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276A -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갖는 레코더 - Google Patents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갖는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276A
KR20050004276A KR10-2004-7019528A KR20047019528A KR20050004276A KR 20050004276 A KR20050004276 A KR 20050004276A KR 20047019528 A KR20047019528 A KR 20047019528A KR 20050004276 A KR20050004276 A KR 20050004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iving
medium
recording medium
scene
sce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154B1 (ko
Inventor
알폰서스 티. 제이. 엠. 스칩퍼
마틴 보스그라
코넬리스 벨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0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자동 업데이트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아카이빙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업데이트는 전체 알고리즘 또는 부가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알고리즘들 둘 다는 사물들을 배열하여, 이전 세션에서 캡쳐링된 최종 장면 보다 더 최근의 것인 이러한 장면들이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된다. 에이지(age)에 대한 참조는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이다.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레코딩 매체가 어떻게 레코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가정들을 하지 않는 반면, 부가 알고리즘은 구 자료 이후에 신 자료를 부가함으로써 사용되는 매체들의 레코딩을 목적으로 한다.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은 디스크 레코더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캡쳐링된 데이터는 캠코더의 오디오/비디오-스트림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파일들일 수 있다.

Description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갖는 레코더{Method of capturing scenes and recorder with means of performing this method}
캠코더들을 일반적으로 픽처들과 음향을 레코딩하는 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장면들은 예를 들어, 테이프에 레코딩될 수 있다. 이 장면들과 함께, 레코딩의 날짜 및 시간(아래 글에서는 RD&T)이 저장된다. 전형적인 가정 레코딩 상태들에서, 새로운 장면들은 이따금 테이프에 부가된다. 테이프는 캠코더 디스플레이 자체 상에 또는 미리 캠코더 레코딩들을 캡쳐링한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시청될 수 있다. 비디오 레코더는 가정 오디오/비디오 스택들로 고정될 수 있어서, 텔레비전 스크린은 예를 들어 모니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코딩 매체로 디스크를 사용하는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장면들을 시청하는 것은 테이프로부터 장면들을 시청하는 것보다 더 편리한데, 디스크가 더 좋은 장면들과 콘텐트들의 더 좋은 테이블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정 장면들을 쉽게 스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 예를 들어, 테이프는 그의 크기(size)에 대한 시간으로 측정된 아카이빙 용량을 거의 갖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간의 저장 및 아카이빙을 위해서는, 하드 디스크들, DVD(Digial Versatile Disks)+재기록(Re-Writing) 또는 다른 DVD 매체들과 같은 디스크들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높은 압축률로 인해 디스크들은 그들의 크기에 대한 시간으로 측정되는 아카이빙 용량을 더 많이 제공한다.
이는 테이프로부터 디스크로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두 가지 주요 이유들이 있음을 의미하는데, 첫 번째는 시청시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향상된 아카이빙이다.
아카이빙 매체는 일반적으로 레코딩 매체 보다 더 높은 아카이빙 용량을 갖기 때문에, 아카이빙 매체는 때때로 업데이팅될 것이다.
장면들은 테이프에서 디스크로 캡쳐링될 수 있고, 업데이트들은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어느 장면들이 이미 캡쳐링되었는지와 되지 않았는지를 알거나 발견해야 한다. 테이프의 장면들은 연대적 순서로 저장될 필요가없기 때문에, 장면들을 수동으로 캡쳐링하는 것은 어렵고 에러가 나기 쉬운 과정(error-prone process)이다. 사용자가, 최종 업데이팅 후 레코딩된 모든 장면이 테이프로부터 디스크로 캡쳐링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원한다면, 테이프를 시작으로 되감고, 테이프를 플레잉하기 시작하고 레코딩을 시작해야 하고, 동시에 새로운 장면이 시작하고 있는지를 발견한다. 이 모든 것은 사용자 주의와 상호작용을 요구한다.
US 5,568,208은 전 방향성 안테나(omnidirectional antenna)를 통해 오디오, 비디오, 시간 코드, 및 탤리 상태 신호들(tally status signals)을 전송하는 비디오 카메라/캠코더가 장착된 전송기를 개시한다. 신호들은 신호들을 복조하는 수신기로 전송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그들을 시각화한다. 상기 문헌에는, 예를 들어 수신기가 캠코더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힌트는 없다. 도 1은, 캠코더가 오직 전송을 위해 준비되었음을 명확히 한다.
WO 01/13639는 다양한 소스들(인터넷, 직접 전송, 케이블, 등을 통해)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아카이빙하고,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한다. 저장된 신호들은 스탬핑된 시간 및 데이터이며, 발신 사이트 및 카메라에 의해 식별되어, 레코딩의 시간 및 장소를 기초로 그들은 쉽게 발견되고 검색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센트럴 스테이션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센트럴 스테이션이 카메라를 제어함은 예측되지 않는다.
JP 08-19868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포함된 카메라로부터 외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더빙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원격-제어된다. 사용자는 카메라가 포함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즉, 재생 디바이스와 또한 개별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또는 레코딩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외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컴파일 원격 제어기를 통해 레코딩 상태에서 세팅된다. 여기에 레코딩 디바이스(외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재생 디바이스(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포함된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힌트는 없다.
또한, JP 06-082859는 더빙 방법을 개시한다. 이 시스템에서 시작 신호는 원격으로 제어된 전송 부분을 사용함으로써 카메라가 포함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 외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로 전송된다.
