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331A -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331A
KR20050007331A KR10-2004-7016937A KR20047016937A KR20050007331A KR 20050007331 A KR20050007331 A KR 20050007331A KR 20047016937 A KR20047016937 A KR 20047016937A KR 20050007331 A KR20050007331 A KR 20050007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ser
display
level
time period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4072B1 (ko
Inventor
시몬스주니어칼톤제스로
제머리차드알렌
미어스마크길모어
레페브레채즈앤드류
딘위디아론할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0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0Prevention of damage to cathode-ray tubes in the event of failure of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우저 특징이 활성화될 때 유휴 디스플레이에 기인한 스크린 번의 때이른 에이징 효과들에 대한 장치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기위해 브라우저 특징을 가지는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제 1 사용자 입력이 비디오 장치로 검출하고, 제 1 사용자 입력이 비디오 장치의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고 스크린 번을 감소하기 위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작은 제 1 사용자 입력이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는지 결정하거나 유휴 시간을 결정하는데 응답하여 비디오 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 1 미리 결정된 단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유휴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과하면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prevent screen aging}
비주얼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음극선관들(CRT들)을 사용하는 전형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에 있어, 스크린상의 변하지 않는 이미지는 스크린에 이미지를 번(burn)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스크린 번"으로 알려진 상태는 CRT 스크린의 내부 표면상의 형광체들이 이미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고밀도 빔들의 빈번한 출현으로 인해 시간에 따라 열화될 때 일어난다. 더 많은 이미지들을 계속해서 수신하는 스크린의 영역들은 더 적은 이미지들을 계속해서 수신하는 스크린의영역들보다 많은 스크린 번을 경험할 것이다. 결국, 스크린 번의 축적에 기인한 스크린의 다른 영역들 간에 현저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번-인(burned-in)된 스크린 이미지는 매우 두드러진다.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들과 같은 비디오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계속해서 변하여 때이른 스크린 번의 기회를 감소시키는 비디오 디스플레이들을 제공한다. 하지만, 그와 같은 장치들에 인터넷 브라우저와 같은 특징들을 포함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모션을 거의 갖지 않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요청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크린 번의 위험이 증가한다. 따라서, 브라우저 특징을 갖는 비디오 장치들에서 스크린 번으로부터 때이른 에이징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출원은 2002년 04월 23일 및 2002년 04월 22일에 미국 특허 상표청에 출원되어 일련 번호들 60/374,885 및 60/374,406이 할당된 가출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이익들을 및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장치들, 및 비디오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 번(screen burn)의 때이른 에이징 효과들(premature aging effects)에 대해 관련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포함된 브라우저 특징을 갖는 비디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적합한 예시적인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스크린 에이징(screen aging)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 방법은 제 1 사용자 입력을 비디오 장치로 검출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입력이 비디오 장치의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사용자 입력이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시킨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비디오 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 1 미리 결정된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는 비디오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장치는 제 1 사용자 입력을 비디오 장치로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처리 수단은 제 1 사용자 입력이 비디오 장치의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는지를 결정한다. 편향 수단은 비디오 장치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 1 사용자 입력이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는지 결정하는 처리 수단에 응답하여 제 1 미리 결정된 레벨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사용자가 특정 기간에 대한 브라우저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면 브라우저는 사용자에게 브라우저 명령이 짧은 시간 기간(30초 정도)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브라우저는 자동적으로 완료하고 사용자가 프로그램 또는 TV 시청으로 돌아가는 것을 알려주는 다이얼로그 경고 박스를 나타내는 것같은 "유휴 타임아웃"을 특정하기 위해 스크린 번 또는 브라우저의 스크린 에징 효과들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특정된 시간 간격 후에, 브라우저는 끝나고, 완료되며 사용자를 '정규'(브라우저가 아닌) TV 시청으로 돌아가게 할 것이다. "브라우저 명령"의 상세들은 채널 변화들, 볼륨 변화들을 명령하고, "TV 시청"명령들은 브라우저 명령들과 다르고 구별된다. 브라우저로 들어가는 방법은 "유휴 타임아웃" 값을 명령한다. 즉, 메뉴로부터 브라우저의 호출(invocation)은 브라우저를 호출하기 위해 키보드 명령을 통해서 보다 더 짧은 타임아웃을 사용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것처럼, 용어 비디오 장치는 비디오 신호들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 예컨대, 음극선관들을 사용하는 텔레비전 수신기 및 고해상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들로 외부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고해상 장치, 디스플레이되는 정적 이미지들에 기인한 스크린 번에 영향을 받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들에 사용된다. 스크린 번의 정확한 양은 다른 형태들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들의 모델들간에서 변하고 시간의 길이에 의존하여 정적 이미지는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밝기 및 대조와 같은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변하지만, 일반적으로 고해상 프로젝션 텔레비전 타입은 이런 문제점에 가장 영향을 받기 쉽다.
