, 1H), 4.41(브로드, 2H), 4.24(m, 2H), 1.41(s, 9H), 1.11(m, 2H), 0.06(s, 9H)
(xi)Boc-Aze-Pab(2,6-diF)(Teoc)
Boc-Pab(2,6-diF)(Teoc)(1.009 g, 2.35 mmol; 상기 단계 (x) 참조)를 HCl(g)로 포화된 50 mL의 EtOAc에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두고, 증발하여, 18 mL의 DMF에 용해한 후, 얼음 욕조에서 냉각하였다. Boc-Aze-OH(0.450 g, 2.24 mmol), PyBOP(1.24 g, 2.35 mmol) 및 마지막으로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1.158 g, 8.96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350 mL의 물에 붓고, EtOAc로 3번 추출하였다. 화합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헵탄:EtOAc(1:3)으로 용출하여, 1.097 g(96%)의 소정의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500 MHz, CDCl3) δ7.46(m, 2H), 4.65-4.5(m, 3H), 4.23(m, 2H), 3.87(m, 1H), 3.74(m, 1H), 2.45-2.3(m, 2H), 1. 40(s, 9H), 1.10(m, 2H), 0.05(s, 9H)
(xii)Ph(3-Cl)(5-OCHF 2 )-(R)CH(OH)C(O)-Aze-Pab(2,6-diF)(Teoc)
Boc-Aze-Pab(2,6-diF)(Teoc)(0.256 g, 0.500 mmol; 상기 단계 (xi) 참조)를 HCl(g)로 포화된 20 mL의 EtOAc에 용해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두고, 증발하여, 5 mL의 DMF에 용해하였다. Ph(3-Cl)(5-OCHF2)-(R)CH(OH)C(O)OH(0.120 g, 0.475 mmol; 상기 제조 A (viii) 참조), PyBOP(0.263 g, 0.498 mmol) 및 마지막으로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0.245 g, 1.89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350 mL의 물에 부어, EtOAc로 3번 추출하였다. 화합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실리카 겔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EtOAc로 용출하여, 0.184 g(60%)의 소정의 부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30D, 로타머의 혼합물) δ7.55-7.45(m, 2H), 7.32(m, 1H, 주요 로타머), 7.27(m, 1H, 소수 로타머), 7.2-7. 1(m, 2H), 6.90(t, 1H, 주요 로타머), 6.86(t, 1H, 소수 로타머), 5.15(s, lH, 주요 로타머), 5.12(m, 1H, 소수 로타머), 5.06(s, 1H, 소수 로타머), 4.72(m, 1H, 주요 로타머), 4.6-4.45(m, 2H), 4.30(m, 1H, 주요 로타머), 4.24(m, 2H), 4.13(m, 1H, 주요 로타머), 4.04(m, 1H, 소수 로타머), 3.95(m, 1H, 소수 로타머), 2.62(m, 1H, 소수 로타머), 2.48(m, 1H, 주요 로타머), 2.22(m, 1H, 주요 로타머), 2.10(m, 1H, 소수 로타머), 1.07(m, 2H), 0.07(m, 9H)
(xiii)Ph(3-Cl)(5-OCHF 2 )-(R)CH(OH)C(O)-Aze-Pab(2,6-diF)(OMe,Teoc)
Ph(3-Cl)(5-OCHF2)-(R)CH(OH)C(O)-Aze-Pab(2,6-diF)(Teoc)(64 mg, 0.099 mmol; 상기 단계 (xii) 참조) 및 0-메틸 히드록실아민 염산(50 mg, 0.60 mmol)의 4 mL 아세토니트릴내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과 EtOAc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EtOAc로 2번 추출하고, 화합된 유기상을 물로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산물은 추가 정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율: 58 mg(87%).
1H NMR(400 MHz, CDCl3) δ7.90(bt, 1H), 7.46(m, 1H), 7.25-6.95(m, 5H), 6.51(t, 1H), 4.88(s, 1H), 4.83(m, 1H), 4.6-4.5(m, 2H), 4.4-3.9(m, 4H), 3.95(s, 3H), 3.63(m, 1H), 2.67(m, 1H), 2.38(m, 1H), 1.87(브로드, 1H), 0.98(m, 2H), 0.01(s, 9H)
(xiv)화합물 B
Ph(3-Cl)(5-OCHF2)-(R)CH(OH)C(O)-Aze-Pab(2,6-diF)(OMe,Teoc)(58 mg, 0.086 mmol; 상기 단계 (xiii) 참조)를 3 mL의 TFA에 용해하고, 얼음 욕조에서 냉각하여, 2시간 동안 반응되도록 방치하였다. TFA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EtOAc에 용해하였다. 유기층을 수성 탄산 나트륨 및 물로 2번 세척, 건조(Na2SO4) 및 증발하였다. 잔여물을 물과 아세토니트릴로부터 동결 건조하여, 42 mg(92%)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7.95(bt, 1H), 7.2-7.1(m, 4H), 6.99(m, 1H), 6.52(t, 1H), 4.88(s, 1H), 4.85-4.75(m, 3H), 4.6-4.45(m, 2H), 4.29(브로드, 1H), 4.09(m, 1H), 3.89(s, 3H), 3.69(m, 1H), 2.64(m, 1H), 2.38(m, 1H), 1.85(브로드, 1H)
13C-NMR(100 MHz; CDCl3):(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δ172.1, 169.8, 151.9
APCI-MS: (M+1) = 533/535 m/z
제조 C: 화합물 C의 제조
(i)(2-모노플루오로에틸)메탄설포네이트
자기적으로 교반된 2-플루오로에탄올(5. 0 g, 78.0 mmol)의 CH2C12(90 mL)내 용액에 질소하에 0℃에서 트리에틸아민(23.7 g, 234 mmol) 및 염화 메탄설포닐 (10.7 g, 93.7 mmol)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CH2Cl2(100 mL)로 희석 및 2N HC1(10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CH2C12(50 mL)로 추출하고, 화합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75 mL)로 세척,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9.7 g, 88%)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으며,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300 MHz, CDCl3) δ4.76(t, J = 4 Hz, 1H), 4.64(t, J = 4 Hz, 1H), 4.52(t, J = 4 Hz, 1H), 4.43(t, J = 4 Hz, 1H), 3.09(s, 3H)
(ii)3-클로로-5-모노플루오로에톡시벤즈알데히드
3-클로로-5-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8.2 g, 52.5 mmol; 상기 제조 A (ii) 참조) 및 탄산 칼륨(9.4 g, 68.2 mmol)의 DMF(10 mL)내 용액에 질소하에 (2-모노플루오로에틸)메탄설포네이트(9.7 g, 68.2 mmol; 상기 단계 (i) 참조)의 DMF(120 mL)내 용액을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100℃까지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0℃까지 냉각하고, 얼음으로 냉각된 2 N HCl에 붓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화합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 건조(Na2S0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였다. 갈색 오일을 실리카 겔 상에 크로마토그래피하여 Hex: EtOAc(4:1)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7.6 g, 71 %)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1H NMR(300 MHz, CDCl3) δ9.92(s, 1H), 7.48(s, 1H), 7.32(s, 1H), 7.21(s, lH), 4.87(t, J = 4 Hz, 1H), 4.71(t, J = 3 Hz, 1H), 4.33(t, J = 3 Hz, lH), 4.24(t, J = 3 Hz, 1H)
(iii)Ph(3-Cl)(5-OCH 2 CH 2 F)-(R,S)CH(OTMS)CN
3-클로로-5-모노플루오로에톡시벤즈알데히드(7.6 g, 37.5 mmol; 상기 단계 (ii) 참조) 및 요오드화 아연(3.0 g, 9.38 mmol)의 CH2Cl2(310 mL)내 용액에 0℃에서 질소하에 트리메틸실릴 시아니드(7.4 g, 75.0 mmol)를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반응을 H20(300 mL)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분리,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10.6 g, 94%)을 갈색 오일으로 얻었으며, 추가 정제 및 특징화없이 사용하였다.
(iv)Ph(3-Cl)(5-OCH 2 CH 2 F)-(R.S)CH(OH)C(O)OH
농축 염산(100 mL)을 Ph(3-Cl)(5-OCH2CH2F)-(R,S)CH(OTMS)CN(10.6 g, 5.8 mmol; 상기 단계 (iii) 참조)에 첨가하고, 이 용액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이 반응을 0℃로 추가 냉각하고, 3 N NaOH(~300 mL)로 천천히 염기화하고, Et20(3 x 20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2 N HCl(80 mL)로 산성화하고, EtOAc(3 x 300 mL)로 추출하였다. 화합된 EtOAc 추출물을 건조(Na2S0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8.6 g, 98%)을 희미한 노란색 고체로 얻었으며,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Rf= 0.28(90:8:2 CHCl3:MeOH:농축 NH40H)
1H NMR(300 MHz, CD30D) δ7.09(s, 1H), 7.02(s, 1H), 6.93(s, 1H), 5.11(s, 1H), 4.77-4.81(m, 1H), 4.62-4.65(m, 1H), 4.25-4.28(m, 1H), 4.15-4.18(m, 1H)
(v)Ph(3-Cl)(5-OCH 2 CH 2 F)-(S)CH(OAc)C(O)OH (a) 및
Ph(3-Cl)(5-OCH 2 CH 2 F)-(R)CH(OH)C(O)OH (b)
Ph(3-Cl)(5-OCH2CH2F)-(R,S)CH(OH)C(O)OH(8.6 g, 34.5 mmol; 상기 단계 (iv) 참조) 및 리파제 PS "아마노"(4.0 g)의 비닐 아세테이트(250 mL) 및 MTBE(250 mL)내 용액을 70℃에서 질소하에 3일 동안 가열하였다. 이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효소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EtOAc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 상에 크로마토그래피를 CHCl3:MeOH: Et3N(90:8:2)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 (a)의 트리에틸아민 염을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덧붙여, 부제 화합물 (b)의 트리에틸아민 염(4.0 g)도 얻었다. 부제 화합물 (b)의 염을 H20(250 mL)에 용해하고, 2 N HCl로 산성화 및 EtOAc(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화합된 유기 추출물을 건조(Na2SO4), 여과 및 진공 농축하여, 부제 화합물 (b)(2.8 g, 32%)를 노란색 오일로 얻었다.
