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502A -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502A
KR20050009502A KR1020030048835A KR20030048835A KR20050009502A KR 20050009502 A KR20050009502 A KR 20050009502A KR 1020030048835 A KR1020030048835 A KR 1020030048835A KR 20030048835 A KR20030048835 A KR 20030048835A KR 20050009502 A KR20050009502 A KR 20050009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hydrochloride
salts
agent
pes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03004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502A/ko
Priority to PCT/KR2004/001774 priority patent/WO2005007140A1/en
Publication of KR2005000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5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해충 퇴치제 및 (b)항히스타민제, 국소 마취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Insect Repellent}
본 발명은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a)해충 퇴치제 및 (b)항히스타민제, 국소 마취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사람을 물거나 피를 빨아먹는 많은 해충(예:흡충류, 자충류 및 진드기 등)들이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충에 대항하기 위해서 해충 퇴치제와 해충에게 물린 부위에 국소적으로 도포하는 치료제를 이용하고 있다.
흡충류는 본질적으로 일반 각다귀(예: Aedes, Culex 및 Anopheles 종), 나방 각다귀(Phlebotomi), 쐐기 소충(Culicoides 종), 모래파리(Simulium 종), 쐐기 파리(예: Stomoxys calcitrans), 체체 파리(Glossina 종), 말파리(Tabanus, Haematopota 및 Chrysops 종), 집파리(예: Musca domestica 및 Fannia canicularis), 쉬파리(예: Sarcophaga carnaria), 승저증 유발 파리(예 : Luciliacuprina, Chrysomyia chloropyga, Hypoderma bovis, Hypoderma lineatum, Dermatobia hominis, Oestrus ovis, Gasterophilus intestinalis, Cohliomyia hominovorax), 반시류(예: Cimex lectularius, Rhodnius prolixus, Triatoma infestans), 이(예: Pediculus humanus, Haematopinus suis, Damalina oris), 케드(예: Melaphagus orinus), 벼룩(예: Pulex irritans) 및 쥐벼룩(Xenopsylla cheopis)을 포함한다.
자충류는 본질적으로 바퀴벌레(예 : Blattella germanica, Periplaneta americana, Blatta orientalis, Supella supellectilium), 투구벌레(예: Sitophilus granarius, Tenebrio molitor, Dermestes lardarius, Stegobium paniceum, Anobium puntactum, Hylotrupes bajulus), 흰개미(예: Reticulitermes lucifuagus) 및 개미(예: Lasius niger)를 포함한다.
진드기류는 참진드기(예: Ornithodorus moubata, Ixodes ricinus, Boophilus microplus, Amblyomma hebreum) 및 협의의 진드기(예: Sarcoptres scabiei, Dermanyssus gallinae)를 포함한다.
해충 퇴치제는, 해충이 이들을 유인하는 표면(예를 들면, 동물 및 사람의 피부)과 접촉하여 찌르며 빨거나 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다양한 해충 퇴치제 조성물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사용감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해충 퇴치제 조성물을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해충이 많은 실외에서 장시간 있어야 하는 경우와 같이 특수한 경우에 국한되어 사용해 왔다.
