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427A -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유니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427A
KR20050008427A KR1020030059925A KR20030059925A KR20050008427A KR 20050008427 A KR20050008427 A KR 20050008427A KR 1020030059925 A KR1020030059925 A KR 1020030059925A KR 20030059925 A KR20030059925 A KR 20030059925A KR 20050008427 A KR20050008427 A KR 20050008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unit
concrete
mold
concret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573B1 (ko
Inventor
바우터에이.티에이치
Original Assignee
브이.오.에프. 휴마보 콘크리트 머시너리 앤드 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오.에프. 휴마보 콘크리트 머시너리 앤드 몰드 filed Critical 브이.오.에프. 휴마보 콘크리트 머시너리 앤드 몰드
Publication of KR2005000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28B5/021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the shaped articles being of 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5/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Industrial outlines or plant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55Mould pallets; Moul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8Moulds provided with means for tilting or inve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DRY TYPE), 반건식(SEMI-DRY TYPE), 습식((WET TYPE)의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 제품을 자동으로 생산하고, 2성분의 콘크리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를 승하강시키고, 몰드를 180°회전시켜 몰드내에서 주조된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을 팔레트 부재상에 탈형시키고, 미양생 콘크리트 제품을 양생시키는 터널형의 양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양생기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팔레트 부재상의 양생된 콘크리트 제품을 집어 이동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제품이 제거된 팔레트 부재를 집어 회전시키는 분리 유니트등을 포함하여 2성분의 콘크리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을 생산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완제품의 품질향상을 이루고,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서로 다른 특성의 2종류의 콘크리트들을 하나의 제품에 적용하여 복수의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을 생산함으로서 그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A MPS SYSTEM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CONCRETE PRODUCTS AND A FILLING MACHINE USED FOR I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제품을 자동으로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각종 규격의 콘크리트 제품들을 기계적인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단시간내에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2 성분의 콘크리트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을 자동으로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콘크리트 완제품의 품질향상을 이루고,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제품은 그 특성에 따라서, 건식(DRY TYPE), 반건식(SEMI-DRY TYPE), 습식((WET TYPE)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도 반건식(SEMI-DRY TYPE) 콘크리트 제품은 습식(WET TYPE) 콘크리트 제품에 비하여 고강도의 제품을 단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건식(Semi-Dry Type) 콘크리트란 콘크리트의 슬럼프치를 낮춘 저 슬럼프의 콘크리트로서, 고비율의 물/세멘트 비(ratio)의 콘크리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습식 콘크리트 제품은 낮은 제품강도를 초래하지만, 저비율의 물/세멘트 비(대략 0.4-0.45)의 콘크리트는 제품에 보다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제품이 사용되어지는 용도는 다양하며, 예를 들면, 철도 침목, 와이어 매설 트라프, 도로 경계석, 콘크리트 기둥, 린텔(lintels), 각종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및, 방호벽, 흡음 벽체등 여러 개소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하는 종래의 기술은 통상적으로 몰드내에 보강 철재등을 삽입하고, 반 건조 콘크리트를 충진한 다음, 제품의 탈형을 위하여 몰드를 180°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렇지만, 종래에는 몰드를 통상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는 것이어서 작업자의 힘든 노동력을 요구하는 것이었고, 그에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제품의 제작에는 탈형 공정을 기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양호한 기술적인 해결책이 요구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식은 생산된 콘크리트 제품의 표면을 마감처리(미장처리)하는 방식이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과 기술에 의존하는 것이어서, 작업 부하가 크게 되어 생산성은 크게 저하될 수 밖고, 그에 따라서, 콘크리트 제품의 마감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제조 방식에서는 완제품을 작업장 바닥상에서 직접 주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철제 팔레트상에 제품을 탈형하여 올려 놓은 다음, 이러한 철제팔레트들은 별도의 양생 영역으로 이동되어 양생 공정에 필요한 올바른 조건(온도및 습도)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넓은 제작장소는 콘크리트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작업방식은 몰드가 통상 24시간내에 단지 1회만 사용되기 때문에, 각각 개별적인 몰드내의 콘크리트 제품 주조 공정은 많은 수의 몰드를 필요로 하여 높은 몰드 비용을 초래하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방식은 전반적인 제조 시스템이 자동화및 규격화되지 못하여, 고품질의 완제품 생산이 어려운 것이었고, 제품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제조방식에서는 흡음 콘크리트와 같은 2성분의 콘크리트 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들을 생산하기 곤란한 것이었다.
즉, 흡음 콘크리트 제품과 같은 것은 일측면에 통상적인 콘크리트 혼합물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이와는 다른 흡음 기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혼합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을 구성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콘크리트 혼합물은 구조적인 강성을 부여하고, 흡음 콘크리트 혼합물은 흡음기능을 수행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 제품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제조방식은 이와 같은 고품질의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하는 데에 기술적인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규격의 양질의 콘크리트 제품들을 단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고, 자동화를 통한 효율적인 작업으로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몰드를 180°회전시키는 몰드의 탈형 공정과 완제품의 표면 마감작업을 기계적으로 정확하게 제어하여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크게 경감시킴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레트상에 제품을 탈형시킨 다음, 즉시 양생 공정에 필요한 올바른 조건(온도및 습도)을 제공함으로써 단시간내에 양생작업이 이루어져 넓은 제작장소가 불필요하고, 좁은 공간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몰드내에서 콘크리트의 주조작업이 완료된 후, 팔레트에 즉시 탈형하여 몰드의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몰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몰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측방향, 4방향에서 몰드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이루고, 2성분의 콘크리트 성분을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에 포함하는 고품질의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들을 자동으로 쉽게 생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 3도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의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의 정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에서 전자석에 보강 철재를 부착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에서 전자석에 보강 철재를 부착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의 측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에서 전자석을 이용하여 보강 철재를 몰드내에 넣고 이동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에서 보강 철재를 부착하는 전자석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11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에서 갖춰진 승강 수단인 유압 실린더와 그 연결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 12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가 몰드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13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유니트의 상부에 몰드가 올려져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14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유니트의 상부에 몰드가 올려져서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1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유니트의 평면도;
제 16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유니트의 측면도;
제 17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유니트의 정면도;
제 18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유니트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 19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정면도;
제 20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평면도;
제 21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측면도;
제 22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배출 슈트와 표면 전처리 수단의 연결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
제 23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랙크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제 24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표면 마감수단과 표면 전처리 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2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표면 전처리 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26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표면 전처리 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
제 27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표면 전처리 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제 28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표면 전처리 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외관도;
제 29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전면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30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제 31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표면 마감수단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측단면도;
제 32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충진 유니트의 표면 마감수단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평단면도;
제 33도는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 34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 이송 유니트, 양생기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레이 아웃;
제 3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의 외관 사시도;
제 36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가 몰드상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37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의 평면도;
제 38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의 정면도;
제 39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와 회전수단의 상세도;
제 40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의 승강 브리지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41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 이송 유니트, 양생기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 42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의 도유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제 43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의 전방 이송카를 도시한 사시도;
제 44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의 전방 이송카가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4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의 대기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제 46도의 a),b)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의 대기 테이블을 도시한 상세도;
제 47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의 후방 이송카를 도시한 사시도;
제 48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의 후방 이송카가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49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의 전방 이송카가 대기 테이블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50도는 도 1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제 51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분리 유니트의 평면도;
제 52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분리 유니트의 정면도;
제 53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분리 유니트가 양생기의 출측에 배치된 레이 아웃;
제 54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분리 유니트가 양생기의 출측에 배치된 측면도;
제 5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분리 유니트의 팔레트 고정수단의 아암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 56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분리 유니트의 팔레트 고정수단이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57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복귀 유니트의 팔레트 당김 유니트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58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복귀 유니트의 팔레트 도유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59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테이블상의 몰드에 콘크리트가 충진되기 이전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 60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진동 테이블상의 몰드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 61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에서 전자석에 보강 철재를 부착하는 부분과 진동판의 상하가 바뀌어 전자석이 하부측에 위치된 구성도;
제 62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조작 유니트에서 전자석에 보강 철재를 부착하는 부분과 진동판의 상하가 바뀌어 진동판이 하부측에 위치된 구성도;
제 63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에서 이송 카에 팔레트와 콘크리트 제품을 이송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64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주조 유니트에서 진동 유니트에 몰드를 배치하기 위하여 몰드를 상부측으로 부터 하부측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 65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에서 후방 이송카가 대기 테이블로 전진이동하여 그 하부측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동작 설명도;
제 66도는 본 발명에 갖춰진 이송 유니트에서 후방 이송카가 팔레트와 콘크리트 제품을 대기 테이블로 부터 양생기측으로 이송시키는 동작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MPS Concrete manufacturing system)
10... 조작 유니트 14.... 이동 프레임
16... 승강 블럭 18.... 진동 모터
50... 철재 이송부 100.... 진동 유니트
102... 진동모터 104.... 편심 추
106... 진동 발생축 120.... 진동 테이블
130.... 고무 완충재 150.... 유압 클램프부
200.... 충진 유니트 210a,210b.... 호퍼
215.... 레일 220... 대차
230... 표면 마감수단 250... 슈트
280... 표면 전처리 수단 300.... 주조 유니트
322.... 승강 브리지 360.... 도유부
400.... 양생기 450.... 이송 유니트
500.... 분리 유니트 515.... 프레임
550.... 팔레트 고정 수단 570.... 구동 모터
600.... 팔레트 복귀유니트 610.... 복귀 레일
650.... 팔레트 도유부 800.... 콘트롤러
B.... 콘크리트 제품 K.... 팔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프레임의 내측에 승하강가능하도록 승강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에는 진동 모터들이 구비되어 몰드의 상부면을 진동시키는 조작 유니트;
내부에 복수의 진동모터들과 편심 추들을 다수개 구비한 복수의 진동 발생축들을 구비하여 그 상부에 놓여진 몰드에 하부측으로 부터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유니트;
상기 몰드의 상부측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호퍼들을 구비하고, 상기 호퍼들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콘크리트 혼합물들이 담겨져서 몰드내에 정해진 량의 서로 다른 콘크리트들을 공급하는 충진 유니트;
상기 진동 유니트상의 몰드위로 팔레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몰드와 팔레트를 집어 올려서 회전시킨 다음, 이를 탈형부에 위치시켜 팔레트상에 제품을 탈형시키는 주조 유니트;
상기 주조 유니트의 출측에서 몰드로 부터 탈형된 미양생 콘크리트 제품과, 이를 상부면에 적재한 팔레트들의 적재물을 터널형의 양생기로 통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과 푸셔 실린더를 구비한 이송 유니트;
상기 양생기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팔레트상의 양생된 콘크리트 제품을 집어 이동시키는 집음부와, 상기 콘크리트 제품이 제거된 팔레트를 들어올리는 팔레트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분리 유니트;및
상기 분리 유니트로 부터 주조 유니트로 향하여 하향 경사되어 그 위에 얹어진 팔레트들이 하향 경사를 따라서 자중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귀 레일을 구비한 팔레트 복귀유니트;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제품을 자동으로 주조및 양생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제품을 몰드내에 자동으로 충진하여 주조하고, 이를 양생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2종류의 콘크리트 혼합물들을 각각 내부에 담고, 이를 몰드에 일정 비율로 충진가능한 복수의 호퍼;
상기 호퍼들이 장착되고 상기 몰드로 향하여 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대차;및
상기 호퍼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몰드상의 콘크리트면에서 회전하는 디스크부재를 구비하여 몰드에 충진된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하는 표면 마감수단;을 구비하여 몰드내에 상기 2종류의 콘크리트들을 충진하여 다기능을 가진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을 주조하고, 그 표면을 마감처리하는 충진 유니트를 제공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MPS Concrete manufacturing system)(1)은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연속적인 폐쇄회로식 순환 제작공정을 이룬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생산 시스템은 단순화된 생산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B)들을 생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제품(B)의 생산을 증대시키거나,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본 시스템을 확장할 많은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단지 2-3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작동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몰드(5)상에 올려진 콘크리트 제품(B)의 표면위에 진동을 부여하거나, 몰드(5)의 내부에 중량의 보강 철재등을 들어서 올려놓을 수 있는 조작 유니트(10)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레일(12)상에서 이동가능한 프레임(14)의 내측에 승,하강가능하도록 승강 프레임(16)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16)에는 진동 모터(18)들이 구비되어 몰드(5)의 상부면을 진동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도 3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콘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되어지는 구동 모터(22)를 구비한 이동 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14)은 지지대(12a)에 의해서 일정 높이에서 수평 배치된 레일(12)상에서 이동가능한 휠(14a)들을 갖추어 전,후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이동 프레임(14)의 하부측으로 수직 프레임(20)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도 6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내면에 각각 수직 가이드(26)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가이드(26)내에서 승하강이동가능한 승강 프레임(1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유압 실린더(30)를 갖는다.