부제 화합물 (b)에 대한 데이타:
Rf= 0.28(90:8:2 CHCl3:MeOH:농축 NH40H)
1H NMR(300 MHz, CD30D) δ7.09(s, 1H), 7.02(s, 1H), 6.93(s, 1H), 5.11(s, 1H), 4.77-4.81(m, 1H), 4.62-4.65(m, 1H), 4.25-4.28(m, 1H), 4.15-4.18(m, 1H)
(vi)화합물 C
Ph(3-Cl)(5-OCH2CH2F)-(R)CH(OH)C(O)OH(818 mg, 3.29 mmol; 상기 단계 (v) 참조)의 DMF(30 mL)내 용액에 질소하에 0℃에서 HAze-Pab(OMe)·2HCl(1.43 g, 4.27 mmol, 국제 특허 출원 WO 00/42059 참조), PyBOP(1.89 g, 3.68 mmol), 및 DIPEA(1.06 g, 8.23 mmo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잔여물을 실리카 겔 상에 2번 크로마토그래피하고, 먼저 CHCl3:EtOH(15:1)로 용출하고, 두번째로 EtOAc:EtOH(20:1)로 용출하여, 표제 화합물(880 mg, 54%)을 얻었다.
Rf= 0.60(10:1 CHCl3:EtOH)
1H NMR(300 MHz, CD30D, 로타머의 복합 혼합물) δ7.58-7.60(d, J = 8 Hz, 2H), 7.34(d, J = 7 Hz, 2H), 7.05-7.08(m, 2H), 6.95-6.99(m, 1H), 5.08-5.13(m,1H), 4.77-4.82(m, 1H), 4.60-4.68(m, 1H), 3.99-4.51(m, 7H), 3.82(s, 3H), 2.10-2.75(m, 2H)
13C-NMR(150 MHz; CD30D):(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δ173.3, 170.8, 152.5
APCI-MS: (M+1)= 493 m/z.
화합물 D (Ph(3-Cl)(5-OCHF 2 )-(R)CH(OH)C(O)-Aze-Pab)의 제조
화합물 D
Ph(3-Cl)(5-OCHF2)-(R)CH(OH)C(O)-Aze-Pab(Teoc)(0.045 g, 0.074 mmol; 상기 제조 A (ix) 참조)를 3 mL의 TFA에 용해하고, 1시간 동안 반응이 일어나도록 방치하였다. TFA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아세토니트릴로부터 동결 건조하여 0.043 g(100%)의 부제 화합물을 이의 TFA 염으로 얻었다.
1H NMR(400 MHz, CD30D, 로타머) δ7.8-7.75(m, 2H), 7.55-7.5(m, 2H), 7.35(m, 1H, 주요 로타머), 7.31(m, 1H, 소수 로타머), 7.19(m, 1H, 주요 로타머), 7.15(m, 1H), 7.12(m, 1H, 소수 로타머), 6.89(t, 1H, 주요 로타머), 6.87(t, IH, 소수 로타머), 5.22(m, 1H, 소수 로타머), 5.20(s, 1H, 주요 로타머), 5.13(s, IH, 소수 로타머), 4.80(m, IH, 주요 로타머), 4.6-4.4(m, 2H), 4.37(m, 1H, 주요 로타머), 4.19(m, 1H, 주요 로타머), 4.07(m, 1H, 소수 로타머), 3.98(m, 1H, 소수 로타머), 2.70(m, 1H, 소수 로타머), 2.55(m, 1H, 주요 로타머), 2.29(m, 1H, 주요로타머), 2.15(m, 1H, 소수 로타머)
13C-NMR(100 MHz; CD30D):(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로타머) δ172.6, 172.5, 172.0, 171.7, 167.0
MS(m/z) 465(M-1)-, 467(M+1)+
화합물 E (Ph(3-Cl)(5-OCHF 2 )-(R)CH(OH)C(O)-Aze-Pab(2,6-diF))의 제조
화합물 E
Ph(3-Cl)(5-OCHF2)-(R)CH(OH)C(O)-Aze-Pab(2,6-diF)(Teoc)(81 mg, 0.127 mmol; 상기 제조 B (xii) 참조)를 0.5 mL의 염화 메틸렌에 용해하고, 얼음 욕조에서 냉각하였다. TFA(3 mL)를 첨가하고, 이 반응을 75분 동안 두었다. TFA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과 아세토니트릴로부터 동결 건조하였다. 원산물을 CH3CN:0.1 M NH40Ac(35:65)를 사용한 예비 RPLC로 정제하여, 39 mg(55%)의 표제 화합물을 이의 HOAc 염으로, 순도: 99%로 얻었다.
1H NMR(400 MHz, CD30D, 로타머의 혼합물) δ7.5-7.4(m, 2H), 7.32(m, 1H, 주요 로타머), 7.28(m, 1H, 소수 로타머), 7.2-7.1(m, 3H), 6.90(t, 1H, 주요 로타머), 6.86(t, 소수 로타머), 5.15(s, 1H, 주요 로타머), 5.14(m, 1H, 소수 로타머), 5.07(s, 1H, 소수 로타머), 4.72(m, 1H, 주요 로타머), 4.65-4.45(m, 2H), 4.30(m, 1H, 주요 로타머), 4.16(m, 1H, 주요 로타머), 4.03(m, 1H, 소수 로타머),3.95(m, 1H, 소수 로타머), 2.63(m, 1H, 소수 로타머), 2.48(m, 1H, 주요 로타머), 2.21(m, 1H, 주요 로타머), 2.07(m, 1H, 소수 로타머), 1.89(s, 3H)
13C-NMR(75 MHz; CD30D):(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로타머의 혼합물) δ171.9, 171.2, 165.0, 162.8, 160.4
APCI-MS: (M+1) = 503/505 m/z
화합물 F (Ph(3-Cl)(5-OCH 2 CH 2 F)-(R)CH(OH)C(O)-Aze-Pab x TFA)의 제조
(i)Ph(3-Cl)(5-OCH 2 CH 2 F)-(R)CH(OH)C(O)-Aze-Pab(Teoc)
Ph(3-Cl)(5-OCH2CH2F)-(R)CH(OH)C(O)OH(940 mg, 3.78 mmol; 상기 제조 C (v) 참조)의 DMF(30 mL)내 용액에 질소하에 0℃에서 HAze-Pab(Teoc)·HCl(2.21 g, 4.91 mmol), PyBOP(2.16 g, 4.15 mmol), 및 DIPEA(1.22 g, 9.45 mmo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잔여물을 실리카 겔 상에 2번 크로마토그래피하고, 먼저 CHCl3:EtOH(15:1)로 용출하고, 두번째로 EtOAc:EtOH(20:1)로 용출하여, 부제 화합물(450 mg, 20%)을 부숴지는 흰색 폼으로 얻었다.
Mp: 80-88℃
Rf= 0.60(10:1 CHCl3:EtOH)
1H NMR(300 MHz, CD30D, 로타머의 복합 혼합물) δ7.79(d, J = 8 Hz, 2H),7.42(d, J = 8 Hz, 2H), 7.05-7.08(m, I H), 6.93-6.99(m, 2H), 5.08-5.13(m, 1H), 4.75-4.80(m, 2H), 4.60-4.68(m, 1H), 3.95-4.55(m, 8H), 2.10-2.75(m, 2H), 1.05-1.11(m, 2H), 0.08(s, 9H)
APCI-MS:(M+1)= 607 m/z.
(ii)화합물 F
Ph(3-Cl)(5-OCH2CH2F)-(R)CH(OH)C(O)-Aze-Pab(Teoc)(0.357 g, 0.589 mmol; 상기 단계 (i) 참조)를 10 mL의 TFA에 용해하고, 40분 동안 반응되도록 방치하였다. TFA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물/아세토니트릴로부터 동결 건조하여 0.33 g(93%)의 표제 화합물을 이의 TFA 염으로 얻었다.
1H NMR(600 MHz, CD30D, 로타머) δ7.8-7.7(m, 2H), 7.54(d, 2H), 7.08(s, 1H, 주요 로타머), 7.04(s, 1H, 소수 로타머), 6.99(s, 1H, 주요 로타머), 6.95(s, 1H), 6.92(s, 1H, 소수 로타머), 5.18(m, 1H, 소수 로타머), 5.14(s, 1H, 주요 로타머), 5.08(s, 1H, 소수 로타머), 4.80(m, 1H, 주요 로타머), 4.73(m, 1H), 4.65(m, 1H), 4.6-4.4(m, 2H), 4. 35(m, 1H, 주요 로타머), 4.21(멀티플렛의 더블렛, 2H), 4.12(m, 1H, 주요 로타머), 4.06(m, 1H, 소수 로타머), 3.99(m, 1H, 소수 로타머), 2.69(m, 1H, 소수 로타머), 2.53(m, 1H, 주요 로타머), 2.29(m, 1H, 주요 로타머), 2.14(m, 1H, 소수 로타머)
13C-NMR(150 MHz; CD30D):(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δ172.8, 172.1,167.4
ESI-MS+: (M+1) = 463(m/z)
화합물 G (Ph(3-Cl)(5-OCHF 2 )-(R)CH(OH)C(O)-Aze-Pab(OH))의 제조
(i)Ph(3-Cl)(5-OCHF 2 )-(R)CH(OH)C(O)-Aze-Pab(OH, Teoc)
Ph(3-Cl)(5-OCHF2)-(R)CH(OH)C(O)-Aze-Pab(Teoc)(0.148 g, 0.24 mmol; 상기 제조 A 단계 (ix) 참조)를 9 mL의 아세토니트릴에 용해하고, 0.101 g(1.45 mmol)의 히드록실아민 염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70℃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 및 증발하였다. 원산물(0.145 g; 75% 순도)을 추가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ii)Ph(3-Cl)(5-OCHF 2 )-(R)CH(OH)C(O)-Aze-Pab(OH)
Ph(3-Cl)(5-OCHF2)-(R)CH(OH)C(O)-Aze-Pab(OH,Teoc)(0.145 g, 0.23 mmol; 상기 단계 (i) 참조)를 0.5 mL의 CH2Cl2및 9 mL의 TFA에 용해하였다. 이 반응이 진행되도록 60분 동안 방치하였다. TFA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예비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흥미로운 분획을 모아서 동결 건조(2x)하여, 72 mg(2 단계에 걸친 수율 62%)의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MS(m/z) 482(M-1)-; 484(M+1)+
1H NMR(600 MHz, CD30D) δ7.58(d, 2H), 7.33(m, 3H), 7.15(m, 2H), 6.89(t,1H 주요 로타머), 6.86(t, 1H 소수 로타머), 5.18(s, 1H 주요 로타머; 및 m, 1H 소수 로타머), 5.12(s, 1H 소수 로타머), 4.77(m, 1H 주요 로타머), 4.42(m, 2H), 4.34(m, 1H 주요 로타머), 4.14(m, 1H 주요 로타머), 4.06(m, 1H 소수 로타머), 3.95(m, 1H 소수 로타머), 2.66(m, 1H 소수 로타머), 2.50(m, 1H 주요 로타머), 2.27(m, 1H 주요 로타머), 2.14(m, 1H 소수 로타머)
13C-NMR(100 MHz; CD30D):(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로타머) δ172.4, 172.3, 172.0, 171.4, 152.3, 152.1
화합물 H Ph(3-Cl)(5-OCHF 2 )-(R)CH(OH)C(O)-(S)Aze-Pab(2,6-diF)(OH)의 제조
(i)Boc-(S)Aze-NHCH 2 -Ph(2,6-diF,4-CN)
Boc-(S)Aze-OH(1.14 g, 5.6 mmol)를 45 mL의 DMF에 용해하였다. 4-아미노메틸-2,6-디플루오로벤조니트릴(1.00 g, 5.95 mol, 상기 실시예 1 (xiv) 참조), PyBOP(3.10 g, 5.95 mmol) 및 DIPEA(3.95 mL, 22.7 mmol)를 첨가하고, 이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H20와 EtOAc(각각 75 mL)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2 x 50 mL EtOAc로 추출하고, 화합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하에 건조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i02, EtOAc/헵탄(3/1))로 부제 화합물(1.52 g, 77%)을 냉장기에서 결정화되는 오일로 얻었다.
