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094A -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094A
KR20050002094A KR1020030043405A KR20030043405A KR20050002094A KR 20050002094 A KR20050002094 A KR 20050002094A KR 1020030043405 A KR1020030043405 A KR 1020030043405A KR 20030043405 A KR20030043405 A KR 20030043405A KR 20050002094 A KR20050002094 A KR 20050002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ungsten
film
thin film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4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2094A/ko
Publication of KR2005000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1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 H01L21/76876Layers specifically deposited to enhance or enable the nucleation of further layers, i.e. seed layers for deposition from the gas phase,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배선을 형성하기전에 얇은 두께로 비정질 금속박막으로 시드층을 형성한 후 금속배선용 금속층을 형성함으로써 금속배선의 치밀도와 불순물 함유량은 물론 그레인 크기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배선의 비저항을 낮출 수 있는 금속배선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a metal line in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증착공정을 개선시켜 금속배선의 비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박막 증착공정은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점차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이하, 'CVD'라 함)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이는, CVD 방법을 이용한 금속박막 증착공정이 종횡비(aspect ratio)가 큰 콘택홀(contact hole)을 보다 효과적으로 채울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속배선의 선폭과 콘택홀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면서 금속박막 자체의 비저항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금속배선의 알시 시간지연(RC time delay)이 증가되어 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배선으로 구리(Cu)와 같은 새로운 금속물질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기존의 물질에 대해서도 자체 비저항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새로운 물질의 도입은 금속오염 문제 때문에 전용장비의 구입이나 소자 특성에 악영향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반도체 칩의 양산과 관련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은 기존 물질의 비저항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증착조건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금속박막의 증착공정을 개선시켜 금속물질의 비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텅스텐층의 평면 TEM 사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 12 : 하부층
14 : 층간 절연막 16 : 콘택홀
18 : 확산 방지막 20 : 시드층
22 : 금속층(텅스텐층)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부층이 노출되도록 콘택홀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와, 전체 구조 상부면의 단차를 따라 비정질 금속박막으로 시드층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금속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단면도들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들 중 서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정의 반도체 구조물층 상에 하부층(12)이 형성된 반도체기판(10)이 제공된다. 여기서, 반도체 구조물층은 웰(well),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배선층, 절연층 및 실리콘 산화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부층(12)은 비트라인(bit line)이 될 수 있으며, 비트라인은 텅스텐으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전체 구조 상부에 층간 절연막(inter layer dielectric; 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14)은 스핀 온(spin-on) 방식으로 증착되는 저유전막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으로 증착되는 저유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저유전막으로는 SOG(Spin On Glass), SiOC, SiOF, 다공성 SiO2, USG(Un-doped Silicate Glass) 및 TEOS(TetraEthylOrtho Silicate Glass)가 있다. 이외에도, 경우에 따라서 층간 절연막(104)은 고유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유전막으로는 BPSG(Bron Phosphorus Silicate Glass) 및 PSG(Phosphorus Silicate Glass)가 있다. 한편, 층간 절연막(14)은 상기의 물질들이 단층, 또는 적어도 2층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리소그래피(lithography)공정에 의해 층간 절연막(14)이 식각되어 콘택홀(16)이 형성된다. 이로써, 콘택홀(16)을 통해 하부층(12)이 노출된다. 여기서, 콘택홀 대신에 듀얼 다마신 공정(dual damascene)을 위해 형성된 형성된 트렌치(trench) 및 비아홀(via hole)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콘택홀(16)이 형성된 후 전체 구조 상부의 단차를 따라 확산 방지막(18)이 형성된다. 상기 확산 방지막(18)은 TiN, TiW, Ti, Ta, TaN, WN, W, Ru, Ir 및 Z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거나, 이들이 적어도 2층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 방지막(18)을 이루는 상기 물질들은 특성에 따라 각각 소정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정구조는 그 상부에 증착되는 금속물질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CVD 방법을 이용한 금속박막의 증착공정은 반응기체의 유입 및 흡착단계, 표면 반응단계, 단일 금속물질이나 금속 화합물 증착단계 및 부산물 탈착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단계시 마다 미치는 주변 환경들이 모두 증착되는 금속박막의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표면 반응에 의한 금속원자로의 환원 및 생성된 금속원자의 안정된 사이트(site)로의 재배치 능력 등이 초기 핵생성(nucleation)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핵들의 특성이 지속되는 금속박막의 성장과정 및 특성과 큰 관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금속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하부층의 표면 구조가 금속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게 된다.
