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110A -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110A
KR20050001110A KR1020030042675A KR20030042675A KR20050001110A KR 20050001110 A KR20050001110 A KR 20050001110A KR 1020030042675 A KR1020030042675 A KR 1020030042675A KR 20030042675 A KR20030042675 A KR 20030042675A KR 20050001110 A KR20050001110 A KR 20050001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ylinder
unloading
control
cylind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1110A/ko
Publication of KR2005000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1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에서는 각 콘트롤 밸브의 체계적인 제어를 통해, 수평 실린더의 팽창 수준을 대폭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운반선의 사이즈가 대형인 악조건 하에서도, 보조 장비, 예컨대, 불도저, 프런트 로더 등과 같은 보조장비 추가 투입 없이도, 하역기의 하역 풋이 운반선의 적재함 내부 종단부까지 충분히 접근하여, 하역하기 곤란한 부근의 잔류 벌크를 손쉽게 정상 하역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구현되어, 보조장비의 활용도가 많이 제거되면, 하역기 관리자 측에서는 예컨대, 보조장비의 추가 투입으로 생기는 전체적인 하역시간 증가 및 하역 대기 회수가 증가하는 문제점, 하역기의 하역효율 저하에 따른 여러 가지 경제적 손실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 driving status of a cargo foot in a continuous type cargo equipment}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콘트롤 밸브의 체계적인 제어를 통해, 수평 실린더가 장착된 하역 풋의 길이 연장을 대폭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벌크 운반선의 사이즈가 대형인 악조건 하에서도, 충분히 연장된 하역 풋을 운반선의 종단까지 깊숙히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예컨대, 불도저, 프런트 로더 등과 같은 보조장비 없이도,벌크 운반선 적재함 벽면에 있는 잔류 벌크를 손쉽게 정상 하역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속식 하역기(100) 체제 하에서, 예컨대, 석탄과 같은 벌크를 실은 운반선(도시안됨)이 하역 부두에 도착하면, 하역 부두에 설치되어 있는 하역기(101)는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 풋(102)을 운반선의 내부로 인입시켜, 운반선 내에 선적되어 있는 벌크를 하역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하역 풋(102)의 수직 컨베이어 체인(103)은 하역용 버켓(104)을 통해 벌크를 취한 후 해당 벌크를 일련의 하역 통로를 통해 외부로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하역 풋(102)은 단지, 길이방향으로만 제한적으로 움직여, 벌크를 외부로 하역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기 때문에, 만약, 운반선의 규모가 대형인 경우, 하역 풋(102)는 운반선의 적재함 종단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피할 없게 되며, 결국, 벌크 운반선에 실려 있던 일부 벌크는 운반선의 외부로 정상 하역되지 못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역 풋(102)의 프로세스 진행 이후에, 예컨대, 불도저, 프런트 로더 등과 같은 보조장비를 운반선 내에 투입하고, 이를 통해, 운반선의 적재함에 잔류하는 일부 벌크를 추가로 하역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하역기 관리자 측에서는 보조장비의 추가 투입에 의해, 전체적인 하역시간, 하역 대기 회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초래되며 이 상황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하역기의 하역효율 저하에 따른 여러 가지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준비된 각 콘트롤 밸브의 체계적인 제어를 통해, 수평 실린더가 장착된 하역 풋의 길이 연장을 대폭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벌크 운반선의 사이즈가 대형인 악조건 하에서도, 충분히 연장된 하역 풋을 운반선의 종단까지 깊숙히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예컨대, 불도저, 프런트 로더 등과 같은 보조장비 없이도, 벌크 운반선 적재함 벽면에 있는 잔류 벌크를 손쉽게 정상 하역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식 하역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채용된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역 풋과 링크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수축 또는 신장되며, 하역 풋의 수직측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직 실린더와, 하역 풋과 링크된 상태로, 수직 실린더와 동기 되어, 수직 실린더의 변경된 길이를 보상하고, 하역 풋의 수평 길이를 제어하는 수평 실린더와, 수직 실린더 및 축압기 사이에 개재되며,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오프되어, 축압기 측으로부터 수직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2 콘트롤 밸브와, 미리 설정된 ECD 모드(Edge Coal Digging mode) 조건에서, 수평 실린더 및수직 실린더 측으로 공급 및 드레인 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및 제 3 콘트롤 밸브와, 제 1,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와 전기/전자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일련의 ECD 모드 하에서,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를 온 시킨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제 1 콘트롤 밸브를 온 시켜, 수직 실린더를 수축시킨 다음, 수평 실린더를 팽창시키고, 수평 실린더의 수평측 이동 폭을 증가시키는 밸브 콘트롤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 시스템은 상측 회전 휠(도시안됨) 및 하측 회전 휠(105), 