1H NMR(400 MHz, CD30D) δ7.19(m, 2H), 4.65-4.5(m, 3H), 3.86(m, 1H), 3.73(m, 1H), 2.45-2.3(m, 2H), 1.39(s, 9H)
(ii)H-(S)Aze-NHCH 2 -Ph(2,6-diF,4-CN) x HCl
Boc-(S)Aze-NHCH2-Ph(2,6-diF,4-CN)(0.707 g, 2.01 mmol, 상기 단계 (i) 참조)를 HCl(g)로 포화된 60 mL의 EtOAc에 용해하였다.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하였다. 잔여물을 CH3CN/H20(1/1)에 용해하고, 동결 건조하여 부제 화합물(0. 567 g, 98%)을 회색이 도는 흰색 무정형 분말로 얻었다.
1H NMR(400 MHz, CD30D) δ7.49(m, 2H), 4.99(m, 1H), 4.58(m, 2H), 4.12(m, 1H), 3.94(m, 1H), 2.80(m, 1H), 2.47(m, 1H)
MS(m/z) 252.0(M+1)+
(iii)Ph(3-Cl)(5-OCHF 2 )-(R)CH(OH)C(O)-(S)Aze-NHCH 2 -Ph(2,6-diF,4-CN)
Ph(3-Cl)(5-OCHF2)-(R)CH(OH)C(O)OH(0.40 g, 1.42 mmol, 상기 실시예 1 (viii) 참조)를 10 mL의 DMF에 용해하고, H-(S)Aze-NHCH2-Ph(2,6-diF,4-CN) x HCl(0.43 g, 1.50 mmol, 상기 단계 (ii) 참조) 및 PyBOP(0.779 g, 1.50 mmol)를 첨가한 후, DIPEA(1. 0 mL, 5.7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하였다. 잔여물을 H20(200 mL)와 EtOAc(75 mL)간에 분배하였다. 수성상을 2 x 75 mL EtOAc로 추출하고, 화합된 유기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하에 건조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i02, EtOAc/헵탄(4/1))로 부제 화합물(0.56 g, 81 %)을 오일로 얻었다.
1H NMR(400 MHz, CD30D, 로타머) δ7.43(m, 2H), 7.31(m, 1H, 주요 로타머), 7.26(m, 1H, 소수 로타머), 7.2-7.1(m, 2H), 6.90(t, 1H, 주요 로타머), 6.86(t, 1H, 소수 로타머), 5.14(s, 1H, 주요 로타머), 5.11(m, 1H, 소수 로타머), 5.04(s, 1H, 소수 로타머), 4.71(m, 1H, 주요 로타머), 4.6-4.45(m, 2H), 4.30(m, 1H, 주요 로타머), 4.2-3.9(m, 1H; 및 1H, 소수 로타머), 2.62(m, 1H, 소수 로타머), 2.48(m, 1H, 주요 로타머), 2.21(m, 1H, 주요 로타머), 2.09(m, 1H, 소수 로타머)
13C-NMR(100 MHz; CD30D):(카르보닐 탄소) δ171.9, 171.8
MS(m/z) 484.0, 485.9(M-1)-, 486.0, 487.9(M+1)+
(iv)Ph(3-Cl)(5-OCHF 2 )-(R)CH(OH)C(O)-(S)Aze-Pab(2,6-diF)(OH)
Ph(3-Cl)(5-OCHF2)-(R)CH(OH)C(O)-(S)Aze-NHCH2-Ph(2,6-diF,4-CN)(0.555 g, 1.14 mmol, 상기 단계 (iii) 유래)를 10 mL의 EtOH(95%)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히드록실아민 염산(0.238 g, 3.42 mmol) 및 Et3N(0.48 mL, 3.44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EtOAc에 용해하였다. 유기상을 염수 및 H20로 세척하고, Na2SO4하에 건조하였다. 원산물을 용출물로 CH3CN:0.1 M NH40Ac를 사용하여 예비 R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정형 분말(0.429 g, 72%)로 얻었다.
1H NMR(400 MHz, CD30D, 로타머) δ7.35-7.1(m, 5H), 6.90(t, 1H, 주요 로타머), 6.85(t, 1H, 소수 로타머), 5.15(s, 1H, 주요 로타머), 5.12(m, 1H, 소수 로타머), 5.08(s, 1H, 소수 로타머), 4.72(m, 1H, 주요 로타머), 4.6-4.4(m, 2H), 4.30(m, 1H, 주요 로타머), 4.12(m, 1H, 주요 로타머), 4.04(m, 1H, 소수 로타머), 3.94(m, 1H, 소수 로타머), 2.62(m, 1H, 소수 로타머), 2.48(m, 1H, 주요 로타머), 2.22(m, 1H, 주요 로타머), 2.10(m, 1H, 소수 로타머)
13C-NMR(100 MHz; CD30D):(카르보닐 및 아미딘 탄소, 로타머) δ172.4, 171.9, 171.0, 152.3, 151.5
MS(m/z) 517.1, 519.0(M-1)-, 519.1, 521.0(M+1)+
화합물 J Ph(3-Cl)(5-OCH 2 CHF 2 )-(R)CH(OH)C(O)-Aze-Pab(OH)의 제조
(i)Ph(3-Cl)(5-OCH 2 CHF 2 )-(R)CH(OH)C(O)-Aze-Pab(Z)
Boc-Aze-Pab(Z)(국제 특허 출원 WO 97/02284 참조, 92 mg, 0.197 mmol)를HCl(g)로 포화된 10 mL의 EtOAc에 용해하고, 10분 동안 반응이 일어나도록 방치하였다. 용매를 증발하고, 잔여물을 2 mL DMF내 Ph(3-Cl)(5-OCH2CHF2)-(R)CH(OH)C(O)OH(50 mg, 0.188 mmol; 상기 제조 C (v) 참조), PyBOP(109 mg, 0.209 mmol) 및 최종적으로 디이소프로필에틸 아민(96 mg, 0.75 mmol)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50 mL의 물에 붓고, EtOAc로 3번 추출하였다. 화합된 유기상을 물로 세척, 건조(Na2S04) 및 증발하였다. 원산물을 실리카 겔 상에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EtOAc:MeOH(9:1)로 용출하였다. 수율: 100 mg(87%).
1H NMR(300 MHz, CD30D, 로타머의 혼합물) δ7.85-7.75(m, 2H), 7.45-7.25(m, 7H), 7.11(m, 1H, 주요 로타머), 7.08(m, 1H, 소수 로타머), 7.05-6.9(m, 2H), 6.13(bt, 1H), 5.25-5.05(m, 3H), 4.77(m, 1H, CD30H 시그날에 의해 부분적으로 감추어짐), 4.5-3.9(m, 7H), 2.64(m, 1H, 소수 로타머), 2.47(m, 1H, 주요 로타머), 2.25(m, 1H, 주요 로타머), 2.13(m, 1H, 소수 로타머)
(ii)Ph(3-Cl)(5-OCH 2 CHF 2 )-(R)CH(OH)C(O)-Aze-Pab(OH)
히드록실아민 염산(65 mg, 0.94 mmol) 및 트리에틸아민(0.319 g, 3.16 mmol)을 8 mL의 THF에 혼합하고, 1시간 동안 40℃에서 소니케이션하였다. Ph(3-Cl)(5-OCH2CHF2)-(R)CH(OH)C(O)-Aze-Pab(Z)(96 mg, 0.156 mmol; 상기 단계 (i) 참조)에 8 mL 이상의 THF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40℃에서 4.5일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하고, 원산물을 CH3CN:0.1 M NH40Ac(40:60)를 사용하여 예비 RPLC로 정제하였다. 수율: 30 mg(38%). 순도: 99%.
1H NMR(300 MHz, CD30D, 로타머의 혼합물) δ7.6-7.55(m, 2H), 7.35-7.3(m, 2H), 7.12(m, 1H, 주요 로타머), 7.09(m, 1H, 소수 로타머), 7.05-6.9(m, 2H), 6.15(멀티플렛의 트리플렛, 1H), 5.15(m, 1H, 소수 로타머), 5.13(s, 1H, 주요 로타머), 5.08(s, 1H, 소수 로타머), 4.77(m, 1H, 주요 로타머), 4.5-4.2(m, 5H), 4.08(m, 1H, 주요 로타머), 3.97(m, 1H, 소수 로타머), 2.66(m, 1H, 소수 로타머), 2.50(m, 1H 주요 로타머), 2.27(m, 1H, 주요 로타머), 2.14(m, 1H, 소수 로타머)
13C-NMR(100 MHz; CD30D):(카르보닐 및/또는 아미딘 탄소, 로타머의 혼합물) δ172.8, 172.2, 171.4, 159.1, 158.9, 154.2
APCI-MS: (M+1) = 497/499 m/z
제법 1 및 2: 화합물 A의 염의 제조
제법 1: 염 제조의 일반적 방법
이하 일반적 방법은 화합물 A의 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였다: 200 mg의 화합물 A(상기 제조 A 참조)를 5 mL의 MeOH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5 mL의 MeOH에 용해된 적절한 산 용액(1.0 몰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로 제거하였다. 잔여 고체 물질을 8 mL의 아세토니트릴:H20(1:1)에 재용해하였다. 동결 건조로 각각의 경우에 무색 무정형 물질을 얻었다.
사용된 산:
(1S)-(+)-10-캄포르설폰산
말산
시클로헥실설팜산
인산
디메틸인산
p-톨루엔설폰산
L-라이신
L-라이신 염산
사카린산
메탄설폰산
염산
적절한 특징화 데이타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이 제법에서 형성된 모든 염들은 무정형이었다.
