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107A -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107A
KR20050008107A KR1020030047950A KR20030047950A KR20050008107A KR 20050008107 A KR20050008107 A KR 20050008107A KR 1020030047950 A KR1020030047950 A KR 1020030047950A KR 20030047950 A KR20030047950 A KR 20030047950A KR 20050008107 A KR20050008107 A KR 2005000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sensor
throttle position
output
value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8107A/ko
Publication of KR2005000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4Throttl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의하여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이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것을 감지하는 순간부터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타이머 작동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를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 및 최소출력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이고, 상기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Diagnostic method of automotive throttle position sensor}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로틀 포지션 센서는 차량의 가속페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을 때 쓰로틀 판 각이 증가하여 엔진에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엔진의 토크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순간적인 쓰로틀 판 각의 측정은 차량의 제어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쓰로틀 포지션 센서는 본질적으로 가변저항을 이용한 것이며 가변저항은 보통 움직이는 접촉부분을 가진 저항으로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항물질부(11)에는 피보트(pivot)층을 움직이는 이동접촉단자(12)가 놓여 있다. 저항의 한 끝은 접지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고정된 전압이 인가되고 있다. 따라서 접촉점의 전압은 접지로부터 동(動)점의 각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쓰로틀 포지션 센서는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며 이는 컨트롤 유니트 등에서 컨버터 등을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이 된 후 각종 제어시스템의 요소로서 활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노이즈(noise)에 의하여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이 일시적으로 최대치 또는 최소치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쓰로틀 포지션 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정상적인 제어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의하여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이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것을 감지하는 순간부터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타이머 작동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고장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저항물질부 20 : 이동접촉단자
S101 :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를 비교하는 단계
S102 :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소치를 비교하는 단계
S103 : 타이머 클리어 단계
S104 : 타이머 스타트 여부 판단단계
S105 : 타이머의 고장판단시간 이하 여부 판단단계
S106 :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여부 결정단계
S107 : 타이머 스타트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은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를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 및 최소출력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이고, 상기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 이하이거나 출력최소치 이상인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고장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으며,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를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 및 최소출력치와 비교하는 단계는,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S101)하여 출력최대치를 초과하는 경우는 타이머 스타트단계(S104)로 이행하고, 출력최대치 이하인 경우는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소치와 비교하는 단계(S102)로 이행하는 단계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지를 판단(S102)하여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경우는 타이머 스타트단계(S104)로 이행하고, 출력최소치 이상인 경우는 타이머를 클리어(clear)하는 단계(S103)로 이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단계에서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이고, 상기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경우 상기 고장판단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타이머가 카운트를 스타트(start)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S104)와, 상기 타이머가 스타트한 경우 타이머가 고장판단시간 이하인지를 판단(S105)하여 고장시간이하인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서가 고장임을 결정하는 단계(S106)와, 상기 타이머가 스타트를 하지 않은 경우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단계(S107)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 이하이거나 출력최소치 이상인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타이머를 클리어시키고(S103) 종료시키거나,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관련 컨트롤 유니트내에 구성된 메모리 저장수단내에 상기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실행함으로써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각 제어시스템에서 전자파 등의 노이즈에 의한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하여 최적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의하여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출력이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것을 감지하는 순간부터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타이머 작동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를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 및 최소출력치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이고, 상기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최대치 이하이거나 출력최소치 이상인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쓰로틀 포지션 센세의 출력치가 출력최대치를 초과하거나 출력최소치의 미만인 시간이 설정된 고장판단시간을 초과한 경우 쓰로틀 포지션 센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KR1020030047950A 2003-07-14 2003-07-14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KR20050008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950A KR20050008107A (ko) 2003-07-14 2003-07-14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950A KR20050008107A (ko) 2003-07-14 2003-07-14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107A true KR20050008107A (ko) 2005-01-21

Family

ID=3722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950A KR20050008107A (ko) 2003-07-14 2003-07-14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81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82B1 (ko) * 2004-02-25 2006-06-30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트로틀 위치 센서 고장 진단 방법
KR102408114B1 (ko) * 2022-03-04 2022-06-15 주식회사 바라스토 충돌사고 및 급정지 방지용 지게차 안전 정지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582B1 (ko) * 2004-02-25 2006-06-30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트로틀 위치 센서 고장 진단 방법
KR102408114B1 (ko) * 2022-03-04 2022-06-15 주식회사 바라스토 충돌사고 및 급정지 방지용 지게차 안전 정지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500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torque of the drive unit of a motor vehicle
US5445126A (en) Accelerator pedal calibration and fault detection
US69641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torque of a drive unit of a vehicle
US544305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malfunction in an evaporated fuel purge system
KR20060104979A (ko) 내연 기관 제어 방법 및 장치
JPS635156A (ja) 燃料ポンプ制御装置
JP2008088984A (ja) 自動車における可変変数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4222648B2 (ja) 機関制御における測定値検出のモニタ装置
JPH04228853A (ja) アクセルペダルあるいは絞り弁の操作位置検出装置
US5528932A (en) Method for recognizing lambda probes connected in a side-inverted manner
KR100772853B1 (ko) 센서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3463463B2 (ja) 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JP2004090920A (ja) 車両の可変量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002352B2 (en) Reference voltage diagnostic suitable for use in an automobile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JP4225601B2 (ja) 車両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3518224A (ja) センサの誤動作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
JP2004506121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
US6507198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a fault in the context of measurement quantities in a motor vehicle
KR20050008107A (ko) 차량용 쓰로틀 포지션 센서의 고장진단방법
JP3889821B2 (ja) 自動車搭載調整装置の終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JP4165301B2 (ja) 車両のスロットル制御方法
KR20010059144A (ko) 차량용 엔진 과급압 센서 고장 검출 방법
JP2552740B2 (ja) 自動車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
KR100305843B1 (ko) 스로틀포지션센서고장진단방법
JP3980669B2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