그리고, 버켓(104)들을 구비한 상태로, 축압기(114,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됨)의 유체 공급 상태에 따라, 회전 및 엘리베이팅 되어, 운반선에 선적되어 있던 벌크를 실어 나르는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102)의 구동 환경 하에서 운용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102)의 구동 제어 시스템은 크게, 수평 실린더(106), 수직 실린더(107), 제 1 내지 제 3 콘트롤 밸브(115,116,117), 밸브 콘트롤러(113), 리미트 스위치(122)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평 실린더(106)는 하역 풋(102)과 링크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수축 또는 신장되어, 하역 풋(102)의 수직측 움직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직 실린더(107)는 하역 풋(102)과 링크된 상태로, 수직 실린더(106)와 동기 되어,수직 실린더(106)의 변경된 길이를 보상하고, 하역 풋(102)의 수평 길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콘트롤 밸브(116)는 수직 실린더(107) 및 축압기(114)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오프되며, 축압기(114) 측으로부터 수직 실린더(107) 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 1 및 제 3 콘트롤 밸브(115,117)은 미리 설정된 ECD 모드 조건에서, 수평 실린더(106) 및 수직 실린더(107) 측으로 공급 및 드레인 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아울러, 밸브 콘트롤러(113)는 제 1,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115,116,117)와 전기/전자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일련의 ECD 모드 하에서,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116,117)를 온 시킨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제 1 콘트롤 밸브(115)를 온 시켜, 수직 실린더(107)를 수축시킨 다음, 수평 실린더(106)를 팽창시키고, 수평 실린더(106)의 수평측 이동 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통형 셸 구조물(110)의 힌지부(111)와, 하부 측 프레임의 힌지부(112)는 수직 실린더(107)의 양 끝단과 핀 연결된다.
이때, 하측 회전 휠(105)과 링킹된 박스 프레임(108)의 내부에는 수평 실린더(106)가 설치된다. 이 경우, 수평 실린더(106)의 로드측 끝단(109)은 핀에 의해 하역 풋(102)의 일부와 연결되며, 이 핀 연결부에 의해 하역 풋(102)은 전반부와후반부로 분리된다.
여기서, 수직 실린더(107)와 수평 실린더(106)는 유압유 공급관(118)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밸브 콘트롤러(113)는 미리 설정된 각종 모드에 따라 각 콘트롤 밸브(115,116,117)를 전기/전자적으로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리미트 스위치(122)는 수직 실린더(107)의 최초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며 스위치 온/오프 조건에 따라 각 콘트롤 밸브(115,116,117)와 전기/전자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술한 제 1 콘트롤 밸브(115)는 밸브 콘트롤러(113)에 의해 별도로 설정된 ECD모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콘트롤 밸브이며, 제 2 콘트롤 밸브(116)는 리미트 스위치(122)가 스위치 오프될 때, 축압기(114)에 저장된 유압유를 수직 실린더(117)의 로드 측으로 이송하게 하는 콘트롤 밸브이며, 제 3 콘트롤 밸브는 ECD 모드 조건에서 수직 실린더(107)에서 공급되는 유압유가 수평실린더(106)로 연결된 유압유 공급관(118)을 제외한 다른 공급관으로 드레인 되는 것을 방지하는 콘트롤 밸브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제어 시스템의 하역 풋 구동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정상적인 조건에서, 하역기(100)의 하역 풋(102)이 움직이게 되면,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수직 실린더(107)가 수축하게 되고, 그 여파로, 수직 실린더(107)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122)는 스위치 오프되며, 이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콘트롤 밸브(116)는 스위치 온 된다. 이러한 동작이 진행되면, 수직 실린더(107)의 헤드측에 공급 되는 유압유는 자연스럽게 차단되고, 축압기(114)에 저장된 유압유는 수직 실린더(107)의 로드를 가압하게 되며, 그 결과, 수직 실린더(107)는 수축하게 되고, 이와 동기되는 수평실린더(106)는 팽창하게 된다.
반면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자중에 의해 수직 실린더(107)는 팽창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그 여파로, 위치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122)는 스위치 온이 된다. 그러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제 2 콘트롤밸브(116)는 스위치 오프되고, 축압기에서 공급되는 유압유는 차단되며, 이와 동시에, 수직실린더(107)의 헤드측에는 유압유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기능은 외력에 의해 발생된 충격으로부터 연속식 하역기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는 외력 흡수 기능이다.
한편, 이 상황에서, 만약, 벌크 운반선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 운반선의 작업자는 "적재함의 크기가 커짐으로 인해 일정한 길이의 하역 풋을 갖는 연속식 하역기로는 적재함의 종단부까지 접근이 허용되지 않음"을 인식하고, 밸브 콘트롤러(113)를 조작하여, 정상모드에서 ECD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처럼, 작업자에 의해 일련의 ECD 모드가 설정되면, 밸브 콘트롤러(113)는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116,117)를 온 시킨 후, 순차적 제어를 통해 제 1 콘트롤 밸브(115)를 스위치 온 시켜서, 수직 실린더(107)를 수축시킨다. 이 경우, 유압유 공급관(118)을 통해 전달된 유압유는 수평 실린더(106)를 팽창시키게 되며, 그 여파로, 박스 프레임(108) 내부에서 수평 실린더(106)의 로드 측과 핀 연결되어 있던 하역 풋(102)의 길이는 자연스럽게 연장되게 된다.