본 발명의 위에서 언급되거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 그것들을 달성하는 형태는 더욱 명확해 질것이고, 첨부된 도면들과 결합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기의 기술들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예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설명하고 그와 같은 예시들은 어떤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이제, 도면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장치(100)가 도시된다.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장치(100)는 프로젝션 스크린 텔레비전으로 구현되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의 예시적인 부분을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은 다른 장치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들이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오디오/비디오 입력/출력(AV IO)블록(101), 프론트 오디오/비디오(FAV) 커넥터(102), 디지털 처리 블록(103),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FPA)(104), 적외선(IR) 프리앰프(105), 오디오 블록(106), 파워 서플라이(107), 서브우퍼 앰프/파워 서플라이(108), 서브우퍼(109), 편향 블록(110), 수렴 블록(111), CRT들(112 내지 114), 및 요크들(115 내지 117)을 포함한다. 도 1의 앞서 말한 요소들은 도 1에서 도시된 데이터 라인들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효과적으로 연결된다. 당업자들에게 인식되는 것처럼, 도 1에서 나타내진 많은 요소들은 집적 회로들(IC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것이다.
AV IO 블록(101)은 도 1에서 명령된 바와 같이,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입력들을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해 동작하고 장치(100)의 다른 요소들에 처리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해 동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AV IO 블록(101)은 외부 소스(예컨대, 위성, 지상, 케이블, 인터넷 등을 통해)로부터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입력들을 수신하고, 오디오 블록(106)으로부터 처리된 오디오 입력들을 또한 수신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구성요소 비디오 신호들(예컨대, 2H, 2.14H, Y, Pr, Pb 비디오 정보)을 편향 블록(110)에 출력하는 동안, AV IO 블록(101)은 이러한 입력들을 처리하고 출력들은 추가 처리를 위한 디지털 블록(103)에 비디오 신호들 및 모든 오디오 신호들을 합성한다. FAV 커넥터(102)는 AV IO 블록(101)에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입력들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튜닝, 복조, 신호 압축 해제, 메모리 및 다른 기능들과 같은 장치(100)의 여러 디지털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디지털 처리 블록(103)이 단일 디지털 데이터 처리 블록으로서 예시적으로 도시되지만, 디지털처리 블록(103)내에서 실행된 기능들은 엔코더/디코더용 분리 IC들, 중앙 처리 또는 제어, 비디오 신호 처리, A/D 변환, D/A 변환, PIP 이미지들 등을 발생시키는 보조 및 주요 이미지들간의 스위칭을 포함하는 복수의 공지된 IC 블록들 또는 유닛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줌 및 픽쳐들 대비 여러 면 같은, 여러 사용자-활성화된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발생시키는 기술들 및 방법들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그와 같은 기술들 및 방법들은 본 발명의 사용자-활성화된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어떤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충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요청된 비디오 및 데이터 처리 동작들을 실행하는 외부 RAM 및 ROM(도시되지 않음)을 억세스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이하에서 설명될 것으로,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또한 장치(100)의 브라우저 특징을 인에이블하고 브라우저 특징의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를 검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제어를 인에이블하도록 동작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장치의 "브라우저 특징"은 사용자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억세스하도록 인에이블한다.