Pinnacle Systems, Braunschweig, Germany에 의한 miroVIDEO DV200 사용자의 지침 버전 2.0/GB November 2000(The miroVIDEO DV200 user's guide version 2.0/GB November 2000)은, DV 비디오를 DV 테이프로부터 PC 하드 디스크로 이송하는 보드를 개시한다. 이 보드는 비디오 및 오디오 입력, 출력 및 오버레이에 관한 세팅들의 개별 적응을 위한 제어 디바이스이다. 그러므로, miroVIDEO DV200은 테이프를 스캔하여, PC 모니터 또는 LCD상에 콘텐트들을 디스플레잉한다. 스캐닝은 테이프상의 클립들을 단지 식별하여, 사용자는 그가 캡처링하여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하기 원하는 클립들을 볼 수 있다. 일단 디지털 클립들이 PC의 하드 디스크에 있으면,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것은 편집될 수 있다. 클립은 오디오와 DV 테이프의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의 일정한 추출물이다. 개별 적응의 과정이 시작되면, 제어 디바이스는 인 포인트(in point)(테이크의 시작(start of take))와 아웃포인트(out point)(테이크의 끝(end of take))를 테이프상에서 서칭하여, 이러한 두 포인트들 사이에 놓여진 비디오 시퀀스를 캡쳐링한다. 인 포인트와 아웃 포인트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수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 포인트와 아웃 포인트는 시간 코드들에 의해 식별된다. 시간 코드들은 비디오 시퀀스내에서 장면의 연대순 위치를 마킹하는 스템프들이며, 예를 들어, 시간들, 분들, 초들로 계산된다. 시간 코드에 대해 miroVIDEO DV200의 제어 디바이스가 DV 테이프 상에서 서칭할지라도, 시간 코드들을 과거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캡쳐링된 그것들과 비교하는 것에 관하여 이 사용자의 지침에는 힌트가 없다.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진 카메라, 캠코더 또는 어떤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이송되는 장면들을 아카이빙(archiving)하기 위해 디스크를 사용하는 디스크-레코더와 같은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아카이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글에서 레코딩 디바이스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진 카메라, 캠코더 또는 다른 디바이스 대신 사용되며,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디스크 레코더의 임의의 종류(HDD, DVD+RW, DVD-R DVD-RW, DVD-RAM, DVD+R)와 같은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들에 사용된다.
도 1은 디스크를 업데이팅하기 위한 셋 업을 도시한다.
도 2는 업데이트 디스크 상태 머신(update disk state machine)을 도시하는 단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부가-레코딩된 테이프의 영역을 도시한다.
도 4는 부가 방법에 관한 전반적 상태 머신을 도시한다.
도 5는 부가 방법의 슈퍼-상태(super-state)를 서칭하는 세부 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부가 방법에 관한 슈퍼-상태를 캡처링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전체 스캔 방법에 대한 전반적 상태 머신을 도시한다.
도 8은 전체 스캔 방법에 대한 스캔 테이프 슈퍼-상태의 세부 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리스트에서 발견되는 테이프 순서와 장면 순서를 도시한다.
도 10은 전체 스캔 방법애 대한 슈퍼-상태를 캡처링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은 리스트의 가능한 콘텐트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아카이빙 디바이스 상에서,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고,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에 의해 레코딩된 데이터를 캡쳐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적은 에러-폰(less error-phone)이 되는 것이 가정된다. 이것은 아카이빙 매체를 자동으로 업데이팅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아카이빙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고려하면, 문제는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업데이트 프로세스 동안 디스크-레코더가 캠코더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를 고려하면, 문제는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두 가지 변형들이 있다. 한 변형은 전체 스캔 알고리즘(full scan algorithm)이고, 다른 하나는 부가 알고리즘(append algorithm)이다.
방법들 둘 다는 사물들을 배열하여, 이전 세션에서 캡쳐링된 최종 장면 보다 더 최근의 것인 이러한 장면들이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된다. 캠코더의 테이프상에 레코딩된 장면들의 에이지(age)에 대한 참조는 레코딩 날짜 및 시간(RD&T)이다. 전체 스캔 및 부가 방법 둘 다는 다음에서 설명되는 일정한 알고리즘이다.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는 두 방법둘 중 하나를 실행하거나, 둘 다의 방법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어느 것이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해야 한다. 그 목적을 위해,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요청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 수단을 갖는다.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레코딩 매체가 어떻게 레코딩되어 졌는지에 대하여 가정들을 하지 않는다. 레코딩 매체는 비-연대적으로 레코딩된 장면들의 일 군으로서 접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면들은, 그들의 RD&T들의 순서로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된다. 그 목적을 위해,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스캐닝하는 단계와,
-연속된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장면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장면들이 현재 아카이빙 매체상에 이미 캡쳐링되었는지 여부와 최종 캡쳐링된 장면의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아카이빙 매체상의 최종 레코딩된 날짜 및 시간을 스캐닝된 장면들의 레코딩 날짜 및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캡쳐링하는 단계들을 실행하고, 이것의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은 아카이빙 매체상에서 최종 레코딩 날짜 및 시간보다 더 최근의 것이 된다.
