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290A - 옹벽형틀 - Google Patents

옹벽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290A
KR20050001290A KR1020030042893A KR20030042893A KR20050001290A KR 20050001290 A KR20050001290 A KR 20050001290A KR 1020030042893 A KR1020030042893 A KR 1020030042893A KR 20030042893 A KR20030042893 A KR 20030042893A KR 20050001290 A KR20050001290 A KR 20050001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late
frame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056B1 (ko
Inventor
이형훈
Original Assignee
이형훈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가부시키가이샤 가이에이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훈,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가부시키가이샤 가이에이테크노 filed Critical 이형훈
Priority to KR10-2003-004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0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1Transformable moulds allowing the change of shape of an initial moulded preform by preform deformation or the change of its size by moulding on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1Moulds, cores or mandrels specially adapted for mechanically working moulding surfaces during moulding or demoulding, e.g. smoothing by means of mould walls driven during moulding or of parts acting during de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에서 저판 및 벽체로 구분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옹벽 제품을 현장에 반입한 후, 상기 저판 및 벽체에 각각 기 형성된 앵커를 서로 기계적으로 조립하여 옹벽을 완성시켜 소정의 절개지 등에 설치함에 있어, 저판 또는 벽체의 두께, 폭, 길이 및 형성면의 각도 등과 같이 가변적인 형상, 수치에 기인한 개별적인 여러 형틀제작을 제작하지 않고 하나의 형틀로서 강판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고, 탈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탈형면이 수려하게 형성되는 옹벽용 형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형틀{Mold f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용 형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장에서 저판 및 벽체로 분할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옹벽제품을 현장에 반입한 후, 상기 저판 및 벽체에 각각 기 형성된 앵커를 서로 기계적으로 조립하여 옹벽을 완성시켜 소정의 절개지 등에 설치함에 있어, 저판 또는 벽체의 두께, 폭, 길이 및 형성면의 각도 등과 같이 가변적인 형상, 수치에 기인한 개별적인 여러 형틀제작 없이도 하나의 형틀로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고, 탈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탈형면이 수려하게 형성되는 옹벽용 형틀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일반적으로 절개지 사면 등에 있어 사면안정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구조물로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이 이용되고 있다. 도3은 특히 본 발명의 옹벽형틀에 의하여 저판 및 벽체가 일체화된 옹벽(10)을 도시한 것인데, 옹벽높이(H), 저판폭(L) 및 저판길이(D)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옹벽설계에 따라 동일한 옹벽이라 할지라도 옹벽높이, 저판폭, 저판길이 등이 항상 변경될 수 있으며, 저판의 단면형상도 항상 동일한 단면이 연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3의 d1, d3 및 d4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저판상부면의 형성 각도(G1,G2,G3)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벽체의 단면형상도 통상 상부로부터 하부로 내려가면서 두께(d2)가 감소하는 형태와 같이 다양한 단면형상이 변경되기 마련이다.
이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옹벽을 제작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직접 형틀을 제작하고, 형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의 시간경과 후 양생과정을 거쳐 형틀을 탈형하는 방식에 의하여 옹벽을 제작하는 경우,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는 형틀제작비용의 과다,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소요되는 품질 및 공기관리의 어려움 등에 의하여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제작공법이 기 소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도 공장에서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옹벽을 제작하려면 다양한 단면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형틀이 미리 공장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 운반 및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 직육면체 형상의 패널형식으로 옹벽벽체를 제작하고, 현장에서는 상기 옹벽벽체용 패널을 서로 끼움 식으로 설치하여 옹벽벽체를 형성시키되 특히 저판의 경우 분절 제작하여 일체화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화하여 제작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형틀을 제작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저판을 먼저 제작하고, 옹벽벽체만 프리캐스트화하여 시공하는 등 종래의 옹벽용 프리캐스트 공법은 프리캐스트 제작방식의 장점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나아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옹벽을 제작하는 경우라도 옹벽높이가 커지는 경우 이를 일체로 제작하여 현장에 반입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일체화시키는 것은 특별한 수단이 없는 한 매우 어렵기 때문에 높이가 큰 경우 옹벽을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 설치, 운반 및 시공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웠다. 즉, 옹벽벽체 및 저판과 같이 분리하여 제작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옹벽벽체와 저판을 현장에서 서로 일체화 시키는 경우에 있어 연결부에서의 구조적 안전성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제작 및 시공에 있어 현장에서 공장 제작된 옹벽 세그먼트(저판 및 벽체)를 간단히 결합시켜 옹벽을 설치할 수 있어 높이가 큰 옹벽이라 할지라도 옹벽시공에 있어 품질관리, 공기관리 및 시공관리가 용이한 옹벽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틀의 부품교체, 각도조정에 의해 하나의 형틀로도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옹벽용 세그멘트(저판, 벽체)를 제작할 수 있는 옹벽 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용 세그먼트를 현장에서 기계적인 볼트이음으로 연결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상태로 옹벽을 설치할 수 있는 옹벽용 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도1b,도1c 및 도1d는 본 발명의 저판용 옹벽형틀에 의해 제작된 다양한 형상의 저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2a,도2b,도2c 및 도2d는 본 발명의 벽체용 옹벽형틀에 의해 제작된 다양한 형상의 벽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저판 및 벽체용 옹벽형틀에 의하여 제작된 저판 및 벽체를 앵커를 이용하여 일체화된 옹벽을 그 치수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저판용 옹벽벽체의 단면도 및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측판유닛 중 제1측판유닛의 부분상세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6a, 도6b 및 6c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의 조립상세도, 각도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1경사프레임과 굴곡연결부(230)에 형성된 탄성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측판유닛 중 제2측판유닛의 부분상세단면도 및 상세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측판유닛에 형성된 제2측판유닛 신축장치의 설치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 도10b 및 도10c는 본 발명의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처판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2a 및 도12b는 본 발명의 조정판용가대의 단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2c 및 도12d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카장착장치가 형성된 바닥판 및 앵커장착장치의 설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저판용 옹벽벽체의 단면도로서, 저판죠인트벽체부의 폭의 변경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4a, 도14b 및 도14c는 본 발명의 벽체용 옹벽형틀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5a, 도15b 및 도15c는 본 발명의 벽체용 옹벽형틀의 형틀베이스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 및 도16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벽체용 옹벽형틀의 벽체죠인트부유닛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옹벽전단키형성부재의 설치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형틀베이스 200:측판유닛
300:처판유닛 400:프레임조립체
500:조정판용가대 600,900:앵카장착장치
700:각도조절장치 800:벽체용 옹벽형틀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옹벽용 세그먼트를 2개로 구분하여 제작한다. 즉 저판 및 벽체로 구분하여 2개의 옹벽형틀을 제공한다.
각각의 옹벽형틀은 저판 및 벽체의 다양한 단면형상 및 크기를 간단한 부품의 각도조정, 길이조정 및 부품교체를 통해 수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이에 각 부품은 탈착이 용이하고 다양한 크기의 부재로 교체될 수 있는 조립체로 제작된다.