FPA(104)는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 입력들은 IR 휴대용 원격 제어, RF 원격 제어 장치, 무선 키보드, 유선 원격 제어 장치, 또는 다른 유사 장치와 같은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공지된 통신들 링크들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신호들의 수신시, FRA(104)는 대응하는 디코딩 제어 출력 신호들을 프리앰프(105)에 제공한다. 프리앰프는 FRA(104)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해 동작하고 출력을 디지털 처리 블록(103)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위에서 언급된 중앙 처리 유닛 기능들을 통합할 수있는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디코딩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고 여러 동작들을 실행하고 신호들에 응답하여 장치(100)를 제어한다.
오디오 블록(106)은 여러 오디오-처리 기능들을 실행하고 처리된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블록(106)은 중앙 채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출력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동일하게 처리한다.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오디오 블록(106)은 오디오 출력 신호들을 장치(100)의 외부 및 내부 스피커들 양쪽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부가하여, 오디오 블록(106)은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들을 서브 우퍼 앰프/파워 서플라이(108)를 또한 제공한다.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파워 서플라이(107)는 입력 교류 전류 전력 신호(AC-IN)을 수신하도록 동작하고, 장치(100)의 여러 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압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압 공급(107)은 그와 같은 전압 신호들을 AV IO 블록(101), 디지털 처리 블록(103), 오디오 블록(106), 서브우퍼 앰프/파워 서플라이(108), 디지털 처리 블록(108) 및 편향 블록(110)에 제공한다. 서브우퍼 앰프/파워 서플라이(108)는 오디오 블록(106)으로부터 제공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들을 증폭하고 증폭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들을 서브우퍼(109)에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서브우퍼 앰프/파워 서플라이(108)는 또한 서브우퍼(109)에 전압 신호를 출력하고, 파워 서플라이로 동작한다. 서브우퍼(109)는 서브우퍼 앰프/파워 서플라이(108)로부터 공급된 증폭된 서브우퍼 오디오 신호들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편향 블록(110)은 장치(100)의 편향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편향 블록(110)은 요크들(115 내지 117)에 편향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는데, CRT들(112 내지 114)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생된 고-밀도 빔들의 수평 및 수직 편향을 제어한다. 편향 블록(110)은 또한 디지털 처리 블록(103)으로부터 제공된 처리된 비디오 신호들 및 다른 제어 신호들에 반응하는 CRT들(112 내지 114)에 색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이하에서 후에 설명될 것으로, 편향 블록(110)의 회로는 브라우저 특징의 활동 및 비활동을 검출하는 디지털 처리 블록(103)에 반응하는 장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을 제어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편향 블록(110)은 파워 서플라이들에 대한 수렴 블록(111) 및 CRT들(112 내지 114)에 전압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수렴 블록(111)은 장치(100)의 수렴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수렴 블록(111)은 수렴 제어 신호들을 요크들(115 내지 117)에 출력하는데, 스크린상의 CRT들(112 내지 114)로부터 방출되는 고밀도 빔들을 미리 포커스하는 포지티브 수렴 조절을 제어한다(도시되지 않음).
CRT들(112 내지 114)은 편향 블록(110)으로부터 색 제어 신호들에 반응하는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고밀도 레드, 그린, 블루 빔들을 발생시키도록 동작한다. 요크들(115 내지 117)은 편향 블록(110)으로부터 편향 제어 신호들에 반응하고 수렴 블록(111)으로부터 수렴 제어 신호들에 반응하는 CRT들(112 내지 114)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도 2로 넘어가면,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200)는 도시된다. 특히, 도 2는 장치의 브라우저 특징이 활성화될 때, 미리 결정된 정규 레벨 또는 사용자 선택된 레벨로부터 장치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레벨을 미리 결정된 브라우저 레벨로 변화시키는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한다. 예들 및 설명의 목적으로, 도 2의 단계들은 도 1의 장치(100)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따라서, 도 2의 단계들은 단지 예시이며, 어떤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설정되지 않는다.