해충 퇴치제 이용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해서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조성물(예, 화장용 조성물, 미국특허 제 5,716,602호)에 해충 퇴치제를 첨가한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해충(특히, 모기)은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 낮 보다는 밤에, 수면 중인 사람을 공격하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습성을 고려해 볼 때, 기존의 해충 퇴치제 조성물들은 사람들이 주로 생활하는 공간에서, 실질적으로 해충이 사람을 주로 공격하는 시간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시간 및 장소에 관계없이 일상생활(특히, 가정)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해충 퇴치제 조성물이 필요하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해충 퇴치제보다는 해충에게 물린 부위에 도포하는 치료제를 소지하고 있다. 해충에게 물린 부위에는 일반적으로 가려움증, 부종 및 동통 등의 증상이 나타내며, 특히 가려움증을 해소하기 위해서 환부를 긁게 되는데, 이는 혈액과 조직액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히스타민의 생성을 유발함으로써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가려움증 및 염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항히스타민제, 국소 마취제 및 항염증제를 함유한 치료제들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해충은 한 사람을 수차례 공격하는 습성이 있어서, 해충에게 물린 즉시 치료제를 해당 부위에 도포할지라도 해충이 계속해서 무는 것을 멈추게 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와 해충에게 물린 부위를 치료하는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해충에게 물리기 전에 도포하면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해충에게 물린 후에 도포하면 그 부위의 가려움증, 동통 및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해충에게 물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자는 해충 퇴치제의 분자 구조가 다른 치료학적 활성성분들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그것의 치료효과를 떨어뜨린다거나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는 점과 해충 퇴치제들이 장기간 사용되어 오면서 사람에 대한 안전성이 인정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일반인들이 소지하고 있는 해충에게 물린 부위에 도포하는 치료제에 해충 퇴치제를 첨가하였고, 이로부터 제조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해충 퇴치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a)해충 퇴치제 및 (b)항히스타민제, 국소 마취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부 또는 의복에 도포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해충 퇴치제가 이용될 있으며, 그 예로는 N,N-디에틸 톨루아미드(N,N-diethyl toluamide), N,N-디에틸 벤즈아미드(N,N-diethyl benzamide), p-멘탄-3,8-디올(p-menthane-3,8-diol), 1S,3S,4S,6R-카렌-3,4-디올(1S,3S,4S,6R-carene-3,4-diol)[Sumitomo, 미국특허 제 5,130,136호], 1-피페리딘카르복실산(1-piperidinecarboxylic acid), 2-(2-하이드록시에틸)-1-메틸프로필에스테르(2-(2-hydroxyethyl)-1-methylpropylester), 1-(3-시클로헥센-1-일카르보닐)-2-메틸피페리딘(1-(3-cyclohexene-1-ylcarbonyl)-2-methylpiperidine), 1-(3-시클로헥센-1-일카르보닐)-2-피페리딘(1-(3-cyclohexene-1-ylcarbonyl)-2-piperidine), N,N-디에틸 만델아미드(N,N-diethly mandelamide), 이소푸레골 하이드레이트(isopulegol hydrate), 에틸-3-[N-n-부틸-N-아세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ethyl-3-[N-n-butyl-N-acethyl] aminopropionate),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diisopropyladipate), 알파 비아사발(alpha biasabal), 스페아민트 오일, 벤질 알콜, N-N-디에틸페닐아세트아미드(N-N-diethylphenylacetamide), 3-아세틸-2-(2-,6-디메틸-5-헵테닐) 옥사졸리딘(3-acethyl-2-(2-,6-dimethyl-5-heptenyl) oxazolidine), (2-하이드록시메틸시크로헥실) 아세트산 락톤((2-hydroxymethylcyclohexyl) acetic acid lactone) 및 유칼립톨(eucalyptol)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서는 해충 퇴치제로 N,N-디에틸 톨루아미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충 퇴치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당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항히스타민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아크리바스틴(acrivastine), 아스테미졸(astemizole), 아자타딘(azatadine), 아젤라스틴(azelastine),브로모디펜히드라민(bromodiphenhydramine), 브롬페니르아민(brompheniramine), 카비녹스아민(carbinoxamine), 세티리진(cetirizine), 클로르페니르아민(chlropheniramine), 시프로헵타딘(cyproheptadine), 덱스브롬페니르아민(dexbrompheniramine), 덱스클로르페니르아민(dexchlropheniramine),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 메피라민(mepyramine), 프로메타진(promethazine), 에바스틴(ebastine), 케토티펜(ketotifen), 로독스아미드(lodoxamide), 로라티딘(loratidine), 레보쿠바스틴,(levocuvastine) 메퀴타진(mequitazine), 옥사토미드(oxatomide), 페닌드아민(phenindamine), 페닐톨록스아민(phenyltoloxamine), 피릴아민(pyrilamine), 세타스틴(setastine), 타지필린(tazifylline), 테멜라스틴(temelastine), 테르페나딘(terfenadine), 트리필렌아민(tripelennamine)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포함된다.
