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882A -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882A
KR20050001882A KR1020030042231A KR20030042231A KR20050001882A KR 20050001882 A KR20050001882 A KR 20050001882A KR 1020030042231 A KR1020030042231 A KR 1020030042231A KR 20030042231 A KR20030042231 A KR 20030042231A KR 20050001882 A KR20050001882 A KR 2005000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driver
output pin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458B1 (ko
Inventor
김상래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4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이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출력핀들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됨에 따라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과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과 데이터 라인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길이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과 데이터 라인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와의 길이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DATA DRIVING UNIT OF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데이터 구동부의 출력핀들과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핀들과 데이터 라인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저항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장치들 중에서 박막형 평판 표시장치가 가볍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근래에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해상도가 높고, 동화상을 구현하기에 충분할 만큼 반응 속도가 빠른 장점을 갖기 때문에 상기 평판 표시장치 중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제품이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방향성을 갖고 있는 액정 분자들의 배향 방향을 분극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조절하면, 액정의 배향 방향에 따른 광학적 이방성에 의해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을 응용하여 표시장치로 사용한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 중에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전극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능동 매트릭스 액정 표시장치가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최근에 가장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장치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 표시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칼라필터(Color Filter) 기판과, 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칼라필터 기판의 이격간격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의 위치에 화소전극들이 배열되고, 그 화소전극들의 수평방향을 따라 게이트 라인들이 형성되며, 수직방향을 따라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된다. 상기 화소들의 일측 모서리에는 화소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상기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측 끝단에는 게이트 패드부와 데이터 패드부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가 액정 표시패널과 결합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 이하, IC) 들로 구성되어 상기 게이트 패드부에 주사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의 IC 들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 패드부에 화상정보를 인가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동 IC 들과 데이터 구동 IC 들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 상에 실장되어 탭(Tape Automated Bonding : TAB) 방식으로 액정 표시패널과 결합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 IC 들과 데이터 구동 IC 들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들 및 직류전압들을 상기 TCP에 접속되는 인쇄 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 로부터 공급받는다.
즉, 상기 게이트 구동 IC 들은 게이트 PCB 에 실장된 신호라인들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들 및 구동전압들을 공급받고, 상기 데이터 구동 IC 들은 데이터 PCB 에 실장된 신호라인들을 통해 외부로부터 화상정보, 제어신호들 및 구동전압들을 공급받는다.
도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장치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액정 표시패널(110)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110)의 일측 단변과 게이트 PCB (121) 사이에 접속된 게이트 TCP (122)들과; 상기 게이트 TCP (122)들에 각각 실장된 게이트 구동 IC (123)들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110)의 일측 장변과 데이터 PCB (131)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TCP (132)들과; 상기 데이터 TCP (132)들에 각각 실장된 데이터 구동 IC (133)들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과 컬러필터 기판(112)이 일정한 셀-갭을 갖도록 대향하여 합착되고, 그 셀-갭에 액정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의 일측 단변 및 일측 장변은 상기 칼라필터 기판(112)에 비해 돌출되며, 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의 돌출된 영역에는 게이트 패드부와 데이터 패드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과 칼라필터 기판(112)이 대향 합착된 영역에는 화상표시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의 화상표시부(113)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120)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게이트 패드부에 접속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130)들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데이터 패드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120)들과 데이터 라인(130)들은 서로 교차하며, 그 교차부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구비하는 화소들이 형성된다.
상기 칼라필터 기판(112)의 화상표시부(113)에는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화소별로 분리되어 도포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칼라필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에 구비된 화소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공통전극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TCP (122)들에는 각각 게이트 구동 IC (123)들이 실장되고, 그 게이트 구동 IC (123)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핀(124)들 및 출력핀(125)들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TCP (122)들의 입력핀(124)들은 게이트 PCB (1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출력핀(125)들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의 게이트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구동 IC (123)들은 주사신호를 액정 표시패널(110)의 게이트 라인(120)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TCP (132)들에는 각각 데이터 구동 IC (133)들이 실장되고, 그 데이터 구동 IC (133)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핀(134)들 및 출력핀(135)들이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TCP (132)들의 입력핀(134)들은 데이터 PCB (131)와 전기적으로접속되고, 출력핀(135)들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11)의 데이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 IC (133)들은 디지털 신호인 화상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130)들에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첫번째 데이터 TCP (132)를 통해 첫번째 데이터 구동 IC (133)에 스타트 펄스(Start Pulse : SP)가 인가되면, 그 첫번째 데이터 구동 IC (133)에 구비된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가 화상정보를 순차적으로 샘플링하여 래치(Latch)에 저장한다.