한 실험예로서, 확산 방지막(18)이 TiN막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CVD 방법을 통해 텅스텐층이 형성된 경우를 실험하였다. 이 경우 CVD 방법에 의한 표면화학반응은 하기의 반응식1 및 반응식2와 같다. 여기서, 반응식 1은 핵생성 단계(nucleation step)에 관한 반응식이고, 반응식2는 벌크 단계(bulk step)에 관한 반응식이다.
WF6+ SiH4→W + SiF4+ 2HF + H2
WF6+ 3H2→W + 6HF
상기 반응식1 및 반응식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벌크 단계만으로는 초기 텅스텐 핵을 생성시키기 어렵고, 벌크 단계시 WF6이 확산 방지막(18) 및 하부층(12)으로 침투되어 공격(attack)을 가한다. 이 때문에 반응식1과 같이 핵생성 단계를 진행한 후 반응식2와 같이 벌크 단계를 진행하여 텅스텐층을 형성시킨다. 이경우, 핵생성 단계에서 연속적으로 그레인(grain)이 성장되어 텅스텐막이 증착된다. 이때, 텅스텐막은 작은 그레인 크기로 주상(columnar) 성장되며, 그레인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최소한 400Å 이상으로 증착된다. 이에 따라, 텅스텐막의 비저항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또한, 핵생성 단계에서 환원가스로 SiH4가 사용되기 때문에 실리콘 불순물에 의한 텅스텐막의 비저항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벌크 단계에서 형성된 텅스텐 금속의 비저항은 보통 5.3μΩcm이 되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이유 때문에 핵생성 단계에서 형성된 텅스텐막의 비저항은 15μΩcm 내지 20μΩcm 정도로 높아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금속박막의 비저항은 하기의 수학식1과 같이 여러가지 인자들에 의한 비저항 성분들의 합으로 나눌 수 있다. 하기에서, 'ρthermal'는 열에 의한 인자, 'ρimpurity'는 불순물에 의한 인자, 'ρsurface scattering'는 막 두께에 따른 표면산란에 의한 인자, 'ρgrain boundary scattering'는 그레인 바운더리 산란에 의한 인자, 'ρetc'는 기타 인자이다.
[수학식 1]
ρtotal= ρthermal+ ρimpurity+ ρsurface scattering+ ρgrain boundary scattering+ ρetc
상기 수학식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인자들에서 가능한한 결점(defect)나 불순물 들을 제거하거나, 그레인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면 금속박막의 비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토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홀(16) 내부면을 포함한 전체 구조 상부면의 단차를 따라 핵생성층으로 시드층(seed layer; 18)이 증착된다. 이때, 시드층(18)은 비정질(amorphous) 금속박막으로 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드층(18)은 비교적 얇게 증착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20nm의 두께로 증착된다.
상기 시드층(18)을 비정질 금속박막, 예컨대 비정질 텅스텐막으로 증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하기 표1을 통해 설명한다. 표1은 시드층(18)이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비정질 텅스텐막으로 형성된 경우와, 다결정(polycrytal) 텅스텐막으로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여러가지 요소들을 비교한 표이다.