제법 2
화합물 A의 추가적 무정형 염은 이하 산들로부터 상기 제법 1에 서술된 것들에 무정형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브롬화수소산(1:1 염)
염산(1:1 염)
황산(1:0.5 염)
1,2-에탄디설폰산(1:0.5 염)
1S-캄포르설폰산(1:1 염)
(+/-)-캄포르설폰산(1:1 염)
에탄설폰산(1:1 염)
질산(1:1 염)
톨루엔설폰산(1:1 염)
메탄설폰산(1:1 염)
p-자일렌설폰산(1:1 염)
2-메시틸렌설폰산(1:1 염)
1,5-나프탈렌설폰산(1:0.5 염)
나프탈렌설폰산(1:1 염)
벤젠설폰산(1:1 염)
사카린산(1:1 염)
말레산(1:1 염)
인산(1:1 염)
D-글루탐산(1:1 염)
L-글루탐산(1:1 염)
D,L-글루탐산(1:1 염)
L-아르기닌(1:1 염)
L-라이신(1:1 염)
L-라이신 염산(1:1 염)
글라이신(1:1 염)
살리실산(1:1 염)
타르타르산(1:1 염)
푸마르산(1:1 염)
구연산(1:1 염)
L-(-)-말산(1:1 염)
D,L-말산(1:1 염)
D-글루콘산(1:1 염)
제법 3: 무정형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의 제조
화합물 A(203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에탄올(3 mL)에 용해하고, 에탄설폰산(1 당량, 95%, 35 μL)을 이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몇 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를 증발하였다. 결과 오일을 이소-옥탄에 슬러리하고, 고체 물질이 얻어질 때까지 증발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물질을 이소-옥탄에 재슬러리하고, 용매를 다시 증발하여 흰색, 건조, 무정형 고체를 얻었다. 물질을 40℃에서 밤새 진공 건조하였다.
제법 4 내지 9: 결정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의 제조
제법 4: 무정형 물질의 결정화
무정형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17.8 mg; 상기 제법 3 참조)을 메틸 이소-부틸 케톤(600 μL)에 슬러리 하였다. 1주 후, 결정 침정이 관찰되며, 이를 여과하고 공기-건조하였다.
제법 5 내지 7: 결정화 반응(항-용매 부재)
제법 5
화합물 A(277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메틸 이소-부틸 케톤(3.1 mL)에 용해하였다. 에탄설폰산을 첨가하였다(1 당량, 95%, 48 μL). 무정형 에탄설포네이트 염의 침전이 즉시 발생하였다. 더 많은 메틸 이소-부틸 케톤(6 mL)을 첨가하고, 슬러리를 초음파로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메틸 이소-부틸 케톤(3.6 mL)의 세번째 부분을 첨가한 후, 슬러리를 밤새 교반하며(자기 교반기) 방치하였다. 다음 날, 물질이 결정 침정으로 변화되었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메틸 이소-부틸 케톤(0.5 mL)으로 세척 및 공기 건조하였다.
제법 6
화합물 A(236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실온에서 메틸 이소-부틸 케톤(7 mL)에 용해하였다. 에탄설폰산(1 당량, 41 μL)을 바이알내 2 mL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과 혼합하였다. 화합물 A 용액을 결정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상기 제법 4 및 5 참조)으로 시딩하였다. 그 후, 250 μL의 에탄설폰산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 용액을 일부 4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시딩하고, 온도를 30℃로 증가하였다. 그 후, 500 μL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 용액을 약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결과 슬러리를 밤새 방치한 후, 마지막 양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산 용액을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1.5 mL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린스하고,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추가 6시간 후, 결정을 여과, 메틸 이소-부틸 케톤(2 mL)으로 세척 및 감압하에 40℃에서 건조하였다. 전체 258 mg의 결정 염을 얻었으며, 이는 약 87%의 수율에 상응한다.
제법 7
화합물 A(2.36 g; 상기 제조 A 참조)를 메틸 이소-부틸 케톤(90 mL)에 용해하였다.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상기 제법 4 내지 6 참조)의 시드 결정(10 mg)을 이 용액에 첨가한 후, 에탄설폰산(40 TL)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추가 시드 결정(12 mg) 및 두 부분의 에탄설폰산(2 x 20 μL)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메틸 이소-부틸 케톤(15 mL)으로 희석한 후, 에탄설폰산의 첨가를 계속하였다. 전체 양의 330 μL 에탄설폰산을 1시간에 걸쳐 일부 첨가하였다. 적은 양의 시드 결정을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슬러리를 밤새 교반하였다. 다음 날, 결정을 여과, 메틸 이소-부틸 케톤(2 x 6 mL)으로 세척 및 감압하에 4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 후, 전체 2.57 g의 흰색, 결정 산물을 얻었으며, 이는 수율 89%에 상응한다.
제법 8 및 9: 결정화 반응(항-용매 존재)
제법 8
화합물 A(163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이소-프로판올(1.2 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35℃까지 가열하였다. 에탄설폰산을 첨가하였다(28 μL).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4.8 mL)를 첨가하고, 이 용액을 결정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상기제법 4 내지 7 참조)으로 시딩하였다. 결정화는 거의 바로 시작되었다. 슬러리를 약 80분 동안 35℃에 방치한 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방치하였다(21℃). 2시간 후, 결정을 여과, 에틸 아세테이트(3 x 0.4 mL)로 3번 세척, 및 감압하에 40℃에서 건조하였다. 전체 170 mg의 결정 표제 산물을 얻었으며, 이는 약 82%의 수율에 상응한다.
제법 9
화합물 A(20.0 g; 상기 제조 A 참조)를 이소-프로판올(146.6 mL)에 40℃에서 용해하고, 에탄설폰산(3.46 mL, 95%, 1 당량)을 이 용액에 첨가하였다. 결과 투명한 용액에,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의 시드 크리스탈을 첨가하였다(50 mg; 상기 제법 4 내지 8 참조).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234 mL)를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결과 다소 불투명한 용액을 다시 시딩하고(70 mg), 1시간 동안 40℃에서 교반하면서 방치하여, 결정화가 시작되게 하였다. 그 후, 전체 352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일정한 속도로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모든 에틸 아세테이트가 첨가된 후, 슬러리를 1시간 동안 방치하고, 2시간에 걸쳐 21℃까지 냉각되도록 하였다. 결정화가 1시간 동안 21℃에서 계속되도록 방치한 후, 결정을 여과, 에틸 아세테이트(50 mL + 60 mL)로 2번 세척 및 마지막으로 감압하에 40℃에서 밤새 건조하였다. 전체 21.6 g의 흰색, 결정 염이 얻어졌으며, 이는 약 90의 수율에 상응한다.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을 이하와 같이 NMR로 특징화 하였다: 23 mg의 염을 중수소화(deuterated) 메탄올(0.7 mL) 트로스코피에 용해하였다. 1D(1H,13C 및 선택적 NOE) 및 2D(gCOSY, gHSQC 및 gHMBC) NMR 실험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모든 데이타는 이하 나타낸 염의 이론적 구조와 일치하였다. 분자는 메탄올내 두가지의 구조로 존재한다. H5(우세한 콘포머)에 할당되는 피크 및 H5'(기타 콘포머)에 할당되는 피크의 통합에 기초하여, 두 콘포머 간의 비는 70:30임이 밝혀졌다. H22는 이들 양자들이 용매 CD30D와 빠르게 교환됨에 따라 관찰될 수 없었다.
위치 1에 대응되는 양자 및 탄소 공명 모두 그 위치에서의 2개의 플루오르 핵의 스핀-커플링으로 인해 쪼개진다. 커플링 상수는2JHF= 73 Hz 및1JCF= 263 Hz이다.
1H 및13C NMR 화학적 쉬프트 할당 및 양자-양자 상관관계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a49.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b3.3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cs=싱글렛, t=트리플렛, m=멀티플렛, br=브로드, d=더블렛
dgCOSY 실험에서 얻음.
e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간의 커플링으로 트리플렛임:1JCF= 263 Hz.
HRMS C24H29ClF2N408S(M-H)-에 대한 계산치는 605.1284, 실측치는 605.1296.
화합물 A, 에탄설폰산 염(상기 실시예 4 내지 9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얻어짐)의 결정을 XRPD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이하 표로 만들었으며(표 3)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3]
DSC는 외삽하여 추정된 융해 개시 온도 약 131℃를 갖는 엔도텀(endotherm)을 나타낸다. TGA는 융점 주위에서 약 0.2%(중량/중량)의 질량 감소를 나타낸다. DSC 분석은 저용매 함량의 시료로 반복하였으며, 융해 개시 온도가 약 144℃임을 나타낸다.
제법 10
무정형 화합물 A, 벤젠설폰산 염의 제조
화합물 A(199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에탄올(2 mL)에 용해하였다. 벤젠설폰산(1 당량 90%, 70mg)을 바이알내 에탄올(1 mL)에 용해하였다. 산의 에탄올 용액을 화합물 A 용액에 첨가하고, 바이알을 1 mL의 에탄올로 세척한 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몇 분 동안 교반하고, 에탄올을 오일이 형성될 때까지 증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3 mL)를 첨가하고, 용매를 다시 건조 증발하였다. 무정형 고체가 형성되었다.
제법 11 내지 13: 결정 화합물 A, 벤젠설폰산 염의 제조
제법 11: 무정형 물질의 결정화
무정형 화합물 A 벤젠설폰산 염(20.7 mg; 상기 제법 10 참조)을 에틸 아세테이트(600 TL)에 슬러리 하였다. 5일 후, 결정 침정이 슬러리내에 관찰되었다.
제법 12 및 13: 결정화 반응
제법 12
화합물 A(128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에틸 아세테이트(3 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상기 제법 11 유래의 슬러리로 시딩하였다. 그 후, 벤젠설폰산을 첨가하였다(1 당량, 90%, 45 mg). 벤젠설폰산 염의 침전이 즉시 관찰되었다. 이소-프로판올을 슬러리(0.8 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시딩하였다. 2일 후, 물질이 결정 침정으로 변화되었다. 이 슬러리를 여과, 에틸 아세테이트(3 x 0.2 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40℃에서 단시간 건조하였다. 전체 약 140 mg의 흰색 고체가 얻어졌다.
제법 13
화합물 A(246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이소-프로판올(1.52 mL)에 용해하였다. 벤젠설폰산을 첨가하였다(88 mg, 90%). 이 투명한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3 mL), 이 혼합물을 시딩하여 결정화를 개시하였다. 1시간 후, 더 많은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2.77 mL). 마지막으로, 슬러리를 밤새 결정화 되도록 방치한 후, 결정을 여과, 에틸 아세테이트(3 x 0.3 mL)로 세척하고, 40℃ 진공하에 건조하였다. 전체 279 mg의 염을 얻었으며, 이는 약 86%의 수율에 상응한다.
화합물 A, 벤젠설폰산 염을 이하와 같이 NMR로 특징화 하였다: 20 mg의 염을 중수소화 메탄올(0.7 mL)에 용해하였다. 1D(1H,13C 및 선택적 NOE) 및 2D(gCOSY, gHSQC 및 gHMBC) NMR 실험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모든 데이타는 이하 나타낸 염의 이론적 구조와 일치하였다. 분자는 메탄올내 두가지의 구조로 존재한다. H12(우세한 콘포머)에 할당되는 피크 및 H12'(기타 콘포머)에 할당되는 피크의 통합에 기초하여, 두 콘포머 간의 비는 70:30임이 밝혀졌다. H22는 이들 양자들이 용매 CD30D와 빠르게 교환됨에 따라 관찰될 수 없었다.