도1a는 본 발명의 저판용 옹벽형틀로서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단면치수를 가지는 저판(10)의 단면을 중복되도록 도시한 것으로서 중복되는 다양한 선들의 수만 큼 다양한 크기 및 형상단면을 가지는 저판이 하나의 저판용 옹벽형틀에 의해 제작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1b 내지 도1d는 다양한 치수 단면을 가지면서 현장의 다양한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에 대응할 수 있는 저판 중 3개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벽체용 옹벽형틀로서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단면치수를 가지면서 현장의 다양한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에 대응할 수 있는 벽체의 단면을 중복되도록 도시한 것이며, 도2b 내지 도2d는 다양한 치수 단면을 가지는 벽체 중 3개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다양한 치수를 가지는 저판 및 벽체 중 각각 하나를 선택하여 일체화 시킨 옹벽을 도시한 것이 도3이다. 즉, 저판 세그먼트(10)와 벽체 세그먼트(20)는 블록 아웃된 연결부 내부에 각각 형성된 앵커(610,930)를 기계적으로 체결(커플러:931)한 후 상기 블록 아웃부를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로 마감함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옹벽을 현장에서 완성시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점선으로 표시된 저판 및 벽체부분은 본 발명의 옹벽형틀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는형상을 표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옹벽형틀의 최선의 실시예를 저판용 및 벽체용 옹벽형틀로 구분하여 도3 내지 도17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저판용 옹벽형틀은
측판유닛이동수단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측판유닛이동수단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처판유닛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형틀베이스(100);
저판이 상하 뒤집어 놓은 상태로 제작된 후 탈형되도록 전체 형상이 Y자로 형성되고 저판벽체죠인트부가 상기 형틀베이스 상부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형틀베이스로부터 탈착이 가능도록 설치된 측판유닛(200);
상기 형틀베이스의 처판유닛이동수단에 하단부가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측판유닛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 처판유닛(300);
상기 측판유닛을 지지하면서 하단부가 형틀베이스의 상기 측판유닛이동수단과 연결된 제1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제1프레임조립체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측판유닛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조립체;를 포함하며 형틀베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조립체(400);
상기 저판벽체죠인트부의 내부에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정판용가대(500); 및
상기 조정판용가대 상부면에 형성되어 저판벽체에 앵커(61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장착장치(600);를 포함한다.
도4a 및 도4b는 저판을 제작하기 위한 저판용 옹벽형틀의 단면도 및 우측면도로서, 저판을 제작하기 위한 형틀베이스(100)에 설치되는 측판유닛(200), 처판유닛(300), 프레임조립체(400), 조정판용가대(500) 및 앵커장착장치(6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형틀베이스(100)는 전체가 가로(저판의 폭 방향으로서 도3의 D 로 표시된 방향)가 긴 장방형 틀로서, ㄷ형강 및 ㄴ형강 등을 이용하여 볼트등과 같은 연결구로서 그 형성높이 및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형강분절체가 조립되어 필요한 경우 분절체의 추가 및 분리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4a 및 도4b와 같이 그 우측 상부면에는 I형 레일로서 저판의 폭 방향으로(도3의 D방향) 일정길이를 가지며 저판의 길이(도3의 L)에 의하여 간격이 결정되는 측판이동부재(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 및 우측 하부면에는 I형 레일로서 저판의 길이방향으로(도3의 L방향) 길이가 결정되며, 저판의 폭 방향으로(도3의 D방향)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좌, 우측에 2개씩 형성된 처판이동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판이동부재(110)는 후술되는 제1측판유닛(210)이 슬라이딩(Sliding) 되는 유도로(Guide Rail) 역할을 하고, 상기 처판이동부재(120)는 후술되는 각 측판유닛(300)이 슬라이딩(Sliding) 되는 유도로(Guide Rail) 역할을 한다.
형틀베이스(100)의 상부면 중앙에는 전체적으로 옹벽의 저판을 거꾸로 세워 놓은 형상인 Y자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수직프레임부(211a, 221a) 및 경사프레임부(212a,222a)로 구성된 제1측판유닛(210) 및 제2측판유닛(220)을 포함한 측판유닛(200)이 형틀베이스(100)에 탈착(볼트 등을 이용하여 분리가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211a, 221a)에 의하여 형성되는 저판벽체죠인트부(230) 사이에는 저판의 길이방향(도3의 L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앵커장착장치(600)가 조정판용가대(500) 위에 형성된다.
또한 형틀베이스(100)의 상부면 좌, 우측에 전체적으로 장방형 프레임 조립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형틀베이스의 측판이동부재(110)에 연결되어 저판의 폭방향(도3의 D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프레임조립체(410) 및 제2프레임조립체(420)가 형틀베이스에 탈착(볼트 등을 이용하여 분리가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조립체(400)가 설치되며,
형틀베이스(100)의 전면 및 후면(측판유닛을 사이에 두고)에는 도4b와 같이 전체적으로 장방형 틀로서 형성되며, 형틀베이스 하부면에 형성된 처판이동부재(120)에 연결되어, 저판의 길이방향(도3의 L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처판유닛(300)이 설치된다.
상기 측판유닛(200)은 도3의 L형 옹벽을 구성하는 저판베이스(11a,11b,11c) 및 저판벽체(12)를 포함하는 저판(10)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저판(10)은 도3과 같이 양 저판베이스(11a,11b,11c) 및 저판베이스 상부면 위로 돌출된 저판벽체(12)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역 Y자로 형성되어있고, 다양한 두께(h1,h2,h3)를 가지며, 상부면의 형성각도(G1,G2,G3) 역시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측판유닛(200)은 추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저판이 제작되면 탈형 후 인양장치로 인양하기 용이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Y자 형상(저판의 원래형상인 역 Y자 형상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판벽체(12)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프레임부(211a, 221a) 및 양 저판베이스(11)를 형성하기 위해 경사프레임부(212a, 222a)로 구성되는 제1측판유닛(210) 및 제2측판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프레임부(212a, 222a)는 도4a와 같이 상하로 각도 조절될 수 있어 도3의 저판베이스 상부면(11a,11b)의 다양한 형성각도(G1, G3)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부(211a)는 후술되는 제1프레임조립체(410)의 이동(슬라이딩)에 의하여 그 폭이 변경될 수 있어 다양한 저판벽체의 폭(도3의 d2)에 대응할 수 있다.
도5는 상기 측판유닛(200) 중 제1측판유닛(210)의 부분상세단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측판유닛(210)은 제1수직프레임(211a), 제1수직프레임 상부에서 오른쪽으로 경사져 형성된 제1경사프레임(212a), 제1수직프레임(211a)과 제1경사프레임부(212a)의 상부면 및 굴곡연결부(230)를 구성하는 탄성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프레임(211a) 우측 측면에서는 후술되는 제1프레임조립체(410)가 볼트, 용접 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경사프레임과 제1프레임조립체 사이에는 각도조절장치(700)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에는 제1경사프레임의 상하위치결정장치(213)가 설치되어 있다.