단계(201)에서, 장치(100)로 사용자 입력은 검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으로 사용자 입력은 IR 휴대 원격 제어, 키보드 또는 기타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제공된다. FPA(104)는 IR 프리앰프(105)에 입력를 표시하는 것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디지터 처리 블록(103)으로 출력에 대한 신호를 증폭한다.
단계(202)에서, 단계(201)에서의 사용자 입력이 장치(100)의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도록 명령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여부가 결정된다. 여기에서, 미리 명령된 것처럼,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장치(100)의 브라우저 특징의 활성화를 검출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단계(202)에서,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사용자 입력이 장치(100)의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시키는 명령을 나타내는지 결정하도록 IR 프리 앰프(105)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검사한다.
단계(202)에서 결정이 긍정이라면, 처리 흐름은 장치(1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미리 결정된 레벨로 설정되고, 브라우저 레벨로서 여기에서 언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대조, 밝기, 색 레벨,선명도, 색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와 같은 스크린 에이징을 작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브라우저 특징이 활성화되는 것을 명령하는 편향 블록(11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편향 블록(110)은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들을 조절하고, 그 결과 미리 결정된 브라우저 레벨에 장치(1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이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파라미터가 색 레벨이라고 가정한다면, 편향 블록(110)은 CRT들(112 내지 114)로의 색 제어 신호들 출력을 조절하여 그 결과 미리 결정된 브라우저 레벨로 장치에 대한 색 레벨을 설정한다. 대안으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요청된 파라미터 레벨을 달성하도록 편향 블록(110)으로 유닛(110)을 처리함으로써 제공된 출력 신호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브라우저 레벨로서 사용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실제 레벨은 설계 선택의 문제이지만, 스크린 번(screen burn)의 때이른 에이징 효과들(premature aging effects)에 대한 장치(100)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선택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 레벨은 장치(100)의 제조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조절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런 실시예에서, 브라우저 레벨로서 제조자에 의해 설계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특정 레벨은 단계(203)에서 항상 사용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파라미터가 콘트라스트라고 가정한다면, 브라우저 레벨로서 사용된 콘트라스터 레벨은 50% 콘트라스트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브라우저 레벨은 사용자에 의한 조절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제조자에 의해 최대값 설정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장치(100)로의 입력들을 통해 위쪽 및/또는 아래쪽으로 브라우저 레벨을 조절할 수 있지만, 브라우저 레벨로서 사용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실제 레벨은 고정된, 최대값으로 상한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파라미터가 대조라고 다시 가정한다면, 브라우저 레벨은 50% 대조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이 후자의 실시예에 따라, 예컨대, 브라우저 레벨에 대한 최대값은 장치(100)의 정규 픽쳐 제어 설정들의 부분으로 사용자에 의한 전류 파라미터 레벨 설정의 상대적인 비율로서 설정될 수 있다. 예들과 대조를 이루어, 장치(100)의 정규 픽쳐 제어 설정들이 75% 대조를 지금 나타낸다면, 그 때 브라우저 레벨은 이 대조 레벨의 상대적인 비율로서 상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인 비율이 50%라면, 장치(100)에 대한 브라우저 레벨은 37.5%(즉, 75% 중 50%)대조로 상한된다. 물론, 브라우저 레벨을 설정하는 다른 기술들은 본 발명에 따라 채용될 것이다.
대안으로, 단계(202)에서 결정이 부정이라면, 처리 흐름은 장치(1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레벨은 현재 미리 결정된 레벨로 유지되는 단계(204)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정규 레벨로 언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정규 레벨은 장치(100)의 정규 레벨 제어 설정들의 일부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현재 레벨이다.
