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750A - 충격 표시기 - Google Patents

충격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750A
KR20050009750A KR10-2004-7020349A KR20047020349A KR20050009750A KR 20050009750 A KR20050009750 A KR 20050009750A KR 20047020349 A KR20047020349 A KR 20047020349A KR 20050009750 A KR20050009750 A KR 20050009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impact
base
situ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처로버트씨.
봄마리토쥐.마르코
크론리차드엘.
맥컷체온제프리더블유.
앤더슨케빈더블유.
버크홀츠러셀디.
조우지밍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09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7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3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by using non-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3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by using non-electrical means
    • G01P15/03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by using non-electrical mean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movable inertial mass
    • G01P15/036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by using non-electrical mean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movable inertial mass for indicating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4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for indicating maximum value
    • G01P15/06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for indicating maximum value using members subjected to a permanent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충격 표시기는 (A)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구비한 기부와, (B)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되고,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며, (ⅰ)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형상으로 배열되고 (ⅱ)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기와, (C) 표면에 충격 표시기를 부착하기 위해 기부의 제2 측면과 연관된 수단을 포함한다.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충격 표시기{SHOCK INDICATOR}
충격 표시기는 광범위한 상이한 산업 분야의 다른 장치에 응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충격 표시기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같은 장치와 같은 연관된 장치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현저한 진동 또는 기계적 충격을 검출하는데 유용하다. 셀룰러 폰, 개인용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배터리 충전기, 소형 가전 제품 및 디지털 카메라(예를 들면, 비디오 및 스틸 카메라)는 충격 표시기와 연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예이다. 충격 표시기는 적절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 상에, 즉 배터리 격실 등의 장치의 외부면 또는 장치 내부의 인접한 전자 부품과 같은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상당한 높이에서 딱딱한 표면 상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혹독한 충격을 경험한다면, 충격 표시기는 그 후 충격의 발생을 표시하도록 기동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장치의 수리 및 교환을 맡고 있는 제조 및/또는 서비스 부서에 유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진동 또는 충격 이력은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비 및 부품의 최근 개발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기술 혁명을 제공해 왔다. 중합 필름 등으로 제조된 이전의 모노크롬 디스플레이(monochrome display)는 잘못 처리되거나 또는 달리 극단적인 취급 조건(예를 들면, 떨어뜨림 또는 다른 충격 유도 상황)을 받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관대하게 취급되어 왔다. 컬러 디스플레이의 최근 개발도 아직 일정 수준의 내구성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많은 컬러 시스템은 떨어지거나 또는 충격력을 받게 될 경우 손상될 수 있는 유리 패널을 아직까지 필요로 한다.
따라서, 셀룰러 폰, 개인용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같은 장치에 부착 또는 달리 연관되는 충격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된 장치가 심각한 충격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 힘의 방향에 상관없이 표시기의 기동을 허용하는 구조로 된 충격 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은 2002년 6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0/388,68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충격 표시 장치와, 충격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와, 충격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양호한 실시예의 특징부가 도면 부호로 표시되고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구성을 표시하는 다양한 도면이 참조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표시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충격 표시기의 측단면도이고,
도3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의 도1의 충격 표시기의 평면도이고,
도4는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의 도1의 충격 표시기의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의 기부로서 유용한 재료의 측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설명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표시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의 확대도이고,
도8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의 도7의 충격 표시기의 측단면도이고,
도9는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의 도7의 충격 표시기의 측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표시기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구비한 기부와,
(B)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되고,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며, (ⅰ)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형상으로 배열되고 (ⅱ)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기와,
(C) 표면에 충격 표시기를 부착하기 위해 기부의 제2 측면과 연관된 수단을포함하는 충격 표시기를 제공한다.
표시기의 서브파트는 토너 분말 입자, 활석, 소맥분, 안료, 점토, 세라믹, 알루미늄, 금속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파트는 표면 변형될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서, 표시기의 서브파트는 제1 크기를 포함하고, 표시기는 예를 들어 유리 비드와 같은 제1 서브파트 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제2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 충격 표시기는 또한 기부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표시기를 수납하며, 투명해서 표시기가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인지 여부의 시각적 판정을 용이하게 하는 격납 부재를 더 포함할 것이다. 표기기와 기부의 제1 측면에는 사이의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제공하도록 다른 컬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서, 충격 표시기는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된 구별 성분을 더 포함하고, 구별 성분은 구별 성분과 표시기 사이의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필름 재료를 포함한다. 구별 성분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과, 제1 측면에서 제2 측면으로 구별 성분을 통해 연장되는 환형부를 포함하고, 표시기는 환형부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구별 성분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조직 표면을 포함한다. 조직 표면은 미세조직 표면일 수도 있고, 미세조직 표면은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채널을 한정하며, 채널은 표시기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미세조직 표면은 통상 대칭 형태 및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를 갖는 정밀한 구조물의 정규 어레이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충격 표시기는 격납 부재 내부에 있고,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와 격돌하여 표시기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돕도록 위치 설정되는 충돌 물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충돌 물체는 유리 비드, 플라스틱 비드, 세라믹 비드, 볼 베어링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일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표시기는 건조한 재료를 포함하고, 충격 표시기는 습기에 대한 노출을 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표시기는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서 집적된 분말과,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의 분산된 분말을 포함하고, 표시기 서브 파트는 분말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충격 표시기는 고체(예를 들면 분말)와 액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고체는 박리형 유기화 점토 충전재, 실리카 입자, 유리 입자, 무기 안료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23℃에서 액체는 약 10 ×10-3N/m 내지 약 80 ×10-3N/m 범위 내의 표면 장력과, 약 0.5 내지 약 2 grams/cm3의 밀도와, 약 1 ×10-3내지 약 1 ×106Pa-s의 제로 속도 전단 점성을 갖는다. 몇몇 적절한 유체는 실리콘 유체 및 오일, 포화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 검, 미네랄 오일, 글리세롤, 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액체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충격 표시기는 기부와 표시기 사이에 기부의 제1 측면 상에 위치 설정된 전달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전달층은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전달층은 적어도 약 1.0 psi(6.9 ×103Pascals)의 저장 계수와, 충격 표시기가 사용되는 주파수와 온도에서 적어도 약 0.01의 손실 인자를 갖는 점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셀룰러 폰, 개인용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장치와 연관된 상술된 충격 표시기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제1 표면과, 부착 수단과 연관된 기부의 제2 표면을 포함하는 기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B) 기부의 제1 표면과 연관하여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브파트는 (ⅰ)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형상으로 그리고 (ⅱ)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하여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하여 복수의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각각의 표시기는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며, 서브 파트는 (ⅰ)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형상으로 그리고 (ⅱ)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기부의 제1 표면과 연관하여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제1 표면에 표시기를 스크린 인쇄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제공하고, 기부의 제1 측면 위에 그리고 표시기 위에 격납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격납 부재는 투명해서 표시기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시각적 판정을 용이하게 해준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제공하고,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된 구별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별 성분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과, 구별 성분을 통해 제1 측면에서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환형부를 포함하고,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 중 하나는 조직 표면을 포함하며, 기부의 제1 표면과 연관하여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환형부 내부에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조직 표면은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된 미세조직 표면을 포함하고, 미세조직 표면은 대칭 형태 및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를 갖는 정밀한 구조물의 정규 어레이를 포함하고, 정밀한 구조물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채널을 한정하며, 채널은 표시기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채널 내부로의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방법은 부착용 수단은 접착제 또는 기계식 체결구에 의한 것과 같이 표시기를 다른 표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고, 여기서 부착용 수단은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제공하고, 기부와 표시기 사이에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하여 전달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달층은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제공하고, 충격 표시기와 전자 장치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자 장치는 셀룰러 폰, 개인용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도면 및 후속의 청구의 범위와 연관하여 취해진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는 개시 내용의 나머지 부분을 더 고려할 때 당업자라면 보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시 관성력 및 진동력을 받을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충격 감지 기계, 전자 부품, 전자 장비 또는 다른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충격 표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는 연관된 장치 등이 기계적 충격 상황을 받게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패시브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는 초기에는 비 기동 조건에 제공되고, 현저한 거리로부터 플로어 또는 다른 딱딱한 표면 상으로 떨어진 연관된 장치의 감속에 의해 야기되는 충분한 힘 또는 충격의 인가시 기동 조건으로 전이된다.
다양한 기술 구성 및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예상될 수 있고, 이는 이하 설명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표시기(10)를 도시한다. 충격 표시기(10)는 본 명세서에 언급된 다른 장치의 표면(30)(도1 참조)에 부착될 수도 있다. 충격 표시기(10)는 제1 측면(22) 및 제2 측면(24)을 갖는 기부 부재(12)를 포함한다. 기부 부재(12)의 제1 및 제2 측면(22, 24)은 각각 기부 부재(12)의 제1 및 제2 주표면을 포함한다. 표시기(14)는 기부(12)의 제1 측면(22)과 연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기(14)는 구형으로 집적된 분말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부재(14)는 표시기(14)에 시각적으로 판별가능한 외관을 제공하도록 착색된 분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필요시, 표시기(14)의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컬러가 제공되고, 표시기(14)의 다른 부분에는 다른 컬러 또는 컬러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표시기(14)는 집적되는 경우 충격 상황의 발생 이전의 제1 또는 비기동 형상을 표시하는 집적된 분말이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돔형 격납 부재(18)는 기부 부재(12)의 제1 측면 위에 제공되어 표시기(14)를 수납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돔형 격납 부재(18)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기(14)의 시각적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상 투명하다. 격납 부재(18)는 취급, 우연한 범핑 등으로 인해 표시기(14)의 집적된 분말 재료가 조급하게 분산 또는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납 부재(18)는 충격 표시기(10)가 격납 부재(18)와 등가의 구조물 또는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장치 내부에 합체되는 경우, 또는 표시기(14)가 연관된 장치의 보통 그리고 예상된 사용시 도포 또는 기동에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로 결합되는 경우 선태사양 부품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격납 부재는 특정 용도의 공간상 제약으로 인해 요구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원하는 임의의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부착 수단(16)은 또한 기부 부재(12)의 제2 측면(24)이 제공되고 이와 연관된다. 충격 표시기(10)의 설명된 실시예에서, 부착 수단(16)은 압력 감지 접착제이다. 표면에 대한 본 발명의 장치의 부착을 위한 다른 수단은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예상된다.
