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194A -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194A
KR20050004194A KR10-2004-7018864A KR20047018864A KR20050004194A KR 20050004194 A KR20050004194 A KR 20050004194A KR 20047018864 A KR20047018864 A KR 20047018864A KR 20050004194 A KR20050004194 A KR 2005000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global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카와하지메
이와모토고지
이케다다쿠미
다케치히데아키
히로세고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1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78NAT traversal without involvement of the NA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75NAT traversal using address mapping retrieval, e.g. simple traversal of user datagram protocol through 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STU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76Update or notification mechanisms, e.g. DynDNS

Abstract

전자 기기와 서버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기기로부터 서버 장치에 GIP 부여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 장치에서는, GIP를 갖는 반송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GIP를 갖는 반송 정보를 전자 기기에 송신하여, 전자 기기는 GIP를 수신하여 설정한다. 이상으로부터, 전자 기기의 GIP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전자 기기에 대해, 인터넷 경유로 외부의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최근, 인터넷이 발전, 보급되어,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고, 세계 어디서도 전자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었다. 세계의 전자 기기 간에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인터넷 프로토콜(IP)에 따라, 각 전자 기기에는 IP 어드레스(글로벌 IP 어드레스)라는 네트워크 상의 고유한 수신인이 부여되어 있다. 현재 보급되어 있는 IP 어드레스는, 32비트의 숫자로 표시된다. 이 32비트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IP는 버전4(IPv4)이다. 한편, 세계의 상당히 많은 전자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게 되면, 32비트에서는 어드레스가 부족하게 된다. 그래서, IP는, IPv4로부터, 128비트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는 IP 버젼6(IPv6)으로 이행되는 것이 예측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 상관없이, 전자 기기의 IP 어드레스의 설정은, 통상, 사람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현 상황이다.
또한, 예를 들면, 가정 내의 전자 기기와 인터넷을 접속하는 기기로서 라우터 등의 기기가 존재한다. 그리고, 인터넷(이하, [WAN]이라고 한다)에서는,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사용되고, 가정 내의 네트워크(이하, [LAN]이라고 한다)에서는 프라이빗 IP 어드레스가 사용된다.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는, 일정한 어드레스가 아니기 때문에, 그대로는 인터넷 경유로 정보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라우터 등의 기기가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 기능(NAT)을 갖는다. NAT란, 프라이빗 I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WAN 내의 전자 기기가 인터넷 경유로 정보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는, NAT는 전자 기기가 송신하는 정보( [패킷]이라고 한다)가 갖는 송신원 IP 어드레스(이하, [SA]라고 한다)의 값을 상기 전자 기기의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로부터 라우터 등의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로 변경함으로써 인터넷 경유의 정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라우터 등의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통상,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의 서버 장치로부터 동적으로 할당된다. 이 동적으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프로토콜로서, PPPoE, PPPoA, DHCP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가정 내의 전자 기기 등과 같이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전자 기기에 대해, 인터넷 경유로 외부의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이 곤란하다. 라우터 등의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또한, 그 변경의 룰은, ISP의 서버 장치의 실장 방법에 의존하므로, 라우터 등의 기기에 할당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예측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가정 내의 전자 기기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알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라우터 등의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필요가 있는데, 라우터 등의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동적으로 변화하므로, 올바른 라우터 등의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가정 내의 전자 기기가 항상 알고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IP 어드레스가 설정될 수 있는 전자 기기 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제1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제2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서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구체적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제1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9는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서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10, 11, 12는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구체적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발명의 개시>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와 서버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서버 장치를 식별하는 서버 식별자를 격납하고 있는 서버 식별자 격납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서버 장치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반송 정보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취득부; 및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IP 어드레스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전자 기기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이러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전자 기기에서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설정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전자 기기 등과 같이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는 전자 기기에 대해, 인터넷 경유로 외부의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이용한 구성 요소나 플로우 챠트의 단계 등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한번 설명한 것에 관해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전자 기기(11), 제2 전자 기기(12), 인터넷(13), 서버 장치(14)를 갖는다. 제1 전자 기기(1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가질 수 없고, 제2 전자 기기(12)로부터 로컬 IP 어드레스가 주어져 인터넷(13)에 연결된다. 제1 전자 기기(11)는 예를 들면, 컴퓨터, 전자 레인지, 전화,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냉장고, 텔레비젼, 셋 톱 박스 등이다. 제1 전자 기기(11)는, 정보를 제2 전자 기기(12) 경유로 서버 장치(14)에 송신하고, 서버 장치(14)로부터 제2 전자 기기(12) 경유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얻어,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 설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란, 외부의 장치(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의 장치 등)가, 어떤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어드레스(정보)이고,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는 어드레스(정보)이면 다른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라이빗 IP를 사용하는 다수의 LAN을, NAT 기능을 갖는 라우터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라우터의 서버가 위치되는 측의 LAN의 어드레스를, 여기서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에 상응하여 바꿔 읽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IP 어드레스, 글로벌 IP 어드레스, 로컬 IP 어드레스란, 상기와 같은 넓은 개념이므로, 현재의 소위IPVer4의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IPVer6 등 다른 버전의 어드레스도 포함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2 전자 기기(12)는, 여기서는, 제1 전자 기기(11)와 인터넷(13)을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구체적으로는 경로 제어나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NAT) 기능 등을 갖는다. 제2 전자 기기(12)는, 예를 들면, 라우터라고 불리는 전자 기기이다. 제2 전자 기기(12)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다. 즉, 제2 전자 기기(12)는,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밖에 가질 수 없는 제1 전자 기기(11)를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서버 장치(14)는, 인터넷(13)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전자 기기(11)로부터 제2 전자 기기(12) 경유로 정보를 받아들인 경우에, 제2 전자 기기(12)에 의하여 부여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를 제1 전자 기기(11)에 송신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 2에 도시한다. 제1 전자 기기(11)는, 서버 식별자 격납부(1101), 제1 정보 송신부(1102), 제1 정보 수신부(1103), IP 어드레스 취득부(1104), IP 어드레스 설정부(1105)를 갖는다. 제2 전자 기기(12)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 제2 정보 수신부(1202), 제2 정보 송신부(1203), 제4 정보 수신부(1204), 제4 정보 송신부(1205)를 갖는다. 서버 장치(14)는, 제3 정보 수신부(1401), 반송 정보 구성부(1402), 제3 정보 송신부(1403)를 갖는다.