상기 유압 실린더(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로드(30a)에는 와이어 로프(32)들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 로프(32)는 승강 프레임(16)의 양측에 배치된 회전 시브(34)들에 감겨서 각각 하향 연장되며, 그 끝단은 각각 승강 프레임(16)의 양측에 배치된 승강 블럭(16a)들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 블럭(16a)은 수직 프레임(20)의 수직 가이드(26)내에서 승하강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승강 블럭(16a)에는 승강 프레임(16)의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유압 실린더(30)의 작동은 와이어 로프(32)들과 회전 시브(34)들을 통하여 승강 프레임(16)을 상하로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승강 프레임(16)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일측의 승강블럭(16)에 회전 모터(36)를 구비하는 바, 상기 회전 모터(36)는 감속기(38)를 통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16)의 축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모터(36)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모터이거나, 유압으로 동작되어지는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그 일측면에 진동 상부판(42)과 이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모터(18)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진동 모터(18)를 작동시켜서 진동 상부판(42)을 동작시키고, 이는 몰드(5)의 상부면에서 콘크리트를 진동시켜 콘크리트 혼합물의 다짐을 이룬다.
이러한 진동 모터(18)와 진동 상부판(42)은,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충진 유니트(200)에 의해서 표면 처리되어지는 콘크리트 제품(B)의 표면상에 일정 윤곽이나 패턴(대략 10mm 깊이)을 가압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상기 승강 프레임(16)의 반대측, 즉 진동 상부판(42)의 반대측에서 보강 철재(46)를 이송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선택부분인 철재 이송부(50)를 구비한다.
상기 철재 이송부(50)는 작업자가 들기에는 너무 무거운 중량의 보강철재(46)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자석(48)을 구비하여 보강 철재(46)를 집어 들고, 이를 몰드(5)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장치의 기능은 전기적 제어 시스템내에 수용되어진다.
즉, 상기 철재 이송부(50)는 승강 프레임(16)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매달린 전자석(48)들을 구비하여 자성체로 이루어진 보강 철재(46)들을 부착시키고, 이를 몰드(5)로 이동시켜서 그 내부에 장착한다. 상기 보강 철재(46)는 콘크리프 제품의 내부에서 콘크리트 제품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조작 유니트(10)를 이용하여 몰드(5)의 내부로 운반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게 감소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에 복수의 진동모터(102)들과 편심 추(104)들을 다수개 구비한 복수의 진동 발생축(106)들을 구비하여 그 상부에 놓여진 몰드(5)에 하부측으로 부터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유니트(100)를 구비한다.
상기 진동 유니트(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바닥의 하부측으로 피트(101)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측의 몰드(5)에 일정 주파수의 진동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유니트(100)는 그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레일(215)을 구비하며, 이는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충진 유니트(300)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다.
이 진동 유니트(100)의 테이블(120)은 도 15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2개의 축(106)들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다수개의 편심 추(104)들을 갖고, 테이블(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전기 모터(102)들에 의해서 구동된다. 상기축(106)들의 속도는 대략 4500rpm 이며, 이 진동의 강도는 상기 편심 추들에 의해서 조절되어진다.
상기 진동 테이블(120)의 표면상에는 도 16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완충재(130)들이 부착되고, 이들은 몰드(5)가 그 상부에 장착되는 경우, 소음 감쇄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상기 몰드(5)는 진동 테이블(120)상에서 그 측방에 마련된 유압 클램프부(150)에 의해서 고정되어지며, 이는 신속하게 동작되어진다.
즉, 상기 몰드(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테이블(12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몰드(5)의 양측에는 각각 복수의 걸고리(122)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122)들에는 진동 테이블(120)의 양측에 각각 이에 대응하여 배치된 유압 클램프부(150)의 유압 실린더(124)들의 로드(124a)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진동 테이블(120)의 고무 완충재(130)상에 몰드(5)가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주조 유니트(300)에 의해서 올려지게 되면, 상기 진동 유니트(100)는 유압 실린더(124)들을 작동시켜서 그 로드(124a)가 돌출되도록 하고, 그 로드(124a)에 걸고리(122)들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3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테이블(120)상에 몰드(5)가 견고히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동 테이블(120)은 콘크리트 제품의 높이 400 및 800mm 에 대해서 2가지의 다른 높이를 갖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의 변경은 테이블(120)의 하부에 지지대(160)를 부가하거나 제거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상기 테이블(120) 하부의 피트부분은 높은 높이의 몰드(5)에 대해서 테이블(120) 위치를 낮추기 위해서 충분히 깊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유니트(100)에 사용되어지는 모터(102)들은 전기적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제품에 대해서 최적의 진동이 설정될 수 있다. 3000 내지 5000 rpm에 걸친 2개의 진동 축들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시스템이 콘트롤러(800)에 내장된다.
상기 진동 유니트(100)는 모터(102)의 회전으로 축(106)들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축(106)들에 매달린 편심 추(104)들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진동 테이블(120)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축(106)에서 발생되어지는 편심 추(104)에 대한 원심력으로 인하여 일정 주파수의 진동이 진동 테이블(120)에 부여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몰드(5)의 상부측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호퍼(210a)(210b)들을 구비하고, 상기 호퍼(210a)(210b)들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콘크리트 혼합물들이 담겨져서 몰드(5)내에 정해진 량의 서로 다른 콘크리트들을 공급하는 충진 유니트(200)를 구비한다.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도 19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2종류의 콘크리트 혼합물들을 각각 내부에 담고, 이를 몰드(5)에 일정 비율로 충진가능한 복수의 호퍼(210a)(210b)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호퍼(210a)(210b)들을 상부측에 장착하고서 몰드(5)로 향하여 레일(215)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대차(22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몰드(5)내에 상기 2종류의 콘크리트들을 충진하여 다기능을 가진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B)을 주조하고, 그 표면을 마감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대차(220)는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된 레일(215)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다수의 휠(221)들을 대차(220)의 하단에 장착하고, 상기 휠(221)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2개의 유압 모터(217)에 의해서 유압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일성분의 콘크리트가 충진되어지는 호퍼(210a)가 대차(220)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고, 호퍼(210a)의 하부측으로 배출된 콘크리트들은 호퍼(210a) 하부의 콘베이어 밸트(240)의 도움으로 이동되어 대차(220)의 전방측에 배치된 슈트(250)로 제공되며, 상기 슈트(250)로 부터 몰드(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충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이 호퍼(210a) 내측의 밸트(240)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무한 궤도형상으로 밸트(240)를 회전시키며, 상기 밸트(240)가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호퍼(210a)의 하부측에는 다수의 롤러(241)들이 밸트(240)를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밸트(2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트(240)가 걸리는 회전 시브(242a)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243)가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 시브(242a)(242b)상에 걸린 밸트(240)를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밸트(240)는 다수개의 롤러(241)들에 의해서 지지되어 호퍼(210a)로 부터 낙하된 콘크리트를 전방측의 슈트(250)로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호퍼(210a)의 전방측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서 필요한 계측 높이로 조정될 수 있는 장입 슈트(250)가 배치되며, 이 슈트(250)를 통하여 혼합물은몰드(5)내로 균일하게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장입 슈트(250)는 밸트(24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반액, 반고체상의 콘크리트를 받는 것으로서, 밸트(240)가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하여 장입 슈트(250)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장입 슈트(250)는 그 하단에 개폐문(251)을 갖추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실린더(253)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실린더(252)의 로드와 개폐문(251)을 연결하는 래크기어(257a)를 갖추고, 상기 래크 기어(257a)에 치차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257b)를 대차(2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실린더(252)의 작동은 피니언 기어(257b)에 의해서 직선적으로 지지되는 래크기어(257a)를 통하여 상기 개폐문(251)을 슬라이딩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개폐문(251)이 작동되어짐으로써 상기 슈트(250)로 부터 몰드(5)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몰드(5)는 충진 유니트(200)의 이동 양방향으로 충진될 수 있다. 즉, 충진 유니트(200)가 전진하면서 충진하고, 그리고 후진하면서 몰드(5)내를 충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는 몰드(5)내에 단 한번의 낙하로 또는 2동작으로 구분되어 충진될 수 있다. 이는 만일 보강 재료들이 콘크리트 층들 사이에 삽입되어야 한다거나, 혹은 양호한 다짐작동이 고품질의 제품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중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입 슈트(250) 출구의 폭은 그 내부의 조절가능한 격벽(254)들에 의해서 1.2m 내지 0.6m에 걸쳐서 조절가능한 것이다.
상기 격벽(254)들은 그 좌,우측에 위치된 폭 조정 실린더(254a)들에 의해서그 하단 출구의 사이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몰드(5)의 폭에 따른 크기로 콘크리트를 몰드(5)상에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격벽(254)들은 폭 조정 실린더(254a)들의 작동으로 그 하단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기 위하여 상기 격벽(254)의 상단에는 각각 회전축(254b)들을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격벽(254)들은 폭 조정 실린더(254a)가 작동하면 회전축(254b)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그 출구 폭을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회전형 마감 디스크(232)를 구비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을 평활화한다. 이 장치는 공급 밸트(240)의 하부측에 위치되며, 콘크리트의 표면으로 부터 대략 12cm 위로 이동가능하다. 콘크리트 혼합물이 진동에 의해서 충분하게 다져졌을 때, 상기 디스크 부재(232)는 하강되어 몰드(5)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즉,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도 19, 도 31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210a)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몰드(5)상의 콘크리트면에서 회전하는 디스크부재(232)를 구비하여 몰드(5)에 충진된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하는 표면 마감수단(230)을 갖는다.
상기 표면 마감수단(230)은 대차(220)상에 장착된 복수의 승강 실린더(234)들과 아암(234a)들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 부재(232)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236)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아암(234)들은 각각 그 단부에 핀(237)들을 장착하여 대차(220)와 디스크 프레임(239)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고, 그에 따라서 승강 실린더(234)의 작동으로 디스크 프레임(239)의 모터(236)와 디스크 부재(232)는 상하로 승하강한다.
상기 디스크 부재(232)는 모터(236)의 축에 연결되고, 그 외측은 베어링(232a)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디스크 부재(232)는 모터(236)의 작동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몰드(5)의 표면 마감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동은 작업자의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제품의 표면 마감을 평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상기 호퍼(210a)에 담긴 일성분의 콘크리트와는 다른 콘크리트 혼합체를 담는 부가적인 제 2호퍼(210b)를 구비한다.
상기 제 2호퍼(210b)는 도 20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콘크리트 호퍼(210a)에 연이어서 고정되어질 수 있고, 2종류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제품들에 대한 2차 콘크리트 혼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 2호퍼(210b)는 상기 대차(220)의 후방측에서 제 2대차(260)상에 장착되며, 제 2대차(260)는 상기 대차(220)에 대하여 브라켓트(262)및 핀(262a)을 통하여 연결되며, 그 하단에는 다수의 휠(221)들을 갖추어 레일(215)상에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호퍼(210b)는 그 하단에 개폐문(269)을 구비하여 원하는 시점에 몰드(5)상에 상기 제 1호퍼(210a)에 담긴 콘크리트 혼합물과는 다른 성분의 콘크리트 혼합물을 충진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콘크리트 혼합물은 제 2호퍼(210b)로 부터 몰드(5)의 내부로 도입되고, 동시에 몰드(5)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작동은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콘트롤러(800)에 의해서 조정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도 20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220)의 전방측에 표면 전처리 수단(28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콘크리트 표면의 마감 작동을 강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몰드(5) 상부측의 콘크리트의 1차 표면 마감및 정리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유압 구동식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콘크리트 표면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고, 2개의 편심 축(282)들 상에 매달려 있다. 상기 유압 구동식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에 유압 모터(284)가 체인 구동부(285)와 함께 장착되어 밀대(280a)가 몰드(5)의 표면상에서 선회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승하강하기 위하여 다수의 승강 실린더(286)들과 아암(288)들에 의해서 대차(220)의 전방에 연결된다. 이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288)들이 그 양단에 각각 핀(288a)들을 장착하여 대차(220)의 전면 슈트(250)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다수의 승강 실린더(286)들에 의해서 승하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대차(220)의 이동중에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상의 콘크리트 혼합물 위에 밀대(280a)가 올려지고, 그 표면상에서 선회함으로써 콘크리트 표면을 평탄하게 한다.