제1수직프레임부(211a)는 저판벽체 형성을 위해 제2수직프레임(221a)과 함께저판벽체죠인트부(23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1프레임조립체(410)가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제1프레임조립체(410) 이동 시 제1수직프레임(211a)을 포함한 제1측판유닛(210)도 함께 이동된다. 그 중간부에는 진동기가 설치되어 있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 진동 다짐할 수 있게 된다.
제1경사프레임은(212a) 제1수직프레임 상단 오른쪽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제2경사프레임부(222a)와 함께 저판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굴곡연결부(230)를 축으로 하여 도3과 같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는 저판 상부면(11a)에 따라 각도조절장치(70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특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도6a는 각도조절장치(700)만의 조립상세도이며, 도6b 및 6c는 각도조절장치(700)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각도조절장치(700)는 제1프레임조립체(410)의 바깥쪽 상부면에 형성된 하부링크브라켓(710); 제1경사프레임의 바깥쪽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링크브라켓(720); 상기 하부링크브라켓 및 상부링크브라켓에 한쪽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730a,730b); 상기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의 타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각너트(740a,740b); 상기 각너트를 관통하여 상부링크브라켓 및 하부링크브라켓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표면나사산이 형성된 각레지(750);를 포함하며,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부링크브라킷(710)은 도5와 같이 제1프레임조립체(410) 바깥쪽 상부면 중간에 설치되며, 하부링크부재(730b) 2개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하부링크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도6a와 같이 링크부재연결용 구멍이 형성된 상부브라켓판(711a)이 상부면에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연결부재(핀 등)삽입구멍이 형성된 하부연결판(711b)이 형성된 상부브라킷판(711); 및 상기 상부브라킷판(711)의 하부연결판(711b)의 연결부재삽입구멍과 서로 일치하도록 연결부재 삽입구멍이 형성된 상부연결판(712a)이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판(712b)으로 구성되는 하부브라킷판(71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하부연결판(711b.712a)은 핀 등과 같은 연결부재(713)로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부링크브라킷(720)은 도5와 같이 제1경사프레임(410) 바깥쪽 하부면 중간에 하부링크브라킷(710)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부링크부재(730a) 2개의 상단부가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부링크부재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하부링크부재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형성된다.
각레지(750)는 상부링크부재(730a)의 하단부 및 하부링크부재(730b)의 상단부가 연결된 각너트(74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바 형상의 부재로서 외부표면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좌레지(750a) 와 우레지(750b)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좌레지(750a)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우레지(750b)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각레지(750)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부표면에 형성된 나사산도 함께 회전되고, 상기 나사산에 물려있는 각너트(740)는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각레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예컨대 좌레지(750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각너트(740a)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좌레지에 연결된 우레지(750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우측 각너트(740b)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각너트에는 상부링크부재(730a)의 하단부 및 하부링크부재(730b)의 상단부가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각레지의 회전에 따라 각너트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각너트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도 함께 회동하게 되는데 상부링크부재 및 하부링크부재가 상하로 접어지면 도4a와 같이 제1경사프레임(210, 점선표시)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링크부재 및 하부링크부재가 상하로 펴지면 제1경사프레임(210,점선표시)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6b는 최대로 상, 하부링크부재(730a,730b)가 상하로 접어진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6c는 최대로 상, 하부링크부재(730a,730b)가 상하로 펴진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1경사프레임(212a)의 각도 고정은 도4a와 같이 제1경사프레임 하부면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판으로 형성된 상하위치결정수단(21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하위치결정수단(213)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제1프레임조립체의 상부면에는 핀 등과 같은 고정구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브라킷이 설치되어 있어 제1경사프레임이 특정 위치로 고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하위치결정수단의 구멍과 브라킷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핀을 설치하면 제1경사프레임이 핀에 의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보조적으로 제1경사프레임의 단부에는 후크를 설치하여 제1경사프레임부의 상, 하 이동시 후크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보다 적은 힘으로 제1경사프레임의 상하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7은 탄성판(24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제1수직프레임 및 제1경사프레임과 굴곡연결부(230)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탄성판(240)은 제1수직프레임(211a) 및 제1경사프레임(212a)의 상부면 및 굴곡연결부을 거쳐 형성된 강판으로서 저판의 상부면(11a)에 직접 접하는 부위로서 이음매 없이 형성되어 저판의 상부면이 보다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경사프레임이 상, 하 이동 시 굴곡연결부(230)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핀을 이용한 힌지절점으로 하는 경우 제1경사프레임의 상, 하이동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굴곡연결부에 있어 힌지절점(돌출 형성)의 존재로 저판의 상부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지 않을 소지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굴곡연결부를 강판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1경사프레임이 상, 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굴곡연결부에 의한 저판의 상부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8a 및 도8b는 상기 측판유닛(200) 중 제2측판유닛(220)의 부분상세단면도 및 상세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측판유닛(220)은 제2수직프레임(221a), 제2수직프레임 상부에서 오른쪽으로 경사져 형성된 제2경사프레임(222a), 제2수직프레임과 제2경사프레임의 상부면 및 굴곡연결부(230)를 구성하는 탄성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수직프레임(221a) 좌측 측면에서는 후술되는 제2프레임조립체(420)가 볼트, 용접 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경사프레임과 제2프레임조립체 사이에는 각도조절장치(700)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에는 제2경사프레임의 상하위치결정장치(213)가 설치되어 있다.
제2수직프레임(221a)은 저판벽체(12)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수직프레임(211a)과 함께 저판벽체죠인트부(230)를 형성한다.
상단부 및 하단부가 제2프레임조립체(420)에 의해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중간부에는 진동기가 설치되어 있어 콘크리트가 타설 되는 경우 진동 다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수직프레임(221a)의 하부 및 제2프레임조립체(420) 우측 측면 하부 사이에는 제2측판유닛신축장치(250)가 설치되어 있어 제2수직프레임(221a)의 하부가 저판의 폭방향(도3의 D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하여 저판(10)의 탈형을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도9는 제2측판유닛 신축장치(250)의 설치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2측판유닛 신축장치(250)는 제2수직프레임(221a)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부재(251); 제2수직프레임(221a)의 하부프레임에 저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지지부재(252)에 의하여 지지되며 외부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위치에 대응한 각너트(255)가 형성된 각레지(253); 상기 각너트와 고정부재 사이에 양 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신축부재(254);를 포함한다.