상기 항히스타민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5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2.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 국소 마취제의 예로는 염산 디부카인(dibucaine hydrochloride), 벤조카인(benzocaine), 부탐벤(butamben) 및 이의 피크레이트(picrate), 염산 피페로카인(piperocaine hydrochloride), 염산 옥시부프로카인(oxybuprocaine hydrochloride), 염산 테르라카인(tetracaine hydrochloride), 염산 리도카인(lidocaine hydrochloride), 염산신코카인(cinchocaine hydrochloride), 옥세타카인(oxetacaine), 염산 프로피로카인(propirocaine hydrochloride), 염산 부피바카인(bupivacaine hydrochloride), 염산 메피바카인(mepivacaine hydrochloride), 염산 다이클로닌(dyclonine hydrochloride), 염산 포모카인(fomocaine hydrochloride), 염산 퀴니소카인(quinisocaine hydrochloride) 및 폴리도카놀(polydocanol) 등이 포함된다.
상기 국소 마취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항염증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계 및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를 포함한다.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의 예로는 21-아세트옥시프레그네놀론(21-acetoxypregnenolone), 알클로메타손(alclometasone) 또는 이의 디프로피오네이트(dipropionate) 염, 알제스톤(algestone), 암시노나이드(amcinonide), 베클로메타손(beclomethasone) 또는 이의 디프로피오네이트 염,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및 이의 염 예를 들면, 베타메타손 벤조에이트,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베타메타손 소듐 포스페이트, 베타메타손 소듐 포스페이트 및 아세테이트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valerate); 클로베타솔(clobetasol) 또는 이의 프로피오네이트 염, 클로코르톨론피발레이트(clocortolone pivalate),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및 이의 염 예를 들면, 하이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사이피오네이트(cypionate), 하이드로코르티손 포스페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소듐 포스페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소듐 숙시네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테부테이트(tebutate) 및 하이드로코르티손 발레레이트; 코르티손(cortisone) 아세테이트, 데소나이드(desonide), 데속시메타손(desoximetas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이의 염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및 소듐 포스페이트; 디플로라손(diflorasone) 디아세테이트, 플루드로코르티손(fludrocortisone) 아세테이트, 플루니솔라이드(flunisolide),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fluocinolone acetonide), 플로오시노나이드(fluocinonide), 플루오로메톨론(fluorometholone), 플루란드레놀라이드(flurandrenolide), 할시노나이드(halcinonide), 메드리손(medrys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및 이의 염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소듐 숙시네이트; 모메타손 푸로에이트(mometasone furoate), 파라메타손아세테이트(paramethasone acetat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및 이의 염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소듐 포스페이트, 소듐 숙시네이트, 테부테이트, 트리에틸아세테이트; 프레드니손(prednisone),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면, 아세토나이드(acetonide), 베네토나이드(benetonide), 디아세테이트(diacetate), 헥사아세토나이드(hexacetonide) 등이 포함된다.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의 예로는 아세틸살리신산(acetylsalicylic acid),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수프로펜(suprofen), 페닐부타존(phenylbutazone), 술린닥(sulindac),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록센(naproxen), 케토프로펜(ketoprofen),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피록시캄(piroxicam) 및 디클로페낙(diclofenac) 등이 포함된다.
상기 항염증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5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전술한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활성성분들(즉, 해충 퇴치제, 항히스타민제, 국소마취제, 항염증제) 이외에도 국소자극작용으로 환부에 상쾌한 청량감을 주는 성분(cool-feeling agent)을 부가적인 활성성분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는 멘톨(menthol), 캄파(camphor), 보르네올(borneol), 시네올(cineol), 타이몰(thymol), 유칼립투스(eucalyptus), 멘탄(menthane), 글리코실-모노-멘틸-오아세테이트(glycosil-mono-mentyl-oacetate), 3-1-멘톡시프로판-1-2-디올(3-1-menthoxypropane-1-2-diol), 멘틸 말로네이트(menthyl malonate), 1-멘틸-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1-menthyl-3-hydroxybutyrate), 멘틸 살리실레이트(menthyl salicylate), 피페리톤(piperitone), 페퍼민트(peppermint), 베타-피넨(beta-pinene) 및 스페아민트(spearmint) 등이 포함된다.