부착 수단(16)에 대한 설계 및 재료 선택은 표시기(14)와 충격 표시 장치(10)의 연관 부품에 실제로 가해지는 힘의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표시기(14)는 표시기(14)의 서브파트를 분산시키게 만드는 힘의 수준에 반응할 것이다. 충격 상황은 표시기에 그리고 부착 수단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 압축 응력, 신장 응력, 박피 응력, 인장 응력을 초래할 수 있다. 표시기(14)를 관통하거나, 내부로 또는 그 위로 부과되는 충격 응력은 표시기(14) 및/또는 부착 수단의 구조 강도를 초과하게 되어, 집적된 표시기(14)의 구조를 붕괴, 파괴, 파손, 해체, 파열, 분해, 분산 또는 변화시켜서 심각한 충격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한다. 도2의 실시예에서, 이형 라이너 또는 라이너 재료(26)는 충격 표시기(10)가 표면에 도포되기 이전에 부착 수단(16)의 접착 표면을 보호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2의 실시예에서, 이형 라이너 또는 라이너 재료(26)는 충격 표시기(10)가 표면에 도포되기 이전에 부착 수단(16)의 접착 표면을 보호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부가의 구별 성분(20)이 기부 부재(12)의 제1 표면(22)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제공될 수도 있다. 구별 성분(20)은 기부 부재(12)의 제1 측면(22) 위에 놓이는 필름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 구별 성분(20)이 있는 경우 구별 성분(20)과 표시기(14) 사이의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도록 적절한 표면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기(14)의 기동의 시각적 판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표시기(14)와 구별 성분(20) 사이의 콘트라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표시기(14)의 기동이 보다 쉽게 관찰될 수 있다. 다르게는, 표시기(14)용으로 선택된 컬러와 연관하여 동일한 콘트라스트 효과를 제공하도록 기부(12)가 착색된 필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충격 표시기(10)는 전하의 인가시 회로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전도층(122) 형태의 부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도층(122)은 구별 성분(20)의 최내측부 내부에 위치 설정된 분말 입자에 정전 전하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도성 금속 또는 다른 재료로 구성된다. 전도층(122)의 존재는 개별 분말 입자를 점착 매스로 합체하여, 충격 상황 발생 이전의 제1 형상 또는 제1 상태로 구형으로 집적된 표시기(14)를 형성하도록 충분한 전하를 제공함으로써, 충격 표시기(10)의 제조시 분말형 표시기(14)가 집적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4를 참조하면, 충격 상황으로 인한 기동 이후의 충격 표시기(10)가 설명된다. 따라서, 표시기(14)의 서브파트(예를 들면, 분말 입자)는 기부 부재(12)의 제1 측면 상의 구별 성분(120)을 가로질러 분산된 제2 형상에 있어서, 전도층(122) 대부분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킨다. 충격 표시기(10)의 전도층(122)은 충격 상황 이전의 충격 표시기에 대한 제1 상태를 표시하도록 분말형 표시기(14)가 적합한 위치에 집적되는 일 방식을 제공한다. 당업자라면 다른 수단도 집적된 분말 표시기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그 몇몇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도층(122)의 사용에 의한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바인더 조성 및/또는 희석 용액이 표시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말과 함께 혼합될 수도 있다. 희석 용액은 임의의 다양한 유기 용액, 특히 분말을 젖게 만들어서 포획된 공기를 변위시킬 수 있는 용액일 수 있다. 대부분,이러한 희석 용액 또는 바인더는 충격 표시기 내부에 제1 형상으로 표시기를 위치 설정시키기에 충분한 장기간 동안 분말을 보유하도록 선택될 것이다. 그 후, 희석 용액은 증발되고, 사용된 바인더는 분말형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형상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강도가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충격 표시기의 제조에 중요한 개시 재료는 도5에 도시된 웨브(210)를 포함한다. 웨브(210)는 다층 필름 또는 복수의 다른 필름과, 서로 연관된 접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필름 층이 있다면 표시기 및 격납 부재를 지지하는데 요구되거나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접착제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이 웨브(210)의 층을 다른 서로 접착시킬 뿐만 아니라 충격 표시기를 다른 장치에 부착시키기기 위한 부착 수단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웨브(210)의 설명된 실시예에서, 구별 성분 층(220)은 실리콘 이형 코팅(222) 위에 놓인다. 최종 충격 표시기의 표시기로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제공하는데 바람직한 구별 층(220)이 존재하는 경우, 착색될 수도 있다. 이형 코팅(222)은 웨브(210)가 복수의 충격 표시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과도한 배경 필름(22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충격 표시기의 제조시 편리를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과도한 배경 필름(220)이 이하 설명되는 방식으로 "위드(weed)"로서 제거될 수도 있다.
중합 배킹(backing; 224)은 중합체 필름 배킹(224)의 주표면을 따라 배치된 접착층(226)에 의해 이형 코팅(222)과 연관된 필름으로서 제공된다. 중합체 필름 배킹(224)의 대향 측면을 따라서, 다른 접착층(228)이 최종 충격 표시기를 다른 장치 등의 표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을 제공한다. 이형 라이너(230)가 접착층(228)의 표면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호하도록 접착층(228)의 표면 위에 놓일 수도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의 제조를 위한 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상술된 웨브(210)는 이송 라인(300)을 따라 이송된다. 제1 회전 다이(302)는 이송 라인(300)을 따라 위치 설정된다. 다이(302)는 웨브(210)의 복수의 원형 기부 부재를 절단하도록 형상화된다. 충격 표시기의 형상은 비록 본 명세서에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원형, 정방형, 장방형, 타원형, 육각형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회전 다이(302)에 의한 절단 후에, 웨브(210)는 전환 라인을 따라 롤러(304)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층(220)의 불필요한 부분은 롤(308)을 권취하도록 배향된 "위드(weed)"(306)로서 제거되고, 웨브(210)는 본 발명의 제품의 구별 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할 원형의 배경 필름(220)의 상부층을 포함하도록 남겨둔다.
이 실시예에서, 회전 스크린 인쇄 롤(310)은, 웨브(210) 상의 원형부 상으로 분말형 표시기를 스크린 인쇄하도록 웨브 이송 라인(300)을 따라 위치 설정된다. 표시기 재료의 증착을 위한 회전 스크린 인쇄 공정의 사용은 전형적으로 적절한 양의 바인더 재료 및/또는 희석 용액과 혼합된 적합한 표시기 재료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재료는 많은 용용예에서 바인더로서 통상 고려되지 않는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적합한 바인더는 미네랄 오일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증발 없이 표시 재료의 집적을 돕는 다른 용매 또는 다른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유기(예를 들면, 하이드로카본) 용액이 이어서 기부 부재 상에증착, 인쇄 또는 배치될 수 있는 슬러리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바인더에 첨가될 수도 있다. 희석 용액은 또한 표시 재료를 위한 용매 없이 바인더를 위한 활성 용매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희석 용액은 서로에 대해 분말 재료를 초기에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기부 부재 또는 웨브(210) 상으로의 슬러리의 증착 후에, 용액은 증발되고, 바인더는 분말과 연관된 상태로 남아서 충격 상황에 의해 방해될 때까지, 점착 매스로 집적된 분말을 계속해서 보유한다. 또한, 상기 희석 용액은 바인더 없이 사용될 수도 있어서, 용액의 증발 후에, 정전기적 흡인력 또는 반데르 발스 힘에 의해 분말형 집적물이 점착 매스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의 다른 특징 뿐만 아니라 표시기의 다른 실시예가 또한 예상되고, 분말 입자와 액체를 합체한 표시기를 포함하는 것들과, 분말 입자 또는 예를 들어 분말 입자와 함께 사용되는 (분말 입자와는 다른) 고체 재료와는 다른 고체 재료를 합체한 것들 중 적어도 몇몇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본 발명은 충격 상황에 반응하여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전이할 수 있는 구성과는 다른 임의의 특정 표시기 조성 또는 구성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 표시 장치의 구성은 소정의 한계치 또는 최소 크기의 충격 상황에 대한 감지부를 갖는 장치를 제공하도록 맞춰진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격납 부재는 상기 배킹편 및 표시기 재료 위에 배치될 것이다. 격납 재료(312)는 통상 중합체 재료이다. 격납 재료로 적절한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아크릴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같이 진공 성형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한다. 격납 재료(312)는 공급롤러(314)로부터 진공 성형 롤러(316)로 공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격납 부재는 돔형으로 또는 소정의 다른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된 공정에서, 격납 구조물의 형상은 성형 롤러(316) 상에 형성된 후, 상술된 기부 부재 및 회전 스크린 인쇄 표시기 재료 위에 인가된다. 격납 재료(312)는 배킹 재료 위에 인가되고, 웨브 재료(210)의 층으로서 제공된 접착층(226)(도5)에 부착된다. 제2 회전 다이(318)가 격납 재료(312)와, 웨브(210)의 잔류 층를 관통하여 다이 절단하도록 제공되어, 이에 의해 개별 충격 표시기가 성형되고, 공동 배킹 상에 지지된다. 배킹은 웨브(210)의 추가의 절단 또는 슬리팅이 발생할 때까지, 시트 상에 모든 충격 표시기를 보유하도록 라이너(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격납 재료(312)로부터의 "위드"는 이어서 권취 롤(328) 상에 권취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권취 롤(328)은 권취 롤러로 위드를 안내하도록 안내 롤(322, 324)로 이송기로부터 위드를 픽업한다. 슬리터(326)는 이어서 종방향 방식으로 정렬된 복수의 충격 표시기 버튼을 구비한 긴 스트립으로 웨브를 슬릿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길이방향 슬릿은 이어서 편리한 분배를 원하거나 매거진 카트리지와 끼워맞춰진 분배기와 같은 자동화된 분배를 위해서 더 절단 또는 패키징될 수도 있다.
재료와 관련하여, 기부(12)(도1 및 도2)는 중합체 필름 재료, 직포 및 부직포 재료, 종이, 스펀 결합식 재료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수도 있다. 표시기 재료는 복수의 고체 표시기 서브파트를 더 포함하는 통상 고체 재료로 구성된다. 통상, 표시기 재료는 집적된 매스를 형성할 수 있는 분말 재료이다. 표시기로 적절한 재료는 종래의 토너 분말, 활석, 소맥분, 안료, 점토, 세라믹 분말(보론 니트라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알루미늄 등), 구형 알루미늄, 분말형 금속, 다른 미세 접지 재료 등을 포함한다. 분말 입자는 그 집적 능력을 변형하고 및/또는 혼합, 화합 및/또는 위치로의 운반을 향상시키도록, 다양한 화학 처리 또는 코팅으로 표면 변형될 수 있다. 입자 분말은 형상 종횡비를 갖는 판형, 구형, 폴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분말 또는 미립 성분은 중공형, 다공성, 고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들 특징들의 조합은 선택에 따른 큰 입자, 중합체 또는 수지 메트릭스와, 입자의 고유 블렌딩을 허용한다. 집적물은 또한 큰 "시드" 본체와, 유리 기포 또는 미세 기포와 같은 비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급침강 메트릭스 설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시드 본체가 사용되는 경우, 작은 분말 입자는, 큰 시드 본체 주위에 작은 입자의 집적을 형성하도록, 큰 시드 입자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에 연관된다.
다른 재료가 개별 실시예의 논의에서 본 명세서에 또한 언급되지만, 본 발명을 표시기에 대한 임의의 특정 섹션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부착 수단과 관련하여, 임의의 다양한 재료가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를 다른 기기 또는 장치의 표면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접착제 뿐만 아니라, 후프 및 루브 부품과 같은 재투입가능한 체결구와, 스냅, 후크, 클립, 클램프 및 리벳과 같은 기계적 체결구가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를 예를 들어 셀룰러 폰,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부착 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접착제는 압력 감지 접착제, 열 결합형 접착제(예를 들면, 고온 멜트), 자외선 활성 접착제, 실온 경화 접착제, 냉동 밀봉 접착제, 자체 용해(selffusing) 접착제, 에폭시, 열가소성 플라스틱, 열경화성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접착제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통상, 압력 감지 접착제는 장치에 충격 표시기를 접착식으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된다.
특정 부착 수단의 선택에 있어 충격 상황에 대한 충격 표시기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고려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부착 수단은 표시기가 충격 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반응할 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 수단에는 충격 표시기에 대한 감쇠 또는 분리부가 제공될 수 있다. 부착 수단의 기하학적 형상(예를 들어, 고체 재료인지, 구멍 또는 다른 절결부를 갖는지 여부와 그 두께, 폭 및/또는 길이), 그 형상, 사용된 재료, 계수 등은 강성률, 연성률, 스프링 상수와 같은 부착 수단의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최종 댐핑은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에 어떻게 반응할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중 코팅형 발포체와 같은) 연성의 낮은 계수를 갖는 부착 수단은 (높은 계수와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 에폭시 접착제와 같은) 강성의 높은 계수를 갖는 부착 수단과 비교할 때 동일한 충격 상황에 표시기가 어떻게 반응할지를 변화시킬 것이다. 압력 감지 접착제(PSA)는 중합체의 Tg와 사용된 용도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소정의 댐핑 및 분리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압력 감지 접착제(또는 다른 부착 수단)는 동일한 충격력의 전달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압력 감지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1) 강하고 영구적인 택(tack)과, (2) 손가락 압력의 인가시 기판에 대한 접착성과, (3) 기판 또는 부착부 상으로 유지하는 능력과, (4) 재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착부로부터 실질적으로 깨끗이 제거되는데 충분한 점착 강도를 갖는다. 첨가제가 이들 성질을 부여하고 및/또는 이를 향상시키도록 압력 감지 접착제에 첨가될 수도 있다. 적절한 압력 감지 접착제는 통상 상기 성질들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에 사용되는 실제 부착 수단은 단일 압력 감지 접착제 또는 접착제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절한 압력 감지 접착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메스)아크릴레이트, 폴리올레핀 및 실리콘에 기초한 것들을 포함한다. 태키파이어(tackifier)는 향상된 택을 위해 접착제에 첨가될 수도 있다. 적절한 태키파이어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수지, 알리파틱 하이드로카본 수지 및 테르펜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일, 가소제, 항산화제, UV 안정제, 수소화 부틸 고무, 안료, 경화제 및 이들의 조합물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압력 감지 접착제에 또한 발견될 수도 있다.