상기 유압 구동식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유압 모터(284)가 동작하면, 그 회전축에 연결된 체인 구동부(285)들을 통하여 2개의 양측의 프레임내에 마련된 편심축(282)들을 회전시키고, 상기 편심축(282)의 하단에 양측 상부면에 연결된 밀대(280a)를 일정 궤도에서 회전반경을 갖고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대(280a)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혼합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고무판(280b)이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대차(220)의 전,후방에 대차(220)가 레일(215)상을 이동하는 경우, 각각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레버(291)들을 대차(220)의 전,후방에 장착하고 있다. 상기 안전 레버(291)들은 각각 대차(220)의 전,후방에서 돌출된 상태이고, 그 상부측은 각각 상기 안전 레버(291)에 의해서 동작하는 각각 리미트 센서(293)들을 구비하여 대차(220)의 운행중에 작업자가 상기 안전 레버(291)에 접촉되면, 그 상단의 리미트 센서(293)가 동작하여 상기 대차(220)의 운행을 즉시 정지시키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대차(220)의 운행중에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 유니트(100)상의 몰드(5)위로 팔레트(K)를 위치시키고, 상기 몰드(5)와 팔레트(K)를 집어 올려서 회전시킨 다음, 이를 탈형 위치에 이동시켜 팔레트(K)상에 제품을 탈형시키는 주조 유니트(300)를 구비한다.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형 프레임(310)을 갖추며, 이는 지지대(302)상의 일정높이의 레일(312)위에서 이동가능하며, 몰드(5) 및/또는 팔레트(K)를 집는다. 이 프레임(310)은 회전수단(320)에 의해서 180°회전가능한 승강 브리지(322)를 가지며, 상기 승강 브리지(322)은 유압 실린더(330)와 철제 와이어 로프(332)에 의해서 승하강 되어질 수 있다.
이 승강 브리지(322)는 빈 팔레트(K)를 집기 위한 4 실린더들을 가지며, 몰드(5)를 집기 위한 4 개의 실린더들을 갖는다.
즉,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도 37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형 프레임(310)의 상부측에 복수의 구동 모터(372)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372)들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복수의 휠(372a)들을 레일(312)상에 구비하여 그 위를 가변 속도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문형 프레임(310)의 상부측에 유압 실린더(330)를 구비하고, 그 로드(331)에는 철제 와이어 로프(332)를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 로프(332)들은 다수의 회전 회전 시브(334)들을 통하여 문형 프레임(3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332)들의 하단은 각각 승강 브리지(322)의 양측에 마련된 승강 블럭(324)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330)의 작동은 승강 블럭(324)등을 통하여 승강 브리지(322)의 승하강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승강 블럭(324)은 문형 프레임(310)의 중앙에 마련된 수직 가이드(313)내에 위치되어 승하강이 가능한 것이고, 이와 같은 승강 블럭(324)에 의해서 이동되어지는 승강 브리지(322)는 몰드(5), 콘크리트 제품(B)및 팔레트(K)들을 고정하여 승하강 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승강 브리지(322)에 의해서 권상되어지는 중량은 대략 5,000Kg로 제한된다.(팔레트 무게 400Kg; 제품의 최대 무게 2,000Kg; 몰드 2,600Kg )
상기 승강 브리지(322)는 도 35, 도 36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의 구조를 갖추고, 그 양측에는 각각 빈 팔레트(K)를 집기 위한 2 실린더(328)들을 가지며, 몰드(5)를 집기 위한 2 개의 실린더(326)들을 구비함으로써 빈 팔레트(K)를 집기 위한 4 실린더(328), 몰드(5)를 집기 위한 4 개의 실린더(326)들을 갖는다.
상기 몰드(5)를 고정시키기 위한 실린더(326)는 승강 브리지(322)의 내측에 마련된 복수의 유압 실린더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로드(326a)들이 각각 몰드(5)의 양측부에 마련된 브라켓트(6)의 구멍(6a)에 끼워짐으로써, 승강 브리지(322)의 내측에서 몰드(5)를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승강 브리지(322)의 사각 프레임은 몰드(5)를 감싸는 크기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328)는 각각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그 로드(328a)는 각각 누름편(329)을 회동시켜서, 상기 누름편(329)이 팔레트(K)의 양측 모서리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누름편(329)은 승강 브리지(322)의 양측에서 각각 그 중간 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미도시) 연결되고, 상기 로드(328a)가 누름편(329)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실린더(328)의 작동은 누름편(329)을 회동시켜서 팔레트(K)를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승강 브리지(322)는 몰드(5) 및/또는 팔레트(K)를 각각 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의 자동 도유를 위한 부가적인 선택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도유부(360)는 도 38, 도 39 및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브리지(322)상에 장착되어지는 이동식 암(362)을 포함한다.
상기 암(362)은 ┏┓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는 승강 브리지(322)의 폭 방향에 걸쳐서 그 상부에 위치되며, 승강 브리지(322)의 양측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레일(364)을 따라 이동하도록 휠(미도시)이 양측 단부에 장착되고, 일측에는 상기 휠을 구동하는 전기식 모터(36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366)의 작동은 승강 브리지(32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암(362)이 이동하는 구조이고, 상기 암(362)에는 다수의 분사 노즐(368)들이 장착된다.
상기 분사 노즐(368)에서는 이형제가 분사되는 것으로서, 이는 빈 몰드(5)를 진동 유니트(100)로 복귀시키는 때에, 모터 구동식 암(362)은 몰드(5)상으로 이동하고, 분사 노즐(368)들은 동작을 개시하며, 승강 브리지(322)의 내측에 위치된 몰드(5)의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후에 콘크리트 혼합물이 충진되어 성형된 다음, 이를 탈형하는 경우 쉽게 몰드(5)로 부터 콘크리트 제품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사 노즐(368)은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서 분사작동을 중단하며, 이와 같이 작동이 정지되면, 승강 브리지(322)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대기상태로 배치되며, 이는 작업자에 의해서 소프트 웨어상에서 선택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지 주조 유니트(300)는 와이어 로프(332)의 파단의 경우에 대비하여 승강 가이드상에 안전 수단(미도시)이 장착되어진다. 상기 안전 수단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2003.5.28일자로 특허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2003-33962호의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에서 적용된 추락방지수단과 유사한 구조및 작동 메카니즘을 갖추고 있다.
본 안전수단은 라체트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 브리지(322)의 승강 블럭(324)에는 일측에 유압 작동식 스톱 실린더가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는 래치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 블럭(324)이 안내되는 수직 가이드(313)에는 일측에 다수의 걸림치차들을 구비한 걸림 바가 장착되어 상기 스톱 실린더의 작동으로 래치가 걸림 치차에 걸리도록 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승강 브리지(322)의 하강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스톱 실린더가 작동하여 래치가 걸림 치차(cog)에 결합하여 승강 브리지(322)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한다.
즉, 승강 브리지(322)가 몰드(5), 콘크리트 제품(B) 또는 팔레트(K)들을 들어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경우, 돌발적으로 와이어 로프들이 파단되거나 유압 실린더의 오동작으로 낙하하게 되면, 상기 안전장치로 인하여 승강 브리지의 추락을 방지하게 되며,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안전장치로 인하여 작업자가 본 승강 브리지(322)의 하부측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승강 브리지(322)를 공중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320)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320)은 도 35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20a)의 내측에 내장된 유압 모터(320b)의 회전축에 구동 기어(320c)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 기어(320c)에 결합하는 중간 기어(320d)와,종동 기어(320e)를 구비하며, 상기 종동 기어(320e)의 회전축이 상기 승강 브리지(322)의 회전축(322a)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 브리지(322)의 회전축(322a)은 승강 블럭(324)내의 베어링(미도시)을 관통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압 모터의 작동은 구동 기어(320c)와 종동 기어(320e)들을 통하여 상기 승강 브리지(32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승강 브리지(322)에 장착된 몰드(5), 콘크리트 제품(B) 또는 팔레트(K)들은 모두 상기 회전수단(320)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것이다.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수동 및 자동으로 동작가능하며, 상기 구동 모터(372)들은 주파수 변환기에 의해서 제어되어 가변속도로서 레일(312)상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브리지(322)의 상승및 경사작동(tilting)은 비례제어밸브들을 통하여 유압 실린더(330)와 모터(320b)를 작동시켜 유압으로 제어되고, 이러한 동작은 어떠한 덜컹거림(jolts)도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과정에서 동작 검출센서(미도시)들의 도움으로, 콘트롤러(800)는 마지막 밀리미터까지 승강 브리지(322)가 하강된 위치를 알수 있고, 또한 본 장치는 빈 팔레트(K)를 복귀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주조 유니트(300)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은 콘트롤러(800)의 기억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러는 작동 시켄스를 모사시험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각각의 콘크리트 제품에 대하여 그것들 마다에 할당된 수 만큼 대응하여 작동하고, 그 결과를 기록할 수 있다. 그 다음, 콘트롤러는 모든 변수들을 받아들이고, 장치들을 프로그램과 독립하여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작동 시켄스는 콘트롤러(800)의 디스플레이상에서 보여질 수 있고, 필요한 제품 데이터는 ISO 9001/9002에 따라서 기록되어질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2가지 다른 제품들에 대해서 적어도 2가지 다른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추가적인 조절은 사용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고, 양질의 표면 마감을 얻기 위하여 표면 처리되어진 후, 빈 팔레트(K)를 진동 테이블(120)에 위치한 몰드(5)상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상기 몰드(5)와 콘크리트 제품및 팔레트(K)들을 전체적으로 클램프하고, 상승시켜 회전시킨다.
그 다음,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도 34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혼합물이 충진된 몰드(5)와 함께 팔레트(K)를 탈형위치로 이동시키고, 제품을 전방 이송 카(452)상에 탈형시킨다. 그곳에서 제품이 검사되고 마감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를 진동 테이블(120)의 상부로 다시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이송 유니트(450)의 후방 이송 카(458)상의 콘크리트 제품과 팔레트(K)를 집어서 이송 레일(455) 또는, 이미 이송 레일(455)상에 다단으로 올려진 팔레트 파일상에 적재시킨다.
다음 단계로 주조 유니트(300)는 빈 발레트(K)를 집는다. 이는 복귀 레일(610)상에서 집게되고, 콘크리트 혼합물이 충진되는 몰드(5)의 상부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조 유니트(300)의 출측에서 몰드(5)로 부터 탈형된 미양생 콘크리트 제품(B)과, 이를 상부면에 적재한 팔레트(K)들의 적재물을 터널형의 양생기(400)로 통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455)과 푸셔 실린더(480)를 구비한 이송 유니트(450)를 갖는다.
상기 이송 유니트(450)는 주조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되는 미양생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받는 전방 이송 카(452)와, 그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방 이송 카(452)로 부터 미양생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받는 대기 테이블(460)을 갖추고, 상기 대기 테이블(460)의 후방에서 미양생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받는 후방 이송 카(458)를 갖는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 카(458)의 후방측으로는 양생기(400)가 배치되고, 상기 양생기(400)의 내부에서 다단으로 적재된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레일(455)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푸셔 실린더(480)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이송카(452)와 후방 이송카(458)들은 서로 그 구조및 작동메카니즘이 동일하고, 단지 그 작동 방향만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전방 이송카(452)에 대해서만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후방 이송 카(458)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 이송카(452)는 도 43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적재할 수 있는 대차 구조를 갖추고, 상기 이송 카(452)의 하단에는 레일(456)상에서 활주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휠(454)들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휠(454)은 구동 모터(453)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구동 모터(453)의 작동으로 전방 이송 카(452)는 레일(454)상에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이송 카(452)는 그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하부측으로 절첩식 아암(457)을 구비한다. 상기 절첩식 아암(457)은 일측이 바닥에 힌지축(457a)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전방 이송 카(45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전방 이송 카(452)는 레일(456)상에서 아암(457)의 절첩 거리만큼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대기 테이블(460)를 향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아암(457)이 확장된 상태의 지점에는 도 45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기 테이블(460)이 배치된다.
상기 대기 테이블(460)은 레일(456)의 양측에 각각 하나의 유닛이 배치되어 1조가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들 유닛들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서로 동기하여 작동한다.
상기 대기 테이블(460)은 상단 받침대(462)가 하부 고정대(466)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수개의 유압 실린더(464)들이 상기 받침대(462)와 고정대(466)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462)의 하단은 ㄷ형의 단면 구조를 갖추어 고정대(466)를 감싸도록 배치된 것이어서, 상기 대기 테이블(460)은 유압 실린더(464)들이 작동하면, 고정대(466)에 대하여 받침대(462)를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기 테이블(460)의 후방측에 배치된 후방 이송 카(458)는 전방이송 카(452)에 대향 배치된 것으로서, 대기 테이블(460)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전방 이송 카(452)와 대기 테이블(460)및 후방 이송 카(458)들은 상기 주조 유니트(300)에 의해서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가 일정한 타이밍에 맞추어 제 1, 제 2및 제 3 대기위치에서 잠시 머물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 1, 제 2및 제 3 대기위치들을 통하여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가 잠시 머므르는 동안 작업자들은 콘크리트 제품(B)의 표면 상태가 불량한 부분을 손볼수 있는 작업상의 여유 공간을 가지게 된다.