상기 청량감을 주는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당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려움증을 신속하게 진정시켜주는 진양제 예를 들면, 크로타미톤(crotamiton), 메트딜리진 또는 트리메프라진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진양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당 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경피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러한 제제로는 연고제, 겔제, 크림제, 리니멘트제, 로션제 등이 포함된다. 이들 제제는 당해분야에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하나의 양태는 연고제로, 이 제제는 연고기제, 활성성분, 기타 첨가물 등을 적절히 배합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연고기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급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류(예,아디프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아디프산에스테르, 미리스트산에스테르, 팔미트산에스테르, 세바스산디메틸, 라우르산헥실, 이소옥탄산세틸 등), 납류(예, 경랍, 밀랍, 셀레신 등), 계면활성제(예,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등), 고급알코올(예,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 실리콘유(예,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글리콜메틸폴리실록산, 실리콘글리콜폴리머 등), 탄화수소류(예, 친수와세린, 백색와세린, 정제라놀린, 유동파라핀등), 물, 보습제(예,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등), 감염방지제 등에서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는 겔제로, 이 제제는 겔 기제, 활성성분, 기타 첨가물을 적절히 배합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겔 기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저급알코올(예,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물, 겔화제(예, 카르복시비닐중합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롤로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중화제(예,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수산화나트륨 등), 계면활성제(예,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트리올레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등), 감염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는 크림제로, 이 제제는 크림기제, 활성성분, 기타 첨가물을 적절히 배합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크림기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급지방산에스테르류(예, 미리스트산에스테르, 팔미트산에스테르,세바스산디에틸, 라우르산헥실, 이소옥탄산세틸 등), 저급알코올(예,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수화물(예,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등), 다가알코올(예,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 고급알코올(예, 2-헥실데칸올, 세탄올, 2-옥틸도데칸올 등), 유화제(예,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등), 방부제(예,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등), 감염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양태는 리니멘트제로, 이 제제는 알코올류(예,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1가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등), 물, 지방산 에스테르(예, 아디프산, 세바스산, 미리스트산의 각종 에스테르 등), 계면활성제(예,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에 활성성분, 자외선 흡수제, 및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pH조정을 위한 중화제, 점성부여제(예,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 감염방지제 등을 적절히 배합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양태는 에어로졸제로, 이 제제는 활성성분의 액제 또는 현탁액과 추진제로 제형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제 또는 현탁액을 만드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고,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희석제를 또한 이용할 수 있다. 추진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추진제를 또한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플론-12(클로로디플루오르메탄), 플론-123(트리플루오로디클로로에탄) 등의 클로로플루오로카본과 같은 액화 가스 추진제 또는 질소,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압축 가스 추진제 등이 포함된다. 에어로졸제는 통상적인 용해보조제, 완충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발색제, 보존제, 향료, 향미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일 투여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피부조건, 적용부위, 투여회수, 투여시간, 제형, 보조제의 종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 중량%이다.