서버 식별자 격납부(1101)는, 서버 장치(14)를 식별하는 서버 식별자를 격납하고 있다. 서버 식별자 격납부(1101)는,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 또는 휘발성의 기록 매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1 정보 송신부(1102)는,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서버 장치(14)에 제2 전자 기기(12) 경유로 정보를 송신한다. 제1 정보 송신부(1102)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1 정보 수신부(1103)는, 제2 전자 기기(12)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정보 수신부(1103)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통상, 제1 정보 송신부(1102)와 제1 정보 수신부(1103)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수단이다.
IP 어드레스 취득부(1104)는, 제1 정보 수신부(1103)가 수신한 반송 정보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IP 어드레스 취득부(1104)는, 통상,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지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IP 어드레스 설정부(1105)는, IP 어드레스 취득부(1104)가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설정된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등의 다른 전자 기기에 통지된다. 이는, 다른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11)와 인터넷 경유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다. 이 설정이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적절한 부분(레지스트리(registry) 또는 프로퍼티(Property), 또는 어트리뷰트(attribute) 등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에 기입하는 처리를 말한다. IP 어드레스 설정부(1105)는, 통상,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지만,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다.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는,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 또는 휘발성의 기록 매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통상, 외부의 기기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통상, 동적으로 변화한다. 외부의 기기란, 제2 전자 기기(12)가 아닌 전자 기기를 말하고, 통상, 제2 전자 기기(12)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접속가능한 전자 기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외부의 기기란, 이상과 같이 넓은 개념이다.
제2 정보 수신부(1202)는, 제1 전자 기기(11)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정보 수신부(1202)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2 정보 송신부(1203)는, 제2 정보 수신부(1202)에서 수신한 정보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서버 장치(14)에 송신한다. 제2 정보 송신부(1203)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4 정보 수신부(1204)는, 서버 장치(14)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인 반송 정보를 수신한다. 제4 정보 수신부(1204)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4 정보 송신부(1205)는, 제4 정보 수신부(1204)에서 수신한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11)에 송신한다. 제4 정보 송신부(1205)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2 정보 수신부(1202), 제2 정보 송신부(1203), 제4 정보 수신부(1204) 및 제4 정보 송신부(1205)는, 통상, 물리적으로 하나의 수단에 의해 실현된다.
제3 정보 수신부(1401)는, 제2 전자 기기(12)로부터 정보 및 글로벌 l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제3 정보 수신부(1401)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반송 정보 구성부(1402)는, 제3 정보 수신부(1401)에서 수신한 정보 및 글로벌 IP 어드레스에 따라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인 반송 정보를 구성한다. 반송 정보 구성부(1402)는, 통상,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지만, 하드웨어(전용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제3 정보 송신부(1403)는, 반송 정보 구성부(1402)가 구성한 반송 정보를 제2 전자 기기(12)에 송신한다. 제3 정보 송신부(1403)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3 정보 수신부(1401)와 제3 정보 송신부(1403)는, 통상, 물리적으로 하나의 수단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 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전자 기기(11)의 동작에 관해서 도 3의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1) 제1 정보 송신부(1102)는, 글로벌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해, 서버 장치(14)를 향해 정보를 송신하는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조건은 다양하게 있고, 상세한 것은 이하에 기술한다.
(단계 S302) 제1 정보 송신부(1102)는, 서버 식별자 격납부(1101)로부터 서버 식별자를 취득한다.
(단계 S303) 제1 정보 송신부(1102)는, 송신하는 정보를 구성한다. 이 정보는 정보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수신인 필드를 가지고, 수신인 필드에 서버 식별자를가지면, 다른 정보의 구조 및 정보의 내용은 무엇이라도 된다. 정보의 본체 부분(수신인 필드 등은 제외한다)은 빈 정보(더미 정보)라도 된다.
(단계 S304) 제1 정보 송신부(1102)는, 단계 S303에서 구성한 정보를 제2 전자 기기(12)에 송신한다.
(단계 S305) 제1 정보 수신부(1103)는, 반송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송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306으로 가고, 반송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305로 간다.
(단계 S306) IP 어드레스 취득부(1104)는, 단계 S305에서 수신한 반송 정보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출한다.
(단계 S307) IP 어드레스 설정부(1105)는, 단계 S306에서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한, 도 3의 플로우 챠트에서, 일정한 조건에 합치한 경우에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동작을 개시했는데,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동작을 개시해도 된다.
다음에, 제2 전자 기기(12)의 동작에 관해서 도 4의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401) 제2 정보 수신부(1202)는, 제1 전자 기기(11)로부터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402로 가고,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4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402) 제2 정보 송신부(1203)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단계 S403) 제2 정보 송신부(1203)는, 단계 S402에서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단계 S401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서버 장치(14)에 송신하는 정보를 구성한다.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구성하는 정보 중의 송신원 장치를 식별하는 필드(이하의 구체예에서는, [SA] )로 설정된다. 또한, 서버 장치(14)에 송신하는 정보의 구조는, 무엇이라도 된다.