두 개의 단계들(203 및 204)후에, 처리 흐름은 알고리즘이 끝나는 단계(205)로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300)이다. 특히 도 3은 장치의 브라우저 특징이 비-활성화될 때 브라우저 레벨로부터정규 레벨까지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예시적인 단계를 나타낸다.도 2처럼, 도 3의 단계들은 또한 도 1의 장치(100)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고, 어떤 형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301)에서, 장치(100)로 사용자 입력은 검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장치(100)로 사용자 입력은 IR-휴대용 원격 제어,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제공된다. FPA(104)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IR 프리앰프(105)로 입력을 표시하는 대응 신호를 출력하고, 검출을 위한 디지털 처리 블록(103)으로 출력에 대한 신호를 증폭한다.
단계(302)에서, 단계(301)에서 사용자 입력이 장치(100)의 브라우저 특징을 비활성화되도록 명령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된다. 여기에서 이전에 명령된 것처럼, 디지털 프로세싱 블록(103)은 장치(100)의 브라우저 특징의 비-활성화를 검출하기 위해 동작한다. 따라서 단계(302)에서,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사용자 입력이 장치(100)의 브라우저 특징을 비활성하도록 명령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IR 프리앰프(105)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시험한다.
단계(302)에서 결정이 긍정이라면, 처리 흐름은 장치(1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레벨이 정규 레벨로 설정되는 단계(303)로 진행된다. 이전에 기술되었던 것처럼,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대조, 밝기, 색 레벨, 선명도, 색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파라미터가 될 수 있고, 정규 레벨은 장치(100)의 정규 픽쳐 제어 설정들의 일부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현 레벨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처리 블록(103)은 브라우저 특징이 비활성화인 것을 나타내는 편향 블록(110)에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편향 블록은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들을 조절하고 미리 결정된 정규 레벨로 장치(1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제어 신호에 응답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파라미터가 색 레벨이라고 가정하면, 편향 블록(110)은 CRT들(112 내지 114)로 색 제어 신호들 출력을 조절하고 미리 결정된 정규 레벨로 장치(100)에 대한 색 레벨을 설정한다.
대안으로, 단계(302)에서의 결정이 부정일 때, 처리 흐름은 장치(1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레벨이 현재 미리 결정된 레벨인 브라우저 레벨로 유지되는 단계(304)로 진행된다.
양 단계들(303 및 304)후에, 처리 흐름은 알고리즘이 끝나는 단계(305)로 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예시적인 단계들에 대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다른 면에 따라, 비디오 장치는 브라우저 디스플레이가 어떤 사용자 입력들도 수신하지 않는것에 근거하여 유휴일때 시간 기간을 결정하는 유휴 타이머(idle timer)를 포함하고, 유휴 타이머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과한다면, 브라우저 디스플레이는 비활성화되고 장치는 프로그램 신호들 즉, 텔레비전 신호들의 디스플레이로 되돌아간다. 시간의 미리 결정된 기간은 브라우저 특징이 활성화되는 형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결정된 유휴 기간이 한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면, 브라우저는 키보드상에 전용키의 사용자 활동에 의해 활성화되고, 다른 기간동안, 브라우저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네비게이션에 의해 활성화된다. 키보드를 구비한 브라우저를 활성화하는 사용자는 브라우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데 더 활발히 사용할 수 있기에 후자보다는 전자의 경우에 대한 더 긴 유휴 기간을 설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사용자 입력은 검출된다. 사용자 입력이 단계(404)에서 브라우저 활성화 명령로 결정된다면, 처리는 처리 유닛(103)이 브라우저를 디스플레이하는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단계(408)를 계속한다. 그렇지 않다면, 처리는 단계(406)를 계속하고 선택된 프로그램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브라우저 특징이 활성화된다면, 처리는 단계(410)에서 유휴 기간을 결정한다. 유휴 기간은 위에서 언급된 브라우저 활동의 소스에 근거하여 설정되거나 장치(100)의 셋 업 메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 제조(time manufacture)에 고정될 수 있다.