즉,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가 제 1, 제 2및 제 3 대기위치들을 차례로 이동하여 거치게 됨으로써 완전한 표면품질을 가진 콘크리트 제품이 생산되어질 수 있고, 작업 공정상의 최적의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제 1 대기위치는 전방 이송 카(452)의 상부측에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가 올려지는 위치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 1대기 위치로 부터 상기 전방 이송카(452)가 이동하여 대기 테이블(460)로 이송하게 되며, 상기 대기 테이블(460)이 제 2대기위치로 된다. 이와 같이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가 대기 테이블(460)로 이송되면, 대기 테이블(460)은 유압 실린더(464)가 동작하여 받침대(462)의 높이를 낮추게 되고, 이와 같이 낮아진 높이의 대기 테이블(460)위로 전방 이송카(452)의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들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기 테이블(460)은 다시 유압 실린더(464)가 동작하여받침대(462)를 상승시킴으로써 받침대(462)상에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들을 전방 이송카(452)로 부터 들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전방 이송카(452)는 최초의 상태, 즉 제 1대기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제 2대기 위치에서 일정 타이밍을 정지한 다음에는, 상기 후방 이송카(458)는 대기 테이블(460)의 하부측으로 이동하여 대기 테이블(460)상의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하부측으로 위치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대기 테이블(460)의 유압 실린더(464)가 작동하여 받침대(462)의 높이를 낮추게 되면, 대기 테이블(460)로 부터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들이 후방 이송 카(458)의 상부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방 이송 카(458)는 양생기(400)측으로 이동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제 3위치에 대기한다.
이와 같이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는 제 1,2,3 대기위치들을 통과하면서 그 표면이 작업자에 의해서 손질가능하고, 그 표면이 최종 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공정의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으며, 대기에 의한 초기 양생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이송 유니트(450)는 후방 이송카(458)가 위치된 지점, 즉 제 3대기위치에서 주조 유니트(300)에 의해서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집어서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푸셔 실린더(480)의 걸림 레버(484)가 위치하는 레일(455)상에 다층으로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유니트(450)는 이와 같이 레일(455)상에서 다층으로 적층된 미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들의 파일 적층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후방 이송 카(458)의 후방측에 푸셔 실린더(480)를 구비한다.
상기 푸셔 실린더(480)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기(400)의 내부에 위치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다단으로 적치한 레일(455)상에서 이들 양생기(400)의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푸셔 실린더(480)는 그 로드(482)에 ㄷ형의 걸림 레버(484)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 레버(484)의 끝단에는 각각 돌기(484a)들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455)상에 올려진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적층 파일을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푸셔 실린더(480)에 의해서 당겨진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적층 파일들은 양생기(40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서 이미 그 내부에 위치된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적층 파일을 순차적으로 밀어서 양생기(400)의 반대측 출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 유니트(450)는 콘베이어 밸트가 아닌 하부 팔레트(K)가 롤러를 갖고서 레일(455)상을 굴러 이동하는 원리에서 동작하고 있다. 이러한 롤러들을 갖는 팔레트(K)를 사용하면, 하부 팔레트(K)는 원만한 경사의 레일(455)상을 전방으로 활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유니트(450)는 팔레트(K)상의 콘크리트 적재물이 마감된 상태에서 손상받지 않고, 유압 공급 메카니즘에 의해서 전방으로 서서히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콘크리트 제품(B)을 상부면에 실은 팔레트(K)는 가압 철재로 이루어지고, 재료들이 긴장되지 않도록 용접되어진다. 상기 팔레트(K)는 이러한 특별한 용접에 의해서 그 형상이 유지되어지고, 균일하게 배분되어진 고 하중을 견딜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팔레트(K)들은 아래와 같은 2가지 방식을 갖추고, 이송 시스템에서 필요한 것이다.
A 타입: 레일상에 지지되는 팔레트
B 타입: 스페이서(Ka)들을 구비한 팔레트
팔레트 적층 파일은 하나의 A 타입과 몇장의 B 타입들로 이루어진다. 여분의 A 타입의 팔레트들이 본 싸이클에 필요하고, 팔레트(K)들이 이동되어지는 순서는 항상 동일하다.
상기 A 타입의 팔레트는 그 하면에 다수개의 휠 또는 롤러들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레일(455)상에서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이와는 다른 B 타입의 팔레트는 그 하면에 휠 또는 롤러를 장착하는 대신에, 다리부재(Leg)들로 이루어진 스페이서(Ka)를 다수개 장착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Ka)들은 예를 들면, A 타입의 팔레트상에 B 타입이 위치하는 경우, A 타입의 상부면에 스페이서(Ka)가 지지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B 타입의 팔레트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Ka)에 의해서 형성되는 간격에는 콘크리트 제품(B)이 위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대략, 40개의 타입 A 팔레트와 156의 타입 B 팔레트들이 이송 유니트(450)에 필요하며, 따라서 전체 팔레트 수는 196가 될 수 있다. 하나의 팔레트(K)에 허용되는 하중은 균일하게 배분되는 경우, 1,500Kg 이며(이는 2000Kg 까지 증가가능함) 사용가능한 길이는 5200mm 이고 폭은 1250mm 이다.
최대제품 높이는 400mm이고, 이는 다른 스페이서(Ka)들을 사용하면 400-800mm의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니트(450)에 의해서 레일(455)상에 적층된 다수개의 팔레트(K)들과 콘크리트 제품(B)의 적층 파일은 푸셔 실린더(480)에 의해서 양생기(40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다수개의 팔레트(K)들과 콘크리트 제품(B)의 적층 파일이 통과하는 양생기(400)는 도 41및 도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터널구조를 갖추고, 세멘트의 양생시 발생하는 수화열을 유지하게 된다. 양생기(400)의 터널 양측 단부는 플라스틱 시트(미도시)등으로 폐쇄되고, 일단 생산이 마쳐지면 닫쳐지며, 이는 소형 전기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개폐작업이 실행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제품(B)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적정 온도로 가열 양생시키는 양생기(400)는 터널 덮개의 구조를 갖추고, 그 내부에는 가열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그 내부를 통과하는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최적의 조건으로 양생시키는 것이다. 그 양생온도는 대략 30℃~60℃ 로서 양생기(400)의 입측으로 부터 출측으로 향하면서 다단으로 가열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가열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양생기(400)의 내부에 스팀 가열파이프(미도시)등이 배치되고, 양생기(400)의 외측에 보일러(미도시)등을 설치하여 상기 가열 파이프에 스팀등이 통과하도록 하여 양생기(400)의 내부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전기 저항 코일을 내부에 구비하여 양생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생기(400)를 구성하는 터널 덮개는 단열 판재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와 같은 가열 수단등에서 발생되는 열과, 콘크리트 제품(B)의 세멘트 성분이 양생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수화작용의 열을 그 내부에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터널 덮개의 양측단부들은 일단 양생기(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들이 통과하는 공간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플라스틱 판재(미도시)들로 닫쳐짐으로서 그 내부의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양생기(400)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팔레트(K)상의 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집어 이동시키는 집음부(510)와, 상기 콘크리트 제품(B)이 제거된 팔레트(K)를 들어올리는 팔레트 고정 수단(550)을 구비하여 레일(502)상에서 이동가능한 분리 유니트(500)를 갖는다.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도 50 내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기(400)의 출측에서, 본 장치는 팔레트(K)로 부터 양생된 제품을 분리시키고, 이를 정해진 장소의 바닥에 적재시킨다. 상기 팔레트(K)로 부터 콘크리트 제품(B)이 비워지면, 본 장치는 복귀하여 빈 팔레트(K)를 들어 올리고, 그것을 양생기(400)의 상부측 복귀 레일상에 올려 놓는다.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팔레트 적층 파일에서 하나의 팔레트(K)들을 제거하면, 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이 나타나게 되고, 이와 같은 콘크리트 제품(B)을 비우면 그 하부측의 팔레트(K)가 나타나는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들을 분리 수거할 수 있다. 이같은 경우, 상기 팔레트(K)의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Ka) 대신에 별도의 나무 받침이나, 폴리스틸렌 또는 다른 재료들을 필요한 경우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상기 양생기(400)의 출측에서 후방측에 공간이 있다면, 1일 생산 제품 전체를 배출 적재하고, 후에 적재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분리후, 팔레트(K)를 상승시켜 복귀 레일상에 올려 놓는다.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4개의 휠(505)에 의해서 레일(502)상을 구동하는 견고한 장치 프레임(515)으로서 구축되어 있고, 그 중의 2개의 휠(505)은 전기 모터(507)에 의해서 구동제어되며 주파수 제어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콘크리트 제품(B)을 그 협폭에 걸쳐서 고정하는 협폭 클램프 구조 및/또는 콘크리트 제품(B)의 광폭에 걸쳐서 고정하는 광폭 클램프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분리 유니트(500)의 프레임(515)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각의 측방 프레임에 각각 가이드 면(515a)을 구비하며, 여기서는 각각의 가이딩 블록(518)들이 승강되어진다. 상기 가이딩 블록(518)들 사이에는 리프팅 빔(522)이 매달리고, 그 곳에 5개의 제품 클램프를 구비한 집음부(510)와 팔레트 클램프 암들을 구비한 팔레트 고정 수단(550)들이 장착된다.
상기 리프팅 빔(522)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는 상기 프레임(515)의 상부측에 장착된다. 이는 브레이크 달린 구동 모터(570)로 이루어지고, 이는 주파수 제어된다. 그리고, 모터(570)는 기어 휠 시스템에 의해서 상승 샤프트(572)를 구동하며, 상승 샤프트(572)는 2개의 와이어 드럼(574)들을 회전시켜서 철재 와이어 로프(576)를 감는다. 만일 와이어 로프(576)이 늘어지면, 검출기는 구동 모터(570)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570)의 작동은 와이어 드럼(574)을 통하여 와이어 로프(576)를 감거나 풀고, 상기 와이어 로프(576)의 단부는 상기 가이딩 블록(518)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블록(518)들이 가이드 면(515a)을 따라서 승하강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는 가이드 블록(518)들 사이의 리프팅 빔(522)이 승하강하도록 하며, 상기 리프팅 빔(522)에 구비된 집음부(510)와 팔레트 고정수단(550)들이 승하강 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 유니트(500)는 집음부(510)와 팔레트 고정수단(550)들을 승하강시키면서 제품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상기 집음부(510는 콘크리트 제품(B)의 협폭에 걸쳐서 고정하는 2개의 고무 스트립(513)들을 쌍을 이루어 다수개 장착하고, 이들을 각각 작동시키는 유압 조임장치를 통하여 콘크리트 제품(B)의 협폭에 걸쳐서 집고, 팔레트로 부터 제품(B) 적치장에 내려 놓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도 51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빔(522)의 하부측에 나란하게 쌍을 이루어 다수 조의 가이드 레일(523)들이 고정된다. 이들은 도 51에서는 5조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523)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블럭(525)들을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상기 이동 블럭(525)의 하단에는 ㅛ 형의 연결바(527)를 통하여 그 하단에 각각 고무 스트립(513)들을 대향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1조를 이루는 가이드 레일(523) 마다에는 리프팅 빔(522)측에 각각 협폭 클램프 실린더(529)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복수개 장착하여 그 로드(미도시)를 상기 각각의 이동 블럭(525)들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협폭 클램프 실린더(529)들의 작동으로 이동 블럭(525)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이드 레일(523)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이동 블럭(525)에 고정된 연결바(527)와 고무 스트립(513)들이 가이드 레일(523)을 따라서 서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이동하여 그 사이에서 콘크리트 제품(B)의 측방을 클램핑하여 집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 제품(B)의 폭이 1250 mm 내지 750mm 에 걸쳐서 변화하는 것에 대해 집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협폭 클램프 실린더(529)들에 의해서 집혀지는 콘크리트 제품(B)은 그 폭을 미리 결정할 필요는 없고, 콘크리트 슬라브, 흡음 요소들과 같은 단일 형태의 콘크리트 제품(B)을 팔레트(K)로 부터 분리하여 조심스럽게 적재할 수 있다. 만일 5.2 미터의 콘크리트 제품(B)의 전체 길이를 집기 위하여는, 리프팅 빔(522)에 장착된 5조의 가이드 레일(523)과, 이동 블럭(525), 협폭 클램프 실린더(529)및, 고무 스트립(513)들이 상호 협력하여 콘크리트 제품(B)의 양측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이러한 협폭 클램프 구조 대신에 리프팅 빔(522)의 양측으로 또 다른 광폭 클램프 구조를 구비한다.