도9를 기준으로 그 기능을 살펴보면, 상기 2개 설치된 고정부재(251)를 기준으로 5개로 서로 연결된 (253a,253b,253c,253d,253e) 각레지(253)는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각각의 각레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가장 좌측의첫 번째 각레지(253a)를 회전시키면 두 번째 각레지(253b)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세 번째 각레지(253d)에 의해, 네 번째 각레지(253d) 및 다섯번째 각레지(253d)의 회전방향이 첫 번째 각레지(253a) 및 두 번째 각레지(253b)의 회전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즉, 첫 번째 각레지를 회전시키면 첫번째 각레지와 두 번째 각레지에 설치된 각너트의 이동방향과 네 번째 각레지와 다섯 번째 각레지에 설치된 각너트의 이동방향은 일치하게 된다. 이에 첫 번째 각레지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너트(255)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각레지 외부표면을 이동하게 된다. 이에 각너트에 각 한쪽단부가 연결된 신축부재(254)는 각너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 서로 겹치게 되고 이로서 타 단부가 연결된 고정부재(251)를 제2수직프레임(221a) 쪽으로 밀게된다. 만약 첫 번째 각레지(253a)를 반대로 회전하면 고정부재(251)를 제2프레임조립체(420)쪽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즉, 각레지의 회전에 의하여 제2수직프레임(221a)의 신축작용을 유발시키게 되고, 이러한 신축작용은 저판(10)의 탈형을 용이하게 한다.
제2경사프레임(222a)은 도8a와 같이 제2수직프레임 상단 왼쪽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제1경사프레임(212a)과 함께 저판베이스(11)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굴곡연결부(230)를 기준으로 도3과 같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는 저판 상부면(11a)에 따라 각도조절장치(70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특정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각도조절장치(700)는 도8a 및 도8b와 같이 제2프레임조립체(420)의 바깥쪽측면 중간에 형성된 받침부재(760) 위에 형성된 하부링크브라켓(710); 제2경사프레임(222a) 하부면 중간에 형성된 상부링크브라켓(720); 상기 하부링크브라켓 및 상부링크브라켓에 상단부 및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730a,730b); 상기 상부 및 하부 링크부재의 타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각너트(740a,740b); 상기 각너트를 관통하여 상부링크브라켓 및 하부링크브라켓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표면나사산이 형성된 각레지(750);를 포함한다.
하부링크브라킷(710)은 도8a 및 도8b와 같이 제2프레임조립체(420) 바깥쪽 측면 중간에 설치된 받침부재(760) 위에 설치되며, 하부링크부재(730b) 2개의 하단부가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하부링크부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 구성은 상술한 제1경사프레임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부링크브라킷(720)은 도8a 및 도8b와 같이 제2경사프레임(420) 바깥쪽 하부면 중간에 하부링크브라킷(710)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부링크부재(730a) 2개의 상단부가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상부링크부재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 구성은 상술한 제1경사프레임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각레지(750)는 상부링크부재(730a)의 하단부 및 하부링크부재(730b)의 상단부가 연결된 각너트(740)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바 형상의 부재로서, 외부표면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좌레지(750a) 와 우레지(750b)로 구분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좌레지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우레지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각레지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부표면에 형성된 나사산도 함께 회전되고, 상기 나사산에 물려있는 각너트(740a,740b)는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각레지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예컨대 우레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측 각너트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좌레지에 연결된 좌레지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좌측 각너트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각너트에는 상부링크부재(730a)의 하단부 및 하부링크부재(730b)의 하단부가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각레지의 회전에 따라 각너트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각너트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도 함께 회동하게 되는데 도8a와 같이 상부링크부재 및 하부링크부재가 상하로 접어지면 제2경사프레임(220, 점선표시)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링크부재 및 하부링크부재가 상하로 펴지면 제2경사프레임(220,점선표시)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경사프레임(220)의 각도 고정은 제2경사프레임 하부면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판으로 형성된 상하위치결정수단(21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하위치결정수단(213)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제2프레임조립체(420)의 상부면에는 핀 등과 같은 고정구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브라킷이 설치되어 있어 제2경사프레임이 특정 위치로 고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하위치결정수단의 구멍과 브라킷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핀을 설치하면 제2경사프레임이 핀에 의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보조적으로 제2경사프레임의 단부에는 후크를 설치하여 제2경사프레임의 상, 하 이동시후크에 와이어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보다 적은 힘으로 제2경사프레임을 조절할 수 있다.
탄성판(240)은 제2수직프레임(221a) 및 제2경사프레임(222a)의 상부면 및 굴곡연결부(230)를 거쳐 형성된 강판으로서 저판의 상부면(11b)에 직접 접하는 부위로서 이음매 없이 형성되어 저판의 상부면이 보다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2경사프레임(222a)이 상, 하 이동 시 굴곡연결부(230)를 회동이 가능하도록 핀을 이용한 힌지절점으로 설계하는 경우 제1경사프레임부의 상, 하이동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굴곡연결부에 있어 힌지절점의 존재로 저판의 상부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지 않을 소지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굴곡연결부를 강판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1경사프레임부가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굴곡연결부에 의한 저판의 상부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 제2측판유닛(220)의 탄성판(240)의 경우 굴곡연결부(230)는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며 제2프레임조립체(420)에 연결부재로 직접 고정되어 있다. 이로서 도3의 저판 상부면(11c)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측판유닛 및 제2측판유닛 탄성판(240)에는 도4a와 같이 탈착가능한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214)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3의 저판베이스 높이(h1)에 대응하여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저판베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10a, 도10b 및 도10c는 상기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260)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 측면도 도10c가 도4b에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260)로 표시되어 있다.