(단계 S404) 제2 정보 송신부(1203)는, 단계 S403에서 구성한 정보를 서버 장치(14)에 송신한다. 또, 단계 S401에서 수신한 정보에는, 서버 식별자가 포함되므로, 서버 장치(14)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405) 제4 정보 수신부(1204)는, 서버 장치(14)로부터 반송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송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406으로 가고, 반송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405로 되돌아간다.
(단계 S406) 제4 정보 송신부(1205)는, 단계 S405에서 수신한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11)에 송신한다. 또한, 단계 S405에서 수신한 정보와 단계 S406에서 송신하는 정보는, 통상, 상이하다. 정보가 통과한 경로에 관한 정보가 기입되기 때문이다. 단, 단계 S405에서 수신한 정보와 단계 S406에서 송신하는 정보가 동일해도 된다.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제1 전자 기기(11)에 송신되고, 제1 전자 기기(11)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으면 된다.
다음에, 서버 장치(14)의 동작에 관해서 도 5의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501) 제3 정보 수신부(1401)는, 제2 전자 기기(12)로부터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502로 가고,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5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502) 반송 정보 구성부(1402)는, 단계 S501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반송하는 정보인 반송 정보를 구성한다. 통상, 정보 중의 헤더(경로 정보 안)에 포함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출하여, 제1 전자 기기(11)가 취득할 수 있는 형식으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반송 정보에 기입한다. 단, 제1 전자 기기(11)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으면, 반송 정보의 구조는 상관없다. 따라서, 단계 S501에서 수신한 정보와 반송 정보가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단계 S503) 제3 정보 송신부(1403)는, 단계 S502에서 구성한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11)를 향해 송신한다. 또한,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11)를 향해 송신한 경우, 제2 전자 기기(12)를 경유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구체예)
제1 구체예에서는, 제2 전자 기기(12)가, 인터넷과의 접속 상태, 즉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항상 보유하고 있는 상황을 설정한다. 또한, 제2 전자 기기(12)가, 어떠한 사고로 통신 불능이 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제2 전자 기기(12)가 통신 불능이면 제1 전자 기기(11)도 통신 불능인 것으로 한다.
이러한 통신 불능의 상태로부터 벗어나 통신 가능하게 되었을 때에, 제2 전자 기기(12)로부터 제1 전자 기기(11)에, 한번 통신 불능이 된 취지를 알린다. 다음에, 제1 전자 기기(11)는, 더미 정보를 서버 장치(14)에 송신한다. 다음에, 제2 전자 기기(12)는, 자신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그 더미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14)에 송신한다. 또한, 제2 전자 기기(12)는, 송신 경로의 전자 기기의 IP 어드레스의 필드에 자신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기입한다. 또한, 더미 정보는, 정보의 본체부가 비어 있으나, 송신원이나 송신처를 식별하는 정보가 들어 있는 헤더는 비어 있지 않다.
다음에, 서버 장치(14)는, 수신한 정보 중의 경로 정보 안에 있는 제2 전자 기기(12)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반송 정보의 본체부에 기록하고, 상기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11)에 송신한다.
다음에, 제2 전자 기기(12)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제1 전자 기기(11)에 그대로 전송한다. 그대로 전송한다라는 것은, 본체부를 개서하지 않고서 전송한다는 의미이다. 통상, 헤더 정보는 개서된다. 다음에, 제1 전자 기기(11)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여, 그 안(본체부)에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출한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1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적절한 설정 부분에 기입한다.
이상의 제1 구체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의 개시 타이밍은 일정한 조건에 합치한 경우이고, 상세하게는, 그 일정한 조건이란 통신 상태에 관한 조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그 일정한 조건이란 제2 전자 기기, 나아가서는 제1 전자 기기가 통신 불능의 상태로 된 것이다.
(제2 구체예)
제2 구체예에서는, 제1 전자 기기(11)가, 전원이 OFF로부터 ON으로 된 경우에,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설정한다.
즉, 전원 ON에 의해 제1 전자 기기(11)가 부팅된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11)가 부팅된 직후에, 제1 전자 기기(11)는 더미 정보를 서버 장치(14)에 송신한다. 후의 처리는, 제1 구체예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다.
이상, 제2 구체예에서, 일정한 조건이란 제1 전자 기기의 전원이 투입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다.
이상과 같이, 제1 전자 기기의 제1 정보 송신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일정한 조건에 합치한 경우인 것이 적합하고, 그 일정한 조건에는 상기 이외에도 다양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그 일정한 조건이, 미리 설정한 일시가 된 경우나, 일정한 설정 기간마다인 경우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지시에 따라서 제1 전자 기기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 설정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제3 구체예)
제3 구체예는, 제1 전자 기기, 제2 전자 기기, 서버 장치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구체적인 정보의 구조, 정보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제3 구체예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조 및 송수신되는 정보를 도 6에 도시한다. 송수신되는 정보는, 일반적으로 패킷이라고 불린다. 패킷은 송신원의 IP 어드레스(이하, [SA]라고 한다), 송신처의 IP 어드레스(이하, [DA]라고 한다), 송신원의 IP 어드레스로 특정되는 장치의 포트(이하, [SP]라고 한다), 송신처의 IP 어드레스로 특정되는 장치의포트(이하, [DP]라고 한다) 및 데이터(이하, [Data]라고 한다)를 갖는다. 또, 데이터는, 송신하는 정보의 본체부로 된다.
도 6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전자 기기(61), 제2 전자 기기(62), 인터넷(63) 및 서버 장치(64)를 가진다. 제1 전자 기기(61)는 예를 들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고, 프라이빗 I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제2 전자 기기(62)는, 예를 들면, 라우터이고,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2 전자 기기(62)에는,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도 6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을 이하에 기술한다.