위치 1에 대응되는 양자 및 탄소 공명 모두 그 위치에서의 2개의 플루오르 핵의 스핀-커플링으로 인해 쪼개진다. 커플링 상수는2JHF= 74 Hz 및1JCF= 260 Hz이다.
1H 및13C NMR 화학적 쉬프트 할당 및 양자-양자 상관관계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a49.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b3.3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cs=싱글렛, t=트리플렛, m=멀티플렛, br=브로드, d=더블렛
dgCOSY 실험에서 얻음.
e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간의 커플링으로 트리플렛임:1JCF= 260 Hz.
f연결성은 공명 102와 103간의 오버랩으로 인해 결정하기 어려움
HRMS C28H29ClF2N408S(M-H)-에 대한 계산치는 653.1284, 실측치는 653.1312.
화합물 A, 벤젠설폰산 염(상기 실시예 11 내지 13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얻어짐)의 결정을 XRPD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이하 표로 만들었으며(표 5)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5]
DSC는 외삽하여 추정된 융해 개시 온도 약 152℃를 갖는 엔도텀을 나타낸다. TGA는 융점 주위에서 약 0.1%(중량/중량)의 질량 감소를 나타낸다.
제법 14
무정형 화합물 A, n-프로판설폰산 염의 제조
화합물 A(186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이소-프로판올(1.39 mL)에 용해하고, n-프로판설폰산(1 당량, 95%, 39 TL)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5.6 mL)를 첨가하고, 용매를 건조, 무정형 고체가 형성될 때까지 증발하였다.
제법 15 및 16: 결정 화합물 A, n-프로판설폰산 염의 제조
제법 15: 무정형 물질의 결정화
무정형 화합물 A, n-프로판설폰산 염(20 mg; 상기 제법 14 참조)을 이소-프로판올(60 TL)에 용해하고,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180 TL)를 첨가하였다. 3일 후, 결정 침정이 관찰되었다.
제법 16: 결정화 반응
화합물 A(229 mg; 상기 제조 A 참조)를 이소-프로판올(1.43 mL)에 용해하였다. n-프로판설폰산을 첨가하였다(1 당량, 95%, 48 TL).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2 mL), 용액을 상기 제법 15 유래의 결정 염으로 시딩하였다. 추가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5 mL), 슬러리를 밤새 결정화 되도록 방치하였다. 결정을 여과, 에틸 아세테이트(3 x 0.3 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40℃에서 건조하였다.
화합물 A, n-프로판설폰산 염을 이하와 같이 NMR로 특징화 하였다: 13 mg의 염을 중수소화 메탄올(0.7 mL) 트로스코피에 용해하였다. 1D(1H,13C) 및 2D(gCOSY) NMR 실험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모든 데이타는 이하 나타낸 염의 이론적 구조와 일치하였다. 분자는 메탄올내 두가지의 구조로 존재한다. H12(우세한 콘포머)에 할당되는 피크 및 H12'(기타 콘포머)에 할당되는 피크의 통합에 기초하여, 두 콘포머 간의 비는 65:35임이 밝혀졌다. H22는 이들 양자들이 용매 CD30D와 빠르게 교환됨에 따라 관찰될 수 없었다.
위치 1에 대응되는 양자 및 탄소 공명 모두 그 위치에서의 2개의 플루오르 핵의 스핀-커플링으로 인해 쪼개진다. 커플링 상수는2JHF= 74 Hz 및1JCF= 260 Hz이다.
1H 및13C NMR 화학적 쉬프트 할당 및 양자-양자 상관관계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
a49.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b3.3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cs=싱글렛, t=트리플렛, m=멀티플렛, br=브로드, d=더블렛
dgCOSY 실험에서 얻음.
e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간의 커플링으로 트리플렛임:1JCF= 260 Hz.
HRMS C28H31ClF2N408S(M-H)-에 대한 계산치는 619.1441, 실측치는 619.1436.
화합물 A, n-프로판설폰산 염(상기 실시예 15 및 16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얻어짐)의 결정을 XRPD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이하 표로 만들었으며(표 7)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7]
DSC는 외삽하여 추정된 융해 개시 온도 약 135℃를 갖는 엔도텀을 나타낸다. TGA는 융점 주위에서 질량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제법 17
제법 17-A: 무정형 화합물 A, n-부탄 설폰산 염의 제조
무정형 화합물 A(277 mg)를 IPA(1.77 ml)에 용해하고, 부탄 설폰산(약 1 당량, 70 μL)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6 ml)를 첨가하고, 용매를 건조, 무정형 고체가 형성될 때까지 증발하였다.
제법 17-B: 결정 화합물 A, 부탄 설폰산 염의 제조
무정형 화합물 A, 부탄 설폰산 염(71.5 mg; 상기 제조 참조)을 에틸 아세테이트(500 μL)에 밤새 슬러리 하였다. 이 결정을 여과하고 공기-건조하였다.
화합물 A, 부탄설폰산 염을 이하와 같이 NMR로 특징화 하였다: 21.6 mg의 염을 중수소화 디메틸설폭시드(0.7 ml)에 용해하고,1H 및13C NMR 분광학으로 조사하였다.
스펙트라는 동일한 화합물의 다른 염들과 매우 유사하며, 이하 나타낸 구조들과 잘 일치한다. 스펙트라내 대부분의 공명들은 C9-N10 결합 주위의 느린 회전으로 인해 2개의 피크의 세트로 존재하며, 용액내 동시에 존재하는 2개의 회전장애이성질체를 초래한다. 이는 동일한 화합물의 다른 염에 대해 관찰된다.
위치 1의 2개의 플루오르 핵은 이 위치에서 양자와 핵의 공명을 쪼개게 한다. 커플링 상수는2JHF= 73 Hz 및1JCF= 258 Hz이다.
양자 및 탄소에 대한 화학적 쉬프트를 표 1에 나타낸다. 위치 22 및 24의 양자는 화학적 교환으로 인해 검출되지 않았다. 이들 양자에 대응되는 양자 스펙트럼내 8과 9 ppm 사이에 매우 브로드한 험프가 존재한다.
[표 8]
중수소화 디메틸설폭시드 내 25℃에서의 화합물 A, n-부탄설포네이트 염의1H 및13C NMR 화학적 쉬프트 할당
a49.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b3.3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cs=싱글렛, d=더블렛, dd=더블렛의 더블렛, t=트리플렛, m=멀티플렛.
d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 F1간의 커플링으로 트리플렛임:1JCF= 258 Hz.
e메타-양자간의4JHH커플링은 완전히 해상되지 않음.
na=적절하지 않음, nd=결정되지 않음
HRMS C26H32ClF2N408S(M-H)-에 대한 계산치는 633.1597, 실측치는 633.1600.
화합물 A, n-부탄설폰산 염(상기 제법 17-B에 서술된 바와 같이 얻어짐)의 결정을 XRPD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이하 표로 만들었으며(표 9)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9]
DSC는 외삽하여 추정된 융해 개시 온도 약 118℃를 갖는 엔도텀을 나타내며, TGA는 0.041%의 중량 손실을 나타낸다.
제법 18: 화합물 B의 염의 제조
제법 18-A: 염 제조를 위한 일반적 방법
이하 일반적 방법을 화합물 B의 염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였다: 200 mg의 화합물 B(상기 제조 B 참조)를 5 mL의 MIBK(메틸 이소부틸 케톤)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1.0 mL의 MIBK에 용해된 적절한 산 용액(1.0 또는 0.5 몰 당량, 표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음)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로 제거하였다. 잔여 고체 물질을 약 8 mL의 아세토니트릴:H20(1:1)에 재용해하였다. 동결 건조로 각각의 경우에 무색 무정형 물질을 얻었다.
사용된 산:
에실레이트(에탄설폰산)
베실레이트(벤젠 설폰산)
시클로헥실설파메이트
설페이트
브로마이드
p-톨루엔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헤미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
니트레이트
염산
적절한 특징화 데이타를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
이 실시예에서 형성된 모든 염들은 무정형이었다.
제법 18-B
화합물 B의 추가적 무정형 염은 이하 산들에 대해 상기 제법 18-A에 서술된 것들에 무정형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2-에탄디설폰산(0.5 염)
1S-캄포르설폰산
(+/-)-캄포르설폰산
p-자일렌설폰산
2-메시틸렌설폰산
사카린
말레산
인산
D-글루탐산
L-아르기닌
L-라이신
L-라이신*HCl
제법 18-C: 무정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무정형 화합물 B(110.9 mg)를 2.5 mL의 2-프로판올에 용해하고, 0.5 당량의 1,5-나프탈렌-디설폰산 테트라히드레이트(1 mL 2-프로판올에 용해됨)를 첨가하였다. 이 시료를 밤새 교반하였다. 작은 입자(무정형) 또는 오일 방울만이 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이 시료를 건조 증발하였다.
제법 18-D: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결정화 실험은 상온에서 수행하였다. 무정형 화합물 B(0.4 g)를 에탄올(1.5 mL)에 용해하고, 0.5 당량의 1,5-나프탈렌-디설폰산 테트라히드레이트(1.35 g, 에탄올 내 10 %)를 첨가하였다. 그 후, 헵탄(0.7 mL)을 용액이 다소 흐려질 때까지 첨가하였다. 약 15분 후, 용액이 탁해졌다. 약 30분 후, 엷은 슬러리가 관찰되며, 추가적인 헵탄(1.3 mL)을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원숙해지도록 밤새 방치하였다. 진한 슬러리를 희석하기 위해, 에탄올과 헵탄의 혼합물(각각 1.5 mL 및 1.0 mL)을 첨가하였다. 약 1시간 후, 슬러리를 여과하고, 결정을 에탄올과 헵탄의 혼합물(1.5: 1)로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순수 헵탄으로 세척하였다. 결정을 상온에서 1일 동안건조하였다. 건조 결정은 0.395 g 중량이었다.
제법 18-E: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무정형 화합물 B(1.009 g)를 20 mL 2-프로판올 + 20 mL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하였다. 20 mL의 2-프로판올에 용해된 351.7 mg의 1,5-나프탈렌-디설폰산 테트라히드레이트를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약 5분 이내에 침전이 관찰되었다. 슬러리를 밤새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제법 18-F: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430.7 mg의 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을 30 mL의 1-프로판올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물질을 용해하기 위해 용해되도록 가열하였다. 이 용액을 밤새 상온에서 결정화 되도록 방치한 후, 결정을 여과하였다.
제법 18-G: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제법 18-F 유래 모 액체를 증발하고, 고체 잔여물(61.2 mg)을 6 mL의 아세토니트릴/1-프로판올, 비 2:1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밤새 상온에서 결정화 되도록 방치한 후, 결정을 여과하였다.