유용한 압력 감지 접착제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노일 아크릴레이트, 2-메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고 같은 적어도 하나의 알킬(메스)아크릴레이트 에테르 모노머와, (메스)아크릴 산, 비닐 아세테이트, N-비닐 사이롤리돈, (메스)아크릴아미드, 비닐 에스테르, 퓨머레이트, 스티렌 마크로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 성분으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폴리(메스)아크릴레이트에 기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적절한 폴리(메스)아크릴레이트는 약 0 내지 약 30질량%의 아크릴산과 약 100 내지 약 70질량%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통상, 적절한폴리(메스)아크릴레이트는 약 2 내지 약 10질량%의 아크릴 산과, 약 90과 98 질량% 사이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도된다.
도7,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표시기(410)가 도시되어 있고,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충격 표시기(410)는 제1 측면(422) 및 제2 측면(424)을 갖는 기부 부재(412)를 포함한다. 기부 부재(412)의 제1 및 제2 측면(422, 424)은 각각 기부 부재(412)의 제1 및 제2 주표면을 포함한다. 표시기(414)는 기부(412)의 제1 측면(422)와 연결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기(414)는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설명된 고체 재료에 덧붙여 액체를 포함한다. 표시기(414)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과 같은 액상 재료 내에 분산된 박리된 유기화(organophilic) 점토 충전재 등의 부유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표시기(414)를 위한 재료의 하나의 적절한 조합은 약 16 질량% 만큼 미네랄 오일에 분산된 박리된 유기화 점토이다. 다른 재료는 이하 설명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표시기(414)는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형상으로 있다. 돔형 격납 부재(418)는 표시기(414)와, 기부 부재(412)의 제1 측면(422)을 덮는다. 구별 성분(420)이 기부 부재(412)의 제1 표면(422)의 적어도 일부 위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구별 성분(420)은 재료를 관찰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표면(422)을 따라 주행하면서 표시기(414)로부터 해제된 액체에 의해 야기된 컬러의 변화를 용이하게 목격하도록 만드는 광학 특성을 갖는 재료 또는 시팅을 포함한다. 이 적용예에 적절한 재료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구별 성분(420)은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형상에 있는 경우 표시기(414)가 안착하는 환형부(430) 내부의 표시기(414)를 둘러싸도록 환형 형태로 통상 절단(예를 들면, 다이 절단)된다. 구별 성분(420)에는 조직 표면(420a) 및 비조직 표면(420b) 양자 모두가 제공된다. 비조직 표면(420b)은 돔형 격납 부재(418)에 적층되거나, 접착식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달리 연관될 수도 있다. 성분(420)의 조직 표면(420a)은 텍스쳐되고, 통상 미세조직 표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미세조직 표면은, 표면(420a)이 기부 부재(412)에 적층되는 경우, 소정의 채널 패턴을 갖는 복수의 채널(421)을 한정한다. 채널의 최대 깊이 및 폭은 통상 약 1,000 미크론 보다 작다. 채널은 상호 연결되거나 또는 안될 수도 있다. 채널은 선택하기에 따라 표면(420a) 상에 일련의 돌출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표면(420a)에 대한 설명이 채널은 구비하고 있지만 소정의 패턴이 아닌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는 웨브, 직물, 다공성 재료, 다공성 종이, 다공성 막 등을 배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통상, 본 발명의 기판의 채널 부분은 규칙적이고, 질서정연하고, 무작위적이지 않으며, 채널은 어레이로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채널은 인접한 채널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채널 표면을 가로질러 폭방향으로 또는 채널 표면 아래로 길이방향으로, 다른 채널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갖기를 원할 수도 있다.
광학 구별 성분(420)을 포함하는 기판은 가요성이 있어서, 원하는 표면에 보다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준 경질 및 경질 기판이 또한유용할 수 있다. 구별 성분(420)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는 역반사하거나 또는 아일 수도 있다. 유용한 비 역반사 기판의 예는 미세조직 표면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역반사 미세조직 표면의 예는, 비 역반사 기판의 전체 내부 반사를 유체가 억제하는 전방에 높은 가시성의 유체 유동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제품에 많은 잇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별 성분(예를 들면, 구별 성분(20), 도1 및 도2)에는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의 특정 용도를 위해 필요할 수도 있는 이중 텍스쳐형 표면 또는 이중 평활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미세채널을 관통하는 유체의 유동은 일반적으로 통상 모세관 현상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수동적이다. 중력에 의한 효과가 적어도 조금은 유체의 유동에 영향을 또한 미칠 수 있다. 구별 성분의 미세조직 표면은 예를 들면 장방형, 정방형, 사다리형, 링형, 삼각형 등과 같이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마킹(도시되지 않음)이 충격 상황의 크기를 표시하도록 충격 표시기(4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마킹은 예를 들어 교정된 간격으로 격납 부재(418)의 표면(419)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킹은 미세조직 표면(420a)의 구성과 그에 의해 생성된 채널에 따라 균등하게 이격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통상 채널 개구는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위치되고, 전체 기판 표면을 통해 기판의 다른 단부 또는 모서리(통상 대향 단부 또는 모서리)로 연장된다. 채널(421)은 유체 유동을 촉진시키도록 상호연결될 수도 있다.
채널(421)은 기부 부재(42)의 상대적으로 평탄한 표면에 적층된 텍스쳐형 표면(420a)을 사용하여 제공되더라도, 원하는 유체 유동을 수용할 채널을 제공하도록 두 개의 미세조직 표면을 함께 접합시킴으로써, 기판에 대해 내부인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최종 기판은 함께 접합된 패턴에 따라서는 역반사성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다. 이들 시트는 접착제, 고온 용융 본딩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함께 보유될 수 있다. 기판 형태와 채널 설계에 따라서는, 기판의 모서리 및 측면을 밀봉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미세조직 기판의 채널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통상, 기판 내부의 채널은 유사한 형태이다. 유용한 채널 단면 형태의 예는 v 형태 채널, u 형태 채널, 반원 형태 채널, 장방 u 형태 채널을 포함하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위에서 보았을 때 채널은 선형 또는 비선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직선형, 곡선형, 트위스트형, 갈고리형 및 비틀림형일 수도 있다. 채널은 선택함에 따라서는 일련의 기하학적 형상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여기서 돌출부 사이의 경로는 채널이 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이후 논의되는 역반사성 큐브 코너에 대한 경우가 될 것이다. 양호하게는, 기판의 재료는 평평하다.
채널의 깊이는 보통 약 5 내지 약 1,000 미크론 미만,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500 미크론, 보다 통상적으로는 약 25 내지 약 200 미크론, 종종 약 25 내지 100 미크론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채널의 폭은 보통 약 5 내지 약 1,000 미크론 미만,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500 미크론, 보다 통상적으로는 약 25 내지 약 200 미크론의 범위 내에 있다. 채널의 간격은 채널이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1,000 미크론 미만, 통상적으로는 약 10 내지 약 500 미크론, 종종 약 25 내지 100 미크론의 내에 있도록 되어 있다. 기판 상의 형태, 길이 및 개수는 유체가 기판을 관통하여 주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길이와 같은 인자의 개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고, 특정 유체는 기판과 함께 사용된다. 미세조직 표면은 본 발명의 제품에 사용되는 유체에 대한 노출시 그 기하학적 형상 및 표면 특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하나의 적절한 재료는 "DG307"을 명칭으로 3M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역반사성 다이아몬드 그래이드 시팅이다.
유용한 비 역반사성 기판의 예는 미국 특허 제5,728,446호(존스톤)와, 미국 특허 제5,514,120호(존스톤)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기판은 액체의 원하는 신속하고 균일한 이방성 또는 방향 의존 분포를 용이하게 하는 액체 메니지먼트 필름과 이들 필름을 사용하는 흡착제 제품을 준비한다. 이들 액체 메니지먼트 필름은 액체의 일정 방향으로의 분사를 촉진시키도록 복수의 일차 그루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미세조직 표면을 갖는다. 이들 일차 그루브는 미국 특허 제5,728,446호에서와 같은 이차 그루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비 역반사성 미세조직 기판의 미세조직 유동 채널은, 몇몇 실시예에서는, 그 길이부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선형이다. 채널은 주조, 프로파일 압출성형, 엠보싱, 양호하게는 주조 또는 엠보싱에 의해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로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비 역반사성 미세조직 기판은 양호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메틸,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등을 포함하는, 주조, 프로파일 압출성형, 또는 엠보싱에 적절한 임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및/또는 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작은 비율의 다른 모노머를 갖는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의 공중합체가 종종 사용된다. 폴리올레핀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고, 상대적으로 공정이 쉬우며, 유사한 성질을 갖는 다른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 보다 비용이 낮다. 또한, 폴리올레핀은 주조 또는 엠보싱 롤의 표면을 쉽게 뒤집을 수 있고, 또한 쉽게 압출 성형된다. 이들은 질기고, 내구성이 있고, 그 형태를 잘 유지하여, 주조 또는 엠보싱 공정 후에 이러한 필름을 쉽게 다룰 수 있게 만든다. 다르게는, 미세조직 기판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시와 같은 경화성 수지 재료로 주조되고, 열, 자외선(UV), 또는 E 비임 방사선에 대한 노출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역반사성 및/또는 다른 광학 특성을 갖는 미세조직 기판이 상술된 절차에 의해 또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용한 미세조직 기판의 다른 부류는 역반사성 기판이다. 역반사성 재료는 재료에 입사하는 광을 그 발원 소스를 향해 다시 재안내하는 특성을 갖는다. 역반사성 시팅이 굽어지거나 표면에 부합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는, 시팅이 선택되어, 역반사성 성능을 희생시키지 않고 굽힘을 허용한다.
두 개의 공동 형태의 역반사성 시팅, 즉 미세구계 시팅과, 큐브 코너 시팅이 있다. 때로는 "비드형" 시팅이라고 불리는 미세구계 시팅은 알려져 있고, 입사 광을 역반사하도록 연관된 반사 또는 확산 재료(예를 들면, 안료, 입자, 금속 플레이크 또는 증기 코트 등)를 갖고 통상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바인더 층에 개재된 복수의 미세구를 채용한다. 이러한 역반사체의 예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3,190,178(메킨지), 미국 특허 제4,025,159(멕그래스) 및 미국 특허 제5,066,098호(컬트)에 개시되어 있다. 미세구계 시팅은 규칙적인 소정 채널 패턴을 갖지 않는다.
기본 큐브 코너 역반사성 시팅은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제품의 구별 성분(420)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팅은 빈번히 도로 표지, 안전 외피 등에 사용된다. 시팅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기부 표면과, 기부 표면에 대향하여 복수의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조직 표면을 포함한다. 각각의 큐브 코너 요소는 단일 기준점 또는 정점에서 교차하는 세 개의 상호 실질적으로 수직한 광학 면을 포함한다. 시팅의 평평한 기부 표면으로 입사한 광은 시팅의 기부 표면에서 굴절되고, 시팅을 통해 전달되고, 세 개의 수직한 큐브 코너 광학 면의 각각으로부터 반사되어, 광원을 향해 재안내된다. 광학 축이라고도 불리는 대칭 축은, 큐브 코너 정점을 통해 연장되고, 큐브 코너 요소의 세 개의 광학 표면과 같은 각을 형성한다. 큐브 코너 요소는 통상 광학 축을 따라 무질서하게 요소의 기부 상에 입사하는 광에 반응하여 통상 가장 높은 광학 성능을 나타낸다. 큐브 코너 역반사성 표면에 의해 역반사된 광의 양은 입사 각이 광학 축으로부터 현저하게 이탈하면서 하강한다.