제1 실험예 제2 실험예
ALD W(시드층) 다결정 텅스텐막 비정질 텅스텐막 다결정 텅스텐막 비정질 텅스텐막
텅스텐층의총두께(Å) 1174 1045 4597 4284
면저항(Rs)(Ω/?) 1.41 1.213 0.255 0.236
비저항(μΩcm) 16.553 12.676 11.711 10.1
텅스텐층의표면거칠기(Å) 84.8 150.6 227.3 286.1
상기 표1에서 제1 실험예의 공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드층(20)을 다결정 텅스텐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ALD 방법으로 WF6전구체와 환원가스로 SiH4를 이용하여 250℃ 내지 450℃의 온도와, 0.mTorr 내지 100Torr의 압력범위에서 시드층(20)이 형성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VD 방법으로 WF6전구체와 환원가스로 3H2를 이용하여 300℃ 내지 1000℃의 온도범위와 1Torr 내지 100Torr의 압력범위에서 텅스텐층(22)이 형성된다(반응식2참조). 다른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드층(20)을 비정질 텅스텐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ALD 방법으로 WF6전구체와 환원가스로 B2H6(또는, B2H6유도체) 이용하여 250℃ 내지 450℃의 온도와 1mTorr 내지 100Torr의 압력범위에서 시드층(20)이 형성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과 동일한 CVD 방법으로 WF6전구체와 환원가스로 3H2를 이용하여 1000Å의 두께로 텅스텐층(22)이 형성된다.
한편, 제2 실험예의 공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ALD 방법으로 시드층(20)이 형성되고, 그 상부면에 CVD 방법으로 텅스텐층(22)이 형성되는 방법은 제1 실험예와 동일하다. 다만, CVD 방법으로 형성된 텅스텐층(22)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전체 텅스텐의 두께가 4000Å 이상의 수준이 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 실험예를 통해 시드층(20) 상에 4000Å의 두께로 증착된 텅스텐층(22)에 대한 평면 TEM 사진들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었다. 도 5a는 시드층(20)이 다결정 텅스텐막으로 형성된 경우의 TEM 사진이고, 도 5b는 시드층(20)이 비정질 텅스텐막으로 형성된 경우의 TEM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질 텅스텐막 상에 형성된 텅스텐층(이하, '제1 텅스텐층'이라 함)의 그레인 크기가 다결정 텅스텐막 상에 형성된 텅스텐층('제2 텅스텐층'이라 함)의 그레인 크기보다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텅스텐층은 매우 균일하고 작은 그레인 크기로 주상 성장되었으나, 제1 텅스텐층은 불균일하지만 매우 큰 그레인 크기로 랜덤(random)하게 주상 성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텅스텐층이 제2 텅스텐층에 비해 그레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저항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험예에서 증착된 제1 텅스텐층의 비저항이 모두 일반적인 CVD 방법으로 증착된 텅스텐층의 비저항에 비해 작다. 예컨대, 일반적인 CVD 방법으로 증착된 텅스텐층의 비저항은 20μΩcm인데 반해, 제1 및 제2 실험예를 통해 증착된 제1 텅스텐층의 비저항은 거의 10μΩcm에 근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텅스텐층이 상기 제2 텅스텐층에 비해 표면거칠기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거친 표면의 제2 텅스텐층을 그대로 사용하면 후속 패턴공정에서 브릿지(bridge)가 발생될 위험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실시한다. 도 4에서, CVD 방법을 이용하여 시드층(20) 상에는 콘택홀(16)에 보이드가 발생되지 않도록 목표치 두께보다 두껍게 금속배선용으로 텅스텐층(22)이 증착된다. 이후, CMP 공정을 실시하여 텅스텐층(22)이 원하는 높이로 평탄화되고, 이로 인하여, 비저항이 낮으면서 매우매끈한 표면을 갖는 텅스텐층(22)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서는 필수 불가결하게 상기 반응식1과 같이 핵성성 단계가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실리콘 불순물이 많이 포함된 텅스텐막이 두껍게 증착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ALD 방법으로 시드층용 텅스텐막을 증착한 후 그 상부에 CVD 방법으로 텅스텐층(22)을 증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핵생성 단계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비저항을 갖는 텅스텐층을 증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횡비가 15 이상이 되는 깊은 콘택홀을 매립하는 공정에 적용하는 경우, ALD 방법을 이용하여 시드층을 형성함에 따라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가 매우 양호하게 콘택홀 벽에 증착이 가능하다. 또한, 후속 CVD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배선을 형성함으로써 보이드 없이 콘택홀을 매립할 수 있다. 또한, 비저항이 매우 낮은 금속박막으로 콘택홀을 매립하기 때문에 콘택저항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ALD 방법을 이용하여 시드층으로 비정질 금속박막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서 비정질 금속박막 형성방법이 ALD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금속물질이 텅스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Al, Cu, Pt, Ru, Co, Ti 및 Ta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거나, 이 원소들이 함유된 합금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금속배선은 CVD 방법 이외에도, 전기도금법(electroplating) 및 무전해석출(electroless deposition)방법 모두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볼때,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배선을 형성하기전에 얇은 두께로 비정질 금속박막으로 시드층을 형성한 후 금속배선용 금속층을 형성함으로써 금속배선의 치밀도와 불순물 함유량은 물론 그레인 크기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배선의 비저항을 낮출 수 있다. 궁극적으로, 비저항이 낮은 금속배선을 형성함에 따라 고집적도의 반도체 소자의 성능 및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LD 방법을 이용하여 시드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횡비가 15 이상의 깊은 콘택홀도 낮은 콘택저항을 가지면서 완벽하게 매립할 수 있다.