상기 첫번째 데이터 구동 IC (133)의 래치에 화상정보가 저장되면, 캐리신호(Carry Signal)에 의해두번째 데이터 구동 IC (133)에 구비된 쉬프트 레지스터가 화상정보를 순차적으로 샘플링하여 래치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데이터 구동 IC (133)들의 래치에 저장된 화상정보는 데이터 구동 IC (133)들에 인가되는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Data Output Enable: DOE) 신호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액정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130)들에 동시에 인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액정 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130)들에 동시에 인가되는 화상정보는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갖도록 인가되어야 액정 표시패널(110)의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구동 IC (133) 들의 화상정보입력핀(134)들과 출력핀(135)들은 384, 420 또는 480개로 구성되며, 그 규격이 표준화되어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 제작되는 데이터 라인(130)들의 개수에 따라 384, 420 또는 480개의 입력핀(134)들과 출력핀(135)들을 갖는 데이터 구동 IC (133) 들이 복수개 선택되어 액정 표시패널(110)과 결합된다.
예를 들어, 1024개의 데이터 라인(130)들이 제작되는 액정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384개의 입력핀(134)들과 출력핀(135)들을 갖는 데이터 구동 IC (133)가 3개 사용된다. 즉, 3개의 데이터 구동 IC (133)들이 결합되면, 1152개의 입력핀(134)들과 출력핀(135)들을 갖게 되므로, 그 출력핀(135)들이 1024개의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384개의 출력핀(135)들을 갖는 데이터 구동 IC (133)를 3개 사용하면, 마지막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들 중에 256개의 출력핀(135)들은 데이터 라인(130)들에 접속되지만, 나머지 128개의 출력핀(135)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상기 도1에 있어서, 마지막 데이터 구동 IC (133)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들은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어 화상정보를 인가하는 출력핀(135A)들과, 상기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지 않는 출력핀(135B)들로 구분된다. 이때,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지않는 출력핀(135B)들에는 화상정보가 인가되지 않으며, 액정 표시패널(110)의 구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A)들은 액정 표시패널(11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며, 따라서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A)들과 데이터 라인(130)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길이가 다른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들과 데이터 라인(130)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에 비해 길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데이터 구동 IC (133)들의 출력핀(135)들과 데이터 라인(130)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길이가 서로 달라지면, 배선길이에 따른 저항차를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데이터 구동 IC (133)들의 출력핀(135)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130)들에 인가되는 화상정보의 전기적 특성이 달라지게 되어 액정 표시패널(110)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다양한 해상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지 않는 데이터 구동 IC (133)들의 출력핀(135B)들이 많아질 경우에는 상기 문제점이 더욱 심화되며, 상기 데이터 구동 IC (133)들을 액정 표시패널(110)과 결합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핀들과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핀들과 데이터 라인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저항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마지막 데이터 구동 IC 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10: 액정패널 211: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212: 컬러 기판 231: 인쇄회로기판(PCB)
232: TCP 233: 드라이버 IC
240: 스위칭부 SEL_SIG: 선택신호
B1∼B4:출력 블록 233A∼233D: 데이터 구동 IC 출력핀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는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화상정보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IC와; 상기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단에 구비되어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출력핀들과; 상기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출력핀들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키는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는 액정 표시패널(210)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210)의 일측 장변과 데이터 PCB (231) 사이에 접속된 데이터 TCP (232)와; 상기 데이터 TCP (232)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IC (233)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2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11)과 컬러필터 기판(212)이 일정한 셀-갭을 갖도록 대향하여 합착되고, 그 셀-갭에 액정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11)의 일측 단변 및 일측 장변은 상기 칼라필터 기판(212)에 비해 돌출되며, 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11)의 돌출된 영역에는 게이트 패드부와 데이터 패드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11)과 칼라필터 기판(212)이 대향 합착된 영역에는 화상표시부(213)가 구비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11)의 화상표시부(213)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220)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게이트 패드부에 접속되고, 복수의 데이터 라인(230)들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데이터 패드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게이트 라인(220)들과 데이터 라인(230)들은 서로 교차하며, 그 교차부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구비하는 화소들이 형성된다.