본 발명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부 또는 의복에 도포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해충에게 물리기 전에 도포하는 경우라면, 피부 보다 의복에 도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의복의 온도가 피부의 온도보다 낮아서 해충 퇴치제가 증발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리니멘트제
성분 함량
N,N-디에틸 톨루아미드 15g
디펜히드라민 1g
염산디부카인 0.5g
크로타미톤 5g
l-멘톨 3.5g
dl-캄파 3g
글리시레틴산 0.1g
에탄올 38g
프로필렌글리콜 12g
메틸셀룰로스 0.8g
세바스산디에틸 3.0g
정제수 적당량
수산화나트륨 0.07g
총계 100g
상기 표 1에 기재된 활성성분들의 해당량을 에탄올 38g에 용해하고, 여기에 프로필렌글리콜 12g, 메틸 셀룰로오스 0.8g 및 세바스산디에틸 3.0g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 분산을 실시하였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0.07g을 정제수에 용해한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전체가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리니멘트제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상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중에서 디에틸-톨루아미드를 제외한 성분들을 가지고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해충 퇴치제를 함유하지 않은 리니멘트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니아 피그에서의 해충 퇴치 효과 시험
시험 동물 : 에데스 에집티(Aedes aegypti)
시험 동물수 : 약 1000마리
기니아 피그의 등 부위중 면적 50㎠ 정도의 털을 깍아내고 폭이 좁은 박스에 가두어 오직 탈모된 부분에만 모기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니아 피그를 박스에 가둔 채로 설탕물로만 사육한 시험 동물로 채워진 60x60x60cm 크기의 케이지 안에 집어넣었다.
이러한 상태로 10분 동안 방치한 다음 기니아 피그를 꺼내어 모기에게 물린 부위(환부) 개수를 기록하였다. 한 기니아 피그의 환부에 실시예 1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포하였고, 다른 기니아 피그의 환부에 비교예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포한 후 다시 케이지 안에 집어넣었다. 이러한 상태로 2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기니아 피그를 꺼내어 모기에 물린 부위 개수를 기록하였다. 기니아 피그를 다시 케이지 안에 집어넣어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꺼내어 환부 개수를 기록하였다. 이 단계를 총 2차례 더 반복 수행하여 해충 퇴치제의 효능이 지속되는 시간까지 실시하였다.
시간경과 도포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실시예 1 3 4 7 13
비교예 1 4 9 16 27
상기 시험을 통해서, 모기에 노출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교예의 약제학적조성물을 도포한 기니아 피그에서는 환부의 개수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서 실시예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포한 기니아 피그에서는 환부의 개수가 약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첨가된 디에틸 톨루아미드의 해충 퇴치 효능시간은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환부의 가려움증, 염증 및 동통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적용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통상적인 도포 회수만(하루 수회)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해충을 퇴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임상 실험
실험대상 : 발명자
실험일수 : 17일
실험대상인 발명자는 땀을 많이 흘리며 모기에 잘 물리는 체질로서 날에 따라 다르나 하루에 3회 내지 10회 물리는 체질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니멘트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차 실험) 오른쪽 발등에 물린 후 그 부위(첫 번째)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1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의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6회 (첫 번째 포함)
손 : 2회 및 팔 : 3회
2차 실험) 오른쪽 손등에 물린 후 그 부위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1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의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6회 (첫 번째 포함)
허벅지 : 1회, 발 : 3회 및 왼쪽 손등 : 1회
3차 실험) 오른쪽 손등에 물린 후 그 부위 및 왼쪽 손등의 임의의 부위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1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여기서, 상기 "임의의 부위"는 실질적으로 모기에 물린 부위가 아니라 단지 약제를 도포하는 부위이며, 이하 임의의 부위는 모두 이와 같다).
- 총 물린 횟수 : 3회 (첫 번째 포함)
발 : 2회
4차 실험) 왼쪽 발에 물린 후 그 부위 및 오른쪽 발의 임의의 부위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1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5회 (첫 번째 포함)
팔 : 2회 및 얼굴 : 2회
5차 실험) 왼쪽 손에 물린 후 그 부위 그리고 오른쪽 팔, 왼발 및 오른 발의 임의의 부위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1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2회 (첫 번째 포함)
얼굴 : 1회
6차 실험) 왼쪽 손에 물린 후 그 부위 그리고 오른쪽 팔, 왼발 및 오른 발의 임의의 부위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2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1회 (첫 번째 포함)
7차 실험) 모기에게 물리기 전에 미리 양손과 양발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2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0회
8차 실험) 모기에게 물리기 전에 미리 양손과 양발에 실시예의 리니멘트를 2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0회
9차 실험) 모기에게 물리기 전에 미리 잠옷의 상의 및 무릎까지 오는 반바지 형 하의의 밑단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2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1회
오른발 : 1회
10차 실험) 모기에게 물리기 전에 미리 잠옷의 상의, 무릎까지 오는 반바지 형 하의의 밑단 및 양 발에 실시예의 리니멘트제를 2차례 도포하였고 추가적으로 모기에 물리더라도 다음날 아침까지 더 이상 약제를 도포하지 않았다.