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관 형상으로 측판유닛의 탄성판(240) 상부면에 저판길이방향(도3의 L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0c와 같이 측판유닛의 경사프레임부(212a,222a)의 경사면에 맞도록 한쪽 측면이 다른 한쪽 측면보다 길게 형성되며, 탄성판 상부면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볼트(261)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제1경사프레임 및 제2경사프레임의 상부면을 따라 상, 하 경사져 이동함으로서 저판베이스의 높이(h1,h2)를 조정할 수 있고, 도10a와 같이 h1의 높이가 다른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를 교체하여 설치하는 경우 도3의 저판베이스의 높이(h1)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경사프레임 및 제2경사프레임의 상부면에 저판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일직선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도10a 및 도10b와 같이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260)의 양 단부 상부면에 중앙에 눈금이 형성된 눈금판(262)과 상기 눈금판 위에 나사볼트에 의하여 지지되며 나사볼트의 상부면에 고정된 제형눈금판(263)으로 구성되는 위치결정장치(26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위치결정장치(264)에 있어서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260)가 일직선으로 설치되도록 눈금이 형성된 눈금판(262)을 미리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260)의 양 단부 상부면에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눈금판의 눈금과 제형눈금판(263)의 꼭지점(C)이 일직선이 되도록 하면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260)는 제1경사프레임 및 제2경사프레임의 탄성판(240) 상부면에서 저판길이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1d의 저판베이스 하부 면에는 통상 제형 또는 사각형상의 전단키(13)가 형성되어,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저판의 활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단키(13)를 저판에 형성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처판유닛(310) 또는 처판유닛의 높이조절부재(340)에 의하여 형성된 저판베이스 상부면과 하부면(D)이 일치하며, 전면과 후면은 후술되는 처판유닛(300)의 수직틀부재(310) 또는 처판유닛의 높이조절부재(34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볼트 등과 같은 연결구로 연결되는 옹벽전단키형성부재(270)를 도17과 같이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옹벽전단키형성부재(270)는 수직판(270a,270b)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하부 양측으로는 플랜지(270a,270b)가 돌출 형성되어 전단키용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관 아래를 거쳐 솟아오르지 않도록 하며, 처판유닛 사이에 저판의 길이방향(도3의 L방향)으로 형성되며 전, 후면은 폐쇄된 마구리면이 형성도록 한다. 즉 상하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옹벽전단키형성부재는 카트리지 방식으로 설치, 해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처판유닛(300)은 도4b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L자 형상으로서 측판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전면(A) 및 후면(B)에 각각 설치되며, 처판유닛(300)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후 탈형을 위하여 형틀베이스의 처판유닛이동수단(120)에 연결되어 측판유닛을 사이에 두고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저판(10)의 전면(A) 및 후면(B)용 형틀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처판유닛은 장방형의 수직틀부재(310) 및 상기 수직틀부재 하부에 연결부재(320)로 연결되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롤러수용부재(330)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도4b와 같이 상기 롤러수용부재가 형틀베이스의 처판유닛이동수단(120)인 I형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롤러수용부재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틀부재로 이루이전 처판유닛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11a는 처판유닛의 롤러수용부재(330)가 수직연결부재(320)에 의하여 좌, 우 하단부에 설치된 수직틀부재(310)의 전면(A)을 도시한 것이고, 도11b는 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롤러수용부재(330)는 수직틀부재에 직각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며 롤러수용부재에는 각각 6개의 롤러(331)가 수직틀부재를 구성하는 I형 레일(33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I형 레일(332)은 보강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I형 레일과 보강부재는 전체적으로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3의 저판의 높이(h1+h2+h3)에 따라 상기 수직틀부재(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통상 수직틀부재의 기본높이를 정해놓은 상태에서, 높이를 크게 하려면 도4b와 같이 높이조절부재(340)를 수직틀부재(310)의 상부면에 볼트와 같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로서 저판의 높이도 자유롭게 조절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조립체(400)는 도4a 및 도4b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조립체로서 제1프레임조립체(410) 및 제2프레임조립체로 구분되며, 그 높이 등은 조립되는 프레임 분절체 수를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프레임조립체(410)는 도4a와 같이 제1측판유닛(210)의 제1수직프레임(211a)의 측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부면에는 형틀베이스(100)의 측판유닛이동수단(110)인 I형 레일에 대응한 롤러(411)가 저판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있어 상기 I형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은 저판콘크리트 타설, 양생된 후 양생된 저판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어 탈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부면에는 상술된 제1경사프레임(212a)과 상부면 사이에 상하위치결정장치(213) 및 각도조절장치(70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도조절장치가 상, 하로 이동하면서 제1경사프레임(212a)의 각도가 조정된다.
나아가 측판유닛이동수단(110)인 I형 레일에, 하부에 형성된 롤러(41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충격에 제1프레임조립체(410)가 측판유닛이동수단(110)인 I형 레일을 따라 순간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형틀베이스에 한쪽단부가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1프레임조립체(410) 하부면에 다수 형성된 꺽쇠(412)에 걸리는 클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꺽쇠(412)는 저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다. 이러한 한 꺽쇠는 처판유닛이동수단(120)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도4b와 같이 형틀베이스에 한쪽 단부가 고정되며, 타 단부는 처판유닛의 하단부에 형성된 꺽쇠(412)에 걸리는 클램프가 설치되며 이는 저판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조립체(420)는 도4a와 같이 제2측판유닛(220)의 제2수직프레임(221a)의 우측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되고, 하부면은 형틀베이스(100)에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부면에는 상술된 제2경사프레임(222a) 사이에 상하위치결정장치(2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도조절장치(700)가 좌측면에 설치된 받침부재와 제2경사프레임(222a)의 바깥쪽 하부면 중간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각도조절장치가 상, 하로 이동하면서 각도가 조정된다.
또한 도4a와 같이 우측면 하부와 제2수직프레임(221a) 사이에 상술된 제2측판유닛 신축장치(250)가 설치되어 있어 제2측판유닛의 신축작용을 통해 저판의 탈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제1프레임조립체(410) 및 제2프레임조립체(420)는 처판유닛(300)과의 고정을 위해 도4a와 같이, 처판유닛고정장치(430)가 상부전면에 소정의 간격을 다수 설치되며, 일종의 걸림쇠역할을 한다.
또한 제1프레임조립체(410)가 형틀베이스의 측판유닛이동수단(110)을 통해 도4a를 기준으로 좌, 우이동할 때, 저판벽체죠인트부(230)의 폭에 변경이 발생하므로, 도3의 저판벽체 폭(D2)의 변경에 대응이 가능하다.