이처럼, 하역기의 하역 풋(102)이 연장되고, 그 정도가 수평 실린더(106)의 허용 스트로크에 도달하면,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116,117)는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 비교하여, 제 1 콘트롤 밸브(115)만 중립상태로 변환된다.
즉, 각 밸브들은 안정적인 중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수직 실린더(107) 및 수평 실린더(106)는 외부로부터 완전히 고립되는 중립적 역학구조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 실린더(107) 및 수평 실린더(106)의 고립상황에서, 수직 컨베이어 체인(103)에 부착된 버켓(104)은 벌크 운반선의 적재함 내부 종단부까지 충분히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적재함 종단부에 남아있는 잔류 벌크를 남김없이 정상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콘트롤 밸브의 체계적인 제어를 통해, 수평 실린더의 팽창 수준을 대폭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운반선의 사이즈가 대형인 악조건 하에서도, 보조 장비, 예컨대, 불도저, 프런트 로더 등과 같은 보조장비 추가 투입 없이도, 하역기의 하역 풋이 운반선의 적재함 내부 종단부까지 충분히 접근하여, 하역하기 곤란한 부근의 잔류 벌크를 손쉽게 정상 하역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구현되어, 보조장비의 활용도가 많이 제거되면, 하역기 관리자 측에서는 예컨대, 보조장비의 추가 투입으로 생기는 전체적인 하역시간 증가및 하역 대기 회수가 증가하는 문제점, 하역기의 하역효율 저하에 따른 여러 가지 경제적 손실을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상/하측 회전 휠 및 버켓들을 구비한 상태로, 축압기의 유체 공급 상태에 따라, 회전 및 엘리베이팅 되어, 운반선에 선적되어 있는 벌크를 실어 나르는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역 풋과 링크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수축 또는 신장되며, 상기 하역 풋의 수직측 움직임을 제어하는 수직 실린더와;
    상기 하역 풋과 링크된 상태로, 상기 수직 실린더와 동기 되어 상기 수직 실린더의 변경된 길이를 보상하고, 상기 하역 풋의 수평 길이를 제어하는 수평 실린더와;
    상기 수직 실린더 및 축압기 사이에 개재되며,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오프되어, 상기 축압기 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실린더 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2 콘트롤 밸브와;
    미리 설정된 ECD 모드(Edge Coal Digging mode) 조건에서, 상기 수평 실린더 및 수직 실린더 측으로 공급 및 드레인 되는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및 제 3 콘트롤 밸브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와 전기/전자적으로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일련의 ECD 모드 하에서, 상기 제 2 및 제 3 콘트롤 밸브를 온 시킨 후, 일정 시차를 두고 상기 제 1 콘트롤 밸브를 온 시켜, 상기 수직 실린더를 수축시킨 다음, 상기 수평 실린더를 팽창시키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수평측 이동 폭을 증가시키는 밸브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KR1020030042675A 2003-06-27 2003-06-27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KR20050001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675A KR20050001110A (ko) 2003-06-27 2003-06-27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675A KR20050001110A (ko) 2003-06-27 2003-06-27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110A true KR20050001110A (ko) 2005-01-06

Family

ID=3721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675A KR20050001110A (ko) 2003-06-27 2003-06-27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11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310B2 (en) Closed-loop hydraulic system having regeneration configuration
AU2008201612B2 (en) A dump truck
AU2004276616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KR102586623B1 (ko) 작업유닛 방출에너지 회생 시스템 및 방법
CN106068353A (zh) 具有返回挖掘功能的工作机
JP2019031989A (ja) 建設機械
JP3612256B2 (ja) 作業機械の油圧回路
US20080174097A1 (en) Oscillating undercarriage, in particular for a drilling device
US5806616A (en) Arrangement in a rock drilling equipment
CN110566527B (zh) 液压驱动系统
KR20050001110A (ko) 연속식 하역기용 하역 풋의 구동 제어 시스템
KR100775358B1 (ko) 적재함이 슬라이딩 가능한 덤프트럭
WO1997036809A1 (fr) Systeme de dechargement continu
JP6524038B2 (ja) 運搬車両
EP2052952B1 (en) A device for activating a tilting of a driver's cabin of a lorry
KR20220128477A (ko) 건설 기계
RU2306389C2 (ru) Фронтальный погрузчик с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м гидроприводом погрузоч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JP7187399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及び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123745B2 (ja) 運搬車両
JP4488603B2 (ja) 連続式アンローダおよび連続式アンローダの運転方法
JP3117263U (ja) 貨物自動車の後部突入防止装置
CN210117160U (zh) 用于保持负载的可预设的规定位置的补偿装置
KR100540445B1 (ko) 건설기계의 주행진동 제어장치
JP7210397B2 (ja) 建設機械
CN217374288U (zh) 一种拉臂钩机构及钩臂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