이는 제품 길이방향의 양단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팔레트(K)들로 부터 제품의 양단을 들어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는 팔레트(K)의 상부에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품들이 분할되어 성형된 경우, 이들을 일시에 들어서 팔레트(K)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프팅 빔(522)의 양측에는 각각 광폭 클램프 실린더(540)들이 배치되고, 그 로드에는 이동 블럭(542)이 상기 리프팅 빔(5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이동 블럭(542)에는 연결대(544)를 통하여 고무 스트립(546)이 리프팅 빔(522)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빔(522)의 중앙에는 각각 상기 광폭 클램프 실린더(540)들을 향하여 복수의 클램프 실린더(540)들이 배치되고, 이들의 로드에도 이동 블럭(542)들이 배치되며, 상기 이동 블럭(542)에는 각각 연결대(544)를 통하여 상기 리프팅 빔(522)의 양측단 고무 스트립(546)에 대향하도록 고무 스트립(546)들을 배치하여 이들 고무 스트립(546)들의 사이에서 콘크리트 제품(B)의 양단을 집게 된다.
따라서, 이들 광폭 클램프 구조는 상기 협폭 클램프 구조들 대신에 콘크리트 제품(B)을 집되, 그 양단을 집어서 팔레트(K)로 부터 들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팔레트(K)상의 2개의 제품(B)들 사이에는 대략 250mm 의 거리가 존재하여야만 한다. 상기 단부에서 제품을 집는 클램프들은 유압 작동식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은 콘트롤러(800)의 전기장치, 유압장치및 프로그램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팔레트(K)상에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B)이 성형되는 경우는, 협폭 클램프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품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협폭 클램프 구조를 사용한다. 그렇지만, 팔레트(K) 상에 소형의 다수의 콘크리트 제품(B)을 성형한 경우라면 이와 같은 광폭 클램프 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일시에 다량의 제품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선택사항은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서 제공되며, 이는 콘트롤러(800)상에서 선택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팔레트(K)로 부터 콘크리트 제품(B)을 분리한 다음, 팔레트(K)를 들어서 복귀시키기 위한 팔레트 고정수단(550)을 구비한다. 상기 팔레트 고정수단(550)은 도 51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15)의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딩 블럭(518)들의 전면에 각각 아암(552)들이 배치되고, 상기 아암(552)들에는 복수의 회동식 스토퍼(554)들과 이들을 작동시키는 회동 실린더(560)들이 장착된다.
상기 아암(552)은 상기 가이딩 블럭(518)의 전면으로 부터 돌출된 것이고, 그 중간과 단부에는 힌지(558)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식 스터퍼(554)들의 일단을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아암(552)의 상부에 장착되는 회동 실린더(560)들은 그 몸체가 상기 아암(552)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동 실린더(560)의 로드(562)는 상기 회동식 스토퍼(554)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동식 실린더(560)의 작동으로 힌지(558)를 중심으로 회동식 스토퍼(554)들이 아암(552)으로 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회전되며, 그에 따라서 상기 회동식 스토퍼(554)들이 상기 팔레트(K)의 양측을 협착하여 상기 아암(552)의 사이에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팔레트(K)의 양측단을 집을 수 있는 팔레트 고정수단(550)은 모터(570)의 작동으로 가이딩 블럭(518)들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적층 파일의 팔레트(K)를 집어서 들어 올리고, 이를 이후에 설명되는팔레트 복귀 유니트(600)에 제공한다.
상기 복귀 유니트(600)는 도 53,도 54및 도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유니트(500)로 부터 주조 유니트(300)로 향하여 하향 경사되어 그 위에 얹어진 팔레트(K)들이 하향 경사를 따라서 자중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귀 레일(610)을 구비한 팔레트 복귀유니트(6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팔레트 복귀유니트(600)은 복귀 레일(610)의 입측에 수평부(61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평부(615)는 분리 유니트(500)로 부터 팔레트를 집어서 복귀 유니트(600)상에 올려 놓는 부분으로서, 이는 복귀 유니트(600)가 하향 경사진 것에 반하여 수평으로 유지되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서는 팔레트(K)의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는 팔레트(K)가 정지한 상태이며, 이러한 수평부(615)에서 복귀 유니트(600)의 경사부분으로 팔레트(K)를 이동시키기 위한 팔레트 당김 유니트(620)가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팔레트 당김 유니트(620)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615)의 레일(610) 사이에서 고정대(622)상에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하는 체인(625)을 갖추는 바, 상기 체인(625)은 구동 모터(627)에 의해서 체인 가이드(630)상에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625)에는 팔레트 당김 블럭(632)이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627)에 의한 체인(625)의 회전은 상기 팔레트 당김 블럭(632)의 회전을 이루어 상기 팔레트 당김 블럭(632)이 팔레트(K)의 하면 모서리에 접촉하여 상기 수평부(615)의 레일(610)상에 올려진 팔레트(K)를 복귀 유니트(600)의 경사진 레일(610)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복귀 유니트(600)의 레일(610) 높이와 경사도는 조정가능한 것이다. 빈 팔레트(K)들은 복귀 레일(610)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주조 유니트(300)측으로 굴러 이동한다. 복귀 레일(610)은 양생기(400) 상부측의 사각 튜브형으로 이루어진 철제 구조물상에 구축되어 지고, 팔레트(K)들이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롤러(610)들은 플랜지(미도시)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 복귀유니트(600)에는 팔레트 도유부(6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팔레트 도유부(650)는 복귀 레일(610)의 수평부(615) 상부측에 장착되어지는 독립적인 장치이다. 이는 도 54및 도 5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구동되어지는 모터(660)에 의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철재 브러쉬(652)를 갖추어 팔레트(K)의 콘크리트 제품(B) 적재면으로 부터 콘크리트 잔유물을 소제하고 제거한다. 그리고, 위치조절 가능한 오일 니플(655)들이 윤활을 목적으로 대략 5m의 긴 길이의 파이프(657)를 따라서 배치된다. 오일은 가압 탱크(미도시)로 부터 제공된다.
이와 같은 오일은 팔레트(K)의 콘크리트 제품(B) 적재면에 오일 니플(655)로 부터 도유됨으로써 이후에 콘크리트 제품(B)이 실리게 되어도 쉽게 팔레트(K)로 부터 분리되어진다.
즉, 상기 팔레트 도유부(650)는 상기 분리 유니트(500)가 팔레트를 집어서 복귀 유니트(600)의 수평부(615)상에 올려 놓는 다음, 팔레트 당김 유니트(620)가 작동하여 수평부(615)상의 팔레트(K)를 복귀 레일(610)측으로 당겨 이동시키면, 이과정에서 팔레트 도유부(650)는 모터(660)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터(660)에 의해서 회전되어지는 철제 브러쉬(652)가 그 하부측을 이동하는 팔레트(K)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팔레트(K)의 표면으로 부터 콘크리트 잔유물을 제거시킨다. 이와 같이 철제 브러쉬(652)에 의해서 불필요한 콘크리트 잔유물이 제거되어지면, 오일 니플(655)로 부터 도유 오일이 하방으로 분사되어 팔레트(K)의 표면에 오일을 도유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과도한 오일 또는 상기 팔레트(K)의 표면으로 부터 벗어난 오일등은 상기 수평부(615)의 레일(610) 하부측에 위치된 오일 받이(664)들을 통하여 수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팔레트 당김 유니트(620)가 팔레트(K)를 복귀 레일(610)의 경사진 상부측에 올려 놓으면, 팔레트(K)는 복귀 레일(610) 트랙상에서 자중에 의하여 경사진 부분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주조 유니트(300)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고,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90)까지 차례로 이동된다.
미설명 부호는 자동 콘트롤러(800)로서, 이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소형 컴퓨터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사전에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유니트들을 자동제어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그 작동 프로그램이 콘트롤러(800)의 기억부상에 저장되어 생산 시켄스를 모사하고, 시험하도록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몰드(5)의 길이 세팅, 주파수에 대한 진동 세팅, 진동 시간, 충진 횟수및 평활화 공정등이 제품 특성에 맞추어 할당된 수를 사용하여 제품별로 기록될 수 있다. 동작상태의 시켄스는콘트롤러(800)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고, 생산 데이터는 출력부에서 기록되며, 콘트롤러에 의해서 각각의 몰드(5)가 인식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8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상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2가지의 다른 제품들에 대해서 적어도 2가지의 혼합물 성분들을 제공한다.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인 조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여러가지 센서, 리미트 스위치및, 전기적 신호 검출기들이 상기 콘트롤러(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기기들의 위치및, 동작 개시시점등 자동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콘트롤러에 제공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800)는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각종 유니트들, 예를 들면 주조 유니트(300), 충진 유니트(200), 분리 유니트(500)등을 포함한 본 발명의 모든 기기들을 사전에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화에 관련된 부분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이러한 기술들은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몰드(5)가 진동 테이블(120)상에 고정되고, 몰드(5)의 내면이 도38의 도유부(360)에 의해서 이형제등으로 세척되어 지고, 상기 몰드(5)의 내부에는 조작 유니트(10)에 의해서 콘크리트 보강 철물(미도시)들이 놓여지고, 충진 유니트(200)의 콘크리트 호퍼(210a)(210b)가 이동하여 콘크리트가 몰드(5)내로 낙하 충진되어진다.
상기에서 조작 유니트(10)는 철재 이송부(50)가 작동되어 전자석(48)들이 보강 철재(46)를 집어 들고, 이를 몰드(5)로 이동한다. 그리고, 몰드(5)내에 보강 철제(46)를 장착한 다음에는, 레일을 따라서 후진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게 감소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 충진 유니트(200)가 이동하여 콘크리트를 몰드(5)내로 낙하 충진시키게 된다. 즉, 도 59및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유니트(1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위치된 레일(215)을 따라서, 충진 유니트(300)가 이동하면서 콘크리트 혼합물을 몰드(5)의 내측에 충진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몰드(5)의 내부로 충진되어지는 콘크리트 혼합물은 그 제품의 특성에 따라서, 건식(DRY TYPE), 반건식(SEMI-DRY TYPE), 습식((WET TYPE)의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충진 과정은 1회 또는 수회로 나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몰드(5)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2종류의 콘크리트가 충진되어질 수 있다. 즉, 전방측의 콘크리트 호퍼(210a)에 어느 한 종류의 콘크리트 제품을 담아서 이를 몰드(5)로 이동시켜 내부에 담고, 그에 중첩하여 그 상부측에 충진 유니트(200)의 콘크리트 호퍼(210b)로 부터 또 다른 종류의 콘크리트 제품을 몰드(5)내로 낙하 충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몰드(5)의 콘크리트 표면이 표면 마감수단(230)에 의해서 마감처리되어진다. 이는 충진 유니트(200)에 의한 마감작업과 동시에 진동 유니트(100)가 동작하여 몰드(5)내의 콘크리트 혼합물들이 다짐작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표면 마감작업은 다수회 실행되어 콘크리트의 표면이 자동으로 매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 유니트(100)는 복수의 진동모터(102)들과 편심 추(104)들 및,복수의 진동 발생축(106)들이 상호작용하여 그 상부측의 몰드(5)에 일정 주파수의 진동을 부여한다.
동시에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상기 대차(220)의 전방측에 마련된 표면 전처리 수단(280)의 유압 모터(284)가 작동되어 체인 구동부(285)를 통하여 2개의 편심 축(282)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유압 구동식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밀대(280a)가 몰드(5)의 표면상에서 선회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표면 마감수단(230)의 모터(236)가 동작되어 디스크 부재(23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몰드(5)의 표면 마감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동은 작업자의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제품의 표면 마감을 평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충진 유니트(200)가 일성분의 콘크리트가 아닌 다른 콘크리트 혼합체를 담아서 2성분의 콘크리트 제품(B)을 제작하고 다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B)을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보강 철재(46)를 몰드(5)내에 장착하였던 조작 유니트(10)는 다시 몰드(5)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도 61및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36)가 작동되어 승강 프레임(16)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부 진동판(42)은 하부측에 그리고, 철재 이송부(50)는 상부측에 오도록 승강 프레임(16)을 위치변동시킨다.
그리고, 몰드(5)의 상부면에 상부 진동판(42)을 하강시켜 덮고, 진동 모터(18)를 작동시켜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진동 유니트(100)와 함께 몰드(5)의 상하부 동시에 진동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는 흡음 콘크리트와 같이 다기능의 콘크리트 제품(B)을 생산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흡음 콘크리트와 같이, 일측에 탄성능력이 큰 콘크리트 혼합물이 위치하는 제품에는 충진 유니트(200)의 표면 마감수단(230)과 표면 전처리 수단(280)만으로는 흡음 콘크리트에 충분한 다짐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조작 유니트(10)의 진동판(42)을 이용한 상부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5)에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충분하게 다짐작동을 이룬 다음에는, 상기 몰드(5)위로 팔레트(K)가 진입하여 몰드(5) 상면에 고정되어진다. 이와 같이 몰드(5)의 상부측에 팔레트(K)가 결합되는 경우, 최초의 것은 레일상에서 이동이 가능한 휠을 측면에 장착한 A 타입의 저부 팔레트(K)이며, 상기 저부 팔레트(K)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기(400)의 내측에 위치된 레일(455)상에서 활주 이동가능한 휠들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A 타입의 저부 팔레트(K)의 상부측으로 적층되어지는 B 타입의 팔레트들은 스페이서(Ka)들을 각각 구비한 것들이다.