역반사성 시팅의 제조자는 특정 입사각으로 시팅에 입사하는 광에 반응하여, 그 피크 성능을 나타내도록 역반사성 시팅을 설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입각"이라는 용어는 입사각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ASTM 명칭 : E808-93b, 역반사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준 실무를 참조하라. 용도를 표시하기 위한 역반사성 시팅은 통상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각으로(예를 들면, 시팅의 기부 표면에 대략 수직하게) 그 최적 광학 효율을 나타내도록 설계된다. 후프먼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88,258호를 참조하라.
예를 들면, 포장 제조 용도 또는 베리어 제조 용도와 같은 다른 용도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각으로 그 최대 광학 효율을 나타내도록 설계된 역반사성 시트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화이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49,598호('598 특허)는 역반사성 시팅 설계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큐브 코너 요소는 큐브 코너 시팅 기부에 대해 45도로 배치된 두 개의 상호 수직한 장방형 면과, 두 개의 광학적으로 대향하는 큐브 코너 요소를 형성하도록 장방형 면에 수직한 두 개의 평행한 삼각형 면을 포함한다. 넬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95,428호('428 특허) 및 넬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38,563호('563 특허)는 역반사성 시팅을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큐브 코너 요소는 두 개의 거의 수직한 사각형 면과, 큐브 코터를 형성하도록 사각형 면에 거의 수직한 삼각형 면을 포함한다. 큐브 코너 요소는 수직하지 않은 삼각형 면을 더 포함하고, 상술한 모든 큐브 코너 시팅은 본 발명의 제품에 유용할 것이다. 역반사성 큐브 코너 요소 어레이의 제조는 핀 번들링 및 직접 가곡으로 알려진 기술을 포함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제조된 몰드를 사용하여 통상 이루어진다. 핀 번들링을 사용하여 제조된 몰드는 큐브 코너 요소의 특징을 갖는 형태로 된 단부 부분을 각각 갖는 개별 핀을 함께 조립함으로써, 제조된다. 미국 특허 제3,632,695호(호웰) 및 제3,926,402호(히난 등)는 핀 버블링의 예시적인 예를 개시하고 있다. 룰링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직접 가공 기술은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교차하는 그루브의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기판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루브형 기판은 일련의 틀, 즉, 복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마스터 몰드로서 통상 사용된다. 몇몇 예에 있어서는, 마스터 자체가 역반사성 제품으로서 유용할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그러나 시팅 또는 역반사성 제품이 마스터 몰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마스터 몰드의 복제품을 사용하여 중합체 기판에 형성된다.
직접 가공 기술은 소형 미세큐브 어레이를 위한 유용한 마스터 몰드 제조 방법이다. 소형 미세큐브 어레이는 우수한 가요성을 갖는 얇은 역반사성 시팅을 생산하는데 잇점이 있다. 미세큐브 어레이는 연속 제조 공정에 또한 많은 도움이 된다. 큐브 어레이의 많은 어레이를 제조하는 공정은 또한 핀 번들링 또는 다른 기술에 비해 직접 가공 방법을 사용하기가 또한 상대적으로 쉽다. 직적 가공의 예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4,588,258호(후프먼)에 개시되어 있다.
'598 특허, '428 특허 및 '563 특허에 따라 큐브 코너 시팅을 형성하는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마스터 몰드는 상술된 직접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 개시된 큐브 코너 기하학적 형상은 마스터 몰드를 제조하기 위해 두 개의 다른 가공 공구를 필요로 한다. 이는 마스터 몰드 제조 공정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들 특허에 따라 제조된 마스터 몰드는 마스터 몰드의 기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표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직한 표면은 마스터 몰드의 정확한 복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에 해로울 수 있다.
상술된 특허에서 논의된 모든 큐브 코너 시팅은 본 발명의 제품에 유용할 것으로 믿어진다. 큐브 코너와는 다른 돌출부를 갖는 다른 미세조직 역반사성 기판이 또한 본 발명의 제품에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기판은 선택함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광학 성질, 즉 역반사성과, 전체 내부 반사성과, 부분 내부 반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굴절 및/또는 회절을 포함한다. 미세조직 기판 자체는 미세조직 기판 상의 유체의 가시성을 향상시키도록 반사 또는 확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유체가 미세조직 표면을 젖게하기 때문에, 유체와 미세조직 표면의 굴절률 사이의 차이가 감소되어, 투명도의 향상과, 미세조직 기판의 광학 성질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충격 표시기(410)의 표시기(414)는 유체와 함께 박리된 유기화 점토의 부유물 또는 다른 고체 충전재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기기(414)의 형성에 유용한 고체 충전재 재료와 관련하여, 적절한 고체는 텍사스주, 곤잘레스에 소재한 일리노이즈 또는 사우던 프로덕츠, 인크.의 알릴콘 하이즈의 나노코르와 같은 박리된 점토를 제공하는 상업 자원물로부터 선택되고 얻어진다. 다른 유용한 고체 충전재 재료는 소수성 실리카 입자, 퓸형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실리카 입자와; 버블 및 미세버블 유리 입자와; 중공 및 중실 유리 구와; 티탄 및 지르콘을 포함하는 무기 안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체 상의 부유물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키도록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변형되는 고체 충전재 재료가 또한 포함된다.
표시기(414)를 형성하는데 사용시 이용가능한 유체와 관련하여, 적절한 재료는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통상 표시기 재료로서 사용됨으로써 잇점이 있을 수 있는 소정의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유체의 표면 장력은 23℃에서 유체의 표면 장력이 약 10 x 10-3N/m 내지 약 80 x 10-3N/m, 전형적으로 약 10 x 10-3N/m 내지 약 60 x 10-3N/m 및 종종 약 10 x 10-3N/m 내지 약 50 x 10-3N/m까지 범위일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아주 종종, 유체의 표면 장력은 약 10 x 10-3N/m 내지 약 40 x 10-3N/m 범위일 수 있다. 유체의 밀도는 변경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23℃에서 유체의 밀도는 약 0.5 내지 약 2 grams/cm3, 일반적으로 약 0.5 내지 약 1.5 grams/cm3및 종종 약 0.8 내지 1.5 grams/cm3범위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유체의 제로 속도 전단 점성은 23℃에서 약 1 x 10-3내지 약 1 x 106Pa-s, 전형적으로 약 0.1 내지 약 1 x 105Pa-s, 및 종종 약 1 내지 약 10,000Pa-s로 변경될 수 있다.
지시기(414)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유체는 전형적으로 원하지 않은 반응물 또는 다른 잠재적인 손상 및/또는 제품의 다른 부품과의 유용하지 않은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비독성이고 비교적 비반응성 액체이다. 다음의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교적 비독성이고 비반응성 유체의 유용한 예는 폴리디메틸실옥산, 포화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 오일 및 검, 미네랄 오일,글리세롤, 물 및 수성계 유체와 같은 실리콘 유체를 포함한다.
유체는 착색되거나 착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별 성분(420)이 역반사성인 경우 또는 기판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광학 특성을 가지는 경우, 유체는 전형적으로 투명하고 무색이다. 유체가 채널을 충진할 때, 전체 내부 반사가 실패되게 된다. 즉, 불투명하게 나타나는 기판은 채널이 충진되는 영역에 이제 투명하게 나타나고 (“A"에 의해 나타낸) 관찰자가 착색된 커버층을 아래에서 관찰하게 한다. 유체는 전형적으로 미세조직 기판 표면의 약 0.4 굴절률 내 및 특히 전형적으로는 사실상 동일한 굴절률의 굴절률을 갖는다. 그러나, 유체의 정확한 특성은 기판이 투명하게 되게 하려는 적용예에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기판 아래에 임의 컬러 및/또는 그래픽을 시각화함으로써 유체 유동 전면을 증명할 수 있기에 충분하기만 하면 변경될 수 있다.
기판이 역반사가 아닌 경우 또는 기판이 역반사이지만 그것이 투명하게 하려는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유체는 전형적으로 안료 및/또는 (예를 들어, 청색 유기 염료와 같은) 염료를 함유하고 기판은 (예를 들어, 흰색 불투명 기판과 같은) 유체 유동에 콘트라스트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 장치에서 그의 위치 및 구별 성분 및 유체의 선택은 상술된 채널(421)을 통해 이동할 때 시간에 걸쳐 유체의 진행을 관찰자가 가시화하도록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품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관찰자는 유체가 가시각을 변경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가시성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관찰자는 용이하게 제품을 조작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한 가시각을 발견하도록 그/그녀의 가시성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유체는 소정 크기의 충격 상황과 반응해서 미세조직 표면의 채널로 이동하기 위한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는 예를 들어, 점탄성 및 점성 유체 및 그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미세조직 기판의 채널로 유체의 이동을 주로 구동시키는 모세관 작용을 위해, 제품 성분의 표면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의 미세조직 표면 상의 유체의 국부적 접촉각이 의도한 용도의 온도 범위 내에서 약 90도 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약 25도보다 작게되게 한다. 접촉각은 미세조직 표면의 표면 에너지, 유체(예로써, 액체)의 표면 에너지 및 둘 사이의 계면 에너지의 함수이다.
점성 재료는 고전적 점성 유체와 유사하게 한정될 수 있다. 만약 외부 응력이 점성 유체에 가해지면, 그것이 변경하고 응력이 존재하는 한 계속 변형한다. 응력의 제거는 원하는 상태로 유체의 복귀를 가져오지 않는다. 이러한 반응이 점성 유체로 일컬어지고 점성 재료 또는 유체를 한정한다. 점성 유체에서 변형률과 응력 사이에 직접적인 비례가 있는 경우, 유체는 뉴턴 유체이다. 또한 비뉴턴이고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비선형적 차이를 나타내는 점성 유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품에서 응력은 소정 크기의 충격 상황으로부터 발생한다.
탄성 및 점성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재료는 점탄성 재료로 일컬어진다. 탄성 특성은 고전적 탄성 고체를 참조로 설명될 수 있다. 탄성 고체는 변형함으로써 외부 응력과 반응하고, 응력의 제거시 그 원래 형상으로 복귀함으로써 반응한다. 이러한 반응이 탄성으로 일컬어진다. 몇몇 탄성 재료는 응력과 변형 사이에직접적인 비례를 나타내어, 이에 따라 후크 법칙으로 알려진 것을 따른다. 또한, 후크 법칙에 따르지 않고 응력과 변형 사이에 비선형적 관계를 나타내는 탄성 재료가 있다. 점탄성 재료는 종종 점탄성 고체, 즉, 변형동안 약간의 점성 효과를 나타내는 탄성 고체, 또는 점탄성 액체, 즉, 약간의 탄성 효과를 나타내는 점성 액체 중 하나로 분류된다. 점탄성 액체는 응력에 놓이는 경우 무한히 계속 변형하는 점탄성 재료로 간주될 수 있다.