상기 칼라필터 기판(212)의 화상표시부(213)에는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화소별로 분리되어 도포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칼라필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11)에 구비된 화소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공통전극이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 TCP (232)에는 데이터 구동 IC (233)가 실장되고, 그 데이터 구동 IC (2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핀(234)들 및 출력핀(235)들이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TCP (232)의 입력핀(234)들은 데이터 PCB (2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출력핀(235)들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11)의 데이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 IC (233)는 디지털 신호인 화상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패널(210)의 데이터 라인(230)들에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 IC (233)의 출력핀(235)들은 제1 내지 제4블럭(B1~B4)들로 분할되며, 그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로 분할된 출력핀(235A~235D)들은 스위칭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SEL_SIG)에 의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구동 IC (233)가 실장된 데이터 TCP (232)는 액정 표시패널(210)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230)들의 개수에 따라 데이터 PCB (231)와 액정 표시패널(210)의 데이터 패드부 사이에 복수개가 접속될 수 있으며, 그 데이터 구동 IC (2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출력핀(235)들이 링크부를 통해 데이터 라인(230)들과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액정 표시패널(210)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230)들의 개수는 제작하고자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구동부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첫번째 데이터 TCP (232)를 통해 첫번째 데이터 구동 IC (233)에 스타트 펄스가 인가되면, 그 첫번째 데이터 구동 IC (233)에 구비된 쉬프트 레지스터가 화상정보를 순차적으로 샘플링하여 래치에 저장한다.
상기 첫번째 데이터 구동 IC (233)의 래치에 화상정보가 저장되면, 캐리신호에 의해 두번째 데이터 구동 IC (233)에 구비된 쉬프트 레지스터가 화상정보를 순차적으로 샘플링하여 래치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데이터 구동 IC (233)들의 래치에 저장된 화상정보는 데이터 구동 IC (233)들에 인가되는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액정 표시패널(210)의 데이터 라인(230)들에 동시에 인가된다.
전술한 도2를 참조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들은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어 화상정보를 인가하는 출력핀(135A)들과, 상기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지 않는 출력핀(135B)들로 구분되고, 이때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되지 않는 출력핀(135B)들에는 화상정보가 인가되지 않으며, 액정 표시패널(110)의 구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A)들은 액정 표시패널(11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데이터 라인(130)들과 접속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A)들과 데이터 라인(130)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길이가 다른 데이터 구동 IC (133)의 출력핀(135)들과 데이터 라인(130)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에 비해 길어지게 되므로, 배선길이에 따른 저항차를 갖게 되어 데이터 구동 IC (133)들의 출력핀(135)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130)들에 인가되는 화상정보의 전기적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 IC (233)의 출력핀(235)들은 제1 내지 제4블럭(B1~B4)들로 분할되며, 그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로 분할된 출력핀(235A~235D)들은 스위칭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SEL_SIG)에 의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구동 IC (233)의 출력핀(235)들과 데이터 라인(230)들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액정 표시패널(210)의 끝단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230)들을 제4블록(B4)의 출력핀(235D)들과 접속시키고, 상기 스위칭부(240)에서 선택신호(SEL_SIG)를 인가하여 제3블록(B3)의 출력핀(235C)들을 디세이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디세이블된 제3블록(B3)의 출력핀(235C)들에는 화상정보가 인가되지 않으며, 액정 표시패널(210)의 구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 IC (233)의 출력핀(235A,235B,235D)들과 데이터 라인(230)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길이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데이터 구동 IC (233)의 출력핀(235)들과 데이터 라인(230)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와의 길이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 IC (233)들의 출력핀(235)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230)들에 인가되는 화상정보의 전기적 특성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액정 표시패널(210)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다양한 해상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230)들과 접속되지 않는 데이터 구동 IC (233)들의 출력핀(235)들이 많아질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210)의 끝단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230)들을 제4블록(B4)의 출력핀(235D)들과 접속시키고, 상기 스위칭부(240)에서 선택신호(SEL_SIG)를 인가하여 제2블록(B2)과 제3블록(B3)의 출력핀(235B,235C)들을 디세이블시킴으로써,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액정 표시장치에 호환되도록 설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240)는 액정 표시장치의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 PCB (231)의 외부 또는 데이터 구동 IC (233)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240)에 대한 제1예를 들면, 상기 스위칭부(240)는 데이터 구동 IC (233)들의 출력핀(235A~235D)들을 분할하는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에 개별적으로 선택신호(SEL_SIG)를 인가하여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개별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240)에 대한 제2예를 들면, 상기 스위칭부(240)는 데이터 구동 IC (233)들에 선택신호(SEL_SIG)를 인가하여 데이터 구동 IC (233)들의 출력핀(235A~235D)들을 분할하는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동시에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킬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 IC (233)들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데이터 구동 IC (233)들의 제3블록(B3))를 동시에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240)에 대한 제3예를 들면, 상기 스위칭부(240)는 데이터 구동 IC (233) 내부에 구비되어 데이터 구동 IC (233)의 