스캐닝의 결과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그들의 위치와 결합되는 장면들의 RD&T가 있는 리스트로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리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장면들이 물리적으로 놓여진 순서로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 내에서 장면들의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가장 오래된 장면이 시작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1 장면 시작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가장 오래된 장면이 종료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1 장면 종료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장면이 시작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2 장면 시작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장면이 종료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2 장면 종료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더 이상 추가할 장면들이 없을 때까지 이 루프를 계속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레코딩 날짜들 및 시간들에서 불연속성이 발견될 때, 장면 종료 마커는 자동으로 리스트에 배치될 수 있다.
레코딩 매체상의 장면들의 위치는 n-비트 테이프 카운터의 포맷에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비트 카운터는 0000,0001,0002,...최대 9999까지이다. 그 목적을 위해, 일단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매체가 시적점으로 되감아지면, 테이프 카운터는 0으로 리세팅되어야 한다.
위치를 정의하는 다른 가능성은 레코딩동안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매체로 추가된 전치-포맷(pre-format)을 사용하는 것이다. 매 초 마다 레코딩된 픽처들의 수는 사용된 표준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PAL(Phase Alternation Line)은 매 초 마다 25 프레임들의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다. 시간 코드는 일반적으로 포맷[hh:mm:ss:ff]을 가지며, 여기서 hh는 시간을 나타내며, mm은 분을 나타내며, ss는 초를 나타내며, ff는 매 초 마다의 프레임들을 나타낸다.
장면들이 레코딩 매체상에서 그들의 외관상의 물리적 순서인 그들의 연대적 순서와 관계없이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이 아카이빙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팅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아카이빙 디바이스내의 리스트는 다른 장면이 캡쳐링된 이후에 체킹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 목적을 위해,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가 리스트의 장면 시작 마커에 대응하는 위치로 레코딩 매체를 감도록 하는 단계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가 플레잉을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와,
-장면들을 접속을 통해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로 이송하는 단계와,
-이러한 장면들을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하는 단계와,
-장면 종료 마커에 대응하는 위치의 종료에 도달될 때,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를 정지하는 단계와,
-최종 알려진 RD&T를 리프레싱(refreshing)하는 단계와,
-리스트의 어떤 RD&T들이 여전히 있는지를 조회하는 단계와,
-어느 장면 시작 마커가 현재 최종 알려진 RD&T에 가장 근접한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리스트내에 남은 RD&T들이 더 이상 없으면 전체 스캔 알고리즘을 마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장면들을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한다.
부가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구 자료(old material) 이 후에 신 자료(new material)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사용되는 매체들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장면이 테이프에 레코딩되기 이전에, 테이프는 최종 레코딩(최종 알려진RD&T)의 끝에 위치하게 된다. 그 포인트에 대한 서치는 예를 들어 캠코더들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종료 서치" 버튼을 갖춘다. 이 버튼을 누르면 최종 추가된 장면, 즉, 최종 알려진 RD&T의 종료 직후의 테이프에 위치한다. 이 테이프의 끝에 접근 또는 도달되면, 캠코더 사용자는 테이프의 시작에서 레코딩을 계속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는 원형 버퍼로서 사용되어, 더 오래된 레코딩들은 중복으로 기록된다. 부가 알고리즘은,
-삽입된 아카이빙 매체가 이것의 세팅들내에 저장된 최종 RD&T를 갖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가 플레잉을 시작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이 상기 디스크 레코더로 이송되도록 하는 단계와,
-현재의 수신된 RD&T를 아카이빙 매체의 최종 RD&T와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의존하여, 레코딩 디바이스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아카이빙 매체의 최종 RD&T의 포인트로 감기 또는 되감기를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와,
-아카이빙 매체가 수신된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캡쳐링하는 동안,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최종 RD&T의 상기 포인트가 발견될 때 레코딩 디바이스가 플레잉을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레코딩하는 동안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는 종료에 도달될 때 시작으로 되감아지며, 레코딩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부가 알고리즘은 원격적으로 동일하게 행한다. 부가 알고리즘은, 갭이 발견될 때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레코딩 매체가 시작으로 되감아지도록 한다.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에 의해 시작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 목적을 위해,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 수단을 가지며,
-아카이빙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상의 "시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업데이트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전체 스캔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와,
-"아니오" 버튼에서 다음 입력 신호가 오면 부가 알고리즘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예" 버튼에서 다음 입력 신호가 오면 전체 스캔 알고리즘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를 참고하면, 이것은 IEEE1394, IrDS 표준 또는 블루투스 표준과 같은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를 코드리스(cordless) 또는 코드(cord)가 필요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양방향 접속을 사용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가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출 때, 상이한 식별(identificaion), 대체 가능한 아카이빙 매체들은 최종 알려진 RD&T와 함께 이것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크 레코더이며, 아카이빙 매체는 컴팩트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하드 디스크로 구성되는 그룹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카이빙 매체상의 데이터를 캡쳐링하는 레코더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아카이빙 캐리어의 세팅들을 판독하는 수단과,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의 데이터를 가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수단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레코딩 디바이스가 퍼스널 컴퓨터일 때, 본 발명의 캡쳐링 방법은 퍼스널 컴퓨터들에서 점진적인 백 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만이 디바이스들 둘 다에 접속하여 새로운 장면들을 갖는 레코딩 매체를 삽입해야 하는 것과, 아카이빙 매체가 업데이팅되는 것은 본 발명의 유리한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아카이브로서 서빙하는 아카이빙 매체의 쉬운 업데이팅을 허용한다. 초기화 이 후,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된 것에 의해 요구된 알고리즘을 시작하며, 레코딩 디바이스는 아카이빙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사용자가 업데이트로 새롭게 레코딩된 비디오를 동시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부가 알고리즘의 한 유리한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과 유리한 점들은 아래에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을 검토한 이 후에 본 기술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더 쉽게 명확해질 것이다.