제법 18-H: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제법 18-C 유래 시료를 약 2 mL의 메탄올에 용해하였다. 에탄올(약 3 mL)을 항-용매로 상온에서 첨가하고, 시드를 첨가하였다.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용매를 증발하고(약 절반의 양), 새로운 부분의 에탄올(약 2 mL) 및 시드를 첨가하였다. 밤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 결정 입자가 형성되었다.
제법 18-I: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무정형 화합물 B(104.1 mg)를 2-프로판올에 용해하고, 2-프로판올에 용해된 1 당량의 1,5-나프탈렌-디설폰산 테트라히드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전체로, 2-프로판올 양은 약 2.5 mL이었다. 이 용액을 44℃에서 약 80분 동안 교반하고, 침전이 형성되었다. 입자는 극광 현미경에 따라 결정이었다. 시료를 여과하였다.
제법 18-J: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56.4 mg)을 1.5 mL의 메탄올에 용해하였다. 메틸 에틸 케톤(3 mL)을 첨가하였다. 시드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결정화가 개시되었다. 결정을 여과, 메틸 에틸 케톤으로 세척 및 공기 건조하였다.
제법 18-K: 결정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제조
무정형 화합물 B(161.0 mg)를 3.5 mL의 1-부탄올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40℃까지 가열하였다. 다른 비이커에, 57.4 mg의 나프탈렌-디설폰산 테트라히드레이트를 3 mL의 1-부탄올에 용해하였다. 2 방울의 산 용액을 화합물 B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시드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2시간 후 산 용액의 나머지를 천천히 첨가하였다(40℃에서). 그 후, 온도를 천천히 실온으로 내리고, 실험을 밤새 교반하에 두었다. 슬러리를 여과, 1-부탄올로 세척 및 진공하에 44℃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수율은 83%이었다.
특징화
상기 제법 18-D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의 결정을 이하와 같이 NMR에 의해 특징화 하였다: 21.3 mg의 염을 중수소화 메탄올에용해하고, 0.7 ml를 NMR 분광학으로 조사하였다. 1D(1H,13C 및 선택적 NOE) 및 2D(gCOSY, gHSQC 및 gHMBC) NMR 실험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모든 데이타는 이하 나타낸 제안된 구조와 일치하였다. 모든 탄소 및 탄소에 부착된 양자들이 할당된다. 헤테로원자에 부착된 양자는 용매로부터 중수소를 교환하며, 검출되지 않는다. 1D1H 및13C NMR 스펙트라내 대부분의 공명들은 2개의 피크의 세트로 존재한다. 이 이유는 C9-N10 결합 주위 느린 회전으로 인한 것이며, 이는 용액내 동시에 존재하는 2개의 회전장애 이성질체를 초래한다. 1D NOE 실험은 이에 대한 증거이다. 하나의 회전장애 이성질체의 공명이 조사시, 포화도는 다른 회전장애 이성질체의 상응하는 피크로 전이된다. 1,5-나프탈렌디설포네이트 반대 이온에 상응하는 공명은 회전장애 이성현상을 보이지 않는다.
분자내에 4개의 플루오르가 존재한다. 이들은 일부 양자와 탄소들에 대한 공명을 쪼개게 한다. 위치 1에 대응되는 양자 및 탄소 공명 모두 그 위치에서의 2개의 플루오르 핵의 스핀-커플링으로 인해 쪼개진다. 커플링 상수는2JHF= 73 Hz 및1JCF= 263 Hz이다. 더욱이, H19에 대응되는 양자 공명은 위치 18에서의 플루오르 핵의 스핀-커플링으로 인해3JHF= 6.9 Hz의 변형 더블렛이다. C17, C18, C19 및 C20에 대응되는 탄소 공명 또한 이들 플루오르 핵들과의 커플링을 나타낸다. Cl7 및d C20 공명은2JCF= 19 Hz 및3JCF= 11 Hz를 각각 갖는 트리플렛이다. C18 공명은 커플링 상수1JCF= 251 Hz 및3JCF= 8 Hz를 갖는 더블렛의 더블렛이다. C19 공명은 멀티플렛이다.
1,5-나프탈렌디설포네이트 반대 이온 및 모 화합물에 대응하는 공명들에 대한 통합 등급의 비교는 모 화합물의 2 분자로 결정화된 단일 1,5-나프탈렌디설포네이트 반대 이온의 화학량 관계를 제시한다.
1H 및13C NMR 화학적 쉬프트 할당 및 양자-양자 상관관계를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
a49.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b3.30 ppm에서의 용매 공명에 대응.
cs=싱글렛, d=더블렛, dd=더블렛의 더블렛, t=트리플렛, m=멀티플렛.
dgCOSY 실험에서 얻어짐
e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 F1간의 커플링으로 트리플렛임:1JCF= 263 Hz.
f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 F18간의 커플링으로 트리플렛임:2JCF= 19 Hz.
g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 F18간의 커플링으로 더블렛의 더블렛임:1JCF= 251 Hz 및3JCF= 8 Hz.
i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 F18간의 커플링으로 멀티플렛임.
k공명은 2개의 플루오르 핵 F18간의 커플링으로 트리플렛임:3JCF= 11 Hz.
n메타-양자간의4JHH커플링은 완전히 해상되지 않음.
na=적절하지 않음, nd=결정되지 않음
화합물 B,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상기 제법 18-I에 서술된 바와 같이 얻어짐)의 결정을 XRPD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이하 표로 만들었으며(표 12)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12]
DSC는 외삽하여 추정된 융해 개시 온도 약 183℃를 갖는 엔도텀을 나타내며, TGA는 25-110 ℃ 사이에서 0.3%의 중량 손실을 나타낸다.
약자
Ac = 이세틸
APCI = 대기압 화학적 이온화(MS에 대해)
API = 대기압 이온화(MS에 대해)
aq. = 수성
Aze(& (S)-Aze) = (S)-아제티딘-2-카르복실레이트(달리 설명된 바 없다면)
Boc =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br = 브로드(NMR에 대해)
CI = 화학적 이온화(MS에 대해)
d = 일(들)
d = 더블렛(NMR에 대해)
DCC =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dd = 더블렛의 더블렛(NMR에 대해)
DIBAL-H =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히드리드
DIP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 4-(N,N-디메틸 아미노)피리딘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 디메틸설폭시드
DSC = 차등 스캐닝 비색법
DVT = 정맥 혈전증
EDC =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르보디이미드 염산
eq. = 당량
ES = 전자분무
ESI = 전자분무 인터페이스
Et = 에틸
에테르 = 디에틸 에테르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EtOH = 에탄올
Et20 = 디에틸 에테르
HATU = O-(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 [N,N,N',N'-테트라메틸-O-(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Cl = 염산, 염화 수소 가스 또는 염산 염(내용에 따라)
Hex = 헥산
HOAc = 아세트산
HPLC =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C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m = 멀티플렛(NMR에 대해)
Me = 메틸
MeOH = 메탄올
min. = 분(들)
MS = 질량 분광학
MTBE = 메틸 tert-부틸 에테르
NMR = 핵자기 공명
OAc = 아세테이트
Pab = 파라-아미디노벤질아미노
H-Pab = 파라-아미디노벤질아민
Pd/C = 팔라듐 온 탄소
Ph = 페닐
PyBOP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q = 쿼텟(NMR에 관해)
QF =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리드
rt/RT = 실온
s = 싱글렛(NMR에 대해)
t = 트리플렛(NMR에 대해)
TBTU = [N,N,N',N'-테트라메틸-O-(벤조트리아졸-1-일)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EA = 트리에틸아민
Teoc =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
TEMPO =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 유리 라디칼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GA = 열중량측정 분석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TLC =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UV = 자외선
접두사 n-, s-, i-, t- 및 tert-는 이들의 일반적 의미: 노르말, 2차, 이소, 및 3차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로 설명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달리 설명한 바 없으면, HPMC 중합체는 Shin-Etsu(상표 METOLOSETM)에서 구매한다. 요타-카라기난의 경우, 실시예 11 및 12만을 제외하고(CP-Kelco가 공급자임), 공급자는 Fluka이었다. 특정 등급 및 이들의 USP 동등물을 이하 나타낸다(단지 한번, 처음 나타낸 경우만 서술함).
일반적 테스트 방법
3개의 개별적 정제에 대해 USP 용해 기기 2(패들 + 배스킷)를 사용하여 50 rpm 및 37℃에서 900ml 메디아에서 약물 방출을 테스트 하였다. 이 용해 메디아로 0.1 M 염산(pH 1) 및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을 사용하였다. 인-라인 정량화를 C 테크놀로지 강도 광학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0.1 M HCl이 용해 메디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분석 파장으로 220 nm를, 인산 완충액 pH 6.8이 용해 메디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분석 파장으로 260 nm를 사용하였다. 350 nm는 양쪽 메디아에서 참조 파장으로 사용되었다. 분석 처음 2시간 동안, 방출 값은 15분 마다 측정하였으며, 그 이후는 1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1스틸 로드의 말단에 상부, 좁은 측면 중 하나에 결합된 메쉬 와이어의 사각형 바스켓을 제조하는 것이 관례이다. 이 로드는 용해 용기의 커버를 통해 초래되며, 용기 중심에서 3.2 cm인 2개의 테플론 넛트로 고정된다. 바스켓의 바닥의 낮은 모서리는 패들 위 1 cm로 조정된다. 바스켓은 이의 모서리 상에 테스트 스탠딩하에 정제와의 흐름을 따른다].
실시예 1
HPMC 10000 cPs 및 HPMC 50 cPs, 비 50:50을 갖는 화합물 A의 직접적 압축.
활성 물질 및 부형제 물질은 비팅 뱃트(beeting vat)내에서 혼합하였다. 과립을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excenterpress)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실시예 2
HPMC, 용해제 및 충전제와 함께 화합물 A의 과립화 및 압축.
활성 물질, 항산화제 및 용해제를 에탄올에 용해하고, 부형제에 분산시킨다. 그 후, 이 혼합물을 에탄올에 용해된 HPC로 과립화하였다. 이 과립을 건조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과립을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이 결과는 정제 매트릭스의 주요한 백그라운드 흡수도에 대해 정정되지 않았으므로, 120% 및 132%의 방출 값이 0.1 M HCl 및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8의 각각에 대해 나타난다.
실시예 3
HPMC, SDS 및 충전제와 함께 화합물 A의 과립화 및 압축.