우선, 제1 전자 기기(61)는, 도 6의 패킷(100)의 정보를 제2 전자 기기(62)에 송신한다. 패킷(100)의 SA는, 제1 전자 기기(61)의 프라이빗 IP 어드레스이다. 그리고, 패킷(100)의 DA는, 서버 장치(64)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이다. 즉, 제1 전자 기기(61)는, 도 6의 패킷(100)을 서버 장치(64)를 향해 송신한다. 그리고, 패킷(100)의 SP는 [PP1], DP는 [GP2]라는 값을 표시한다. 패킷(100)의 Data는 비어 있다([0]).
다음에, 제2 전자 기기(62)는, 패킷(100)을 수신하고, 패킷(100)의 SA를 제2 전자 기기(62)가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로 변환한다. 즉, 패킷(100)의 SA를 [4. 5. 6. 7]로 변환한다. 이 처리는, 소위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 처리(NAT)라고 한다. 또한, 제2 전자 기기(62)는, 자신의 글로벌 IP 어드레스[4. 5. 6. 7]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기기(62)는 패킷(100)의 SA 및 SP의 데이터를 변경한다. 변경한 패킷(200)을 서버 장치(64)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여,서버 장치(64)에 패킷(200)을 송신한다.
다음에, 서버 장치(64)는, 패킷(200)을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64)는, 패킷(200)의 SA를 취득하여, Data에 SA를 기입한다. 그리고, SA와 DA를 바꿔넣은 패킷(300)을 구성한다. 패킷(300)의 Data에는 SA[1. 2. 3. 4]가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64)는, 제2 전자 기기(62)에 패킷(300)을 송신한다.
다음에, 제2 전자 기기(62)는, 패킷(300)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2 전자 기기(62)는, 패킷(300)의 DA를 자신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로부터 제1 전자 기기(61)의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로 바꿔넣어 패킷(400)을 구성한다. 패킷(400)은 패킷(300)과는 상이한 DA와 DP를 갖는다. 그리고, 제2 전자 기기(62)는, 패킷(400)을 제1 전자 기기(61)에 송신한다.
다음에, 제1 전자 기기(61)는 패킷(400)을 수신한다. 제1 전자 기기(61)는 패킷(400)의 Data 중의 글로벌 IP 어드레스[4. 5. 6. 7]를 취득한다. 제1 전자 기기(61)는,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4. 5. 6. 7]를 설정한다. 설정이란, 다른 장치 등이 제1 전자 기기(61)와 통신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적절한 장소(레지스트리,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등)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 제1 전자 기기에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다양한 예가 있는 것을 설명했다.
이하에, 제1 전자 기기에 설정된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는, 격납되어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제1 전자 기기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외부의 장치(예를 들면, 휴대 단말)에, 전자 메일 등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휴대 단말은, 제1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수취, 기록한다. 이후, 휴대 단말은, 기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1 전자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다. 휴대 단말로부터 제1 전자 기기에 액세스함으로써, 예를 들면, 원격에서 제1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제1 전자 기기의 상태를 알수 있다.
또한, 후에, 실시의 형태 2에서 기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1 전자 기기(61)가, 정기적으로, 서버 장치(64)를 향해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3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전자 기기(6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61)는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변화한 경우에, 새로운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새로운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한 경우에만, 휴대 단말 등의 외부의 장치에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등은, 새로운 제1 전자 기기(6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기록한다. 이후, 휴대 단말 등은, 새로운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제1 전자 기기(61)에 액세스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전자 기기(6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변화한 경우에, 휴대 단말 등의 외부 장치에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것이 통신 효율 등의 점에서 적합하다.
이상,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제1 전자 기기가 제2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알수 있어, 휴대 단말 등의 외부 기기에 제1 전자 기기의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에 대해, 인터넷 경유로 외부의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고를 덜고, 또한 정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에서의 기술은,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이, IPv6로 이행한 경우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IPv6의 경우, (1) IP 어드레스가 128비트로 길고, 수작업에 의한 설정이 곤란하고, 및 (2) 전자 기기가 IP 어드레스를 자동 생성하는 규격이므로, ISP 등의 네트워크 사업자 또는 관리자가 기기의 설정을 조사하는 이외에는, 자동 생성된 유효한 그 IP 어드레스를 알 방법이 없다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기기측에서 알려 주는 구조를 가지지 않으면, 운용이 매우 곤란하다.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1 전자 기기가 1대인 경우를 설명했는데, 동일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다수의 전자 기기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서버 장치는 반송 정보를 구성하여, 송신했으나,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아무것도 가공하지 않고, 수신한 정보를 반송 정보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제2 전자 기기가 정보 중의 본체부에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기입하고, 그 정보를 서버 장치가 수신하여, 서버 장치가 수신한 정보를 그대로 반송 정보로서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한다. 제2 전자 기기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전자 기기에 송신한다. 제1 전자 기기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여, 본체부에 포함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 서버 장치(14)는, 반송 정보 구성부(1402)를 갖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서버 장치(14)는, 제2 전자 기기(12)로부터 정보 및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제3 정보 수신부(1401)와, 제3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3 정보 송신부(1403)를 구비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제2 전자 기기가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와,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는 동일한 정보거나 상이한 정보라도 된다. 통상, 양자 중 송신원을 표시하는 필드[SA]의 값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제2 전자 기기가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반송 정보와, 제1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반송 정보는 동일한 정보거나 상이한 정보라도 된다. 통상, 양자 중 송신처를 나타내는 필드[DA]의 값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제1 전자 기기, 제2 전자 기기, 서버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고, 상기 소프트웨어를 예를 들면, 서버 상에 놓고,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를 배포해도 된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CD-R0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배포해도 된다. 다양한 장치의 실현 수단을 소프트웨어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다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 제1 전자 기기의 동작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한 경우의 프로그램의 일례를 설명한다. 그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이하의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1) 미리 격납하고 있는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서버 장치에 제2 전자 기기 경유로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 단계, (2) 제2 전자 기기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3) 제1 정보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반송 정보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 및 (4)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IP 어드레스 설정 단계.
