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100A -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100A
KR20050006100A KR1020040108594A KR20040108594A KR20050006100A KR 20050006100 A KR20050006100 A KR 20050006100A KR 1020040108594 A KR1020040108594 A KR 1020040108594A KR 20040108594 A KR20040108594 A KR 20040108594A KR 20050006100 A KR20050006100 A KR 20050006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tainer
main conveyor
cra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945B1 (ko
Inventor
홍금식
홍경태
이숙재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10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9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2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influenced by the tide or by the movements of the ship, e.g. devices on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롤리에 보조 컨베이어까지 컨테이너를 이송한 후,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 컨베이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바로 자동유도차량(AGV)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롤리의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컨테이너의 하역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차량에 컨테이너를 적재시키는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측 수직 프레임(10)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컨베이어(20)의 일측 종단부에는 자동유도차량(AGV)(30)과 연결되는 롤러부(40)가 연결 장착되어져 있고, 타측 선단부에는 컨테이너를 메인 컨베이어(20)로 유도하는 보조 컨베이어(5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의 양측에는 유압 실린더(21)(51)가 장착되어져 있되, 상기 유압 실린더(21)(51) 로드(22)(52)의 종단으로는 해측 수직 프레임(10')의 요입부(11')(11")에 삽입되어 요입부(11')(11")의 체인벨트(12')(12")와 맞물려 상하 승강하는 승강휠(23)(53)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Container crane with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롤리에 보조 컨베이어까지 컨테이너를 이송한 후,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인 컨베이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바로 자동유도차량(AGV)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롤리의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컨테이너의 하역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차량에 컨테이너를 적재시키는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크레인은 선박과 부두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하역장비로, 컨테이너크레인의 하역속도는 부두 전체 화물의 처리능력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최근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로 급변하는 국제 물류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운반의 정밀성과 신속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먼저 트롤리를 통해 배에 선적되어져 있는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상승시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차량이 위치한 곳으로 컨테이너를 수직 하강시켜 적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컨테이너를 하역할 경우 작업시간이 매우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를 차량에 적재시키고자 할 경우 흔들림에 의해 컨테이너의 파손이나 자칫 큰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고, 최근에는 특허출원 제10-1996-7006573호 '화물 적재 크레인'과 특허출원 제10-2001-51189호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이송장치'가 제시된 바가 있다.
하지만 전자는 이송 컨베이어가 크레인의 수직 프레임에 수평 상태로 고정 장착되어져 있어 트롤리가 이동하는 거리가 증대되는데, 즉 컨테이너가 적게 선적되어져 있을 경우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강한 후, 컨베이어가 위치한 곳으로 다시 수직 상승하여야 하므로 트롤리의 이동 거리가 종래에 비해 짧아지지 않는다. 또한 컨베이어로 이송된 컨테이너를 차량에 재적재시키고자 할 경우 소정의 수송장치에 이송된 후, 차량에 개별적으로 적재를 해야하므로 적재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반면 후자는 이송 컨베이어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컨테이너를 차량에 적재시키기 위한 별도의 트롤리가 구비되어져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작업 효율성 또한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크레인의 양측 수직 프레임 사이에 육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컨베이어를 장착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자동유도차량(AGV)으로 이동하는 롤러부를 연결 장착하며, 타측으로는 보조 컨베이어를 연결 장착하되, 상기 보조 컨베이어와 메인 컨베이어 사이의 수직 프레임에는 컨베이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선박에 선적된 컨테이너의 위치에 따라 컨베이어의 위치를 조절하여 트롤리의 이동 반경을 최소화시키고, 자동유도차량(AGV) 적재시에도 별도의 트롤리 없이 롤러부를 통해 자동 적재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를 제공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상태도
도 2a 또는 2b는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의 수직 이송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a 또는 3b는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의 이송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수직 프레임 11'11": 요입부
12',12": 체인벨트 20: 메인 컨베이어
21: 유압실린더 22: 로드
23: 승강휠 30: 자동유도차량(AGV)
40: 롤러부 41: 회전롤러
50: 보조 컨베이어 51: 유압 실린더
52: 로드 53: 승강휠
100: 컨테이너크레인
양측 수직 프레임(10)(10') 사이에 이송 컨베이어(20)가 수평으로 형성된 통상의 크레인(100)에 있어서, 육측 수직 프레임(10)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컨베이어(20)의 일측 종단부에는 자동유도차량(AGV)(30)과 연결되는 롤러부(40)가 연결 장착되어져 있고, 타측 선단부에는 컨테이너를 메인 컨베이어(20)로 유도하는 보조 컨베이어(5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의 양측에는 유압 실린더(21)(51)가 장착되어져 있되, 상기 유압 실린더(21)(51) 로드(22)(52)의 종단으로는 해측 수직 프레임(10')의 요입부(11')(11")에 삽입되어 요입부(11')(11")의 체인벨트(12')(12")와 맞물려 상하 승강하는 승강휠(23)(53)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메인 컨베이어(2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1)의 로드(22)가 인출되면 보조 컨베이어(5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51)의 로드(52)가 인입되고, 메인 컨베이어(2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1)의 로드(22)가 인입되면 보조 컨베이어(5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51)의 로드(52)가 인출되어진다.