단계(412)에서, 유휴 타이머는 활성화되거나 리셋되고, 카운팅을 시작한다. 처리(400)는 그 때 단계(414)에서 다음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기다린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 처리는 사용자 입력이 유휴 타이머 기간의 만기이전에 결정될지 단계(416)에서 결정된다. 그렇다면, 처리는 단계(420)에서 브라우저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하고 단계(412)에서 유휴 타이머를 리셋하기 시작하고 다음 사용자 입력에 대해 카운팅하고 기다리는 것을 시작한다. 사용자 입력이 유휴 시간 기간의 만료 전에 수신되지 않는다면, 처리(400)는 브라우저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도록 디스플레이를 스위치하고, 단계(418)에서 프로그램 신호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분명히, 처리는 사용자 입력이 단계(418)에서 디스플레이들을 스위칭하기전에 수신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즉, 처리는 유휴시간이 끝나자마자 디스플레이들을 전환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처리(400)의 동작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형태에 의존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414)에서 처리(400)는 사용자 입력이 디스플레이의 콘텐트를 초래하는 "브라우저 명령"이라면, 유휴 타이머의 상태가 체크되도록 배열될 것이다. 반면에, 사용자 입력이 브라우저 디스플레이의 콘텐트를 변화시키지 않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그램 뷰잉 명령"라면, 처리(400)는 명령을 무시하고 유휴 타이머를 계속한다. 이런 형태에서, 디스플레이의 콘텐트의 변화를 초래하는 단지 그러한 사용자 입력들은 디스플레이가 프로그램 신호 디스플레이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기술된 것처럼, 본 발명은 스크린 번의 때이른 에이징 효과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브라우저 특징을 가지는 비디오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들을 유리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단일 파라미터가 브라우저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에 반응답하여 제어되도록 기술되는 동안, 그와 같은 파라미터들의 조합은 또한 제어될 수 있다고 예기된다.
본 발명은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거나 갖지 못한 특히 여러 비디오 처리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된 표현 "비디오 장치" 또는 "텔레비전 신호 수신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셋-톱 박스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들(VCR들),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임 박스들, 개인 비디오 레코더들(PVR들), 컴퓨터들 및 다른 장치들과 같은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세트들, 컴퓨터들 및모니터들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시스템들 또는 장치들을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언급된 설계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 기술되고 있다면, 본 발명은 이 명세서의 정신 및 범위 안에서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이 출원은 따라서 일반 원리들을 사용하는 발명의 여러 변형들, 사용들, 또는 적응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이런 응용은 본 발명이 속하고 첨부된 청구범위들의 제한 내에 포함되는 기술의 관습적 실행 또는 공지된 본 명세서로부터 그와 같은 시작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 신호들의 소스로부터 프로그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 신호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디스플레이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해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 1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브라우저 특징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 특징의 상기 활성화에 응답하여 브라우저 디스플레이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크린 번(screen burn)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신호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의 특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가 활성화되는 동안 어떤 사용자 입력도 수신되지 않는 유휴 시간(idle time) 기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유휴 시간 기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과하면 상기 브라우저 특징을비활성화하고 상기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프로그램 신호들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상기 브라우저 활성화 명령(command)의 소스에 응답하여 설정되고, 키보드로부터의 브라우저 활성화 명령은 제 1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래하고, 온-스크린 메뉴(on-screen menu)를 통한 브라우저 활성화 명령은 제 2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래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브라우저 명령들과 프로그램 뷰잉 명령들(program viewing commands)간을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우저 명령들의 수신은 상기 유휴 시간 기간을 결정하는 상기 타이머의 활성화를 리셋하고, 상기 프로그램 뷰잉 명령들의 수신은 상기 타이머의 활성화를 리셋시키지 않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 특징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 2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는 대조(contrast), 밝기, 색 레벨, 선명도(sharpness) 및 색조(tint) 중 하나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라미터 레벨은 상기 제 1 파라미터 레벨보다 더 낮은 레벨을 나타내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라미터 레벨은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라미터 레벨은 상기 제 1 파라미터 레벨의 미리 결정된 백분율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11. 