(실시의 형태 2)
도 7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전자 기기(71), 인터넷(13), 서버 장치(74)를 갖는다. 제1 전자 기기(71)는, 컴퓨터나 전자 레인지나, 전화나, 프린터나, 팩스밀리 장치나, 냉장고나, 텔레비전이나, 셋 탑 박스 등 무엇이라도 된다.
제1 전자 기기(7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 서버 식별자 격납부(1101), 제1 정보 송신부(7102), 제1 정보 수신부(7103), IP 어드레스 취득부(1104), IP 어드레스 설정부(1105)를 갖는다.
서버 장치(74)는, 제3 정보 수신부(7401), 반송 정보 구성부(1402), 제3 정보 송신부(7403)를 갖는다.
제1 정보 송신부(7102)는,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서버 장치(74)에 정보를 송신한다. 제1 정보 송신부(7102)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1 정보 수신부(7103)는, 서버 장치(74)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정보 수신부(7103)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통상, 제1 정보 송신부(7102)와 제1 정보 수신부(7103)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수단이다.
제3 정보 수신부(7401)는, 제1 전자 기기(71)로부터 정보 및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제3 정보 수신부(7401)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3 정보 송신부(7403)는, 반송 정보 구성부(1402)가 구성한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71)에 송신한다. 제3 정보 송신부(7403)는,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3 정보 수신부(7401)와 제3 정보 송신부(7403)는, 통상, 물리적으로 하나의 수단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 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1 전자 기기(71)의 동작에 관해서 도 8의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801) 제1 정보 송신부(7102)는, 글로벌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해, 서버 장치(74)를 향해 정보를 송신하는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조건은 다양하고, 상세한 것은 이하에 기술한다.
(단계 S802) 제1 정보 송신부(7102)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1201)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단계 S803) 제1 정보 송신부(7102)는, 서버 식별자 격납부(1101)로부터 서버 식별자를 취득한다.
(단계 S804) 제1 정보 송신부(7102)는, 단계 S802에서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단계 S803에서 취득한 서버 식별자를 갖는 정보를 구성한다. 이 정보는, 서버 장치(74)에 송신하는 정보이다. 송신하는 정보의 구조의 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송신원을 식별하는 필드(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SA])에 격납되고, 서버 식별자가 송신처를 식별하는 필드(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DA])에 격납된다. 또한, 정보의 본체부(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Data] 필드)는, 예를 들면, 빈 정보이다. 단, 송신하는 정보의 구조는 상관없다.
(단계 S805) 제1 정보 송신부(7102)는, 단계 S804에서 구성한 정보를 서버 장치(74)에 송신한다.
(단계 S806) 제1 정보 수신부(7103)는, 반송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반송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807로 가고, 반송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806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807) IP 어드레스 취득부(1104)는, 단계 S806에서 수신한 반송 정보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출한다.
(단계 S808) IP 어드레스 설정부(1105)는, 단계 S807에서 취득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한, 도 8의 플로우 챠트에서 설정된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통상, 도 8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와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
다음에, 서버 장치(74)의 동작에 대해서 도 9의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901) 제3 정보 수신부(7401)는, 제1 전자 기기(71)로부터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902로 가고,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계 S9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902) 반송 정보 구성부(1402)는, 단계 S901에서 수신한 정보에 따라서 반송하는 정보인 반송 정보를 구성한다. 통상, 정보 중의 헤더(경로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출하여, 제1 전자 기기(71)가 취득할 수 있는 형식(통상, 반송 정보의 본체부로, 상기의 예에서 말하면 [Data]에 해당하는 필드)으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반송 정보에 기입한다. 단, 제1 전자 기기(71)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으면, 반송 정보의 구조는 상관없다. 따라서, 단계 S901에서 수신한 정보와 반송 정보가 동일한 것이어도 된다.
(단계 S903) 제3 정보 송신부(7403)는, 단계 S902에서 구성한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71)를 향해 송신한다.
이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4 구체예)
제4 구체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 및 송수신하는 정보의 구조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전자 기기(101), 인터넷(102), 서버 장치(103), 휴대 단말(104)을 갖는다. 제1 전자 기기(101)는,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다.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송신처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이고,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송신원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이다.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제1 전자 기기(101)가 외부의 장치(서버 장치(103) 등)와 통신할 때에 이용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이다.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제1 전자 기기(101)가 외부의 장치(휴대 단말(104) 등)에 제1 전자 기기(10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알릴 때에 이용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이다.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정합성을 취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즉,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외부의 기기로부터 동적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이하의 순서로 취득한다. 따라서, 새롭게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외부의 기기로부터 동적으로 할당된 경우에는,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현재,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로서, 새롭게 [4. 5. 6. 7]가 할당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101)는, 송신원의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로서, [202. 224. 132. 126]를 격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이전의 제1 전자 기기(10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이다. 그리고, 서버 장치(103)에 할당된 글로벌 IP 어드레스는, [1. 2. 3. 4]이다. 제1 전자 기기(101)는, 서버 장치(103)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101)는, 예를 들면, 정기적으로 서버 장치(103)에 패킷(100)의 정보를 송신한다. 패킷(100)의 정보는, 이하의 내용이다. 송신원의 글로벌 IP 어드레스([SA])가 [4. 5. 6. 7]이고, 송신처의 글로벌 IP 어드레스([DA])가 [1. 2. 3. 4]이고, 송신원의 기기(제1 전자 기기(101))의 포트가 [GP3]이고, 송신처의 기기(서버 장치(103))의 포트가 [GP2]이다. 또한, 패킷(100)의 Data는 빈 [0]이다.