- 총 물린 횟수 : 0회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부 또는 의복에 도포함으로써 해충에게 물리는 것 자체를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해충에게 물리기 전에 도포하면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해충에게 물린 후에 도포하면 물린 부위의 가려움증, 동통 및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속해서 해충에게 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a) 해충 퇴치제 및 (b) 항히스타민제, 국소 마취제 및 항염증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퇴치제는 N,N-디에틸 톨루아미드, N,N-디에틸 벤즈아미드, p-멘탄-3,8-디올, 1-피페리딘카르복실산, 2-(2-하이드록시에틸)-1-메틸프로필에스테르, 1-(3-시클로헥센-1-일카르보닐)-2-메틸피페리딘, 1-(3-시클로헥센-1-일카르보닐)-2-피페리딘, N,N-디에틸 만델아미드, 이소푸레골 하이드레이트, 에틸-3-[N-n-부틸-N-아세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알파 비아사발, 스페아민트 오일, 벤질 알콜, N-N-디에틸페닐아세트아미드, 3-아세틸-2-(2-,6-디메틸-5-헵테닐) 옥사졸리딘, (2-하이드록시메틸시크로헥실) 아세트산 락톤 및 유칼립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퇴치제가 조성물 전체 중량당 1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항히스타민제는 아크리바스틴, 아스테미졸, 아자타딘, 아젤라스틴, 브로모디펜히드라민, 브롬페니르아민, 카비녹스아민, 세티리진,클로르페니르아민, 시프로헵타딘, 덱스브롬페니르아민, 덱스클로르페니르아민, 디펜히드라민, 메피라민, 프로메타진, 에바스틴, 케토티펜, 로독스아미드, 로라티딘, 레보쿠바스틴, 메퀴타진, 옥사토미드, 페닌드아민, 페닐톨록스아민, 피릴아민, 세타스틴, 타지필린, 테멜라스틴, 테르페나딘, 트리필렌아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히스타민제가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5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마취제가 염산 디부카인, 벤조카인, 부탐벤 및 이의 피크레이트, 염산 피페로카인, 염산 옥시부프로카인, 염산 테르라카인, 염산 리도카인, 염산 신코카인, 옥세타카인, 염산 프로피로카인, 염산 부피바카인, 염산 메피바카인, 염산 다이클로닌, 염산 포모카인, 염산 퀴니소카인 및 폴리도카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마취제가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1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제가 21-아세트옥시프레그네놀론, 알클로메타손 또는 이의 디프로피오네이트 염, 알제스톤, 암시노나이드, 베클로메타손 또는 이의 디프로피오네이트 염, 베타메타손 및 이의 염, 클로베타솔 또는 이의 프로피오네이트 염, 클로코르톨론 피발레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및 이의 염, 코르티손 아세테이트, 데소나이드, 데속시메타손, 덱사메타손 및 이의 염, 디플로라손 디아세테이트, 플루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플루니솔라이드,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로오시노나이드 플루오로메톨론, 플루란드레놀라이드, 할시노나이드, 메드리손, 메틸프레드니솔론 및 이의 염, 모메타손 푸로에이트, 파라메타손아세테이트, 프레드니솔론 및 이의 염, 프레드니손, 트리암시놀론 및 이의 유도체, 아세틸살리신산, 글리시레틴산, 인도메타신 수프로펜, 페닐부타존, 술린닥,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피록시캄 및 디클로페낙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제가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5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피부 또는 의복에 도포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방법.