아래의 정의들이 도면들에서 사용된다.
스캔: 일정 기간으로 연속적인 레코딩의 부분.
RD&T: 레코딩 날짜 및 시간.
데이터: 비디오/오디오 및 레코딩 날짜 & 시간 신호.
여백: 이전에 어느 것도 레코딩되지 않은 레코딩 매체의 부분.
레코딩: 연속으로 엑세싱 가능한 아카이빙 매체, 즉, 레코딩 매체상에 장면을 레코딩하는 것.
캡쳐링: 레코딩 매체에서 아카이빙 매체로 장면을 복사하는 것.
도 1은 인터페이스(3)로서 IEEE1394를 사용하는 셋 업을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3)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4)를 가진 레코딩 디바이스(1)를 아카이빙 매체(5)를 가진 아카이빙 디바이스(2)에 접속시킨다.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4)는 또한 대체 가능하며, 통상 원형 버퍼로 사용된다. 종래 시스템들에서, 레코딩 날짜 및 시간(RD&T)을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 예를 들어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은 레코딩 디바이스(1)에서 아카이빙 디바이스(2)로 이송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2)가 레코딩 디바이스(1)를 제어하는 것은 새로운 발명이다. 플레이, 정지 또는 되감기와 같은 제어 명령들의 전송에 있어서, 예를 들어, 아카이빙 디바이스(2)는 인터페이스(3)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2)가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랜덤 엑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하는 것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레코딩 디바이스(1)는 원격 제어, 예를 들어 블루투스 표준 또는 IrDA 표준을 통해 코드없이 제어된다. 아카이빙 매체들(5)은 대체 가능하다. 이들의 각각은 식별 번호(ID)와 같은 식별을 갖는다. 아카이빙 매체(5)가 아카이빙 디바이스(2)로 엔터링할 때, 이것의 식별 번호에 의해 인지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2)의 비 휘발성 메모리는 여러 개의 엔트리들을 갖는다. 각각의 엔트리는 식별 번호와 최종 알려진 레코딩 날짜 및 시간(최종 알려진 RD&T)을 포함하는 2개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업데이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생성된다. 대안으로는 최종 알려진 RD&T는 아카이빙 매체(5)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업데이트 디스크 상태 머신을 도시하는 단계도를 도시한다. 업데이트는 레코딩 디바이스를 아카이빙 디바이스에 접속시킨 후 아카이빙 디바이스의 "시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초기화된다. 그 후, 현재 삽입되는 디스크의 세팅들이 판독된다. 세팅들은 예를 들어, 식별과 최종 알려진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이다. 이 후에 사용자는 전체 스캔 방법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된다. 응답으로 "예" 버튼이 눌러지면,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초기화된다. 전체 스캔 알고리즘이 끝나면 업테이트는 완료된다. "no" 버튼이 눌러지면, 부가 알고리즘이 시작된다. 부가 알고리즘은, 삽입된 아카이빙 매체에 속하는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이 발견되면, 이것 자체의 아카이빙 매체상인지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내 인지를 확인한다. 레코딩 날짜 및 시간 정보가 발견되면, 부가 알고리즘은 업데이트가 완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이 발견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전체 스캔이 실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요청 받는다. "예" 버튼이 눌러지면, 전체 스캔이 시작되고, "아니오" 버튼이 눌러지면, 프로세스는 업데이트없이 끝난다.
도 3은 부가-레코딩된 매체의 영역들을 도시한다. 레코딩의 부가 방법은 구 자료(old material) 이 후에 신 자료(new material)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사용되는 매체들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장면이 테이프에 레코딩되기 이전에, 테이프는 최종 레코딩의 끝에 위치하게 된다. 그 포인트에 대한 서치는 예를 들어, 캠코더들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종료 서치" 버튼을 갖춘다. 이 버튼을 누르면 최종 추가된 장면, 즉, 최종 알려진 RD&T의 종료 직후의 테이프에 위치한다. 이 테이프의 끝에 접근 또는 도달되면, 캠코더는 테이프의 시작에서 레코딩을 계속한다. 테이프는 원형 버퍼로서 사용되어, 더 오래된 레코딩들은 중복으로 기록된다. 이 예에서 문자들 A 내지 D는 다음을 나타낸다.
A 테이프의 시작부터 최종 레코딩의 포인트까지의 영역.
B 레코딩의 최종 포인트로부터 최종 업데이트의 포인트까지의 영역.
C 업데이트의 최종 포인트로부터 레코딩이 테이프의 시작에서 계속되는 포인트까지의 영역.
D 구 자료들 또는 여백 테이프 중 하나를 갖는 영역.
RD&T는 영역B-영역C-영역A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부가 알고리즘은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최종 알려진 RD&T로서 저장된 포인트 대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또는 아카이빙 매체상에서 서칭한다. 이 포인트로부터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것이 시작되어 최종 레코딩의 포인트에 도달될 때까지 한다. 부가 알고리즘의 시작에서의 레코딩 매체의 현재 위치는 관계가 없는데, 업데이트 동안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레코딩 디바이스를 제어하므로, 테이프는 최종 업데이트의 대응 포인트로 감기기 때문이다.