출력핀(235A~235D)들을 분할하는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에 개별적으로 선택신호(SEL_SIG)를 인가하여 제1 내지 제4블록(B1~B4)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개별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이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출력핀들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됨에 따라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과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과 데이터 라인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의 길이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과 데이터 라인들을 접속시키는 링크부와의 길이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 IC 들의 출력핀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되는 화상정보의 전기적 특성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액정 표시패널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다양한 해상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접속되지 않는 데이터 구동 IC 들의 출력핀들이 많아질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출력핀들 중에 두개나 세개의 블록들로 분할된 출력핀들을 디세이블시킴으로써,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액정 표시장치에 호환되도록 설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에 화상정보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IC와; 상기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단에 구비된 출력핀들과; 상기 출력핀들을 분할하는 복수의 블록들과;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키는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출력핀들 중에 인에이블된 블록들의 출력핀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 IC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4. 액정 표시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패널의 일측 장변과 데이터 PCB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 TCP 들과; 상기 데이터 TCP 들에 각각 실장된 데이터 구동 IC 들과; 상기 데이터 구동 IC 들의 출력단에 구비된 출력핀들과; 상기 출력핀들을 분할하는 복수의 블록들과;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키는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들로 분할된 출력핀들 중에 인에이블된 블록들의 출력핀들은 액정 표시패널의 데이터 라인들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터 PCB 의 외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 IC 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 IC 들의 출력핀들을 분할하는 복수의 블록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개별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 IC 들의 출력핀들을 분할하는 복수의 블록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동시에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하나의 데이터 구동 IC 내부에 구비되어 해당 데이터 구동 IC 의 출력핀들을 분할하는 복수의 블록들 중에 적어도 하나를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KR1020030042231A 2003-06-26 2003-06-26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KR10096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31A KR100960458B1 (ko) 2003-06-26 2003-06-26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31A KR100960458B1 (ko) 2003-06-26 2003-06-26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882A true KR20050001882A (ko) 2005-01-07
KR100960458B1 KR100960458B1 (ko) 2010-05-28

Family

ID=3721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231A KR100960458B1 (ko) 2003-06-26 2003-06-26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4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18B1 (ko) * 2008-04-08 2015-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9478181B2 (en) 2013-07-15 2016-10-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627B2 (ja) * 1990-11-01 2000-05-22 富士通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駆動回路
TW440742B (en) * 1997-03-03 2001-06-16 Toshiba Corp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0323826B1 (ko) * 2000-03-02 2002-02-19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
JP2002207452A (ja) * 2001-01-04 2002-07-26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18B1 (ko) * 2008-04-08 2015-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9478181B2 (en) 2013-07-15 2016-10-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458B1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856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2003380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sam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US2003011756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of line-on-glass type
KR20090103190A (ko) 표시장치
US20180088387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46332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f line on glass type
KR100831302B1 (ko)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 정보 단말기
KR101429907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0960458B1 (ko) 액정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
JPH06222741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回路
KR20050001248A (ko) 액정 표시장치
KR2002005722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방법
KR101140166B1 (ko) 구동 드라이버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91290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0426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65784A (ko) 시분할 컬러 액정표시장치
KR100228283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040050523A (ko) 액정표시소자
KR101679068B1 (ko) 액정표시장치
US68422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of line-on-glass type
KR2002005722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93180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22795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50859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부
KR101006441B1 (ko) 액정 표시판 조립체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