비디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프로그램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신호 수신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 신호들을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는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출력 신호들과 연관된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 1 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발생하고 브라우저 특징의 사용자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브라우저 특징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크린 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신호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비디오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브라우저가 활성화되는 동안 어떤 사용자 입력도 수신되지 않는 유휴 시간 기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활성화하고, 상기 유휴 시간 기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과하면 상기 브라우저 특징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유휴 시간 기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과하면 상기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프로그램 신호들로 대체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상기 브라우저 활성화 명령의 소스에 응답하여 설정되고, 키보드 상의 스위치의 활성화로부터 수신된 브라우저 활성화 명령은 제 1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래하고, 온-스크린 메뉴를 통해 수신된 브라우저 활성화 명령은 제 2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을 초래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브라우저 명령들과 프로그램 뷰잉 명령들간을 구별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브라우저 명령들의 수신은 상기 유휴 시간 기간을 결정하는 상기 타이머의 활성화를 리셋시키고, 상기 프로그램 뷰잉 명령들의 수신은 상기 타이머의 활성화를 리셋시키지 않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브라우저 특징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파라미터를 제 2 레벨로 설정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대조, 밝기, 색 레벨, 선명도, 및 색조 중 하나인,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라미터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보다 낮은 레벨을 나타내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라미터 레벨은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라미터 레벨은 상기 제 1 파라미터 레벨의 미리 결정된 백분율인, 방법.
KR1020047016937A 2002-04-22 2003-04-21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4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440602P 2002-04-22 2002-04-22
US60/374,406 2002-04-22
US37488502P 2002-04-23 2002-04-23
US60/374,885 2002-04-23
PCT/US2003/012180 WO2003090455A1 (en) 2002-04-22 2003-04-2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o prevent screen a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331A true KR20050007331A (ko) 2005-01-17
KR100954072B1 KR100954072B1 (ko) 2010-04-23

Family

ID=29254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937A KR100954072B1 (ko) 2002-04-22 2003-04-21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38790B2 (ko)
EP (1) EP1497975A1 (ko)
JP (1) JP2005523482A (ko)
KR (1) KR100954072B1 (ko)
CN (1) CN1314263C (ko)
AU (1) AU2003222655A1 (ko)
MX (1) MXPA04010502A (ko)
WO (1) WO2003090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0159B2 (en) * 2004-09-17 2014-01-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ducing bandwidth consumption in multimedia distribution systems
US20070109284A1 (en) 2005-08-12 2007-05-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7793317B2 (en) * 2005-08-19 2010-09-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video streams to a set top box
US20080204596A1 (en) * 2007-02-23 200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2008311692A (ja) * 2007-06-12 2008-12-25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放送再生方法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再生プログラム
US20090183199A1 (en) * 2008-01-10 2009-07-16 James Ivan Staffor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garding Advertisement on Demand
CN102053566A (zh) * 2009-10-30 2011-05-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健康保护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设备
CN102055937A (zh) * 2009-11-06 2011-05-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视机及电视机关机方法
WO2013179303A2 (en) * 2012-05-16 2013-12-05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A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ation of an appliance by using context information
KR102223277B1 (ko) * 2014-01-0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6945A (en) * 1995-06-07 1998-08-18 Tarabella; Robert M. Idle time multimedia viewer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defined indicia
US5740549A (en) * 1995-06-12 1998-04-14 Pointcast, Inc. Information and advertising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5996007A (en) * 1997-06-16 1999-11-30 John Klug Method for providing selected content during waiting time of an internet session
JPH09247628A (ja) * 1996-03-11 1997-09-19 Taito Corp カラオケ装置