상기 조정판용가대(500)는 도4a의 측판유닛(200)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저판벽체죠인트부(230) 사이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3의 저판벽체의 높이(h3) 및 옹벽벽체와의 연결을 위한 앵커장착기구(60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조정판용가대(500)는 도12a 및 도12b와 같이, 형틀베이스 중간 상부면에 형성되는 저판벽체죠인트부(230) 내부에서 저판 길이방향(도3의 L방향)으로 형성되며, 높이조절을 위한 높이조정판(520) 및 높이조정판 위에 형성된 바닥판(510)으로 구성된다. 높이조정판(520)의 적층 수에 따라 도3에서의 저판벽체의 높이(h3)가 조정될 수 있어 일종의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상기 높이조정판(520)은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다수의 수직부재(521)로 지지되는 상부판(5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510)은 다수의 수직부재(511)로 지지되며, 패킹홈이 형성된 상부판(5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510)에는 도12c와 같이 바닥판(510) 위에 배치된 복수의 블록아웃상자(530)와, 저판벽체 내부에 매설되는 앵커(610)를 적정위치에 장착하는 앵커장착기구(6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앵커장착지그(620)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아웃상자(530)는 크기가 다른 2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블록아웃상자의 대략 중앙에는 앵커장착지그(62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고정구멍을 가지고, 한쪽의 대형블록아웃상자(530a)는 저판길이방향으로 도12d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6개소 배치되고, 다른 쪽의 소형블록아웃상자(530b)는 저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소 배치되고, 각각의 블록아웃상자는 그 삽입고정구멍의 중심과 바닥판(510)의 관통구멍의 중심이 합치하도록 바닥판 위에 설치볼트(54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블록아웃상자의 배치 및 개수는 제조하는 옹벽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도면 중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앵커장착기구(600)는 도12c 및 도12d와 같이, 블록아웃상자(530)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앵커장착지그(620)와, 바닥판(510)의 하면에 지지된 조작축(630)과, 바닥판의 하면에 고정된 걸어맞춤편(6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앵커장착지그(620)는 상기 블록아웃상자(530)와 마찬가지로 크기가 다른 2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의 한쪽 끝에 앵커(610)의 수 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구멍이 내부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큰 지름의 플랜지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다른 쪽 끝에는 단차부를 거쳐 연속하는 원호형상의 홈이 두루 설치된 연결고정부(621)와 다각형상의 공구걸어맞춤부(62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630)은 블록아웃상자내에 장착된 앵커장착지그(620)를 적정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판(510)의 하면에 저판 길이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제1 및 제2수직프레임 측에 배치된 제1조작축(630a)에는 동일부에 배치된 앵커장착지그의 수에 대응한 6개소의 작은지름부(631)가 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2조작축(630b)에는 동일부에 배치된 앵커장착지그의 수에 대응한 2개소의 작은지름부(6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옹벽 콘크리트 타설 전에 앵커(610)의 장착 시에는 먼저 미리 앵커가 설치된 앵커장착지그(620)를 블록아웃상자(530)의 상면으로부터 그 삽입고정구멍에 삽입하여 각각의 앵커장착지그의 하단을 바닥판(510)의 하면으로 돌출시키고, 연결고정부(621)와 조작축(630)의 작은지름부(631)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다음에 조작축(630)의 한쪽 단부를 해머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두들겨 조작축 을 이동시키면 앵커장착지그(630)의 연결고정부의 한쪽에는 조작축(630)이 끼워 맞춰지고, 또한 다른 쪽에는 걸어맞춤편(640)이 맞닿아 모든 앵커(610)를 적정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저판의 형틀 이탈 시에는 조작축(530)의 다른쪽 단부를 해머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두들겨 후퇴시켜 조작축(630)의 작은지름부(631)가 앵커장착지그)의연결고정부(621)와 직교하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조작축(630)과 걸어맞춤편(640) 사이에서의 끼워 맞춤이 해제되므로, 저판은 앵커장착지그(620)를 부착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형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13은 특히 제1프레임조립체(410)를 좌측으로 슬라이딩 시켜 도4a와 비교하여 저판벽체죠인트부(230)의 폭을 줄인 상태에서, 형틀베이스(100)에 설치된 클램프의 한쪽 단부를 상기 제1프레임조립체(410) 하부에 설치된 꺽쇠(412)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로서 조정판용가대(500) 및 앵커장착장치(600, 블록아웃상자 및 앵커)도 그 크기 및 높이가 변경됨으로서, 다양한 저판제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체용 옹벽형틀(800)은 도14a, 도14b 및 도14c와 같이 옹벽 벽체의 폭(도3의 d2), 높이(도3의 h4) 및 길이(도3의 L)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옹벽형틀로서, 도2a에 도시된 다양한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형틀이다.
상기 벽체용 옹벽형틀(800)은
처판 및 측판연결용 브라킷이 측면에 돌출 형성된 형틀베이스(810);
하단부에 형성된 형틀베이스연결용 브라킷이 상기 처판연결용 브라킷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형틀베이스 위로 처판을 형성하는 처판유닛(820);
하단부에 형성된 형틀베이스연결용 브라킷이 상기 측판연결용 브라킷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형틀베이스 위로 측판을 형성하는 측판유닛(830);
상기 양 측판유닛을 가로질러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저판벽체에 형성된 앵커에 대응하여 옹벽벽체에 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장착장치(900)가 형성된 벽체죠인트부유닛(840); 및
상기 양 측판유닛을 가로질러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벽체죠인트부유닛과 대향하여 형성된 벽체천단유닛(8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형틀베이스(810)는 도15a, 도15b 및 도15c와 같이 전체가 가로(벽체의 높이 형성방향으로서 도3의 h4로 표시된 방향)가 긴 장방형 틀로서, ㄷ형강 및 ㄴ형강 등을 이용하여 볼트등과 같은 연결구로서 그 형성높이 및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분절체로 조립 제작되어 필요한 경우, 분절체의 추가 및 분리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좌, 우 측면에는 처판연결용 브라킷(811a)이 다수(도15b에는 4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처판연결용브라킷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측판스토퍼(812a)가 측면 중간에 형성(도15b에는 1개씩)되어, 처판유닛이 형틀베이스의 좌,우 측면에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처판스토퍼에 의하여 처판유닛의 회동을 한도 내로 방지할 수 있다.
전,후 측면에는 측판연결용 브라킷(811b)이 다수(도15b에는 10개씩)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연결용 브라킷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측판스토퍼(812b)가 측면 중간에 다수(도15b에는 2개씩) 형성되어, 측판유닛이 형틀베이스의 전,후 측면에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판스토퍼에 의하여 측판유닛의 회동을 한도 내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 후 측면에 형성된 측판유닛은 도14c와 같이 벽체탈형 시 회동하면서 벌어져 벽체가 벽체용 옹벽형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된다.
또한 형틀베이스 상부면의 좌측단부는 약간 솟음 처리되어 후술되는 벽체죠인트부유닛의 지지판(813)으로 기능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면에는 도14a와 같이 문양거푸집(814)을 형성시켜 벽체의 한쪽 면에 문양을 형성될 수 있도록 이때, 상기 문양거푸집의 단부는 후술되는 벽체천단유닛(850)에 연결되어 그 길이에 따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수직하게 도14a 및 도14b와 같이 벽체용 배수구멍을 형성시기 위한 배수구멍형성장치(815)가 다수(도14b에는 6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처판유닛(820)은 형틀베이스용 브라킷(821)이 하단부에 설치되어 형틀베이스의 처판용 브라킷(81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장방형 틀로서 형틀베이스의 좌,우 측면에 설치된다. 그 높이는 후술되는 측판유닛(83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처판유닛과 측판유닛은 결국 서로 직각으로 형성된다. 처판유닛이 형틀베이스에 어느 정도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회동의 제어를 위해 처판스토퍼(812a)가 설치된다.
상기 측판유닛(830)은 형틀베이스용 브라킷(831)이 하단부에 설치되어 형틀베이스의 측판용 브라킷(811b)에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된 장방형 틀로서 형틀베이스의 전, 후면에 설치된다. 그 높이는 상기 처판유닛(82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처판유닛과 측판유닛은 결국 서로 직각으로 형성된다. 측판유닛이 형틀베이스에 어느 정도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역시 그 회동의 제어를 위해 측판스토퍼(812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판유닛 상부면에는 전체적인 형상이 제형(사다리꼴 형상)으로형성된 측판높이조절부재(832)가 볼트와 같은 연결구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더 설치되어 도3과 같은 벽체(20)의 형상으로 벽체를 제작할 수 있으며, 벽체 높이(도3의 d2)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판유닛의 당초높이는 통상 확정된 상태로 제작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높이 및 형상을 가진 측판높이조절부재(832)를 적용하여 다양한 벽체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벽체의 상단부(도14a의 우측)는 상기 도2와 같이 천단부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천단부에 방음벽 하단부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형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측판유닛(830) 또는 측판높이조절부재(832)에 다양한 형상의 천단용측판유닛(833,834)을 추가로 볼트와 같은 연결구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측판유닛(830) 및/또는 측판높이조절부재(832)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속시켜, 추후 벽체콘크리트가 타설 될 때의 충격으로 측판유닛이 고정되지 않고 회동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측판고정부재(835)를 측판유닛(830) 및/또는 측판높이조절부재(832) 사이에 다수(도14b에는 3개) 설치할 수 있다.