점탄성 재료는 유리 전이 온도(Tg)로 공지된 온도에서 부동성의 유리형 상태에서 점탄성 액체 상태까지 전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또한 결정질 재료가 용해하는 온도(Tm)에서 부분적 결정질 상태로부터 비정질 상태까지의 전이를 나타낼 수 있다. 종종, 이러한 재료는 Tm 이하에서 점탄성 고체로 행동한다. 점탄성 재료의 특성 및 분석은 죤 디.페리의 “중합체의 점탄성 특성(죤 윌리 앤 선즈, 인크. 1980)”에 설명된다. 본 발명이 제품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유체는 보통 본 발명의 제품이 사용하려하는 온도 이하의 Tg 및 Tm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품에서, 점탄성 재료가 사용하기 위해 선택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품이 노출되는 모든 예상되는 온도에서 액체 상태의 점성 유체로 반듯이 행동하도록 작은 점성 효과를 나타내는 점탄성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품으로 표시기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할 수 있는 점탄성 및 점성 재료의 도시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품목은 천연 고무; 부틸 고무; 폴리부타디엔 및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을 구비한 공중합체; 폴리헥산, 폴리옥틴과 같은 폴리(알파-올레핀) 및 이러한 것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크롤로프렌; 폴리디메틸실옥산; 실리콘 오일 및 검; 미네랄 오일; 및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 및 상술된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점탄성 재료는 예를 들어, 압력 감지 접착제로 종래에 제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이소프렌, 아타크틱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부틸렌, 실리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태키파이어제 및/또는 가소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에 유동한 유체를 제조할 때 유용한 단량체는 이에 제한되는 적은 아니지만, 0℃ 보다 낮은 호모폴리머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것들을 포함한다. 유동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킬기의 일부분에서 2 내지 20 탄소 원자, 전형적으로 4 내지 18 탄소 원자, 및 종종 4 내지 12 탄소 원자를 가진 비 제3기 알킬 알콜의 비포화 단일기능성 (메타) 아크릴산 에테르를 포함한다. 유용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n-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덱실 아크릴레이트, 로릴 아크릴레이트, 옥타덱실 아크릴레이트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광학적 강화 코모노머의 예는 약 25℃보다 높은 호모폴리머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모노에틸렌 비포화 단량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공동 중합된다. 유용한 공동 중합성 단량체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스(아크릴)산,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N과 같이 대체된 (메스)아크릴아미드, 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공중합성 단량체가 사용되는 경우,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전형적으로 중량당 약 50 내지 99부분의 양으로 조성물에 존재하고, 공중합성 단량체는 전형적으로 중량당 50부분 내지 1부분까지 상응하는 양으로 존재하고, 여기서 중량당 전체량은 100이다.
탄성체는 태키파이어(tackifier) 및/또는 탄성체계 중량비의 태키파이어의 가소제 또는 전형적으로 약 2:1까지의 탄성체계 중량 비의 가소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태키파이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티네스주 킹스포트의 이스트만 케미컬 컴파니로부터 모두 이용가능한 “레칼레즈”로 공지된 것과 같은 하이드로카본 태키파이어 및 “포랄 85”, “포랄 105” 또는 “아비톨 이” 라는 상표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수소화 로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적절한 가소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텍사스주 휴스톤의 쉘 케미컬 컴파니로부터 이용가능한) “쉘플렉스”라는 상표로 이용가능한 것과 같은 하이드로카본 오일, USP 등급 미네랄 오일,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및 알릴 프탈레이트와 같은 알킬 프탈레이트를 구비한 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품은 유체가 채널을 따라 이동할 때 미세조직 표면의 채널을 충진하기에 충분한 유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의 성분은 미세조직 기판의 채널 구조물로 유체의 원하는 속도의 이동을 제공하도록 보통 선택된다. 충격 표시기에서, 점성 액체와 같은 유체는 예를 들어, 충격 상황의 크기와대략 비례하는 속도로 상술된 채널 구조물을 통해 이동한다. 액체의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표시 장치는 제품이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 상황을 경험한 시각적으로 관찰가능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상황의 예상된 크기에 적절한 특성을 갖는 액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점성 유체는 또한 충격 상황에 의해 발생된 응력이 유체가 채널 구조물로 유동하게 하는 항복 응력을 초과하도록 항복 응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점성 유체는 또한 이 응력이 제거되는 경우(즉, 충격 상황이 지난 경우) 유동하는 것을 정지한다. 항복 응력을 가진 점성 유체가 효율적으로 제공되고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온/오프 행동을 제공한다. 항복 응력을 나타내는 점성 유체를 생성하는 하나의 방식은 현탁액을 생성하는 적절한 점성 액체, 즉, 항복 응력을 나타내는 점성 유체 또는 박리된 유기성 점토 또는 미네랄 오일과 같은 유체를 가진 고체 충진 재료를 따라 상술된 고체 충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른 적절한 고체 충진 재료는 소수성 실리카 입자 및 퓸형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실리카 입자, 버블 및 미세버블 유리 입자, 중공 및 고체 유리 구, 티탄산염 및 지르콘 산염을 포함하는 무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이 현탄액의 유체상과 그 양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변형된 고체 충진 재료가 포함된다.
직물 또는 미세조직 표면(420a)은 안료 또는 다른 착색재를 포함할 수 있는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부 부재(41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로, 카본블랙이 충진된 압력 감지 접착제는 그 직물 부과된 구조물을 부분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직물성 표면(420a)에 도포될 수 있다. 기부 부재(412)에 직물성 표면(420a)의 적응은 적층된 층과 초기에 접촉하지 않지만 둘러싸는 표시기(414) 사이에 연속으로 상호연결된 미세채널(421)을 형성한다. 채널은 장치(410)가 제1 형상(도8 참조)인 경우 공기로 초기에 충진되고, 구별 성분(420)의 특성은 그 합성 적층된 구조물이 재료(420) 아래의 접착색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착색된 접착층을 사용하는 것의 대체예로서, 기부 부재(412)는 착색된 재료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접착제 또는 다른 적층 재료는 투명하다.
장치(410)가 충격 상황의 발생에 이어서 제2 형상(도9 참조)인 경우, 표시기(414)로부터의 액체는 기부 부재(412)와 표면(420a) 사이에 제공되는 미세채널(421)로 다음에 유입되는 구별 성분(420)의 환형 공간(430)으로 방출된다. 액체는 모세관 작용에 이해 미세채널(421)로 당겨지고, 미세채널(421) 내의 액체의 존재는 재료(420)의 광학 특성에서의 변화를 야기하여 이에 따라 관찰자에 의해 용이하게 보여질 수 있는 컬러 변화를 제공한다. 이러한 컬러 변화는 충격 상황이 발생되는 표시로 간주될 수 있다.
격납 부재(418) 및 광학 표시기 재료(420)는 양쪽 기능을 하는 단일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일체형일 수 있다고 이해된다. 당업자는 일체형 상부 필름을 형성하도록 적절한 제조 처리가 연속적 처리를 위해 단일 패스로 다이아몬드 등급 미세조직 및 보호형 돔형 구조를 생성하도록 엠보싱으로 열 또는 진공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고 이해된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표시기 장치(5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10에 도시된다. 도시된 장치(510)에서, 전달층(530)은 충격 상황에 의해 또는 그로부터 전달된 힘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키도록 구비된다. 전달층(530)은 기부층(512) 상에 제공되고 위치된다. 전달층(530)은 댐핑 및/또는 격리 특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뿐 아니라 표시기(514)의 부착을 제공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댐핑 및/또는 격리 효과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부 부재(512), 격납 부재(518), 방출 라이너(526) 및 접착제(516)는 미리 설명된 바와 같다. 층(530)은 장치(510)가 충격 상황이 발생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조건에서 제2 조건까지 전이하는 힘의 크기 및/또는 한계 진동 주파수를 변경하도록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전달층(530)에 대한 적절한 재료는 댐핑 및/또는 격리의 원하는 등급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달층 및/또는 부착 수단에 대한 재료의 선택은 또한 표시기(514)의 자연 주파수를 변경한다. 전달층 및/또는 부착 수단에 대한 재료의 선택은 표시기가 경험하는 수준의 힘을 실행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달층(530)은 표시기(514)가 충격 상황의 발생시 경험하는 충격력의 수준을 변경시킨다.
충격 표시기(514)는 증폭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 높거나 낮은 댐핑 전위를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층(530)에 대한 예시적 재료는 미국 특허 제6,456,455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하고, 이러한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전체적으로 병합된다. 일반적으로 전달층(530)의 진동 댐핑 재료는 점탄성 재료 또는 상이한 점탄성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점탄성 재료는 적어도 약 1.0psi(6.9x103 Pascals) 및 사용 주파수 및 온도에서 적어도 약 0.01의 손실 인자(전형적으로 약 -60 내지 100℃)를 가진 것들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점탄성 재료가 점성이 있고 에너지를 확산시킬 수 있고, 또한 스프링과 유사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임의 탄성 특성을 나타내서 이에 따라 또한 재료의 Tg, 형상 및 적용 등에 기초하여 격리 또는 증폭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이해한다.
당업자는 또한 전달층(540)이 마감된 충격 표시기의 최종 사용에 따라 임의 점탄성 비율을 가지도록 선택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실온에서 높은 Tg는 높은 계수 또는 탄성 부분 및 매우 낮은 점성 부분(약 0.15보다 작은 손실 인자)을 갖는다. 또는 층은 더 낮은 계수로 실온에서 더 높은 손실 인자를 가진 재료일 수 있다. 진동 댐핑 재료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재료는 적어도 약 0.01, 종종 적어도 0.15의 손실 인자, 즉, 저장된 에너지 대 손실된 에너지의 비율을 갖는다. 손실 인자는 에너지를 확산시키는 재료 능력의 기준이고 댐핑 재료에 의해 경험된 주파수 및 온도에 의존한다. 더 전형적으로, 진동 댐핑 재료에 대한 손실 인자는 적어도 약 0.3이고, 보통 적어도 약 0.5이고, 댐핑이 요구되는 주파수 및 온도 범위에서(일반적으로 약 1 내지 10,000Hz와 -60 내지 약 100℃, 전형적으로 약 50 내지 5,000Hz와 약 0 내지 100℃, 종종 약 50 내지 1500Hz와 약 20 내지 80℃의 범위에서) 약 0.7 내지 10에 도달할 수 있다. 상호연결된 아크릴 중합체와 같은 특정 형태의 재료의 예로써, 100Hz의 주파수에서 68°F(20℃)에서 손실 인자는 전형적으로 약 1.0이지만, 158°F(70℃)에서, 손실 인자는 약 0.7이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힘, 질량 및 가속도 사이의 관계, 즉, 힘=질량x가속도를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원리를 이용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들어, 표시기의 질량 또는 그 일부분, 충격 상황의 주파수, 가속도, 댐핑, 손실 인자, 저장 계수, 손실 계수, 격리, 스프링 상수, 강성도, 자연 주파수, 공명 주파수, 형상, 표시기의 구성 및 표시기의 최종 사용을 위한 표면 상의 위치 지점과 같은 특성이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의 설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욱이, 환경적 조건(예로써, 온도 및 습도)은 최종 사용 환경의 범위를 따라 충격 표시기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재료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정 충격 표시기 장치의 설계에 대한 해결책을 선택할 때, 이러한 다양한 개념 및/또는 특성 및 그들이 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유용한 점탄성 댐핑 재료는 특히 탄성 특성에 대해 이방성뿐만 아니라 등방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방성 재료” 또는 “비등방성 재료”는 그 특성이 측정 방향에 의존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용한 특정 점탄성 재료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아크릴 고무, 천연 고무, 플루오린계 탄성체 및 고무, 스티렌-부타티엔 고무, 합성 고무 등을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댐핑 재료는 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실리콘 혼합물, 시안산염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부틸 부티랄, 폴리비닐 부티랄-폴리비닐 이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상호관통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유용한 재료의 특정 예는 또한 미국 특허 제5,183,863호 및 제5,308,887호에서 설명되거나 참조된다. 진동 댐핑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의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세탈 중합체, 폴리아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그 조합물을 포함한다. 유용한 점탄성 재료는 또한 그 강도 및/또는 내온성을 향상시키도록 상호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점탄성 물질은 열경화성 수지로 분류된다. 제조 공정 중에, 열경화성 수지는 경화되거나 및/또는 전형적으로 고체 상태로 상호결합되지만, 경화된 재료가 상술된 점탄성 특성으로 처리되면 경화시 젤 상태일 수 있다. 채용된 특정 열경화성 수지에 따라, 열경화성 수지는 경화제, 예를 들어, 적절한 (열에너지와 같은) 에너지원에 노출되는 경우 경화제가 열경화성 수지의 중합을 시작하는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층의 특성은 채용된 특정 중합체 시스템용으로 사용되는 경화 처리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충격 표시기가 제조 및 운반 중에 성능 표준의 일 세트 및 최종 사용 적용예에 부착되는 경우 성능 표준의 대체 세트를 갖게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성급한 작동으로부터 충격 표시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제조 및 운반 중에 높은 댐핑 및 격리를 갖도록 설계되고 일단 최종 사용 적용예에 적용되면, 그 중합체 시스템은 댐핑 및 격리 특성이 변경되고 그 표시기가 그 후 소정의 한계 수준의 충격 상황의 발생시 작용하도록 더욱 완전히 경화될 수 있다. 상술된 표준에 따른 전달층으로 사용하기 위한 중합체 시스템의 예는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 혼합물 또는 그 층의 수지로 압력 감지 접착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합에서, PSA는 조립 및 운반 중에 댐핑 및 격리를 제공한다. 일단 충격 표시기가 최종 사용 적용예에 적용되면, 그 전달층의 에폭시 시스템은 에폭시에 대한 경화 방법에 노출될 수 있고 Tg는 변경되어 이에 따라 충격 표시기의 댐핑 및 격리 성능을 변경한다.