US6034652A (en) * 1996-03-22 2000-03-07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Attention manager for occupying the peripheral attention of a person in the vicinity of a display device
JPH09266555A (ja) * 1996-03-28 1997-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US6008836A (en) * 1996-06-03 1999-12-28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levision display control using a browser
US5738527A (en) * 1996-08-08 1998-04-14 Lundberg; Steven W. Screen saver
US6097383A (en) * 1997-01-23 2000-08-0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Video and audio functions in a web television
US6202212B1 (en) * 1997-04-01 2001-03-1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ystem for changing modalities
US6314479B1 (en) * 1997-08-04 2001-11-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Universal multi-pin plug and display connector for standardizing signals transmitted between a computer and a display for a PC theatre interconnectivity system
WO1999034593A1 (en) * 1997-12-29 1999-07-08 Thomson Licensing S.A. Automatic screen saver
JP3221389B2 (ja) * 1998-03-30 2001-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焼き付き防止装置、及び焼き付き防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992163B1 (en) * 1999-06-11 2011-08-02 Jerding Dean F Video-on-demand navigational system
EP1085757A3 (en) * 1999-09-16 2004-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system and method of event delivery control,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GB9925289D0 (en) * 1999-10-27 1999-12-29 Ibm Method and mean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user-activity-dependent changes of operational state of an apparatus
US7213255B2 (en) * 2000-08-25 2007-05-01 Intellocity Usa, Inc. Set-top preview program
JP3693938B2 (ja) * 2000-11-07 2005-09-14 信佳 酒谷 情報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プログラム、サーバ、情報配信サーバ、広告情報配信方法、およびセーバページ表示方法
US20030169306A1 (en) * 2002-03-07 2003-09-11 Nokia Corporation Creating a screen saver from downloadable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US7899915B2 (en) * 2002-05-10 2011-03-01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sets
US20040049533A1 (en) * 2002-09-06 2004-03-11 Knight Leonard K. Interactive screensaver
US7178111B2 (en) * 2004-08-03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ana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10502A (es) 2004-12-13
KR100954072B1 (ko) 2010-04-23
AU2003222655A1 (en) 2003-11-03
CN1314263C (zh) 2007-05-02
US7538790B2 (en) 2009-05-26
CN1647511A (zh) 2005-07-27
EP1497975A1 (en) 2005-01-19
JP2005523482A (ja) 2005-08-04
WO2003090455A1 (en) 2003-10-30
US20060130105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072B1 (ko) 스크린 에이징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7403194B2 (en) Image displayer hav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eliminating afterimage and a method thereof
KR1007138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81639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EP12516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uxiliary video information display
US6130659A (en) Signal management apparatus for use in display monitor of a multimedia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ing on screen display
EP1782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function
KR100426089B1 (ko)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KR19990051691A (ko) 멀티hd모니터의 자동입력신호 선택장치
KR0141857B1 (ko)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조정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20000004029A (ko) 텔레비전의 시력측정장치
KR2006011606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3191A (ko) 주변조도에 따른 오에스디밝기 자동 조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00042732A (ko) 텔레비전의 문자정보 출력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09214A (ko) 외부입력기기의 동작 여부 osd 확인 방법
KR20010016742A (ko) 텔레비젼 수신기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9990001199A (ko) 스텝조정 선택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00040651A (ko) 텔레비전의 제어데이터 경고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00021694A (ko) 텔레비전수상기의 다국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발생장치의문자제어방법
KR20000027983A (ko) 텔레비전의 자동틴트 조정장치 및 방법
KR20050056597A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알람 방법
KR20000027984A (ko) 더블클릭에 의한 채널조정방법
KR20000021695A (ko) 텔레비전수상기의 다국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발생장치의언어선택방법
JPH0591526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