도 4는 부가 방법에 관한 전반적 상태 머신을 도시한다. 부가 방법에 관한 알고리즘은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또는 아카이빙 매체 자체로부터 최종 알려진 RD&T를 꺼내도록 시도할 것이다. RD&T가 식별과 함께 저장되지 않는다면, 디스크가이전에 전혀 업데이팅된 적이 없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아카이빙 레코더는 레코딩 매체를 완전히 되감는다. 레코딩 매체의 시작에 도달되면,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레코딩 디바이스 플레잉하도록 하고, 동시에 캡쳐링 절차를 자체로 시작한다. 부가 알고리즘이 식별과 함께 저장된 최종 알려진 RD&T를 발견한다면, 아카아빙 매체는 레코딩 디바이스가 레코딩 매체상의 포인트에 관한 서칭을 시작하도록 한다.
도 5는 부가 방법의 슈퍼-상태를 서칭하는 세부 사항들을 도시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가 초기화되면, 시작 명령이 레코딩 디바이스로 이송되며, 이것은 이 명령을 대응하는 실행(action)으로 변환하는데, 즉, 레코딩 디바이스는 플레잉하기 시작한다. 장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들과 함께 RD&T는 아카이빙 디바이스로 이송된다. 자동 업데이트 디바이스는 수신된 RD&T를 비-휘발성 메모리내 또는 스토리지 매체 자체상에 저장된 것과 비교한다. 수신된 RD&T가 저장된 것보다 더 최근의 것이거나, RD&T가 수신되지 않으면,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원하는 RD&T를 발견할 때까지 또는 테이프의 시작에 도달될 때까지 레코딩 디바이스가 되감도록 한다. 레코딩 디바이스가 플레잉을 시작할 때 수신된 RD&T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아카이빙 매체 자체에서 꺼내온 것보다 더 오래된 것이면,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원하는 RD&T를 발견할 때까지 또는 테이프의 끝까지 자동 업데이트에 따라서 레코딩 디바이스가 빠르게 전송하도록 한다.
부가 알고리즘의 시작에서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삽입된 아카이빙 매체를 식별하고, 이것의 식별을 비-휘발성 메모리내에 저장된 것들과 비교하도록 시도한다. 현재 아카이빙 매체가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 의해 이미 업데이팅되었다면, 이것의식별은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최종 알려진 RD&T와 함께 저장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삽입된 아카이빙 매체 식별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레코딩 매체의 시작으로 되감기(빠른 리버스 플레이)에 관한 명령이 레코딩 디바이스로 이송된다. 그 후, 플레이 명령은 레코딩 디바이스로 이송되어,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은 새로운 또는 삭제된 아카이빙 매체에 의해 캡쳐링된다.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저장된 최종 알려진 RD&T가 레코딩 매체상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중복으로 기록되어진 경우,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그것이 발견되지 않았음을 표시할 것이다. 표시자들은 램프, LED, 디스플레이상의 텍스트 또는 음향 신호일 수 있다.
도 6은 제 1 RD&T가 발견될 때, 포인트로부터 부가 방법에 관한 캡쳐링 슈퍼-상태를 도시한다. 부가 알고리즘은, 아카이빙 디바이스가 "플레이" 명령을 레코딩 디바이스로 보내도록 한다. 응답으로서, 현재 RD&T는 이송된 신호들과 함께 수신될 것이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수신된 RD&T의 연속된 비교를 위한 유닛과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꺼낸 것을 포함한다. 결과가, 레코딩 매체상의 장면이 아카이빙 디바이스상에 이미 캡쳐링된 것들 보다 더 최근의 것인 경우에,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이러한 새로운 장면들을 캡쳐링할 것이다. 결과가, 레코딩 매체로부터 플레잉된 장면들이 아카이빙 매체로 이미 캡쳐링된 것들보다 더 오래된 것이거나, 갭(gap)이 발견되는 대로, 레코딩 디바이스는 원형 레코딩에 대한 시작으로 되감아진다. 레코딩 매체의 시작에 새로운 장면들이 있다면, 그들은 설명된 바와 같이 아카이빙 매체에 추가될 것이다.
아직까지 부가 방법에 관한 알고리즘을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아래 글에서 전체 스캔 방법이 설명된다. 이 알고리즘은 레코딩 매체가 어떻게 레코딩되었는지에 대하여 가정들을 하지 않는다. 레코딩 매체는 비-연대적 순서로 레코딩된 장면들의 일 군으로서 접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면들은, 그들의 RD&T들의 순서로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된다.