다음에, 서버 장치(103)는, 패킷(100)을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103)는 제1 전자 기기(101)에 송신하는 패킷(200)을 구성한다. 서버 장치(103)는, 패킷(100)의 [SA]로서 [4. 5. 6. 7]를 취득하고, 패킷(200)의 [Data] 필드에 기입한다. 다음에, 서버 장치(103)는, 패킷(100)의 [SA]를 패킷(200)의 [DA]로 하고, 패킷(100)의 [DA]를 패킷(200)의 [SA]로 한다. 이상에 의해, 서버 장치(103)는 패킷(200)을 구성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는, 패킷(200)을 제1 전자 기기(101)에 송신한다.
다음에, 제1 전자 기기(101)는, 패킷(200)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101)는, 패킷(200)의 [Data] 중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다음에, 제1 전자 기기(101)는, 격납하고 있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202. 224. 132. 126]와 패킷(200)의 [Data] 중의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비교한다. 제1 전자 기기(101)는, 양자가 상이하면,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개서한다. 현재, 제1 전자 기기(101)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4. 5. 6. 7]로 개서한다.
다음에, 제1 전자 기기(101)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전자 기기(휴대 단말)(104)에 새로운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통지 수단이라도 된다. 이 통지 수단은, 예를 들면, 전자 메일로 알린다. 제4 구체예에서, 제1 전자 기기(101)는 휴대 단말(104)에, 새로운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전자 메일로 알린다.
다음에, 휴대 단말(104)은, 제1 전자 기기(101)의 새로운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취득하여, 격납한다. 그리고, 이후, 휴대 단말(104)로부터 제1 전자 기기(101)에 액세스할 때는, 새로운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이용한다.
이상과 같이, 제4 구체예에서, 제1 전자 기기(101)는, 항상 새로운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다른 장치(휴대 단말)(104)에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장치(휴대 단말)(104)는, 언제라도 제1 전자 기기(101)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장치로부터 제1 전자 기기(101)에 액세스하는 이유는, 예를 들면, 외출처에서 다른 장치로부터 제1 전자 기기(101)를 조작하거나, 외출처에서 다른 장치로부터 제1 전자 기기(101)의 상태를 취득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4 구체예에서, 제1 전자 기기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의 개시 타이밍은 정기적으로 주어진다. 그러나, 제1 전자 기기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의 개시 타이밍은 정기적으로 행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의 개시 타이밍은 일정한 조건에 합치한 경우라도 된다. 일정한 조건이란, 실시의 형태 1에서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전자 기기(101)의 전원이 OFF로부터 ON으로 된 경우나, 제1 전자 기기(101)의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등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제4 구체예에서,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직접 서버 장치에 정보가 송신되었는데, 제1 전자 기기와 서버 장치의 사이에 제2 전자 기기가 있어도 된다.
(제5 구체예)
제5 구체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와 송수신되는 정보에 대해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전자 기기(101), 인터넷(102), 서버 장치(103), 휴대 단말(104), 제2 전자 기기(105)를 갖는다. 제2 전자 기기(105)에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가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101)는, 패킷(100)의 정보를 제2 전자 기기(105)에 송신한다. 패킷(100)의 [SA]는 제1 전자 기기(10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이다. 패킷(100)의 [DA]는 서버 장치(103)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이다. 패킷(100)의 [Data]는 빈 [0]이다. 다음에, 제2 전자 기기(105)는 패킷(100)을 수신한다. 제2 전자 기기(105)는 패킷(100)의 [SA]를 자신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로 개서한 패킷(200)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2 전자 기기(105)는 패킷(200)을 서버 장치(103)에 송신한다.
서버 장치(103)는, 패킷(200)을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103)는, 패킷(200)의 [SA]와 [DA]를 바꿔넣고, [Data] 필드에 제2 전자 기기(105)의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서버 장치(103)는, 패킷(300)을 구성한다. 서버 장치(103)는, 패킷(300)을 제2 전자 기기(105)에 송신한다. 제2 전자 기기(105)는, 패킷(300)을 수신한다. 제2 전자 기기(105)는 패킷(300)의 [DA]를 제1 전자 기기(101)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로 개서하고, 패킷(400)을 구성한다. 제2 전자 기기(105)는 패킷(400)을 제1 전자 기기(101)에 송신한다. 제1 전자 기기(101)는 패킷(400)을 수신한다. 제1 전자 기기(101)는 패킷(400)의 [Data]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취득한다. 그리고, 제1 전자 기기(10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적절한 부분(레지스트리 등)에 기록한다. 이상에서, 제1 전자 기기(101)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4. 5. 6. 7]를 설정한다. 이상, 제1 전자 기기와 서버 장치의 사이에 제2 전자 기기가 있는 경우에 관해서 기술했다.
(제6 구체예)
제6 구체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 12에 도시한다. 그 구성도는도 11과 동일한데, 송수신되는 정보(패킷)가 상이하다. 도 12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2 전자 기기(125)는, 패킷을 그대로 보낼 뿐이다. 즉, 패킷(100)과 패킷(200)은 동일하다. 또한, 패킷(300)과 패킷(400)은 동일하다. 제6 구체예에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제1 전자 기기는 자신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적절한 부분(레지스트리 또는 프로퍼티, 또는 어트리뷰트 등이라고 한다)에 기록할 수 있다.