전달층 및 외부 부착 수단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댐핑 및 격리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되고 설계될 수 있다. 충격 표시기 외피 구조물 및 그 부착 수단 및 그 응집 구조물 및 외피 내측의 부착 수단은 충격 표시기의 응집에 충격력 또는 진동의 진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는 개별 성분 각각에 대해 선택된 재료에서 많은 또는 단지 몇몇 상이한 고유의 재료 특성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충격 표시기가 제1 조건에서 제2 조건으로 전이하게 하는 충격 상황에 대한 한계값 및 표시기가 경험하는 증폭 인자를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성분의 형상, 환경 조건(온도 등) 등은 모두 충격 상황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충격 상황의 발생을 표시하도록 충격 표시기에 개시하는 한계값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 장치의 구성에 사용되는 재료 및 성분은 모두 충격 표시기 장치의 격리-댐핑-증폭-전달 특성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표시기가 특정 충격 상황에 반응하는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전달층에 사용되는 진동 댐핑 재료는 충진제(예로써, 활석 등), 착색제, 터프닝제(toughening agent), 방화제, 산화 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댐핑 재료는 진동 덤핑 재료를 통해 증가된 열 및/또는 전기 전도성 통로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섬유 및/또는 미립자 첨가제를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의 제조는 전달층의 적층 또는 부착을 위한 다른 라인을 기부층에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별 성분에 합체함으로써 상술된 제조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전달층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압력 감지 접착제 또는 전달층을 기부 또는 구별층에 부착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접착제의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재료는 열과 압력 등을 일람표를 만들어서 추가적 접착층의 도포와 같이 서로 이러한 성분을 부착하기 위한 추가적 수단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당업계에서 실행되는 기술 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지 않는다.
적용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는 능동 모드에서 장치에 의해 경험되는 임의 및 모든 충격 상황을 모니터하기에 적절하거나 설계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셀룰러 폰 및 다른 휴대용 전자 장치가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가 구비되기에 특히 적절하다. 특정 실시예는 셀룰라 폰에서 본 발명의 표시기의 존재를 포함한다. 셀룰러 폰 산업에서의 현재 보증기간 관례는 사용자가 장치를 남용한 보증기간 보상을 제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는 전화기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등과 같은 강성 표면 상에 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하여 발생된 충격 상황을 경험했는지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휴대 전화기와 연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적용이 임의의 다양한 전자 부품 및 장치뿐 아니라 다른 휴대용 장치에 존재한다. 상술된 적용의 관점에서, 충격 표시기의 크기는 중요한 특성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휴대용 장치 내에 충격 표시기의 사용은 전형적으로 그 표시기가 비교적 작은 것을 요구한다.
장치와 관련해서 위치되는 경우, 최종 사용 적용예에서 충격 표시기의 위치가 또한 충격 표시기의 분명한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충격 표시기가 부착되는 표면의 강도가 또한 중요하다. 만약 충격 표시기가 강성 구조물의 매우 강한 부분에 위치되면, 그 충격 표시기는 만약 그 표시기가 충격 또는 진동 상황을 만나는 강성 구조물로부터 격리된 구조물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는 것과 상이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활성의 다중 수준이 단일 충격 표시기 내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집적된 표시기의 점착 성질은 소량의 오일 또는 다른 유기 희석 또는 집적 산의 존재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미네랄 오일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표시기의 분말을 집적시킬 때 집적 산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집적된 분말의 집적 산의 수준은 통상 매우 낮고, 2질량% 만큼 적은 미네랄 오일이 사용된다. 미네랄 오일 농도가 증가되면서, 힘의 한계 수준(예를 들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표시기를 전이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최소량) 또한 증가된다. 입자 집적물 내의 미네랄 오일의 최대 수준은 오일과, 입자는 불연속 상이 되는 반면, 액체는 연속 상이 되는 고체 미립자와 오일의 체적비에 의해 제한된다. 단일 표시기에 충격 표시의 다중 수준을 제공할 때, 집적 산의 농도를 변동시키는 단계는 표시기가 제1 형상으로부터 진동 충격 이후의 제2 형상으로 전이하여, 충격 표시기가 제2 또는 활성 상태로 관찰될 수 있는 한계 수준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예상되는 실시예에서, 집적된 분말의 두 개,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착색된 표시기 조성이 진동 또는 관성 충격의 다른 수준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집적된 분말 표시기는 내부에 다른 수준의 미네랄 오일을 갖는 각각의 표시기를 갖는 동일한 분말 재료를 포함하도록 통상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의 제조에 있어서, 분말과 미네랄 오일의 분산은 기부 부재 상의 중심 영역 주위에 불연속 독립 도트에 배치되고, 그 후 보호 돔과 같은 격납 부재로 덮일 수 있다. 유기(예를 들면, 하이드로카본) 희석액이 바인더와 분말을 갖는 슬러리의 침투를 허용하도록 분말과 오일의 혼합물에 첨가될 수도 있다. 희석액은 통상 슬러리가 기부 부재 상에 증착된 후에 증발되고, 그 후 집적된 분말 표시기만 남도록 휘발성으로 선택된다. 기부 부재는 기부 부재의 재료와 분말 사이의 시각적 차이 또는 컬러를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미국 특허 제4,430,366호 및 제5,766,827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블랙 알루미늄 산화물 증발 공정으로 처리되어, 각각의 집적된 표시기 분말의 상태의 신속한 시각적 확인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컬러 콘트라스트로 기부 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블랙 필름을 생산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충격 표시기와 연관된 장치는 이어서 다른 크기의 진동 충격을 받게 될 수도 있다. 가장 낮은 양의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집적된 표시기가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전이될 것이다. 충격 처리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때, 다른 집적된 표시기는 또한 공격적으로 큰 진동 충격 수준으로 분산될 것이다.
몇몇 충격 표시기 내부에 다중 표시기를 포함시키는 것에 덧붙여, 단일 장치와 연관하여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충격 표시기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충격 표시기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이다. 다른 크기의 충격 상황 발생시, 각각의 다른 충격 표시기가 집적 또는 제1 상태로부터 분산 또는 제2 상태로 전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습기 표시기는, 진동 또는 관성 충격에 대한 충격 표시기의 노출을 수동형으로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관된 장치가 물 또는 다른 형태의 수분에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조합된 장치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와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충격 표시기에 합체될 수 있는 습기 표시기는, 흰 종이 기부, 표시기 다이 및 압력 감지 접착제를 포함하는 종래의 습기 표시 종이를 포함한다. 분말형 집적 표시기는 물을 함유하지 않고, 표시기는 상술된 중합체 필름에 응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흰 종이 기부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표시기와 조합될 수도 있는 적합한 습기 표시기는 "물 접촉 표시기"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2001년 10월 1일자로 출원되어 공동 계류 중이며, 참고 문헌으로서 그 개시 내용 전체가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있는 미국 출원 번호 제09/972124호에 설명된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격납 부재의 보호 필름은 보호 필름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딤플, 오목부, 다중 층 및/또는 다른 재료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을 포함하는 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보호 필름 구조물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일차 및 이차 메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일차 메트릭스는 분말 입자의 집적물이고 이차 메트릭스는 큰 유리 버블 또는 비드(또는 다른 유사한 물체)이다. 이차 메트릭스의 많은 성분은 소형의 일차 집적 분말이 더 부착되는 구성을 제공하고, 또한 구성에 큰 Z-Y-Z 차원과 큰 일차 전체 집적물 대 이차 메트릭스가 없는 집적물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큰 메트릭스가 수납부 내부의 부착 위치로부터 "떠나게"되고, 소형 분말 입자가 일차 메트릭스로부터 파손되도록 또한 설계된다. 상기 실시예의 변경예에서, 작은 분말 입자는 제1 수준의 충격을 경험할 때 큰 이차 메트릭스로부터 떠나게 되고, 큰 메트릭스는 제2 수준의(예를 들면, 높은) 충격 발생시 부착 위치로부터 떠나게 되도록 표시기 장치 내부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차 메트릭스는 비드(예를 들면, 유리,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뿐만 아니라 금속 비드와 같이 본 명세서에 언급된 큰 것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격 표시기의 격납 부재는 충격 표시기의 실제 기부 보다 작거나 또는 큰 영역을 사용하는 것 또는 연속 코팅으로 제공되는 접착제와 같은 부착 수단으로 원하는 위치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부착은 충격 표시기의 기부와 원하는 물체의 표면 사이에 한 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점에서 발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격 표시기는 분말의 집적된 입자 등을 포함하는 상술된 표시기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물체가 (느슨하게 또는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수납부 주위를 이동하는데 자유로울 수 있어서, 물체는 충격 상황 동안 집적된 분말과 격돌하여, 분말 집적물의 파손과 원하는 충격 상황의 표시를 돕는다. 충돌 물체는 유리 비드, 버블, BB 등일 수 있고, 물체의 질량, 크기 및 형태는 충격 표시기의 격납 부재 내부에서 원하는 이동을 달성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격납 부재에 딤플 또는 다른 표면 구조물이 제공된다면, 이들 구조물은 충격 상황 발생시 집적된 분말을 타격하는 물체를 안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추가의 물체는 충격 상황 동안 견납 부재의 제한 내에서 가속될 경우, 현저한 힘을 제공하도록 설계 또는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일차 및 이차 서브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일차 서브파트는 큰 물체이고, 이차 서브 파트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분말 미립자와 같은 작은 물체이다. 이차 서브파트는, 표시기로서 유용한 단일 매스를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차 서브파트 주위에 집적된다. 일차 서브파트는 주위에 이차 서브파트가 집적된 상태로 기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충격 상황은 일차 서브파트가 기부로부터 제거되도록 만들고, 매스의 연관된 이동은 연관된 이차 서브파트로부터 떨어져 파손되어, 충격 표시를 제공한다. 일차 서브파트는, 이차 서브파트의 연관된 집적물이 일차 서브파트 주위에 집적된 상태로 하나 이상의 매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파트는 다른 일차 서브파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격납 부재 내부에 위치 설정될 수 있어서, 임의의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단력, 압축력, 장력, 파괴력, 및/또는 박리력을 표시기에 부여할 것이다. 장치 내부에 표시기를 위치 설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장치 내부에 표시기를 위치 설정시키기 위한 하나의 부착 지점보다 많은 지점을 가질 수도 있다. 부착 지점은 예를 들어 격납 부재의 내부면에 대한 부착 지점과 같이 기부 부재 및/또는 장치의 다른 부품에 대한 표시기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표시기를 부착하기 위한 이러한 수단으로 다중 축 부착이 고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또는 다중 매스는, 충격 상황에 대한 충격 표시기의 반응을 더 변형시키도록, 충격 표시기 수납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첨가될 수도 있다. 충격 표시기의 변형된 반응은 장치에 첨가된 추가의 매스의 양 및/또는 개수뿐만 아니라 충격 표시 장치의 격납 부재 내부의 메스 위치에 의해 판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액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단 평면 표면을 갖는 점성 액체를 포함한다. 액체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바와 같이, 충격 상황에 반응하여 액체의 전단 시닝(thining)을 돕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첨가된 전단 평면 기하학적 형상(유리 비드, 버블, BB, 핀, 포스트 등)를 갖는다. 메스는 유체에 전단력을 증가시키고 추가의 전단 시닝 평면 또는 표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기는 표시기가 제1 상태로부터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로 전이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판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줄 착색된 재료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표시기는 제1 컬러의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제1 집적 분말과, 제2 컬러의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제2 집적 분말을 포함한다.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집적된 분말의 컬러는 구별되는 것으로 보이고, 양 컬러는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에서는, 두 개의 집적된 분말이 분산되고, 분산된 상태에서는 단일 컬러, 통상 입자가 분산되는 경우 발생하는 입자 분말의 혼합과, 제1 분말의 낮은 농도에 기인한 제2 컬러로 보일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설명된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최종 충격 표시 장치의 작동시 하나 이상의 추가 기능을 수행하는 기부 부재에 대한 추가의 필름을 첨가하는 것과 같이 기본 구성에 대한 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템퍼 표기 충격 표시 장치는 (a) 평평한 광 전달 층과, (b) 광 전달 화상 해제 코팅과, (c) 접착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ⅰ) 화상은 해제 코팅이 다른 층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영구히 가시적이 될 때까지 볼 수 없고, (ⅱ) 표시 장치의 조립체 점착 강도는 해제 코팅이 분리되고 화상이 보인 후에 장치가 단일 유닛으로서 남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층은 고셀린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70,283호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상술된 방법의 정확한 성분의 순서와 제조 단계의 순서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 즉 충격 상황의 경험 이전의 일 형상으로 존재할 수 있고, 장치가 이러한 충격 상황을 경험한 것을 관찰자에게 표시하도록 충격 상황에 반응하여 자체적으로 제2 형상을 나타내는 표시기와 기부를 변화시키지 않고 변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소정의 한계 충격이 장치에 의해 경험될 때만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전이되도록 장치를 맞추기 위해 장치의 감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관된 전자 장치 또는 다른 장치의 성분 등이 이러한 충격 상황으로부터 손상 또는 해를 입을 수도 있는 한계치를 초과하는 충격 상황에만 충격 표시기 적합한 특정 용도를 위해 맞춰질 수 있는 충격 표시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성분과 또한 균등할 수 있는 상술된 실시예에 대한 추가의 변경 및 변형이 또한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변형예는 일반적으로 후속의 청구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예상된다.