도 7은 테이프의 일 예로 전체 스캔 방법에 관한 전반적 상태 머신을 도시한다.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먼저 테이프를 시작으로 되감고, 이것을 스캔하여 테이프상에 표현되는 순서로 장면들의 리스트를 구성한다. 장면 리스트가 구성된 이후에, 그 장면은 리스트로부터 선택되고, 이것은 가장 오래된 것이지만 여전히 디스크에 추가된 최종 장면보다는 최근의 것이다. 에이지 비교(age comparison)에 관하여 최종 RD&T는 아카이빙 매체 자체의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꺼내진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리스트의 이 가장 오래된 장면 이전에 캠코더가 위치로 테이프를 감아, 테이프를 플레잉을 시작하도록 한다. 동시에 장면은 캡쳐링 된다. 장면이 캡쳐링된 이 후에, 마지만 추가된 RD&T는 업데이팅되고, 다음 장면은 상기된 바와 같이 아카이빙 디바이스 추가된다. 더 이상의 장면들이 추가되지 않으면 이 프로세스는 정지된다. 스캔 테이프 슈퍼-상태(scan tape super-state)는 약간의 간단한 요소들로 분할될 수 있다. 먼저 상태는 "플레이" 명령을 보냄으로써 캠코더를 시작한다. 그러면 이것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송된 장면으로부터 아카이빙 디바이스로 새로운 RD&T들을 발견되도록 시도할 것이다. 이것이 새로운 RD&T를 발견하면, 장면 시작 마커(scene begin marker)는 자동으로 대체된다. RD&T 불연속성(즉, 장면이 변경)이 발견되자마자, 장면 종료 마커(scene end marker)는 리스트에서 자동으로 대체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좀 더 최근의 장면들에 대한 서칭을 다시 시작한다.
도 8은 전체 스캔 방법에 대한 스캔 테이프 슈퍼-상태의 세부 사항들을 도시한다. 스캔 테이프 슈퍼-상태는 약간의 간단한 요소들로 분할될 수 있다. 먼저, 상태는 "플레이" 명령을 보냄으로써 캠코더를 시작한다.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현재 삽입된 것에 속하는 최종 RD&T 보다 더 최근의 것인 RD&T를 발견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아카이빙 디바이스에서 리스트는 전체 스캔동안 구성된다. 새로운 RD&T가 발견되면, RD&T 및 장면 시작 마커는 리스트로 삽입된다. 또한 레코딩 매체상의 대응 장면의 절대 위치에 관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정보는 n-비트 테이프 카운터 또는 레코딩 매체의 전치-포매이션(pre-formation)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 정보는 스캔의 시작 위치로 빠르게 감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면이 변경(즉, RD&T 불연속성) 또는 갭(gap)이 발견되자마자, 장면 종료 마커와, 구현에 따라서, 절대 위치는 리스트로 삽입된다.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은 계속되며, 새로운 RD&T가 발견되자마자 다른 장면 시작 마커가 리스트에 세팅된다. 다른 RD&T 불연속성 이후에, 다른 장면 종료 마커가 세팅된다. 이 루프는 새로운 RD&T들이 더 이상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실행된다.
도 9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의 장면들의 순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장면들의 연대적 순서는 그들의 RD&T 1,2,3,4,5를 기초로 한다. 레코딩 매체상에서 그들의 순서는 1,4,2,3,5이며, 이것은 리스트내의 그들의 순서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그들의 연대적 RD&T 순서로 아카이빙 매체로 이러한 장면들을 캡쳐링할 것이다. 업데이트 디바이스내에 생성된 리스트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의 콘텐트들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오직 플레잉 시작을 필요로 하며,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레코딩 디바이스의 헤드가 있는 포인트에서 구별할 것이다. 그 포인트로부터,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캡쳐링된 다음 장면이 놓여진 곳에 따라 레코딩 디바이스로 하여금 빠른 리버스(fast reverse) 또는 빠른 포워드(fast forward)를 플레잉하도록 한다.
도 10은 전체 스캔 방법에 관한 캡쳐링 슈퍼-상태를 도시한다. 일단 스캐닝이 완료되고 리스트가 구성되면 캡쳐링이 시작된다. 그 동안, 장면 마커들은 리스트로부터 꺼내지며, 이는 레코딩 수단 상의 가장 오래된 장면의 위치를 의미한다. 위치는 RD&T 또는 잠재적으로 레코딩 매체상의 절대 위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레코딩 디바이스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매체상의 대응 위치로 가도록 되어진다. 업데이트 디바이스가, 장면 종료 마커가 동시에 도달될 때까지 이 장면을 디스크로 캡쳐링하는 동안, 장면 시작의 포인트가 레코딩 매체상에 도달될 때, 레코딩 디바이스는 "정규" 플레이를 시작하는 것에 대해 아카이빙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적으로 제어된다. 이 포인트가 도달될 때, 캡쳐링의 실행은 정지된다. 막 컴파일링된 RD&T들은 리스트로부터 삭제되며, 새로운 장면 시작 마커와 새로운 장면 종료 마커가 세팅된다. 캡쳐링 슈퍼-상태는 남은 장면들의 마커들(scenes markers left)이 더 이상 없을 때까지 계속된다.
도 11은 부분 도면 a 및 b에서 표의 형태로 아카아빙 디바이스내에서 생성된 리스트의 가능한 콘텐트들을 도시한다. 도면 11a에서 레코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RD&T들은 년-월-일, 시-분-초로 표시된다. 한 장면에 속하는 RD&T들은 연속적이다. 불연속은 다른 장면이 시작함을 의미한다. 이 예에서 테이프 카운터는 레코딩 매체상의 RD&T의 절대 위치가 4-비트-타입임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도 11b는 [hh:mm:ss:ff]에 의해 정의된 전치-포맷된 시간 코드인 위치의 정의에 대한 다른 가능성을 도시한다. 각각의 프레임, 즉 각각의 픽처에 대해, 시간 코드는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에 추가된다. PAL-시스템이 사용되면, 비트 레이트는 1초마다 25 프레임들이다. 이것은 ff가 00,01...에서 24로 움직임을 의미한다.