Claims (9)

  1. (a) 하부층이 노출되도록 콘택홀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b) 전체 구조 상부면의 단차를 따라 비정질 금속박막으로 시드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c) 상기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금속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박막이 ALD 방법으로 형성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금속박막이 텅스텐막으로 형성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막이 WF6를 전구체로 사용하고, B2H6를 환원가스로 사용하여 형성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막이 250℃ 내지 450℃의 온도에서 형성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CVD 방법, 전기도금법 또는 무전해 석출방법으로 형성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텅스텐층으로 형성되거나, Al, Cu, Pt, Ru, Co, Ti, Ta 및 이 원소들이 함유된 합금물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층이 WF6를 전구체로 사용하고, 수소를 환원가스로 사용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후 상기 금속층이 CMP 공정을 통해 평탄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20030043405A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KR20050002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05A KR20050002094A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405A KR20050002094A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094A true KR20050002094A (ko) 2005-01-07

Family

ID=3721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405A KR20050002094A (ko) 2003-06-30 2003-06-30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2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3889B2 (en) Film for copper diffusion barrier
US7498242B2 (en) Plasma pre-treating surface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US771852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7154178B2 (en) Multilayer diffusion barrier for copper interconnections
US8372739B2 (en) Diffusion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from a layer of reactive metal and method of fabrication
US8058728B2 (en) Diffusion barrier and adhesion layer for an interconnect structure
JP3220034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27883B2 (en) Method of forming a diffusion barrier and adhesion layer for an interconnect structure
US20020158339A1 (en) Wiring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a method of forming the wiring structure
US7670946B2 (en) Methods to eliminate contact plug sidewall slit
JP2002141348A (ja) 成膜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成膜装置
JP7277871B2 (ja) 相互接続のためのルテニウム金属機能フィリング
US6576543B2 (en) Method for selectively depositing diffusion barriers
JP4168397B2 (ja) 高アスペクト比の半導体デバイス用のボロンドープ窒化チタン層
US20050048766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onductive plug in integrated circuit
US20040224500A1 (en) Method of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US20030199152A1 (en) Method of forming a conductive contact
US6576545B1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dual nature capping/ARC layers on fluorine doped silica glass inter-layer dielectrics and method of forming capping/ARC layers
US7955971B2 (en) Hybrid metallic wire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20090017615A1 (en) Method of removing an insulation layer and method of forming a metal wire
KR20050002094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JP2005129937A (ja) 低k集積回路相互接続構造
US7642648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ductant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67868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316061B1 (ko) 다층배선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