이러한 팔레트(K)들은 뒤집어진 상태, 즉 휠 또는 스페이서(Ka)들이 각각 상부로 향한 상태로 몰드(5)로 진입하게 되는 바, 상기 팔레트(K)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양생기(400) 상부측의 복귀 유니트(600)의 레일(610)로 부터 주조 유니트(300)에 의해서 이동되어 온 것이다.
즉,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기(400)의 입구측으로 이동하여 양생기(400)의 상부측 스토퍼(690)에 의해서 지지되는 복귀 레일(610)상의 팔레트(K)를 집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승강 브리지(322)는 스토퍼(690)에 의해서 지지되는 빈 팔레트(K)상으로 이동하고 하강하여 4 실린더(329)들을 이용하여 팔레트(K)를 집어 승강 브리지(322)의 일측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승강 브리지(322)를 상승시켜, 복귀 레일(610)로 부터 팔레트(K)를 들어 올리고, 이를 진동 유니트(100)상의 몰드(5)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하면서, 승강 브리지(322)를 회전시켜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K)의 휠 또는 스페이서(Ka)들이 상부측으로 오도록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승강 브리지(322)는 회전수단(320)에 의해서 회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위로 팔레트(K)를 위치시키고, 상기 몰드(5)상에 팔레트(K)를 덮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 승강 브리지(322)를 이용하여 몰드(5)와 팔레트(K)를 집어 올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몰드(5)와 팔레트(K)를 집어 올린 다음, 이를 회전시키고 팔레트(K)가 몰드(5)의 하부측으로 오도록 하여 이송 유니트(450)의 전방 이송카(452)에 장착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승강 브리지(322)에는 몰드(5)를 집기 위한 4 개의 실린더(326)들이 작동되어 몰드(5)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몰드(5)가 진동 유니트(100)로 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유압 실린더(124)의 로드(124a)가 몰드(5)의 걸고리(122)로 부터 분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팔레트(K)는 주조 유니트(300)에 의해서 몰드(5)와 결합되는 것이고, 이러한 결합이 완료되면, 몰드(5)및 그 상부의 저부 팔레트(K)들을 진동 테이블(120)로 부터 들어서 승강 브리지(322)에 마련된 몰드 회전수단(320)이 작동하여 이를 180°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몰드(5)및 그 상부의 저부 팔레트(K)들이 일체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저부 팔레트(K)는 전방 이송 카(452)상으로 이동하여 그 상부측에 하강되어 올려지고, 팔레트(K)의 상부에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들이 놓여진 상태로 몰드(5)로 부터 탈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팔레트(K)는 4 실린더(329)들이 작동되어 승강 브리지(322)로 부터 팔레트(K)가 분리되어지고, 몰드(5)는 그대로 클램프상태가 유지되며, 승강 브리지(322)를 들어 올림으로서 탈형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탈형 작업후, 주조 유니트(300)는 상기 몰드(5)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후방의 최초 위치로 이동하고, 몰드(5)를 하강시켜 진동 유니트(100)상의 그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 브리지(322)는 이와 같이 후진하는 때에 몰드(5)를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5)가 상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반대로 다시 180°회전시켜 하부로 향하도록 하고 진동 유니트(100)에 장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A 타입의 저부 팔레트(K)를 사용한 경우이지만, 이와 같이A 타입의 팔레트(K)가 전방 이송 카(452)에 올려진 상태에서는 B 타입의 팔레트를 이용하여 그 위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전방 이송카(452)에 배치된 A 타입의 저부 팔레트(K)상의 미 양생된 상태의 콘크리트 혼합물은 작업자들에 의해서 최종 표면 검사가 이루어지고, 만일 필요하다면 최종적인 표면 처리(Touch-up)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A 타입의 팔레트상에 탈형이 이루어지고, 몰드(5)의 복귀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의 상부에 도유 수단(360)을 통하여 이형제를 도포하고, 전장 이송 카(452)측으로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진동 유니트(100)상에 재차 몰드(5)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몰드(5)의 내부에 보강 철재(46)를 삽입하는 것이다.
그 다음, 다시 충진 유니트(200)가 동작하여 몰드(5)의 내부에 콘크리트 혼합물의 충진이 이루어지고, 진동 유니트(100)가 작동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의 다짐 작동이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에는 조작 유니트(10)의 진동 모터(18)와 진동판(42)이 재차 작동되어 몰드(5)내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다짐 작동한다.
한편, 상기 전방 이송 카(452)의 상부측에 놓여져서 그 표면처리가 완료되어진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은 이송 유니트(450)의 전방 이송카(452)와, 대기 테이블(460)및, 후방 이송 카(458)의 작동으로 점차적으로 양생기(400)측으로 이동되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전방 이송카(452)는 모터(453)의 작동으로 대기 테이블(460)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대기 테이블(460)은 유압 실린더(464)의 작동으로 그 높이가 낮아진 상태에서 전방 이송카(452)에 의해서 이송되어 온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들어 올리며, 전방 이송카(452)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대기 테이블(460)상으로 이동되어온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은 재차 작업자에 의해서 표면처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이루어지며, 이는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이송카(458)가 대기 테이블(460)측으로 이동하여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의 하부측으로 진입하고, 대기 테이블(460)은 하강하여 후방 이송카(458)의 상부측에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 후방 이송카(458)는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싣고서 양생기(400)측의 최초의 상태로 전진 이동한 다음 대기한다.
이와 같은 이송 유니트(450)의 작업은 상기 몰드(5)가 진동 유니트(100)의 상부측으로 복귀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혼합물이 충진되는 사이에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후방 이송 카(458)에 의해서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들이 이동된 다음에는 주조 유니트(300)가 후방 이송카(458)로 부터 이들을 들어 올려서 양생기(400)의 전방측 레일(455)상에 A 타입의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올려 놓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가 진동 유니트(100)상에 있기 때문에 승강 브리지(322)는 자유로운 상태이며, 승강 브리지(322)가 하강하여 실린더(329)들을 이용하여 A 타입의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들어서 레일(455)상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A 타입의 팔레트(K)와 미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레일(455)상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주조 유니트(300)는 양생기(400) 상부측의 복귀 레일(610)로 부터 B 타입의 팔레트(K)를 들어 올린다. 이와 같이 복귀 레일(610)로 부터 팔레트(K)가 들어 올려지면, 빈 공간은 경사진 상태의 복귀 레일(610)구조로 인하여 새로운 팔레트(K)가 밀려져서 스토퍼(690)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주조 유니트(300)는 B 타입의 팔레트(K)를 집어서 다시 몰드(5)측으로 이동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승강 브리지(322)를 다시 180°회전시켜 스페이서(Ka)가 상부측으로 오도록 한 다음, 몰드(5)의 상부측으로 B 타입의 팔레트(K)를 덮어서 고정한 후, 몰드(5)및 그 상부의 B 타입의 팔레트(K)들을 들어서 종전과 같이 전방 이송 카(452)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일체로 회전시킨 다음, 전방 이송카(452)상의 탈형 위치에 하강시킨다.
한편, 상기 전방 이송카(452)는 A 타입의 저부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이 이송 유니트(450)에 의해서 양생기(400)측으로 이동되었으므로 탈형 위치가 빈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탈형 위치로 B 타입의 팔레트(K)와 몰드(5)의 진입이 가능하고, B 타입의 팔레트(K)는 스페이서(Ka)가 하향된 상태로 전방 이송카(452)상에 올려지고 몰드(5)로 부터 그 상부면에 콘크리트 제품(B)의 탈형이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몰드(5)의 탈형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의 복귀를 이루고, 양생기 측으로 이동하며, 이송 유니트(450)는 대기 테이블(460)과 후방 이송카(458)를 이용하여 상기 B 타입의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을 양생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B 타입의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을 집어서 콘베이어 레일(455)상에 이미 올려져 있는 A 타입의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상에 B 타입의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을 적층시켜 올려 놓는다.
이와 같은 경우 B 타입의 팔레트(K)에 마련된 스페이서(Ka)는 A 타입의 팔레트(K)상에 지지됨으로써 그 사이에서 콘크리트 제품(B)이 지지되어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그 복귀 과정에서 양생기(400) 상부의 복귀레일(610)에서 또 다른 B 타입의 상부 팔레트(K)를 집어서 복귀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조작 유니트(10), 진동 유니트(100), 충진 유니트(200)및 주조 유니트(300)들은 그 작업을 재차 반복하여 또 다른 B 타입의 팔레트와 콘크리트 제품(B)을 적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A 타입의 팔레트(K) 상에 차례 차례 B 타입의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들이 파일형상으로 배치되어지고, 상기 B 타입의 팔레트(K)들에 마련된 스페이서(Ka)는 콘크리트 제품(B)이 배치되는 적층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생기(400)의 입측인 팔레트 장입부측으로 제공되어지는 A 타입의 팔레트(K)와 B 타입의 팔레트(K)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콘크리트 제품(B)을 2단내지 6단, 또는 그 이상의 다단 적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단 적치가 가능함으로써 일시에 다량의 제품을 이송시키면서 양생기(400)를 통과하도록 하여 일시에 양생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양생기(400)의 전방측에서 다단으로 적치된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들은 팔레트 이송레일(455)상에서 이송 유니트(450)의 유압 작동식 푸셔 실린더(480)가 동작하여 상기 실린더(480)의 1 행정씩 양생기(400)의 내부측으로 밀어 넣으면, 밀려진 팔레트(K)들과 콘크리트 제품(B)의 적층체는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서 적층된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의 적층체들을 밀면서 양생기(400)의 내부로 진입하고, 차례로 이동하면서 사전에 계획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양생처리된다.
그리고, 양생기(400)의 출측에서는 양생이 완료된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의 적층물들이 밀려 나오게 되며, 양생기(400)의 출측에 위치된 인출 실린더에 의해서 분리 유니트(500)측으로 배출되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양생기(400)의 출측에 배치된 분리 유니트(500)는 이들 적층체로 부터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들을 차례차례 들어내어 완제품의 야적장 운반 처리및 팔레트(K)의 복귀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때, 분리 유니트(500)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K)의 상부에 하나의 대형 콘크리트 제품(B)이 성형된 것이라면, 협폭 클램프 구조를 이용하여팔레트(K)로 부터 제품(B)을 들어내게 된다.
이때에는 협폭 클램프 실린더(529)들과, 이동 블럭(525)및, 고무 스트립(513)들이 가이드 레일(523)을 따라서 서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이동하여 그 사이에서 콘크리트 제품(B)의 측방을 클램핑하여 집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 제품(B)의 폭이 1250 mm 내지 750mm 에 걸쳐서 변화하는 것에 대해 집혀질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는 다르게 팔레트(K) 상에 소형의 다수의 콘크리트 제품(B)을 성형한 경우라면 광폭 클램프 구조를 사용하여 일시에 다량의 제품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분리 유니트(500)의 리프팅 빔(522)의 양측에 배치된 광폭 클램프 실린더(540)들과, 고무 스트립(546)들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제품(B)을 집고,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치장에 적층시켜 출하장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팔레트(K)로 부터 콘크리트 제품(B)을 분리한 다음, 팔레트 고정수단(550)을 통하여 상기 팔레트(K)를 들어서 복귀 유니트(600)를 통하여 양생기(400)의 입측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팔레트 고정수단(550)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실린더(560)들의 작동으로 회동식 스터퍼(554)들이 작동하여 상기 팔레트(K)의 양측을 협착하여 상기 아암(552)에 고정하고, 이를 들어 올려서 복귀 유니트(600)의 수평부(615)측의 레일(610)상으로 들어 올려 놓는다.
이와 같이 수평부(615)의 레일(610)로 올려진 팔레트(K)들은 팔레트 당김 유니트(620)의 구동 모터(627)에 의해서 회전되는 체인(625)과 팔레트 당김 블럭(632)을 통하여 상기 수평부(615)의 레일(610)상으로 부터 복귀 유니트(600)의 경사진 레일(610)상으로 팔레트(K)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K)는 그 복귀 과정에서 몰드(5)와 접촉하는 표면이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 소제부(650)를 통과하면서 소제되고, 도유되어 복귀 레일의 경사진 부분을 따라서 차례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B)들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음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수작업 비용을 절약하면서 경제적으로 생산하여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콘크리트 제조시스템은 흡음 콘크리트 요소와 같은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B)들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소들을 생산하기 위하여는 충족되어야 할 적어도 2가지의 부가적인 조건들이 있다.