부분 도면들 둘 다에서, 최종 두 열들은 장면 시작 마커들과 장면 종료 마커들이 대체되는 곳을 나타낸다. 이러한 마커들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스캐닝하고 그들의 물리적 순서로 모든 RD&T를 갖는 리스트를 생성한 후 세팅된다. 일단 장면이 캡쳐링되면, 시스템에서 최종 알려진 RD&T 리프레싱되고 장면 시작 마커에 속하는 RD&T와 비교된다. 이 과정을 사용하면, 리스트의 단일 RD&T마다 최종 알려진 것과 비교하여 현재 가장 오래된 RD&T를 매우 더 빠르게 결정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접속으로 'i.Link"IEEE1394를 사용하는 하드 디스크 레코더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중 하나에 레코더 디지털 비디오(DV) 캠코더를 부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아카이빙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업데이팅으로서 요약될 수 있다. 업데이트는 전체 스캔 알고리즘 또는 부가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알고리즘들 둘 다는 사물들을 배열하여, 이전 세션에서 캡쳐링된 최종 장면 보다 더 최근의것인 이러한 장면들이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된다. 에이지에 대한 기준은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이다. 전체 스캔 알고리즘은 코딩 매체가 어떻게 레코딩되었는지에 관해서는 가정들을 하지 않는 반면, 부가 알고리즘은 구 자료 이 후에 신 자료를 부가함으로써 사용되는 매체들의 레코딩에 관한 것이다.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은 디스크 레코더에 대해 특히 유용하다.
캡쳐링된 데이터는 캠코더의 오디오/비디오-스트림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파일들일 수 있다.

Claims (20)

  1. 아카이빙 매체(archiving medium)상에서,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에 의해 레코딩된 데이터를 캡쳐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아카이빙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스캐닝하는 단계와,
    -연속된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장면들을 결정하는 단계와,
    -장면들이 현재 아카이빙 매체상에 이미 캡쳐링되었는지 여부와 최종 캡쳐링된 장면의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아카이빙 매체상의 상기 최종 레코딩된 날짜 및 시간을 스캐닝된 장면들의 레코딩 날짜 및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오디오/비디오 신호와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캡쳐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데이터의 상기 레코딩 날짜 및 시간은 아카이빙 매체상의 최종 레코딩 날짜 및 시간보다 더 최근의 것인, 상기 캡쳐링 단계를 실행하는, 전체 스캔 알고리즘(full scan algorithm)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상기 장면들이 물리적으로 놓여진 순서로 상기 아카이빙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 내에서 상기 장면들의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가장 오래된 장면이 시작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1 장면 시작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가장 오래된 장면이 종료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1 장면 종료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장면이 시작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2 장면 시작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캡쳐링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장면이 종료되는 장소를 표시하는 제 2 장면 종료 마커를 로컬 데이터 구조내에 배치하는 단계와,
    -더 이상 추가할 장면들이 없을 때까지 이 루프를 계속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전체 스캔 알고리즘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 날짜들 및 시간들에서 불연속성이 발견될 때, 장면 종료 마커는 자동으로 상기 리스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캡쳐링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마커들의 상기 위치는 n-비트 테이프 카운터의 포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마커들의 상기 위치는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의 각각의 프레임 또는 픽처에 추가되는 포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들은 그들의 연대적 순서로 상기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들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가 최종 알려진 TD&T에 가장 근접한 RD&T가 있는 상기 리스트의 상기 장면 시작 마커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로 상기 레코딩 매체를 감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가 플레잉을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장면들을 접속을 통해 상기 아카이빙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로이송하는 단계와,
    -이러한 장면들을 상기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하는 단계와,
    -상기 장면 종료 마커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의 종료에 도달될 때, 상기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를 정지하는 단계와,
    -상기 최종 알려진 RD&T를 리프레싱(refreshing)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의 RD&T들이 여전히 있는지를 조회하는 단계와,
    -어느 장면 시작 마커가 상기 현재 최종 알려진 RD&T에 가장 근접한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내에 남은 RD&T들이 더 이상 없으면 상기 전체 스캔 알고리즘을 마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아카이빙 매체로 캡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된 아카이빙 매체가 이것의 세팅들내에 저장된 최종 RD&T를 갖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가 플레잉을 시작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이 디스크 레코더로 이송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수신된 RD&T를 상기 아카이빙 매체의 상기 최종 RD&T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의존하여,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가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상기 아카이빙 매체의 상기 최종 RD&T의 포인트로 감기 또는 되감기를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아카이빙 매체가 상기 수신된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림을 동시에 캡쳐링하는 동안,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에서 상기 최종 RD&T의 상기 포인트가 발견될 때,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가 플레잉을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부가 알고리즘(append algorithm)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는 종료에 도달될 때 상기 시작으로 되감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는 갭(gap)이 발견될 때, 상기 시작으로 되감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입력 신호 수단을 가지며,
    -상기 아카이빙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상의 "시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업데이트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전체 스캔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문의하는단계와,
    -"아니오" 버튼에서 다음 입력 신호가 오면 상기 부가 알고리즘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예" 버튼에서 다음 입력 신호가 오면 상기 전체 스캔 알고리즘을 초기화하는 단계에 의해 특징되는, 데이터 캡쳐링 방법.