KR1020030048835A 2003-07-16 2003-07-16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KR20050009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835A KR20050009502A (ko) 2003-07-16 2003-07-16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PCT/KR2004/001774 WO2005007140A1 (en) 2003-07-16 2004-07-16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nsect repell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835A KR20050009502A (ko) 2003-07-16 2003-07-16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502A true KR20050009502A (ko) 2005-01-25

Family

ID=3407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835A KR20050009502A (ko) 2003-07-16 2003-07-16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09502A (ko)
WO (1) WO2005007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0190A1 (en) * 2006-02-14 2007-08-16 Ramirez Jose E Conditio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0024223A (ja) * 2008-06-16 2010-02-04 Teikoku Seiyaku Co Ltd オキシブプロカイン含有鎮痛・鎮痒用外用剤
JP2009298741A (ja) * 2008-06-16 2009-12-24 Teikoku Seiyaku Co Ltd 消炎鎮痛外用剤
US9622478B2 (en) 2012-10-16 2017-04-18 Solano S.P. Ltd. Topical formulations for treating parasitic infestations
WO2017187435A1 (en) 2016-04-24 2017-11-02 Solano S.P. Ltd. Dinotefuran liquid flea and tick treatment
US20180035675A1 (en) * 2016-08-06 2018-02-08 Hemant N. Joshi Composition of a novel topical insect repellent powder formulation
CN106511352A (zh) * 2016-12-23 2017-03-22 林维星 一种治疗皮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3915A (en) * 1972-06-23 1976-01-20 Scm Corporatio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s and process having an N-substituted hydroxyalkyl amine as an active ingredient
SE9102890D0 (sv) * 1991-10-07 1991-10-07 Hans Evers Insektsrepelleringsmedel
US6646011B2 (en) * 1998-06-03 2003-11-11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Insect repellant compositions
US6391290B1 (en) * 2001-03-21 2002-05-21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Skin car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07140A1 (en)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3468B1 (en) A topical anaesthetic composition
US11338055B2 (en) Wound dressing
US6299902B1 (en) Enhanced transdermal anesthesia of local anesthetic agents
AU743516B2 (en) Topical anesthetic formulation
KR100621817B1 (ko) 비스테로이드성 소염(nsai) 약물을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수성 약제학적 조성물
US20020006435A1 (en) Transdermal anesthetic and vasodilator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opical administration
US6811789B2 (en) Fragrant composition having mosquito-repelling effect
US20090191249A1 (en) Sheet substrates impregnated with aromatic releasing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delivery of aromatic releasing compositions
JP2012526727A (ja) 皮膚および爪の真菌感染症の局所治療に適した組成物
UA76415C2 (uk) Застосування похідних бігуаніду для отримання лікарського препарату з ефектом загоєння ран
WO2020248010A1 (en) Pain relieving method
KR20050009502A (ko) 해충 퇴치제를 함유한 약제학적 조성물
US5422118A (en)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amines with minimal irritation and high transdermal flux rate
KR102359793B1 (ko) 치과용 국소 마취액
JP2971749B2 (ja) 毛母細胞活性化剤および毛母細胞活性化方法
CN111615383A (zh) 药物组合物、贴剂及其制备方法、镇痛方法、应用
BR112019011953A2 (pt) formulações de pulverização de piretroide e métodos de utilização do mesmo
US6576223B2 (en) Insect repellent
US20040072789A1 (en) Veterinary composition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traumatized or inflamed skin
JP2005187404A (ja) 粘膜外用噴霧組成物、点鼻剤及び口腔・咽喉疾患用剤
US20220211620A1 (en) Pain Relieving Spray
AU2007221941B2 (en) A topical anaesthetic composition
AU2006213962A1 (en) Skin Wound Creating and Anaesthetic Composition
JP2005089345A (ja) 虫刺され治療薬
JP2023062665A (ja) 人体用害虫忌避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