즉, 제 2콘크리트 혼합물을 조제하여야 할 경우이다. 이러한 혼합물은 흡음기능을 위하여 사용가능한 것이지만, 통상적인 콘크리트 혼합물은 콘크리트 제품(B)의 구조적인 강도를 위하여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이는 복수의 호퍼(210a)(210b)들을 구비한 본 발명의 충진 유니트(200)를 통하여 실현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측으로 부터 콘크리트 혼합물을 진동시키는 구조이다. 이는 흡음용 콘크리트 혼합물등은 진동력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만일 본 제품이 진동 테이블(120)의 하부측으로 부터만 진동되어진다면, 충분한 다짐력을 얻지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본 발명에서 상부 진동판을 이동시키는 조작 유니트(10)에 의해서 실현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콘크리트 제품(B)들을 생산할 수 있는 제품(B)의 유연성과 그 생산성에 관련되어 종래에 비하여 수작업 비용을 절약하면서 서로 다른 제품(B)들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튼튼한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층으로 중첩 적재가 가능한 철제 팔레트(K)상에 콘크리트 제품(B)을 적치하고, 양생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팔레트(K)들이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폐쇄 순환되어 작업장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양생영역에서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종 규격의 양질의 콘크리트 제품(B)들을 단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고, 몰드(5)를 180도 회전시키는 몰드(5)의 탈형 공정을 기계적으로 정확하게 제어하여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팔레트(K)상에 제품(B)을 탈형시킨 다음, 즉시 양생 공정에 필요한 올바른 조건(온도및 습도)을 제공함으로써 단시간내에 양생작업이 이루어져 넓은 제작장소가 불필요하고, 좁은 공간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몰드(5)내에서 콘크리트의 주조작업이 완료된 후, 팔레트(K)에 즉시 탈형하여 몰드(5)의 재사용이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몰드(5)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몰드(5)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모든 작동은 각종 센서들과 콘크롤러(800)들을 통하여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작업자만이 필요하게 되어 성역화가 가능하고, 작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종류의 콘크리트를 하나의 제품에 자동으로 주조하여 생산할 수 있음으로서, 다양한 특성을 갖는 콘크리트 제품(B)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Claims (42)

  1.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프레임의 내측에 승하강가능하도록 승강 블럭이 장착되고, 상기 승강블럭에는 진동 모터들이 구비되어 몰드(5)의 상부면을 진동시키는 조작 유니트(10);
    내부에 복수의 진동모터들과 편심 추(104)들을 다수개 구비한 복수의 진동 발생축들을 구비하여 그 상부에 놓여진 몰드(5)에 하부측으로 부터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유니트(100);
    상기 몰드(5)의 상부측에서 이동가능한 복수의 호퍼(210a)(210b)들을 구비하고, 상기 호퍼(210a)(210b)들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콘크리트 혼합물들이 담겨져서 몰드(5)내에 정해진 량의 서로 다른 콘크리트들을 공급하는 충진 유니트(200);
    상기 진동 유니트(100)상의 몰드(5)위로 팔레트(K)를 위치시키고, 상기 몰드(5)와 팔레트(K)를 집어 올려서 회전시킨 다음, 이를 탈형부에 위치시켜 팔레트(K)상에 제품을 탈형시키는 주조 유니트(300);
    상기 주조 유니트(300)의 출측에서 몰드(5)로 부터 탈형된 미양생 콘크리트 제품(B)과, 이를 상부면에 적재한 팔레트(K)들의 적재물을 터널형의 양생기(400)로 통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455)과 푸셔 실린더(480)를 구비한 이송 유니트(450);
    상기 양생기(400)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팔레트(K)상의 양생된 콘크리트 제품(B)을 집어 이동시키는 집음부와, 상기 콘크리트 제품(B)이 제거된 팔레트(K)를 들어올리는 팔레트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분리 유니트(500);및
    상기 분리 유니트(500)로 부터 주조 유니트(300)로 향하여 하향 경사되어 그 위에 얹어진 팔레트(K)들이 하향 경사를 따라서 자중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귀 레일(610)을 구비한 팔레트 복귀유니트(600);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제품을 자동으로 주조및 양생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보강 철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철재 이송부(50)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철재 이송부(50)는 자석을 구비하여 보강 철재를 집어 들고, 이를 몰드(5)로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구동 모터(22)를 구비한 이동 프레임(14)을 갖추고, 상기 이동 프레임(14)은 지지대(12a)에 의해서 일정 높이에서 수평 배치된 레일(12)상에서 이동가능한 휠(14a)들을 갖추어 전,후로 이동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14)은 그 하부측으로 수직 프레임(20)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그 내측에서 승하강이동가능한 승강 프레임(16)을 갖추는 한편, 상기 이동 프레임(14)의 상부에는 유압 실린더(30)를 갖추고, 상기 유압 실린더(30)는 그 로드(30a)에 와이어 로프(32)들을 연결하여 상기 승강 블럭(16a)들의 상부에 연결되어 짐으로써, 상기 승강 블럭(16a)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16)을 상하로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16)은 회전가능한 구조이고, 회전작동을 위하여 승강블럭(16)에 회전 모터(36)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모터(36)는 감속기(38)를 통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16)의 축에 연결되어짐으로써 상기 회전 모터(36)의 작동으로 승강 프레임(16)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유니트(10)는 승강 프레임(16)의 일측면에 진동 상부판(42)과 이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모터(18)를 구비하고, 그 반대측에는 보강 철재(46)를 이송시키기 위한 철재 이송부(50)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 모터(18)와 진동 상부판(42)은, 콘크리트 제품(B)의 상부면 표면상에 일정 윤곽이나 패턴을 대략 10mm 깊이로 가압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니트(100)는 작업장의 바닥의 하부측으로 피트(101)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레일(215)을 구비하여 충진 유니트(30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니트(100)의 진동의 강도는 편심 추(104)들에 의해서 조절되어지고, 상기 진동 테이블(120)의 표면상에는 고무 완충재(130)들이 부착되고, 이들은 몰드(5)가 그 상부에 장착되는 경우, 진동시의 소음 감쇄를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니트(100)는 진동 테이블(12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몰드(5)의 양측에 각각 복수의 걸고리(122)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122)들에는 진동 테이블(120)의 양측에 각각 이에 대응하여 배치된 유압 클램프부(150)의 유압 실린더(124)들의 로드(124a)가 각각 걸려서 진동 테이블(120)과 몰드(5)사이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테이블(120)은 콘크리트 제품의 높이에 대해서 2가지의 다른 높이를 갖도록 높이의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진동 테이블(120)의 하부에 지지대(160)를 부가하거나 제거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 테이블(120) 하부의 피트부분은 충분히 깊게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문형 프레임(310)의 구조를 갖추고, 지지대(302)상의 일정높이의 레일(312) 위에서 이동가능하며, 몰드(5) 및/또는 팔레트(K)를 집을 수 있고, 회전수단(320)에 의해서 180°회전가능한 승강 브리지(322)를 가지며, 상기 승강 브리지(322)은 유압 실린더(330)와 철제 와이어 로프(332)에 의해서 승하강 되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문형 프레임(310)의 상부측에 복수의 구동 모터(372)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372)들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복수의 휠(372a)들을 레일(312)상에 구비하여 그 위를 가변 속도로 이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브리지(322)는 사각 프레임의 구조를 갖추고, 그 양측에는 각각 빈 팔레트(K)를 집기 위한 2 실린더(328)들을 가지며, 몰드(5)를 집기 위한 2 개의 실린더(326)들을 구비함으로써 빈 팔레트(K)를 집기 위한 4 실린더(328), 몰드(5)를 집기 위한 4 개의 실린더(326)들을 갖추고, 상기 실린더(326)는 승강 브리지(322)의 내측에 마련되어 그 로드(326a)들이 각각 몰드(5)의 양측부에 마련된 브라켓트(6)의 구멍(6a)에 끼워짐으로써, 승강 브리지(322)의 내측에서 몰드(5)를 견고히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328)는 그 로드(328a)가 각각 누름편(329)을 회동시켜서, 상기 누름편(329)이 팔레트(K)의 양측 모서리를 눌러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브리지(322)의 사각 프레임은 몰드(5)를 감싸는 크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몰드(5)의 자동 도유를 위한 도유부(360)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도유부(360)는 승강 브리지(322)상에 장착되어지는 이동식 암(362)을 포함하며, 상기 암(362)은 승강 브리지(322)의 폭 방향에 걸쳐서 그 상부에 위치되며, 승강 브리지(322)의 양측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레일(364)을 따라 이동하도록 휠이 양측 단부에 장착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휠을 구동하는 전기식 모터(366)가 구비되어 승강 브리지(32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암(362)들이 이동하는 구조이고, 상기 암(362)에는 이형제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 노즐(368)들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지 주조 유니트(300)는 와이어 로프(332)의 파단의 경우에 대비하여 승강 가이드상에 안전 수단(미도시)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안전 수단은 승강 브리지(322)의 승강 블럭(324)에 유압 작동식 스톱 실린더가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는 래치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 블럭(324)이 안내되는 수직 가이드(313)에는 일측에 다수의 걸림치차들을 구비한 걸림 바가 장착되어 상기 스톱 실린더의 작동으로 래치가 걸림 치차에 걸리도록 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유니트(300)는 승강 브리지(322)를 공중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320)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320)은 케이싱(320a)의 내측에 내장된 유압 모터(320b)의 회전축에 구동 기어(320c)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 기어(320c)에 결합하는 중간 기어(320d)와,종동 기어(320e)를 구비하며, 상기 종동 기어(320e)의 회전축이 상기 승강 브리지(322)의 회전축(322a)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 브리지(322)의 회전축(322a)은 승강 블럭(324)내의 베어링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유압 모터의 작동은 구동 기어(320c)와 종동 기어(320e)들을 통하여 상기 승강 브리지(322)를 회전시키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니트(450)는 주조 유니트(300)로 부터 제공되는 미양생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받는 전방 이송 카(452)와, 그 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방 이송 카(452)로 부터 미양생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받는 대기 테이블(460)을 갖추고, 상기 대기 테이블(460)의 후방에서 미양생 상태의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받는 후방 이송 카(458)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송카(452)는 상부면에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를 적재할 수 있는 대차 구조를 갖추고, 상기 이송 카(452)의 하단에는 레일(456)상에서 활주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휠(454)들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상기 휠(454)은 구동 모터(453)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구동 모터(453)의 작동으로 전방 이송 카(452)는 레일(454)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전방 이송 카(452)는 그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하부측으로 절첩식 아암(457)을 구비하여 이동가능 거리를 설정한 것이며, 상기 전방 이송카(452)와 후방 이송카(458)들은 서로 동일 구조를 갖추고, 대향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테이블(460)은 다수개의 유압 실린더(464)들이 상기 받침대(462)와 고정대(466)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462)의 하단은 ㄷ형의 단면 구조를 갖추어 고정대(466)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단 받침대(462)가 하부 고정대(466)에 대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상기 대기 테이블(460)은 유압 실린더(464)들이 작동하여 고정대(466)에 대하여 받침대(462)를 승하강시키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실린더(480)는 양생기(400)의 내부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푸셔 실린더(480)는 그 로드(482)에 ㄷ형의 걸림 레버(484)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 레버(484)의 끝단에는 각각 돌기(484a)들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455)상에 올려진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적층 파일을 당기게 되고,상기 푸셔 실린더(480)에 의해서 당겨진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적층 파일들은 양생기(40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서 콘크리트 제품(B)과 팔레트(K)의 적층 파일들을 순차적으로 밀어서 양생기(400)의 반대측 출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K)들은 레일상에 이동가능하도록 다수의 휠들을 구비한 A 타입의 팔레트와, 상기 A 타입의 팔레트상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가능하도록 된 스페이서(Ka)들을 구비한 B 타입의 팔레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기(400)를 구성하는 터널 덮개는 단열 판재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가열 수단등에서 발생되는 열과, 콘크리트 제품(B)의 세멘트 성분이 양생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수화작용의 열을 그 내부에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터널 덮개의 양측단부들은 팔레트(K)와 콘크리트 제품(B)들이 통과하는 공간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판재등으로 닫쳐짐으로서 그 내부의 보온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니트(500)의 집음부(510)는 콘크리트 제품(B)을 그 협폭에 걸쳐서 고정하는 협폭 클램프 구조 및/또는 콘크리트 제품(B)의 광폭에 걸쳐서 고정하는 광폭 클램프 구조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니트(500)는 그 프레임(515)의 측방에 각각 가이드면(515a)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면(515a)에 각각의 가이딩 블록(518)들이 승강되어지며, 상기 가이딩 블록(518)들 사이에는 리프팅 빔(522)이 매달려서 상기 집음부(510)와 팔레트 고정 수단(550)들이 장착되며, 상기 리프팅 빔(522)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515)의 