이로서 형틀베이스 위에는 처판유닛 및 측판유닛이 서로 조합되어 사각틀을 현성하게 되며 상기 사각틀 안에 벽체죠인트부유닛(840) 및 상기 양 측판유닛을 가로질러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벽체죠인트부유닛과 대향하여 형성된 벽체천단유닛(850)이 설치되고, 상기 벽체죠인트부유닛(840), 벽체천단유닛(850) 및 측판유닛(830)이 실질적인 벽체거푸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벽체죠인트부유닛(840)은 저판벽체의 앵커정착장치(600)와 대응한 앵커를 벽체의 하부면에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16a 및 도16b와 같이, 양 측판에 맞닿아 탈착이 가능하도록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하여 설치된 측면플레이트(841); 측판플레이트와 직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앵커장착장치가 형성된 수직판(842); 및 수직판 하부면에 직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면플레이트(8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 및 하부면플레이트는 수직판이 양 측판사이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수직판에는 도12d에 대응하여 앵커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앵커(930)가 앵커장착지그에 의하여 설치된 6개의 대형블록아웃상자(91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소형블록아웃상자(920) 2개(도14a참조)가 설치된다. 상기 대형블록아웃상자(910)는 수직판 안쪽면 상부에 위치하고, 수직판 바깥쪽 면에 원형의 고정판(940a)에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하여 수직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벽체의 탈형 시 상기 연결구를 해체하여 앵커가 벽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형블록아웃상자(920)는 수직판 안쪽면 하부에 위치하고, 수직판 바깥쪽면에 원형의 고정판(940b)에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하여 수직판에 고정된다. 따라서 벽체의 탈형 시 상기 연결구를 해체하여 앵커가 벽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각 블록아웃상자의 경우 저판벽체죠인트부 설계응력에 따라 그 크기, 개수 및 형성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수직판 상부에는 반원형 손잡이를 형성시켜 수직판의 운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앵커(930)에는 커플러(931)가 형성되어 있어 저판벽체에 형성된 앵커(610)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그 연결된 상태의 L형 옹벽(10)을 도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벽체천단유닛(850)은 도14b와 같이, 벽체죠인트부유닛(840)과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양 측판유닛에 맞닿아 탈착이 가능하도록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하여 설치된 측면플레이트; 측판플레이트와 직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앵커장착장치가 형성된 수직판; 및 수직판 하부면에 직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하부면플레이트에는 문양거푸집의 단부가 연결되어 벽체천단유닛의 해체 및 설치에 의하여 문양거푸집이 같이 설치, 해체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상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저판벽체죠인트부와 벽체천단유닛 사이까지의 길이는 결국 도3의 h4의 길이와 동일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조립된 벽체용 옹벽형틀에 벽체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되면 측판 및 저판유닛, 측판고정부재, 벽체죠인트부유닛, 벽체천단유닛을 해체하여 벽체를 형틀로부터 탈형시킨다.
옹벽을 저판 및 벽체로 프리캐스트화하여 현장에서는 간단한 앵커의 기계적 연결에 의하여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한 부품교체 및 조립과 위치이동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 단면형상을 가지는 옹벽의 제작상의 다양성(저판 및 벽체의 폭,길이, 두께, 설치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에 대응되는 비대칭 구조체)을 수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으로 소요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인 옹벽제작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저판 및 저판벽체의 폭, 높이 및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작을 위한 형틀로서,
    측판유닛이동수단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측판유닛이동수단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처판유닛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형틀베이스; 저판이 상하 뒤집어 놓은 상태로 제작된 후 탈형되도록 전체 형상이 Y자로 형성되고 저판벽체죠인트부가 상기 형틀베이스 상부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형틀베이스로부터 탈착이 가능도록 설치된 측판유닛; 상기 형틀베이스의 처판유닛이동수단에 하단부가 연결구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측판유닛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 처판유닛; 상기 측판유닛을 지지하면서 하단부가 형틀베이스의 상기 측판유닛이동수단과 연결된 제1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제1프레임조립체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측판유닛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조립체;를 포함하며 형틀베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조립체; 상기 저판벽체죠인트부의 내부에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정판용가대; 및 상기 조정판용가대 상부면에 형성되어 저판벽체에 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장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형틀베이스, 처판유닛 및 프레임조립체는 분절체가 서로 결합된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이동수단은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저판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I형 레일로서, 프레임조립체의 하단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구에 의하여 부착된 롤러가 상기 I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함으로서, 제1프레임조립체의 탈형 및 저판벽체죠인트부의 폭 조정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판유닛이동수단은
    형틀베이스 하부면에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I형 레일이 보강부재에 의하여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롤러수용부재로서, 처판유닛의 하단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구에 의하여 부착된 롤러가 상기 I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함으로서 처판유닛의 탈형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은 서로 대향되어 설치된 제1측판유닛 및 제2측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판유닛은 제1프레임조립체의 안쪽 측면에 지지되는 저판벽체죠인트부를 형성하는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 상단부를 기준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가변적인 저판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하 이동되어 각도 조절되는 제1경사프레임;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 및 제1경사프레임의 상부면과 제1수직프레임과 제1경사프레임의 절곡연결부에 걸쳐 연속 형성된 탄성판;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판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1경사프레임이 상,하이동함으로서 저판 상부면이 치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은 서로 대향되어 설치된 제1측판유닛 및 제2측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판유닛은 제2프레임조립체의 안쪽 측면에 지지되는 저판벽체죠인트부를 형성하는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2수직프레임 상단부를 기준으로 경사져 형성되며 가변적인 저판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하 이동되어 각도 조절되는 제2경사프레임;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 및 제2경사프레임의 상부면과 제2수직프레임부와 제2경사프레임부의 절곡연결부에 걸쳐 연속 형성된 탄성판;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판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2경사프레임이 상,하 이동함으로서 저판상부면이 치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프레임 및 제2경사프레임 상부면을 따라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구에 의하여 설치되는 저판베이스높이조절부재가 더 설치되어 저판 폭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저판높이조절부재는 높이에 따라 교체할 수 있어 저판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프레임 및 제2경사프레임의 각도조절은
    제1 및 제2프레임조립체의 바깥쪽에 형성된 하부링크브라켓;
    제1 및 제2측판유닛의 바깥쪽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링크브라켓;
    상기 하부링크브라켓 및 상부링크브라켓에 한쪽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
    상기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의 타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각너트; 및
    상기 각너트를 관통하여 상부링크브라켓 및 하부링크브라켓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표면나사산이 형성된 각레지;
    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장치에 의하여, 상기 각레지의 회전에 의하여 각너트가 각레지의 표면나사산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각너트에 연결된 상부 및 하부링크부재가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링크부재에 연결된 상부링크브라켓이 상하 이동되면, 상부링크브라켓에 연결된 제1 및 제2경사프레임이 같이 상하 이동됨으로서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판유닛은 저판 및 저판벽체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기 위한 틀로서, 찰탁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재가 더 설치되어 저판의 형성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판유닛 또는 높이조절부재 사이에는 옹벽용 전단키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단부에 플랜지가 돌출 형성된 수직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처판유닛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옹벽전단키형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용가대는 높이조정판 및 높이조정판 위에 형성된 바닥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정판은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다수의 수직부재로 지지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은 다수의 수직부재로 지지되며, 패킹홈이 형성된 상부판으로 구성되며, 다수의 높이조정판을 상하로 연결시켜 높이가 조정됨으로서 저판벽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장착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조절판용가대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앵커장착지그에 의해 앵커가 중앙에 형성된 블록아웃상자를 포함하며, 저판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앵커가 콘크리트에 매입됨으로서 앵커가 저판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12. 제1항에 있어서, 저판벽체가 형성된 저판콘크리트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제2측판유닛의 저판벽체죠인트부 하단부와 제2프레임조립체 하단부 사이에 제2측판유닛에 길이방향으로 제2측판유닛 신축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신축장치는
    상기 저판벽체죠인트부 하단부에 설치된 고정부재;
    상기 제2프레임조립체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저판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고정부재에 대응한 위치에 각너트가 표면나사산에 형성된 각레지; 및
    상기 고정부재와 각너트 사이에 양 단부가 고정된 신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각레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신축부재가 저판 폭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의 저판벽체죠인트부의 외부 측면에 진동기가 더 설치되어 콘크리트타설 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판용 옹벽형틀.