활성 성분 및 부형제 물질을 비팅 뱃트내에서 혼합하였다. 과립을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실시예 4: 화합물 A의 에실레이트 염, HPMC 및 SDS를 포함하는 제제의 예
이 제제는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화합물 A의 에실레이트 염 및 잔탄 검을 갖는 제제의 예
이 제제는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HPMC 및 요타-카라기난을 갖는 화합물 A의 에실레이트 염의 제제의 예
이 제제는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HPMC 및 요타-카라기난을 갖는 화합물 A의 n-프로필 설폰산 염의제제의 예
이 제제는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HPMC 및 요타-카라기난을 갖는 화합물 A의 베실레이트 염의 제제의 예
이 제제는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HPMC 10000 cPs 및 HPMC 50 cPs, 비 50:50을 갖는 화합물 A의 에실레이트 염의 직접적 압축.
활성 물질 및 부형제 물질을 비팅 뱃트내에서 혼합하였다. 과립을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실시예 10
HPMC 10000 cPs 및 요타-카라기난, 비 50:50을 갖는 화합물 A의 에실레이트염의 직접적 압축.
활성 물질 및 부형제 물질을 비팅 뱃트내에서 혼합하였다. 과립을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실시예 11
화합물 A의 베실레이트 염 및 부형제 물질을 고전단 과립기에서 과립화 하였다. 과립을 건조하고,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실시예 12
화합물 A의 베실레이트 염 및 부형제 물질을 고전단 과립기에서 과립화 하였다. 과립을 건조하고,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실시예 13
화합물 A의 베실레이트 염 및 부형제 물질을 직접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실시예 14
화합물 A의 베실레이트 염을 포함하는 제제의 예. 실시예 14-A 및 14-B는 실시예 3 또는 11의 일반적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A
실시예 14-B
실시예 14-C
이 제제는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C의 방출 데이타
실시예 15
화합물 B의 헤미-나프탈렌 1,5-디설폰산 염을 포함하는 제제의 예. 모든 제제는 실시예 11의 일반적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A
실시예 15-B
실시예 15-C
추가적 실시예들은 HPMC가 PEO로 대체되거나 이와 혼합되어 상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혼합물의 경우, PEO:HPMC의 비는 90:10 내지 10:90%의 범위일 수 있다. 특정 혼합물은 PEO:HPMC가 80%:20%, 또는 75%:25%이다.
실시예 16
HPMC, SDS 및 충전제를 갖는 화합물 A의 과립화 및 압축.
활성 물질 및 부형제 물질을 비팅 뱃트내에서 혼합하였다. 과립을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실시예 17
잔탄 검 및 요타-카라기난, 비 50:50을 포함하는 화합물 A의 직접적 압축.
활성 물질 및 부형제 물질을 비팅 뱃트내에서 혼합하였다. 과립을 소디엄 스테아릴 푸마레이트로 윤활화하고, 방심압착기를 사용하여 정제로 압축하였다.
방출 데이타
화합물 A의 베실레이트 염이 아닌 염 또는 유리 염기를 사용하는 상기 어떠한 실시예는 화합물 A의 베실레이트 염을 사용하여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염의 형태인 경우, 제제가 요타-카라기난 및 중성 교질화 중합체만을 함유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활성 성분으로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치환체로 치환된 C1-2알킬이고; R2는 수소, 히드록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2. 양태 1에서, 활성 성분이 Ph(3-Cl)(5-OCHF2)-(R)CH(OH)C(O)-(S)Aze-Pab(OMe)(화합물 A);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Me)(화합물 B); 또는 Ph(3-Cl)(5-OCH2CH2F)-(R)CH(OH)C(O)-(S)Aze-Pab(OMe)(화합물 C)의 염인 것인 조성물.
3. 양태 1 또는 2에서, 활성 성분이 Ph(3-Cl)(5-OCHF2)-(R)CH(OH)C(O)-(S)Aze-Pab(OMe)(화합물 A);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Me)(화합물 B); 또는 Ph(3-Cl)(5-OCH2CH2F)-(R)CH(OH)C(O)-(S)Aze-Pab(OMe)(화합물 C)의 결정 염인 것인 조성물.
4. 양태 1, 2 또는 3에서, 조성물이 교질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양태 4에서, 매트릭스가 HPMC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양태 4 또는 5에서, 매트릭스가 요타-카라기난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 양태 4에서, 매트릭스가 SDS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양태 2 및 5, 또는 2 및 6에서, 메트릭스가 부가적으로 잔탄 검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9. 양태 1에서 서술된 제제의 약제로서의 용도.
10. 양태 1에서 서술된 제제의 심장 혈관 질병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11. 양태 1에서 서술된 약학 제제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병에 걸린 또는 걸릴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심장혈관 질병의 치료 방법.
12. 양태 1에서 서술된 즉시 방출 제제의 제조 방법.
본 명세서에 서술된 제법 및/또는 실시예 중 어떤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조성물 또한 제공한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염의 형태인 경우, 제제가 요타-카라기난 및 중성 교질화 중합체만을 함유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활성 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약학 조성물: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치환체로 치환된 C1-2알킬이고;
    R2는 수소, 히드록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Ph(3-Cl)(5-OCHF2)-(R)CH(OH)C(O)-(S)Aze-Pab(OMe);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Me); 또는
    Ph(3-Cl)(5-OCH2CH2F)-(R)CH(OH)C(O)-(S)Aze-Pab(OMe)의 염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Ph(3-Cl)(5-OCHF2)-(R)CH(OH)C(O)-(S)Aze-Pab(OMe);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Me); 또는
    Ph(3-Cl)(5-OCH2CH2F)-(R)CH(OH)C(O)-(S)Aze-Pab(OMe)의 결정 염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Ph(3-Cl)(5-OCHF2)-(R)CH(OH)C(O)-Aze-Pab(OMe) 또는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Me)의 에탄설폰산, n-프로판설폰산, 벤젠설폰산, 1,5-나프탈렌디설폰산, 또는 n-부탄설폰산 부가 염인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5.9, 4.73, 4.09 및 4.08Å에서 d-값을 갖는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Ph(3-Cl)(5-OCHF2)-(R)CH(OH)C(O)-(S)Aze-Pab(OMe), 벤젠-설폰산 염인 것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18.3, 9.1, 5.6, 5.5, 4.13, 4.02, 3.86, 3.69 및 3.63Å에서 d-값을 갖는 피크로 특징지어지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Ph(3-Cl)(5-OCHF2)-(R)CH(OH)C(O)-(S)Aze-Pab(2,6-diF)(OMe), 헤미-1,5-나프탈렌디설폰산 염인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교질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HPMC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요타-카라기난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SDS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에 청구된 제제의 약제로서의 용도.
  12. 제1항에 청구된 제제의 심장 혈관 질병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13. 제1항에서 청구된 약학 제제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장혈관 질병에 걸린 또는 걸릴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심장혈관 질병의 치료 방법.
KR1020047019336A 2002-05-31 2003-05-27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 KR101166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201659-0 2002-05-31
SE0201659A SE0201659D0 (sv) 2002-05-31 2002-05-31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PCT/SE2003/000858 WO2003101424A1 (en) 2002-05-31 2003-05-27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013A true KR20050010013A (ko) 2005-01-26
KR101166921B1 KR101166921B1 (ko) 2012-07-23

Family

ID=2028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336A KR101166921B1 (ko) 2002-05-31 2003-05-27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7202236B2 (ko)
EP (1) EP1513495A1 (ko)
JP (2) JP4603353B2 (ko)
KR (1) KR101166921B1 (ko)
CN (2) CN101264051B (ko)
AR (1) AR039936A1 (ko)
AU (2) AU2003232870B2 (ko)
BR (1) BR0311460A (ko)
CA (1) CA2485535C (ko)
EG (1) EG24479A (ko)
IL (1) IL165029A0 (ko)
IS (1) IS7564A (ko)
MX (1) MXPA04011914A (ko)
NO (1) NO20044767L (ko)
NZ (1) NZ536621A (ko)
PL (1) PL374299A1 (ko)
RU (2) RU2352323C2 (ko)
SA (1) SA03240402B1 (ko)
SE (1) SE0201659D0 (ko)
SG (1) SG165162A1 (ko)
TW (2) TWI319317B (ko)
WO (1) WO2003101424A1 (ko)
ZA (1) ZA2004092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35216A1 (es) * 2000-12-01 2004-05-05 Astrazeneca Ab Derivados de acido mandelico ,derivados farmaceuticamente aceptables, uso de estos derivados para la fabricacion de medicamentos, metodos de tratamiento ,procesos para la preparacion de estos derivados, y compuestos intermediarios
AR034517A1 (es) 2001-06-21 2004-02-25 Astrazeneca Ab Formulacion farmaceutica
SE0201658D0 (sv) * 2002-05-31 2002-05-31 Astrazeneca Ab Immediate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SE0201661D0 (sv) * 2002-05-31 2002-05-31 Astrazeneca Ab New salts
US7781424B2 (en) * 2003-05-27 2010-08-24 Astrazeneca Ab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EP1849004A1 (en) 2005-01-17 2007-10-31 Gyros Patent Ab A versatile flow path
TW200827336A (en) 2006-12-06 2008-07-01 Astrazeneca Ab New crystalline forms
TW200900033A (en) * 2007-06-21 2009-01-01 Wen-Qing Li Automatic brewing machine
US20080317790A1 (en) * 2007-06-25 2008-12-25 Cp Kelco U.S., Inc. Process for Treatment of Kappa Carrageenan
US8268808B2 (en) * 2007-06-25 2012-09-18 Cp Kelco U.S., Inc. Carrageenan and carrageenan-containing products
EP2181116A4 (en) * 2007-06-25 2013-02-27 Cp Kelco Us Inc CARRAGEENAN
US20080317791A1 (en) * 2007-06-25 2008-12-25 Cp Kelco U.S., Inc. Kappa Carrageenan
US20080317926A1 (en) * 2007-06-25 2008-12-25 Cp Kelco U.S., Inc. Carrageenan Process
US20080317789A1 (en) * 2007-06-25 2008-12-25 Cp Kelco U.S., Inc. Carrageenan Process
US20080317927A1 (en) * 2007-06-25 2008-12-25 Cp Kelco U.S., Inc. Process for Treatment of Kappa Carrageenan
US20090061000A1 (en) * 2007-08-31 2009-03-05 Astrazeneca Ab Pharmaceutical formulation use 030
US9125434B2 (en) * 2007-10-11 2015-09-08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eless tobacco product, smokeless tobacco product in the form of a sheet, extrudable tobacco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mokeless tobacco product, method for delivering super bioavailable nicotine contained in tobacco to a user, and packaged smokeless tobacco product sheet
US20090098192A1 (en) * 2007-10-11 2009-04-16 Fuisz Richard C Extrudable and Extruded Compositions for Delivery of Bioactive Agents, Method of Making Same and Method of Using Same
EA021392B1 (ru) 2007-10-11 2015-06-30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Бездымный табачный продукт
US20100310522A1 (en) * 2007-11-26 2010-12-09 Plant Bioscience Limited Novel Polypeptides Having Endolysin Activity and Uses Thereof
US8293285B2 (en) * 2008-03-14 2012-10-23 Cp Kelco U.S., Inc. Carrageenan modified by ion-exchange process
US20100159001A1 (en) * 2008-12-19 2010-06-24 Cardinal John R Extended-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20100160363A1 (en) * 2008-12-19 2010-06-24 Aaipharma Services Corp. Extended-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GB0908949D0 (en) 2009-05-26 2009-07-01 Plant Bioscience Ltd Novel polypeptides having endolysin activity and uses thereof
CA3036307A1 (en) * 2016-09-15 2018-03-22 Camurus Ab Prostacyclin analogue formul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78398B (en) 1979-06-12 1982-04-28 Gyogyszerkutato Intezet Process for producing new agmatine derivatives of activity against haemagglutination
JPS57149217A (en) 1981-03-11 1982-09-14 Kaken Pharmaceut Co Ltd Slow-releasing pharmaceutical preparation
HU192646B (en) 1984-12-21 1987-06-29 Gyogyszerkutato Intezet Process for preparing new n-alkyl-peptide aldehydes
CA1341029C (en) 1985-02-04 2000-06-20 Michael Kolb Peptidase inhibitors
US5187157A (en) 1987-06-05 1993-02-16 Du 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Peptide boronic acid inhibitors of trypsin-like proteases
US4792452A (en) 1987-07-28 1988-12-20 E. R. Squibb & Sons, Inc.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EP0362002B1 (en) 1988-09-01 1995-07-26 Merrell Dow Pharmaceuticals Inc. HIV protease inhibitors
ZA897515B (en) 1988-10-07 1990-06-27 Merrell Dow Pharma Novel peptidase inhibitors
TW201303B (ko) 1990-07-05 1993-03-01 Hoffmann La Roche
CA2075154A1 (en) 1991-08-06 1993-02-07 Neelakantan Balasubramanian Peptide aldehydes as antithrombotic agents
SE9102462D0 (sv) 1991-08-28 1991-08-28 Astra Ab New isosteric peptides
US5169638A (en) 1991-10-23 1992-12-08 E. R. Squibb & Sons, Inc. Buoyant controlled release powder formulation
ZA928581B (en) 1991-11-12 1994-05-06 Lilly Co Eli Antithrombotic agents
SE9103612D0 (sv) 1991-12-04 1991-12-04 Astra Ab New peptide derivatives
ES2110599T3 (es) 1992-03-04 1998-02-16 Gyogyszerkutato Intezet Nuevos derivados de peptidos anticoagulantes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contienen los mismos, asi como un proceso para su preparacion.