  13. 대체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는 수단과,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갖는 대체 가능한 아카이빙 매체를 가지는 아카이빙 디바이스로서,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부가 또는 전체 스캔 알고리즘을 특히 사용하며, 상기 아카이빙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카이빙 디바이스.
  14. 부가 또는 전체 스캔 방법,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아카이빙 디바이스로서, 상기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코드리스(cordless) 또는 코드(cord)가 필요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카이빙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명령들을 전송하는 것 둘 다를 위한 양방향 접속을 사용하도록 적응된, 아카이빙 디바이스.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이빙 디바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카이빙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대체 가능한 아카이빙 매체들의 식별과 상기 대응하는 최종 알려진 RD&T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카이빙 디바이스.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디스크 레코더이며, 상기 아카이빙 매체는 컴팩트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k), 하드 디스크로 구성되는 그룹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카이빙 디바이스.
  19. 아카이빙 매체상의 데이터를 캡쳐링하는 레코더로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아카이빙 캐리어의 세팅들을 판독하는 수단과,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상의 데이터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더.
  20. 아카이빙 디바이스 상에서, RD&T를 포함하고, 퍼스널 컴퓨터들에서 점진적인 백 업을 위해 순차적으로 엑세스 가능한 레코딩 매체를 가지는 디바이스에 의해 레코딩된 데이터를 캡쳐링하는 방법의 사용.
KR1020047019528A 2002-05-31 2003-05-19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갖는 레코더 KR100971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77160 2002-05-31
EP02077160.6 2002-05-31
PCT/IB2003/002141 WO2003102955A2 (en) 2002-05-31 2003-05-19 Method of capturing scenes and recorder with means of performing this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276A true KR20050004276A (ko) 2005-01-12
KR100971154B1 KR100971154B1 (ko) 2010-07-20

Family

ID=2959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528A KR100971154B1 (ko) 2002-05-31 2003-05-19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갖는 레코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5524B2 (ko)
EP (1) EP1514271A2 (ko)
JP (1) JP4191139B2 (ko)
KR (1) KR100971154B1 (ko)
CN (1) CN1656561B (ko)
AU (1) AU2003230157A1 (ko)
WO (1) WO20031029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0478B2 (en) * 2006-12-28 2014-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an-free archiving
KR101424974B1 (ko) * 2008-03-17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반복되는 부분들을 가진 음악 데이터의 첫 번째부분만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855281A (zh) * 2012-07-31 2013-01-02 李建波 一种专利文献自动更新方法及应用该方法的专利发布和预警系统
US9888115B2 (en) 2013-02-28 2018-02-06 Lennard A. Gumaer Media device and method of using a media device
JP6145748B2 (ja) * 2013-12-16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59A (ja) 1992-09-04 1994-03-25 Sanyo Electric Co Ltd 波長変換装置
US5568208A (en) 1994-03-08 1996-10-22 Van De Velde; Frans J. Modified scanning laser opthalmoscope for psychophysical applications
US5526133A (en) * 1994-06-28 1996-06-11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gg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on video cassettes in a computer controlled surveillance system
JPH08198686A (ja) 1995-01-13 1996-08-06 Kyushu Refract Co Ltd アルミナ−スピネル質流込み材
JP3656282B2 (ja) * 1995-05-15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の記録媒体
GB2325544B (en) * 1997-04-04 1999-08-11 Unique Id Software Limited Media data database
EP1061521A1 (en) * 1999-06-18 2000-12-2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archiving record carriers
JP3580200B2 (ja) 1999-10-28 2004-10-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882793B1 (en) * 2000-06-16 2005-04-19 Yesvideo, Inc. Video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28731A (ja) 2005-09-22
US20050220279A1 (en) 2005-10-06
CN1656561B (zh) 2012-05-30
CN1656561A (zh) 2005-08-17
KR100971154B1 (ko) 2010-07-20
WO2003102955A2 (en) 2003-12-11
JP4191139B2 (ja) 2008-12-03
WO2003102955A3 (en) 2004-07-01
AU2003230157A1 (en) 2003-12-19
EP1514271A2 (en) 2005-03-16
US7865524B2 (en) 2011-01-04
AU2003230157A8 (en) 200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82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marks for a video program
JP4172379B2 (ja) 記録再生装置
US6775085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KR20060012746A (ko) 재생 시작 위치를 선택 가능한 영상 재생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702166B1 (ko) 일련의 콘텐츠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록매체에 기록가능한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JP2514056Y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30023376A (ko) 방송프로그램 기록장치 및 방법
US7738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cording operation of a digital video device
JP4003697B2 (ja) 映像再生装置
KR100971154B1 (ko) 장면들을 캡쳐링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갖는 레코더
US20050232610A1 (en) User automated content deletion
JP2006074586A (ja)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KR100672049B1 (ko) 연결 녹화정보를 이용한 녹화 방법
JP4582119B2 (ja) 映像再生装置
KR20060059127A (ko) 방송 프로그램의 광고 스킵 제어 방법
CN100502487C (zh) 光盘设备的数据存储方法
JP2008035326A (ja) 番組記録再生装置
JP2000353349A (ja) 記録制御システム
JP2005341262A (ja) 撮像装置
JP2001344895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20050071001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연속 예약 녹화 방법
JP2006295811A (ja) コンテンツ複写装置
KR20060105988A (ko) 영상 녹화 시스템의 데이터 녹화 방법
JP2003298992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3323784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