상기에서, 롤러부(40)는 상면으로 다수개의 자동 회전롤러(41)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상태도, 도 2a 또는 2b는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의 수직 이송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a 또는 3b는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의 이송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먼저 도 2a 또는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베이어(20)의 일측 종단부를 육측 수직 프레임(10)에 고정 장착시키고, 타측 선단부에는 보조 컨베이어(50)를 연결 장착한 후, 메인 컨베이어(20)의 선단부 양측과 보조 컨베이어(50)의 선단부 양측에는 유압 실린더(21)(51)를 장착하는데, 이때 유압 실린더(21)(51)의 로드(22)(52) 종단에는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가 해측 수직 프레임(10')을 따라 수직 승강 하도록 승강휠(23)(5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해측 수직 프레임(10')의 내측으로는 한쌍의 요입부(11')(11")를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양단으로 스프라켓(14')(14")을 통해 고정되는 체인벨트(12')(12")를 장착하여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의 승강휠(23)(53)이 체인벨트(12')(12")와 맞물려 해측 수직 프레임(10')을 타고 상하 승강 가능케 한다.
그리고 육측 수직 프레임(10)에 고정된 메인 컨베이어(20) 일측으로는 상면으로 다수개의 회전롤러(41)가 형성된 롤러부(40)를 장착하는데, 이때 상기 롤러부(40)는 메인 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된 컨테이너를 자동유도차량(AGV)으로 자동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에서 메인 컨베이어(20), 보조 컨베이어(50), 유압 실린더(21)(51), 체인벨트(12')(12"), 롤러부(40)는 통상의 제어부(60)를 통해 자동 제어하여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크레인(100)으로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크레인(001)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선적되어져 있는 컨테이너의 높이에 적절하게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를 수직 상승시키는데, 이때 메인 컨베이어(2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1)의 로드(22)는 인출되고, 보조 컨베이어(5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51)의 로드(52)는 인입되어 각 컨베이어(20)(50)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승된 메인 컨베이어(20)는 육측 수직 프레임(1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컨베이어(50)는 해측 수직 프레임(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 선박에 선적된 컨테이너를 트롤리(70)로 수직 상승시켜 해측 수직 프레임(10')까지 수평 이동시킨 후, 다시 보조 컨베이어(50)상에 하강시켜 안착시키는데, 이때 안착된 컨테이너는 보조 컨베이어(50)를 통해 메인 컨베이어(20)로 유입되고, 유입된 컨테이너는 메인 컨베이어(20)를 따라 육측으로 자동 운송된다.