Claims (48)

  1. 충격 표시기이며,
    (A)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구비한 기부와,
    (B)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되고, (ⅰ)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형상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ⅱ)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표시기와,
    (C) 표면에 충격 표시기를 부착하기 위해 기부의 제2 측면과 연관된 수단을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의 서브파트는 토너 분말 입자, 활석, 소맥분, 안료, 점토, 세라믹, 알루미나, 금속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3. 제2항에 있어서, 서브파트는 표면 변형되는 충격 표시기.
  4. 제2항에 있어서, 서브파트는 제1 크기를 포함하고, 표시기는 제1 서브파트보다 큰 제2 서브 파트를 포함하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5. 제1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표시기를 수납하며, 투명해서 표시기가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인지 여부의 시각적 판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격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6. 제5항에 있어서, 격납 부재 내부에 있고,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와 격돌하여 표시기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돕도록 위치 설정되며, 유리 비드, 플라스틱 비드, 세라믹 비드, 볼 베어링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충돌 물체를 더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7.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는 건조한 재료를 포함하고, 충격 표시기는 습기에 대한 노출을 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8. 제1항에 있어서, 기부는 필름이고, 기부는 제1 측면 상의 구별 성분을 더 포함하고, 구별 성분은 구별 성분과 표시기 사이의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필름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9.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는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서의 집적된 분말과,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에서의 분산된 분말을 포함하고, 표시기 서브파트는 분말 입자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0.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와, 기부의 제1 측면은 사이에 시각적 콘트라스트를 제공하도록 다른 컬러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1.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는 고체와 액체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고체는 점토를 포함하고, 액체는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3. 제11항에 있어서, 고체는 박리형 유기화 점토 충전재, 실리카 입자, 유리 입자, 무기 안료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23℃에서 액체는 약 10 ×10-3N/m 내지 약 80 ×10-3N/m 범위 내의 표면 장력과, 약 0.5 내지 약 2 grams/cm3의 밀도와, 약 1×10-3내지 약 1×106Pa-s의 제로 비율 전단 점성도를 갖는 충격 표시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유체는 실리콘 유체 및 오일, 포화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 검, 미네랄 오일, 글리세롤, 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액체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5. 제11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된 구별 성분을 더 포함하고, 구별성분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과,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구별 성분을 통해 연장되는 환형부를 포함하고, 표시기는 환형부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구별 성분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조직 표면을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조직 표면은 미세조직 표면을 포함하고, 미세조직 표면은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되고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채널을 한정하며, 채널은 표시기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미세조직 표면은 대칭 형태 및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를 갖는 정밀한 구조물의 규칙적인 어레이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18. 제1항에 있어서, 부착용 수단은 접착제 또는 기계식 체결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충격 표시기.
  19. 제1항에 있어서, 부착용 수단은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0. 제1항에 있어서, 기부와 표시기 사이의 기부의 제1 측면 상에 위치 설정된전달층을 더 포함하고, 전달층은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전달층은 표시기가 충격 상황을 경험하게 되는 한계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전달층은 적어도 약 1.0 psi(6.9 ×103Pascals)의 저장 계수와, 충격 표시기가 사용되는 주파수와 온도에서 적어도 약 0.01의 손실 인자를 갖는 점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점탄성 재료는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아크릴 고무, 플루오린계 엘레스토머, 플루오린계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충격 표시기.
  24. 제20항에 있어서, 전달층은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상호관통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5. 제20항에 있어서, 전달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아세탈 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6. 제20항에 있어서, 전달층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7. 제1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된 복수의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표시기는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고, 서브 파트는 (ⅰ)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형상으로 그리고 (ⅱ)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28. 제27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기는 각각 다른 가혹한 충격 상황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하도록 구성되는 충격 표시기.
  29. 제1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표시기를 수납하며, 투명해서 표시기가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인지 여부의 시각적 판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격납 부재와,
    격납 부재 내부에 배치되고, 충격 상황 동안 충돌 부재가 표시기와 격돌하는 것을 허용하는 격납 부재 내부에 배치된 충돌 물체를 더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30. 제29항에 있어서, 격납 부재는 조직 표면을 더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31.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의 서브파트는 제1 평균 크기의 일차 서브파트와, 제2 평균 크기의 이차 서브파트를 포함하고, 제2 평균 크기는 제1 평균 크기보다 작고, 이차 서브파트는 표시기를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일차 서브 파트 주위에 집적되는 충격 표시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일차 서브파트는 충격 상황 발생시 기부로부터 제거되도록 기부와 연관되는 충격 표시기.
  33.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방향으로부터의 충격 상황이 표시기에 대체로 동일한 전단력, 압축력, 장력, 파괴력 및/또는 박리력을 부여하도록, 표시기가 충격 표시기 내부에 위치 설정되는 충격 표시기.
  34. 제33항에 있어서, 표시기는 하나의 부착 지점보다 많은 부착 지점을 사용하여 충격 표시기 내부에 위치 설정되는 충격 표시기.
  35. 제1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표시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격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충격 상황에 대한 충격 표시기의 반응을 더 변형시키도록, 단일 또는 다중 매스가 격납 부재의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과 연관되는 충격 표시기.
  36.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는 액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단 평면 표면을 갖는 점성 액체를 포함하는 충격 표시기.
  37. 셀룰러 폰, 개인용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자 장치와 연관된 제1항의 충격 표시기를 포함하는 조립체.
  38. 충격 표시기 제조 방법이며,
    (A) 제1 표면과, 부착 수단과 연관된 기부의 제2 표면을 포함하는 기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B) 기부의 제1 표면과 연관하여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는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브파트는 (ⅰ)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형상으로 그리고 (ⅱ) 충격 표시기가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 위에 그리고 표시기 위에 격납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격납 부재는 투명해서 표시기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시각적 판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표면과 연관하여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측면과 연관하여 슬러리를 증착시키는 단계와, 그 후 표시기를 제1 형상으로 제공하도록 슬러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된 구별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별 성분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과, 구별 성분을 통해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환형부를 포함하고,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 중 하나는 조직 표면을 포함하며, 기부의 제1 표면과 연관하여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환형부 내부에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조직 표면은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된 미세조직 표면을 포함하고, 미세조직 표면은 대칭 형태 및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를 갖는 정밀한 구조물의 규칙적인 어레이를 포함하고, 정밀한 구조물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채널을 한정하며, 채널은 표시기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채널 내부로의 유체의 유입을 허용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다른 표면에 표시기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38항에 있어서, 기부와 표시기 사이의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하여 전달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전달층은 충격 상황 동안 표시기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38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하여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기부의 제1 측면과 연관하여 복수의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표시기는 복수의 표시기 서브파트를 포함하며, 서브 파트는 (ⅰ) 충격 상황 이전의 제1 형상으로 그리고 (ⅱ) 충격 상황 이후의 제2 형상으로 배열되는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38항에 있어서, 충격 표시기와 전자 장치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장치는 셀룰러 폰, 개인용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 및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7. 제38항에 있어서, 기부의 제1 표면과 연관하여 표시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제1 표면 상으로 표시기를 스크린 인쇄함으로써 달성되는 방법.
  48. 제38항에 있어서, 충격 표시기는 제1 충격력으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하도록 제1 조건으로 제공되고, 추가의 처리 후 충격 표시기가 제2 충격력으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이하도록 충격 표시기를 더 처리하는 방법.