이상,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제1 전자 기기가 자신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알수 있어, 휴대 단말 등의 외부의 기기에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에 대해, 인터넷 경유로 외부의 기기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고를 덜고, 또한 정상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기술은,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이, IPv6로 이행한 경우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IP 어드레스가 128비트로 길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설정은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서, 제1 전자 기기(101)는 내부에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버 장치(103)에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했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즉, 제1 전자 기기(101)에 존재하는 어떤 제1 소프트웨어는,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격납되어 있는 장소를 모를 수 있다. 또한,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격납되어 있는 장소는, 전자 기기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면,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이고, 또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알 필요가 있는 소프트웨어인 것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처리에 의해, 제1 전자 기기가,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설정해 둠으로써,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 등이라도 제1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전자 기기가,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설정하는 제2 소프트웨어는, 제1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격납 장소를 알고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서, 서버 장치는 반송 정보를 구성하여, 송신했으나, 수신한 정보에 대해 아무것도 가공하지 않고, 수신한 정보를 반송 정보로 해도 된다. 반송 정보 중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격납 장소를,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전자 기기가 알고 있으면 된다. 이러한 경우, 서버 장치는, 반송 정보 구성부를 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서버 장치는,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정보 및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제3 정보 수신부와, 제3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제1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3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제1 전자 기기, 제2 전자 기기, 서버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소프트웨어로 실현하고, 상기 소프트웨어를, 예를 들면 서버 상에 설치하고,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에 의해 상기 소프트웨어를 배포해도 된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배포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수고를 덜고, 또한 정상 통신을 행할 수있다.

Claims (16)

  1. 서버 장치와 1 또는 2 이상의 전자 기기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서버 장치를 식별하는 서버 식별자를 격납하고 있는 서버 식별자 격납부;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를, 상기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반송 정보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취득부; 및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IP 어드레스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3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반송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3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자 기기는,
    상기 서버 식별자 격납부;
    상기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상기 서버 장치에 상기 제2 전자 기기 경유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제1 정보 송신부;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1 정보 수신부;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 및,
    상기 IP 어드레스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는,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부;
    상기 제2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와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4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4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반송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4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정보 및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상기 제3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3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반송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상기 제3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와,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외부의 기기에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송신부는 정기적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IP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에 기록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격납하고 있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와,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외부의 기기에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송신부는, 정기적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IP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에 기록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송신부는, 일정한 조건에 합치한 경우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조건은, 통신 상태에 관한 조건인, 정보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태에 관한 조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가 통신 불가의 상태로 된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조건은,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전원이 투입된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9. 서버 장치와 1 또는 2 이상의 전자 기기를 가지고 상기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 설정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서버 장치를 식별하는 서버 식별자를 격납하고 있는 서버 식별자 격납부;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를, 상기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반송 정보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취득부; 및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IP 어드레스 설정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와,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외부의 기기에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송신부는, 정기적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IP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에 기록하는, 전자 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자 기기는,
    상기 서버 식별자 격납부;
    상기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서버 장치에 상기 제2 전자 기기 경유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부;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부;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 및
    IP 어드레스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는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부;
    상기 제2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정보와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4 정보 수신부;
    상기 제4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반송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4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격납하고 있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와,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외부의 기기에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송신부는, 정기적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IP 어드레스 설정부는,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 격납부에 기록하는 전자 기기.
  13. 서버 장치와 1 또는 2 이상의 전자 기기를 가지고, 상기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 설정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서버 장치.
  14. 서버 장치와 1 또는 2 이상의 전자 기기를 가지고, 상기 전자 기기의 IP 어드레스를 자동 설정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를, 미리 격납되어 있는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반송 정보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 및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IP 어드레스 설정 단계를 갖는, 프로그램.
  15. 제1 전자 기기와 제2 전자 기기와 서버 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자동 설정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있어서,
    미리 격납되어 있는 서버 식별자로 식별되는 서버 장치에 제2 전자 기기 경유로 정보를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제2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갖는 반송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제1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반송 정보로부터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 및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IP 어드레스 설정 단계를 갖는, 프로그램.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미리 격납되어 있는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미리 정해진 외부의 기기에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글로벌 IP 어드레스 통지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보 송신 단계에서, 정기적으로 상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IP 어드레스 설정 단계에서,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와 상기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IP 어드레스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제2 글로벌 IP 어드레스로서 기록하는, 프로그램.