TW223629B (ko) 1992-03-06 1994-05-11 Hoffmann La Roche
US6984627B1 (en) 1993-06-03 2006-01-10 Astrazeneca Ab Peptide derivatives
SE9301912D0 (sv) 1993-06-03 1993-06-03 Ab Astr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minoalkylguandines
US5783563A (en) 1993-06-03 1998-07-21 Astra Aktiebolag Method for treatment or prophylaxis of venous thrombosis
SE9301916D0 (sv) 1993-06-03 1993-06-03 Ab Astra New peptides derivatives
EP0648780A1 (en) 1993-08-26 1995-04-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terocyclic thrombin inhibitors
TW394760B (en) 1993-09-07 2000-06-21 Hoffmann La Roche Novel Carboxamid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U1025795A (en) 1994-01-27 1995-08-0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lineamide derivatives
US5705487A (en) 1994-03-04 1998-01-06 Eli Lilly And Company Antithrombotic agents
ZA951617B (en) 1994-03-04 1997-02-27 Lilly Co Eli Antithrombotic agents.
US5707966A (en) 1994-03-04 1998-01-13 Eli Lilly And Company Antithrombotic agents
US5561146A (en) 1994-06-10 1996-10-0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odified guanidino and amidino thrombin inhibitors
DE4421052A1 (de) 1994-06-17 1995-12-21 Basf Ag Neue Thrombininhibitore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498724A (en) 1994-06-28 1996-03-12 Aktiebolaget Astra Pyrazoleamidine compounds
US5510369A (en) 1994-07-22 1996-04-23 Merck & Co., Inc. Pyrrolidine thrombin inhibitors
CN1198839C (zh) 1995-02-17 2005-04-27 艾伯特有限及两合公司 作为凝血酶抑制剂的新的二肽脒类
US5710130A (en) 1995-02-27 1998-01-20 Eli Lilly And Company Antithrombotic agents
US5695781A (en) 1995-03-01 1997-12-09 Hallmark Pharmaceuticals, Inc.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three different types of polymers
US6083532A (en) 1995-03-01 2000-07-04 Duramed Pharmaceuticals, Inc.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three different types of polymers and tablet formed therefrom
JPH11503161A (ja) 1995-04-04 1999-03-23 メルク エンド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トロンビン阻害剤
US5629324A (en) 1995-04-10 1997-05-13 Merck & Co., Inc. Thrombin inhibitors
SA96170106A (ar) * 1995-07-06 2005-12-03 أسترا أكتيبولاج مشتقات حامض أميني جديدة
TW541316B (en) 1995-12-21 2003-07-11 Astrazeneca Ab Prodrugs of thrombin inhibitors
SE9601556D0 (sv) * 1996-04-24 1996-04-24 Astra Ab New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a thrombin inhibitor for parenteral use
SE9602263D0 (sv) 1996-06-07 1996-06-07 Astra Ab New amino acid derivatives
US5863929A (en) 1996-06-25 1999-01-26 Eli Lilly And Company Anticoagulant agents
SE9602646D0 (sv) 1996-07-04 1996-07-04 Astra Ab Pharmaceutically-useful compounds
DE19632772A1 (de) 1996-08-14 1998-02-19 Basf Ag Neue Benzamidine
SE9603724D0 (sv) * 1996-10-11 1996-10-11 Astra Ab New pharmaceutical parenteral formulation of a thrombin inhibitor
AR013084A1 (es) 1997-06-19 2000-12-13 Astrazeneca Ab Derivados de amidino utiles como inhibidores de la trombina, composicion farmaceutica, utilizacion de dichos compuestos para la preparacion demedicamentos y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los compuestos mencionados
IT1297461B1 (it) 1997-10-29 1999-12-17 Ciocca Maurizio Preparazione di compresse a rilascio controllato a base di complessi tra carragenano e farmaci basici solubili
SE9704543D0 (sv) 1997-12-05 1997-12-05 Astra Ab New compounds
US6251430B1 (en) 1998-02-04 2001-06-26 Guohua Zhang Water insoluble polymer based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SE9802938D0 (sv) 1998-09-01 1998-09-01 Astra Ab Improved stability for injection solutions
SE9802974D0 (sv) 1998-09-03 1998-09-03 Astra Ab New crystalline forms
SE9802973D0 (sv) 1998-09-03 1998-09-03 Astra Ab Immediate release tablet
WO2000013710A2 (en) 1998-09-04 2000-03-16 Scios Inc. Hydrogel compositions for the controlled release administration of growth factors
SE9804313D0 (sv) 1998-12-14 1998-12-14 Astra Ab New compounds
ES2295004T3 (es) 1999-01-13 2008-04-16 Astrazeneca Ab Nuevos derivados amidinobencilaminicos y su uso como inhibidores de trombina.
SE9902550D0 (sv) 1999-07-02 1999-07-02 Astra Ab New crystalline forms
SE0001803D0 (sv) 2000-05-16 2000-05-16 Astrazeneca Ab New compounds i
AU2001280395B2 (en) 2000-08-16 2005-11-24 Astrazeneca Ab New amidino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thrombin inhibitors
SE0003125D0 (sv) * 2000-09-05 2000-09-05 Astrazeneca Ab Modified polymers
AR035216A1 (es) * 2000-12-01 2004-05-05 Astrazeneca Ab Derivados de acido mandelico ,derivados farmaceuticamente aceptables, uso de estos derivados para la fabricacion de medicamentos, metodos de tratamiento ,procesos para la preparacion de estos derivados, y compuestos intermediarios
SE0102921D0 (sv) 2001-08-30 2001-08-30 Astrazeneca Ab Pharmaceutically useful compounds
US7129233B2 (en) 2000-12-01 2006-10-31 Astrazeneca Ab Mandel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thrombin inhibitors
AR034517A1 (es) 2001-06-21 2004-02-25 Astrazeneca Ab Formulacion farmaceutica
UA78195C2 (uk) 2001-08-30 2007-03-15 Astrazeneca Ab Похідні мигдалевої кислоти та їх застосування як інгібіторів тромбіну,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на їх основі
SE0201661D0 (sv) 2002-05-31 2002-05-31 Astrazeneca Ab New salts
SE0201658D0 (sv) 2002-05-31 2002-05-31 Astrazeneca Ab Immediate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3989A (en) 2009-04-01
EP1513495A1 (en) 2005-03-16
AU2009243524A1 (en) 2009-12-24
JP2009298795A (ja) 2009-12-24
AR039936A1 (es) 2005-03-09
CN100402025C (zh) 2008-07-16
US7202236B2 (en) 2007-04-10
RU2004132856A (ru) 2005-08-10
RU2474416C2 (ru) 2013-02-10
IS7564A (is) 2004-11-29
CN1655761A (zh) 2005-08-17
CN101264051B (zh) 2010-12-22
AU2003232870B2 (en) 2009-09-10
SE0201659D0 (sv) 2002-05-31
WO2003101424A1 (en) 2003-12-11
NZ536621A (en) 2006-10-27
AU2003232870A1 (en) 2003-12-19
RU2008142261A (ru) 2010-05-10
CA2485535C (en) 2011-05-10
CA2485535A1 (en) 2003-12-11
NO20044767L (no) 2005-02-25
TWI319318B (en) 2010-01-11
EG24479A (en) 2009-08-03
TWI319317B (en) 2010-01-11
CN101264051A (zh) 2008-09-17
ZA200409234B (en) 2005-07-12
RU2352323C2 (ru) 2009-04-20
SG165162A1 (en) 2010-10-28
IL165029A0 (en) 2005-12-18
US20050171083A1 (en) 2005-08-04
BR0311460A (pt) 2005-03-29
MXPA04011914A (es) 2005-03-31
PL374299A1 (en) 2005-10-03
KR101166921B1 (ko) 2012-07-23
JP2005536472A (ja) 2005-12-02
TW200403992A (en) 2004-03-16
SA03240402B1 (ar) 2008-03-23
JP4603353B2 (ja)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921B1 (ko) 개질된 방출 약학 제제
RU2323006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JP2010209090A (ja) 即時放出性医薬製剤
KR20140024063A (ko) Cddo 메틸 에스테르의 신규한 형태
US7781424B2 (en)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SA07280675B1 (ar) صور بلورية من Ph(3-CI)(5-OCHF2)- (R)CH(OH)C(O)-Aze-Pab(OMe)
NZ549176A (en)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NZ549273A (en) Immediate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