KR10-2004-7020349A 2002-06-14 2003-06-13 충격 표시기 KR20050009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868402P 2002-06-14 2002-06-14
US60/388,684 2002-06-14
PCT/US2003/019014 WO2003107015A1 (en) 2002-06-14 2003-06-13 Shock ind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750A true KR20050009750A (ko) 2005-01-25

Family

ID=2973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349A KR20050009750A (ko) 2002-06-14 2003-06-13 충격 표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219619B2 (ko)
EP (1) EP1521971A1 (ko)
JP (1) JP2005530160A (ko)
KR (1) KR20050009750A (ko)
CN (1) CN1668927A (ko)
AU (1) AU2003243610A1 (ko)
WO (1) WO2003107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750A (ko) * 2002-06-14 2005-01-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충격 표시기
US8398306B2 (en) 2005-11-07 2013-03-19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Flexible package with internal, resealable closure feature
JP4553867B2 (ja) * 2006-05-25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超音波センサ並びに設備機器
JP4816301B2 (ja) * 2006-07-26 2011-11-1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荷重記録装置とそれを備えている衝撃記録装置
US20080077021A1 (en) * 2006-09-27 2008-03-27 Fka Distributing Co. D/B/A Homedics, Inc. Blood Pressure Monitor Calib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Blood Pressure Monitor
KR100823864B1 (ko) * 2006-11-16 2008-04-21 이성남 충격 표시기
US20080183313A1 (en) * 2007-01-29 2008-07-31 Johan Lundquist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steering a mobile terminal
US20080243530A1 (en) * 2007-03-27 2008-10-02 James Stubler Method for auditing product damage claims utilizing shock sensor technology
EP1990642A1 (en) * 2007-05-11 2008-11-12 Dodied Iberica S.L.U. Shock indicating device
JP4748105B2 (ja) * 2007-05-24 2011-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に装着される高圧ガスタンク
US9232808B2 (en) 2007-06-29 2016-01-12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Processed cheese without emulsifying salts
US9111425B2 (en) * 2007-12-20 2015-08-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Indicat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7757623B2 (en) * 2007-12-20 2010-07-20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xplosion indicators for use in explosion-proof enclosures with critical equipment
US9494476B2 (en) 2007-12-20 2016-11-1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Indicator device for an enclosure with sealing compound
TWI365978B (en) * 2007-12-28 2012-06-1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dropping indicator
US20100229784A1 (en) * 2008-02-21 2010-09-16 Biokinetics And Associates Ltd. Blast occurrence apparatus
TWI375033B (en) * 2008-04-09 2012-10-21 Ind Tech Res Inst All-directional fall sensor and the method thereof
US7839281B2 (en) * 2008-05-19 2010-11-2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xplosion indicator for explosion-proof enclosures
US20090303072A1 (en) * 2008-06-05 2009-12-10 Oqo, Inc. Multi-use light indicators
US8228206B2 (en) * 2008-08-18 2012-07-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xplosion indicator for explosion-proof enclosures
US8240270B2 (en) * 2008-09-01 2012-08-14 Ricoh Company, Limited Impact detecting apparatus and package device
JP5042185B2 (ja) * 2008-09-30 2012-10-03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衝撃センサ付き緩衝材
GB0900453D0 (en) * 2009-01-13 2009-02-11 Eastman Kodak Co Indicators
US7878140B1 (en) 2009-04-28 2011-02-01 Hisco, Inc. Device and method to insure integrity to body armor or other ballistic protection apparatus
JP5565614B2 (ja) * 2009-05-26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衝撃検知装置及び梱包装置
US8058875B2 (en) 2009-08-11 2011-11-15 Raytheon UTD, Inc. Detection of ground-laid wire using ultraviolet C-band radiation
US8441360B2 (en) * 2009-09-04 2013-05-14 Raytheon Company Search and rescue using ultraviolet radiation
US8253576B2 (en) * 2009-09-04 2012-08-28 Raytheon Company Search and rescue using ultraviolet radiation
US20130017609A1 (en) * 2009-12-31 2013-01-17 Basf Se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a physical or chemical phenomenon
NZ591354A (en) 2010-02-26 2012-09-2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A low-tack, UV-cured pressure sensitive acrylic ester based adhesive for reclosable packaging
AU2011220783A1 (en) 2010-02-26 2012-09-06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Package having an adhesive-based reclosable fastener and methods therefor
US8852532B2 (en) 2010-06-18 2014-10-07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G-force sensitive label and corresponding sample tube, method and analytical system
DE102010039327A1 (de) * 2010-08-13 2012-02-16 Robert Bosch Gmbh Batteriegehäuse mit beschleunigungssensitiven Elementen, Batterie sowie Kraftfahrzeug mit Batterie
US8234994B1 (en) * 2011-03-10 2012-08-07 Shockwatch, Inc. Impact indicator
CN103597360B (zh) 2011-06-10 2015-09-09 肖克沃奇股份有限公司 撞击指示器
US20130062916A1 (en) * 2011-09-09 2013-03-14 The Magnificent 7 Group, Inc. Vehicle Safety Seat Mechanical Shock Indicator
US9190229B2 (en) 2012-05-08 2015-11-17 Shockwatch, Inc. Impact switch
DE102012216762A1 (de) * 2012-09-19 2014-03-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ger
WO2014152613A1 (en) * 2013-03-15 2014-09-25 Berry Logistics, Llc Device for detecting impact with an object
US8621673B1 (en) * 2013-03-20 2014-01-07 Antonio Pietrantonio Concussion indicator
USD748270S1 (en) 2013-05-14 2016-01-26 Antonio Pietrantonio Concussion indicator
CN104240433A (zh) * 2013-06-08 2014-12-24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机监测报警方法及装置
USD743560S1 (en) 2014-01-31 2015-11-17 Antonio Pietrantonio G-force indicator
US9970833B2 (en) * 2014-04-23 2018-05-15 The Boeing Company Witness material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history of an object
EP3139144B1 (en) 2014-04-28 2019-02-1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Falling indicator and packaging box provided with same
US9955274B2 (en) * 2015-04-08 2018-04-24 The Boeing Company Vibration monitoring systems
DE102016100573A1 (de) * 2016-01-14 2017-07-20 Schreiner Group Gmbh & Co. Kg Stoßsensor zum Nachweis eines Stoßes oder einer sonstigen Beschleunigung
US10238950B2 (en) * 2016-02-12 2019-03-26 Carl Kuntz Impact absorption padding for contact sports helmets
EP3562666B1 (en) * 2016-12-30 2022-08-17 NuScale Power, LLC Combined shipping protection and impingement detection wrap
WO2018160709A1 (en) * 2017-02-28 2018-09-07 Zoll Medical Corporation Force sensing implementations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N107082175A (zh) * 2017-05-05 2017-08-22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监测服务器在运输中受到冲击值的方法
US10189626B2 (en) * 2017-05-23 2019-01-29 Reuben Bahar Package handling system
US11249107B2 (en) 2017-06-23 2022-02-15 Shockwatch, Inc. Impact indicator
EP3425457B1 (fr) * 2017-07-06 2020-05-27 Montres Breguet S.A. Indicateur de choc pour montre
US11046454B2 (en) 2017-08-01 2021-06-29 Shockwatch, Inc. Unmanned aerial vehicle impact monitoring system
US10866259B1 (en) * 2017-08-17 2020-12-15 Tozuda, LLC Impact sensor
US11041770B2 (en) 2017-10-26 2021-06-22 Shockwatch, Inc. Impact indicator
DE102018219214A1 (de) 2018-11-12 2020-05-14 Robert Bosch Gmbh Schmelzsicherungssystem,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ochvoltbatterie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Hochvoltbatteriesystem
DE102019104408A1 (de) * 2019-02-21 2020-08-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echnische Komponente für ein Verkehrsmittel
US11112425B2 (en) 2019-09-30 2021-09-07 Shockwatch, Inc. Impact indicator
JP6998075B2 (ja) * 2020-02-12 2022-01-18 低温機器販売株式会社 衝撃感知部材および低温液体容器
WO2021237150A1 (en) 2020-05-21 2021-11-25 Shockwatch, Inc. Impact indicator
RU207871U1 (ru) * 2020-09-24 2021-11-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ёва" Индикатор удара противотанковой управляемой ракеты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4221A (en) * 1953-06-24 1954-04-06 Tilt or inversion indicator
US2976732A (en) * 1958-09-30 1961-03-28 Rudolph F Hautly Means for recording forces to which shipped articles are subjected
US3021813A (en) * 1960-07-25 1962-02-20 Julius L Rips Shock gauge
US3190178A (en) * 1961-06-29 1965-06-22 Minnesota Mining & Mfg Reflex-reflecting sheeting
US3461730A (en) 1965-04-02 1969-08-19 Endevco Corp Accelerometer
US3312188A (en) 1965-08-16 1967-04-04 Rosemount Eng Co Ltd Shock indicator
US3373716A (en) * 1965-12-29 1968-03-19 Eugene R. Williams Shock indicating device
US3632695A (en) * 1970-03-05 1972-01-04 Reflex Corp Canada Ltd Making a combined lens and reflector
US3782204A (en) * 1971-07-07 1974-01-01 Boardman H 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ording acceleration
US3707722A (en) * 1971-10-05 1972-12-26 Kazu Itoh Impact acceleration recording device
US3926402A (en) * 1973-04-24 1975-12-16 Amerace Corp Pin having nonaligned cube axis and pin axis and bundle of such pins
US4025159A (en) * 1976-02-17 1977-05-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ellular retroreflective sheeting
US4068613A (en) * 1976-05-03 1978-01-17 Detectors, Inc. Device for showing receipt of predetermined shock
US4349598A (en) * 1976-12-01 1982-09-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incidence angle retroreflective material
US4177751A (en) 1977-04-15 1979-12-11 Detectors, Inc. Method of forming a device for showing receipt of predetermined shock
SE413393B (sv) * 1978-11-14 1980-05-27 Ekloef Krister Anordning for angivande om varor blivit utsatta for yttre mekanisk paverkan
US4239014A (en) * 1979-01-22 1980-12-16 Detectors, Inc. Suspended droplet shock detector
US4237736A (en) 1979-07-19 1980-12-09 Wright John H Impact gauge
US4430366A (en) * 1981-02-04 1984-02-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al/metal oxide coating
US4588258A (en) * 1983-09-12 1986-05-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wide angularity in multiple viewing planes
US4938563A (en) * 1986-11-21 1990-07-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efficiency cube corner retroflective material
US5066098A (en) * 1987-05-15 1991-1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ellular encapsulated-lens high whiteness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flexible cover sheet
US4895428A (en) * 1988-07-26 1990-0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efficiency retroreflective material
US4982684A (en) * 1989-05-30 1991-01-08 Detectors, Inc. Directional shock detector
US5238623A (en) 1989-11-20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microporous polyolefin shaped articles
US5308887A (en) * 1991-05-23 1994-05-03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P2613502B2 (ja) * 1991-05-31 1997-05-28 東洋紡績株式会社 制振材料用粘弾性樹脂組成物
US5514120A (en) * 1991-12-18 1996-05-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management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US5262232A (en) * 1992-01-22 1993-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bration damping constructions using acrylate-containing damping materials
US5728446A (en) * 1993-08-22 1998-03-17 Johnston; Raymond P. Liquid management film for absorbent articles
CA2134521A1 (en) * 1993-11-02 1995-05-03 Raymond R. Gosselin Tamper-indicating label
US5882774A (en) 1993-12-21 1999-03-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ptical film
JP3281186B2 (ja) * 1994-07-29 2002-05-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装置
DE69601432T2 (de) * 1995-03-16 1999-10-07 Minnesota Mining & Mfg Schwarz-Metall wärmebildbare Transparenz-Elemente
US5551279A (en) * 1995-10-06 1996-09-03 Quick; Donald C. Impact gauge
DE19724440A1 (de) * 1997-06-10 1998-12-17 Kai Parthy Gerät zum Anzeigen und Aufzeichnen von Vibrationen - Vibrationsrecorder
JPH11190745A (ja) * 1997-12-26 1999-07-13 Nec Shizuoka Ltd 衝撃履歴の検出方法とその検出部材および携帯電子機器
US6285525B1 (en) * 1998-07-01 2001-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amped spacer articles and disk drive assemblies containing damped spacer articles
JP2001099854A (ja) 1999-10-01 2001-04-13 Akebono Brake Ind Co Ltd 3次元衝撃検知表示部材
US7105225B2 (en) * 2001-10-05 2006-09-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 contract indicator
US6663679B1 (en) * 2002-05-23 2003-12-16 William P. Duncan High intensity, non-reversing humidity indicator
KR20050009750A (ko) * 2002-06-14 2005-01-2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충격 표시기
US6848389B1 (en) * 2003-08-21 2005-02-01 Gateway, Inc. Shock force indic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19619B2 (en) 2007-05-22
US20050217558A1 (en) 2005-10-06
WO2003107015A1 (en) 2003-12-24
EP1521971A1 (en) 2005-04-13
CN1668927A (zh) 2005-09-14
JP2005530160A (ja) 2005-10-06
US20070194943A1 (en) 2007-08-23
AU2003243610A1 (en)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9750A (ko) 충격 표시기
US10690819B2 (en) Multi-layer sealing films
US5614286A (en) Conformable cube 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KR100901348B1 (ko) 구조화된 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US8746902B2 (en) Retroreflective articles including printed areas
EP2758814B1 (en) Retroreflective articles including a security mark
KR100400910B1 (ko) 목표광학특성을갖는초가요성재귀반사큐브코너복합체시트형성품및그제조방법
EP0934156B1 (en) Article comprising a flexible retroreflective sheeting
EP2261701B1 (en) Retroreflective article and method making a retroreflective article
KR102217293B1 (ko) 용매계 상부코트를 포함하는 재귀반사성 시트
EP0972112B1 (en) Wide incident angle reflective plate
US20010053026A1 (en) Conformable cube 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CN102762642B (zh) 标记膜
JP2009139799A (ja) 表示部材
US20120237710A1 (en) Adhesive label and label issuing device
KR20180063959A (ko) 열박리형 접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6035641A1 (ja) 路面、床面又は壁面貼り付け用シート、及び、路面、床面又は壁面貼り付け用シート形成セット
JP6678239B2 (ja) 静電吸着積層シート及び表示物
TW201716225A (zh) 用於光導向物件之阻障元件
TW200922848A (en) Optical sheet package
JP2022040205A (ja) 微細構造化物品上のバリア要素
WO2000052502A1 (fr) Feuille retroreflechissante
CN105190373A (zh) 导电的逆向反射制品及其制造方法
WO2024118388A1 (en) Laminated glass articles and other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2002241719A (ja) 接着シート及び接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