상부측에 구동 모터(570)가 장착되어지고, 상기 모터(570)는 와이어 드럼(574)들을 회전시켜서 철재 와이어 로프(576)를 감거나 풀고, 상기 와이어 로프(576)의 단부는 상기 가이딩 블록(518)의 상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570)의 작동으로 집음부(510)와 팔레트 고정수단(550)들이 승하강 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 클램프 구조는 리프팅 빔(522)의 하부측에 나란하게 쌍을 이루어 다수 조의 가이드 레일(523)들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23) 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블럭(525)들을 활주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상기 이동 블럭(525)의 하단에는 연결바(527)를 통하여 각각 고무 스트립(513)들을 대향 장착하고, 상기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523) 마다에는 리프팅 빔(522)측에 각각 협폭 클램프 실린더(529)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복수개 장착하여 그 로드(미도시)를 상기 각각의 이동 블럭(525)들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협폭 클램프 실린더(529)들의 작동으로 고무 스트립(513)들이 그 사이에서 콘크리트 제품(B)의 측방을 클램핑하여 집을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 클램프 구조는 제품(B) 길이방향의 양단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팔레트(K)의 상부에 다수의 제품들이 분할되어 성형된 경우, 이들을 일시에 들어서 팔레트(K)로 부터 분리시키는 것으로, 상기 리프팅 빔(522)의 양측에는 각각 광폭 클램프 실린더(540)들이 배치되고, 그 로드에는 이동 블럭(542)이 상기 리프팅 빔(5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이동 블럭(542)에는 연결대(544)를 통하여 고무 스트립(546)이 리프팅 빔(522)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 빔(522)의 중앙에 각각 상기 광폭 클램프 실린더(540)들을 향하여 복수의 클램프 실린더(540)들이 배치되고, 이들의 로드에도 이동 블럭(542)들이 배치되며, 상기 이동 블럭(542)에는 각각 연결대(544)를 통하여 상기 리프팅 빔(522)의 양측단 고무 스트립(546)에 대향하도록 고무 스트립(546)들을 배치하여 그 사이에서 콘크리트 제품(B)의 양단을 집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고정수단(550)은 상기 프레임(515)의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딩 블럭(518)들의 전면에 각각 아암(552)들이 배치되고, 상기 아암(552)들에는 복수의 회동식 스토퍼(554)들과 이들을 작동시키는 회동 실린더(560)들이 장착되며, 상기 아암(552)은 상기 가이딩 블럭(518)의 전면으로 부터 돌출된 것이고, 그 중간과 단부에는 힌지(558)를 구비하여 상기 회동식 스터퍼(554)들의 일단을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회동식 실린더(560)의 작동으로 상기 회동식 스토퍼(554)들이 상기 팔레트(K)의 양측을 협착하여 상기 아암(552)의 사이에서 고정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복귀유니트(600)은 복귀 레일(610)의 입측에 수평부(615)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부(615)에는 팔레트 당김 유니트(620)가 배치되며, 상기 팔레트 당김 유니트(620)는 상기 수평부(615)의 레일(610) 사이에서 고정대(622)상에 무한 궤도형으로 회전하는 체인(625)을 갖추고, 상기 체인(625)은 구동 모터(627)에 의해서 체인 가이드(630)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체인(625)에는 팔레트 당김 블럭(632)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구동 모터(627)에 의한 체인(625)의 회전은 상기 팔레트 당김 블럭(632)들을 통하여 팔레트(K)를 경사진 레일(610)상으로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유니트(600)의 레일(610) 높이와 경사도는 조정가능한 것이고, 빈 팔레트(K)들은 복귀 레일(610)의 후방측에 위치되며,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주조 유니트(300)측으로 굴러 이동하고, 상기 복귀 레일(610)은 양생기(400) 상부측의 사각 튜브형으로 이루어진 철제 구조물상에 구축되어 지고, 팔레트(K)들이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롤러(610)들은 플랜지(미도시)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복귀유니트(600)에는 팔레트 도유부(6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팔레트 도유부(650)는 철재 브러쉬를 갖추어 팔레트(K)로 부터 콘크리트 잔유물을 소제하고 제거하며, 위치조절 가능한 오일 니플(655)들을 구비하여 오일 니플(655)로 부터 도유 오일이 하방으로 분사되어 팔레트(K)의 표면에 오일을 도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도유부(650)는 과도한 오일 또는 상기 팔레트(K)의 표면으로 부터 벗어난 오일등을 수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615)의 레일(610) 하부측에 오일 받이(664)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33. 콘크리트 제품(B)을 몰드(5)내에 자동으로 충진하여 주조하고, 이를 양생하는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2종류의 콘크리트 혼합물들을 각각 내부에 담고, 이를 몰드(5)에 일정 비율로 충진가능한 복수의 호퍼(210a)(210b);
    상기 호퍼(210a)(210b)들이 장착되고 상기 몰드(5)로 향하여 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대차;및
    상기 호퍼(210a)(210b)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상기 몰드(5)상의 콘크리트면에서 회전하는 디스크부재를 구비하여 몰드(5)에 충진된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하는 표면 마감수단(230);을 구비하여 몰드(5)내에 상기 2종류의 콘크리트들을 충진하여 다기능을 가진 하나의 콘크리트 제품을 주조하고, 그 표면을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일성분의 콘크리트가 충진되어지는 호퍼(210a)는 대차(220)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고, 호퍼(210a)의 하부측으로 배출된 콘크리트들은 호퍼(210a) 하부의 콘베이어 밸트(240)의 도움으로 이동되어 대차(220)의 전방측에 배치된 슈트(250)로 제공되며, 상기 슈트(250)로 부터 몰드(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충진되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240)는 무한 궤도형상으로 회전되어지며, 상기 밸트(240)가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호퍼(210a)의 하부측에는 다수의 롤러(241)들이 밸트(240)를 지지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밸트(2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트(240)가 걸리는 회전 시브(242a)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243)가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회전 시브(242a)(242b)상에 걸린 밸트(240)를 회전시키고 상기 호퍼(210a)로 부터 낙하된 콘크리트를 전방측의 슈트(250)로 공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 슈트(250)는 밸트(24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반액, 반고체상의 콘크리트를 받는 것으로서, 그 하단에 개폐문(251)을 갖추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실린더(253)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실린더(252)의 로드와 개폐문(251)을 연결하는 래크기어(257a)를 갖추고, 상기 래크 기어(257a)에 치차 결합하는 피니언 기어(257b)를 대차(2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함으로써, 상기 구동실린더(252)의 작동은 피니언 기어(257b)에 의해서 직선적으로 지지되는 래크기어(257a)를 통하여 상기 개폐문(251)을 슬라이딩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 슈트(250) 출구의 폭은 그 내부의 격벽(254)들에 의해서 좌우로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격벽(254)들은 그 좌,우측에 위치된 폭 조정 실린더(254a)들에 의해서 위치 조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38.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마감수단(230)은 대차(220)상에 장착된 복수의 승강 실린더(234)들과 아암(234a)들을 통하여 디스크 부재(232)와 이를 구동하는 모터(236)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크 부재(232)는 모터(236)의 축에 연결되고, 그 외측은 베어링(232a)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디스크 부재(232)는 모터(236)의 작동에 의해서 회전하고 동시에 승강 실린더(234)와 아암(234a)에 의해서 승하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39.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호퍼(210b)는 제 1호퍼(210a)에 연이어서 고정되어질 수 있고, 상기 대차(220)의 후방측에서 제 2대차(260)상에 장착되며, 제 2대차(260)는 상기 대차(220)에 대하여 브라켓트(262)및 핀(262a)을 통하여 연결되며, 그 하단에는 다수의 휠(221)들을 갖추어 레일(215)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40.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대차(220)의 전방측에 표면 전처리 수단(280)을 추가 포함하고, 상기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콘크리트 표면의 마감 작동을 강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2개의 편심 축(282)들을 통하여 밀대(280a)가 유압 모터(284)의 체인 구동부(285)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짐으로써 상기 유압 모터(284)의 작동으로 상기 편심 축(282)들을 회전시켜 밀대(280a)가 몰드(5)의 표면상에서 선회 운동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전처리 수단(280)은 다수의 승강 실린더(286)들과 아암(288)들에 의해서 대차(220)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아암(288)들은 그 양단에 각각 핀(288a)들을 장착하여 대차(220)의 전면 슈트(250) 외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승강 실린더(286)들에 의해서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42.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유니트(200)는 대차(220)의 전,후방에 대차(220)가 레일(215)상을 이동하는 경우, 각각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레버(291)들을 대차(220)의 전,후방에 장착하고, 상기 안전 레버(291)들은 각각 대차(220)의 전,후방에서 돌출된 상태이며, 그 상부측은 각각 상기 안전 레버(291)에 의해서 동작하는 각각 리미트 센서(293)들을 구비하여 대차(220)의 운행중에 작업자가 상기 안전 레버(291)에 접촉되면, 그 상단의 리미트 센서(293)가동작하여 상기 대차(220)의 운행을 즉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유니트.
KR1020030059925A 2003-07-10 2003-08-28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유니트 KR100552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6962 2003-07-10
KR1020030046962 2003-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427A true KR20050008427A (ko) 2005-01-21
KR100552573B1 KR100552573B1 (ko) 2006-02-20

Family

ID=3722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925A KR100552573B1 (ko) 2003-07-10 2003-08-28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5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8848A (zh) * 2013-03-02 2013-06-05 河南华泰建材开发有限公司 墙体自保温砌块生产线
KR101531358B1 (ko) * 2014-02-21 2015-06-24 (주)철도안전연구소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 복원 장치
CN110039647A (zh) * 2019-04-03 2019-07-23 内蒙古中铁轨枕制造有限公司 一种混凝土枕钢模型快速加热装置及其生产工艺
CN110722679A (zh) * 2019-10-18 2020-01-24 广东草根民墅房屋制造有限公司 移动式成组立模生产预制件的方法
KR102089064B1 (ko) * 2019-09-26 2020-03-16 박우정 구조물 적재 장치
KR102178042B1 (ko) * 2020-03-04 2020-11-13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개별인장을 통한 콘크리트 침목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533554B1 (ko) * 2022-10-31 2023-05-16 (주)대우건설 강재 몰드 운반 배치용 그립 모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8848A (zh) * 2013-03-02 2013-06-05 河南华泰建材开发有限公司 墙体自保温砌块生产线
CN103128848B (zh) * 2013-03-02 2015-06-10 河南华泰建材开发有限公司 墙体自保温砌块生产线
KR101531358B1 (ko) * 2014-02-21 2015-06-24 (주)철도안전연구소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 복원 장치
CN110039647A (zh) * 2019-04-03 2019-07-23 内蒙古中铁轨枕制造有限公司 一种混凝土枕钢模型快速加热装置及其生产工艺
CN110039647B (zh) * 2019-04-03 2024-02-02 内蒙古中铁轨枕制造有限公司 一种混凝土枕钢模型快速加热装置及其生产工艺
KR102089064B1 (ko) * 2019-09-26 2020-03-16 박우정 구조물 적재 장치
CN110722679A (zh) * 2019-10-18 2020-01-24 广东草根民墅房屋制造有限公司 移动式成组立模生产预制件的方法
CN110722679B (zh) * 2019-10-18 2021-09-07 广东草根民墅房屋制造有限公司 移动式成组立模生产预制件的方法
KR102178042B1 (ko) * 2020-03-04 2020-11-13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개별인장을 통한 콘크리트 침목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533554B1 (ko) * 2022-10-31 2023-05-16 (주)대우건설 강재 몰드 운반 배치용 그립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573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669B2 (en) Automated concrete structural member fabrication system
US3659986A (en)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products
KR100543579B1 (ko)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CN111098401A (zh) Crtsⅰ型双块式轨枕自动化智能无人生产线
US3181222A (en) Machine for manufa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nduit
KR100552573B1 (ko)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및 그에 사용되어지는 충진유니트
CN116198010A (zh) 智能化轨枕生产线
CN212707349U (zh) Crtsⅰ型双块式轨枕自动化智能无人生产线
CN206030206U (zh) 一种预制件生产线
CN206186077U (zh) 一种预制件生产线
CN215094489U (zh) 一种预应力钢管叠合板生产线
CN206030208U (zh) 一种预制件生产线
US3274659A (en)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articles
CN211566354U (zh) 小型混凝土预制块的加工流水线
RU2280557C1 (ru) Агрега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полусухих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CN209794043U (zh) 振动式预制构件加工设备
RU2193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безопалубоч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CN206030164U (zh) 一种预制件生产线
EP0993921B1 (en) Multifunctional system producing concrete prefabricated elements
CN109435012B (zh) 振动式预制构件加工设备
RU2113989C1 (ru) Линия формов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шпал
SU17121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трубофильтров
RU24809U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мелкоштуч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CN116423609A (zh) 预制件轨道移动装置
JPS6027507A (ja) コンクリ−ト製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