  14. 옹벽 벽체의 폭, 높이 및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작을 위한 형틀로서,
    처판 및 측판연결용 브라킷이 측면에 돌출 형성된 형틀베이스;
    하단부에 형성된 형틀베이스연결용 브라킷이 상기 처판연결용 브라킷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형틀베이스 위로 처판을 형성하는 처판유닛;
    하단부에 형성된 형틀베이스연결용 브라킷이 상기 측판연결용 브라킷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형틀베이스 위로 측판을 형성하는 측판유닛;
    상기 양 측판유닛을 가로질러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저판벽체에 형성된 앵커에 대응하여 옹벽벽체에 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장착장치가 형성된 벽체죠인트부유닛; 및
    상기 양 측판유닛을 가로질러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벽체죠인트부유닛과 대향하여 형성된 벽체천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형틀베이스, 처판유닛, 측판유닛, 벽체죠인트부유닛 및 벽체천단유닛은 분절체가 서로 결합된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옹벽형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은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 가능한 측판높이조절부재가 더 형성됨으로서, 옹벽벽체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옹벽형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유닛 또는 처판높이조절부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질러 형성되는 측판고정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옹벽형틀.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죠인트부유닛은 양 측판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앵커장착장치가 형성된 수직틀; 상기 수직틀을 양 측판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양 측판에 연결시키는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틀을 형틀베이스 상부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하부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옹벽형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장착장치는 벽체죠인트부유닛 안쪽면에 탈착 가능하며 앵커장착지그에 의하여 앵커가 내부에 설치된 블록아웃상자; 및
    벽체죠인트부유닛 바깥면에 형성된 고정판;을 포함하며,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앵커가 콘크리트에 매입됨으로서 앵커가 옹벽벽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옹벽형틀.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천단유닛은 벽체죠인트부유닛 및 벽체두께, 경사 변화에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측판유닛에 맞닿아 탈착이 가능하도록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하여 설치된 측면플레이트;
    측판플레이트와 직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앵커장착장치가 형성된 수직판; 및
    수직판 하부면에 탈착이 가능한 문양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는 하부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옹벽형틀.
KR10-2003-0042893A 2003-06-28 2003-06-28 옹벽형틀 KR10052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93A KR100527056B1 (ko) 2003-06-28 2003-06-28 옹벽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93A KR100527056B1 (ko) 2003-06-28 2003-06-28 옹벽형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21U Division KR200335471Y1 (ko) 2003-09-05 2003-09-05 옹벽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290A true KR20050001290A (ko) 2005-01-06
KR100527056B1 KR100527056B1 (ko) 2005-11-09

Family

ID=3721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893A KR100527056B1 (ko) 2003-06-28 2003-06-28 옹벽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0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336B1 (ko) * 2008-07-31 2009-01-19 이형훈 블럭 제조용 유닛 거푸집
CN103538143A (zh) * 2013-11-06 2014-01-29 杭州宇航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预制梁板成型模具
KR101942191B1 (ko) * 2017-08-09 2019-01-29 씨제이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구조물 천단부 자동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멀티 금형 몰드
KR102206540B1 (ko) * 2019-08-20 2021-01-22 주식회사 대성피앤씨 경사면 형성이 가능한 옹벽 블럭용 몰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21B1 (ko) 2007-05-30 2008-09-03 정상택 벽체문양형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336B1 (ko) * 2008-07-31 2009-01-19 이형훈 블럭 제조용 유닛 거푸집
CN103538143A (zh) * 2013-11-06 2014-01-29 杭州宇航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预制梁板成型模具
KR101942191B1 (ko) * 2017-08-09 2019-01-29 씨제이인스트루먼트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구조물 천단부 자동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멀티 금형 몰드
KR102206540B1 (ko) * 2019-08-20 2021-01-22 주식회사 대성피앤씨 경사면 형성이 가능한 옹벽 블럭용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056B1 (ko)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447B1 (ko)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KR10181254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몰드
KR101765107B1 (ko)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427521B1 (ko) 콘크리트 용기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308596B1 (ko) 아치구조물 형성용 아치블록의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치구조물 형성용 블록 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119999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조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0527056B1 (ko) 옹벽형틀
JP2015218503A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KR20130008822A (ko) 긴장재의 프리텐션용 반력 거치대 일체형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KR200335471Y1 (ko) 옹벽형틀
JP2020111039A (ja) コンクリート成形物製造装置
KR102028945B1 (ko) 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바닥 마찰에 의해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슬라이딩 제작대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제조방법
JP200401764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型枠装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を用いた基礎工法
KR20180045562A (ko)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02429B1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305473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型枠
KR101899860B1 (ko)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0846831B1 (ko) 건축용 가설재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0767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제조용 복합형 콘크리트 몰드와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59406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530021B1 (ko) 블록제조용 형틀
JP4688350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製造用型枠
JP2004358876A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用の型枠装置
KR101859408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