또한 메인 컨베이어(20)의 종단부에서 컨테이너는 메인 컨베이어(20)와 연결된 롤러부(40)로 자동 유입되고, 롤러부(40) 일측의 자동유도차량(AGV)으로 자동 적재되어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별도의 인력없이 단시간 내에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선박에 선적된 컨테이너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를 수직 하강시키는데, 이때 메인 컨베이어(2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1)의 로드(22)는 인입되고, 보조 컨베이어(5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51)의 로드(52)는 인출되어 각 컨베이어(20)(50)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강된 메인 컨베이어(20)는 육측 수직 프레임(10)과의 경사 정도가 낮아지며 최저점에서는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가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 컨베이어(20)를 경사상으로형성하고, 그 종단부에는 컨테이너의 자동 운송을 가능케 하는 롤러부(40)를 구비함으로써, 컨테이너를 차량에 적재하기 위한 별도의 트롤리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그로 인하여 컨베이어 운송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인벨트(12')(12")와 승강휠(23)(53)을 통해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의 수직 승강시켜 컨테이너의 이송거리와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육측 수직 프레임과 해측 수직 프레임 사이에 메인 컨베이어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컨테이너를 차량에 적재하는 롤러부를, 타측에는 메인 컨베이어로 컨테이너를 유도하는 보조 컨베이어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 컨베이어와 보조 컨베이어를 해측 컨베이어상에서 수직 승강 가능케 형성함으로써, 선박에서 자동유도차량(AGV)까지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최적의 거리를 산출하여 컨베이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컨테이너가 이동하는 동선을 최대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트롤리 없이 보조 컨베이어와 메인 컨베이어를 거친 컨테이너가 롤러부를 통해 자동으로 자동유도차량(AGV)에 운반 적재되어 컨테이너를 하역하여 차량에 적재시키는데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측 수직 프레임(10)(10') 사이에 이송 컨베이어(20)가 수평으로 형성된 통상의 크레인(100)에 있어서, 육측 수직 프레임(10)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 컨베이어(20)의 일측 종단부에는 자동유도차량(AGV)(30)과 연결되는 롤러부(40)가 연결 장착되어져 있고, 타측 선단부에는 컨테이너를 메인 컨베이어(20)로 유도하는 보조 컨베이어(5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메인 컨베이어(20)와 보조 컨베이어(50)의 양측에는 유압 실린더(21)(51)가 장착되어져 있되, 상기 유압 실린더(21)(51) 로드(22)(52)의 종단으로는 해측 수직 프레임(10')의 요입부(11')(11")에 삽입되어 요입부(11')(11")의 체인벨트(12')(12")와 맞물려 상하 승강하는 승강휠(23)(53)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 컨베이어(2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1)의 로드(22)가 인출되면 보조 컨베이어(5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51)의 로드(52)가 인입되고, 메인 컨베이어(2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21)의 로드(22)가 인입되면 보조 컨베이어(50)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51)의 로드(52)가 인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롤러부(40)는 상면으로 다수개의 자동 회전롤러(41)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KR1020040108594A 2004-12-20 2004-12-20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KR10063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594A KR100639945B1 (ko) 2004-12-20 2004-12-20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594A KR100639945B1 (ko) 2004-12-20 2004-12-20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100A true KR20050006100A (ko) 2005-01-15
KR100639945B1 KR100639945B1 (ko) 2006-11-01

Family

ID=3722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594A KR100639945B1 (ko) 2004-12-20 2004-12-20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9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945B1 (ko) 200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7582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ship containers
JP5676338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KR20070104201A (ko) 컨테이너 부두의 구조물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적공정
CN107381083B (zh) 一种港口冷链运输系统
CN103523541A (zh) 集装箱装卸方法及升降式双层大梁岸桥集装箱装卸系统
CN103523680A (zh) 具有升降式双层大梁和三小车的集装箱装卸岸桥
CN100519329C (zh) 货船上的货物处理装置和系统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CN114084701A (zh) 装卸船一体机及装卸船方法
KR100639945B1 (ko) 컨테이너 이송용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된 컨테이너크레인
JP3329844B2 (ja) コンテナの荷役設備
KR101203636B1 (ko) 연속식 코일 선적기
US20170327325A1 (en) Horse And Saddle Transfer Apparatus For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480473B1 (ko)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이송장치
JPH05338991A (ja) コンテナー船の多連装クレーン式荷役装置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CN216918375U (zh) 一种多机构协调的岸桥起重机
JP3214137B2 (ja) 高速船用荷役設備
CN111017788B (zh) 装卸装置及岸桥
JPH06298170A (ja) コンテナの水平荷役方式
JPH10194461A (ja) 内航用コンテナ専用船の荷役設備
CN114476969A (zh) 一种多机构协调的岸桥起重机
FI78660B (fi) Hiss foer ett kylfartygs avlastningssystem.
JPH0986871A (ja) 連続式コンテナクレーン
SU1139678A1 (ru) Конвейер дл штучных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