KR10-2004-7018864A 2002-05-23 2003-05-22 정보 처리 시스템 KR200500041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8705 2002-05-23
JP2002148705 2002-05-23
PCT/JP2003/006387 WO2003101048A1 (fr) 2002-05-23 2003-05-22 Systeme de traitement d'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194A true KR20050004194A (ko) 2005-01-12

Family

ID=2956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864A KR20050004194A (ko) 2002-05-23 2003-05-22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050204060A1 (ko)
EP (1) EP1503547A4 (ko)
JP (1) JP3674634B2 (ko)
KR (1) KR20050004194A (ko)
CN (3) CN1327665C (ko)
AU (1) AU2003242391A1 (ko)
CA (1) CA2486973A1 (ko)
IL (2) IL165340A0 (ko)
WO (1) WO2003101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7665C (zh) * 2002-05-23 2007-07-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
JP3741312B2 (ja) * 2003-03-28 2006-02-01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80634B2 (ja) * 2005-06-24 2010-06-1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セッション確立方法
US7729359B1 (en) * 2006-03-15 2010-06-01 Manu Kumar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ddress transparency
JP2011139405A (ja) * 2010-01-04 2011-07-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制御対象機器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501052B2 (ja) * 2010-03-24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954508B2 (en) * 2010-10-28 2015-02-1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JP5559006B2 (ja) * 2010-10-28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9301132B2 (en) * 2013-11-07 2016-03-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distribution of software updates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bile devices
US10225105B2 (en) * 2015-07-08 2019-03-05 Openvpn Technologies, Inc. Network address translation
JP7188046B2 (ja) * 2018-12-14 2022-12-1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48577C (en) * 1996-04-24 2002-11-05 Northern Telecom Limited Internet protocol filter
US6308328B1 (en) * 1997-01-17 2001-10-23 Scientific-Atlanta, Inc. Usage statistics collection for a cable data delivery system
JP3038650B2 (ja) * 1997-04-28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のインターネット通信方法と装置
US6295560B1 (en) * 1997-12-05 2001-09-25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delivery system with load distribution among data delivery units using shared lower address and unique lower layer address
US6055236A (en) * 1998-03-05 2000-04-25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network services with distributed network address translation
US6154839A (en) * 1998-04-23 2000-11-28 Vpnet Technologies, Inc. Translating packet addresses based upon a user identifier
US6502135B1 (en) * 1998-10-30 2002-12-31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Agile network protocol for secure communications with assured system availability
US6427174B1 (en) * 1998-11-12 2002-07-30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IP addressing and quality of service assurance
US6741575B1 (en) * 1999-02-26 2004-05-25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delivery of multicast data over personal access communications system (PACS)
US6434627B1 (en) * 1999-03-15 2002-08-13 Cisco Technology, Inc. IP network for accomodating mobile users with incompatible network addressing
JP3576906B2 (ja) * 1999-12-21 2004-10-13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網に接続可能な電話通信装置と主電話制御装置とipアドレスを管理する方法
JP2001189740A (ja) * 1999-12-28 2001-07-10 Toshiba Corp リモート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US6295276B1 (en) * 1999-12-31 2001-09-25 Ragula Systems Combining routers to increase concurrency and redundancy in external network access
US7337217B2 (en) * 2000-07-21 2008-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chitecture for home network on world wide web
US7020720B1 (en) * 2000-12-08 2006-03-28 The Directv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lobally routable bypass IP address to a host computer on a private network
US7039682B2 (en) * 2000-12-15 2006-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sion of the BOOTP protocol towards automatic reconfiguration
JP3760767B2 (ja) * 2000-12-21 2006-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US7039721B1 (en) * 2001-01-26 2006-05-02 Mcafe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es
JP2002330177A (ja) * 2001-03-02 2002-11-15 Seer Insight Security Inc セキュリティ管理サーバおよびこれと連携して動作するホストサーバ
US20020147780A1 (en) * 2001-04-09 2002-10-10 Liu James Y. Method and system for scanning electronic mail to detect and eliminate computer viruses using a group of email-scanning servers and a recipient's email gateway
JP3800038B2 (ja) * 2001-06-08 2006-07-1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のipアドレス付与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2103547A1 (en) * 2001-06-15 2002-12-27 Advanced Network Technology Laboratories Pte Ltd. Computer networks
WO2002001820A1 (fr) * 2001-06-22 2002-01-03 Ipex Co., Ltd. Systeme de fourniture d'information au moyen d'une ligne de communication
JP3908935B2 (ja) * 2001-10-29 2007-04-25 有限会社デンタルサプライ Ip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ip電話機、及び、サービス端末装置
US6993595B1 (en) * 2001-12-28 2006-01-31 Nortel Networks Limited Address translation change identification
CN1327665C (zh) * 2002-05-23 2007-07-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处理系统
JP4346869B2 (ja) * 2002-06-26 2009-10-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KR20070108249A (ko) * 2002-09-30 2007-11-0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시스템, 서버 장치, 전자기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정보 처리 방법
US20050053063A1 (en) * 2003-09-04 2005-03-10 Sajeev Madhavan Automatic provisioning of network address translation data
US20060288014A1 (en) * 2005-06-15 2006-12-21 Edwards David M Method and software for mobile data collection having managed work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39336A (zh) 2007-09-19
US20050204060A1 (en) 2005-09-15
EP1503547A4 (en) 2008-07-23
US20060288104A1 (en) 2006-12-21
EP1503547A1 (en) 2005-02-02
WO2003101048A1 (fr) 2003-12-04
CA2486973A1 (en) 2003-12-04
IL165340A0 (en) 2006-01-15
JPWO2003101048A1 (ja) 2005-09-29
CN1656747A (zh) 2005-08-17
CN1327665C (zh) 2007-07-18
IL189106A0 (en) 2009-02-11
JP3674634B2 (ja) 2005-07-20
CN101039335A (zh) 2007-09-19
AU2003242391A1 (en) 200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3401B2 (ja) ルータ、アドレス識別情報管理サーバ
US67082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dual-network address utilization
US7545821B2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602881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242689B2 (en) Mobile IP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IP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duct
US7706371B1 (en) Domain based routing for managing devices operating behind a network address translator
JP2002124963A (ja) 私設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アドレスドメインにおける固有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アドレスの使用方法
EP23452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network resources from one address realm to clients in a different address realm
CN101208935B (zh) 用于在通信网络内部转换互联网协议地址的方法和装置
JP5638063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8072519A (ja) 機器検索装置、機器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97468B1 (ko) Mib 네임 서버를 이용한 망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60002384A1 (en) Network system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WO2015184979A1 (zh) 处理报文、发送信息、接收信息的方法及装置
JP366170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60133413A1 (en) Retaining capability of handling original type messages in an upgraded computer system
JP2004135108A (ja) 通信制御方法、通信端末、ルータ、通信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ルータ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510219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5102196A6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705508B1 (ko) 인터넷 프로토콜의 통합 주소 관리 장치
JP2009231986A (ja) 通信装置
JP2006086687A (ja) 情報処理装置、通信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通信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